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6324B1 - 사출 수지용기의 문양 삽입방법 - Google Patents

사출 수지용기의 문양 삽입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6324B1
KR100456324B1 KR10-2002-0015028A KR20020015028A KR100456324B1 KR 100456324 B1 KR100456324 B1 KR 100456324B1 KR 20020015028 A KR20020015028 A KR 20020015028A KR 100456324 B1 KR100456324 B1 KR 100456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mold
lower mold
upper mold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5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5678A (ko
Inventor
남승완
Original Assignee
남승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승완 filed Critical 남승완
Priority to KR10-2002-0015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6324B1/ko
Publication of KR20030075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5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3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57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using means for adhering or bonding the layers or parts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88Coating articles provided with a dec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827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using a transfer foil detachable from the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71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with an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57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using means for adhering or bonding the layers or parts to each other
    • B29C2045/1659Fusion bo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 수지용기의 문양 삽입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부금형 및 상부금형을 가열한 상태에서 사출분말을 하부금형에 투입하고,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상호 밀착시켜 상기 사출분말이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 융착되도록 하며,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에 사출분말이 융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사이 공간에 그림이 인쇄된 전사지를 삽입하고,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사이 공간에 전사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상호 밀착시켜 상기 사출분말을 사출하여 수지용기를 제작함에 따라, 상기 수지용기의 내부에 그림이 삽입되어 외부손상요소의 작용을 방비함은 물론, 그림삽입공정을 보다 간편하게 이루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사출 수지용기의 문양 삽입방법{MARKING METHOD OF A RESIN VESSEL}
본 발명은 수지용기의 사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지용기의 내부에 그림을 삽입하도록 한 사출 수지용기의 문양 삽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지용기의 사출은 사출성형기에 사출하고자 하는 사출물의 형상을 이루는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설치하고, 상기 상부금형 또는 하부금형에 사출물을 이루는 수지 등의 재료를 삽입한 후에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을 상기 성형기에서 가압하여 사출을 이루도록 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여기서, 상기 수지용기의 재료는 열, 산, 용제에 강한 성질을 갖는 멜라민수지를 분말로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또, 상기 수지용기의 표면에 사용자로 하여금 심미감을 느끼도록 선이나 글씨 또는 형상 등을 도시한 그림을 그려 넣어 해당 제품의 가치를 높이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상기 수지용기에 그림을 도색하는 것은, 해당 그림을 유성에나멜 등의 페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수지용기의 겉표면 또는 안쪽의 표면에 수작업 또는 기계작업을 통해 그려넣는 것과, 상기 그림을 비닐 등에 인쇄하고 이 그림이 인쇄된 비닐의 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기 수지용기의 표면에 부착하는 방법과, 상기 그림이 인쇄된 전사지를 상기 수지용기의 표면에 대고 가열 및 가압하여 상기 전사지의 그림이 수지용기의 표면에 부착되도록 하는 방법의 사용이 보편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페인트로 수지용기의 표면에 그림을 그려넣는 것은, 상기 수지용기에 고온의 음식물을 담거나, 세척을 위해 세제에 담그거나, 수세미 등의 세척용구로 세척되면서 상기 페인트가 상기 수지용기의 표면에서 떨어져 나가거나, 페인트의 표면이 손상되어 상기 페인트로 그려진 그림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종래기술에 따라, 그림이 인쇄된 비닐을 수지용기의 표면에 접착제로 부착하는 경우, 상기 수지용기의 사용 및 세척 등에 따라 상기 접착제의 접착력이 저하되면서 상기 그림이 인쇄된 비닐이 상기 수지용기의 표면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에 따라, 전사지에 인쇄된 그림을 상기 수지용기의 표면에 부착한 것 역시, 상기 수지용기의 세척 및 사용 등에 의해 상기 수지용기의 표면에 부착된 그림이 손상되거나, 이탈되어 상품의 가치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수지용기의 내부에 그림을 삽입하여 상기 수지용기를 제작함에 따라, 상기 수지용기의 사용 및 세척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그림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사출 수지용기의 문양 삽입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 수지용기의 제작 과정에 단순한 조작을 가함으로 해서 상기 수지용기의 내부에 그림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그림삽입을 위한 별도의 장치나, 공정을 폐지하도록 한 사출 수지용기의 문양 삽입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 수지용기의 문양 삽입방법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기의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방법의 실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성형기 20 - 상부금형
30 - 하부금형 40 - 사출물
41 - 사출분말 50 - 전사지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출기에 설치된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을 소정 온도로 가열하고, 상기 사출기의 하부금형에 사출분말을 투입하며, 상기 사출분말이 하부금형에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을 상기 사출분말이 완전히 압착되지 않을 정도의 거리를 두고 밀착시켜 상기 사출분말이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에 일부 융착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에 일부 사출분말이 융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을 최초의 위치로 상호 이격시키며,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이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그림이 인쇄된 전사지를 삽입시키며,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의 사이에 전사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을 상호 밀착시킴과 동시에 가압하여 상기 수출분말을 용융·사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사출분말은 멜라민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사출분말이 멜라민수지로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을 180℃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사출분말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사출되는 멜라민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 수지용기의 그림삽입방법을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용기 성형기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기의 금형에 사출분말을 투입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가열된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이 상호 밀착되면서 상기 사출분말을 각각의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에 융착시키는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이 상호 이격되고 그 사이 공간에 전사지가 삽입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이 상호 밀착·가압되면서 상기 사출분말을 사출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이 상호 이격되면서 상기 사출분말과 사출분말의 사이에 삽입된 전사지가 함께 사출된 제품을 토출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금형가열공정(S10)과, 사출분말투입공정(S20)과, 사출분말접착공정(S30)과, 전사지삽입공정(S40)과, 사출공정(S50)으로 구성된다.
상기 금형가열공정(S10)은 상기 하부금형(30)에 사출분말(41)을 투입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금형(20)과 하부금형(30)을 소정온도로 상기 사출기에 설치된 히터로 가열한다.
이때, 상기 금형의 가열은 상기 사출분말(41)의 재질 및 목적에 따라 상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멜라민수지의 경우, 상기 상부금형(20)과 하부금형(30)을 모두 180℃ 정도로 가열시킨다.
상기 사출분말투입공정(S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금형(20)과 하부금형(30)이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금형(30)에 사출분말(41)을 투입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금형(30)은 상기 성형기(10)의 하부에 설치되도록 직사각형 박스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그 상단에서 내측으로 성형하고자 하는 사출물(40)의 하부측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도록 함몰부를 형성한 것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통상의 용기를 사출하도록 상기 하부금형(30)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반구형상을 이루고 함몰부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금형(20)은 상기 사출기의 상단에 설치된 가압봉에 체결되어 상기가압봉의 작동에 따라 상기 사출기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성형기(10)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금형(30)에 형성된 함몰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사출분말(41)은 통상의 수지용기를 사출하도록 멜라민수지의 분말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멜라민수지는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를 반응시켜 투명, 반투명, 불투명으로 형성시킬 수 있는 열 경화성 수지로 형성한다.
상기 사출분말접착공정(S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금형(30)에 사출분말(41)을 투입하고, 상기 상부금형(20) 및 하부금형(30)을 가열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금형(20)을 상기 사출기의 가압봉을 조작하여 상기 하부금형(30)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밀착시키며, 이때, 상기 상부금형(20)이 하부금형(30)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상부금형(20)과 하부금형(30)의 이격거리는 상기 하부금형(30)에 투입된 사출분말(41)이 상기 하부금형(30)의 가열에 의해 그 일부가 상기 하부금형(30)의 표면에 융착되고, 상기 상부금형(20)이 상기 하부금형(30)에 투입된 사출분말(41)의 일부에 닿아 상기 상부금형(20)의 표면온도에 의해 상기 사출분말(41)의 일부가 상기 상부금형(20)의 표면에 융착되어 붙을 수 있을 정도의 거리(본 실시 예에서는 10∼20㎜)를 이루고 상호 밀착된다.
이때, 상기 상부금형(20)과 하부금형(30)의 온도가 동일함은 물론, 상기 상부금형(20)과 하부금형(30)이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호 균일한 압력으로 밀착됨에 따라 상기 상부금형(20)의 표면과 하부금형(30)의 표면에 융착되는 사출분말(41)의 양은 동일하게 된다.
또, 상기 상부금형(20)의 하부금형(30)에 대한 밀착정도 및 상부금형(20)과 하부금형(30)의 온도를 상이하게 하여 상기 상부금형(20) 및 하부금형(30)에 융착되는 사출분말(41)의 양을 달리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전사지삽입공정(S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금형(20)과 하부금형(30)의 표면에 상기 사출분말(41)이 소정량씩 융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금형(20)을 최초의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상부금형(20)과 하부금형(30)의 사이에 작업공간을 형성하고, 이 작업공간에 그림이 인쇄된 전사지(50)를 상기 상부금형(20)과 하부금형(30)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삽입한다.
여기서, 상기 전사지(50)는 비교적 얇은 두께로 이루어진 종이에 유성 또는 수성잉크로 글씨나 임의의 형상을 도안한 그림을 인쇄한 것으로 한다.
상기 사출공정(S5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사지(50)가 상부금형(20) 및 하부금형(30)의 중앙부로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금형(20)을 상기 하부금형(30)과 밀착시킴과 더불어, 상기 상부금형(20)을 상기 하부금형(30)의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상/하금형의 온도 및 압력으로 상기 사출분말(41) 및 전사지(50)를 융착·가압하면서 사출을 이룬다.
이때, 상기 상부금형(20)의 가압시간은 통상의 멜라민수지를 융착할 수 있는 1∼2분 정도의 시간으로 한다.
상기 상부금형(20)의 가압으로 사출된 사출물(4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상기 그림이 인쇄된 전사지(5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사지(50)의 상하부에 위치된 사출분말(41)들이 상호 융착되어 용기형상으로 사출되고, 이 사출물(40)을 상기 성형기(10)에서 토출시켜 냉각·가공하여 상기 사출물(40)을 완성한다.
여기서, 상기 사출물(40)의 중앙부에 위치된 전사지(50)의 그림은 상기 사출물(40)이 투명 또는 반투명을 이루고 사출됨에 따라 상기 사출물(40)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투명한 사출물(40)의 표면을 통해 외부에 보이게 된다.
또, 상기 상부금형(20) 및 하부금형(30)에 융착되는 사출분말(41)의 양을 상이하게 조절하여 상기 사출물(40)의 내부에 삽입된 전사지(50) 그림이 상기 사출물(40)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보다 선명하게 보이도록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지용기의 사출과정에서 상부금형을 1회 더 작동시키고, 전사지를 삽입시키는 작업만으로 상기 수지용기의 내부에 그림을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수지용기에 대한 그림삽입 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이루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수지용기의 내부에 그림을 삽입하여 상기 수지용기의 외 표면에서의 화학적, 물리적 손상요소에 대한 손상방지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사출분말의 융착을 위한 상/하금형의 상호 밀착정도를 조절하여 수지용기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한 부분에서 그림이 보다 선명하게 보이도록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성형기의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을 소정온도로 가열하는 금형가열공정;
    상기 성형기의 하부금형에 사출분말을 투입하는 사출분말투입공정;
    상기 하부금형에 사출분말이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금형을 하부금형에 근접하도록 이동시켜 상기 사출분말이 상기 가열된 하부금형의 표면 및 상부금형의 표면에 융착되도록 하는 사출분말접착공정;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의 표면에 사출분말이 융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금형을 상기 하부금형에서 소정간격 이격시키고,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사이에 문양이 인쇄된 전사지를 삽입하는 전사지삽입공정; 및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사이 공간에 전사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금형을 상기 하부금형에 밀착시킴과 더불어 가압하여 상기 사출분말을 사출하여 사출물을 형성하는 사출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수지용기의 문양 삽입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가열온도를 상이하게 적용하거나,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밀착거리를 상이하게 하여 상기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에 융착되는 사출분말의 양을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수지용기의 문양 삽입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분말은 멜라민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수지용기의 문양 삽입방법.
KR10-2002-0015028A 2002-03-20 2002-03-20 사출 수지용기의 문양 삽입방법 KR100456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028A KR100456324B1 (ko) 2002-03-20 2002-03-20 사출 수지용기의 문양 삽입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028A KR100456324B1 (ko) 2002-03-20 2002-03-20 사출 수지용기의 문양 삽입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678A KR20030075678A (ko) 2003-09-26
KR100456324B1 true KR100456324B1 (ko) 2004-11-09

Family

ID=32225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5028A KR100456324B1 (ko) 2002-03-20 2002-03-20 사출 수지용기의 문양 삽입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63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302A (ko) * 2002-09-10 2002-10-23 김일웅 멜라민 용기의 표면무늬 전사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523A (ja) * 1985-07-03 1987-01-14 Hokoku Jushi Kogyo Kk 樹脂成型品の模様転写方法
EP0342237A1 (en) * 1987-07-27 1989-11-23 KANEKO, Michio Floating insert molding method and apparatus
WO1996007525A1 (en) * 1994-09-02 1996-03-14 Rover Group Limited A method of producing a scratch resistant coating on a plastics substrate
JPH10217339A (ja) * 1997-02-10 1998-08-18 Dainippon Printing Co Ltd 成形同時絵付方法
JP2001310351A (ja) * 2000-04-28 2001-11-06 Nissha Printing Co Ltd 反射防止成形品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7523A (ja) * 1985-07-03 1987-01-14 Hokoku Jushi Kogyo Kk 樹脂成型品の模様転写方法
EP0342237A1 (en) * 1987-07-27 1989-11-23 KANEKO, Michio Floating insert molding method and apparatus
WO1996007525A1 (en) * 1994-09-02 1996-03-14 Rover Group Limited A method of producing a scratch resistant coating on a plastics substrate
JPH10217339A (ja) * 1997-02-10 1998-08-18 Dainippon Printing Co Ltd 成形同時絵付方法
JP2001310351A (ja) * 2000-04-28 2001-11-06 Nissha Printing Co Ltd 反射防止成形品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678A (ko) 200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6856B2 (en) Sheet shaped key top
US6132662A (en) Foil-covered plastic part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10382250A (zh) 用于制造印花的方法、印花、用于制造印花的设备以及用于装饰对象表面的方法
KR101905532B1 (ko) 화장품 용기 케이스의 금속 로고 배지 부착방법
CN114401843A (zh) 用于形成地板元件的按压设备、设施和方法
KR100456324B1 (ko) 사출 수지용기의 문양 삽입방법
CN101422945A (zh) 模内装饰制品及其成型方法
KR20100026209A (ko) 멜라민에 그림을 삽입하는 방법
KR101604734B1 (ko) 열 접착방식 엠보싱 패치의 제조방법
KR100320070B1 (ko) 고무판 및 가죽의 무늬인쇄방법
KR100318990B1 (ko) 무늬모양이 전사된 멜라민수지 용기의 성형방법
US6556274B2 (en) Process for full-automatic and synchronous quick thermoprinting of stereoscopic color film and apparatus adopting the process
KR100467355B1 (ko) 실리콘수지로 이루어지는 입체 라벨의 제조방법
KR200434504Y1 (ko) 인테리어용 장식시트지
KR101402955B1 (ko) 입체무늬 성형용 금형장치
CN108928145A (zh) 一种3d玻璃丝印加工方法
KR900003465B1 (ko) 수지입체 라벨의 매립식 접착 방법
KR102449436B1 (ko) 극세사 원단, 직물, 합성피혁 원단을 이용한 휴대폰 , 태블릿 및 백색가전의 커버 제작 방법
KR200172167Y1 (ko) 의류용 입체라벨
KR20020056866A (ko) 멜라민수지 용기의 문양형성방법
US20100230853A1 (en) Method for printing plastic injection molding
JP3715514B2 (ja) 押釦スイッチ用キートップ部材の製造方法
KR100403449B1 (ko) 전기·전자 제품용 패널,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사출금형
KR200370010Y1 (ko) 멜라민용기 인쇄용 전사지
KR100779084B1 (ko) 종이를 이용한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