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4951B1 - 차량용 항법장치에서의 경로 안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항법장치에서의 경로 안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4951B1
KR100454951B1 KR10-2002-0014428A KR20020014428A KR100454951B1 KR 100454951 B1 KR100454951 B1 KR 100454951B1 KR 20020014428 A KR20020014428 A KR 20020014428A KR 100454951 B1 KR100454951 B1 KR 100454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tersection
driving
route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4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4683A (ko
Inventor
이은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0/135,037 priority Critical patent/US6760662B2/en
Priority to CNB021218498A priority patent/CN1260549C/zh
Publication of KR20020084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4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49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1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 G01C21/12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 G01C21/1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by integrating acceleration or speed, i.e. inertial navig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 G01S19/48Determining position by combining or switching between position solutions derived fro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and position solutions derived from a further system
    • G01S19/49Determining position by combining or switching between position solutions derived fro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and position solutions derived from a further system whereby the further system is an inertial position system, e.g. loosely-coup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용 항법장치에서의 경로 안내 방법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교통정보센터로부터 제공되는 가공된 유도데이터에 의거하여 미리 설정된 교차로 범위내에서 차량이 정상적인 주행을 하고 있는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설정된 교차로 범위내에서 차량이 정상적인 주행을 하고 있으면 미리 설정된 프리런 조건들에 의거하여 운전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는 사전 경로 안내 메시지를 제공치 않도록 하는 프리런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런 상태 여부에 따라 상기 주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사전 경로 안내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차량용 항법장치에서의 경로 안내 방법{ROUTE GUIDE METHOD IN CAR NAVIGATION SYSTEM}
본 발명은 항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용 항법장치에서의 경로 안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인공위성을 이용한 항법 장치는 항공기나 선박 등에 이용되던 방법이었으나, 근래에 들어 차량용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인공위성을 이용하는 차량용 항법 장치를 차량에 장착하여 사용하면서, 차량의 위치 등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많은 기술의 발전이 있었다. 그런데 차량용 항법장치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차량의 위치 등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하며, 차량에 부착된 장치에서 지도 데이터를 읽어와 지도를 표시하며, 상기 표시된 지도에 최단 경로에 따른 차량 이동 경로 안내를 사용자에게 가시적 및 가청적으로 제공한다. 경로안내 기능은 차량용 항법장치의 기본이 되는 기능으로서 차량 목적지까지 경로계산이 끝난 후 사용자가 주행을 시작하고 교차로가 나타나면 교차로 안내를 해주게 된다. 교차로 안내는 안내사양상의 지점(예컨대, 교차로 지점 전방 300m 또는 전방 100m등)에 차량이 도달시 음성과 교차로 관련 화면 표시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앞으로 나타날 교차로 지점에서 진행해야할 회전방향을 미리 인지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차량용 항법장치에서는 교차로 회전 중에 그 다음 교차로(또는 회전방향)의 안내가 제공되거나 주어진 경로가 아닌 다른 도로로 주행하는 상황(경로이탈)에서도 예정된 교차로 안내가 사용자에게 그대로 제공됨으로써 사용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항법장치에서의 개선된 경로 안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속 교차로 시 및 이동체가 설정된 경로 이탈시에도 다음 교차로 안내가 나옴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사용자에 혼란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차량용 항법장치에서의 경로 안내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교통정보센터로부터 제공되는 가공된 유도데이터에 의거하여 미리 설정된 교차로 범위내에서 차량이 정상적인 주행을 하고 있는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설정된 교차로 범위내에서 차량이 정상적인 주행을 하고 있으면 미리 설정된 프리런 조건들에 의거하여 운전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는 사전 경로 안내 메시지를 제공치 않도록 하는 프리런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런 상태 여부에 따라 상기 주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사전 경로 안내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프리런 조건들은, 주행 차량 방향과 계산 주행 경로간의 일치여부, 교차로에서의 주행 차량 도로와 타 도로간의 각도 차이, 교차로로부터의 진행거리, 현재 교차로에서부터 다음 교차로까지의 거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적용된 네비게이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안내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리 런(free run)상태 결정을 설명하기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항법장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항법장치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항법장치의 일 예는 발명자 박상호에 의해서 발명되고 본원 출원인에게 양도되어 2000년 8월 18일자로 특허 출원된 출원번호 제2000-47955호에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에 의한 경로 안내방법"이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제2000-47955호에는 휴대용 단말기와 교통정보센터가 포함된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출원번호 제2000-47955호에 개시된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200)와, 이동 통신망과 교통정보 센터(300)로 이루어진다.
교통정보 센터(center)(300)는 컴퓨터(310)와, 교통정보 서버(320)와, 경로계산 서버(330)와, 네트워크 서버(340)와, 지도데이터 저장부(312)와, 실시간 교통정보 저장부(322)로 이루어진다. 컴퓨터(310)는 사전에 조사된 도로 및 교통 규제 상황(예: 전국 도로, 교통 규제 내용)에 따른 지도 데이터(map data)를 제작한다. 컴퓨터(310)에 의해 제작된 지도데이터는 지도데이터 저장부(312)에 저장된다. 교통정보 서버(320)는 각종 교통정보 취득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교통정보를 입력하여 실시간 교통정보로서 실시간 교통정보 저장부(322)에 저장한다. 경로계산 서버(330)는 네트워크 서버(340)로부터의 데이터 요청시 지도데이터 저장부(312) 및 실시간 교통정보(322)에 각각 저장된 지도데이터 및 실시간 교통정보를 참조하여 이동체가 주행할 현재 위치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계산하고, 계산 결과에 따른 최적 경로를 유도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한다. 네트워크 서버(340)는 이동 통신망과의 접속을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도 1의 교통정보 센터(300)는 지도데이터 및 실시간 교통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200)가 탑재된 이동체가 주행할 현재 위치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적의 경로를 유도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지도데이터 및 실시간 교통정보를 참조하여 생성하여 이동 통신망으로 전송한다.
이동 통신망은 휴대용 단말기(200)가 접속하여 이동체의 현재 위치 및 목적지 위치 정보를 전송할 시 교통정보 센터(300)로 상기 전송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이동 통신망은 교통정보 센터(300)로부터 제공되는 최적 경로 유도를 위한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200)가 다운로드 요청할 시 제공한다. 이러한 이동 통신망은 휴대용 단말기(200)를 무선 접속하고 무선 접속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의 디지털 셀룰라 시스템,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시스템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통신망으로 최근에 많은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GPS 안테나(202)와, GPS 엔진(204)과, 램(RAM)(206)과, 롬(ROM)(208)과,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210)와, 음성처리기(211)와, 자이로 센서(gyro sensor)(212)와, 속도 센서(speed sensor)(214)와, 마이크(MIC: Microphone)(216)와, 스피커(Speaker)(218)와, 표시부(220), 및 기존 통신 단말기 블록(230)으로 이루어진다. 휴대용 단말기(200)의 구성 요소들중 네비게이션 기능을 위해 구비된 GPS 안테나(202), GPS 엔진(204), 자이로 센서(212) 및 가속도 센서(214)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램(206)에는 교통정보 센터(3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다운 로드되어 저장될 수 있고, 롬(208)에는 교차로 이미지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음성 처리기(211)는 음성 IC(Integrated Circuit)을 포함하고, 경로 안내에 관련된 음성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220)는 액정표시기(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동체의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정보를 가시적으로 표시한다. 스피커(218)를 통해서는 이동체의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가청적 음성 정보가 송출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20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교통정보 센터(300)에 의해 생성된 경로 유도 정보를 다운로드받아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는 사용자에게 휴대용 단말기(200)의 표시부(220)를 통해 가시적으로 제공되거나 또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스피커(218)를 통해 가청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가시 및 가청적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는 교차로 명칭, 교차로에서 차량이 진행할 방향을 포함하는 교차로 정보로서 표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차량용 항법장치에서의 경로 안내를 개선하기 위해서 주행 차량의 경로 진행상태를 체크하고, 주행 차량이 경로 정상주행중이라도 미리 설정된 교차로 범위 내에 있으면 본 발명의 따라 설정한 몇 가지 조건을 의거하여 프리런(free run)상태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의거하여 사전 경로안내 메시지를 운전자에게 선택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부적절한 사전 경로 안내 메시지 제공에 따른 운전자의 혼란을 미연에 방지한다. 상기 "프리런 상태"는 주행 차량이 정상 주행중이라고 차량항법장치가 판단하지만 실제로는 주행 차량이 계산 주행 경로를 이탈한 상태를 말한다. 즉, 차량용 항법장치 측에서 주행 차량의 경로 이탈 여부 판단이 모호한 상태를 말한다. 이때에는 운전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는 사전 경로 안내 메시지가 사용자에게 제공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프리런 상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주행 차량이 정상 주행중이고 미리 설정된 교차로 범위내에 있는지를 미리 체크하지만, 그중 미리 설정된 교차로 범위내에 있는지를 체크하는 것은 본 발명의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다. 즉 주행 차량이 정상주행중이면 바로 프리런 상태 여부를 체크해도 된다. 이럴 경우에는 시스템의 부하가 가중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시스템의 성능이 개선이 되면 해결될 수 있는 사항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안내 제어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리 런(free run)상태 결정을 설명하기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로 안내 제어를 위해서, 도 1의 교통정보센터(300)는 차량에 탑재된 휴대용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위치데이터(현재위치, 목적지 위치)로 현재의 도로를 판단하여 주행 경로를 계산한 후 휴대용 단말기(200)가 운전자에게 경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가공된 유도 데이터(경로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특히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상기 교통정보센터(300)는 프리런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서 목적지까지의 선형 정보 및 교차로 관련 정보(인접도로의 방향정보 등 포함)를 적어도 가지고 있어야 한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교통정보센터(300)로부터 수신한 가공 유도 데이터(경로 정보)를 기준으로, 목적지까지의 사전 경로 안내 메시지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며 자이로 센서(212), 속도센서(214), GPS안테나(202)를 이용하여 주행 차량의 미리 설정된 계산주행경로 이탈여부를 판단하며 이탈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 재탐색을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은 도로에서, 참조번호 20으로 표시한 도로는 차량이 목적지까지 가도록 미리 설정된 주행 경로로서 교통정보센터(300)에 의해서 계산된 경로(이하 "계산 주행 경로"라 칭함)이고, 참조번호 10으로 표시한 도로는 차량이 계산 주행 경로(20)를 이탈해서 실제로 주행한 경로(이하 "실제 주행 경로"라 칭함)이다. 도 3에서 화살표 표시는 차량이 실제 주행한 경로를 표시한 것이다.
주행 차량은 교통정보센터(300)에 의해 제공된 계산 주행 경로(20)로 가기 위해서 교차점 C에서 ③번 지점으로 가야하는데 만약 차량이 교차점 C에서 실제 주행 경로(10)의 ①번 지점으로 잘못 들어섰다 하더라도 휴대용 단말기(200)는 자이로 센서(212), 속도센서(214) 및 GPS 안테나(202)를 이용해도 주행 차량이 원래 가야할 계산주행 경로(20)의 ③번 지점과 방향이나 위치 면에서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경로 이탈로 판단하지 않는다. 즉 휴대용 단말기(200)는 현재 차량이 ①번 지점에 있는지 ③번 지점에 있는지 정확하게 구분 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 구간에서는 휴대용 단말기(200)는 정상주행이라 판단하며 그에 따른 사전 경로 안내방송을 하게 되므로, 자칫 잘못된 사전 경로 안내를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그래서 운전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실제 주행 경로(10)의 ①번 지점에서는 휴대용 단말기(200)가 정상적으로 다음 교차로 안내를 하게 된다. 예컨대, "잠시 후 오른쪽 방향입니다"라는 사전 안내 메시지를 스피커(218)를 통해 가청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표시부(220)를 통해 가시적으로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하지만 차량이 교차점 C에서 실제 주행 경로(10)의 ①번 지점으로 잘못 들어섰는데도 휴대용 단말기(200)는 ①번 지점 부근에서 잘못된 안내 메시지로 그 다음 교차로 안내를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예컨대, 휴대용 단말기(200)는 실제주행경로(10)의 ①번 지점 부근에서 계산 주행경로(20)의 ③번 지점 부근에서 제공되어야할 "200m앞 죄회전입니다"라는 가청적 안내 메시지 및 그에 대응하는 가시적 안내메시지를 운전자에게 제공하게 되고, 운전자는 운전에 혼란을 겪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운전자가 이러한 혼란을 겪지 않도록 하기 위해, 미리 설정한 교차로 범위 내에서는 차량이 정상적으로 주행하고 있다고 판단되더라도 도 2의 112단계에 기재한 프리런(free run) 조건을 만족하는가를 판단한다. 그래서 만약 프리런 조건을 만족하게 되면 실제로는 경로 이탈한 상황인 것으로 결정(상기 결정에 앞서 센서의 이상 유무도 체크하는 것도 바람직함)하고 휴대용 단말기(200)는 운전자가 혼란을 겪지 않게끔 다음 교차로 안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지 않는다. 즉 차량은 "프리런" 상태로 주행을 하게 된다. 그 후 차량이 ①번 지점을 지나쳐 가다가 ② 지점에 들어서면 계산주행경로(20)와 확실히 다른 경로에 차량이 있음을 휴대용 단말기(200)가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휴대용 단말기(200)는 차량이 경로 이탈한 것으로 결정하게 된다. 그러면 휴대용 단말기(200)는 교통정보센터(300)와 재접속하여 새로운 계산 주행 경로를 받아 다시 경로안내를 한다. 만약 차량이 ④번 지점과 같이 계산 주행 경로(20)와는 확실히 다른 경로라고 판단할 수 있는 경로로 실제 주행하게 된다면 휴대용 단말기(2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리런 상태로 들어서지 않고 바로 경로 이탈로 판단한다.
도 3과 함께 전술한 바와 같은 각종 상황을 도 2의 제어 흐름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는 100단계에서 일정 거리를 이동할 때마다 주행차량의 위치데이터를 계산하고, 102단계로 진행하여 주행 차량의 위치데이터와 정보센터(300)로부터 수신한 가공 유도 데이터(경로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 차량의 경로 진행상태를 체크한다. 그 후 휴대용 단말기(200)는 도 3의 104단계에서 교통정보센터(300)에서 제공한 교차로 관련정보를 이용하여 주행 차량이 미리 설정한 교차로 범위내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미리 설정한 교차로 범위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고속도로/고속화도로와 일반도로로 구분되며, 고속 도로/고속화도로에서는 교차점을 중심으로 예컨대 반경 500m 정도가 바람직하며, 일반도로에서는 교차점을 중심으로 예컨대 반경 300m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미리 설정한 교차로 범위는 상기한 거리에 특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나라 및 도로 상황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미리 설정한 반경은 300m 내지 500m 범위내에서 결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3의 일 예에서, "C"가 교차점이 된다. 도 3에서 미리 설정한 교차로 범위는 교차점 C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한 반경(예컨대, 300m 또는 500m)이 된다. 그리고 상기 미리 설정된 교차로 범위내에 있는지를 체크하는 것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시스템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바람직한 방법중 하나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2의 104단계의 판단단계 없이 도 2의 102단계에서 바로 도 2의 106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즉 주행 차량이 정상주행중이면 바로 프리런 상태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이럴 경우에는 시스템의 부하가 가중되는 것이 사실이지만 시스템의 성능이 개선이 되면 해결될 수 있는 사항이다.
도 2의 104단계의 판단에서 주행 차량이 미리 설정한 교차로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108단계에서 경로 이탈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주행 차량이 도 3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②번 지점(미리 설정한 교차로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가정한 것임)과 같이 계산된 주행 경로(20)와는 확실히 다른 경로로 실제 주행하게 되면 휴대용 단말기(200)는 주행 차량이 경로 이탈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경로이탈 결정은 실제로 경로 이탈 판단 여부를 미리 설정된 회수 N번 반복한 후에 이루어진다. 주행차량이 계산 주행 경로(20)를 이탈하게 되면 휴대용 단말기(200)는 도 2의 110단계로 진행하여 교통 정보센터(300)와 재접속하여 새로운 경로를 다운로드 받아 운전자에게 사전 경로안내를 하게 한다.
도 2의 104단계의 판단에서 주행 차량이 미리 설정한 교차로 범위 내에 있으면 휴대용 단말기(200)는 자이로 센서(212), 가속도 센서(accelerator sensor)(214), GPS 안테나(202)를 통해서 수신되는 정보 및 교통정보 센터(300)로부터 수신한 경로 유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행 차량이 정상주행중인지 아니면 경로 이탈인지를 도 2의 106단계 또는 108단계에서 판단한다. 만약 주행 차량이 도 3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④번 지점(미리 설정한 교차로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가정한 것임)과 같이 계산된 주행 경로(20)와는 확실히 다른 경로로 실제 주행하게 되면 휴대용 단말기(200)는 주행 차량이 경로 이탈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경로이탈 결정은 실제로 경로 이탈 판단 여부를 미리 설정된 회수 N번 반복한 후에 이루어진다. 주행차량이 계산 주행 경로(20)를 이탈하게 되면 휴대용 단말기(200)는 도 2의 110단계로 진행하여 교통 정보센터(300)와 재접속하여 새로운 경로를 다운로드 받아 운전자에게 사전 경로안내를 하게 한다.
만약 주행 차량이 미리 설정한 교차로 범위에 들어가서 경로 정상 주행중에 있다고 휴대용 단말기(200)가 판단하면, 휴대용 단말기(200)는 실제로 차량이 경로를 정상 주행중인지 아니면 실제로는 경로를 이탈했는데 휴대용 단말기(200)가 경로 이탈로 인식을 하지 못했는지를 정밀 체크하기 위해 도 2의 112단계로 진행한다. 도 2의 112단계에서 휴대용 단말기(200)는 프리런 상태 여부를 체크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프리런 상태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미리 설정해 놓은 조건들은 하기와 같다. 하기 조건 중에서 (1)과 (3)은 차랑이 실제 주행하는 경로와 계산 주행경로 간에 관련된 조건들이고, (2)와 (4)는 차량 주행 경로와는 상관없으며 교차로 형태 및 지형에 관련된 조건들이다.
(1) 주행 차량 방향과 계산 주행 경로간의 일치여부,
(2) 교차로에서의 주행 차량 도로와 타 도로간의 각도 차이,
(3) 교차로로부터의 진행거리,
(4) 현재 교차로에서부터 다음 교차로까지의 거리.
상기의 조건들은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 예에 따른 조건들이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또는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한다.그 후 휴대용 단말기(200)는 도 2의 114단계에서 상기와 같이 미리 설정된 조건들에 의거하여 프리런 상태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한 조건들을 만족하여 프리런 상태가 되면 휴대용 단말기(200)는 도 2의 116단계로 진행하여 운전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는 경로 사전 안내방송을 일시 중단한다. 예컨대, 교차로 범위내에 있는 차량이 ①번 또는 ③번 지점은 미리 설정한 교차로 범위내에 속하므로 프리런 상태를 체크하는 경우가 되는 것이다. 그중 ①번 지점쪽의 경로는 프리런 상태가 되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가 되고 ③번 지점의 경로는 프리런 상태가 되는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가 될 것이다.
상기 조건들을 만족함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200)가 프리런 상태로 결정하면, 상기 프리런 상태는 예컨대, 도 3의 일 예에서 실제주행경로(10)상에서 프리런 상태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지점까지의 기간동안 계속 유지된다. 프리런 상태 기간동안에는 사전 경로 안내 메시지가 사용자에게 제공되지 않으므로 부적절한 사전경로 안내 메시지 제공에 따른 사용자의 혼란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프리런 상태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미리 설정해 놓은 조건들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조건 (1) 및 (2)의 판단은 교통정보센서(300)에서 제공되는 목적지까지의 선형 정보 및 교차로 관련 정보(인접도로의 방향정보 등 포함)를 이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조건 (1): 휴대용 단말기(200)의 자이로 센서(212)에 의해서 주행 차량 방향과 계산주행경로(20)의 방향간의 일치 여부는 판단될 수 있고, 주행 차량 방향과 계산 주행경로간은 일치되지 않아야 프리런 상태 조건중 하나를 만족하게 된다. 주행 차량 방향과 계산 주행경로간의 각도가 30°가 넘어가면 온전한 경로 이탈을 판단할 수 있는 범위가 되므로, 프리런 상태의 조건이 될려면 상기 각도가 10°내지 30°정도가 바람직하다.
조건 (2): 조건(2)는 교차로에서 차량 이탈 도로방향과 계산주행경로의 도로 방향간의 각도 차이, 교차로에서 차량 이탈도로 방향과 계산주행경로의 도로의 가장 인접한 도로 방향간의 각도 차이로 세분된다. 조건(2)에서는 양자 모두가 각도 차이 약 30°이내를 만족해야 프리런 상태중 하나의 조건을 만족한다.
조건(3): 교차로로부터 차량이 진행한 거리는 도로의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로의 유형은 고속도로/고속화도로, 일반도로로 구분될 수 있다. 고속도로/고속화도로일 경우에는 교차로로부터의 진행거리가 20m 내지 30m 이상이 되어야 조건(3)을 만족하게 되며, 일반도로일 경우에는 교차로로부터의 진행거리가 5m 내지10m 이상이 되어야 조건(3)을 만족하게 된다.
조건(4): 현재 교차로에서부터 다음 교차로까지의 거리는 300m이내가 되어야 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m이내이다. 상기 조건(4)도 조건(3)과 마찬가지로 도로의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고속도로/고속화도로일 경우에는 대체로 다음 교차로(또는 출구 등)까지의 거리가 멀고, 일반도로의 경우처럼 회전이 끝난 후 즉시 다음 교차로에 대한 안내 메시지가 제공될 경우가 적으므로 일반도로일 때와는 다르게 상대적으로 긴 프리런 상태 기간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도로일 경우에는 현재 교차로에서부터 다음 교차로까지의 거리가 100m 이내가 바람직하며, 고속도로/고속화도로일 경우에는 현재 교차로에서부터 다음 교차로까지의 거리가 100m 내지 300m 사이가 바람직하다.
상기한 조건(1) 내지 조건(4)을 모두 만족하여야만 휴대용 단말기(200)는 프리런 상태로 결정을 하게 된다. 프리 런 상태로 결정되는 일 예를 들면, 주행 차량 방향과 계산 주행경로가 20°정도 차이나게 일치하지 않고, 교차로에서의 주행 차량 도로와 타 도로간의 각도 차이가 30°이하이고, 교차로로부터 차량이 진행한 거리가 일반도로에서 7m 이상이 되고, 현재 교차로에서부터 다음 교차로까지의 거리가 약 100m 이내이면 휴대용 단말기(200)는 프리런 상태로 결정하게 된다.
상기한 조건(1) 내지 조건(4)를 만족하게 되면 휴대용 단말기(200)는 프리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후에 차량이 실제 주행 경로(10)를 계속 주행을 하게 되면, 조건(2) 내지 조건(4)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면 휴대용 단말기(200)는 도 2의 114단계의 판단에서 더 이상 프리런 상태가 아닌 것으로 인식하고 118단계로 진행하여 안내사양에 따른 교차로 안내를 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항법장치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용 항법장치에서의 경로 안내를 개선하기 위해서 주행 차량이 미리 설정한 교차로 범위에 들어가면 몇 가지 프리런 조건을 의거하여 프리런 상태를 판단하고 프리런 상태 여부에 따라 사전 경로안내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부적절한 사전 경로 안내 메시지 제공에 따른 사용자의 혼란을 미연에 방지한다.

Claims (11)

  1. 차량용 항법장치에서의 경로 안내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교통정보센터로부터 제공되는 가공된 유도데이터에 의거하여 미리 설정된 교차로 범위내에서 차량이 정상적인 주행을 하고 있는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설정된 교차로 범위내에서 차량이 정상적인 주행을 하고 있으면 미리 설정된 프리런 조건들에 의거하여 운전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는 사전 경로 안내 메시지를 제공치 않도록 하는 프리런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런 상태 여부에 따라 상기 주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사전 경로 안내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안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프리런 조건들은, 주행 차량 방향과 계산 주행 경로간의 일치여부, 교차로에서의 주행 차량 도로와 타 도로간의 각도 차이, 교차로로부터의 진행거리, 현재 교차로에서부터 다음 교차로까지의 거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안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로에서의 주행 차량 도로와 타 도로간의 각도 차이는, 교차로에서 차량 이탈 도로방향과 계산주행경로의 도로 방향간의 각도 차이와, 교차로에서 차량 이탈도로 방향과 계산주행경로의 도로의 가장 인접한 도로 방향간의 각도 차이로 구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교차로 범위는 교차점을 중심으로 반경 수백미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항법장치에서의 경로 안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교차로 범위에서 교차점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은 일반도로와 고속도로에 따라 구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항법장치에서의 경로 안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도로에서 교차점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은 300m정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항법장치에서의 경로 안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도로에서 교차점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은 500m정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항법장치에서의 경로 안내 방법.
  8. 차량용 항법장치에서의 경로 안내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교통정보센터로부터 제공되는 가공된 유도데이터에 의거하여 차량의 미리 설정된 교차로 범위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차량이 미리 설정된 교차로 범위내에 있으면 상기 가공된 유도데이터에 포함된 계산 주행경로에 의거해 차량이 정상적으로 주행하고 있는지를 체크하는 과정과,
    차량이 상기 계산주행 경로에 의거해 정상적으로 주행하고 있으면 미리 설정된 프리런 조건들에 의거하여 운전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는 사전 경로 안내 메시지를 제공치 않도록 하는 프리런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런 상태가 되면 상기 프리런 조건을 만족하는 기간동안 사전 경로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지 않는 과정과,
    상기 프리런 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교차로 도달에 따른 사전 경로 안내 메시지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안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프리런 조건들은, 주행 차량 방향과 계산 주행 경로간의 일치여부, 교차로에서의 주행 차량 도로와 타 도로간의 각도 차이, 교차로로부터의 진행거리, 현재 교차로에서부터 다음 교차로까지의 거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안내방법.
  10. 차량용 항법장치에서의 경로 안내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교통정보센터로부터 제공되는 가공된 유도데이터에 의거하여 차량이 정상적인 주행을 하고 있는지를 체크하는 과정과,
    차량이 정상적인 주행을 하고 있으면 미리 설정된 프리런 조건들에 의거하여 운전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는 사전 경로 안내 메시지를 제공치 않도록 하는 프리런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프리런 상태 여부에 따라 상기 주행 차량의 운전자에게 사전 경로 안내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안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프리런 조건들은, 차랑이 실제 주행하는 경로와 계산 주행경로 간에 관련된 조건들과, 교차로 형태 및 지형에 관련된 조건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안내방법.
KR10-2002-0014428A 2001-05-03 2002-03-18 차량용 항법장치에서의 경로 안내 방법 KR100454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135,037 US6760662B2 (en) 2001-05-03 2002-04-29 Route guiding method for in-vehicle navigation device
CNB021218498A CN1260549C (zh) 2001-05-03 2002-05-03 用于车辆内置的导航装置的路径引导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166 2001-05-03
KR20010024166 2001-05-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683A KR20020084683A (ko) 2002-11-09
KR100454951B1 true KR100454951B1 (ko) 2004-11-06

Family

ID=27703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4428A KR100454951B1 (ko) 2001-05-03 2002-03-18 차량용 항법장치에서의 경로 안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49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0028A (ko) * 2007-05-11 2008-11-14 팅크웨어(주) 센서를 이용한 주행상태 판단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5096A (ja) * 1998-01-21 1999-10-29 Aqueous Reserch:Kk 経路デ―タ送信装置、車載用経路誘導装置及び経路誘導システム
WO2000022593A1 (en) * 1998-10-14 2000-04-20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Driver inform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5096A (ja) * 1998-01-21 1999-10-29 Aqueous Reserch:Kk 経路デ―タ送信装置、車載用経路誘導装置及び経路誘導システム
WO2000022593A1 (en) * 1998-10-14 2000-04-20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Driver inform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683A (ko) 2002-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09020B (zh) 用于提供兴趣点信息的方法及设备
US10300916B2 (en) Autonomous driving assistance system, autonomous driving assistan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7209018B (zh) 用于提供所关注点信息的方法及设备
US10399571B2 (en) Autonomous driving assistance system, autonomous driving assistan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10192438B2 (en) Electronic apparatus, guide method, and guide system
EP2573521A1 (en) Selective download of corridor map data
US6760662B2 (en) Route guiding method for in-vehicle navigation device
JP4626663B2 (ja) 運転支援システム、運転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424961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JPH08327380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表示方法
US20060149463A1 (en) Route guide information delivery method, route guidance method, inform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delivery center
JP4374336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端末装置ならびにナビゲーション端末装置
WO2010109597A1 (ja) 経路案内システム、経路案内サーバ及び経路案内方法
JP2006308390A (ja) 乗車位置案内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ならびに乗車位置案内端末
JP2006350953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1099815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車線案内方法
JP4687575B2 (ja)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7322183A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9082831A (ja) 走行支援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083264B2 (ja) 交通情報配信システム
KR100454951B1 (ko) 차량용 항법장치에서의 경로 안내 방법
JP4400173B2 (ja)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5028148B2 (ja) 交通情報配信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装置、配信サーバ
JPH07113652A (ja) 走行経路案内装置
KR100353652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경로진입 안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