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1705B1 - 지연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의 불량 검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지연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의 불량 검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1705B1
KR101131705B1 KR1020100075340A KR20100075340A KR101131705B1 KR 101131705 B1 KR101131705 B1 KR 101131705B1 KR 1020100075340 A KR1020100075340 A KR 1020100075340A KR 20100075340 A KR20100075340 A KR 20100075340A KR 101131705 B1 KR101131705 B1 KR 101131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repeater
delay
delay time
fail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3140A (ko
Inventor
한선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00075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705B1/ko
Publication of KR20120013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3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지국/중계기별 불량 여부를 지연 신호를 이용하여 검출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그 기지국과 연계된 하나 이상의 중계기에 대한 불량을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중계기 별로 해당하는 각 서비스 범위에 대한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지연 시간을 근거로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중계기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기지국 및 중계기를 통해 각기 수집되는 트래픽 통계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식별된 중계기 및 기지국의 장애 유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기지국 또는 중계기별 지연 신호를 식별자로 이용하여 해당 기지국 또는 중계기별로 트래픽 통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특정 장비(기지국 또는 중계기)별 장애 유무를 별도의 필드 측정 없이 검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연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의 불량 검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detecting Fault of Base Station/Repeater by using Delay Sig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불량 장비 검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연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지국/중계기별 불량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은 기저대역 신호 처리, 유선 신호와 무선 신호간 변환 처리 및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함으로써 이동국(Mobile station)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기지국에 장애가 발생되면 다수의 이동국들이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의 장애를 감지하는 다양한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는데, 일 예로 트래픽(traffic) 통계 결과를 이용하여 장애를 감지하는 방안이 있다. 이 방안은 기지국의 트래픽 통계 데이터를 판별하여 해당 기지국의 장애 발생 유무를 판별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기지국 관리자는 소통률, 호 드롭률(call drop rate), 핸드오버(handover) 성공률 등의 트래픽 통계 데이터를 관리하고 있으며, 각 항목별로 장애 발생 유무를 판별하기 위한 기준치가 정해져 있다. 따라서 기지국 관리자는 일정 시간동안 상기 트래픽 통계 데이터가 해당 기준치를 만족시키지 못할 경우 해당 기지국에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판별하고 이에 대한 조치를 취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장애 검출 방법은 기지국 관리자가 계속적으로 기지국의 상태를 체크(check)하고 있어야만 하고, 또한 트래픽 통계 데이터는 일정 시간 이상 수집되어야만 하며, 기지국 통계 데이터의 모니터를 통해 장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인지되면, 다수의 중계기를 포함하는 해당 기지국에 대한 직접적인 필드(field) 측정 및 분석을 통해 실제 장애가 있는 해당 장비(기지국 또는 중계기)를 검출하여 수리 및/또는 교체 작업등을 수행해야만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장애 검출 방법은 장애 발생 인지 후 해당 불량 장비(기지국 또는 중계기)의 실제 검출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현재 간단히 측정 가능하고 일정 범위의 고정값을 갖는 기지국(또는 중계기)별 지연 신호를 식별자로 이용하여 해당 기지국(또는 중계기)의 장애 유무를 검출하는, 지연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의 불량 검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연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의 불량 검출 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그 기지국과 연계된 하나 이상의 중계기에 대한 불량을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중계기 별로 해당하는 각 서비스 범위에 대한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지연 시간을 근거로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중계기를 각기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기지국 및 중계기를 통해 각기 수집되는 트래픽 통계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식별된 중계기 및 기지국의 장애 유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에 해당하는 서비스 범위에 대한 상기 지연 시간은, 일 예로 상기 기지국에 제1 단말이 내장된 경우 그 내장된 제1 단말에 대한 왕복 지연과 상기 기지국의 출력을 고려한 송/수신 전파 지연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예로 상기 기지국에 제1 단말이 내장되지 않은 경우 해당 기지국의 하드웨어 지연과 그 해당 기지국의 출력 및 주파수 대역을 고려한 송/수신 전파 지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계기에 해당하는 서비스 범위에 대한 상기 지연 시간은, 일 예로 제2 단말이 상기 중계기에 내장되고 도너 안테나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2 단말에 대한 왕복 지연과 상기 중계기의 하드웨어 지연 및 상기 중계기의 출력을 고려한 송/수신 전파 지연을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예로 제2 단말이 상기 중계기에 내장되고 서비스 안테나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2 단말에 대한 왕복 지연과 상기 중계기의 출력을 고려한 송/수신 전파 지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래픽 통계 데이터는 FER(Frame Error Rate), RF 파워, SNR(signal to Noise Ratio), 및 호 드롭률(call drop rat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지연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의 불량 검출 장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그 기지국과 연계된 하나 이상의 중계기에 대한 불량을 검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중계기 별로 해당하는 각 서비스 범위에 대한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지연 시간 측정부; 상기 측정된 지연 시간을 근거로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중계기를 식별하는 장비 식별부; 및 상기 식별된 기지국 및 중계기를 통해 각기 수집되는 트래픽 통계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식별된 중계기 및 기지국의 장애 유무를 검출하는 장애 유무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연 시간 측정부는 일 예로 상기 기지국에 제1 단말이 내장된 경우 그 내장된 제1 단말에 대한 왕복 지연과 상기 기지국의 출력을 고려한 송/수신 전파 지연을 합산한 지연 시간을 상기 기지국에 해당하는 서비스 범위에 대한 지연 시간으로 측정하고, 다른 예로 상기 기지국에 제1 단말이 내장되지 않은 경우 해당 기지국의 하드웨어 지연과 그 해당 기지국의 출력 및 주파수 대역을 고려한 송/수신 전파 지연을 합산한 지연 시간을 상기 기지국에 해당하는 서비스 범위에 대한 지연 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연 시간 측정부는 또 다른 예로 제2 단말이 상기 중계기에 내장되고 도너 안테나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2 단말에 대한 왕복 지연과 상기 중계기의 하드웨어 지연 및 상기 중계기의 출력을 고려한 송/수신 전파 지연을 합산한 지연 시간을 상기 중계기에 해당하는 서비스 범위에 대한 지연 시간으로 측정하고, 또 다른 예로 제2 단말이 상기 중계기에 내장되고 서비스 안테나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2 단말에 대한 왕복 지연과 상기 중계기의 출력을 고려한 송/수신 전파 지연을 합산한 지연 시간을 상기 중계기에 해당하는 서비스 범위에 대한 지연 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장애 유무 검출부는 FER(Frame Error Rate), RF 파워, SNR(signal to Noise Ratio), 및 호 드롭률(call drop Rat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트래픽 통계 데이터로 수집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지연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의 불량 검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그 기지국과 연계된 하나 이상의 중계기에 대한 불량을 검출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중계기 별로 해당하는 각 서비스 범위에 대한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기능; 상기 측정된 지연 시간을 근거로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중계기를 식별하는 기능; 및 상기 식별된 기지국 및 중계기를 통해 각기 수집되는 트래픽 통계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식별된 중계기 및 기지국의 장애 유무를 검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기지국 또는 중계기별 지연 신호를 식별자로 이용하여 해당 기지국 또는 중계기별로 트래픽 통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특정 장비(기지국 또는 중계기)별 장애 유무를 별도의 필드 측정 없이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시스템의 다양한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연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의 불량 검출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도 4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6은 도 1의 지연신호측정/장애검출장치에 대한 세부 구성도의 일 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연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의 불량 검출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였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무선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광범위한 보급으로 인해 이동통신은 현대인에 있어서 필수적인 서비스로 자리매김하였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자는 이동통신 서비스가 제대로 미치지 못하는 산간 벽지나 도심지역 중 전파 환경이 열악한 지하 공간 등의 소위 전파 음영 지역에 이르기까지 모든 지역에서 더욱 고품질의 서비스를 원하지만, 하나의 기지국이 커버할 수 있는 영역은 제한되어 있으며, 음영 지역에 양질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통화량이 적은 지역에 막대한 비용을 투자해 기지국을 건설하여 운용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지국의 추가 설치 대신에 도 1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중계기를 설치함으로써 낮은 투자 비용으로 전파 음영 지역을 줄여 나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10), 상기 기지국(110)과 연계되어 그 기지국(110)의 신호를 중계하는 제1중계기(130) 및 제2중계기(150)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기지국(110)과 연계 동작하여 지연신호를 측정하고 트래픽 통계 데이터를 수집하여 장애를 검출하는 지연신호측정/장애검출장치(170)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2중계기(130,150)는 무선(RF) 중계기로 구성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서 상기 지연신호측정/장애검출장치(170)는 기지국(110)의 외부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지국(110)의 내부 또는 외부 어디라도 기지국(110)과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참조부호 110a는 기지국(110)의 서비스 범위(또는 coverage라 칭함)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130a는 제1중계기(130)의 서비스 범위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50a는 제2중계기의 서비스 범위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시스템의 다양한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기지국(110) 및 중계기(130,150)는 품질 측정 및 각종 분석의 용도로 단말이 내장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2의 (a)는 상기 기지국(110)내에 단말(111)이 내장된 일 예를 나타내고, 도 2의 (b)는 상기 기지국(110)내에 단말이 내장되지 않은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제1,2중계기(130,150)가 도너(donor) 안테나(131,151)와 서비스(service) 안테나(132,152)를 가진 RF 중계기로 구성된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3의 (a)는 제1,2중계기(130,150)내에 단말(133,153)을 내장하되 그 단말(133,153)이 도너 안테나(131,151)에 연결 설치된 일 예를 나타내고, 도 3의 (b)는 제1,2중계기(130,150)내에 단말(134,154)을 내장하되 그 단말(134,154)이 서비스 안테나(132,152)에 연결 설치된 다른 예를 나타낸다.
이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연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의 불량 검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연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의 불량 검출 방법의 흐름도로서, 도 1 내지 도 3의 시스템에 적용되므로 그 시스템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도 4를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지연 시간 측정 단계(S410), 장비 식별 단계(S430), 및 식별된 장비의 장애 유무 검출 단계(S450)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S410~S450)는 일 예로 도 1의 지연신호측정/장애검출장치(170)에서 기지국(110)과 연계 동작하여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지연 시간 측정 단계(S410)는 기지국(110) 및 중계기(130,150) 별로 해당하는 각 서비스 범위(110a,130a,150a)에 대한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과정으로, 이 지연 시간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첫째, 도 2의 (a)와 같이 기지국(110)에 단말(111)이 내장된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은 내장된 단말(111)에 대한 왕복 지연(Round Trip Delay: RTD)과 그 기지국(110)의 출력을 고려한 해당 서비스 범위(110a)에서의 송/수신 전파 지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111)에 대한 RTD는 기지국(110)과 단말(111)간의 RTD를 나타낸다. 이후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와 같은 첫 번째 경우의 지연 시간을 제1 지연 시간이라 칭한다.
둘째, 도 2의 (b)와 같이 기지국(110)에 단말이 내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은 기지국(110)의 하드웨어(hardware) 지연과 그 기지국(110)의 출력 및 주파수 대역을 고려한 해당 서비스 범위(110a)에서의 송/수신 전파 지연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와 같은 두 번째 경우의 지연 시간을 제2 지연 시간이라 칭한다.
셋째, 도 3의 (a)와 같이 중계기(130,150)에 단말(133,153)이 내장되고 그 단말(133,153)이 도너 안테나(131,151)에 연결된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은 상기 단말(133,153)에 대한 왕복 지연(RTD)과 상기 중계기(130,150)의 하드웨어 지연 및 상기 중계기(130,150)의 출력을 고려한 해당 서비스 범위(130a,150a)에서의 송/수신 전파 지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133,153)에 대한 RTD는 기지국(110)과 단말(133,153)간의 RTD를 나타낸다. 이후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와 같은 세 번째 경우의 지연 시간을 제3 지연 시간이라 칭한다.
넷째, 도 3의 (b)와 같이 중계기(130,150)에 단말(134,154)이 내장되고 그 단말(134,154)이 서비스 안테나(132,152)에 연결된 경우, 상기 지연 시간은 상기 단말(134,154)에 대한 왕복 지연(RTD)과 상기 중계기(130,150)의 출력을 고려한 해당 서비스 범위(130a,150a)에서의 송/수신 전파 지연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와 같은 네 번째 경우의 지연 시간을 제4 지연 시간이라 칭한다.
다음, 상기 장비 식별 단계(S430)는 상기 지연 시간 측정 단계(S410)에서 측정된 제1 내지 제4 지연 시간을 근거로 해당 기지국(110) 및 중계기(130,150)를 각기 식별하는데, 예를 들어 상기 측정된 제1 지연 시간은 도 2의 (a)와 같이 기지국(110)에 단말(111)이 내장된 경우의 해당 기지국(11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로 사용되고, 상기 측정된 제2 지연 시간은 도 2의 (b)와 같이 기지국(110)에 단말이 내장되지 않은 경우의 해당 기지국(11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로 사용되며, 상기 측정된 제3 지연 시간은 도 3의 (a)와 같이 중계기(130,150)에 단말(133,153)이 내장되고 그 단말(133,153)이 도너 안테나(131,151)에 연결된 경우의 해당 중계기(130 또는 15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로 사용되고, 상기 측정된 제4 지연 시간은 도 3의 (b)와 같이 중계기(130,150)에 단말(134,154)이 내장되고 그 단말(134,154)이 서비스 안테나(132,152)에 연결된 경우의 해당 중계기(130 또는 150)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연 시간은 예를 들어 상기 내장된 단말(111)에 대한 RTD 값을 최소값으로 정하고 그 최소값에 기지국(110)의 출력을 고려한 해당 서비스 범위(110a)에서의 송/수신 전파 지연을 더한 값을 최대값으로 하는 범위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2 지연 시간은 기지국(110)의 하드웨어(hardware) 지연값에 그 기지국(110)의 출력 및 주파수 대역을 고려한 해당 서비스 범위(110a)에서의 송/수신 전파 지연값의 최소값 및 최대값을 더한 값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3 지연 시간은 상기 단말(133,153)에 대한 왕복 지연(RTD)값과 상기 중계기(130,150)의 하드웨어 지연을 더한 제1값에 상기 중계기(130,150)의 출력을 고려한 해당 서비스 범위(130a,150a)에서의 송/수신 전파 지연값의 최소값 및 최대값을 더한 값의 범위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4 지연 시간은 상기 단말(134,154)에 대한 왕복 지연(RTD)값에 상기 중계기(130,150)의 출력을 고려한 해당 서비스 범위(130a,150a)에서의 송/수신 전파 지연값의 최소값 및 최대값을 더한 값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장애 유무 검출 단계(S450)는 상기 장비 식별 단계(S430)에서 식별된 기지국(110) 및 중계기(130,150)를 통해 각기 수집되는 트래픽 통계 데이터에 근거하여 그 식별된 중계기(130,150) 및 기지국(110)의 장애 유무를 검출하는 과정으로,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축을 지연 시간에 대한 값으로 하되 기지국(110)에 대한 제1 또는 제2 지연 시간 범위(I), 제1중계기(130)에 대한 제3 또는 제4 지연 시간 범위(II), 및 제2중계기(150)에 대한 제3 또는 제4 지연 시간 범위(III)로 구분/식별하고, Y축은 상기 식별된 기지국(110) 및 중계기(130,150)를 통해 각기 수집되는 트래픽 통계 데이터에 대한 값으로 한 후, 상기 각 지연 시간 범위(I, II, 또는 III)에 대응하는 트래픽 통계 데이터를 감시하다가, 일 예로 지연 시간 범위(I)에 대응하는 트래픽 통계 데이터가 기준 통계치(R)를 벗어날 경우, 그 지연 시간 범위(I)로 식별되는 기지국(110)에서 해당 트래픽 통계 데이터와 관련한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검출한다.
참고로, 상기 트래픽 통계 데이터는 FER(Frame Error Rate), RF 파워, SNR(signal to Noise Ratio), 및 호 드롭률(call drop rat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장비(110,130,150)의 장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통계 데이터면 된다.
도 6은 도 1의 지연신호측정/장애검출장치(170)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연 시간 측정부(171), 장비 식별부(173), 및 장애 유무 검출부(175)를 포함한다.
도 6의 상기 지연 시간 측정부(171), 상기 장비 식별부(173), 및 상기 장애 유무 검출부(175)는 도 4를 참조로 전술된 상기 지연 시간 측정 단계(S410), 상기 장비 식별 단계(S430), 및 상기 장애 유무 검출 단계(S450)에 각각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연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의 불량 검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기지국 110a: 기지국의 서비스 범위
111,133,134,153,154: 내장 단말 130: 제1중계기
130a: 제1중계기의 서비스 범위 131: 제1중계기의 도너 안테나
132: 제1중계기의 서비스 안테나 150: 제2중계기
150a: 제2중계기의 서비스 범위 151: 제2중계기의 도너 안테나
152: 제2중계기의 서비스 안테나 170: 진연신호측정/장애검출부
171: 지연 시간 측정부 173: 장비 식별부
175: 장애 유무 검출부

Claims (13)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그 기지국과 연계된 하나 이상의 중계기에 대한 불량을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중계기 별로 해당하는 각 서비스 범위에 대한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지연 시간을 근거로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중계기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기지국 및 중계기를 통해 각기 수집되는 트래픽 통계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식별된 중계기 및 기지국의 장애 유무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연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의 불량 검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해당하는 서비스 범위에 대한 상기 지연 시간은, 상기 기지국에 제1 단말이 내장된 경우, 그 내장된 제1 단말에 대한 왕복 지연과 상기 기지국의 출력을 고려한 송/수신 전파 지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의 불량 검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해당하는 서비스 범위에 대한 상기 지연 시간은, 상기 기지국에 제1 단말이 내장되지 않은 경우, 해당 기지국의 하드웨어 지연과 그 해당 기지국의 출력 및 주파수 대역을 고려한 송/수신 전파 지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의 불량 검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에 해당하는 서비스 범위에 대한 상기 지연 시간은, 제2 단말이 상기 중계기에 내장되고 도너 안테나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2 단말에 대한 왕복 지연과 상기 중계기의 하드웨어 지연 및 상기 중계기의 출력을 고려한 송/수신 전파 지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의 불량 검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에 해당하는 서비스 범위에 대한 상기 지연 시간은, 제2 단말이 상기 중계기에 내장되고 서비스 안테나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2 단말에 대한 왕복 지연과 상기 중계기의 출력을 고려한 송/수신 전파 지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의 불량 검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통계 데이터는 FER(Frame Error Rate), RF 파워, SNR(signal to Noise Ratio), 및 호 드롭률(call drop Rat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의 불량 검출 방법.
  7. 기지국 및 그 기지국과 연계된 하나 이상의 중계기에 대한 불량을 검출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중계기 별로 해당하는 각 서비스 범위에 대한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지연 시간 측정부;
    상기 측정된 지연 시간을 근거로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중계기를 식별하는 장비 식별부; 및
    상기 식별된 기지국 및 중계기를 통해 각기 수집되는 트래픽 통계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식별된 중계기 및 기지국의 장애 유무를 검출하는 장애 유무 검출부를 포함하는 지연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의 불량 검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 측정부는, 상기 기지국에 제1 단말이 내장된 경우, 그 내장된 제1 단말에 대한 왕복 지연과 상기 기지국의 출력을 고려한 송/수신 전파 지연을 합산한 지연 시간을 상기 기지국에 해당하는 서비스 범위에 대한 지연 시간으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의 불량 검출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 측정부는, 상기 기지국에 제1 단말이 내장되지 않은 경우, 해당 기지국의 하드웨어 지연과 그 해당 기지국의 출력 및 주파수 대역을 고려한 송/수신 전파 지연을 합산한 지연 시간을 상기 기지국에 해당하는 서비스 범위에 대한 지연 시간으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의 불량 검출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 측정부는, 제2 단말이 상기 중계기에 내장되고 도너 안테나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2 단말에 대한 왕복 지연과 상기 중계기의 하드웨어 지연 및 상기 중계기의 출력을 고려한 송/수신 전파 지연을 합산한 지연 시간을 상기 중계기에 해당하는 서비스 범위에 대한 지연 시간으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의 불량 검출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 측정부는, 제2 단말이 상기 중계기에 내장되고 서비스 안테나에 연결된 경우, 상기 제2 단말에 대한 왕복 지연과 상기 중계기의 출력을 고려한 송/수신 전파 지연을 합산한 지연 시간을 상기 중계기에 해당하는 서비스 범위에 대한 지연 시간으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의 불량 검출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유무 검출부는 FER(Frame Error Rate), RF 파워, SNR(signal to Noise Ratio), 및 호 드롭률(call drop Rat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트래픽 통계 데이터로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의 불량 검출 장치.
  13.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그 기지국과 연계된 하나 이상의 중계기에 대한 불량을 검출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중계기 별로 해당하는 각 서비스 범위에 대한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기능;
    상기 측정된 지연 시간을 근거로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중계기를 식별하는 기능; 및
    상기 식별된 기지국 및 중계기를 통해 각기 수집되는 트래픽 통계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식별된 중계기 및 기지국의 장애 유무를 검출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지연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의 불량 검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00075340A 2010-08-04 2010-08-04 지연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의 불량 검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1131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340A KR101131705B1 (ko) 2010-08-04 2010-08-04 지연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의 불량 검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340A KR101131705B1 (ko) 2010-08-04 2010-08-04 지연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의 불량 검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140A KR20120013140A (ko) 2012-02-14
KR101131705B1 true KR101131705B1 (ko) 2012-04-03

Family

ID=45836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340A KR101131705B1 (ko) 2010-08-04 2010-08-04 지연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의 불량 검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7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518B1 (ko) * 2016-10-31 2018-03-0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무선 접속 장치의 지연 조정 오류 검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18566B (zh) * 2020-06-30 2022-09-27 武汉虹信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射频信号故障监测装置
KR102337137B1 (ko) * 2020-09-23 2021-12-0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협력통신을 수행하는 통신기기와 그 방법 및 혼합 접속지점에서의 복호화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647A (ko) * 1999-08-20 2001-03-15 서평원 무선교환기의 기지국간 케이블지연 측정 및 이상유무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07830A (ko) * 2002-07-11 2004-01-28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애 검출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647A (ko) * 1999-08-20 2001-03-15 서평원 무선교환기의 기지국간 케이블지연 측정 및 이상유무 판별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07830A (ko) * 2002-07-11 2004-01-28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애 검출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3518B1 (ko) * 2016-10-31 2018-03-0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무선 접속 장치의 지연 조정 오류 검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140A (ko) 201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23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interference to wireless networks
CN103299552A (zh) 检测服务可用性损失、特别是影响通信用户设备的干扰发射器和/或无服务情况的方法、用户设备和具有到用户设备的接口的评估单元
US975651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traffic suppression turning point in a cellular network
US8983527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base station, and method for reconfiguring communication parameter
US20220191876A1 (en) User equipment that transmits identity information for an interference analysis
WO2021200114A1 (ja) 干渉検出装置、無線基地局、干渉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131705B1 (ko) 지연 신호를 이용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의 불량 검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CN102026236B (zh) 一种检测天馈设备接反的小区的方法和装置
CN102892120A (zh) 降低宏小区终端对微小区上行带外辐射干扰的方法及系统
US85946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feeder misconnection
CN103379532B (zh) 基站的射频单元信号质量的检测方法及装置
KR101043169B1 (ko) 불요파 추적 장치 및 방법
WO2011082569A1 (zh) 一种检测基站扇区天线接错的方法和装置
KR101865597B1 (ko) 전파감시장치 및 방법
CN103716825A (zh) 一种基站监控天线劣化的方法及装置
US20230107132A1 (en) Radio base station, method, and program
WO2021200113A1 (ja) 干渉検出装置、無線基地局、干渉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49532B1 (ja) 障害判定装置および障害判定方法
CN111130666A (zh) 物联网信号检测方法和系统
WO2021200101A1 (ja) 干渉検出装置、無線基地局、干渉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088502A1 (en) Interference detection apparatus, radio base station, interference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US11871256B2 (en) Signal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base station
KR101386158B1 (ko) 무선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네이버 리스트 누락 분석 장치 및 방법
CN108243452B (zh) 无线中继系统及方法
KR101098022B1 (ko) 중계기 관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