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3717B1 - 건축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 Google Patents

건축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3717B1
KR100453717B1 KR10-2002-0015094A KR20020015094A KR100453717B1 KR 100453717 B1 KR100453717 B1 KR 100453717B1 KR 20020015094 A KR20020015094 A KR 20020015094A KR 100453717 B1 KR100453717 B1 KR 100453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ormwork
coupling
foam plate
building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5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5735A (ko
Inventor
윤성호
윤순호
Original Assignee
윤순호
윤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순호, 윤성호 filed Critical 윤순호
Priority to KR10-2002-0015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3717B1/ko
Publication of KR20030075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5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3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37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11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 E04B2/861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both form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002/8676Wall end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 시공에 있어서 그 재질을 경량 단열재로 형성하여 벽체 및 슬라브의 시공에 있어 단열시공을 겸함과 더불어 거푸집의 해체작업을 하지않아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건축물의 벽체 또는 슬라브의 시공시 콘크리트 타설틀을 형성하는 종래의 거푸집에 있어서; 일정 규격의 판상으로 이루어진 발포판(100)과, 상기 발포판(100)의 사방테두리를 감싸게 구비되는 틀체(200)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거푸집을 단열성을 갖는 발포판으로 형성하므로서 콘크리트 타설틀의 시공후 해체작업을 실시하지 않아도 되어 건축물의 벽체 또는 슬라브 등의 시공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완료할 수 있으며 거푸집의 해체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축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A mold for construction concrete forming}
본 발명은 건축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시공에 있어서 그 재질을 경량 단열재로 형성하여 벽체 및 슬라브의 시공에 있어 단열시공을 겸함과 더불어 거푸집의 해체작업을 하지않아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시공에 있어서 거푸집은 벽체 또는 슬라브의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용 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대부분의 건축물시공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시공에 사용되는 거푸집은 대부분 합판의 배면에 목재를 보강하여 형성하였으나 이는 그 강도가 약하여 오래동안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한 거푸집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금속재로 이루어진 틀체를 형성하고 상기 틀체의 콘크리트 타설시의 접촉면에 판재를 고정설치함과 더불어 간격유지구의 결합을 위한 간격유지구 결합공을 형성하고, 콘크리트 타설과정에 있어 거푸집이 밀리지 않게 지지하는 지지파이프와 결합되는 걸고리구와의 결합을 위한 걸고리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거푸집을 시공하고자 하는 벽체의 양측 또는 슬라브의 바닥면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 타설틀을 형성한다. 이때, 간격유지구의 양단을 거푸집의 간격유지구 결합공에 키 결합시켜 간격이 유지되게 함과 더불어 연이어 설치되는 거푸집과 기존의 거푸집이 결합되게 하였다.
그리고, 거푸집이 타설되는 몰탈에 의하여 밀리지 않도록 지지파이프를 설치하고, 걸고리 결합공에 구속되는 걸고리구를 상기 지지파이프에 결합시켰다.
이상과 같이 시공된 콘크리트 타설틀에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하고 일정시간동안 방치하여 양생시키고, 양생이 완료되게 되면, 걸고리와 간격유지구를 구속하고 있는 키를 제거하여 거푸집을 해체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거푸집은 벽체의 시공완료 후 제거하여야 하므로 제거에 많은 시간과 경비가 소요되며, 해체된 거푸집을 보수에도 많은 비용이 소비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거푸집의 중량이 무거워 해체과정에 있어 작업자의 피로를 유발시키고 작업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낙하에 의한 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벽체의 시공후 별도의 단열시공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아여 창출한 것으로, 일정 규격의 판상으로 이루어진 발포판과 상기 발포판의 사방테두리를 감싸게 구비되는 틀체로 구성하여 거푸집에 콘크리트 타설틀의 시공과 더불어 단열시공이 완료되게 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배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판의 일 실시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틀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틀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틀체의
열전도차단을 위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틀체의
열전도차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틀체의
열전도차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틀체의
열전도차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틀의
바닥 고정구 결합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틀의 시공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틀의 시공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발포판 101 : 키결합공 110 : 표면강도보강층
200 : 틀체
201 : 보강리브 202 : 보강편
203 : 전도차단공 204 : 합성수지코팅층
205 : 간격유지구결합공 206 : 걸고리결합공
207 : 걸림공 208 : 바닥결합공
210 : 보강틀 211 : 결합부
220 : 망판 230 : 합성수지결합구
310 : 간격유지구 320 : 걸고리구
330 : 연결구 340 : 바닥고정구
350 : 결합키 360 : 지지파이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벽체 및 슬라브 거푸집의 시공시 단열시공을 겸하도록 하므로서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건축물의 벽체 또는 슬라브의 시공시 콘크리트 타설틀을 형성하는 종래의 거푸집에 있어서; 일정 규격의 판상으로 이루어진 발포판(100)과, 상기 발포판(100)의 사방테두리를 감싸게 구비되는 틀체(200)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발포판(100)은 다공성을 갖는 무기질발포판재 또는 발포합성수지판재로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발포합성수지판재로 형성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발포판(100)의 전면과 후면에의 일측 또는 양측면에 표면강도의 향상으로 위하여 스레트판과 시멘트 몰탈, 합성수지시트 및 직물 등과 같은 보강재로 이루어진 표면강도보강층(110)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발포판(100)의 내측면에 타설된 콘트리트와의 결합력 향상을 위하여 요철면으로 형성하여 실시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틀체(200)는 판재로 형성하고 굽힘강도를 갖도록 함과 더불어 발포판과의 결합력이 유지되게 그 내측면에 다수의 보강리브(201)를 돌출형성하여 실시하거나, 일측 또는 양측을 절곡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절곡된 내측 모서리에 절곡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한 다수의 보강편(202)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틀체(200)에는 외부의 온도에 변화에 따른 열전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다수의 전도차단공(203)을 형성하여 실시하거나, 상기 틀체(200)를 전, 후면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틀체를 열전도성이 낮은 합성수지결합구(230)에 의하여 결합되게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틀체(200)에는 외부에 단열성 유지를 위하여 합성수지코팅층(204)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분할된 틀체(200)의 단부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합성수지결합구(230)는 양측 단부에 끼움홈을 형성하여 실시하거나, 분할된 틀체(200)의 양단을 내측으로 절곡하고 상기 합성수지결합구(230)는 일측으로 각각의 틀체(200) 절곡부가 끼워 결합되는 끼움홈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틀체(200)는 양단에 상부틀과 하부틀에 결합되는 결합부(211)를 구비한 다수의 보강틀(210)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틀체(200)의 상, 하부틀을 다수개로 분할형성하고, 분할형성된 상, 하부틀은 보강틀(210)의 결합부(211)를 매개로 리벳 또는 용접 등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하여 결합되게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발포판(100)의 배면에는 강도를 유지함과 더불어 마감재와의 결합력 향상을 위하여 선재를 망상으로 형성하여 사방테두리가 틀체(200)에 결합되게 형성한 망판(220)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틀체(200)에는 콘크리트 타설틀의 형성시 내측와 외측의 간격 유지하는 간격유지구(310)의 결합을 위한 다수의 간격유지구결합공(205)과 배면지지를 위한 지지파이프(360)에 결합되는 걸고리구(320)의 결합을 위한 다수의 걸고리결합공(206)을 천공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틀체(200)의 간격유지구결합공(205)과 걸고리결합공(206)이 형성된 부위의 발포판(100)에는 결합키(350)의 끼움작업을 위한 키결합공(101)을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연이어 설치되는 틀체(200)와 틀체(200)의 결합을 위하여 클립형으로 형성되며 내측단부에는 틀체의 걸림공(207)에 결합되는 걸림돌기를 형성한 연결구(33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며, 콘크리트 타설틀의 시공시 바닥면에 설치되는 틀체(200)를 바닥에 고정할 수 있게 단부에 틀체(200)의 바닥결합공(208)과 결합되는 결합돌기을 돌출형성하고 외측 단부에 바닥고정공을 형성한 바닥고정구(34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틀의 시공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정 규격의 판상으로 이루어진 발포판(100)과, 상기 발포판(100)의 사방테두리를 감싸게 구비되는 틀체(200)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벽체와 슬라브의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틀을 시공하고자 할 경우에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틀체(200)에 바닥고정구(340)를 끼워 결합한 후 상기 바닥고정구(340)의 바닥고정공에 콘크리트 못을 박아 고정시킨다.
그리고, 기 설치된 거푸집 틀체(200) 상부의 간격유지구결합공(205)에 간격유지구(310)가 정위치되게 설치한 후 다른 거푸집을 적층하고, 상기 거푸집에 형성한 키결합공(101)을 통하여 결합키(350)를 결합하여 간격유지구(310)가 유동되지 않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다수의 거푸집을 적층 연결하여서 콘크리트 타설틀을 설치하고, 콘크리트 타설틀의 배면에는 지지파이프(360)를 설치한 후 걸고리구(320)를 상기 지지파이프(360)에 걸고, 걸어진 지지파이프(360)의 단부를 적층된 거푸집 사이를 통하여 걸고리결합공(206)에 밀어 넣은 후 상기 걸고리결합공(206)이 위치한 키결합공(101)을 통하여 결합키(350)를 결합하므로서 콘크리트 타설틀의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틀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탈을 콘크리트 타설틀에 채워 양생시킨후에는 걸고리구(320)와 지지파이프(360)만 해체하므로서 모든 시공이 완료되며, 외벽에 미장 등과 같은 마감작업을 실시하므로 단열시공없이 건축물의 벽체와 슬라브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거푸집을 단열성을 갖는 발포판으로 형성하므로서 콘크리트 타설틀의 시공후 해체작업을 실시하지 않아도 되어 건축물의 벽체 또는 슬라브 등의 시공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완료할 수 있으며 거푸집의 해체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벽체 또는 슬라브 등의 시공 후 단열시공을 실시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기가 단축되고 인건비도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16)

  1. 건축물의 벽체 또는 슬라브의 시공시 콘크리트 타설틀을 형성하는 종래의 거푸집에 있어서;
    일정 규격의 판상으로 이루어진 발포판(100)과, 상기 발포판(100)의 사방테두리를 감싸게 구비되는 틀체(200)로 구성하되,
    상기 발포판(100)의 배면에는 강도를 유지함과 더불어 마감재와의 결합력 향상을 위하여 선재를 망상으로 형성하여 사방테두리가 틀체에 결합되게 형성한 망판(22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판(100)의 일측면에 표면강도의 향상을 위한 표면강도보강층(11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판(100)의 내측면을 타설된 콘트리트와의 결합력 향상을 위하여 요철면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200)는 판재로 형성하고 굽힘강도를 갖도록 함과 더불어 발포판과의 결합력이 유지되게 그 내측면에 다수의 보강리브(201)를 돌출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200)는 판재로 형성하고 굽힘강도를 갖도록 일측을 절곡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200)에는 외부의 온도에 변화에 따른 열전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다수의 전도차단공(20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200)에는 외부의 온도에 변화에 따른 열전도를 최소화할 수 있게 상기 틀체(200)를 전, 후면으로 분할형성하고, 분할된 틀체(200)를 열전도성이 낮은 합성수지결합구(230)에 의하여 결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200)의 외측면에 단열성 유지를 위하여 합성수지코팅층(20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200)에 양단이 틀체(200)의 상부틀과 하부틀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틀(210)을 구비하고,
    상기 틀체(200)는 필요에 따라 상, 하부틀은 다수개로 분할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200)에는 콘크리트 타설틀의 형성시 내측와 외측의 간격 유지하는 간격유지구(310)의 결합을 위한 다수의 간격유지구결합공(205)과 배면지지를 위한 지지파이프(360)에 결합되는 걸고리구(320)의 결합을 위한 다수의 걸고리결합공(206)을 천공형성하고,
    상기 틀체(200)의 간격유지구결합공(205)과 걸고리결합공(206)이 형성된 부위의 발포판(100)에는 결합키(350)의 끼움작업을 위한 키결합공(10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16. 제 1 항에 있어서
    연이어 설치되는 틀체(200)와 틀체(200)의 결합을 위하여 클립형으로 형성되며 내측단부에 틀체의 걸림공(207)에 결합되는 걸림돌기를 형성한 연결구(330)를 구비하고,
    콘크리트 타설틀의 시공시 바닥면에 설치되는 틀체(200)를 바닥에 고정할 수 있게 단부에 틀체(200)의 바닥결합공(208)과 결합되는 결합돌기을 돌출형성하고 외측 단부에 바닥고정공을 형성한 바닥고정구(3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KR10-2002-0015094A 2002-03-20 2002-03-20 건축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KR100453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094A KR100453717B1 (ko) 2002-03-20 2002-03-20 건축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094A KR100453717B1 (ko) 2002-03-20 2002-03-20 건축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299U Division KR200277919Y1 (ko) 2002-03-20 2002-03-20 건축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735A KR20030075735A (ko) 2003-09-26
KR100453717B1 true KR100453717B1 (ko) 2004-10-20

Family

ID=32225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5094A KR100453717B1 (ko) 2002-03-20 2002-03-20 건축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37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986B1 (ko) * 2017-03-06 2017-11-08 채가영 거푸집 겸용 단열마감재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WO2022108039A1 (ko) * 2020-11-18 2022-05-27 이형록 거푸집 패널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042A (ko) * 1993-06-04 1995-01-03 조쌍길 건축용 거푸집 판넬의 제조방법
JPH0723539U (ja) * 1993-10-12 1995-05-02 タキロン株式会社 建築用パネル
JPH08170428A (ja) * 1994-12-16 1996-07-02 Sumitomo Chem Co Ltd 周縁部が閉塞された熱可塑性樹脂製中空板
KR100206296B1 (ko) * 1995-06-05 1999-07-01 요시오 구보다 건조물용 패널
JPH11303384A (ja) * 1998-04-21 1999-11-02 Haiesuto Home:Kk コンクリート型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215969Y1 (ko) * 2000-10-16 2001-03-15 주식회사우양지테크 폐자재를 이용한 거푸집
KR200268239Y1 (ko) * 2001-12-28 2002-03-15 영산개발 주식회사 거푸집용 합성 수지 판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042A (ko) * 1993-06-04 1995-01-03 조쌍길 건축용 거푸집 판넬의 제조방법
JPH0723539U (ja) * 1993-10-12 1995-05-02 タキロン株式会社 建築用パネル
JPH08170428A (ja) * 1994-12-16 1996-07-02 Sumitomo Chem Co Ltd 周縁部が閉塞された熱可塑性樹脂製中空板
KR100206296B1 (ko) * 1995-06-05 1999-07-01 요시오 구보다 건조물용 패널
JPH11303384A (ja) * 1998-04-21 1999-11-02 Haiesuto Home:Kk コンクリート型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215969Y1 (ko) * 2000-10-16 2001-03-15 주식회사우양지테크 폐자재를 이용한 거푸집
KR200268239Y1 (ko) * 2001-12-28 2002-03-15 영산개발 주식회사 거푸집용 합성 수지 판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986B1 (ko) * 2017-03-06 2017-11-08 채가영 거푸집 겸용 단열마감재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WO2022108039A1 (ko) * 2020-11-18 2022-05-27 이형록 거푸집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735A (ko) 200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01735C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on of structures utilizing insulated concrete forms
KR200481707Y1 (ko)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KR100977804B1 (ko) 줄눈 가변형 갱폼
JP2016501330A (ja) 鋳型枠及びこれを用いた鋳型設置方法
KR101523987B1 (ko) 벽체 거푸집에 사용되는 h형 고정구와 이를 이용한 벽체용 에코 거푸집의 제작방법
KR101516743B1 (ko) 내외벽 연결 구조용 거푸집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JP2015535315A (ja) Hバー、並びにこのhバー及び非金属製せき板を用いた型枠設置方法
KR100453717B1 (ko) 건축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US20230272629A1 (en) Formwork panel
KR102128291B1 (ko) 철근 콘크리트 천장의 단열재 고정장치
KR200277919Y1 (ko) 건축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EP0285538B1 (en) Partition-panel for interior compartmentation of buildings; procedure and device for its manufacture
KR101372410B1 (ko) 슬라브 시공용 블록
ITPD980220A1 (it) Cassero a perdere per solai
KR20140130808A (ko)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JP2005188194A (ja) 組立式型枠ユニット
KR101933535B1 (ko) 인서트형 철근고정구
JP4546979B2 (ja) 取り付け手段を有する型枠用部材とコンクリート壁形成方法
CN109653405A (zh) 混凝土隔墙和楼地面及免拆面板的模板装置和支护方法
KR102300731B1 (ko) 외단열재 일체형 갱폼을 구비한 외단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
KR100934633B1 (ko) 건축용 황토 폼
KR101480282B1 (ko) 슬라브 시공방법
JP2004324369A (ja) 型枠兼断熱建材およびその建材の連結金具
KR102115165B1 (ko) 패널 어셈블리
JPH09296551A (ja) コンクリート壁の鉄筋組構造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コンクリート壁の構築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