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1943A -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화정보 수집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화정보 수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1943A
KR20000001943A KR1019980022430A KR19980022430A KR20000001943A KR 20000001943 A KR20000001943 A KR 20000001943A KR 1019980022430 A KR1019980022430 A KR 1019980022430A KR 19980022430 A KR19980022430 A KR 19980022430A KR 20000001943 A KR20000001943 A KR 20000001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information
exchange
information collection
data
distribu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2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2156B1 (ko
Inventor
심재희
정예원
서채완
박성식
한상선
Original Assignee
서정욱
에스케이 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욱, 에스케이 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정욱
Priority to KR1019980022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2156B1/ko
Publication of KR20000001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2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21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70Administration or customization aspects; Counter-checking correct char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5/00Arrangements for metering, time-control or time indication ; Metering, charg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voice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e.g. VoIP
    • H04M15/41Billing record details, i.e. parameters, identifiers, structure of call data record [CD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36Statistical metering, e.g. recording occasions when traffic exceeds capacity of tru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5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network data storage and management
    • H04M2203/555Statistics, e.g. about subscribers but not being call statistics
    • H04M2203/556Statist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5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network data storage and management
    • H04M2203/558Datab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15/00Metering arrangements; Time controlling arrangements; Time indicating arrangements
    • H04M2215/01Details of billing arrangements
    • H04M2215/0164Billing record, e.g. Call Data Record [CDR], Toll Ticket[TT], Automatic Message Accounting [AMA], Call Line Identifier [CLI], details, i.e. parameters, identifiers,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화정보 수집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통화정보 처리시스템에서 과금데이터 수집 및 전송 프로토콜에 의한 대량의 통화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통화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한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화정보 수집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가 주경로를 통해 교환기 또는 중재장치와의 연결을 초기화하여 교환기의 상태 등을 파악하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정보를 설정하는 제 1 단계;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가 연결된 주경로를 통해 교환기 또는 중재장치로 과금 데이터의 전송을 요구하는 제 2 단계; 및 설정된 정보에 따라, 교환기 또는 중재장치가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로 과금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통화정보 처리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화정보 수집 방법
본 발명은 통화정보 처리시스템에서 통신서비스 제공에 따른 통화정보 데이터의 수집, 분석, 변환, 분배, 및 통계 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한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화정보 수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통화정보 처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종래의 통화정보 처리시스템에서, 과금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기(11)가 통화를 마치거나, 통화중 절단된 이후에 교환기(13)에서 생성된다. 이때, 생성된 과금 데이터는 교환기(13)의 하드디스크에 저장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과금 데이터를 이용한 요금 청구시 마그네틱 테이프(15)를 이용한 차량이나 수동 전송 방법으로 과금처리시스템(16)으로 전달하거나, 컴퓨터시스템인 중재장치(14)를 이용한 온라인 전송방법으로 과금처리시스템(16)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온라인 전송방법은 폴링(Polling) 방식이라 하여 중재장치(14)에서 교환기(13)로 자료 전송을 요청하고 자료를 전달받는 방식을 사용하여 과금처리시스템(16)으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폴링 방식을 사용하면, 과금 데이터는 일정 시간 간격이나 일정량의 데이터가 쌓였을 때에만 중재장치(14)로 전송되기 때문에 단말기(11)에서 통화가 끝난 후에 일정 기간이 경과된 후에야 과금처리시스템(16)로 전달된다. 이때, 과금처리시스템(16)은 일괄처리(Batch) 방식으로 자료를 처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통화정보 수집 방법은 과금처리시스템(16)에서 교환기(13)에서 발생하는 통화정보를 마그네틱 테이프(15)나 중재장치(14)라는 수집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부터 온라인으로 수집하여 처리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종래에는 대량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처리 성능 확보와 과금 청구용으로서 사용하기 위한 변환 과정만을 수행하므로써 과금정보를 포함한 교환기(13) 및 통신서비스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각종 통화정보를 타시스템에서 이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수집 및 처리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다.
그리고, 종래에는 교환기(13) 및 통신서비스 부가장비로부터 발생되는 각종 정보를 활용하여 고객서비스 강화, 서비스 장애처리, 및 지역별 통화량 통계 등을 처리하는 방법이 일괄처리(Batch) 방식에 의해 수행되었으므로 정보를 활용하는데 있어서 상당한 시간적 차이(Gap)와 비용을 필요로 하였다. 또한, 과금처리시스템(16)에서 각종 데이터의 변환 작업이 끝난 후에야 과금응용시스템(도 2의 22)이 통화 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과금처리시스템(16)에서 처리되지 않은 데이터들을 과금응용시스템(22)에서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통화정보 처리시스템에서 과금데이터 수집 및 전송 프로토콜에 의한 대량의 통화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수집된 통화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한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화정보 수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통화정보 처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화정보 처리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 예시도.
도 4a 및 4b 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정보 수집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운용자의 판단에 의한 구성정보 및 통화정보 요청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상태정보 요청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과금 데이터 재전송 요청 및 수신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상태 시험 메시지 처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단말기 12 : 기지국
13 : 교환기 14 : 중재장치
15 : 마그네틱 테이프 16 : 과금처리시스템
21 :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 22 : 과금응용시스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외부시스템 및 네트워크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장애발생시 운용자에게 통보하기 위한 인터페이싱 수단; 시스템내의 모든 프로세스의 상태를 제어하여 장애 발생시 상기 인터페이싱 수단을 통해 운용자에게 알리고, 자동으로 프로세스를 복구하기 위한 제어 수단; 상기 제어 수단의 상태 제어신호에 따라, 통화정보를 수집하고, 통화정보의 수집시 발생될 수 있는 통화정보의 중복 및 유실을 검증하기 위한 수집 수단; 상기 제어 수단의 상태 제어신호에 따라, 수집된 다양한 통화정보를 표준 형식으로 변환하기 위한 표준 변환 수단; 상기 제어 수단의 상태 제어신호에 따라, 표준화된 통화정보에서 원하는 정보영역 및 해당 조건에 맞는 통화정보 데이터만을 추출하기 위한 필터링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의 상태 제어신호에 따라, 추출된 통화정보 데이터를 정해진 시간간격 및 목적지 주소로 분배하기 위한 분배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추출된 통화정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처리 수단; 상기 데이터베이스 처리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정보 또는 온라인으로 입력된 각종 정보를 통계 처리하기 위한 통계 처리 수단; 및 상기 통계 처리 수단에서 통계 처리된 각종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통화정보 처리시스템에 적용되는 통화정보 수집 방법에 있어서,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가 주경로를 통해 교환기 또는 중재장치와의 연결을 초기화하여 상기 교환기의 상태 등을 파악하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정보를 설정하는 제 1 단계;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가 연결된 주경로를 통해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로 과금 데이터의 전송을 요구하는 제 2 단계; 및 설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가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로 과금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운용자의 판단에 의해 재전송 요청시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가 보조경로를 통해 필요한 과금 데이터를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로 재전송을 요청하여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로부터 과금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운용자의 판단에 의해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가 보조경로를 통해 상기 교환기의 시스템 상태 및 부하, 디스크 상태 등에 대한 상태를 요청하여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가 보조경로를 통해 필요한 과금 데이터를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로 재전송을 요청하여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로부터 과금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보조경로를 통해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와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간의 시스템 연결 상태를 점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화정보 처리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화정보 처리시스템은 기존의 통화정보 처리시스템(도 1 참조)에 있어서, 통화정보를 저비용, 실시간으로 처리하기 위해 기존의 마그네틱 테이프(15)에 의한 수동 전송이나 중재장치(14)에 의한 폴링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교환기(13)나 각종 서비스 장치들로부터 생성된 통화정보를 생성즉시 푸쉬(Push) 방식에 의해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로 전달한다.
이후,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는 모든 통화정보를 수집하고, 통화정보를 이용하고자 하는 과금응용시스템(22)에서 원하는 정보 및 형태로 가공하여 실시간으로 전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화정보 처리시스템은 생성된 통화정보를 생성즉시 실시간으로 처리하므로써 적은 양의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즉시 처리되는 실시간 처리 방식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교환기(13)에서 생성되는 통화정보는 요금정보, 사용시간, 사용된 기지국 정보, 사용된 교환기 정보, 서비스 상태, 사용된 부가서비스, 통화를 시작한 발신자 전화번호, 통화를 한 착신자 정보, 및 통화에 사용된 단말기(11)의 기기일련번호(ESN) 등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통화정보를 생성한 교환기(13)별로 발생된 다양한 포맷을 표준포맷 및 표준값으로 변환한 후에 각종 시스템으로 전달하여야 한다.
그런데, 통신회사에 있어서 이러한 통화정보가 대량으로 발생되고 있으므로 정보를 처리하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통신서비스 종류에 적절한 처리 방법이 필요하다.
예를들면, 대량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통화정보 수집 인터페이스 기능, 인덱스 테이블 방식 데이터 변환 기능, 특정 영역 및 특정 데이터의 값에 따른 데이터 분류 기능, 여러개의 시스템으로 동시에 같은 데이터를 분배 시키는 기능, 실시간으로 발생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능,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하여 운용자 화면에 그래픽으로 표시 해주는 전시 기능 등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용량 병렬처리 기술이 필요하며, 통신서비스 제공에 따른 통화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병렬처리 구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 예시도로서, 도면에서 "211"은 운용자 정합부, "212"는 제어부, "213"은 통화정보 수집부, "214"는 통화정보 변환부, "215"는 여과(Filtering)부, "216"은 분배부, "217"은 데이터베이스 처리부, "218"은 데이터베이스, "219"는 통계처리부, 및 "220"은 통계화면 처리부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는 외부의 교환기(13) 및 네트워크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장애발생시 운용자에게 통보하기 위한 운용자 정합부(211)와,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내의 모든 프로세스의 상태를 제어하여 장애 발생시 운용자 정합부(211)를 통해 운용자에게 알리고, 자동으로 프로세스를 복구하기 위한 제어부(212)와, 제어부(212)의 상태 제어신호에 따라, 통화정보를 수집하고, 통화정보의 수집시 발생될 수 있는 통화정보의 중복 및 유실을 검증하기 위한 통화정보 수집부(213)와, 제어부(212)의 상태 제어신호에 따라, 수집된 다양한 통화정보를 표준 형식으로 변환하기 위한 통화정보 변환부(214)와, 제어부(212)의 상태 제어신호에 따라, 표준화된 통화정보에서 원하는 정보영역 및 해당 조건에 맞는 통화정보 데이터만을 추출하기 위한 여과부(215)와, 제어부(212)의 상태 제어신호에 따라, 추출된 통화정보 데이터를 정해진 시간간격 및 목적지 주소로 분배하기 위한 분배부(216)를 포함한다. 또한, 추출된 통화정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데이터베이스(218)에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처리 부(217)와, 데이터베이스(218)에 저장된 정보 또는 온라인으로 입력된 각종 정보를 통계 처리하기 위한 통계 처리부(219)와, 통계 처리부(219)에서 통계 처리된 각종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기 위한 통계화면 처리부(220)를 더 포함한다.
운용자 정합부(211)는 운용자와 정합하고, 통화정보를 처리하는 각 프로세스의 정상동작 여부를 점검하는 기능 및 교환기(13) 등 데이터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각종 시스템의 상태, 네트워크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며, 장애 발생시 운용자에게 통보한다. 또한,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한 각종 테이블을 검색하고 조건을 입력하는 화면을 제공한다.
제어부(212)는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내의 모든 프로세스들의 상태를 감시하여 장애 프로세스를 운용자에게 통보하며, 자동으로 장애 프로세스를 복구한다. 또한,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내의 각종 프로세의 부하를 점검하여 필요한 프로세스를 추가적으로 생성하거나, 운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를 정지시킨다.
통화정보 수집부(213)는 크게 인터페이스(Interface) 기능 및 수집정보 검증 기능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통화정보 수집 인터페이스는 동종의 교환기(13)로부터 통화 데이터 수집을 목적으로 고안되었다. 이로 인해 이기종의 교환기(13)로부터 통화 데이터를 수집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인터페이스의 변경이 불가피하며, 수집 주기 또한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에 의해 고정되었다.
따라서,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기종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로부터 가변 또는 고정 포맷의 통화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도록 접속 방식에 과금 데이터 포맷 및 해석 방법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전송하며, 통화 데이터의 수집 주기를 임의로 제어한다. 또한, 기존의 수집 방식이 통화정보만을 수집하였기 때문에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이를 파악하는 것이 운영자간의 연락에 의해서만 가능한 반면에, 통화 데이터 수집 프로토콜에 상태 리포트 전송 기능을 추가하여 시스템 이상 및 장애 내역을 제어부(212)로 실시간으로 통보한다.
그러므로,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는 통화 데이터 수집시 발생되는 시스템 장애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신속한 조치가 가능하다.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의 통화정보 수집부(213)는 단순 데이터 수집 뿐만아니라 수집시 발생할 수 있는 통화 데이터의 중복 및 유실을 검증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검증하여 오류가 감지되면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로 정상 데이터에 대한 정보 전송을 요구한다. 이때, 정상적인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보조 경로(Secondary Path)를 통해 수동으로 통화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통화정보 변환부(214)는 다양한 형태의 통화 데이터를 하나의 포맷(Unified Format)으로 변환하며, 위치 정렬 기능과 유용성(Validation) 검토 및 데이터 분석(Value Analysis) 기능을 수행한다.
위치 정렬 기능은 같은 의미를 갖는 필드들을 동일한 크기로 지정된 위치로 옮겨 기록하는 기능이다.
그런데, 교환기(13)에 따라 기록 가능한 필드들이 서로 다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정의는 테이블을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다. 즉, 통화 데이터 유형별로 입력 데이터의 포맷과 위치 정렬 후에 출력될 데이터의 포맷 및 필드간 상관 관계를 테이블로 정의하면 그 규칙에 따라 위치 정렬이 수행된다.
한편, 유용성 검토 및 데이터 분석 기능은 형태가 표준화된 데이터의 필드들을 분석하여 새로운 필드값을 생성하며, 필드간의 상호 검증을 통하여 잘못된 필드값을 보정하거나 새로운 필드값을 생성하는 기능이다. 이때, 유용성 검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준값을 테이블에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직접 프로그램하는 방식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미리 방지한다.
특히, 유용성 검토시 번호 분석을 위해 사용하는 테이블 생성 및 조회 알고리즘은 메모리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자유로운 번호 분석이 가능하며, 데이터 분석시 사용되는 번호 테이블은 분석 알고리즘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테이블 조작을 통해 번호 분석 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
여과부(215)는 통화정보를 각종 시스템으로 분배하기 위하여 통화정보를 해당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형태의 값으로 생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 영역 및 해당 조건에 맞는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파일을 생성한다.
분배부(216)는 여과부(215)에서 생성된 각종 파일을 정해진 시간 간격 및 목적지 주소로 통화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각종 통화정보의 전송을 위한 구성 정보를 테이블에서 조작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처리부(217)는 표준화된 모든 통화 데이터에 대한 통계 처리 기능 및 통화 데이터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데, 통화 데이터 저장시 발신 및 착신 통화 데이터를 번호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며, 통계 처리시 전화번호별 또는 교환기별, 기지국별 또는 착신 정보 종류에 따라 다양한 통계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통화정보를 데이터베이스(218)에 저장하기 위해서 각 프로세스 그룹별로 처리된 데이터를 병렬처리 데이터베이스 기법을 사용하여 해당 데이터를 디스크 볼륨별로 나누어 해당 디스크의 저장 프로세스가 병렬로 데이터를 처리한다.
통계 처리부(219)는 데이터베이스(218)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거나 온라인으로 입력되는 각종 정보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한다.
통계화면 처리부(220)는 데이터베이스(218)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이용하여 마케팅, 엔지니어링, 네트워크 감시 및 통화 품질 분석 등을 위한 각종 그래픽 차트 화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는 통화정보 데이터의 과금 데이터 수집시 신뢰성 확보를 위해 패킷 정의 및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화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통화정보의 재전송 요구기능, 전송 데이터의 오류 경보 및 자동 재전송 요구기능, 교환 및 중재장치 장애 자동 모니터링 기능 등을 사용하며, 색인 수행 테이블(Indexed Action Table) 방식에 의한 각종 번호번역 및 통화정보를 일정한 형태로 변환하고, 테이블 조작(Table Driven) 방식에 의한 조건식에 의해 데이터를 분류하고 여러 시스템으로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며, 각종 알고리즘을 병렬처리 방식으로 수행한다. 또한, 복합 조건식에 의해 특정 필드 및 필드내의 값들을 추출 및 변환하여 운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데이터 파일을 생성한다.
그리고,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는 동시에 여러 개의 시스템으로 같은 통화정보를 전송하고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통화정보를 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데 있어서, 파일 전송 신호방식(FTP : File Transfer Protocol) 또는 엠큐신호방식(MQ Series)의 트리거(Trigger) 기능을 사용하여 이벤트 조작(Event Driven) 방식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각종 시스템으로부터 MQ 신호방식으로 정보를 입수한다. 또한, 각종 통화정보를 사용하여 각 지역의 교환기 및 기지국 사용량, 시설별 투자대 수익률 정보를 추출하며, 고객의 통화정보를 발착신 정보, 부가서비스 사용정보, 통화목적 미달성 원인에 대해 표시 기능을 수행한다.
도 4a 및 4b 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정보 수집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주경로를 통해 통화정보 및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주경로(Primary Path)를 통해 통화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와의 연결 초기화 절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가 교환기(13)가 가진 각종 통화정보의 내용 및 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 교환기 구성정보를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로 요청(즉, 중재장치(14)에 등록된 모든 교환기 이름 요청)하면(401),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는 구성정보 요구에 대한 수신 응답 메시지를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로 전송한다(402).
이후,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가 교환기 구성정보를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로 전송하면(403),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는 수신된 교환기의 구성정보에 대한 수신 응답 메시지를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로 전송한다(404).
다음으로,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가 저장된 파일 번호범위, 일련번호 등에 대한 교환기별 과금 데이터 저장 정보를 교환기(13)로 요구하면(405), 교환기(13)는 교환기별 과금 데이터 저장 정보를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로 전송한다(406).
이어서,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가 교환기별 과금 데이터 저장 정보에서 이상 발견시, 확인을 위해 디스크 상태를 요구하는 교환기별 과금 데이터 저장 디스크 상태를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로 요구하면(407),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는 교환기별 과금 데이터 저장 디스크 상태를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로 알린다(408).
이후,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가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과금 데이터 전송 주기 및 전송 데이터 크기 구성정보를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로 전송하면(409), 교환기 또는 중재장치(14)는 과금 데이터 전송 주기 및 전송 데이터 크기 구성정보를 수용하고,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로 전송한다(410). 이때, 교환기 또는 중재장치(14)가 주어진 정보를 수용할 수 없을 경우에 가능한 값을 설정하여 응답한다.
다음으로,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가 과금 데이터 전송 시작을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로 요청하면(411),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는 수신된 과금 데이터 전송 시작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로 전송한다(412).
연결 초기화 과정(도 4a 참조)후에,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가 주경로를 통해 실제 데이터의 전송시 데이터의 유실 여부 및 각종 시간 오류등에 대해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로 재전송을 요청하여 과금 데이터를 수신하는 절차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가 과금 데이터를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면(413),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는 과금 데이터를 검증하여 정상인 경우에 한해 수신 성공 메시지를 교환기 또는 중재장치(14)로 전송한다(414).
한편,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가 전송한 과금 데이터가 전송중에 유실될 수도 있는데(415), 이때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는 과금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하면 성공 메시지를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로 전송하지 않는다. 또한,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가 정상적으로 수신된 과금 데이터에 대한 수신 성공 메시지를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로 전송하는 경우에도 전송중 유실이 발생될 수 있다(416).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과금 데이터 또는 과금 데이터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전송중 유실되면(415,416) 일정시간이 경과되어 타임-아웃(Time-Out)이 발생되는데(417), 이때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가 과금 데이터를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로 재전송하면(418),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는 재수신된 과금 데이터를 검증하여 정상이면 수신 성공 메시지를 교환기 또는 중재장치(14)로 전송한다(419).
한편, 재수신된 과금 데이터가 비정상인 경우에,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가 수신 실패 메시지를 교환기 또는 중재장치(14)로 전송하면(420),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는 과금 데이터를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로 재전송한다(421).
이후,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는 재수신된 과금 데이터를 검증하여 검증 오류가 없는 정상인 경우에 한해 수신 성공 메시지를 교환기 또는 중재장치(14)로 전송한다(422).
한편, 교환기/중재장치 상태 이상이 발생하면, 시스템 상태 리포트를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로 전송하고(423),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는 시스템 상태 리포트 수신에 대한 리포트 수신 성공 메시지를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로 전송한다(424).
마지막으로,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가 계속하여 과금 데이터를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로 실시간으로 전송한다(42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정보 수집 방법은 통화정보 데이터의 과금 데이터 수집시 신뢰성 확보를 위해 패킷 정의 및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화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통화정보의 재전송 요구기능, 전송 데이터의 오류 경보 및 자동 재전송 요구기능, 교환 및 중재장치 장애 자동 모니터링 기능 등을 사용하며, 색인 수행 테이블(Indexed Action Table) 방식에 의한 각종 번호번역 및 통화정보를 일정한 형태로 변환하고, 테이블 조작(Table Driven) 방식에 의한 조건식에 의해 데이터를 분류하고 여러 시스템으로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며, 각종 알고리즘을 병렬처리 방식으로 수행한다. 또한, 복합 조건식에 의해 특정 필드 및 필드내의 값들을 추출 및 변환하여 운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데이터 파일을 생성한다.
그리고, 통화정보 수집 방법은 동시에 여러 개의 시스템으로 같은 통화정보를 전송하고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통화정보를 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데 있어서, FTP 신호방식 또는 MQ 신호방식의 트리거(Trigger) 기능을 사용하여 이벤트 조작(Event Driven) 방식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고, 각종 시스템으로부터 MQ 신호방식으로 정보를 입수한다. 또한, 각종 통화정보를 사용하여 각 지역의 교환기 및 기지국 사용량, 시설별 투자대 수익률 정보를 추출하며, 고객의 통화정보를 발착신 정보, 부가서비스 사용정보, 통화목적 미달성 원인에 대해 표시 기능을 수행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운용자의 판단에 의한 구성정보 및 통화정보 요청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운용자의 판단에 의한 재전송 요청시 보조경로(Secondary Path)를 통해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 요청하기 위해 교환기(13)가 가진 데이터의 정보를 요청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먼저, 전송제어 프로토콜 및 인터넷 프로토콜(TCP/IP : Transfer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연결 설정 상태에서,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가 교환기/중재장치의 구성정보 및 저장하고 있는 과금 데이터의 내역을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로 요청하면(501),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는 구성정보 및 저장된 과금 데이터 내역 요청에 대한 수신 응답 메시지 및 구성정보 및 저장된 과금 데이터 내역을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로 전송한다(502,503).
이후,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가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로 TCP/IP 연결 해제를 요청하여(504) 연결을 해제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상태정보 요청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운용자가 보조경로를 통해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의 시스템 상태 및 부하, 디스크 상태 등에 대한 상태를 요청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먼저, TCP/IP 연결 설정 상태에서,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가 교환기/중재장치의 시스템 상태 및 부하, 디스크 상태 등에 대해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로 요청하면(601),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는 시스템 상태 및 부하, 디스크 상태 등에 대한 상태정보를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로 전송한다(602).
이후,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가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로 TCP/IP 연결 해제를 요청하여(603) 연결을 해제한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과금 데이터 재전송 요청 및 수신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보조경로를 통해 데이터의 재전송 요청시 과금 데이터를 수신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먼저, TCP/IP 연결 설정 상태에서,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가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로 과금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구하면(701),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는 과금 데이터 재전송 요청에 대한 수신 응답 메시지 및 재전송 요청된 과금 데이터중 첫 번째 과금 데이터를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로 전송한다(702,703).
이후,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가 수신된 첫 번째 과금 데이터를 검증하여 정상인 경우에 수신 성공 메시지를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로 전송하면(704),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는 재전송 요청된 과금 데이터중 두 번째 과금 데이터를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로 전송한다(705).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는 재전송 요청된 마지막 과금 데이터까지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로 전송한다(706).
다음으로,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가 수신된 마지막 과금 데이터를 검증하여 정상인 경우에 수신 성공 메시지를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로 전송하면(707),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는 재전송 요청된 과금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로 알린다(708).
마지막으로,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가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로 연결 해제를 요청하여(709) 연결을 해제한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상태 시험 메시지 처리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보조경로를 통해 시스템간의 연결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연결상태 시험 메시지 처리 절차를 나타낸다.
먼저, TCP/IP 연결 설정 상태에서,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가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로 시험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면(801),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는 시험 데이터를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로 전송한다(802).
이후,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21)가 교환기(13) 또는 중재장치(14)로 연결 해제를 요청하여(803) 연결을 해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정보 수집 방법은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교환기 등 각종 통신서비스 장비로부터 과금 데이터 및 각종 정보를 수집, 분석, 변환, 분배, 통계처리할 수 있으며, 병렬처리 기법, 대용량 데이터베이스 처리 등의 기법을 사용하여 실시간 데이터 처리를 통한 통신회사의 각종 과금, 망관리, 엔지니어링,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고객분석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양한 이동통신 교환기, 각종 통신서비스 장비 및 부가서비스 시스템 등과의 과금 수집을 위한 통일한 연동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소프트웨어 재사용이 가능하여 신규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개발비용 및 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통합된 시스템 관리 환경을 제공하므로써 운용비용 절감 및 과금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규서비스 개발, 교환기 및 기지국 개선 작업후에 데이터의 정확성 측정 등에 사용되므로써 서비스 품질 측정 등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고, 각종 통신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응용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외부시스템 및 네트워크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장애발생시 운용자에게 통보하기 위한 인터페이싱 수단;
    시스템내의 모든 프로세스의 상태를 제어하여 장애 발생시 상기 인터페이싱 수단을 통해 운용자에게 알리고, 자동으로 프로세스를 복구하기 위한 제어 수단;
    상기 제어 수단의 상태 제어신호에 따라, 통화정보를 수집하고, 통화정보의 수집시 발생될 수 있는 통화정보의 중복 및 유실을 검증하기 위한 수집 수단;
    상기 제어 수단의 상태 제어신호에 따라, 수집된 다양한 통화정보를 표준 형식으로 변환하기 위한 표준 변환 수단;
    상기 제어 수단의 상태 제어신호에 따라, 표준화된 통화정보에서 원하는 정보영역 및 해당 조건에 맞는 통화정보 데이터만을 추출하기 위한 필터링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의 상태 제어신호에 따라, 추출된 통화정보 데이터를 정해진 시간간격 및 목적지 주소로 분배하기 위한 분배 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추출된 통화정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처리 수단;
    상기 데이터베이스 처리 수단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정보 또는 온라인으로 입력된 각종 정보를 통계 처리하기 위한 통계 처리 수단; 및
    상기 통계 처리 수단에서 통계 처리된 각종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변환 수단은,
    색인 수행 테이블 방식에 의해 번호 번역 및 통화정보를 일정한 형태로 변환하고, 복합 조건식에 의해 특정 필드 및 필드내의 값들을 추출 및 변환하여 운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는,
    동시에 여러 시스템으로 같은 통화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파일전송신호방식(FTP) 또는 엠큐신호방식(MQ Series)의 트리거(Trigger) 기능을 사용하여 이벤트 조작(Event Driven) 방식으로 통화정보를 타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해당 시스템으로부터 엠큐신호방식으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
  5. 통화정보 처리시스템에 적용되는 통화정보 수집 방법에 있어서,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가 주경로를 통해 교환기 또는 중재장치와의 연결을 초기화하여 상기 교환기의 상태 등을 파악하고,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정보를 설정하는 제 1 단계;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가 연결된 주경로를 통해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로 과금 데이터의 전송을 요구하는 제 2 단계; 및
    설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가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로 과금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화정보 수집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운용자의 판단에 의해 재전송 요청시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가 보조경로를 통해 필요한 과금 데이터를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로 재전송을 요청하여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로부터 과금 데이터를 수집하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화정보 수집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연결설정 상태에서,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가 과금 데이터의 내역을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로 요청하는 제 5 단계;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가 구성정보 및 저장된 과금 데이터 내역 요청에 대한 수신 응답 메시지 및 구성정보 및 저장된 과금 데이터 내역을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로 전송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가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로 연결 해제를 요청하여 연결 상태를 해제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화정보 수집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운용자의 판단에 의해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가 보조경로를 통해 상기 교환기의 시스템 상태 및 부하, 디스크 상태 등에 대한 상태를 요청하여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로부터 상태정보를 수집하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화정보 수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연결 설정 상태에서,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가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의 상태 및 부하, 디스크 상태 등에 대해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로 요청하는 제 5 단계;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가 시스템 상태 및 부하, 디스크 상태 등에 대한 상태정보를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로 전송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가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로 연결 해제를 요청하여 연결 상태를 해제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화정보 수집 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가 보조경로를 통해 필요한 과금 데이터를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로 재전송을 요청하여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로부터 과금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화정보 수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연결 설정 상태에서,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가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로 과금 데이터의 재전송을 요청하는 제 5 단계;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가 과금 데이터 재전송 요청에 대한 수신 응답 메시지 및 재전송 요청된 과금 데이터를 첫 번째부터 마지막까지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로부터 수신 성공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 한해 순차적으로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로 전송하는 제 6 단계;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가 수신된 마지막 과금 데이터를 검증하여 정상인 경우에 수신 성공 메시지를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로 전송하는 제 7 단계;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가 재전송 요청된 과금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로 알리는 제 8 단계; 및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가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로 연결 해제를 요청하여 연결 상태를 해제하는 제 9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화정보 수집 방법.
  12. 제 5 항에 있어서,
    보조경로를 통해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와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간의 시스템 연결 상태를 점검하는 제 4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화정보 수집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연결 설정 상태에서,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가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로 시험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는 제 5 단계;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가 시험 데이터를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로 전송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가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로 연결 해제를 요청하여 연결 상태를 해제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화정보 수집 방법.
  14. 제 5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가 상기 교환기가 가진 각종 통화정보의 내용 및 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정보를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로 요청하는 제 10 단계;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가 구성정보 요구에 대한 수신 응답 메시지 및 구성정보를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로 전송하는 제 11 단계;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가 수신된 구성정보에 대한 수신 응답 메시지 및 저장된 파일 번호범위, 일련번호 등에 대한 교환기별 과금 데이터 저장 정보를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로 요구하는 제 12 단계;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가 교환기별 과금 데이터 저장 정보를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로 전송하는 제 13 단계;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가 교환기별 과금 데이터 저장 정보에서 이상 발견시 확인을 위해 디스크 상태를 요구하는 교환기별 과금 데이터 저장 디스크 상태를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로 요구하는 제 14 단계;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가 교환기별 과금 데이터 저장 디스크 상태를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로 알리는 제 15 단계;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가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과금 데이터 전송 주기 및 전송 데이터 크기 구성정보를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로 전송하는 제 16 단계; 및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가 과금 데이터 전송 주기 및 전송 데이터 크기 구성정보를 수용하고,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로 전송하는 제 17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화정보 수집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7 단계는,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가 과금 데이터 전송 주기 및 전송 데이터 크기 구성정보를 수용할 수 없는 경우에 가능한 값을 설정하여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로 전송하는 제 18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화정보 수집 방법.
  16. 제 5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가 과금 데이터를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제 10 단계;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가 과금 데이터를 검증하여 정상인 경우에 한해 수신 성공 메시지를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로 전송하는 제 11 단계;
    과금 데이터가 전송중 유실되거나 수신된 과금 데이터에 대한 수신 성공 메시지가 전송중 유실되는 경우에, 일정시간이 경과되어 타임-아웃(Time-Out)이 발생되는 제 12 단계;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가 과금 데이터를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로 재전송하는 제 13 단계;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가 재수신된 과금 데이터를 분석하는 제 14 단계;
    상기 제 14 단계의 분석결과, 정상이면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가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로 수신 성공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15 단계;
    상기 제 14 단계의 분석결과, 비정상이면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가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로 수신 실패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 13 단계로 넘어가는 제 16 단계;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가 교환기/중재장치 상태 이상 발생으로 시스템 상태 리포트를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로 전송하는 제 17 단계; 및
    상기 통화정보 수집분배 장치가 시스템 상태 리포트 수신에 대한 리포트 수신 성공 메시지를 상기 교환기 또는 상기 중재장치로 전송한 후에, 상기 제 10 단계로 넘어가는 제 18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화정보 수집 방법.
  17. 제 5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정보 처리시스템은,
    색인 수행 테이블 방식에 의해 번호 번역 및 통화정보를 일정한 형태로 변환하고, 복합 조건식에 의해 특정 필드 및 필드내의 값들을 추출 및 변환하여 운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며, 동시에 여러 시스템으로 같은 통화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파일전송신호방식(FTP) 또는 엠큐신호방식(MQ Series)의 트리거(Trigger) 기능을 사용하여 이벤트 조작(Event Driven) 방식으로 통화정보를 타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해당 시스템으로부터 엠큐신호방식으로 정보를 입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정보 수집 방법.
KR1019980022430A 1998-06-15 1998-06-15 통화정보수집방법 및 그를이용한통화정보수집분배장치 KR100292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2430A KR100292156B1 (ko) 1998-06-15 1998-06-15 통화정보수집방법 및 그를이용한통화정보수집분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2430A KR100292156B1 (ko) 1998-06-15 1998-06-15 통화정보수집방법 및 그를이용한통화정보수집분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943A true KR20000001943A (ko) 2000-01-15
KR100292156B1 KR100292156B1 (ko) 2001-07-12

Family

ID=19539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2430A KR100292156B1 (ko) 1998-06-15 1998-06-15 통화정보수집방법 및 그를이용한통화정보수집분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215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169B1 (ko) * 2002-07-11 2004-10-15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애 검출장치 및 방법
KR100477607B1 (ko) * 2002-07-11 2005-03-18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이동전화 가입자 통합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0655682B1 (ko) * 2005-05-16 2006-12-08 김영창 이어폰전선 자동감개
KR100693719B1 (ko) * 1999-12-22 2007-03-12 주식회사 케이티 대용량의 원시 데이터 관리를 위한 지능망 시스템 및 그 지능망의 회원 관리 시스템에서의 원시 데이터 관리방법
KR100705952B1 (ko) * 2006-06-09 2007-04-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화 내역 기록을 기반으로 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809278B1 (ko) * 2006-05-30 2008-03-03 주식회사 케이티 개인 및 기업 전화의 착발신 내역에 대한 통계 및 트래픽랭크 분석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957A (ko) * 2000-10-28 2002-05-04 구자홍 교환기의 과금 데이터 전송 방법
KR101103886B1 (ko) 2007-07-25 2012-01-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에서 위치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1654A (ko) * 1995-11-21 1997-06-26 서정옥 통신망을 이용한 운용보전데이타 분배 시스템
KR970056195A (ko) * 1995-12-19 1997-07-31 양승택 실시간 과금 정보 및 온라인 과금 정보 제공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719B1 (ko) * 1999-12-22 2007-03-12 주식회사 케이티 대용량의 원시 데이터 관리를 위한 지능망 시스템 및 그 지능망의 회원 관리 시스템에서의 원시 데이터 관리방법
KR100453169B1 (ko) * 2002-07-11 2004-10-15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애 검출장치 및 방법
KR100477607B1 (ko) * 2002-07-11 2005-03-18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이동전화 가입자 통합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0655682B1 (ko) * 2005-05-16 2006-12-08 김영창 이어폰전선 자동감개
KR100809278B1 (ko) * 2006-05-30 2008-03-03 주식회사 케이티 개인 및 기업 전화의 착발신 내역에 대한 통계 및 트래픽랭크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100705952B1 (ko) * 2006-06-09 2007-04-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화 내역 기록을 기반으로 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2156B1 (ko) 200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3953B2 (en) Method and device for subdividing data service charges in a network
CN101843134B (zh) 用于网络业务量监视的方法和监视组件
US646666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oactively updating a communication billing system
KR100292156B1 (ko) 통화정보수집방법 및 그를이용한통화정보수집분배장치
US6396511B1 (en)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not requiring modifications or additions to manager and agent software
CN109118822B (zh) 一种智慧停车管理方法和平台
KR100427699B1 (ko) Imt-2000시스템에서의 패킷데이터 처리방법
KR100216069B1 (ko) 전자교환기 트래픽 집중관리시스템
KR100496263B1 (ko) 이동통신망의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빌링 방법과 이를위한 시스템
KR20130095556A (ko) 가맹점 단말기의 상태를 관리하는 van 서버 및 그 방법
CN113453179A (zh) 一种基于5g会话到话单消息的智能转换方法
CN111354124A (zh) 一种智能物联网售货系统及服务设备、售货机
KR100259867B1 (ko) 통신관리 망에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과 네트워크 소자간의명령 인터페이스 방법
KR950005587B1 (ko) 서비스교환기에서의지능망프로토콜트래픽측정방법
KR20010028890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과금 수집 시스템
KR100251379B1 (ko) 교환시스템에있어서통신관리망관리자의사건보고메시지최적화방법및시스템
KR100383592B1 (ko) 선불 서비스 기능을 가지는 교환기 및 그에 따른 과금처리 방법
KR100833292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실시간 과금 데이터 백업 시스템 및 방법
US20040161077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tracing interface for exchange and access network
KR0123254B1 (ko) 서비스 교환기(ssp)에서 지능망 서비스 호를 시험하기 위한 응용 프로세스 시뮬레이션 방법
CN113839800B (zh) 异常网元提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0256671B1 (ko) 통신관리망 연결 관리를 위한 관리대행자와 교환시스템간의 연결 관리 명령 수행 방법
KR0175475B1 (ko) 정보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자동선택방법
KR950001512B1 (ko) 통신처리 망관리장치 및 통신방식
KR970006947B1 (ko) 서비스교환기의정보료수납대행서비스호를시험하기위한응용프로세스시뮬레이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