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3169B1 -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애 검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애 검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3169B1
KR100453169B1 KR10-2002-0040417A KR20020040417A KR100453169B1 KR 100453169 B1 KR100453169 B1 KR 100453169B1 KR 20020040417 A KR20020040417 A KR 20020040417A KR 100453169 B1 KR100453169 B1 KR 100453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e
base station
bad
calculating
total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0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7830A (ko
Inventor
한영근
안성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2-0040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3169B1/ko
Publication of KR20040007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7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3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3169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통화 내역을 이용하여 기지국의 장애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애 검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전화 단말기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무선 통신하는 다수의 기지국들과,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상기 기지국들과 간의 통화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통화정보로부터 상기 기지국별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의 불량통화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불량통화정보로부터 상기 기지국들 중 불량 기지국을 추출하는 추출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이동전화 단말기 가입자들의 일별 통화내역에서 기지국별 10초율, 소통율, 완료율, 절단율 및 전환율 각각을 산출한 후 각각을 기지국별 전체 사용자수 및 전체 사용건수로 나누어 기지국별로 기지국별 10초율CTN수, 완료율 불량CTN수, 소통율 불량CTN수, 절단율 불량CTN수 및 전환율 불량CTN수 각각을 산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산출된 기지국별 10초율CTN수, 완료율 불량CTN수, 소통율 불량CTN수, 절단율 불량CTN수 및 전환율 불량CTN수 중 가장 높은 불량률을 나타내는 기지국을 추출함으로써 기지국 장애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애 검출장치 및 방법{FAULTON DETE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BASE TRANSCEIVER ST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통화 내역을 이용하여 기지국의 장애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애 검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전화 단말기(Mobile Telephone)와 이동전화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과 이동전화 교환국(Mobile Telephone Switching Office)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동전화 단말기는 이동전화 기지국과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며 채널을 교환하고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동전화 기지국은 기저대역 신호처리, 유무선변환 및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며, 이동전화 단말기를 제어하며 통화 품질을 감시하고, 이동전화 교환국과 단말기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동전화 기지국은 트래픽 밀도가 높은 지역에서 서비스 영역내 분포하는 가입자 수와 무선통신망에서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을 만족하면서 기지국 시스템이 수용할 수 있는 가입자 수에 따라 최적의 위치에 설치된다. 이동전화 교환국은 이동전화망의 교환 접속을 수행하고 공중 교환 전화망과 연결시키며 모든 기지국의 중앙 통제, 제어 및 감시, 호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동시에 과금 정보와 가입자 정보 그리고 위치 등록 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전화 단말기(10) 및 이동전화 단말기(10)를 일반 전화 네트워크(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 PSTN)로 연결하는 이동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 30)을 구비한다.
사용자는 유선전화와의 통화, 다른 이동전화 단말기와의 통화 또는 데이터 전송등의 목적으로 이동전화 단말기(10)를 이용한다.
이동전화 단말기(10)는 전화를 걸기 위해 내부에 마련된 키패드를 통해 단말기 내에 저장된 고유번호 및 사용자가 다이얼한 전화번호가 함께 기지국(20)에 전달한다.
이동교환국(30)은 이동전화 단말기(10)와 무선으로 양방향 통신하기 위한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20)과, 기지국(20)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 BSC)(25)와, 기지국(20)을 일반전화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PSTN)에 접속시키기 위한 이동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 MSC)(33)를 구비한다.
기지국(20)은 이동전화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고주파신호를 기지국제어기(25)에 전송하며, 기지국 제어기(25)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고주파신호로 변환하여 이동전화 단말기(10)에 송출한다. 이를 위해, 기지국(20)은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를 통해 이동전화 단말기(10)에게 이동통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기지국(20)은 사용자 이동전화 단말기(10)와의 직접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곳으로 전파의 전달손실 때문에 제한된 서비스 반경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전국 단위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현재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들은 많은 수의 기지국(20)을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다. 또한, 기지국(20)은 서비스 반경을 늘리기 위하여 높은 산에 철탑을 세우거나, 높은 건물의 옥상에 철탑을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기지국 제어기(25)는 기지국(20)과 이동교환기(33) 사이의 통신을 중계한다. 또한, 기지국 제어기(25)는 기지국(20)에 수신된 신호의 수신강도 또는 신호전력에 따라 핸드오버(hand-over)를 개시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지국 제어기(25)는 도시하지 않은 기지국 관리 시스템(Base Station Manager : BSM)에 의해 관리된다. 즉, 기지국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기지국 제어기(25)를 운영 관리한다.
이동교환기(33)는 일반전화교환망(PSTN)에 접속되어 이동전화 가입자와 유선 가입자 간의 통신을 중계하게 된다. 또한, 이동교환기(33)은 이동전화 단말기(10;가입자)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35)로부터 이동전화 단말기(10)의 정보를 얻어 가입자의 호를 처리한다.
이러한 종래 이동통신 시스템은 먼저 전화를 걸기 위해 이동전화 단말기(10)내의 키패드를 통해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통화시작 버튼을 누르면, 단말기(10) 내에 저장된 고유번호 및 사용자가 다이얼한 전화번호가 함께 기지국(20)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기지국(20)은 이동전화 단말기(10)로부터 송출된 고유번호 및 전화번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고유번호 등이 등록된 번호인가를 확인한다. 그런 다음, 기지국(20)은 수신된 고유번호 등이 허가된 등록번호이면 이동전화 단말기(10)에 음성 채널을 할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그 할당된 음성채널을 통해 피호출자와 통화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시스템내 하드웨어(H/W), 소프트웨어(S/W)적인 장애(Fault), 경보(Alarm)검출 기능이 있어 장애, 경보의 상태나 자체 장애 진단 기능을 수행한 결과를 약속된 형태(Format)의 메시지로 지정된 운용자 화면(Consol, User Interface Window)에 출력하여 운용자로 하여금 시스템 상태를 이해하고 그에 대응하는 복구동작을 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이 있다.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적인 오류에 의한 묵음(통화중인 가입자의 목소리가 상대방에게 들리지 않는 현상), 혼선, 잡음 및 기지국 내부 문제로 인한 통화 품질 저하 등이 그 예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은 기지국별로 다수의 가입자에 대한 소통율, 완료율, 절단율 및 전환율 등의 성능분석을 통해 알거나 가입자들의 민원이나 운용자들의 직접적인 통화 시험을 통해서만 알 수 있으므로 통화 품질에 대한 고객 불만에 의해 요금 정산시 민원을 야기하며 사업자의 신뢰성을 떨어뜨려 차후 고객 확보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통화 내역을 이용하여 기지국의 장애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애 검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장애 검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전화 단말기와 기지국 간의 에어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장애 기지국 검출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성능분석에 따른 불량 기지국의 순위와 종래의 성능분석에 따른 불량 기지국의 순위를 나타내는 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장애 검출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40 : 이동전화 단말기 20, 50 : 기지국
25, 55 : 기지국 제어기 30, 60 : 이동교환국
35, 65 :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 70 : 장애 기지국 검출부
75 : 산출부 85 : 통화정보 데이터베이스
92 : 가입자별 완료율 검출부 94 ; 가입자별 소통율 검출부
96 : 가입자별 절단율 검출부 98 : 가입자별 전환율 검출부
100 : 기지국별 사용자수 검출부
104 : 기지국별 10초 미만 통화 검출부
110 : 기지국 불량 검출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애 검출장치는 이동전화 단말기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무선 통신하는 다수의 기지국들과,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상기 기지국들과 간의 통화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통화정보로부터 상기 기지국별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의 불량통화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불량통화정보로부터 상기 기지국들 중 불량 기지국을 추출하는 추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장치에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상기 각각의 기지국간의 소통율, 10초 미만 통화율, 절단율 및 전환율 등을 포함하는 상기 불량통화정보를 산출하는 제 1 산출부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상기 각각의 기지국간의 전체 사용건수 및 전체 사용자수를 산출하는 제 2 산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장치에서 상기 제 1 산출부는 상기 완료율이 40% 이하인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통화건수를 상기 전체 사용자수로 나누어 불량 완료율을 산출하는 완료율산출부와, 상기 소통율이 90% 이하인 상기 이동전환 단말기의 통화건수를 상기 전체 사용자수로 나누어 불량 소통율을 산출하는 소통율 산출부와, 상기 절단율이 90% 이하인 상기 이동전환 단말기의 통화건수를 상기 전체 사용자수로 나누어 불량 절단율을 산출하는 절단율 산출부와, 상기 전환율이 50% 이상인 상기 이동전환 단말기의 통화건수를 상기 전체 사용자수로 나누어 불량 전환율을 산출하는 전환율 산출부와, 상기 10초 미만인 상기 이동전환 단말기의 통화건수를 상기 전체 사용건수로 나누어 불량 10초율을 산출하는 10초율 산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장치에서 상기 제 2 산출부는 상기 불량 완료율, 불량 소통율, 불량 절단율, 불량 전환율 및 불량 10초율 중 가장 높은 불량율을 가지는 상기 기지국을 추출하여 상기 불량 기지국의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애 검출방법은 이동전화 단말기와 기지국들과 간의 통화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통화정보로부터 상기 기지국별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의 불량통화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부의 불량통화정보로부터 상기 기지국들 중 불량 기지국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서 상기 불량통화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상기 각각의 기지국간의 소통율, 10초 미만 통화율, 절단율 및 전환율 등을 포함하는 상기 불량통화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상기 각각의 기지국간의 전체 사용건수 및 전체 사용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서 상기 불량통화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완료율이 40% 이하인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통화건수를 상기 전체 사용자수로 나누어 불량 완료율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소통율이 90% 이하인 상기 이동전환 단말기의 통화건수를 상기 전체 사용자수로 나누어 불량 소통율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율이 90% 이하인 상기 이동전환 단말기의 통화건수를 상기 전체 사용자수로 나누어 불량 절단율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전환율이 50% 이상인 상기 이동전환 단말기의 통화건수를 상기 전체 사용자수로 나누어 불량 전환율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10초 미만인 상기 이동전환 단말기의 통화건수를 상기 전체 사용건수로 나누어 불량 10초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에서 상기 불량 기지국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불량 완료율, 불량 소통율, 불량 절단율, 불량 전환율 및 불량 10초율 중 가장 높은 불량율을 가지는 상기 기지국을 추출하여 상기 불량 기지국의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의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애 검출장치는 이동전화 단말기(40) 및 이동전화 단말기(40)를 일반 전화 네트워크(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 PSTN)로 연결하는 이동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 60)을 구비한다.
사용자는 유선전화와의 통화, 다른 이동전화 단말기와의 통화 또는 데이터전송등의 목적으로 이동전화 단말기(40)를 이용한다.
이동전화 단말기(40)는 전화를 걸기 위해 내부에 마련된 키패드를 통해 단말기 내에 저장된 고유번호 및 사용자가 다이얼한 전화번호가 함께 기지국(50)에 전달된다.
이동교환국(60)은 이동전화 단말기(40)와 무선으로 양방향 통신하기 위한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50)과, 기지국(50)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 BSC)(55)와, 기지국(50)을 일반전화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PSTN)에 접속시키기 위한 이동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 MSC)(63) 및 이동전화 단말기(40)의 통화내역을 분석하여 기지국(50)의 장애를 검출하기 위한 장애 기지국 검출장치(70)를 구비한다.
기지국(50)은 이동전화 단말기(4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고주파신호를 기지국제어기(55)에 전송하며, 기지국 제어기(55)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고주파신호로 변환하여 이동전화 단말기(40)에 송출한다. 이를 위해, 기지국(50)은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를 통해 이동전화 단말기(40)에게 이동통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기지국(50)은 사용자 이동전화 단말기(40)와의 직접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곳으로 전파의 전달손실 때문에 제한된 서비스 반경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전국 단위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현재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들은 많은 수의 기지국(50)을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다. 또한, 기지국(50)은 서비스 반경을 늘리기 위하여 높은 산에 철탑을 세우거나, 높은 건물의 옥상에 철탑을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기지국 제어기(55)는 기지국(50)과 이동교환기(63) 사이의 통신을 중계한다. 또한, 기지국 제어기(55)는 기지국(50)에 수신된 신호의 수신강도 또는 신호전력에 따라 핸드오버(hand-over)를 개시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지국 제어기(55)는 도시하지 않은 기지국 관리 시스템(Base Station Manager : BSM)에 의해 관리된다. 즉, 기지국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기지국 제어기(55)를 운영 관리한다.
이동교환기(63)는 일반전화교환망(PSTN)에 접속되어 이동전화 가입자와 유선 가입자 간의 통신을 중계하게 된다. 또한, 이동교환기(63)는 이동전화 단말기(40;가입자)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65)로부터 이동전화 단말기(40)의 정보를 얻어 가입자의 호를 처리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애 검출장치는 먼저 전화를 걸기 위해 이동전화 단말기(40)내의 키패드를 통해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통화시작 버튼을 누르면, 단말기(40) 내에 저장된 고유번호 및 사용자가 다이얼한 전화번호가 함께 기지국(50)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기지국(50)은 이동전화 단말기(40)로부터 송출된 고유번호 및 전화번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고유번호 등이 등록된 번호인가를 확인한다. 그런 다음, 기지국(50)은 수신된 고유번호 등이 허가된 등록번호이면 이동전화 단말기(40)에 음성 채널을 할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그 할당된 음성채널을 통해 피호출자와 통화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전화 단말기(40)를 이용하여 기지국(50)을 통해 피호출자와 음성 및 데이터를 주고받게 된다. 이 때, 이동전화 단말기(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거리마다 설치된 기지국(A, B)과 접속하여 피호출자와 통화하게 된다. 이렇게, 사용자가 사용한 이동전화 단말기(40)의 통화내역은 통화정보 데이터베이스(85)에 저장된다.
통화정보 데이터베이스(85)에 저장된 사용자의 통화내역은 사용자의 발신시간, 접속된 기지국 고유번호 등이 저장된다. 이러한, 통화정보 데이터베이스(85)에 저장된 사용자의 통화내역은 장애 기지국을 검출하기 위한 분석도구로 이용된다.
이를 상세히 하면, 장애 기지국 검출장치(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정보 데이터베이스(85)에서 가입자가 이동전화 단말기(40)를 이용하여 기지국(50)에 접속한 전체 사용자 수 및 전체 사용건수를 산출하는 산출부(75) 및 통화정보 데이터베이스(80)에 저장된 사용자의 통화내역에서 가입자별 및 기지국별 통화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통화정보 검출부(90)를 구비한다.
통화정보 검출부(90)는 사용자의 통화내역에서 가입자별 및 기지국별 통화불량 내역을 분석하여 항목별로 수치화 작업 이후 기지국별 항목별 불량가입자수를 분석하게 된다.
이를 위해, 통화정보 검출부(90)는 발신 가입자의 호가 해당 기지국을 통해 착신자에게 도달하여 성공적으로 통화의 목적을 달성한 건수를 산출하는 가입자별 완료율 검출부(92)와, 발신 가입자의 호가 해당 기지국을 통해 착신자와 연결된 건수를 산출하는 가입자별 소통율 검출부(94)와, 발신 가입자의 호가 해당 기지국을통해 착신자와 통화중 단절된 건수를 산출하는 가입자별 절단율 검출부(96)와, 발신 가입자의 호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음성사서함으로 전환된 건수를 산출하는 가압자별 전환율 검출부(98)와, 한번이라도 해당 기지국에 호를 발생시킨 사용자수를 기지국별로 산출하는 기지국별 사용자수 검출부(100)와, 기지국별 통화가 성공적으로 완료된 통화 성공건수를 산출하는 기지국별 호수 검출부(102)와, 발신 가입자별로 통화는 되었지만 10초 미만의 통화 건수를 기지국별로 산출하는 기지국별 10초 미만통화 검출부(104)를 구비한다.
가입자별 완료율 검출부(92)는 발신자의 호가 착신자에게 도달하여 성공적으로 통화의 목적을 달성한 건수를 산출부(75)로부터의 총 시도 호수로 나누어 가입자별 완료율로 산출한다.
가입자별 소통율 검출부(94)는 발신자가 시도한 총 수 대비 기지국(50)과 기지국 제어기(55)에서의 성공적인 처리 후, 이동교환국(60)으로 발신처리를 요구한 총 수의 비율을 가입자별 소통율로 산출한다.
가입자별 절단율 검출부(96)는 발신자와 착신자의 통화 중에 단절된 호를 전체 완료율 호수로 나누어 가입자별 절단율로 산출한다. 가압자별 전환율 검출부(98)는 착신자의 이동전화 단말기의 상태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발신자의 호가 기타 서비스로 전환된 호를 전체 호수로 나누어 가입자별 전환율로 산출한다.
기지국별 사용자수 검출부(100)는 각각의 기지국별로 가입자가 한번이라도 호가 있는 가입자에 대하여 사용건수를 산출한다. 기지국별 호수 검출부(102)는 각각의 기지국별(50)로 발신자와 착신자의 통화 성공건수를 산출하게 된다.
기지국별 10초 미만통화 검출부(104)는 발신자와 착신자간의 통화는 성공적으로 달성하였으나 통화시간이 10초 미만인 건수를 산출한다. 즉, 기지국별 10초 미만통화 검출부(104)는 발신자와 착신자 사이의 통신 상태에 의해 통화가 단절된 것을 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통화정보 검출부(90)는 우선 다수의 기지국(50)을 통해 가입자들의 통화내역이 저장된 통화정보 데이터베이스(85)에서 가입자의 통화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50)별로 가입자의 사용자 건수, 사용건수, 소통율, 완료율, 절단율 및 전환율을 산출하게 된다.
이렇게 기지국(50)별로 분석한 자료는 기지국 불량 검출부(110)로 공급된다. 기지국 불량 검출부(110)는 통화정보 검출부(90)로부터의 기지국(50)별로 분석한 자료를 이용하여 기지국별 10초율, 완료불량 가입자율, 소통불량 가입자율, 절단불량가입자율 및 전환불량 가입자율을 산출하게 된다.
기지국별 10초율은 기지국별 10초 미만통화 검출부(104)로부터의 기지국별 10초 미만 통화건수를 전체 사용건수로 나누어 산출된다. 완료불량 가입자율은 가입자별 완료율 검출부(92)로부터의 완료율이 0.4% 이하인 가입자수를 전체 사용자수로 나누어 산출된다. 소통불량 가입자율은 가입자별 소통율 검출부(94)로부터의 소통율이 0.9% 이하인 가입자수를 전체 사용자수로 나누어 산출된다. 절단불량 가입자율은 가입자별 절단율 검출부(96)로부터의 절단율이 0.1% 이상인 가입자 수를 전체 사용자 수로 나누어 산출된다. 전환불량 가입자율은 가압자별 전환율검출부(98)로부터의 전환율이 0.5% 이상인 가입자 수를 전체 사용자 수로 나누어 산출된다.
이와 같이, 통화정보 검출부(90)에서 산출된 가입자의 통화내역에 따른 기지국별 10초율, 완료불량 가입자율, 소통불량 가입자율, 절단불량가입자율 및 전환불량 가입자율은 기지국 불량 검출부(110)로 공급된다. 이러한, 기지국 불량 검출부(110)는 통화정보 검출부(90)로부터의 기지국별 10초율, 완료불량 가입자율, 소통불량 가입자율, 절단불량가입자율 및 전환불량 가입자율 중 불량율이 높은 기지국을 선별하여 불량 기지국으로 분류한다.
도 5는 종래의 성능분석 불량기지국별 순위와 본 발명의 성능분석 불량기지국별 순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종래의 성능분석 불량기지국의 순위는 종래의 기지국 성능분석을 이용한 17% 정도의 10초율과 89% 정도의 소통율 및 5% 정도의 절단율에 해당하는 기지국들이다. 즉, 종래의 성능분석 불량기지국의 순위는 기지국들 각각의 10초율, 소통율 및 절단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성능분석 불량기지국의 순위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입자의 통화 내역을 근거로 하여 17% 정도의 10초율과 89% 정도의 소통율 및 5% 정도의 절단율에 해당하는 기지국들이다. 이러한, 종래의 성능분석 불량기지국의 순위와 본 발명의 성능분석 불량기지국의 순위를 살펴보면, 종래의 7순위 불량기지국(H18)의 경우 본 발명에서는 1순위 불량기지국(H18)으로 분류된다. 이 외에도 종래의 불량기지국들은 대부분 본 발명의 불량기지국들로 분류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불량기지국들의 순위들에서 4, 5, 7순위로 분류되는 불량기지국들과 같이 본 발명의 불량기지국들로 분류되는데 반하여 종래의 불량기지국으로 분류되지 않는 기지국들을 볼 수 있다. 이는 종래에는 가입자의 통화불량에 관계없이 기지국별로 성능분석을 통하여 평균적으로 분류하기 때문에 불량기지국들로 분류되지 않았던 기지국들이다. 즉, 본 발명의 성능분석 불량기지국의 순위는 가입자들의 통화내역에서 해당 기지국에 대한 가입자들의 소통율들을 산출하고, 산출된 가입자들의 소통율 중 소통율이 90% 이하인 가입자수를 산출한 후 소통율이 90% 이하인 가입자수를 해당 기지국의 전체 사용자수로 나누어 기지국의 소통율을 산출하여 불량기지국으로 분류된다. 반면에 종래의 성능분석 불량기지국 순위는 10명의 가입자들이 하나의 기지국을 통해 10번의 전화통화를 할 경우를 예를 들면, 10명 중 어느 한 사람은 10번의 통화 중 90%의 소통율을 가질 수 있고, 어떤 사람은 50%, 또 어떤 사람은 10%의 소통율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각각 다른 소통율을 가지는 가입자의 소통율을 평균하여 기지국에 대한 소통율을 산출하여 기준이상이면 불량기지국으로 분류하기 때문에 높은 소통율을 가지는 가입자가 낮은 소통율을 가지는 가입자보다 많은 기지국에 대해서는 소통율이 비교적 양호하게 산출되어 불량기지국으로 분류되지 않게 된다.
또 한편으로, 도 5에 도시된 종래의 불량기지국들 중 4, 6, 8 순위로 분류되는데 반하여 본 발명의 불량기지국들의 순위로 분류되지 않는 기지국들을 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가입자들 각각의 소통율이 양호하게 산출되는 것으로, 일부 가입자의 과도한 통화품질 불량보다는 기지국 전체에서 균일하게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불량기지국으로 분류되지 않는 불량기지국들은 본 발명의 성능분석을 이용하여 불량기지국으로 추출 가능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장애 검출방법은 가입자의 통화내역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입자별로 해당하는 기지국의 사용건수, 10초율, 완료율, 소통율, 절단율 및 전환율을 산출한다. (S1-1단계)
또한, 가입자의 통화내역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입자의 기지국별 전체 사용건수를 산출함과 아울러 기지국별 전체 사용자수를 산출한다. (S1-2 단계)
그런 다음, 가입자별로 해당하는 기지국의 사용건수, 10초율, 완료율, 소통율, 절단율, 전환율 및 가입자의 기지국별 전체 사용자수 및 전체 사용건수에서 기지국별 10초율CTN(Call Telephone Number)수, 완료율 불량CTN수, 소통율 불량CTN수, 절단율 불량CTN수 및 전환율 불량CTN수를 각각 산출한다. (S2 단계) 여기서, 기지국별 10초율 CTN수는 10초 미만 통화건수를 전체 사용건수로 나누어 산출된다. 완료율 불량CTN수는 완료율이 0.4% 이하인 가입자수를 전체 사용자수로 나누어 산출된다. 소통율 불량CTN수는 소통율이 0.9% 이하인 가입자수를 전체 사용자수로 나누어 산출된다. 절단율 불량CTN수는 절단율이 0.1% 이상인 가입자 수를 전체 사용자 수로 나누어 산출된다. 전환율 불량CTN수는 전환율이 0.5% 이상인 가입자 수를 전체 사용자 수로 나누어 산출된다.
이어서, 가입자별로 해당하는 기지국의 사용건수, 10초율, 완료율, 소통율, 절단율, 전환율 및 가입자의 기지국별 전체 사용자수 및 전체 사용건수를 이용하여 각각 산출된 기지국별 10초율CTN수, 완료율 불량CTN수, 소통율 불량CTN수, 절단율불량CTN수 및 전환율 불량CTN수에서 불량율이 높은 기지국을 선별하여 장애 상태를 가지는 기지국을 추출하게 된다. (S3 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애 검출장치 및 방법은 이동전화 단말기 가입자들의 일별 통화내역에서 기지국별 10초율, 소통율, 완료율, 절단율 및 전환율 각각을 산출한 후 각각을 기지국별 전체 사용자수 및 전체 사용건수로 나누어 기지국별로 기지국별 10초율 CTN수, 완료율 불량CTN수, 소통율 불량CTN수, 절단율 불량CTN수 및 전환율 불량CTN수 각각을 산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산출된 기지국별 10초율 CTN수, 완료율 불량CTN수, 소통율 불량CTN수, 절단율 불량CTN수 및 전환율 불량CTN수 중 가장 높은 불량률을 나타내는 기지국을 추출함으로써 기지국 장애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8)

  1. 삭제
  2. 이동전화 단말기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무선통신하는 다수의 기지국들과;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상기 기지국들 간의 통화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통화정보로부터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상기 각각의 기지국간의 소통율, 10초 미만 통화율, 절단율 및 전환율 등을 포함하는 상기 불량통화정보를 산출하는 제 1 산출부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상기 각각의 기지국간의 전체 사용건수 및 전체 사용자수를 산출하는 제 2 산출부와;
    제 1 및 제 2 산출부로부터의 산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들 중 불량 기지국을 추출하는 추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애 검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산출부는,
    상기 완료율이 40% 이하인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통화건수를 상기 전체 사용자수로 나누어 불량 완료율을 산출하는 완료율 산출부와,
    상기 소통율이 90% 이하인 상기 이동전환 단말기의 통화건수를 상기 전체 사용자수로 나누어 불량 소통율을 산출하는 소통율 산출부와,
    상기 절단율이 90% 이하인 상기 이동전환 단말기의 통화건수를 상기 전체 사용자수로 나누어 불량 절단율을 산출하는 절단율 산출부와,
    상기 전환율이 50% 이상인 상기 이동전환 단말기의 통화건수를 상기 전체 사용자수로 나누어 불량 전환율을 산출하는 전환율 산출부와,
    상기 10초 미만인 상기 이동전환 단말기의 통화건수를 상기 전체 사용건수로 나누어 불량 10초율을 산출하는 10초율 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애 검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산출부는 상기 불량 완료율, 불량 소통율, 불량 절단율, 불량 전환율 및 불량 10초율 중 가장 높은 불량율을 가지는 상기 기지국을 추출하여 상기 불량 기지국의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애 검출장치.
  5. 삭제
  6. 이동전화 단말기와 기지국들과 간의 통화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통화정보로부터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상기 각각의 기지국간의 소통율, 10초 미만 통화율, 절단율 및 전환율 등을 포함하는 상기 불량통화정보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상기 각각의 기지국간의 전체 사용건수 및 전체 사용자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및 제 2 산출부로부터의 산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들 중 불량 기지국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애 검출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통화정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완료율이 40% 이하인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통화건수를 상기 전체 사용자수로 나누어 불량 완료율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소통율이 90% 이하인 상기 이동전환 단말기의 통화건수를 상기 전체 사용자수로 나누어 불량 소통율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절단율이 90% 이하인 상기 이동전환 단말기의 통화건수를 상기 전체 사용자수로 나누어 불량 절단율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전환율이 50% 이상인 상기 이동전환 단말기의 통화건수를 상기 전체 사용자수로 나누어 불량 전환율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10초 미만인 상기 이동전환 단말기의 통화건수를 상기 전체 사용건수로 나누어 불량 10초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애 검출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 기지국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불량 완료율, 불량 소통율, 불량 절단율, 불량 전환율 및 불량 10초율 중 가장 높은 불량율을 가지는 상기 기지국을 추출하여 상기 불량 기지국의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애 검출방법.
KR10-2002-0040417A 2002-07-11 2002-07-11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애 검출장치 및 방법 KR100453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0417A KR100453169B1 (ko) 2002-07-11 2002-07-11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애 검출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0417A KR100453169B1 (ko) 2002-07-11 2002-07-11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애 검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830A KR20040007830A (ko) 2004-01-28
KR100453169B1 true KR100453169B1 (ko) 2004-10-15

Family

ID=37317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0417A KR100453169B1 (ko) 2002-07-11 2002-07-11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애 검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31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705B1 (ko) * 2010-08-04 2012-04-0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지연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의 불량 검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943A (ko) * 1998-06-15 2000-01-15 서정욱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화정보 수집 방법
JP2002124911A (ja) * 2000-10-17 2002-04-26 Keisoku Gijutsu Service:Kk 通信不具合箇所検出方法及び通信不具合箇所検出システム
KR20020038664A (ko) * 2002-04-30 2002-05-23 최중현 Cdma 시스템에서 성능저하 장비의 유지/보수 제어장치및 방법
KR20020047598A (ko) * 2000-12-13 2002-06-22 조정남 무선통신망의 통화품질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943A (ko) * 1998-06-15 2000-01-15 서정욱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화정보 수집 방법
JP2002124911A (ja) * 2000-10-17 2002-04-26 Keisoku Gijutsu Service:Kk 通信不具合箇所検出方法及び通信不具合箇所検出システム
KR20020047598A (ko) * 2000-12-13 2002-06-22 조정남 무선통신망의 통화품질 관리 방법
KR20020038664A (ko) * 2002-04-30 2002-05-23 최중현 Cdma 시스템에서 성능저하 장비의 유지/보수 제어장치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830A (ko) 2004-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75138B2 (en) Reestablishment of call after disconnect
US6088588A (en) Method and wireless terminal for monitoring communications and providing network with terminal operation information
KR10101326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과 이동국, 기지 송수신국 및 그 이용 방법
EP1740002A1 (en) Base station device and initialization method thereof
US20020098858A1 (en) Apparatus for reallocating communication resources to establish a priority call in a fixe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6990349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nnecting a mobile station to an emergency operator
WO19970133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mproved caller interface in a fixed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US20020098825A1 (en)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priority call in a fixe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20097694A1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prioirity call in a fixe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5259021A (en) Transmission of interconnection information for next generation cordless telephone networks
KR100477607B1 (ko) 이동전화 가입자 통합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US6263187B1 (en) Obtaining data for calls made by a specific/cellular mobile station
CN101616432B (zh) 一种基于双音多频的呼叫质量测试方法
KR10045316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애 검출장치 및 방법
US6597908B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traffic carrier performan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H08256120A (ja) 障害検索制御方法及び障害検索制御システム
KR10023740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장애 통보 및 처리 방법
US6542737B1 (en) Method for checking speech channel of base station and vocoder of control st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0384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ut of band dialed digit signaling for caller interface in a fixed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JP2000032548A (ja) 移動端末装置及びそのメッセージ表示方法
KR100551120B1 (ko)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장치 및 방법
EP0930591A1 (en) Automatically locating individuals utilizing a combination of wireless media
KR100767182B1 (ko) 재발신 통화패턴을 이용한 통화불량 판별 시스템 및 그방법
CN112533260A (zh) 一种动态切换信道的方法及装置
KR20010059551A (ko) 통합형 기지국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