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4527B1 - 컨테이너 요철표면의 마킹지 자동부착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요철표면의 마킹지 자동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4527B1
KR100454527B1 KR10-2002-0073770A KR20020073770A KR100454527B1 KR 100454527 B1 KR100454527 B1 KR 100454527B1 KR 20020073770 A KR20020073770 A KR 20020073770A KR 100454527 B1 KR100454527 B1 KR 100454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even surface
roller
marking paper
container
m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3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5985A (ko
Inventor
민효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도피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도피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도피엠에스
Priority to KR10-2002-0073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4527B1/ko
Priority to CNB021554692A priority patent/CN1277723C/zh
Publication of KR20040045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5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4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45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26Devices for applying labels
    • B65C9/30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3/00Labelling other than flat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요철표면에 마킹지를 자동부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부와 본체부로 이루어진 컨테이너 표면의 마킹지 자동부착장치에 있어서, 지지로울러에 의해 지지되어 마킹지를 컨테이너의 요철표면에 눌러 붙이는 압착로울러와 상기 압착로울러가 요철표면에 접촉되어 승하강시 작동되는 다수의 신축부재 및 상기 요철표면에 접촉되어 구름운동하는 가이드로울러로 된 마킹지 압착부와, 상기 마킹지 압착부를 수평회동시키는 수평회동부, 및 상기 마킹지 압착부를 수직회동시키는 수직회동부로 이루어진 압착로울러 어셈블리와; 상기 압착로울러 어셈블리를 전/후진시키는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종래의 경사도 보정장치를 제거할 수 있게되어 디자인이 미려하고 컴팩트화 됨과 아울러 컨테이너 요철표면의 수직경사도 또한 보정할 수 있게 되며, 요철표면의 골과 마루사이의 경사면에서 압착로울러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마킹지의 들뜸 및 찢김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요철표면의 마킹지 자동부착장치{An automatic apparatus adhering the marking paper on irregularly shaped surface of container}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요철표면에 마킹지를 자동부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킹지 자동부착장치의 디자인을 미려하고 컴팩트화 함과 아울러 컨테이너의 요철표면의 수직경사를 보정할 뿐만아니라 부착된 마킹지의 들뜸이나 찢김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 요철표면의 마킹지 자동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송화물을 보관하는 컨테이너의 표면은 화물보관을 위해 견고해야하므로 요철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요철표면에 운송회사나 운송상품의 표시를 위하여 각종 문자, 도안 및 로고(이하 광고문안이라 함)등이 마킹되어 있다.
상기 광고문안을 마킹하는 방법으로 광고문안지를 그대로 상기 요철표면에 부착하는 방식도 있고, 광고문안이 인쇄되는 표면과 강력 접착제가 도포된 이면으로 된 인쇄지, 상기 강력 접착제를 보호하는 이면 보호지(이하 '후지'라 함) 및 상기 광고문안이 인쇄된 인쇄면을 보호하는 표면 보호지(이하 '전지'라 함)로 구성된 마킹지의 이면 보호지를 떼어내어 상기 요철표면에 부착한 후에 전지와 인쇄지의광고문안을 떼어내어 노출되는 광고문안에 원하는 색상의 도료를 스프레이하는 방식도 있다.
그러나 상기한 요철표면에 광고문안지를 부착하든 마킹지를 부착하든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고, 다수의 작업자가 필요할 뿐만아니라 요철표면에 제대로 광고문안지나 마킹지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숙련자가 필요했으며, 숙련자라 할지라도 요철표면에서 들뜨거나 꾸겨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마킹지 부착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한 장치인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 100654호, 특허등록결정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1996-0059408,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1997-0036417의 발명을 계속 개량하여 왔고, 또한 2000년 12월 27일자로 상기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1997-0036417의 발명을 개량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00-0082563의 발명을 출원하였다.
상기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00-0082563의 발명의 구성을 도 1, 2 및 3을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의 컨테이너 표면의 마킹지 자동부착장치는 구동부, 본체부 및 압착로울러 어셈블리부가 그 기본적인 구성을 이루고 있다.
구동부는 베이스(10)의 저면에 장착된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고, 축의 양끝으로 가이드레일(13)에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바퀴를 구비하며, 축의 어느 한 쪽으로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체인스프라켓이 설치된 구동축(12)과; 상기 구동축(12)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체인 스프라켓이 구비된 구동모터(11); 및 상기 구동모터로 부터 받은 동력을 일정하고 안정되게 상기 구동축으로 전달하기 위한 감속기(14)로구성되어 있다.
본체부는 상기 베이스의 위쪽에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설치된 상판 및 하판에 일정한 힘으로 마킹지 원단롤 및 후지롤을 고정하는 척(25,26,27,28)과;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설치되어 마킹지에 탄력성을 부여하는 다수의 보조로울러와; 상기 마킹지 원단롤 고정척(25,27) 및 후지롤 고정 척(26,28)들을 일정 스트로크 범위내에서 유체의 힘에 의하여 상하로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상판의 마킹지 원단롤 및 후지롤 고정 척(25,26)에 설치된 에어실린더(21,22)와; 상기 마킹지 원단롤의 회전방향과 역회전을 함으로써 부착작업을 위하여 장착한 마킹지에 초기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하판의 마킹지 원단롤 고정 척(27)에 설치된 마킹지 원단롤 모터(30)와;
상기 하판의 윗면에 고정되어 마킹지 시트로부터 분리된 후지를 되감기 위한 상기 후지롤 고정 척(28)을 구동시키며, 마킹지 부착작업을 일시 중지하는 경우에 마킹지가 상기 마킹지 원단롤 및 보조로울러 사이에서 스스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브레이크가 내장된 후지롤 모터(29)와, 상기 후지롤 모터(29)와 연결된 상기 후지롤 고정 척(28)의 스핀들에 설치된 브레이크와, 그리고 상기 마킹지원단롤 및 후지롤이 풀리거나 감기는 장력을 일정히 유지시켜 주기 위해 상기 하판 척(27,28)에 설치된 분체 클러치(31,32)로 이루어진 마킹지풀림방지장치; 및
탄성부재(51)와 보조로울러 축(52)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제1밑판(53)과, 상기 제1밑판의 일측면을 누름으로써 탄성부재에 초기 압축력을 부여하여 제1밑판을 일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요소(54)와, 보조로울러에 작용하는 마킹지의장력에 의해 제1밑판이 한쪽 방향으로 힘을 받을 때 탄성부재가 일정한 탄력으로 반발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의 일단을 받쳐주는 제1벽체(55)와, 상기 체결요소가 고정되는 제2벽체(56)와, 제1밑판의 일방향 직선운동을 안내하고 제1밑판에 걸리는 중량을 지지하는 안내부재(57)와, 상기 안내부재를 통해 제1밑판에 걸리는 중량을 하판(20)으로 전달하는 제2밑판(58)으로 이루어져 상기 보조로울러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의 보조로울러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는 일방향 유동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23,24는 에어실린더(21,22)에 의해 상판의 마킹지 원단롤 및 후지롤 고정 척(25,26)을 상승시켜 마킹지 원단롤과 후지롤을 장착시킨 다음에 상기 상판의 마킹지 원단롤 및 후지롤 고정 척을 다시 하강시켜 고정시키기 위한 에어밸브이고, 60,61은 상기 일방향 유동장치가 설치된 유동축 보조로울러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압착로울러 어셈블리부는 후지가 분리된 마킹지를 컨테이너의 요철표면에 눌러 붙이는 압착로울러(41)와 상기 압착로울러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압착로울러의 주위로 설치된 지지로울러(42,43)로 이루어진 압착로울러 헤드부와; 상기 압착로울러헤드부의 직선왕복운동을 안내하고 그 무게를 받쳐주는 지지판(45)과 상기 압착로울러헤드부의 무게를 상기 지지판(45)으로 전달하면서 지지판 위에서 구름운동을 하는 구름로울러(46)로 이루어진 압착로울러헤드부 지지대와; 상기 압착로울러(41)를 고정하는 고정후레임(44)과; 상기 압착로울러가 컨테이너표면을 따라 뒤로 밀릴 때에도 실린더 내의 압력이 일정치 이상으로 되지 않도록레규레타(미도시)가 부착되며, 상기 압착로울러(41)에 압력을 가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의 일 측면에 설치되어 고정된 다수의 에어실린더(15)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생산현장 바닥의 수평도 및 컨테이너 자체의 수직도의 문제로 인한 마킹지 자동부착장치와 컨테이너의 경사도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설치된 경사도 보정장치는 상기 구동부의 제1베이스(10)와 본체부의 제2베이스(20)의 양 측면에 본체부를 매달기 위해 설치한 행거후레임(62)(63)과; 각각의 행거후레임을 연결하기 위해 힌지로 된 연결부재(64); 및 상기 제1베이스 상에 설치되어 제2베이스의 저면과 접촉하는 탄성부재(65)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마킹지의 자동장착을 위한 마킹지 로딩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축 보조로울러의 상/하단에 설치된 체인 스프라켓(100a,100b)(101a,101b)(102a,102b)(103a,103b), 유동축 보조로울러(60,61)의 상/하단 둘레에 설치된 체인 스프라켓(111a,111b)(112a,112b)(113a,113b)(114a,114b) 및 상/하부 체인(70a,70b)으로 이루어진 감아걸기 전동장치와; 상기 감아걸기 전동장치를 연동시키기 위한 축(73)과; 상기 축의 일단에 연결된 스프라켓 구동모터(74)와; 상기 상/하부 체인(70a,70b)의 특정 부위가 소정의 위치에 왔을 때 상기 스프라켓 구동모터(74)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75)와; 상기 상/하부 체인(70a,70b)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일단에 스프라켓(120a,120b)을 구비한 스프링 부착 에어실린더(76a,76b); 및 상기 상/하부 체인(70a,70b)의 특정 부분을 일정 강도를 가진 부재를 사용하여 상하로 연결하며, 상기 부재를 필요에 따라 탈부착이가능하도록 고안된 마킹지걸이(77)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컨테이너 표면의 마킹지 자동부착장치는 구동부, 본체부 및 압착로울러 어셈블리부의 기본 구성과 경사도 보정장치 및 마킹지 로딩장치와 같은 부가 구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경사도 보정장치는 첫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의 요철표면이 수직이 아닌 약간 경사를 이루어 컨테이너와 마킹지 자동부착장치와의 사이에 경사가 존재하는 경우에 압착로울러(41)의 하단이 먼저 컨테이너의 요철표면에 닿으면서 그 반발력(F)이 짝힘으로 작용하여 마킹지 자동부착장치가 연결부재인 힌지를 중심으로 모멘트가 발생되어 이 모멘트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컨테이너 요철표면과 평행을 이루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에 의해 평행을 이루는 경우 그 평행밀착이 순조롭지 못하여 미세한 경사는 보정되지 못함으로써 부착된 마킹지의 구김이나 씹힘현상이 발생하고 이 상태에서 광고문안에 도료를 스프레이 하게 되면 광고문안이 원래대로 깨끗하게 마킹되지 않고 지저분하게 마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마킹지 자동부착장치의 좌/우측의 일정공간을 차지하여 설치되어 있어 마킹지 자동부착장치의 크기와 무게, 조립을 위한 작업공정 및 부품수가 늘어나고, 이에 따른 비용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해서 디자인이 미려하지 못하고 또한 컴팩트하지 못한 문제점도 또한 있었다.
그리고 종래 압착로울러가 컨테이너 요철표면의 골과 마루사이의 경사면을따라 내려갈 때는 비교적 빠른 속도로 진행하게 되고, 올라갈 때에는 그 속도가 매우 느려지면서 압착로울러가 컨테이너와 접촉하고 있는 면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마찰이 발생하여 바로 전에 부착한 마킹지를 잡아떼듯이 들어내는 들뜸 및 찢김현상을 방지하도록 마킹지 자동부착장치가 일정한 진행속도를 갖도록 하는 감속기(14)와 에어실린더(15)내에 압력유지장치를 설치하였지만 상기 진행속도와 압착로울러가 요철표면의 굴곡을 따라 승강시 에어실린더가 전후진되는 반응속도의 균형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아서 상기 들뜸 및 찢김현상의 방지가 의도한 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마킹지 원단롤에 감겨있는 마킹지를 보조로울러 사이를 통과하여서 압착로울러까지 당겨 와야하는데, 상기한 종래의 마킹지 자동장착을 위한 마킹지 로딩장치는 상기 보조로울러 사이를 통과시키는 작업을 없애 민감성, 신속성(즉각 반응성) 및 생산성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마킹지가 보조로울러 사이를 통과하는 것까지만 자동화 된 것이고, 보조로울러를 통과한 마킹지는 작업자가 잡고 압착로울러까지 당겨와야 하는 수작업이 가미된 부분자동화이고, 둘째, 상기 보조로울러를 통과하는 마킹지가 보조로울러 사이에서 완전히 펴지지 않을 뿐만아니라 마킹지가 수평을 이루지 않고 아래로 쳐지는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에 실제 민감성, 신속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지는 못했고, 오히려 더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상기처럼 마킹지 로딩을 부분자동화하기 위해서 다수의 체인스프라켓과 상하부 체인으로 된 감아걸기 전동장치, 스프라켓 구동모터, 리미트 스위치, 에어실린더 및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마킹지걸이등 여러가지 부품으로 소요됨으로 인해 조립공정 및 제작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경사도 보정장치와 마킹지 로딩장치를 제거하여 마킹지 자동부착장치의 디자인을 컴팩트하게 함과 아울러 민감성, 신속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생산비용을 절감하여 제조원가를 최소화하며, 컨테이너 요철표면의 수직경사뿐만아니라 요철표면의 골과 마루사이의 경사면에서 압착로울러의 압력유지를 적절하게 하여 마킹지의 들뜸 및 찢김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 요철표면의 마킹지 자동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마킹지 자동부착장치의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마킹지 자동부착장치의 좌측면도
도 3은 종래의 유동축 보조로울러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종래의 경사도 보정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종래의 마킹지 로딩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마킹지 자동부착장치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마킹지 자동부착장치의 좌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압착로울러 어셈블리와 그 구동수단의 좌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요철표면의 수직도 및 마루와 골 사이의 경사면 보정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마킹지의 부착상태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1 : 압착로울러 204 : 후지분리 로울러
205 : 가이드로울러 205a,212 : 수평힌지핀
206 : 좌측 스프링 207 : 우측 스프링
208 : 후방 스프링 211 : 수직힌지핀
213 : 지주대 221 : 에어실린더
231 : 구름로울러 232 : 구름지지판
312 : 후지롤 313 : 마킹지 원단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베이스(10)의 저면에 장착된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고, 축의 양끝으로 가이드레일(13)에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바퀴를 구비하며, 축의 어느 한 쪽으로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체인스프라켓이 설치된 구동축(12)과; 상기 구동축(12)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체인 스프라켓이 구비된 구동모터(11); 및 상기 구동모터로 부터 받은 동력을 일정하고 안정되게 상기 구동축으로 전달하기 위한 감속기(14)로 구성된 구동부와,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위쪽에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설치된 상판 및 하판에 일정한 힘으로 마킹지 원단롤 및 후지롤을 고정하는 척(25,26,27,28)과;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설치되어 마킹지에 탄력성을 부여하는 다수의 보조로울러와;상기 마킹지 원단롤 고정척(25,27) 및 후지롤 고정 척(26,28)들을 일정 스트로크 범위내에서 유체의 힘에 의하여 상하로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상판의 마킹지 원단롤 및 후지롤 고정 척(25,26)에 설치된 에어실린더(21,22)와; 상기 마킹지 원단롤의 회전방향과 역회전을 함으로써 부착작업을 위하여 장착한 마킹지에 초기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하판의 마킹지 원단롤 고정 척(27)에 설치된 마킹지 원단롤 모터(30)와;
상기 하판의 윗면에 고정되어 마킹지 시트로부터 분리된 후지를 되감기 위한 상기 후지롤 고정 척(28)을 구동시키며, 마킹지 부착작업을 일시 중지하는 경우에 마킹지가 상기 마킹지 원단롤 및 보조로울러 사이에서 스스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브레이크가 내장된 후지롤 모터(29)와, 상기 후지롤 모터(29)와 연결된 상기 후지롤 고정 척(28)의 스핀들에 설치된 브레이크와, 그리고 상기 마킹지원단롤 및 후지롤이 풀리거나 감기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해 상기 하판 척(27,28)에 설치된 분체 클러치(31,32)로 이루어진 마킹지풀림방지장치; 및
탄성부재(51)와 보조로울러 축(52)의 일단을 고정하기 위한 제1밑판(53)과, 상기 제1밑판의 일측면을 누름으로써 탄성부재에 초기 압축력을 부여하여 제1밑판을 일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요소(54)와, 보조로울러에 작용하는 마킹지의 장력에 의해 제1밑판이 한쪽 방향으로 힘을 받을 때 탄성부재가 일정한 탄력으로 반발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의 일단을 받쳐주는 제1벽체(55)와, 상기 체결요소가 고정되는 제2벽체(56)와, 제1밑판의 일방향 직선운동을 안내하고 제1밑판에 걸리는 중량을 지지하는 안내부재(57)와, 상기 안내부재를 통해 제1밑판에 걸리는 중량을하판(20)으로 전달하는 제2밑판(58)으로 이루어져 상기 보조로울러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의 보조로울러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는 일방향 유동장치로 구성된 본체부로 이루어진 컨테이너 표면의 마킹지 자동부착장치에 있어서,
지지로울러에 의해 지지되어 마킹지를 컨테이너의 요철표면에 눌러 붙이는 압착로울러와 상기 압착로울러가 요철표면에 접촉되어 승하강시 작동되는 다수의 신축부재 및 상기 요철표면에 접촉되어 구름운동하는 가이드로울러로 된 마킹지 압착부와, 상기 마킹지 압착부를 수평회동시키는 수평회동부, 및 상기 마킹지 압착부를 수직회동시키는 수직회동부로 이루어진 압착로울러 어셈블리와; 상기 압착로울러 어셈블리를 전/후진시키는 구동수단을 더 포함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마킹지 자동부착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마킹지 자동부착장치를 도시한 좌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압착로울러 어셈블리와 그 구동수단을 도시한 좌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요철표면의 마루와 골의 수직도 및 마루와 골 사이의 경사면 보정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마킹지의 부착상태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동부와 본체부로 이루어진 컨테이너 표면의 마킹지 자동부착장치에 있어서, 지지로울러(202,203)에 의해 지지되어 마킹지(300)를 컨테이너의 요철표면에 눌러 붙이는 압착로울러(201)와 상기 압착로울러가 상기 요철표면의 골과 마루 사이의 경사면 승하강시 좌우작동되는 스프링(206,207)으로 된 신축부재와 골과 마루에서 전후작동되는 스프링(208)으로 된 신축부재 및 상기 요철표면에 접촉되어 구름접촉 운동하는 가이드로울러(205)로 된 마킹지 압착부와, 상기 마킹지 압착부를 수평회동시키는 수직힌지핀(211)으로 된 수평회동부, 및 상기 마킹지 압착부를 수직회동시키는 수평힌지핀(212)과 지주대(213)로 된 수직회동부로 이루어진 압착로울러 어셈블리와; 그리고 상기 압착로울러가 요철표면의 마루에서 뒤로 밀릴 때에도 실린더 내의 압력이 일정치 이상으로 되지 않도록 레규레타(미도시)가 부착된 에어실린더(221)와, 상기 에어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슬라이더(222)와 그 슬라이더 레일(223)로 된 안내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압착로울러 어셈블리를 전/후진시키는 구동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압착로울러 어셈블리의 상/하 일측에 설치하되,상기 하측에는 구름로울러(23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름로울러가 상기 구동수단의 전후진 작동에 의해 롤링되는 구름지지판(23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재는 직선베어링용 LM가이드가 바람직하다.
상기 구름로울러(231)와 구름지지판(232)은 압착로울러 어셈블리가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전후진될 때, 부드럽게 전후진되도록 하는 역할도 하지만 압착로울러 어셈블리가 그 무게에 의해 아래쪽으로 쳐지지 않도록 그 무게를 지탱해주는 역할도 겸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로울러(205)는 수평힌지핀(205a)으로 그 지지대(205b)에 결합되어 컨테이너의 요철표면에 접촉될때, 그 요철표면에 수직경사도가 존재하게 되면그 경사도에 맞추어 완전밀착되도록 수직회동된다.
상기 압착로울러(201)도 수평힌지핀(212)으로 지주대(213)에 결합되어 에어실린더(221)에 의해 압착로울러(201)가 컨테이너의 요철표면에 접촉될 때, 그 요철표면에 수직경사도가 존재하게 되면 그 경사도에 맞추어 완전밀착 접촉되도록 상기 수평힌지핀(212)을 중심으로 지주대(213)가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마킹지 압착부가 수직회동되어 그 압착로울러(201)가 수직경사도에 맞게 경사지게 된다.
상기 압착로울러(201), 지지로울러(202,203), 가이드로울러(205), 좌/우 스프링(206,207) 및 후방 스프링(208)으로 된 마킹지 압착부는 수직힌지핀(211)으로 지주대(213)에 결합되어 요철표면의 골과 마루의 경사면, 특히 상승 경사면에서 가이드로울러(205)와 압착로울러(201)에 가해지는 강한 측면 마찰압력을 감소시켜 적절한 압력이 유지되도록 수평회동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7,8,9,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지분리 로울러(204) 및 다수개의 마킹지 보조로울러(209)도 상기 마킹지 압착부의 구성요소로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마킹지의 원활한 보급과 아울러 요철표면에 마킹지가 제대로 부착되고, 후지의 원활한 분리가 이루어진다면 마킹지 압착부와 별도로 분리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반드시 마킹지 압착부와 일체화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압착로울러(201)는 가이드로울러(205)보다 먼저 컨테이너의 요철표면에 접촉된다. 즉, 압착로울러(201)가 가이드로울러(205)보다 돌출되어 있어서 압착로울러(201)가 1차적으로 요철표면에 접촉됨에 따라 후방에 설치된스프링(208)이 압축되어 뒤로 밀리면서 상기 요철표면에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게 되고 2차적으로 가이드로울러(205)가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되어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206,207,208)으로 된 다수의 신축부재와 가이드로울러(205)는 압착로울러(201)의 상/하에 각각 설치되어 압착로울러(201)가 요철표면에 접촉될 때, 그 상하균형을 유지시키면서 접촉되도록 되어있고, 상기 좌/우 스프링(206,207)은 가이드로울러(205)의 지지대(205b)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호연결됨에 따라 한쪽이 압축되면 다른 한쪽은 신장되도록 되어있으며, 상기 후방 스프링(208)은 그 슬라이더(241)와 슬라이더 레일(242)에 의해 안내되어 신축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마킹지 자동부착장치를 한쌍으로 제작하여 다른 하나를 마킹지 감는 방향과 마킹지 원단롤 모터 및 후지롤 모터의 회전방향을 반대로 하여 왕복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본 출원인이 2000년 12월 27일자로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00-0082563의 발명의 구동부와 본체부의 구성은 동일하지만 종래의 발명에서 문제점으로 나타난, 마킹지를 컨테이너의 요철표면에 부착시 마킹지의 들뜸이나 찢김현상을 방지하고, 요철표면에 수직경사가 있을 경우 압착로울러가 수직경사에 맞게 기울어져 적절한 압력으로 상기 요철표면에 밀착접촉되도록 하는 신규한 구성을 포함한 것을 그 발명내용으로 하는 것이다.
즉, 종래 압착로울러(41)를 에어실린더(15)가 직접 전후진 작동시킴에 따라 마킹지 자동부착장치의 일정한 진행속도와 압착로울러가 요철표면의 골과 마루 및그 사이의 경사면을 따라 승강시 상기 에어실린더(15)가 전후진되는 반응속도의 상호균형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특히 상기 경사면 상승시 압착로울러에 가해지는 압력이 조절되지 못해서 마킹지의 들뜸 및 찢김현상이 발생하였지만 본 발명은 종래처럼 압착로울러(41)를 에어실린더(15)가 직접 전후진 작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에어실린더(221)는 압착로울러 어셈블리를 전후진 작동시키고, 상기 마킹지 압착부의 압착로울러(201)는 상기 반응속도와는 상관없이 좌/우 스프링 및 후방 스프링 신축부재에 의해 별도로 작동됨과 아울러 상기 요철표면의 골과 마루 및 그 사이의 경사면을 따라 승강시 상기 신축부재의 탄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적절한 압력을 유지시키므로 상기한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에어실린더(221)는 가이드로울러(205)와 관계되는 것이고, 압착로울러(201)는 스프링 신축부재와 관계되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 요철표면의 수직경사도를 맞추어 주는 경사도 보정장치의 역할을 상기 했듯이 본 발명에서는 지주대(213)와 그 수평힌지핀(212)이 하게 된다.
또한 작업편의와 생산성향상을 위해 설치되었던 종래의 마킹지 로딩장치가 종래 문제점에서 기술하였듯이 오히려 그 반대로 작용하고, 제작비용의 증가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제거하였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상세한 작용을 첨부한 도면 도 8,9,10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해보고자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구동부와 본체부의 작동은 본 출원인이 2000년 12월 27일자로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00-0082563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술되어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 상태에서 기술하기로 한다.
작업자가 마킹지 원단롤 고정척(25)에 마킹지를 장착하여 마킹지를 풀어서 보조로울러(209)와 유동축 보조로울러(60,61)를 통과하여 후지분리 로울러(204)까지 당겨온 다음에 전지(301)와 인쇄지(302)로 된 마킹지와 후지(303)를 분리하여 상기 마킹지는 압착로울러(201)로 당겨오고, 후지(303)는 후지배지 로울러(311)를 거쳐 후지롤(312)에 감아 준비작업을 마친다.
이어서 제어패널의 버튼조작에 의해 에어실린더(221)가 작동되어 그 슬라이더(222)가 슬라이더 레일(223)에서 미끄러지게 되고, 구름로울러(231)가 그 구름지지판(232)에서 롤링되면서 압착로울러 어셈블리가 컨테이너의 요철표면에 접촉밀착되면 구동모터(11)가 구동되어 구동바퀴가 가이드레일(13)에서 롤링되면서 마킹지 자동부착장치가 도 10에서 처럼 일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마킹지 자동부착장치가 일방향으로 진행하게 되면서 마킹지 원단롤 모터(30)와 후지롤 모터(29)가 구동되면서 마킹지는 풀리고 후지(303)는 감기면서 전지(301)와 인쇄지(302)로 된 마킹지(300)가 압착로울러(201)에 의해 컨테이너의 요철표면에 부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동되는 마킹지 자동부착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구성이 요철표면에서 작용되는 동작을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최초 압착로울러가 요철표면의 골이나 마루의 어디에 있든 관계는 없다.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요철표면의 마루에 있는 상태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와는 달리 압착로울러(201)가 요철표면의 마루에 위치함에 따라 후방 스프링(208)이 그 슬라이더(241)와 슬라이더 레일(242)에 의해 미끄러지면서 압축되어 요철표면에 마킹지를 부착할 수 있는 적당한 압력을 가하는 상태에서 마킹지 자동부착장치가 일방향으로 진행하게되면서 마루에 상기 압착로울러(201)가 마킹지(300)를 부착하게 된다.
연속하여 우측 경사면(401)을 따라 압착로울러(201)가 하강하게 되면서 가이드로울러(205)도 마찬가지로 우측 경사면(401)을 따라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에어실린더(221)가 전진작동하여 압착로울러 어셈블리가 전진되면서 우측 경사면(401)을 따라 상기 압착로울러(201)와 가이드로울러(205)가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우측 경사면(401)을 따라 하강하게 되면 압착로울러 어셈블리와 구동수단의 연결부위에 설치된 수직힌지핀(211)으로 된 수평회동부에 의해 압착로울러 어셈블리, 후지분리 로울러(204) 및 보조로울러(209)가 설치된 지지판(500)이 상기 우측 경사면(401)의 각도에 맞게 우측으로 회동된다.
다시 말해서 요철표면의 경사면이 우측 경사면(401)인 경우에는 좌측에서 압력을 받기때문에 지지판(500)이 우측으로 회동되면서 우측 스프링(207)이 상기 우측 경사면(401)에 맞게 압력을 유지하면서 압축되게 되고, 상기 좌측 스프링과 가이드로울러(205)의 지지대(205b)를 통해 연결된 좌측 스프링(206)은 신장되게 된다.
그리고 우측 경사면(401)을 지나가면서 마킹지를 압착로울러(201)가 눌러 붙인 다음에 요철표면의 골에 위치하게 되면 우측으로 회동되었던 지지판(500)이 원위치되어 계속해서 마킹지를 상기 골에 눌러 붙이게 되고, 좌측 경사면(402)에 도달하게 되면 에어실린더(221)가 후진작동하게 되는데, 압력유지장치인 레규레타(미도시)가 에어실린더(221) 내의 압력이 일정치 이상으로 되지 않도록 해`주므로 후진작동을 멈추지 않고 자연스럽게 뒤로 밀리게 됨에 따라 압착로울러 어셈블리가 후진되면서 좌측 경사면(402)을 따라 상기 압착로울러(201)와 가이드로울러(205)가 상승하게 된다.
즉, 우측에서 압력을 받기 때문에 상기 지지판(500)이 좌측 경사면(402)의 각도에 맞게 원위치에서 좌측으로 회동되면서 좌측 스프링(206)이 상기 좌측 경사면(402)에 맞게 적절한 압력을 유지하면서 압축되게 되고, 상기 우측 스프링과 가이드로울러(205)의 지지대(205b)를 통해 연결된 우측 스프링(207)은 신장되게 된다.
이와 같이, 압착로울러(201)가 요철표면의 골과 마루 그 좌/우측 경사면(401,402)에서 좌/우 스프링(206,207)과 후방 스프링(208)에 의해서 요철표면에 적당한 압력을 가하는 상태에서 마킹지를 부착하게 된다.
이렇게 좌/우 스프링(206,207)과 후방 스프링(208)에 의해서 압착로울러(201)가 요철표면에 적당한 압력을 가하게 되는데, 특히 압착로울러(201)가 우측 경사면으로 하강시보다 좌측 경사면으로 상승시에 더 많은 압력을 받지만 요철표면의 압력유지용인 좌측 스프링(206)이 요철표면에 적절한 압력을 가하면서 압축됨에 따라 마킹지 자동부착장치의 일정한 진행속도와 에어실린더(221)가 전후진되는 반응속도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종래와 달리 자연스럽게 순간적으로 멈춘 다음에 재 상승하게 되므로 들뜸이나 찢김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고르게 부착되게 된다.
지금까지는 요철표면의 승/하강시, 가이드로울러(205)의 수평힌지핀(205a), 압착로울러(201)의 좌/우측 스프링(206,207)과 후방스프링(208) 그리고 마킹지 압착부를 수평회동시키는 수직힌지핀(211)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요철표면의 수직경사도가 존재하게 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수평힌지핀(212)이 그 수직경사각에 맞도록 보정작동하게 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실린더(221)가 전진작동하여 요철표면에 부착될 때, 요철표면에 수직경사도가 존재하게 되면 수평회동부의 수평힌지핀(212)을 중심으로 지주대(213)가 회전하게 된다.
예컨대, 컨테이너의 하단부가 내측으로 들어간 형태( / )로 요철표면이 하향경사져 있을 경우에는 하단부쪽 에어실린더(221)가 상단부쪽 에어실린더(221)보다 더 전진작동하게 되므로 지주대(213)가 상기 수평힌지핀(212)을 중심으로 수직경사각에 맞게 회동되어 압착로울러가 요철표면에 완전밀착 접촉되게 된다.
그리고 컨테이너의 상단부가 내측으로 들어간 상기와 반대형태로 상향경사져 있을 경우에는 상단부쪽 에어실린더(221)가 하단부쪽 에어실린더(221)보다 더 전진작동하게 되므로 지주대(213)가 상기 수평힌지핀(212)을 중심으로 수직경사각에 맞게 회동되어 압착로울러가 요철표면에 완전밀착 접촉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수평힌지핀(212)을 중심으로 지주대(213)가 유동되므로 종래의 경사도 보정장치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경사도 보정장치와 민감성, 신속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었던 마킹지 로딩장치가 제거되어 디자인이 미려하고 컴팩트화 됨과 아울러 경사도 보정장치 대신에 압착로울러, 가이드로울러 및 신축부재로 된 마킹지 압착부, 수평회동부 및 수직회동부로 이루어진 압착로울러 어셈블리에 의해 컨테이너 요철표면의 수직경사가 보정되며, 요철표면의 골과 마루사이의 경사면에서 압착로울러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마킹지의 들뜸 및 찢김현상이 최대한 방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9)

  1. 구동부와 본체부로 이루어진 컨테이너 표면의 마킹지 자동부착장치에 있어서, 지지로울러에 의해 지지되어 마킹지를 컨테이너의 요철표면에 눌러 붙이는 압착로울러와 상기 압착로울러가 요철표면에 접촉되어 승하강시 작동되는 다수의 신축부재 및 상기 요철표면에 접촉되어 구름운동하는 가이드로울러로 된 마킹지 압착부, 상기 마킹지 압착부를 수평회동시키는 수평회동부 및 상기 마킹지 압착부를 수직회동시키는 수직회동부로 이루어진 압착로울러 어셈블리와; 상기 압착로울러 어셈블리를 전/후진시키는 구동수단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요철표면의 마킹지 자동부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울러는 그 지지대(205b)에서 수직회동되도록 수평힌지핀(205a)에 의해 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요철표면의 마킹지 자동부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회동부는 마킹지 압착부가 설치되는 지주대(213)와 그 수평힌지핀(21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요철표면의 마킹지 자동부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울러는 압착로울러가 1차적으로 요철표면에접촉되어 후방에 설치된 신축부재가 압축됨에 따라 압착로울러가 뒤로 밀리면서 2차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요철표면의 마킹지 자동부착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압착로울러가 상기 요철표면의 골과 마루 사이의 경사면 승하강시 좌우작동되는 신축부재와, 상기 요철표면의 골과 마루에서 전후작동되는 신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요철표면의 마킹지 자동부착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작동 신축부재는 상호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요철표면의 마킹지 자동부착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작동 신축부재는 슬라이더와 그 슬라이더 레일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요철표면의 마킹지 자동부착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압착로울러(201)가 요철면의 마루에서 뒤로 밀릴 때에도 실린더 내의 압력이 일정치 이상으로 되지 않도록 레규레타가 부착된 에어실린더(221)와; 상기 에어실린더에 의해 미끄럼운동을 하는 슬라이더(222)와 그 슬라이더 레일(223)로 구성하여 상기 압착로울러 어셈블리의 상부와 하부의일측에 설치하되, 상기 하부에는 구름로울러(231)와 상기 구름로울러의 구름지지판(232)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요철표면의 마킹지 자동부착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울러와 신축부재는 지주대(213)에 의해 압착로울러(205)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요철표면의 마킹지 자동부착장치.
KR10-2002-0073770A 2002-11-26 2002-11-26 컨테이너 요철표면의 마킹지 자동부착장치 KR100454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770A KR100454527B1 (ko) 2002-11-26 2002-11-26 컨테이너 요철표면의 마킹지 자동부착장치
CNB021554692A CN1277723C (zh) 2002-11-26 2002-12-13 集装箱凹凸面标记纸自动粘贴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770A KR100454527B1 (ko) 2002-11-26 2002-11-26 컨테이너 요철표면의 마킹지 자동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985A KR20040045985A (ko) 2004-06-05
KR100454527B1 true KR100454527B1 (ko) 2004-11-03

Family

ID=34270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3770A KR100454527B1 (ko) 2002-11-26 2002-11-26 컨테이너 요철표면의 마킹지 자동부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54527B1 (ko)
CN (1) CN127772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5190A (ja) * 2005-11-09 2009-04-09 パスポート システムズ, インク. 貨物及び物品の能動的非侵入性検査及び確認を行うシステム及び方法
CN107651261B (zh) * 2017-10-31 2024-01-16 广州市威码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打标贴标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7038A (ja) * 1987-06-03 1988-12-14 Nitto Electric Ind Co Ltd テ−プ貼着装置の貼着ヘッド
JPH06321227A (ja) * 1993-04-30 1994-11-22 Kobayashi Kirokushi Kk ラベル貼着装置
KR19980040242A (ko) * 1996-11-29 1998-08-17 민효근 컨테이너의 요철면 마킹장치
JPH1120814A (ja) * 1997-06-30 1999-01-26 Nippon Steel Corp 帯状ラベルの自動貼付ヘッド
KR20020053203A (ko) * 2000-12-27 2002-07-05 민효근 콘테이너표면 마킹지자동부착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7038A (ja) * 1987-06-03 1988-12-14 Nitto Electric Ind Co Ltd テ−プ貼着装置の貼着ヘッド
JPH06321227A (ja) * 1993-04-30 1994-11-22 Kobayashi Kirokushi Kk ラベル貼着装置
KR19980040242A (ko) * 1996-11-29 1998-08-17 민효근 컨테이너의 요철면 마킹장치
JPH1120814A (ja) * 1997-06-30 1999-01-26 Nippon Steel Corp 帯状ラベルの自動貼付ヘッド
KR20020053203A (ko) * 2000-12-27 2002-07-05 민효근 콘테이너표면 마킹지자동부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7723C (zh) 2006-10-04
CN1502526A (zh) 2004-06-09
KR20040045985A (ko) 200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82019B2 (en) Screen printing apparatus
JP3650194B2 (ja) 巻付け具用の保持台およびシートを処理する処理装置
US4869775A (en) Tab depositing dispenser
KR100454527B1 (ko) 컨테이너 요철표면의 마킹지 자동부착장치
CN208361461U (zh) 一种烫金机的收卷装置
KR20110080732A (ko) 비닐필름 절단장치
US5172871A (en) Apparatus for guiding a web of material across a driven drum
US4397710A (en) Machine for applying indicia to tapered or straight cylindrical articles
CN210236549U (zh) 一种升降换卷放布装置
CN113022119A (zh) 一种热压烫金流水线
CN109928243B (zh) 一种拉布机的进布结构
JP7367039B2 (ja) 複数の梱包用の厚紙シートを互いに連続的に接合することによって、梱包用の厚紙片を具現化するための装置
CN2853404Y (zh) 织带丝印铺料定位装置
CN111453481B (zh) 一种彩印设备的送纸结构
KR100449313B1 (ko) 액체 코팅기
KR0177522B1 (ko) 구동벨트의 제조에서 탄성물질로 구성되는 슬리이브 상에 확인 명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212608412U (zh) 一种塑料膜包装机
CN113522625B (zh) 一种自动化协同的鞋盒包装机构及其使用方法
KR200287015Y1 (ko) 액체 코팅기
JP2000326942A (ja) ラベル貼付装置
CN218434067U (zh) 一种纠偏防翻无轴放卷机
CN219794499U (zh) 一种拼接式装饰墙板
EP1465828B1 (en) Adhesive tape attaching jig
CN219381927U (zh) 一种印刷装置
CN214113130U (zh) 一种便于调节贴标位置的高效自动贴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