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6216B1 - 미생물 용액 처리기와 미생물 반응기를 이용한 유류 오염토양의 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미생물 용액 처리기와 미생물 반응기를 이용한 유류 오염토양의 정화 방법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56216B1 KR100456216B1 KR10-2002-0006231A KR20020006231A KR100456216B1 KR 100456216 B1 KR100456216 B1 KR 100456216B1 KR 20020006231 A KR20020006231 A KR 20020006231A KR 100456216 B1 KR100456216 B1 KR 1004562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minated
- soil
- oil
- reactor
- microbia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1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microbiologically, biologically or by using enzy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2101/00—In situ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류 오염 토양의 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정화 방법은 유류에 오염된 토양에 미생물 용액 처리기를 설치한 후, 유화제 분비 미생물 용액을 용액 처리기에 주입하여 토양으로부터 오염 유류를 씻어내고, 씻겨진 오염수를 토양 상부로 추출한 후, 연속적 미생물 반응기를 이용하여 상기 오염수를 처리하고, 처리된 오염수를 용액 처리기를 통해 오염 토양에 재처리함으로써, 다시 토양으로부터 오염 유류를 씻어내어 미생물 반응기를 거치게 하는 과정을 정화 완료시까지 반복하여 실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화 방법은 시공 과정이 간단하며, 다양한 종류의 유류 분해 미생물을 이용하여 토양으로부터 오염 유류를 추출하고 정화할 수 있으므로, 여러 종류의 유류에 의해 다양한 층이 복합적으로 오염되는 토양을 정화하기에 효율적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류에 오염된 토양을 정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토양에 스며든 유류는 다양한 토양층을 비롯하여 수질까지 오염시킨다. 특히 지하수 층에 스며든 유류는 지하수의 이동과 용질의 확산에 의해 하류 지하수를 오염시키며, 지하수면 아래로 계속 이동하여 지하 암반층까지 다다르게 되면 암반의 단열 등에 유입되어 지속적인 오염원으로 남게 된다. 이러한 오염의 부가적 확산이 토양 오염의 가장 큰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토양의 오염은 오염 물질의 종류, 농도, 오염의 확산 상황, 오염 토양의 물리 ·화학적 성상 및 지하수의 수리학적 특성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복합적인 오염 상황이 발생되기 때문에, 오염된 토양의 정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토양층과 광범위한 유류에 대해 종합적인 환경 정화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그간 유류로 오염된 토양 및 지하수를 정화하기 위해 바이오벤팅(bioventing), 생물학적 증가법(bioaugmentation), 토양경작법(land farming), 바이오파일(biopile), 생물학적 반응기(bioreactor), 진공 주입 자유 오염물 회수법(vacuum-enhanced free product recovery) 등 여러 가지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다.
바이오벤팅법은 오염된 토양에서 유류 분해 미생물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공기, 습기 및 영양 물질 등을 주입시키는 방법이다.
생물학적 증가법은 오염된 토양에 유류 분해 미생물이 서식하지 않을 경우, 외부에서 따로 배양한 미생물을 도입하여 미생물학적 정화가 일어나도록 하는 방법이다.
토양경작법은 오염된 토양을 굴착하여 지표면에 깔아 놓고 정기적으로 뒤집어줌으로써, 토양의 공기 접촉 면적을 넓혀 토양 내에 서식하는 유류 분해 미생물의 활성화를 촉진하는 방법이다.
바이오파일은 오염원 처리장으로 사용하는 부지 면적이 좁을 경우, 오염된 토양을 굴착하여 지상에서 야적하여 처리하는 방법으로 공기 주입 등이 가능한 토양 정화 장치를 통해 영양분과 미생물을 주입시켜 정화한다.
생물학적 반응기는 오염된 토양을 지상으로 추출한 후 정화할 때 사용되며,특히 지하수, 폐수 및 폐가스의 처리에 적합하다. 굴착된 오염 토양을 적절한 첨가제와 함께 물에 섞어 반응기에 투입하고, 교반하여 미생물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유류 분해를 촉진한다.
진공 주입 자유 오염물 회수법은 토양 중에 공기 흡입관을 연결하여 진공 상태를 만들어 줌으로써, 압력 구배에 의해 토양 중의 폐가스를 추출해내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각자의 장점을 가지고 있긴 하나, 여러 종류의 유류에 의해 복합적으로 오염되는 다양한 토양층을 정화하기에는 그 효과가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최근에는 기존의 기술들을 조합함으로써, 종합적인 환경 정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 대표적 예로 다양한 토양층의 오염 정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바이오슬러핑(bioslurping)을 들 수 있다. 바이오벤팅과 진공 주입 자유 오염물 회수법의 두 가지 기술이 조합된 이 기술은 하나의 펌프를 이용해 토양 가스와 자유 오염물 및 지하수를 동시에 추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므로, 특히 복합적으로 오염되어 이전에 처리하기 어려웠던 환경의 정화에 많이 쓰여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 또한 아직까지는 그 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하며, 많은 처리 비용과 시간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미생물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오염된 토양은 대부분 한 종류의 유류에 의해서가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유류에 의해 복합적으로 오염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유류에 대해 높은 효율을 가지고 선택적으로 분해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미생물들을 함께 조합하여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미생물 반응기를 비롯하여 기존의 기술에서는, 일반 반응기가 기본적으로 1회의 정화를 거치거나 또는 다수의 화학적 반응기를 거친 후 유류 분해 미생물을 처리하여 정화시키기 때문에 종합적인 생물학적 처리가 불가능하며, 화학 물질 사용으로 인한 2차 오염의 우려 역시 배제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토양 정화 방법에 대한 발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유류를 분해하는 동시에 유화제(biosurfactant)를 분비할 수 있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토양으로부터 오염수를 추출하고, 상기 오염수를 3단계의 미생물 반응기를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오염의 정화율 및 경제적 측면에서 효율적인 토양 정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화 방법에 사용되는 미생물 용액 처리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정화 방법에 사용되는 미생물 용액 처리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정화 방법에 사용되는 미생물 반응기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유류 오염 토양의 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정화 방법은 유류에 오염된 토양에 미생물 용액 처리기를 설치한 후, 유화제 분비 미생물 용액을 용액 처리기에 주입하여 토양으로부터 오염 유류를 씻어내고, 씻겨진 오염수를 토양 상부로 추출한 후, 연속적 미생물 반응기를 이용하여 상기 오염수를 처리하고, 처리된 오염수를 용액 처리기를 통해 오염 토양에 재처리함으로써, 다시 토양으로부터 오염 유류를 씻어내어 미생물 반응기를 거치게 하는 과정을 정화 완료시까지 반복하여 실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화 방법에서 오염 토양에 설치되는 용액 처리기의 구조와 각 부분의 역할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정화 방법에 사용되는 용액 처리기의 측면 구조 및 평면 구조는 도 1과 도 2에 각각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정화 방법의 용액 처리기는 오염 유류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벽(11)과, 유화제 분비 미생물 용액의 주입구(12)와, 미생물 용액이 확산될 수 있는 연결관(13)과, 상기 연결관으로부터 미생물 용액이 배출될 수 있게 하는 개폐 장치(14)와, 상기 연결관을 지지해주는 받침대(15)와, 씻겨진 오염수를 배출하는 통로인 추출관(16)과, 오염수에 섞인 찌꺼기를 걸러주는 필터(17)와, 지하수로로부터 오염수를 추출하도록 압력을 걸어주는 펌프(18)와, 오염수를 미생물 반응기로 보내는 배출구(19)로 구성되며, 그 설치 방법 및 정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용액 처리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우선 차단벽(11)을 설치하여 정화시킬 지역을 결정한다. 지하수로의 기울기 등 오염 지역의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하수 층 이하까지 골을 판 후, 그 골 내에 시멘트 등을 사용하여 오염 토양 주변을 둘러싸도록 차단벽을 설치함으로써 오염 유류가 더이상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차단벽 설치 후에는, 오염수를 추출하기 위해 지상에 펌프(18)를 설치하고, 추출관(16)을 오염수의 수집이 가능한 적당한 지면에 꽂아 지하수로까지 이어지도록 설치함으로써, 차후에 토양으로부터 탈착(desorption)한 오염 유류가 함유된 오염수를 지상부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정화시킬 지역을 결정한 후에는, 오염 지역 내의 수류 이동 통로를 고려하여 상기 차단벽으로 제한되는 범위 내의 지상에 연결관(13)들을 설치한다.
연결관은 토양에 처리할 유류 탈착 용액이 이동하고 확산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며, 각 연결관들은 오염 지역의 지형적 특성이나 오염 상황에 따라 그 배치 구조를 융통성있게 조정할 수 있도록, 용이하게 연결 조립하고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각 연결관에는 수시로 개폐 조절이 가능하도록 개폐 장치(14)가 설치되어 있어서, 원하는 방향으로 필요한 양만큼의 유류 탈착 용액을 토양에 뿌려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연결관의 하부에는 오염지의 지형적 특성에 따라 그 높이가 설계되는 받침대(15)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연결관들을 안정하게 지탱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주입된 용액이 외곽 부위의 연결관까지 빠른 시간 내에 골고루 확산될 수 있도록, 배치된 연결관들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연결관에 용액 주입구(12)를 설치하며, 오염 지역의 면적에 따라 용액 주입구의 갯수를 적절하게 가감한다.
본 발명의 정화 방법에서 사용하는 유류 탈착 용액은 유류를 섭취하여 유화제를 분비함으로써 유류를 분해할 수 있는 유화제 분비 미생물을 함유하는 용액이다. 유화제 분비 미생물로는, 원유, 경유, 등유, 가솔린. 케로신 또는 BTEX 화합물(benzene - toluene - ethyl benzene - xylene)에 대해 분해 능력을 지닌 미생물은 모두 사용가능하며, 토양 내에는 이미 여러 종류의 유류 분해 미생물이 함께 서식하고 있으므로 이들 미생물 중 한 종 이상을 선택하여 혼합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유를 이용하여 유화제를 생산하는 로도코쿠스 글로베룰루스 (Rhodococcus globerulus) KFCC-11171 균주(특허출원번호 2000-44628) 및 KFCC-11168 균주(특허출원번호 2000-37983)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정화 방법에서 미생물 용액을 주입할 때는, 다양한 미네랄이 함유된 용액을 함께 주입하며, 이 주입 과정을 연속적으로 시행한다. 연결관의 개폐 장치를 통해 토양으로 배출된 미생물 용액은 미네랄 용액에 의해 활성화되어, 토양에 흡착된 유류를 섭취하여 유화제를 분비함으로써 토양에 흡착된 오염 유류를 분해하는 한편, 유류를 토양으로부터 탈착한다.
이처럼 연속적으로 미생물 용액을 처리하여 토양을 씻어내림으로써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오염수 내에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 유류 분해물을 비롯하여 미처 분해되지 않고 잔존해 있는 오염 유류 및 밀도가 증가한 유화제 분비 미생물이 함유되어 있다. 이 오염수는 지하로 내려가 지하수로로 흐르게 되는데, 이때 오염수의 수집이 가능한 하부 지역에는 추출관(16)이 설치되어 있어, 진공 압력에 의해 오염수를 추출할 수 있다. 추출 과정 중 오염수에 섞여있는 돌이나 토양 등의 큰 찌꺼기 덩어리들은 필터(17)를 거치면서 걸러지게 되며, 지하수로의 오염수는 펌프(18)에 의해 계속적으로 추출된다. 추출관의 끝에는 지상의 미생물 반응기와 연결된 배출구(19)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추출된 오염수는 곧바로 미생물 반응기로 보내져 이후의 정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본 발명의 정화 방법에서 오염수의 정화에 사용되는 미생물 반응기를,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정화 방법의 미생물 반응기는 총 3대로, 반응기 사이에 설치된 흡입 펌프(22, 24)에 의해 다음 단계의 반응기로 정화된 오염수를 보내도록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반응기는 미생물제제 주입구(211, 231, 251)가 설치된 덮개부(212, 232, 252)와, 임펠러(213, 233, 253) 및 배출구(214, 234, 254)가 설치된 몸통부(215, 235, 255)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생물 용액 처리기에 의해 지하로부터 추출된 오염수는 배출구(19)를 통해서 1차 반응기(21)로 보내져 정화된 후, 2차 펌프(22)에 의해 2차 반응기(23)로 보내져 정화되며, 3차 펌프(24)에 의해 3차 반응기(25)로 보내진다.
본 발명의 정화 방법에서 사용하는 미생물 반응기는 각 단계마다 잔존 유류별로 특이한 미생물 컨소시움(consortium)을 형성하여 정화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한대의 반응기에 여러 균주를 함께 사용하지 않고 반응기 별로 각각 다른 미생물 컨소시움을 형성함으로써, 각각 다른 미생물의 유류 분해 활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만들 수 있다.
따라서, 1차 반응기에는 용액 처리기의 배출기로부터 추출된 오염수 내의 잔존 유류를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을 투여하며, 2차 반응기에는 1차 반응기에서 분해되지 않은 잔존 유류를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을 투여하고, 3차 반응기에는 2차 반응기에서 분해되지 않은 잔존 유류를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을 투여한다.
예를 들어 토양으로부터 오염수를 추출할 때는 주로 등유와 경유를 분해할 수 있는 균주를 사용하였다면, 1차 반응기에서는 BTEX 화합물을 분해할 수 있는 균주를, 2차 반응기에서는 원유를 분해할 수 있는 균주를, 3차 반응기에서는 가솔린을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을 사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거의 모든 종류의 유류를 각 단계마다 가장 큰 활성을 지닌 균주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화 방법에서, 미생물 반응기에 사용가능한 미생물은 원유, 경유, 등유, 가솔린. 케로신 또는 BTEX 화합물에 대해 분해 능력을 지닌 세균이나 효모는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BTEX분해 균주인 슈도모나스 푸티다(Pseudomonas putida) SEoX-1(기탁번호, 특허출원번호 2001-49220), 등유 분해 복합 균주 HPLK(기탁번호 KCTC 0626BP, 특허출원번호 1999-25349), 원유 분해 균주 슈도모나스 HPLC-1(특허출원번호 1999-67864), 경유 분해 복합 균주 HPLD(기탁번호: KCTC 0625BP) 및 생물계면활성제 생산 균주인 슈도모나스 푸티다 HPLJS-1(기탁번호 KCTC 0666BP) 등을 사용한다.
각 반응기로 보내진 오염수는 임펠러(213, 233, 253)에 의해 미생물 제제와 골고루 혼합되며, 정화 과정 중 오염수에 섞인 토양 등의 이물질은 배출구(214, 234, 254)를 통해 제거된다.
이와 같이 3차에 걸쳐 정화된 오염수는 필터(26)와 펌프(27)를 거쳐, 용액 처리기의 주입구(12)로 다시 보내진다. 정화된 오염수 내에는 활성화된 유류 분해 미생물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재활용하여 오염지를 다시 정화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완전히 정화가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는 수준 이하로 토양의 오염도가 낮아질 때까지, 토양으로부터 유류를 추출하여 반응기로 정화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본 발명의 정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오염 토양 지역은, 비교적 고농도의 디젤, 가솔린, 원유, 케로센 및 BTEX 화합물 등의 유류로 오염된 토양까지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정화 방법에서는 토양에 용액 처리기를 설치할 때, 많은 굴착이나 시공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정화에 필요한 노력 및 시간을 절약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화 방법에서는 토양으로부터 유류를 분해하고 탈착시킬 때, 미생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유류의 분해가 일어나는 동시에 미생물의 증식이 함께 유발되어 계속적으로 정화 효율이 증폭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일단 처리된 후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화 효과가 감소하는 화학적 유화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훨씬 효과적인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화학적 용매 자체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화 방법에서는 토양으로부터 추출한 오염수를 정화할 때, 전단계에서 미처 정화되지 않고 남아 있는 잔존 유류를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 컨소시움으로 구성된 연속적 단계의 반응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각 종류의 유류에 대해 그 분해 효율은 극대화하면서도 광범위한 유류를 모두 종합적으로 분해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유류에 의해 오염되기 쉬운 토양의 정화에 매우 효율적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정화 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정화 방법을 이용한 유류에 오염된 토양의 정화
본 발명의 정화 방법을 이용하여 유류에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기 위해, 우선 대상 지역에 대한 오염도를 측정하였다.
대상 지역의 다양한 장소에서 토양시공공을 이용하여 오염된 토양을 깊이별 그리고 단위 면적 별로 굴착하였다. 굴착된 토양을 깊이별로 나누어 오염도를 측정하여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이하 GC라고 한다)로 분석하였으며, 유류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방법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지방족 탄화수소인 가솔린, 디젤, 원유 및 케로센 등은 헥산(hexan)으로 잔존 유류를 추출하여 GC(HP 6890, GC-FID)로 분석하였다. 한편 방향족 탄화수소인 BTEX 화합물은 HP-5 (60mx0.32mmx1.0um, 5% HP ME silicone) 미세관 칼럼을 사용하고, 0 ℃에서 2분간 정체시켰다. 검출기의 내부 온도는 150 ℃로 조절하였으며, 운반 가스로 헬륨을, 보조 가스로 혼합 가스와 수소를 함께 사용하였다.
대상 지역 토양의 오염도를 파악한 후, 오염지 지하수의 위치와 흐름을 파악하여 그 오염지의 외곽 둘레로 토양을 굴착하였다. 굴착된 골에 약 20 ∼ 30 ㎝의 두께가 되도록 시멘트, 모래 및 자갈을 섞어 차단벽을 쌓는 공사를 실시하였다. 이렇게 하여 오염지의 물이 비오염지로 더이상 확산되는 것을 막은 후, 지하수의 흐름에 따라 오염수의 수집이 가능한 위치에 추출관을 설치하였다.
차단벽으로 제한한 지역 내에 연결관들과 받침대들을 설치하고, 그 중앙부에 용액 주입구를 설치하였다.
미생물 용액으로는 로도코쿠스 글로베룰루스 KFCC-11171 균주(특허출원번호2000-44628) 및 KFCC-11168 균주(특허출원번호 2000-37983)의 배양액을 토양 1 g 당 세균 105∼ 107마리의 농도가 되도록 준비하여, 미네랄 함유 용액과 함께 용액 주입구에 연속으로 주입하였다.
용액 처리에 의해 탈착된 유류를 함유하는 오염수가 토양 하부로 침투할 만큼 시간이 경과한 후, 추출관을 통해 상기 오염수를 끌어올려 지상부로 추출하였다. 추출관 말단의 배출구는 1차 반응기에 연결되어, 차례로 세 단계의 반응기를 거치면서 정화되었다.
1차 반응기에는 HPLD 균주(특허등록번호 3011-26) 및 KFCC-11171 균주(특허출원번호 2000-44628)를, 2차 반응기에는 HPLK 균주(기탁번호: KCTC 0626BP, 특허출원번호 2000-25349) 및 KFCC-11168 균주(특허출원번호 2000-37983)를, 3차 반응기에는 슈도모나스 HPLC-1 균주(특허출원번호 1999-67864)를 투입하여 각 반응기마다 해당 미생물의 컨소시움이 구성되도록 하고, 오염수가 각 반응기를 거칠 때마다 임펠러를 가동시켜 미생물 용액과 잘 혼합되도록 하였다.
3차 반응기까지 거쳐 8일간 정화된 오염수를 다시 연결관 중앙의 용액 주입구에 투입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하였으며, 이 과정을 3회 반복한 후 각 유류의 분해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등유 | 경유 | 원유 | |
유류 분해율(%) | 92 | 94 | 68 |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화 방법을 반복하여 사용한 결과, 각각의 유류는 효율적으로 분해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화 방법은 여러 종류의 유류에 의해 다양한 층이 복합적으로 오염되는 토양을 효율적으로 정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정화 방법은 간단한 시공을 통해 토양에 용액 처리기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 측면에서 매우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정화 방법에서는 유류 섭취 후 유화제를 생산하는 미생물 용액을 토양에 처리하기 때문에, 토양으로부터 오염수를 추출할 때 미생물의 증식을 통한 정화 증폭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화 방법에서는 전단계에서 넘어온 미분해 유류를 3단계에 걸쳐 순차적으로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 반응기로 오염수를 처리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유류 각각에 대해 그 분해 효율은 최대화하면서도, 종합적인 유류 분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화 방법은 광범위한 유류에 의해 다양한 층이 오염되기 마련인 토양의 정화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
- 오염 유류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벽, 유화제 분비 미생물 용액의 주입구, 미생물 용액이 확산될 수 있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으로부터 미생물 용액이 배출될 수 있게 하는 개폐 장치, 상기 연결관을 지지해주는 받침대, 씻겨진 오염수를 배출하는 통로인 추출관, 오염수에 섞인 찌꺼기를 걸러주는 필터, 지하수로부터 오염수를 추출하도록 압력을 걸어주는 펌프 및 오염수를 미생물 반응기로 보내는 배출구로 구성되는 미생물 용액 처리기를 유류에 오염된 토양에 설치한 후, 유화제 분비 미생물 용액을 용액 처리기에 주입하여 토양으로부터 오염 유류를 씻어내고, 씻겨진 오염수를 토양 상부로 추출한 후, 연속적 미생물 반응기를 이용하여 상기 오염수를 처리하고, 처리된 오염수를 용액 처리기를 통해 오염 토양에 재처리함으로써, 다시 토양으로부터 오염 유류를 씻어내어 미생물 반응기를 거치게 하는 과정을 정화 완료시까지 반복하여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오염 토양의 정화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 미생물 반응기는 용액 처리기의 배출기로부터 추출된 오염수 내의 잔존 유류를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을 투여한 1차 반응기, 1차 반응기에서 분해되지 않은 잔존 유류를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을 투여한 2차 반응기 및 2차 반응기에서 분해되지 않은 잔존 유류를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을 투여한 3차 반응기의 3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오염 토양의 정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06231A KR100456216B1 (ko) | 2002-02-04 | 2002-02-04 | 미생물 용액 처리기와 미생물 반응기를 이용한 유류 오염토양의 정화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06231A KR100456216B1 (ko) | 2002-02-04 | 2002-02-04 | 미생물 용액 처리기와 미생물 반응기를 이용한 유류 오염토양의 정화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66072A KR20030066072A (ko) | 2003-08-09 |
KR100456216B1 true KR100456216B1 (ko) | 2004-11-06 |
Family
ID=32220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06231A KR100456216B1 (ko) | 2002-02-04 | 2002-02-04 | 미생물 용액 처리기와 미생물 반응기를 이용한 유류 오염토양의 정화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56216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86140A (en) * | 1992-12-17 | 1994-02-15 | Petro Environmental Technologies, Inc. | Bioremediation systems and methods |
JPH06193040A (ja) * | 1992-12-28 | 1994-07-12 | Kajima Corp | 汚染土の清浄化法 |
US5618727A (en) * | 1995-03-06 | 1997-04-08 |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Corporation | Bioremediation process design utilizing in situ soil washing |
KR19990042705A (ko) * | 1997-11-27 | 1999-06-15 | 노경섭 | 오염토양 복원용 계면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오염토양복원방법 |
KR20010016336A (ko) * | 2000-12-04 | 2001-03-05 | 이종래 | 토양오염 정화시스템 |
-
2002
- 2002-02-04 KR KR10-2002-0006231A patent/KR10045621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86140A (en) * | 1992-12-17 | 1994-02-15 | Petro Environmental Technologies, Inc. | Bioremediation systems and methods |
JPH06193040A (ja) * | 1992-12-28 | 1994-07-12 | Kajima Corp | 汚染土の清浄化法 |
US5618727A (en) * | 1995-03-06 | 1997-04-08 |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Corporation | Bioremediation process design utilizing in situ soil washing |
KR19990042705A (ko) * | 1997-11-27 | 1999-06-15 | 노경섭 | 오염토양 복원용 계면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오염토양복원방법 |
KR20010016336A (ko) * | 2000-12-04 | 2001-03-05 | 이종래 | 토양오염 정화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66072A (ko) | 2003-08-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086182B2 (ja) | 土壌浄化方法 | |
JP3728510B2 (ja) | 土壌汚染対策方法および土壌汚染対策システム | |
KR100798763B1 (ko) | 유류오염 토양정화를 위한 지중 열탈착 방법과 장치 | |
KR20030087915A (ko) | 오염된 토양층의 정화 방법 및 장치 | |
CN107838181A (zh) | 一种原位生物强化气体抽提修复石油污染场地的方法 | |
KR101691424B1 (ko) | 유류오염 지하수의 물리적 및 생물학적 복합정화시스템 | |
JPH0796289A (ja) | 土壌汚染による汚染地下水の浄化装置および浄化方法 | |
CN213763431U (zh) | 一种污染土壤原位好氧生物修复系统 | |
JP3565476B2 (ja) | 汚染地下水及び/又は汚染地層の浄化方法及びその装置 | |
US6776910B2 (en) | In situ method and apparatus for biodegradation of alkyl ethers and tertiary butyl alcohol | |
Ward et al. | In situ technologies | |
KR100456216B1 (ko) | 미생물 용액 처리기와 미생물 반응기를 이용한 유류 오염토양의 정화 방법 | |
CN218403863U (zh) | 一种基于水力控制条件下的地下水综合修复系统 | |
KR101443883B1 (ko) | 오일샌드 지역의 유류오염토양 정화방법 | |
KR100472619B1 (ko) | 고효율 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유류오염 토양복원용유니트형 반응조 | |
JPH11333493A (ja) | 汚染地下水浄化方法及び装置 | |
JP3930785B2 (ja) | 汚染地層浄化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汚染地層浄化システム | |
JP3458688B2 (ja) | 地下水汚染の修復方法及びその装置 | |
JP2011000567A (ja) | 土壌・地下水汚染物質の分解浄化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 |
KR100552349B1 (ko) | 유류오염 토양 복원용 조립식 바이오 파일 | |
JP2009154057A (ja) | 油汚染土壌及び地下水の浄化方法 | |
JP2006007182A (ja) | 前培養を伴う原位置バイオレメディエーション工法、及びそのシステム | |
JPH11216457A (ja) | 汚染土の浄化方法 | |
Piotrowski | Bioremediation: Testing the waters | |
Miller et al. | Full‐scale in‐situ biobarrier demonstration for containment and treatment of MTB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907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