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4924B1 - 무선호출수신기의부가서비스선택적수신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호출수신기의부가서비스선택적수신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4924B1
KR100454924B1 KR1019970018781A KR19970018781A KR100454924B1 KR 100454924 B1 KR100454924 B1 KR 100454924B1 KR 1019970018781 A KR1019970018781 A KR 1019970018781A KR 19970018781 A KR19970018781 A KR 19970018781A KR 100454924 B1 KR100454924 B1 KR 100454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additional service
message
wireless
wireless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8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3471A (ko
Inventor
장재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18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4924B1/ko
Publication of KR19980083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3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4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4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22One-way selective calling networks, e.g. wide area p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무선호출수신기의 부가서비스 선택적 수신 제어장치는, 부가서비스 오프 설정신호를 발생하는 부가서비스 오프부와, 상기 부가서비스 오프 설정신호를 감지하면 부가서비스 어드레스 프레임동안 알에프단으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무선호출수신기의 부가서비스 선택적 수신 제어장치는, 부가서비스 메세지를 저장하는 음성사서함을 가지는 무선호출서비스 시스템과, 상기 무선호출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부가서비스 메세지를 청취하기 위한 가입자 전화기와, 자체적인 부가서비스 온/오프가 가능한 무선호출수신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호출수신기의 부가서비스 선택적 수신 제어장치
본 발명은 무선호출시스템에 있어서 무선호출수신기의 부가서비스 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호출수신기에서 부가서비스의 수신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비수신 메세지의 추후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세계 각국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무선호출서비스의 하나인 문자호출서비스에는 서비스를 하는 사업자측에서 증권, 날씨, 운세, 시사정보 등을 제공하는 부가서비스기능이 있다. 이러한 문자호출 부가서비스는 무선호출기를 소지한 무선호출가입자에 한하여 서비스가 가능하며 무료서비스와 유료서비스로 구분된다. 또한 문자호출 부가서비스는 기본호출서비스와는 다른 별도의 어드레스를 가지고 서비스를 하고 있는데, 무료서비스는 종합정보라고 하여 증권의 거래량이나 날씨 등 간단한 정보를 보내주며 하루에 4∼5번 정도 서비스를 하고 있고, 유료서비스는 운세나 증권의 상세한 내용, 스포츠 소식, 뉴스, 속보 등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문자호출 부가서비스는 문자호출기를 소지한 가입자가 임의의 한 부가서비스에 가입하면 가입자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새로운 정보가 발생할 때마다 서비스 사업자측에서 일방적으로 보내고 있다. 그러므로 가입자가 일시적으로 부가서비스를 받지 않으려 하면 서비스 시스템에 직접 연락을 하여 부가서비스를 잠시 중단하려 한다는 의사를 통보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많이 접하는 정보매체로는 텔레비젼, 라디오, 신문 등이 있지만 직장에서 일하거나 이동이 많은 사람들은 이와 같은 정보매체를 통하여 정보를 접하기가 어려우므로 문자호출기를 이용한 신속하고 편리한 문자호출 부가서비스는 바쁜 직장인들이나 항상 새로운 정보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유용한 서비스라 할 수 있다.
무선호출기는 배터리를 사용한다. 그런데 문자호출 부가서비스용 메시지는 일반 메세지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기 때문에 그 메시지의 수신만큼 배터리 수명이 짧아지게 한다. 사용자의 입장에서 볼 때, 배터리의 수명이 짧을수록 그 교체 회수가 많아져서 불편하고 비용도 많이 드는 단점을 갖는다. 더욱이 부가서비스 내용을 서비스 시스템에서 불규칙하게 송출하고 있으며, 시스템에서는 새로운 정보가발생할 때마다 모든 서비스 가입자에게 일방적으로 송출하고 있기 때문에 가입자가 원하지 않는 데이터가 수신되기도 한다. 이는 비단 호출기의 배터리 수명을 짧게 한다는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정보의 홍수시대를 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는 또 다른 스트레스가 될 수도 있다. 반대로, 부가서비스 가입자의 무선호출기가 수신을 못하는 경우도 있어서 가입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받지 못하여 불이익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무선호출기에는 저장 능력이 적기 때문에 많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가 없어서 부가서비스 메세지를 조금 밖에 저장하지 못하므로 시간이 지난후에 필요한 메세지를 다시 보려고 하면 원하는 메세지가 자동으로 지워지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비스 시스템과는 별개로 무선호출기에서 자체적으로 부가서비스를 온/오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가서비스를 오프한 무선호출기 가입자가 원하는 부가서비스 메세지를 유선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무선호출수신기의 부가서비스 선택적 수신제어장치는, 부가서비스 오프 설정신호를 발생하는 부가서비스 오프부와, 상기 부가서비스 오프 설정신호를 감지하면 부가서비스 어드레스 프레임동안 알에프단으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무선호출수신기의 부가서비스 선택적 수신제어장치는, 부가서비스 메세지를 저장하는 음성사서함을 가지는 무선호출서비스 시스템과, 상기 무선호출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부가서비스 메세지를 청취하기 위한 가입자 전화기와, 자체적인 부가서비스 온/오프가 가능한 무선호출수신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호출수신기의 부가서비스 선택적 수신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호출수신기의 부가서비스 선택적 수신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호출 부가서비스 메시지 확인이 가능한 무선호출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무선호출수신기에서 사용되는 폭삭코드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호출수신기의 부가서비스 선택적 수신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상기 무선호출수신기의 부가서비스 선택적 수신 제어 장치는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지정된 채널의 미약한 RF신호를 증폭하고 그 증폭된 신호를 원래의 신호 대역으로 주파수 변환한 후 복조하며 그 복조된 신호를 디지탈 데이타로 파형 정형하여 출력하는 RF단 11과, 상기 RF단 1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14와, 소정의 제어를 받아 개폐되며 상기 전원공급부 14로부터 상기 RF단 11로 전원을 공급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스위치 13과, 사용자가부가서비스 오프를 설정하기 위한 부가서비스 오프부 19와, 상기 RF단 11에서 출력하는 디지탈 코딩 데이타를 디코딩, 즉 수신되는 부호화 데이타(통상 BCH 부호화된 데이타임)를 본래의 데이타로 디코딩하며, 폭삭 코드 형태에서 프리앰블데이타, 워드싱크 및 자신의 프레임데이타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디코더 12와, 무선 호출수신기의 정보, 즉 지역 정보를 포함하는 고유 어드레스데이타 및 프레임데이타로 구성되는 캡코드, 지역권의 채널들을 세트하기 위한 기준채널주파수들, 상기 기준채널주파수에 의해 세트된 지역에서 무선 호출 서비스를 받기 위한 서비스채널주파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16와, 상기 부가서비스 오프부 19를 체크하여 부가서비스 오프 설정시 상기 스위치 13이 개방상태로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15와, 수신된 기본호출서비스 메시지 및 문자호출 부가서비스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17와, 경보부 18은 상기 제어부 15의 제어하에 메세지 수신에 관련된 경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제어부 15은 상기 메모리 16의 정보를 분석하여 무선호출수신기의 호출서비스 기능을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며, 원칩(one chip)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가서비스 오프부 19는 사용자에 의한 호출정보의 입력 및 무선 호출수신기의 각종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키들, 즉 무선 호출수신기의 동작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키, 채널 스캔 모드시 일정 시간 주기로 채널 스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키, 수신 저장중인 메세지를 표시하기 위한 리드키 등을 가지는 조작패널(operation panel)상의 한 키의 형태로 구현되어질 수 있다. 상기 메모리 16은 E2PROM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 17은 LCD로 구현할 수 있다.상기 경보부 18은 경보음을 발생하는 수단, 진동신호를 발생하는 바이브레이터(vibrator) 등으로 이루어진다.
무선호출기는 통상적으로 2∼4까지 어드레스[일명 캡코드(capcode)]를 가지고 호출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기존의 무선호출기는 1개 정도의 어드레스를 사용하고 있다. 문자호출 부가서비스의 기본호출서비스는 별도의 어드레스를 가지고 서비스를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가서비스를 받는 어드레스를 통제하여 부가서비스를 통제한다. 다시 말해서, 부가서비스 어드레스가 오프일 때 그 부가서비스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모든 데이터를 무시한다. 만약 부가서비스 어드레스가 1234567이라고 가정하면, 무선호출기는 상기 어드레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기본호출 서비스를 수신하는 어드레스 1234567에 해당하는 프레임(frame)에서 RF단 11을 온(on)하여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지만 부가서비스를 오프(off)하면 7프레임에서 RF단 11이 오프되므로 배터리 수명을 늘일 수 있다. 만약 기본호출서비스와 같은 프레임이라고해도 디코더 12에서 기본호출서비스 어드레스만 검출하고, 기본호출서비스 어드레스가 없으면 바로 상기 RF단 11이 오프되어 다음 배치(batch)의 해당 프레임에서 RF단 11이 다시 온이 되지도록 제어한다. 반면에 부가서비스 어드레스가 온되어 부가서비스를 받으면 RF단 11이 온되어 기본호출서비스 어드레스외에도 부가서비스 어드레스를 같이 검출하여야 한다. 이때 만약 부가서비스 어드레스가 검출되면 기본호출서비스보다 메세지의 길이가 길어서 상기 RF단 11이 온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므로 그만큼 전류 소모가 많아져서 배터리의 수명이 줄어든다. 그래서 가입자가원하는 때에만 부가서비스 기능을 온함으로써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줄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호출수신기의 부가서비스 선택적 수신 제어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부가서비스 온/오프에 RF단 11의 온/오프 제어가 종속됨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가서비스 어드레스가 n-1번째 프레임, 기본호출서비스 어드레스가 n번째 프레임인 경우를 예로 든 것이다. 반대의 경우, 즉 부가서비스 어드레스가 n번째 프레임이고 기본호출서비스 어드레스가 n-1번째 프레임인 경우에는 기본호출서비스 어드레스의 검출이 먼저 이루어지므로 2e단계가 필요없다.
구체적으로, 2a단계에서 무선호출기 100이 파워 온되면 제어부 13은 2b단계에서 부가서비스 오프부 19를 체크하여 부가서비스 온/오프 설정 상태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부가서비스 온상태이면 2j∼2o단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즉 RF단 11을 온하고 프리앰블의 검출 여부를 체크하여 검출된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신호에서 기본호출서비스 어드레스와 부가서비스 어드레스의 검출(자기 어드레스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고 각 어드레스가 검출되면 각 어드레스에 이어지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부 17에 표시함으로써 기본호출서비스 및 부가서비스를 실시하고 상기 RF단 11을 오프한 후 2b단계로 되돌아간다. 도 4에 따르면, 임의의 한 프레임의 수신은 어드레스 코드 단어 32비트에 이은 메시지 코드 단어 32비트의 수신으로 완성된다. 만약 2k단계에서 프리앰블이 검출되지 않았거나 2m단계에서 해당 어드레스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도 2o단계로 진행하여 RF단을 오프하고 상기 2b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에 2b단계에서 부가서비스가 오프라고 판단되면 제어부 13은 2c단계에서 RF단 11을 온한다. 상기 RF단 11을 온한 상태에서 제어부 13은 2d단계로 진행하여 프리앰블의 검출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프리앰블이 검출된 경우 상기 제어부 13은 2e단계로 진행하여 부가서비스 어드레스를 포함한 프레임만큼 대기한 다음 2f단계로 진행하여 기본호출서비스 어드레스를 검출한다. 2g단계에서 상기 기본호출서비스 어드레스 검출이 확인된 경우, 상기 제어부 13은 2h단계에서 상기 어드레스에 이어지는 기본호출서비스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부 17에 표시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기본호출서비스를 하고, 2i단계에서 상기 RF단 11을 오프한 다음 전술한 2b단계로 되돌아간다. 만약 상기 2d단계에서 프리앰블이 검출되지 않았거나 2g단계에서 해당 어드레스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2i단계로 진행하여 RF단을 오프하고 상기 2b단계로 되돌아간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호출 부가서비스 메시지 확인이 가능한 무선호출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부가서비스 메세지를 저장하는 음성사서함 400을 가지는 무선호출서비스 시스템 300과, 공중교환망(PSTN: Public Switch Telephone Network) 500을 통해 상기 무선호출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부가서비스 메세지를 청취하기 위한 가입자 전화기 600과, 자체적인 부가서비스 온/오프가 가능한 무선호출수신기 100과, 상기 무선호출서비스 시스템 300과 무선호출수신기 100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기지국 200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서비스 시스템과는 별개로 무선호출기에서 자체적으로 부가서비스를 온/오프할 수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전원의 소모를 막아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서비스 시스템에서 부가서비스 메시지를 송출하고 나서 시스템의 사서함에 음성으로 저장해놓기 때문에 부가서비스를 오프하였거나 부가서비스 메세지를 수신하지 못한 가입자가 유선으로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으며, 무선호출기에 수신된 메세지를 별도로 저장할 필요없이 시간이 지난 메시지도 다시 한번 청취가 가능하므로 사용자에게 많은 편의를 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메시지 저장의 필요성을 줄임으로써 저용량의 메모리를 사용하므로 제품 원가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무선호출수신기의 부가서비스 선택적 수신 제어장치에 있어서,
    부가서비스 오프 설정신호를 발생하는 부가서비스 오프부와,
    상기 부가서비스 오프 설정신호를 감지하면 부가서비스 어드레스 프레임동안 알에프단으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호출수신기는 무선호출서비스 시스템에 속하며,
    상기 무선호출서비스 시스템은 부가서비스 메세지를 저장하는 음성사서함을 구비하며,
    상기 부가서비스 메시지는 가입자 전화기를 통해 청취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70018781A 1997-05-15 1997-05-15 무선호출수신기의부가서비스선택적수신제어장치 KR100454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8781A KR100454924B1 (ko) 1997-05-15 1997-05-15 무선호출수신기의부가서비스선택적수신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8781A KR100454924B1 (ko) 1997-05-15 1997-05-15 무선호출수신기의부가서비스선택적수신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3471A KR19980083471A (ko) 1998-12-05
KR100454924B1 true KR100454924B1 (ko) 2004-12-29

Family

ID=37372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8781A KR100454924B1 (ko) 1997-05-15 1997-05-15 무선호출수신기의부가서비스선택적수신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49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247B1 (ko) * 1999-07-24 2006-11-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단말기 제어 패킷 전송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8899A (ja) * 1993-05-07 1994-11-15 Dokomo Eng Kk パソコン通信ネットを用いたポケベル自動配信システム
KR960020048A (ko) * 1994-11-12 1996-06-17 김광호 광역 무선호출수신기의 전원절약 장치 및 방법
US5535428A (en) * 1994-07-28 1996-07-0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retaining messages received by a radio receiver based upon message content
JPH08340583A (ja) * 1995-06-14 1996-12-24 Fujitsu Ltd 携帯端末への情報通知サービス方法
JPH099319A (ja) * 1995-06-20 1997-01-10 Fujitsu Ltd 無線呼び出しを用いた情報サービス提供方式
KR0143582B1 (ko) * 1995-07-21 1998-08-01 서정욱 무선 호출 단말기에서의 생활 정보 서비스 처리 방법
KR0179438B1 (ko) * 1996-05-16 1999-05-15 이봉훈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증권정보 수신방법 및 그 장치
KR100204085B1 (ko) * 1996-04-29 1999-06-15 김동연 교통정보 수신이 가능한 무선호출기 및 그 운용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8899A (ja) * 1993-05-07 1994-11-15 Dokomo Eng Kk パソコン通信ネットを用いたポケベル自動配信システム
US5535428A (en) * 1994-07-28 1996-07-0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retaining messages received by a radio receiver based upon message content
KR960020048A (ko) * 1994-11-12 1996-06-17 김광호 광역 무선호출수신기의 전원절약 장치 및 방법
JPH08340583A (ja) * 1995-06-14 1996-12-24 Fujitsu Ltd 携帯端末への情報通知サービス方法
JPH099319A (ja) * 1995-06-20 1997-01-10 Fujitsu Ltd 無線呼び出しを用いた情報サービス提供方式
KR0143582B1 (ko) * 1995-07-21 1998-08-01 서정욱 무선 호출 단말기에서의 생활 정보 서비스 처리 방법
KR100204085B1 (ko) * 1996-04-29 1999-06-15 김동연 교통정보 수신이 가능한 무선호출기 및 그 운용 제어방법
KR0179438B1 (ko) * 1996-05-16 1999-05-15 이봉훈 무선호출망을 이용한 증권정보 수신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3471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4507B2 (en) Mobile paging telephone with an automatic call back function
KR100297247B1 (ko) 셀롤러전화기지국으로부터전송되는경보에사용자가선택적으로응답하는장치및방법
US7099693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warning a user of a low-voltage state of the same
US5390362A (en) User extendible voice transmission pag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KR980007169A (ko) 전자메일시스템, 컴퓨터 및 착신통지방법
US20020111155A1 (en) Language select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00040305A (ko) 휴대통신단말기의 시간 스케줄링에 의한 착신 경보 자동전환방법
KR100454924B1 (ko) 무선호출수신기의부가서비스선택적수신제어장치
KR1004722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스팸 메시지 처리 방법
US616662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message which has been received
KR10070347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착신 호 대기 방법
KR100689387B1 (ko) 휴대전화 단말장치의 선택적인 단문메시지 수신 경보 방법
KR20020078406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예약 전송 방법
US7177629B1 (en) Annunciat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selectably annunciating message termination at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JP3528246B2 (ja) 選択呼出し装置
KR100218595B1 (ko) 수첩기능을 갖는 무선호출기
KR20040045163A (ko) 특정전화번호의 단문메시지 차단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이동통신 단말기
JPH0346423A (ja) 携帯電話システムにおけるページャ通信方式およびページャ携帯電話機
KR100239176B1 (ko) 무선통신단말기의 통화 재시도 자동제어장치 및방법
JPH11298957A (ja) 移動無線電話装置
JPH11127262A (ja) 無線通信装置
KR100241779B1 (ko) 씨티-2 단말기에서 직접통화 서비스 접속방법
KR20040000548A (ko) 정보 메시지 알람 기능을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그의정보 메시지 알람 방법
JPH037432A (ja) 時計付選択呼出受信装置
KR2004004191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메시지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