KR100456893B1 -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6893B1
KR100456893B1 KR10-2002-0051138A KR20020051138A KR100456893B1 KR 100456893 B1 KR100456893 B1 KR 100456893B1 KR 20020051138 A KR20020051138 A KR 20020051138A KR 100456893 B1 KR100456893 B1 KR 100456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ing arm
link
mounting portion
chang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9555A (ko
Inventor
조영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1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6893B1/ko
Publication of KR20040019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8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05Attitude
    • B60G2400/051Angle
    • B60G2400/0514Wheel angle detection
    • B60G2400/05142Wheel ca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05Attitude
    • B60G2400/051Angle
    • B60G2400/0514Wheel angle detection
    • B60G2400/05144Wheel to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부분의 유선형 링크를 대향해서 위치하는 한편, 중간지점에서 교차하도록 하고, 상기 2부분의 링크가 교차하는 한쪽 단부는 체결수단으로 너클에 마운팅되는 제1마운팅부를 형성하고, 2부분의 링크가 결합되는 단부는 부싱으로 차체에 마운팅되는 제2마운팅부를 형성하므로, 이 제2마운팅부와 상기 중간지점 사이의 유선형 링크가 휠의 토 변화 및 캠버 변화를 완충하는 완충부를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레일링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트레일링암{TRAILING ARM OF VEHICLES}
본 발명은 벤딩 특성 및 토션 특성이 개선된 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트레일링암에 관한 것이다.
현재, 혼다사의 ODYSSEY나 포드사의 FOCUS, 현대의 VQ(카니발 후속차량)와 같은 차종의 트레일링암은 도 1의 구조를 갖는다. 즉, 트레일링암(10)은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너클에 마운팅되는 U형상의 제1마운팅부(11)와, 부싱으로 차체에 마운팅되는 제2마운팅부(12)를 구비한다. 이러한 트레일링암(10)이 채용된 현가장치의 자유도는 0이 된다. 미설명부호 31은 차축계를 나타낸다.
한편, 현가장치의 설계시 수직력 또는 횡력 작용시에 휠(20)의 어퍼암과 로암의 작용으로 범프시는 토인되고, 횡력 작용시 토인되도록 링크를 구성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도 2에서와 같이, 휠(20)의 토 경향에 대해서 트레일링암(10)이 저항하게 된다. 즉, y 방향으로의 휠(20)의 토 변화(도면 중 휠(20) 상의 화살표로 나타냄)에 따라 트레일링암(10) 또한 y 방향으로 연동하여 움직(도면중 트레일링암(10)상의 화살표로 나타냄)이게 되므로, 트레일링암(10)이 부하가 되어 휠(20)의 토 변화를 막는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휠(20)의 토 변화에 따라 상기 트레일링암(10)이 유연하게 연동되도록 트레일링암(10)의 벤딩(bending) 특성을 유연하게 개선되야 한다.
한편,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휠 스트로크(wheel stroke) 변화에 대해서 캠버각이 변화하게 된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z 방향으로의 수직 스트로크 변화에 따라서 캠버(도면중 화살표로 나타냄)가 생기는데, 이때 캠버에 의해서 트레일링암(10)이 토션(torsion)된다. 즉, z 방향으로의 휠(20)의 스트로크에 따라, 도면중 휠(20) 상의 화살표방향으로 캠버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도면중 트레일링암(10) 상의 화살표방향으로 토션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트레일링암(10)의 토션 특성이 너무 크면, 즉, 토션에 대한 저항이 크면, 휠(20)의 캠버 운동이 자유롭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휠(20)의 캠버 변화에 따라 상기 트레일링암(10)이 유연하게 연동되도록 트레일링암(10)의 토션 특성을 개선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휠의 토 변화 및 캠버 변화에 따라서 트레일링암이 유연하게 이러한 벤딩 및 토션을 완화할 수 있도록 된 개선된 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트레일링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트레일링암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휠의 토 경향에 따른 트레일링암의 운동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휠의 캠버 경향에 따른 트레일링암의 운동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링암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참조부호의 설명>
20 - 휠, 40, 50 - 트레일링암,
41,51 - 제1마운팅부, 42,52 - 제2마운팅부,
43,44 - 유선형 링크, 53, 54 - 선형 링크,
46,56 - 완충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2부분의 유선형 링크를 대향해서 위치하는 한편, 중간지점에서 교차하도록 하고, 상기 2부분의 링크가 교차하는 한쪽 단부는 체결수단으로 너클에 마운팅되는 제1마운팅부를 형성하고, 2부분의 링크가 결합되는 단부는 부싱으로 차체에 마운팅되는 제2마운팅부를 형성하므로, 이 제2마운팅부와 상기 중간지점 사이의 유선형 링크가 휠의 토 변화 및 캠버 변화를 완충하는 완충부를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링암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2부분의 유선형 링크는 상기 완충부 내에서소정 각도로 대향하며 굽혀지는 2부분의 선형 링크로 대체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링암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링암(40)은 체결수단으로 너클에 마운팅되는 제1마운팅부(41)와, 부싱으로 차체에 마운팅되는 제2마운팅부(42)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마운팅부(41)와 제2마운팅부(42) 사이는 유선형 링크(43,44)로 연결하도록 된다. 그리고, 이 유선형의 링크(43,44)는 중간지점(45)에서 교차하여 상기 제1마운팅부(41)까지 연장된다. 이에 의하면, 상기 제2마운팅부(42)와 중간지점(45) 사이에 중공 부분이 형성되고, 이 부분이 휠(20)의 토 변화 및 캠버 변화를 완충하는 완충부(46)의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링암(40)이 상기 제1마운팅부(41) 및 제2마운팅부(42)를 매개로 차량에 설치되면, 휠(20)의 토 변화(도면중 y 방향으로의 변화) 및 갬버 변화(도면중 z 방향으로의 변화)가 일어날 때, 상기 유선형 링크(43,44) 및 이들이 이루는 완충부(46)에 의해 이러한 변화가 완충되어진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트레일링암을 나타낸 도면으로, 이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링암(50)은 체결수단으로 너클에 마운팅되는 제1마운팅부(51)와, 부싱으로 차체에 마운팅되는 제2마운팅부(52)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마운팅부(51)와 제2마운팅부(52) 사이는 소정 각도로 굽혀진 선형 링크(53,54)로 연결하도록 된다. 그리고, 이 선형 링크(53,54)는 중간지점(55)에서 교차하고, 상기 제1마운팅부(51) 까지 연장된다. 이에 의하면, 상기 제2마운팅부(52)와 중간지점(55) 사이에 중공 부분이 형성되는데, 이 부분이 휠(20)의 토 변화 및 캠버 변화를 완충하는 완충부(56)의 역할을 한다.
즉, 트레일링암(50)이 상기 제1마운팅부(51) 및 제2마운팅부(52)를 매개로 차량에 설치되면, 휠(20)의 토 변화(도면중 y 방향으로의 변화) 및 캠버 변화(도면중 z 방향으로의 변화)가 일어날 때, 상기 선형 링크(53,54) 및 이들이 이루는 완충부(56)에 의해 이러한 변화가 완충되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휠의 토 변화 및 캠버 변화에 따라서 트레일링암에 작용하는 벤딩 및 토션이 트레일링암에 형성된 완충부에 의해 완화므로, 휠의 토 및 캠버 운동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2부분의 유선형 링크를 대향해서 위치하는 한편, 중간지점에서 교차하도록 하고, 상기 2부분의 링크가 교차하는 한쪽 단부는 체결수단으로 너클에 마운팅되는 제1마운팅부를 형성하며, 2부분의 링크가 결합되는 단부는 부싱으로 차체에 마운팅되는 제2마운팅부를 형성하므로, 이 제2마운팅부와 상기 중간지점 사이의 2부분의 유선형 링크가 휠의 토 변화 및 캠버 변화를 완충하는 완충부를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2. 소정 각도로 굽혀진 2부분의 선형 링크를 대향해서 위치하는 한편, 중간지점에서 교차하도록 하고, 상기 2부분의 링크가 교차하는 한쪽 단부는 체결수단으로 너클에 마운팅되는 제1마운팅부를 형성하고, 2부분의 링크가 결합되는 단부는 부싱으로 차체에 마운팅되는 제2마운팅부를 형성하므로, 이 제2마운팅부와 상기 중간지점 사이의 선형 링크 내에서 상기 선형 링크가 소정각도로 굽혀저서 휠의 토 변화 및 캠버 변화를 완충하는 완충부를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KR10-2002-0051138A 2002-08-28 2002-08-28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KR100456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138A KR100456893B1 (ko) 2002-08-28 2002-08-28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138A KR100456893B1 (ko) 2002-08-28 2002-08-28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555A KR20040019555A (ko) 2004-03-06
KR100456893B1 true KR100456893B1 (ko) 2004-11-10

Family

ID=37324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138A KR100456893B1 (ko) 2002-08-28 2002-08-28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68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4310A (ja) * 1985-12-06 1987-06-17 Honda Motor Co Ltd 3リンク式トレ−リングア−ム型リヤサスペンシヨン
JPH0237006A (ja) * 1988-07-28 1990-02-07 Mazda Motor Corp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585117A (ja) * 1991-09-26 1993-04-06 Toyota Motor Corp 車輌用リヤサスペンシヨン
KR100217590B1 (ko) * 1995-12-29 1999-09-01 정몽규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4310A (ja) * 1985-12-06 1987-06-17 Honda Motor Co Ltd 3リンク式トレ−リングア−ム型リヤサスペンシヨン
JPH0237006A (ja) * 1988-07-28 1990-02-07 Mazda Motor Corp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585117A (ja) * 1991-09-26 1993-04-06 Toyota Motor Corp 車輌用リヤサスペンシヨン
KR100217590B1 (ko) * 1995-12-29 1999-09-01 정몽규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555A (ko) 200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212181A (ja) 自動車の操舵可能な車輪特に後輪のための車輪懸架装置
KR100316893B1 (ko) 차량용 토션 빔 타입 현가장치의 토션 빔 마운팅 구조
JPS63240408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ヨン装置
KR100456893B1 (ko)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JP4595799B2 (ja) アーム部材の取り付け装置
JPH01266009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2988371A (en) Wheel suspensions
KR100962200B1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JPH11245639A (ja) トーションバによる衝撃エネルギー吸収構造
CN209833287U (zh) 一种汽车及其麦弗逊悬架系统
KR100452203B1 (ko) 두께 차이를 갖는 현가장치용 로워암
KR100293679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트레일링 아암 장착 부시 시스템
JP2000177346A (ja) リーフサスペンション
JPS63240407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ヨン装置
KR20050006804A (ko) 현가장치
US2667346A (en) Suspension
KR100391607B1 (ko) 버스의 현가장치
KR100507466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200274548Y1 (ko) 자동차 전륜 현가장치의 로워아암
KR100793902B1 (ko)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KR200274549Y1 (ko) 차량의 전륜 현가장치
KR100699483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9980035595A (ko) 현가장치의 스트럿 바아구조
KR19980040293U (ko) 자동차용 로워 아암 마운팅 구조
KR19980054238A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프론트로어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