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6684B1 - 모듈형 잭 - Google Patents

모듈형 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6684B1
KR100456684B1 KR10-2001-0074187A KR20010074187A KR100456684B1 KR 100456684 B1 KR100456684 B1 KR 100456684B1 KR 20010074187 A KR20010074187 A KR 20010074187A KR 100456684 B1 KR100456684 B1 KR 100456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casing
insertion opening
front plate
modular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1762A (ko
Inventor
한다신수케
와타나베사토루
Original Assignee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41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1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6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케이싱은 삽입 개구를 통하여 전방으로 개방된 삽입 오목부를 포함한다. 전자(電磁) 차폐용 금속제의 쉘은, 케이싱의 앞면과 그로부터 연장된 측벽을 둘러싸는 전판(front plate)을 갖추고 있다. 모듈형 잭이 장치에 결합된 상태에서, 장치의 캐비넷의 외측에 노출된 쉘의 일부는 절연 커버에 의하여 덮인다. 절연 커버의 전판의 삽입 개구는 쉘의 전판의 삽입 개구보다 작다.

Description

모듈형 잭{MODULAR JACK}
본 발명은, 노트북 형태의 개인용 컴퓨터, 게임기 등과 같은 장치에 장착되고 그에 상응하는 모듈형 플러그에 결합되는 모듈형 잭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모듈형 잭은 전화 회선 또는 랜 회선으로부터의 모듈형 플러그를 접속하기 위한 것이며, 모듈형 플러그를 삽입 및 인출하기 위하여 삽입 오목부가 있는 합성 수지제 케이싱을 구비하고 있다. 삽입 오목부의 내측에는, 모듈형 플러그의 접촉자와 접촉하는 접촉 핀이 내장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케이싱의 일부, 특히 삽입 오목부와 연통하는 삽입 개구의 둘레가 금속제 쉘에 의하여 둘러싸여 삽입 오목부의 내부에서 접촉 핀에 대한 전자 차폐가 달성된다.
한편, 통상적으로 판금 인발(sheet metal drawing)에 의하여 형성되는 금속제 쉘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것은 외관 측면에서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이물질이 노출된 쉘과 접촉하게되고, 노이즈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관이 수려하고 전자 차폐 성능이 우수한 모듈형 잭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잭에 모듈형 플러그를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파단 측면도이고,
도 2는 모듈형 잭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모듈형 잭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선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선 Ⅴ-Ⅴ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모듈형 잭의 배면도이고,
도 7은 모듈형 플러그에 접속된 상태의 모듈형 잭의 윤곽 단면도이고,
도 8은 모듈형 잭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보강 탭의 측판과 쉘의 측벽이 서로 결합되어 있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잭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잭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듈형 잭
2 : 모듈형 플러그
5 : 인쇄 배선 기판
6 : 케이싱
6a : 앞면
7 : 쉘
7a : 전판
7b : 삽입 개구
7c ~ 7f : 측벽
8 : 절연 커버
8b : 삽입 개구
8c ~ 8f : 측벽
11 : 보강 탭
12 : 삽입 오목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절연 성능이 있고 전방으로 개방된 모듈형 플러그용 삽입 오목부를 갖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앞면을 덮는 전판을 갖추고, 이 전판에서 상기 삽입 오목부와 연통하는 모듈형 플러그용 삽입 개구를 구획하는 전자기파 차폐용 금속제 쉘과, 쉘의 전판을 덮는 전판을 갖추고, 이 전판에서 상기 삽입 오목부와 연통하는 모듈형 플러그용 삽입 개구를 구획하는 절연 커버를 포함하는 모듈형 잭으로서, 상기 절연 커버의 삽입 개구는 쉘의 삽입 개구보다 작게 만들어져, 쉘의 삽입 개구의 가장자리 부분이 노출되는 것이 절연 커버의 삽입 개구의 가장자리 부분에 의해 방지되는 모듈형 잭이 제공된다.본 발명에 따르면, 쉘의 전판에 있는 삽입 개구의 가장자리부가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쉘의 전판은 절연 커버에 의하여 덮이며, 그에 따라 외관이 수려하다. 또한, 이물질이 쉘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고, 전자 차폐가 보장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제1 측면에 따른 모듈형 잭에 있어서, 상기 쉘은, 전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케이싱의 상응하는 측벽을 따라 마련되는 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 커버는 전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쉘의 상응하는 측벽을 따라 마련되는 측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절연 커버가 쉘을 덮는 범위는 확장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이물질이 쉘과 접촉하는 것은 더욱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제2 측면에 따른 모듈형 잭에 있어서, 상기 쉘과 절연 커버의 상응하는 측벽은 케이싱의 상응하는 측벽에 마련된 고정부에 의하여 하나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구조는 단순화될 수 있고, 제조 비용도 저렴하게 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모듈형 플러그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잭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윤곽 측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모듈형 잭(1)은 표준화된 제품의 모듈형 플러그(2)를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모듈형 플러그(2)는 복수의 접촉 핀(도시 생략)을 유지하기 위한 플러그 주 본체(3)와, 외팔로 형태로 플러그 주 본체(3)에 의해 지지되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결합 레버(4)를 갖추고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형 잭(1)의 전방측이 상방(X1)을 구성하고, 그 후방측이 하방(X2)을 구성하는 수직 모듈형 잭의 예에 맞추어 설명을 하고 있지만, 본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본 발명은 모듈형 잭의 전방측이 수평 방향을 향하게 되어 있는 수평 모듈형 잭에 적용될 수도 있다.
모듈형 잭(1)은, 인쇄 배선 기판(5) 위에 배치되는 절연 성능이 있는 예컨대 합성 수지제의 케이싱(6)과, 이 케이싱(6)의 적어도 일부를 덮기 위한 전자 차폐용 금속제 쉘(7)과, 상기 쉘(7)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예컨대 합성 수지제의 절연 커버(8)와, 각각 도선 부분(9; lead portion)을 갖추는 복수의 접촉 핀(10), 및 케이싱(6)을 보강하면서 인쇄 배선 기판(5) 위의 전도부에 납땜되는 보강 탭(11)을 포함한다.
절연 커버(8)가 합성 수지로 제조되는 경우에, 절연 커버(8)는 사용자가 접속할 위치를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채색되거나 노트북 형태의 개인용 컴퓨터, 게임기 등과 같은 장치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을 갖도록 채색될 수 있다.
도 2는 모듈형 잭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모듈형 잭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선 Ⅳ-Ⅳ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선 Ⅴ-Ⅴ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모듈형 잭의 배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이 실시예의 주요 특징은, 절연 커버(8)의 삽입 개구(8b)를 쉘(7)의 삽입 개구(7b)보다 작게〔즉, 삽입 개구(8b)의 개방 직경(L1)을 삽입 개구(7b)의 개방 직경(L2)보다 작게; L1〈 L2〕함으로써 쉘(7)의 삽입 개구(7b)의 가장자리부의 노출이 절연 커버(8)의 삽입 개구(8b)의 가장자리부에 의하여 방지되는 데 있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케이싱(6)에는 그것의 앞면(6a)에 형성된삽입 개구(6b)를 통하여 상방(X1)으로 개방된 삽입 오목부(12)가 마련되어 있고, 모듈형 플러그(2)가 삽입 오목부(12)에 삽입되어 플러그에 전기적이고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도 4 및 도 6을 참고하면, 케이싱(6)의 후면(6i)은 인쇄 배선 기판(5)의 표면(5a)에 대향하는 부착면을 이룬다.
도 6을 참고하면, 케이싱(6)의 후면(6i)에는 개방부(6k)가 형성되어 있다. 개방부(6k)는 모듈형 잭(1)의 삽입 오목부(12)의 내측에서 가장 압입된 위치에 배치되는 모듈형 플러그(2)의 결합 레버(4)의 기단부(도시 생략)의 도입을 허용하며, 이에 의하여 모듈형 잭(1)의 깊이 치수를 최소화하여 저배화(低背化; low back formation)에 기여한다. 도 6 및 도 8을 참고하면, 참조 부호28은 인쇄 배선 기판(5)에 형성된 삽입 구멍(도시 생략)에 삽입되어 인쇄 배선 기판(5)에 대해 케이싱(6)을 위치 결정하는 리브를 표시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쉘(7)은 케이싱(6)의 앞면(6a)을 덮는 장방형 윤곽의 전판(7a)을 포함하며, 삽입 오목부(12)와 연통하는 모듈형 플러그용 삽입 개구(7b)는 전판(7a)에서 구획된다. 케이싱(6)의 상응하는 측벽(6c, 6d, 6e, 6f)을 따라 각각 마련된 측벽(7c, 7d, 7e, 7f)은 전판(7a)의 4 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또한, 삽입 개구(7b)의 한 쌍의 대향하는 가장자리부로부터 삽입 오목부(12)의 내부를 향하여 산 형상을 이루는 탄성 접촉편(7m)이 각각 연장된다. 도 2 및 도 5를 참고하면, 케이싱(6)의 측벽(6e, 6f)의 내면에는 상응하는 탄성 접촉편(7m)을 안내하도록 긴 수직 길이를 갖는 안내 홈(6j)이 형성되어 있다〔도 2에서는 단지 측벽(6f)의 안내 홈(6j)만이 도시되어 있다〕. 각 탄성 접촉편(7m)은 모듈형플러그(2)의 금속 쉘(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접지된다. 쉘은 전체적으로 판금으로 형성된다.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쉘(7)의 대향 측벽(7c, 7d)에는 예컨대 장방형을 이루는 좌우 한 쌍의 결합 구멍(7g)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쉘(7)은 상측으로부터 하방(X2)으로 케이싱(6)을 덮도록 케이싱(6)에 장착되며, 이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6)의 상응하는 측벽(6c, 6d)에 형성된 고정 돌기(6g)가 각각의 결합 구멍(7g)에 결합되어 쉘(7)이 케이싱(6)에 고정된다.
도 2 및 도 5를 참고하면, 쉘(7)의 대향 측벽(7e, 7f)에는 좌우 한 쌍의 창 부분이 형성되며, 각각의 창 부분에서 탄성 접촉편〔7h; 도 2에 있어서는 단지 측벽(7e)의 탄성 접촉편(7h) 만이 도시되어 있음〕이 잘려져 올라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접촉편(7h)은 장치의 합성 수지제의 캐비넷(26)의 배면을 따라 마련된 금속제 샤시(27)와 탄성 접촉되어, 쉘(7)과 샤시(27)를 전기적으로 도통되게 하여 바닥 전위(ground level)를 합치시키도록 동작한다.
도 1을 참고하면, 각 측벽(7e, 7f)의 중앙부로부터 하방〔X2; 인쇄 배선 기판(5)측〕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7i)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연장부(7i)의 중앙부로부터 하방(X2)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7j)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연장부(7i)의 한 쌍의 측부는 각각 상방(X1) 및 내향 측방으로 개방되도록 케이싱(6)의 측벽(6e, 6f)에 형성된 한 쌍의 홈 부분(13)에 각각 끼워진다. 제2 연장부(7j)는 상응하는 보강 탭(11)의 측판(14)과 케이싱(6)의 상응하는 측벽(6e, 6f) 사이에 형성된 홈 부분(17)에 끼워진다.
도 1 및 도 9를 참고하면, 제2 연장부(7j)의 외측면에는 보강 탭(11)의 측판(14)의 배면에 결합되는 결합 돌기(7k)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보강 탭(11)은 도전성 판금 부재를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구성되며, 이 보강 탭은 측판(14)과, 이 측판(14)의 하단에 대해 외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판형의 다리부(15)를 갖추고 있다. 측판(14)의 한 쌍의 측부의 상부로부터 양측으로 아암부(16)가 연장되며, 이에 의하여 측판(14)은 실질적으로 T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보강 탭(11)에 따르면, 측판(14)을 케이싱(6)에 미리 장착된 쉘(7)의 측벽(7e, 7f)의 중앙부를 따라 상측으로부터 하방(X2)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측판(14)이 상응하는 측벽(6e, 6f)의 한 쌍의 홈 부분(17)에 끼워진다. 이 때에, 측판(14)의 아암부(16)는 홈 부분(17) 내의 위치 결정 계단부(18)와 접촉하게 되고, 그에 의하여 보강 탭(11)의 높이 위치가 결정된다. 측판(14)의 각 아암부(16)로부터 하방의 측부 가장자리에는 억지 끼워맞춤 돌기(19)가 형성된다. 각 억지 끼워맞춤 돌기(19)는 홈 부분(17)의 상응하는 홈 벽에 억지 끼워지고, 그에 의하여 측판(14)이 상방(X1)으로 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쉘(7)의 결합 돌기(7k)가 보강 탭(11)의 측판(14)과 가압 접촉되어, 이러한 방식으로 인출이 방지되고, 이에 의하여 쉘(7)이 상방으로 인출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측벽(6c)은 복수 개의 접촉 핀(10)을 수평으로 정렬하도록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각 접촉 핀(10)은 측벽(6c)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 구멍(20)에 고정되게 삽입되는 고정부(21)와, 이 고정부(21)의 상단으로부터 예각을 이루도록 굽혀져 하측에서 인쇄 배선 기판(5) 측을 향하여 경사진 형태로 연장되는 외팔로 형태의 탄성 접촉부(22)와, 고정부(21)의 하단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굽혀져 인쇄 배선 기판(5)의 표면(5a)을 따라 측벽(6c)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도선 부분(9)을 갖추고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6)의 후면(6i)을 형성하는 후방벽(6h)에는 삽입 오목부(12)를 후방측의 인쇄 배선 기판(5) 측으로 개방하기 위한 도선 출구(lead-out opening)로서 서로 평행한 복수의 슬릿(23)이 형성되어 있다. 도선 출구로서의 슬릿(23)은 상응하는 탄성 접촉부(22)의 전단(24)과 활주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형 잭(1)이 모듈형 플러그(2)와 접속되고 각각의 탄성 접촉부(22)가 굽혀지는 경우, 탄성 접촉부(22)의 전단(24)은 슬릿(23)을 통하여 케이싱(6)의 후방측으로 돌출된다. 인쇄 배선 기판(5)에는 복수의 탄성 접촉부(22)의 전단(24)이 케이싱(6)의 후방측으로 돌출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유출구로서 실질적으로 장방형의 관통 구멍(25)이 마련되어 있다. 슬릿(23)은 탄성 접촉부(22)가 만곡되도록 변형될 때 탄성 접촉부(22)의 전단(24)이 유연하게 변위되도록 안내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절연 커버(8)에는 삽입 개구(8b)가 마련된 실질적으로 장방형 윤곽의 전판(8a)과, 이 전판(8a)의 4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정방형 링 형상을 이루는 4개의 측벽(8c, 8d, 8e, 8f)을 갖추고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절연 커버(8)의 삽입 개구(8b)는 쉘(7)의 삽입 개구(7b)보다 약간 작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며(즉, 개구 직경이 L1〈 L2), 그 결과로서 쉘(7)의 삽입 개구(7b)의 가장자리부는 절연 커버(8)의 삽입 개구(8b)의 가장자리부에 의하여 노출이 방지된다.
절연 커버(8)의 각 측벽(8c 내지 8f)은 쉘(7)의 상응하는 측벽(7c 내지 7f)을 덮도록 제조된다. 쉘(7)의 상응하는 측벽(7c 내지 7f)을 덮는 절연 커버(8)의 각 측벽(8c 내지 8f)의 범위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형 잭(1)이 장치에 실제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장치의 캐비넷(26)으로부터 쉘(7)이 노출되는 범위에 상응한다.
도 2 및 도 5를 참고하면, 측벽(8e, 8f)에는 쉘(7)의 각 탄성 접촉편(7h)과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유출부로서 절결부(8h)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측벽(8c, 8d)에는 쉘(7)의 결합 구멍(7g)으로부터 돌출되는 케이싱(6)의 고정 돌기(6g)와 맞물리도록 각 한 쌍의 결합 구멍(8g)이 형성되어 있다. 이 맞물림에 의하여, 절연 커버(8)가 쉘(7)로부터 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케이싱(6)의 고정 돌기(6g)는 쉘(7)과 절연 커버(8)를 하나로 고정하여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달성하며, 구조는 간단하게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르면, 쉘(7)의 전판(7a)에 있는 삽입 개구(7b)의 가장자리부가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쉘(7)의 전판(7a)은 절연 커버(8)의 전판(8a)에 의하여 덮이며, 따라서 그 외관이 수려하다. 또한, 쉘(7)의전판(7a)에 이물질이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고, 전자 차폐가 보장된다.
특히, 쉘(7)을 덮는 부분은 절연 커버의 측벽(8c 내지 8f)에 의하여 확장되고, 모듈형 잭(1)이 결합된 상태에서, 실제적으로 장치의 캐비넷(26)으로부터 노출된 쉘(7)의 부분은 덮일 수 있으며, 그러므로 쉘(7)에 이물질이 접촉하는 것은 더욱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으며, 그 외관은 수려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연장된 역삽입 방지부(8i)가 절연 커버(8)의 측벽(8d)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절연 커버(8)의 방향이 정규의 방향으로부터 180°변경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절연 커버의 측벽(8d)이 쉘(7)의 측벽(7c)을 덮게 되는 경우, 역삽입 방지부(8i)의 하단은 케이싱(6)의 측벽(6c)의 계단부(6m)와 접촉하게 된다. 그에 의하여, 절연 커버(8)의 장착이 방해되므로, 소위 역삽입에 의한 조립은 수행될 수 없다. 도 10의 실시예에서, 도 2의 것과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핀(10A)의 도선(9)으로부터 고정부(21)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부착편(31)이 마련되고, 고정부(21)와 부착편(31)에 의하여 측벽(6c)의 하부가 그 사이에 끼이고, 이로써 접촉 핀(10A)이 케이싱(6)에 고정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21)가 케이싱(6)의 고정 구멍(20)에 삽입되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고정부(21)가 케이싱(6)의 내측과 케이싱(6)의 하측으로 개방된 유지 홈(32)에 장착된다. 유지 홈(32)은 슬릿(23)과 연통한다. 이 실시예에서, 접촉 핀(10A)을 케이싱(6)의 하측으로부터 장착함으로써 용이하게 조립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접촉 핀(10A)의 탄성 접촉부(22)와 고정부(21)는 슬릿(23)을 통하여 케이싱(6) 내에 삽입되며, 케이싱(6)의 측벽(7c)의 하부는 고정부(21)와 부착편(31) 사이의 공간으로 억지 끼워 맞춤되어 거기에 고정된다.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도 4의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모듈형 잭(1)은 절연 커버(8)의 전판(8a)과 장치의 캐비넷(26)이 서로 동일한 높이에 있게 만들어지도록 장치에 대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외에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관이 수려하고 전자 차폐 성능이 우수한 모듈형 잭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절연 성능이 있고 전방으로 개방된 모듈형 플러그용 삽입 오목부를 갖춘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앞면을 덮는 전판을 갖추고, 상기 삽입 오목부와 연통하는 모듈형 플러그용 삽입 개구를 구획하는 전자기파 차폐용 금속제 쉘; 및
    상기 쉘의 전판을 덮는 전판을 갖추고, 상기 삽입 오목부와 연통하는 모듈형 플러그용 삽입 개구를 구획하는 절연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절연 커버의 삽입 개구는 상기 쉘의 삽입 개구보다 작게 만들어져, 상기 쉘의 삽입 개구의 가장자리 부분이 노출되는 것이, 상기 절연 커버의 삽입 개구의 가장자리 부분에 의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상기 쉘의 전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케이싱의 상응하는 측벽을 따라 마련되는 측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절연 커버는 상기 절연 커버의 전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쉘의 상응하는 측벽을 따라 마련되는 측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쉘 및 상기 절연 커버의 상응하는 측벽들은 상기 케이싱의 상응하는 측벽들에 마련된 고정부들에 의하여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잭.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커버의 측벽 중의 하나는 하방으로 연장된 역 삽입 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잭.
KR10-2001-0074187A 2000-11-28 2001-11-27 모듈형 잭 KR1004566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61384A JP3544521B2 (ja) 2000-11-28 2000-11-28 モジュラジャック
JPJP-P-2000-00361384 2000-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762A KR20020041762A (ko) 2002-06-03
KR100456684B1 true KR100456684B1 (ko) 2004-11-10

Family

ID=18832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187A KR100456684B1 (ko) 2000-11-28 2001-11-27 모듈형 잭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94741B2 (ko)
EP (1) EP1209775B1 (ko)
JP (1) JP3544521B2 (ko)
KR (1) KR100456684B1 (ko)
CN (1) CN1184725C (ko)
DE (1) DE60123363T2 (ko)
TW (1) TWI2694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4776B2 (ja) 2002-05-07 2008-04-0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ジャック
US8057249B1 (en) 2010-07-19 2011-11-1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slim-line cap
US20120069516A1 (en) * 2010-09-22 2012-03-22 Panasoni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JP6247572B2 (ja) * 2014-03-18 2017-12-1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EP3134945B1 (en) 2014-04-23 2019-06-12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 cap and shielded terminals
TWI584534B (zh) * 2016-01-20 2017-05-21 技嘉科技股份有限公司 連接器外殼、連接器與連接器模組
TW202402454A (zh) 2018-06-27 2024-01-16 美商應用材料股份有限公司 化學機械研磨設備及化學機械研磨方法
US11897079B2 (en) 2019-08-13 2024-02-13 Applied Materials, Inc. Low-temperature metal CMP for minimizing dishing and corrosion, and improving pad asperity
EP4171873A1 (en) 2020-06-29 2023-05-03 Applied Materials, Inc. Temperature and slurry flow rate control in cmp
JP2023530555A (ja) 2020-06-30 2023-07-19 アプライド マテリア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Cmp温度制御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9720A (en) * 1994-03-16 1995-05-30 Chen; Michael Structure of jack for modular plugs
JPH07245147A (ja) * 1994-03-02 1995-09-19 Hosiden Corp モジュラージャッ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2000A (en) * 1991-09-27 1992-11-10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dielectric housing retention
GB9224154D0 (en) * 1992-11-18 1993-01-06 Weatherley Richard Jack socket assembly
US5496195A (en) * 1995-03-13 1996-03-05 The Whitaker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shielded connector
US6162089A (en) * 1997-12-30 2000-12-19 The Whitaker Corporation Stacked LAN conn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5147A (ja) * 1994-03-02 1995-09-19 Hosiden Corp モジュラージャック
US5419720A (en) * 1994-03-16 1995-05-30 Chen; Michael Structure of jack for modular plu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65002A1 (en) 2002-05-30
DE60123363D1 (de) 2006-11-09
EP1209775A2 (en) 2002-05-29
EP1209775B1 (en) 2006-09-27
KR20020041762A (ko) 2002-06-03
DE60123363T2 (de) 2007-01-04
EP1209775A3 (en) 2005-04-20
TWI269496B (en) 2006-12-21
US6494741B2 (en) 2002-12-17
JP3544521B2 (ja) 2004-07-21
JP2002164133A (ja) 2002-06-07
CN1356746A (zh) 2002-07-03
CN1184725C (zh) 2005-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9062B1 (en)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KR100625068B1 (ko) 인쇄배선판용 커넥터
US6165006A (en) Cable connector
US7771236B2 (en) Electrical connector
US8142217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cover which synchronously defined as a wall of a modular jack disposed thereof
EP1209776B1 (en) Modular jack
US20080038963A1 (en) Receptacle connector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JPH02195675A (ja) 低プロファイルシールドジャッキ
KR100456684B1 (ko) 모듈형 잭
US5876247A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7023703B2 (en) Module retention latch assembly
US6089916A (en) Cable assembly connector
KR100458681B1 (ko) 모듈형 잭과 그 부착 구조
US5967854A (en) Circuit connector
US20030119371A1 (en) Modular jack connector
US6299480B1 (en) Shielded modular connector
US20010004567A1 (en) Modular connector
JP4347365B2 (ja) 多極コネクタ
US6755685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KR200293806Y1 (ko) 탑형 모듈러잭
KR100282652B1 (ko) 통신용 플러그 리셉터클
KR20100001330U (ko) 커넥터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