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3353B1 - 헤어케어조성물 - Google Patents

헤어케어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3353B1
KR100453353B1 KR1019960072561A KR19960072561A KR100453353B1 KR 100453353 B1 KR100453353 B1 KR 100453353B1 KR 1019960072561 A KR1019960072561 A KR 1019960072561A KR 19960072561 A KR19960072561 A KR 19960072561A KR 100453353 B1 KR100453353 B1 KR 100453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hair
acrylate
phosphorescent
mic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2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3455A (ko
Inventor
김주휘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19960072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3353B1/ko
Publication of KR19980053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3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3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33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61Q5/065Preparations for temporary colouring the hair, e.g. direct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4Luminescent, Fluorescent; Optical brighteners; Photosensitiz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세팅 중합체, 인광성 축광안료 및 진주광택안료를 함유함을 특징으로하여 일반 헤어케어 제품과 같이 모발의 스타일을 고정시키는 작용을 하는 동시에 주간에는 사용한 부위에서 일시적인 착색효과를 나타내고 야간에는 사용부위에서 다양한 인광성 빛을 발하는 헤어케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혜어케어 조성물
본 발명은 헤어세팅 중합체, 인광성 축광안료 및 진주광택안료를 함유함을 특징으로하여 일반 헤어케어 제품과 같이 모발의 스타일을 고정시키는 작용을 하는 동시에 주간에는 사용한 부위에서 일시적인 착색효과를 나타내고 야간에는 사용부위에서 다양한 인광성 빛을 발하는 혜어케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헤어케어 제품의 주기능은 원하는 스타일로 모발을 고정시키고 모발을 정돈하여 단정하게 하는 것이지만, 이러한 기능외에 모발에 일시적인 착색 효과를 부여하거나 사용한 부분이 어두운 곳에서 발광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과 같이 새로운 기능을 부가시킨 헤어케어 제품도 있다.
이와 같은 모발착색용 헤어케어 조성물에는 스타일의 고정을 위한 셋팅 중합체와 함께 착색을 목적으로한 색소 또는 안료가 사용된다. 일시적 모발 착색용 헤어케어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안료로는 진주광택 안료(Pearlesent Pigment)를 들 수 있는데, 이는 피착색물에 진주광택, 홍채색, 또는 금속감과 같은 특수한 광학적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안료로서 박편상의 입자가 피착색물 중에서 규칙적인 평행배열을 이루어 광을 반사시킴으로써 반사광이 간섭을 일으키는 작용기작에 따라 진주 광택을 부여하게 된다.
종래에는 천연의 진주광택 안료로서 물고기 비늘에 주로 존재하는 구아닌(Guanine)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화학적으로 유사한 퓨린(Purine)계열인 구아닌(Guanine)과 하이포잔틴(Hypoxanthine)의 혼합물(주성분이 구아닌이므로 구아닌으로 명명)로서 고가라는 단점이 있으므로 보다 저렴한 합성 진주광택 안료에 의해 점점 대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합성 진주광택 안료로는 비스무트 옥시클로라이드(Bismuth Oxychloride)를 언급할 수 있는데, 이는 정방정계의 결정으로 합성되며 결정이 큰 것이 더 빛나는 광채를 띤다. 그러나, 이 안료역시 빛에 대한 안정성이 약하다는 단점이 발견되어 현재는 이산화티탄 피복운모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산화티탄 피복운모는 운모를 평활한 박편상 입자로 제조하고 이것을 핵으로하여 그 표면에 균일한 이산화티탄층을 형성시킨 것이다. 이산화티탄의 경우에는 운모와 티탄의 계면에서도 광이 분산되어 간섭을 일으키고 산화티탄층의 두께에 따라 간섭하여 광의 파장을 변화시키므로 여러 가지 간섭색이 얻어진다,
한편, 발광 헤어케어 조성물에는 셋팅 중합체외에 축광안료가 사용되는데, 이것은 태양광이나 형광 등의 빛의 자극을 받아 에너지를 흡수하고 이렇게 흡수한 에너지를 가시광으로 변환시켜 자극정지 후에도 빛을 서서히 방출시키면서 계속 발광하는 현상을 오래 반복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어떠한 형태의 에너지에 의해 자극을 받은 물질이 빛을 방출시킬 때 그 자극을 받고 있는 동안만의 발광을 일반적으로 형광(Fluorescence)이라하고 자극이 정지된 후에도 지속하는 발광을 인광(Phosphorescence)이라 하며, 인광에 비하여 잔광이 긴 것을 축광(Photostorage)이라 한다, 우리 생활 주변에는 전기스위치나 콘센트, 계단, 도로, 소화기 등의 위치인식용 표시나 신호, 우산, 지하도, 피난장치, 작업복 등의 위험방지 표시, 벽면, 타일 등의 건조물, 광고, 인쇄물 등의 장식품, 낚시도구등에서 이러한 발광성을 이용한 것들을 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모발의 고정 및 정돈이라는 헤어케어 조성물 본래의 기능이외에 헤어케어 제품을 사용한 부위가 주간에는 일시적인 착색효과를 나타내 멋내기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야간에는 어두운 곳에서 다양한 빛으로 발광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집중적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통상의 헤어세팅 중합체와 함께 인광성 축광안료와 진주광택안료를 동시에 함유하도록 헤어케어 조성물을 제조하면 인광성 축광안료와 진주광택안료가 상호작용하여 이러한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헤어세팅 중합체와 함께 진주광택안료 및 인광성 축광안료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케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진주광택안료 및 인광성 축광안료를 동시에 함유시키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헤어케어 조성물은 모발 스타일의 고정 및 정돈이라는 헤어케어 조성물 본래의 기능을 나타낼 뿐아니라, 인광성 축광안료와 진주광택안료의 상호작용에 의해, 첫째 한 번의 적용으로 주간에는 진주광택안료의 색상에 의해 모발의 일시적인 착색효과를 나타내고 야간에는 인광성 축광안료가 모발에서 발광하며, 둘째 전구광택안료의 영향으로 축광안료에 의한 발광효과의 색감이 다양하게 변화하고, 셋째 축광안료에 의한 발광효과가 진주광택안료에 의해 상승적으로 발휘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케어 조성물에서 모발의 고정 및 정돈을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헤어세팅 중합체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크로톤산/비닐네오데카노에이트 삼중합체,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비닐프로피오네이트크로톤산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크로토네이트 공중합체, 메타크로일에틸베타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비닐카프로락탐/피브이피/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t-부틸아크릴레이트/에틸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이들 헤어세팅 중합체는 모발 스타일의 고정 이외에도 모발부위에 부착된 착색체나 축광안료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헤어세팅 중합체는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 범위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1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소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어렵고 10중량% 를 초과 사용하는 경우에는 셋팅효과의 상승 정도가 경미하기 때문이다.
착색제로 사용된 진주광택 안료의 구체적인 예로는 마이카아이런옥사이드, 마이카아이런옥사이드티타늄디옥사이드, 마이카티타늄디옥사이드페릭페로시아나이드, 마이카티타늄디옥사이드아이런옥산이드카민, 마이카티타늄디옥사이드카민 및 마이카티타늄디옥사이드크로늄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언급할 수 있다. 진주광택 안료를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1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면 착색효과가 전혀 없고 1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착색효과의 상승정도가 경미하므로 조성물 총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범위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인광성 축광안료로는 황화아연(ZnS)에 동(Cu)를 첨가한 황화아연:구리도핑물(Zinc Sulfide Copper Doped(ZnS:Cu); Nemoto사 제품), 또는 알루미늄옥사이드(Aluminum Oxide), 칼슘옥사이드(Calcium Oxide), 스트론튬옥사이드(Strontium Oxide), 유로피엄옥사이드(Europium Oxide), 보론옥사이드(Boron Oxide) 등으로 구성된 Picariko CP-05 (ChemiTech. 사 제품)를 사용하는데, 이를 조성물 총량에 대해서 1 내지 10중량% 범위로 사용한다. 1중량% 미만 사용하면 휘도가 낮아서 바람직하지 않고, 10중량% 초과하여 사용하면 헤어케어 조성물의 안정성에 좋지않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케어 조성물은 상기 설명한 성분 이외에도 일반적인 헤어케어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인 점증제, 중화제, 거품형성제(계면활성제), 컨디셔닝제, 금속이온 봉쇄제, 방부제, 조합향료, 자외선 차단제 및 에탄올 용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어떤 성분을 어떤 함량으로 포함시키는가는 그때그때의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극히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헤어케어 조성물은 젤, 무스 또는 스프레이 제형으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무스 또는 스프레이 제형으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프로판, 노말 부탄, 이소부탄,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에어졸 추진제를 단독으로 또는 2종이상 혼합하여 사용하고 인광성 축광안료와 진주광택 안료의 분산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금속이나 유리, 세라믹등으로 만든 구슬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2
하기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을 갖는 실시예 1 내지 6 의 조성물 및 비교예 1 내지 2 의 조성물을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헤어젤 타입으로 제조하였다.
정제수에 카복시비닐폴리머를 분산시킨 후 Picariko CP-05, ZnS:Cu 도핑물, 마이카아이런옥사이드 및 마이카티타늄디옥사이드페릭페로시아나이드카민을 가하여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여기에 트리에탄올아민을 가하여 젤을 수득한 후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공중합체를 포함한 나머지 성분을 가하여 혼합하고 가용화시켜 헤어젤을 제조하였다.
[표 1]
실시예 7 내지 12 및 비교예 3 내지 4
하기 표 2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7 내지 12 의 조성물 및 비교예 3 내지 4 의 조성물을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헤어무스 타입으로 제조하였다.
정제수에 Picariko CP-05, ZnS:Cu 도핑물, 마이카아이런옥사이드, 마이카티타늄디옥사이드페릭페로시아나이드카민을 가하여 균일하게 분산시킨 다음,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한 나머지 성분을 가하여 균일하게 용해시켰다. 제조 원액을 캔에 넣고 LPG를 주입하여 헤어무스를 제조하였다.
[표 2]
실시예 13 내지 18 및 비교예 5 내지 6
하기 표 3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3 내지 18 의 조성물 및 비교예 5 내지 6 의 조성물을 하기 제조방법에 따라 헤어스프레이 타입으로 제조하였다.
에탄올에 아미노에틸프로파놀을 가하여 용해시킨 후,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t-부틸아크릴레이트/에틸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를 가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여기에 Picariko CP-05, ZnS:Cu 도핑물, 마이카아이런옥사이드 및 마이카티타늄디옥사이르페릭페로시아나이드카민을 가하여 균일하게 분산시킨 후 나머지 성분을 마저 가하여 균일하게 용해시켰다. 마지막으로 제조 원액을 캔에 충진시킨 후 LPG를 주입하여 헤어스프레이를 제조하였다.
[표 3]
실험예 1
표 1 내지 3에서 따라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6의 헤어케어 조성물에 대하여 착색효과, 발광효과 및 색감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여 평가하였다. 즉, 남, 녀 각각 10 명씩 20명으로 하여금 헤어케어 조성물 2g씩을 모발단면적 100㎠에 도포하도록 한 후 착색 효과를 육안으로 판별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발광효과 및 색감은 피험자를 15W 형광등 하에서 30cm 거리를 두고 10 분간 방치한 다음 암실에서 발광효과 및 색감을 육안 판별 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하기 표 4 내지 6 에 기재하였다.
[표 4]
[표 5]
[표 6]
주)평가기준 ×: 나쁜 또는 없음 △:보통 ○:우수 ◎:아주 우수
상기 표 4 내지 6 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비교예 2와 축광안료 함량은 동일하나 진주광택안료가 추가로 함유되어 있는 실시예 2 및 6의 조성물의 경우 발광효과가 더 좋았으며 서로 다른 진주광택 안료의 영향에 의해 육안 평가시 시각적으로 느껴지는 발광효과의 색감이 달랐다. 이러한 효과는 헤어젤 뿐아니라 헤어무스 및 헤어스프레이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진주광택 안료와 축광안료의 함량이 높을수록 효과가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어케어 조성물은 통상의 성분 이외에 인광성 축광안료와 진주광택 안료를 추가로 함유하도록 제조됨으로써, 모발 스타일의 고정 및 정돈이라는 헤어케어 조성물 본래의 기능을 나타낼 뿐아니라, 인광성 축광안료와 진주광택안료의 상호작용에 의해, 첫째 한 번의 적용으로 주간에는 진주광택안료의 색상에 의해 모발의 일시적인 착색효과를 나타내고 야간에는 인광성 축광안료가 모발에서 발광하며, 둘째 진주광택안료의 영향으로 축광안료에 의한 발광효과의 색감이 다양하게 변화하고, 셋째 축광안료에 의한 발광효과가 진주 광택안료에 의해 상승적으로 발휘되는 등의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헤어케어 조성물은 이러한 멋내기 목적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2)

  1. 헤어세팅 중합체 1 내지 10중량%, 인광성 축광 안료 1 내지 10중량% 및 진주광택 안료 1 내지 10중량%를 함유하며, 여기서 상기 헤어세팅 중합체가 폴리비닐피롤리돈, 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크로톤산/비닐네오데카노에이트 삼중합체,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비닐프로피오네이트크로톤산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크로토네이트 공중합체, 메타크로일에틸베타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비닐카프로락탐/피브이피/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t-부틸아크릴레이트/에틸아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인광성 축광 안료가 황화아연(ZnS)에 동(Cu)를 첨가시킨 황화아연:구리도핑물(Zinc Sulfide Copper Doped(ZnS:Cu)) 또는 Picariko CP-05이며, 또한 상기 진주광택 안료가 마이카아이런옥사이드, 마이카아이런옥사이드티타늄디옥사이드, 마이카티타늄디옥사이드페릭페로시아나이드, 마이카티타늄디옥사이드아이런옥사이드카민, 마이카티타늄디옥사이드카민 및 마이카티타늄디옥사이드크로늄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케어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젤, 무스 또는 스프레이 제형으로 제조된 조성물.
KR1019960072561A 1996-12-26 1996-12-26 헤어케어조성물 KR100453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2561A KR100453353B1 (ko) 1996-12-26 1996-12-26 헤어케어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2561A KR100453353B1 (ko) 1996-12-26 1996-12-26 헤어케어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455A KR19980053455A (ko) 1998-09-25
KR100453353B1 true KR100453353B1 (ko) 2005-04-13

Family

ID=37301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2561A KR100453353B1 (ko) 1996-12-26 1996-12-26 헤어케어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33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9705A (ko) 2020-03-25 2021-10-06 이진선 모발용 액상 케어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206B1 (ko) * 2020-11-20 2021-10-13 강다현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는 두피교정 모발교정 방법, 그리고 그 두피 및 헤어케어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8309A (ja) * 1984-04-16 1985-11-01 Nippon Oil & Fats Co Ltd パ−ル状ヘア−リンス
US4777039A (en) * 1984-11-09 1988-10-11 Wella Aktiengesellschaft Pearlescent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US5213792A (en) * 1988-11-08 1993-05-25 Wella Aktiengesellschaft Storage-stable pearlescent hair-conditioning compositions
KR19980028100A (ko) * 1996-10-21 1998-07-15 성재갑 일시 모발 착색용 칼라 헤어무스 조성물
KR19980037290A (ko) * 1996-11-21 1998-08-05 성재갑 헤어케어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8309A (ja) * 1984-04-16 1985-11-01 Nippon Oil & Fats Co Ltd パ−ル状ヘア−リンス
US4777039A (en) * 1984-11-09 1988-10-11 Wella Aktiengesellschaft Pearlescent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US5213792A (en) * 1988-11-08 1993-05-25 Wella Aktiengesellschaft Storage-stable pearlescent hair-conditioning compositions
KR19980028100A (ko) * 1996-10-21 1998-07-15 성재갑 일시 모발 착색용 칼라 헤어무스 조성물
KR19980037290A (ko) * 1996-11-21 1998-08-05 성재갑 헤어케어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9705A (ko) 2020-03-25 2021-10-06 이진선 모발용 액상 케어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455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3696B2 (ja) 肌化粧料用色材組成物、それを用いたファンデーション、化粧方法
JP2003500344A (ja) 蛍光増白剤を含む化粧品組成物
DE19646804A1 (de) Fluoreszentes Aufhellen von kosmetischen Zusammensetzungen
WO1997049379A1 (en) Composition for simultaneously lightening and coloring hair
KR20000035158A (ko) 광응답성 고연색 메이크업 화장료
WO2007055529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make up containing the interference color pigment and preparing method of the same
US7628998B2 (en) Colored cosmetic compositions with pearlescent and color pigment blends
KR100453353B1 (ko) 헤어케어조성물
JPS58198410A (ja) 化粧料
JP2001288038A (ja) 化粧料
BR0211188A (pt) Composição que contém um peptìdeo e um pigmento e o uso da mesma no escurecimento da pele
CA2253981A1 (en) Novel bis-(2,4-diaminophenoxy) benzenes and their use as coupling components in oxidative hair coloring compositions and methods
BR9713545A (pt) Emulsões de bronzeamento sem sol com desaparecimento de cor
US7097668B2 (en) Temporary hair dye composition
WO2010090380A1 (en) Composition of a temporary hair thickener
JPS58124713A (ja) 塗髪用カラ−エアゾ−ル
JP3816868B2 (ja) 固形化粧料
JPH1087437A (ja) 蓄光ネイルエナメル
JPH10291917A (ja) 睫用化粧料
KR101508192B1 (ko) 수열합성법으로 제조된 수산화마그네슘을 이용한 판상 안료 표면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소프트 포커스 화장료 조성물
KR100416931B1 (ko) 헤어케어 조성물
JP2003040726A (ja) 化粧料
AU614822B2 (en) Hair-dyeing composition
RU2438647C1 (ru) 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художественного образа (варианты)
JP7260237B2 (ja) 色調安定性の改善された人工爪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