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1120B1 -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1120B1
KR100551120B1 KR1020020049013A KR20020049013A KR100551120B1 KR 100551120 B1 KR100551120 B1 KR 100551120B1 KR 1020020049013 A KR1020020049013 A KR 1020020049013A KR 20020049013 A KR20020049013 A KR 20020049013A KR 100551120 B1 KR100551120 B1 KR 100551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bile phone
call
mobile telephone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6726A (ko
Inventor
한영근
안성혜
김현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20049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1120B1/ko
Publication of KR20040016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8Detecting or preventing theft or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통화추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분실 및 고장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전화 단말기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통화내역과 개통여부 및 요금제도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통화내역에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통화수를 산출하는 통화 산출부와, 상기 통화 산출부로부터의 상기 통화수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개통여부 및 요금제도에 따라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여부를 판단하는 판정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가입자의 통화량을 일단위 및 주단위를 분석하여 기존 대비 통화량의 급격한 감소가 있을 경우 단말기의 분실 또는 고장으로 간주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입자의 단말기 분실 등의 문제를 사전에 감지하여 신속하게 대응함으로써, 고객확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TERMINAL OF MOBILE TELEPHONE}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단말기 분실 검출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40 : 이동전화 단말기 20, 50 : 기지국
25, 55 : 기지국 제어기 30, 60 : 이동교환국
35, 65 :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 70 : 단말기 분실 검출부
72 : 일단위 통화 완료수 산출부 74 : 주단위 통화 완료수 산출부
76 : 단말기 분실 판정부 78 : 단말기 분실 최종 판정부
85 : 통화정보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통화추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분실 및 고장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전화 단말기(Mobile Telephone)와 이동전화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과 이동전화 교환국(Mobile Telephone Switching Office)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동전화 단말기는 이동전화 기지국과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며 채널을 교환하고 위치등록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이동전화 기지국은 기저대역 신호처리, 유무선변환 및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며, 이동전화 단말기를 제어하며 통화 품질을 감시하고, 이동전화 교환국과 단말기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이동전화 기지국은 트래픽 밀도가 높은 지역에서 서비스 영역내 분포하는 가입자 수와 무선통신망에서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을 만족하면서 기지국 시스템이 수용할 수 있는 가입자 수에 따라 최적의 위치에 설치된다. 이동전화 교환국은 이동전화망의 교환 접속을 수행하고 공중 교환 전화망과 연결시키며 모든 기지국의 중앙 통제, 제어 및 감시, 호처리 과정을 수행하는 동시에 과금 정보와 가입자 정보 그리고 위치 등록 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전화 단말기(10) 및 이동전 화 단말기(10)를 일반 전화 네트워크(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 PSTN)로 연결하는 이동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 30)을 구비한다.
사용자는 유선전화와의 통화, 다른 이동전화 단말기와의 통화 또는 데이터 전송 등의 목적으로 이동전화 단말기(10)를 이용한다.
이동전화 단말기(10)는 전화를 걸기 위해 내부에 마련된 키패드를 통해 단말기 내에 저장된 고유번호 및 사용자가 다이얼한 전화번호를 함께 기지국(20)에 전달한다.
이동교환국(30)은 이동전화 단말기(10)와 무선으로 양방향 통신하기 위한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20)과, 기지국(20)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 BSC)(25)와, 기지국(20)을 일반전화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PSTN)에 접속시키기 위한 이동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 MSC)(33)를 구비한다.
기지국(20)은 이동전화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고주파신호를 기지국제어기(25)에 전송하며, 기지국 제어기(25)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고주파신호로 변환하여 이동전화 단말기(10)에 송출한다. 이를 위해, 기지국(20)은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를 통해 이동전화 단말기(10)에게 이동통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기지국(20)은 사용자 이동전화 단말기(10)와의 직접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곳으로 전파의 전달손실 때문에 제한된 서비스 반경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전국 단위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현재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들은 많은 수의 기지국(20)을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다. 또한, 기지국(20)은 서비스 반경 을 늘리기 위하여 높은 산에 철탑을 세우거나, 높은 건물의 옥상에 철탑을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기지국 제어기(25)는 기지국(20)과 이동교환기(33) 사이의 통신을 중계한다. 또한, 기지국 제어기(25)는 기지국(20)에 수신된 신호의 수신강도 또는 신호전력에 따라 핸드오버(hand-over)를 개시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지국 제어기(25)는 도시하지 않은 기지국 관리 시스템(Base Station Manager : BSM)에 의해 관리된다. 즉, 기지국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기지국 제어기(25)를 운영 관리한다.
이동교환기(33)는 일반전화교환망(PSTN)에 접속되어 이동전화 가입자와 유선 가입자 간의 통신을 중계하게 된다. 또한, 이동교환기(33)은 이동전화 단말기(10;가입자)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35)로부터 이동전화 단말기(10)의 정보를 얻어 가입자의 호를 처리한다.
이러한 종래 이동통신 시스템은 먼저 전화를 걸기 위해 이동전화 단말기(10)내의 키패드를 통해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통화시작 버튼을 누르면, 단말기(10) 내에 저장된 고유번호 및 사용자가 다이얼한 전화번호가 함께 기지국(20)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기지국(20)은 이동전화 단말기(10)로부터 송출된 고유번호 및 전화번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고유번호 등이 등록된 번호인가를 확인한다. 그런 다음, 기지국(20)은 수신된 고유번호 등이 허가된 등록번호이면 이동전화 단말기(10)에 음성 채널을 할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그 할당된 음성채널을 통해 피호출자와 통화를 하게 된다.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전화 단말기(10)의 분실이나 고장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들의 민원을 통해서만 그 분실이나 고장 여부를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업자의 신뢰성이 저하됨으로써 차후 고객 확보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통화추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분실 및 고장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장치는 이동전화 단말기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무선통신하는 다수의 기지국들과,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상기 기지국들 간의 통화내역과 개통여부 및 요금제도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통화내역에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통화수를 산출하는 통화 산출부와, 상기 통화 산출부로부터의 상기 통화수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개통여부 및 요금제도에 따라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여부를 판단하는 판정부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장치에서 상기 통화 산출부는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전체 가입자들의 평균 통화수를 산출하는 제 1 산출부와, 상기 이동전 화 단말기의 통화수를 일단위 및 주단위로 산출함과 아울러 주단위 통화수에 대하여 전주합계 및 금주합계를 산출하는 제 2 산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장치에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일단위 통화수가 적어도 2일 또는 적어도 4일 이상 연속하여 무통화이거나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 및 상기 주단위 통화수의 전주합계를 금주합계로 제산하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여부를 1차로 판정하는 제 1 판정부와, 상기 1차로 판정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들에 대하여 상기 개통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여부를 2차로 판정하는 제 2 판정부와, 상기 2차로 판정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들의 특정 요금제도에 따라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을 최종 판정하는 제 3 판정부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장치의 판정부에서 상기 제 1 판정부는 상기 일단위 통화수가 상기 전체 가입자들의 평균 통화수보다 많을 경우에는 적어도 2일 이상 연속하여 무통화일 경우에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를 분실로 판정하고, 상기 일단위 통화수가 상기 전체 가입자들의 평균 통화수보다 적을 경우에는 적어도 4일 이상 연속하여 무통화일 경우에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를 분실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방법은 이동전화 단말기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무선통신하는 다수의 기지국들을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기지국들 간의 통화내역과 개통여부 및 요금제도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내역에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통화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상기 통화수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개통여부 및 요금제도에 따라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방법에서 상기 통화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전체 가입자들의 평균 통화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통화수를 일단위 및 주단위로 산출함과 아울러 주단위 통화수에 대하여 전주합계 및 금주합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방법에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일단위 통화수가 적어도 2일 또는 적어도 4일 이상 연속하여 무통화이거나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 및 상기 주단위 통화수의 전주합계를 금주합계로 제산하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여부를 1차로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1차로 판정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들에 대하여 개통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여부를 2차로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2차로 판정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들 중 특정 요금제를 사용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을 최종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방법에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여부를 1차로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일단위 통화수가 상기 전체 가입자들의 평균 통화수보다 많을 경우에는 적어도 2일 이상 연속하여 무통화일 경우에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를 분실로 판정하고, 상기 일단위 통화수가 상기 전체 가입자들의 평균 통화수보다 적을 경우에는 적어도 4일 이상 연속하여 무통화일 경우에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를 분실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의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장치는 이동전화 단말기(40) 및 이동전화 단말기(40)를 일반 전화 네트워크(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 PSTN)로 연결하는 이동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 60) 및 이동전화 단말기(40)의 통화추이를 분석하여 이동전화 단말기(40)의 분실 또는 고장을 검출하는 단말기 분실 검출부(70)를 구비한다.
사용자는 유선전화와의 통화, 다른 이동전화 단말기와의 통화 또는 데이터 전송 등의 목적으로 이동전화 단말기(40)를 이용한다.
이동전화 단말기(40)는 전화를 걸기 위해 내부에 마련된 키패드를 통해 단말기 내에 저장된 고유번호 및 사용자가 다이얼한 전화번호를 함께 기지국(50)에 전달한다.
이동교환국(60)은 이동전화 단말기(40)와 무선으로 양방향 통신하기 위한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50)과, 기지국(50)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 BSC)(55)와, 기지국(50)을 일반전화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PSTN)에 접속시키기 위한 이동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 MSC)(63) 및 이동전화 단말기(40)의 통화내역을 분석하여 기지국(50)의 분실을 검출하기 위한 단말기 분실 검출부(70)를 구비한다.
기지국(50)은 이동전화 단말기(40)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고주파신호를 기지국제어기(55)에 전송하며, 기지국 제어기(55)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고주파신호로 변환하여 이동전화 단말기(40)에 송출한다. 이를 위해, 기지국(50)은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를 통해 이동전화 단말기(40)에게 이동통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기지국(50)은 사용자 이동전화 단말기(40)와의 직접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곳으로 전파의 전달손실 때문에 제한된 서비스 반경을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전국 단위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현재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들은 많은 수의 기지국(50)을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다. 또한, 기지국(50)은 서비스 반경을 늘리기 위하여 높은 산에 철탑을 세우거나, 높은 건물의 옥상에 철탑을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기지국 제어기(55)는 기지국(50)과 이동교환기(63) 사이의 통신을 중계한다. 또한, 기지국 제어기(55)는 기지국(50)에 수신된 신호의 수신강도 또는 신호전력에 따라 핸드오버(hand-over)를 개시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지국 제어기(55)는 도시하지 않은 기지국 관리 시스템(Base Station Manager : BSM)에 의해 관리된다. 즉, 기지국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기지국 제어기(55)를 운영 관리한다.
이동교환기(63)는 일반전화교환망(PSTN)에 접속되어 이동전화 가입자와 유선 가입자 간의 통신을 중계하게 된다. 또한, 이동교환기(63)는 이동전화 단말기(40;가입자)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65)로부터 이동전화 단말 기(40)의 정보를 얻어 가입자의 호를 처리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장치는 먼저 전화를 걸기 위해 이동전화 단말기(40)내의 키패드를 통해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통화시작 버튼을 누르면, 단말기(40) 내에 저장된 고유번호 및 사용자가 다이얼한 전화번호가 함께 기지국(50)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기지국(50)은 이동전화 단말기(40)로부터 송출된 고유번호 및 전화번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고유번호 등이 등록된 번호인가를 확인한다. 그런 다음, 기지국(50)은 수신된 고유번호 등이 허가된 등록번호이면 이동전화 단말기(40)에 음성 채널을 할당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입자는 그 할당된 음성채널을 통해 피호출자와 통화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입자는 이동전화 단말기(40)를 이용하여 기지국(50)을 통해 피호출자와 음성 및 데이터를 주고받게 된다. 이 때, 가입자가 사용한 이동전화 단말기(40)의 통화내역은 통화정보 데이터베이스(85)에 저장된다.
통화정보 데이터베이스(85)에는 발신자와 착신자의 성공적으로 통화목적을 달성한 완료수, 시도수 및 사용시간 정보 등의 가입자별 통화내역들(이하 "통화 완료수"를 지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이 저장된다. 이러한, 통화정보 데이터베이스(85)에 저장된 사용자의 통화 완료수는 사용자의 이동전화 단말기(40)의 분실 또는 고장을 검출하기 위한 분석도구로 이용된다.
이를 위해, 단말기 분실 검출부(70)는 통화정보 데이터베이스(85)로부터의 가입자의 통화 완료수를 일단위 및 주단위로 통계를 통해 단말기 분실 또는 고장 여부를 검출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하면, 단말기 분실 검출부(70)는 통화 완료수 를 일단위로 산출하는 일단위 통화 완료수 산출부(72)와, 일단위 통화 완료수를 주단위로 산출하는 주단위 통화 완료수 산출부(74)와, 일단위 또는 주단위로 산출된 통화 완료수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단말기 분실 여부를 1차로 판단하는 단말기 분실 판단부(76) 및 1차로 판단된 이동전화 단말기(40)를 가입자 정보와 비교하여 최종 단말기의 분실 또는 고정을 판단하는 단말기 분실 최종 판단부(78)를 구비한다.
일단위 통화 완료수 산출부(72)는 통화정보 데이터베이스(85)로부터의 통화 완료수를 이용하여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 가입자의 평균 완료수의 200% 이하인 가입자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 가입자의 평균 완료수의 200% 이상인 가입자로 나누어 일단위로 산출한다.
평균 완료수의 200% 이하 일 자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21XX-XXXX 2 1 0 0 2 5 1 2 1 2 3 0 2
22XX-XXXX 2 1 4 2 1 0 2 1 2 2 0 0 0
23XX-XXXX 2 1 3 0 2 5 1 1 1 0 0 2 0
24XX-XXXX 3 7 5 4 3 4 0 4 2 4 6 2 5
25XX-XXXX 2 3 4 9 2 6 4 2 5 8 0 0 0
26XX-XXXX 3 4 5 4 7 6 3 4 2 1 0 0 1
평균 완료수의 200% 이상 일 자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27XX-XXXX 12 3 15 32 11 32 34 54 32 10 21 2 2
28XX-XXXX 23 43 54 23 64 53 65 21 45 32 33 21 0
29XX-XXXX 21 34 32 5 22 28 12 26 8 3 2 7 3
주단위 통화 완료수 산출부(74)는 표 3 및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위 통화 완료수 산출부(72)로부터 전체 가입자의 평균 완료수의 200% 이하인 가입자의 통화 완료수를 이용하여 전주 및 금주의 통화 완료수를 산출하고, 전체 가입자의 평균 완료수의 200% 이상인 가입자의 일단위 통화 완료수를 이용하여 전주 및 금주의 통화 완료수를 산출한다.
평균 완료수 200%이하 전 주 금 주
21XX-XXXX 11 10
22XX-XXXX 12 5
23XX-XXXX 14 4
24XX-XXXX 26 23
25XX-XXXX 30 15
26XX-XXXX 32 8
평균 완료수 200% 이상 전 주 금 주
가입자 번호 27XX-XXXX 139 121
28XX-XXXX 325 152
29XX-XXXX 154 49
단말기 분실 판단부(76)는 주단위 통화 완료수 산출부(74)로부터의 평균 완 료수 200%이하 및 200%이상 가입자들에 대한 전주합계를 금주합계로 제산(÷)하여 기준설정값 3보다 같거나 작을 경우에 1차 관리대상 즉, 단말기의 분실 또는 고장으로 판단한다.
또는, 단말기 분실 판단부(76)는 주단위 통화 완료수 산출부(74)로부터의 평균 완료수이 200% 이하일 경우에는 통화 완료수가 최근 2일 연속기간 동안 제로(Zero) 통화 인지를 검출하고, 주단위 통화 완료수 산출부(74)로부터의 평균 완료수이 200% 이상일 경우에는 통화 완료수가 최근 4일 연속기간 동안 제로(Zero) 통화 인지를 검출하여 1차 관리대상 즉, 단말기의 분실 또는 고장으로 판단한다. 이는 평균 완료수 대비 200% 이상 가입자는 이동전화 단말기(40)의 의존도가 높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또는 고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평균 완료수 대비 200% 이상 가입자에게는 빠른 대응이 필요하기 때문에 단말기 분실 판단부(76)는 가입자별로 최근 2일 연속 통화 완료수가 제로(0)인지를 검출하게 된다. 반면에 평균 완료수 대비 200% 이하 가입자는 특별한 사유 없이 시도 통화가 없는 경우가 나타나기 때문에 단말기 분실 판단부(76)는 가입자별로 최근 4일 연속 통화 완료수가 제로(0)인지를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단말기 분실 판단부(76)는 표 1 내지 표 4에 나타낸 가입자 번호 중 전주합계와 금주합계의 차이의 변화가 심한 22XX-XXXX, 23XX-XXXX, 25XX-XXXX, 26XX-XXXX, 28XX-XXXX, 29XX-XXXX의 가입자 번호를 1차 관리대상으로 선택하게 된다.
단말기 분실 판단부(76)에 의해 1차 관리대상으로 판정된 가입자 번호는 단 말기 분실 최종 판정부(78)에 의해 최종 단말기 분실 또는 고장으로 판정된다. 이를 상세히 하면, 단말기 분실 최종 판정부(78)는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65)로부터의 가입자 정보와 1차 관리대상으로 판정된 가입자 번호를 비교하여 최종 단말기 분실 또는 고장을 판정하게 된다. 여기서,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65)로부터의 가입자 정보는 가입자의 단말기 개통 및 해지 정보와 가입자의 요금제도 정보이다.
이에 따라, 단말기 분실 최종 판정부(78)는 가입자의 통화량 정보가 개통과 해지에 관련하여 변화정도가 심하므로 1차 관리대상으로 판정된 가입자 번호에서 현재 이미 개통상태인 가입자 번호만을 추출하여 2차 관리대상으로 판정한다. 그런 다음, 단말기 분실 최종 판정부(78)는 2차 관리대상인 가입자 번호와 그의 요금제도를 비교하게 된다. 이는, 가입자의 통화량은 가입자의 요금제도에 따라 그 통화량의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매달 일정량만을 사용하도록 하는 요금제는 매월 말 통화량이 감소하게 되고, 또한 선불카드의 경우에도 매달말에 통화량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단말기 분실 최종 판정부(78)는 2차 관리대상으로 분류된 가입자 번호에서 특정 요금제에 해당하는 가입자 번호를 관리대상에서 제외시키고, 그렇지 않은 가입자 번호는 단말기 분실 또는 고장 상태로 최종 분류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방법은 우선 통화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입자 번호들의 통화정보에서 전체 가입자들의 평균 통화 완료수를 산출하고, 가입자 번호별 일단위 통화 완료수를 산출함과 아울러 가입자 번호별 주단위 통화 완료수를 산출하게 된다. (S1 단계)
그런 다음, 산출된 가입자 번호의 일단위 통화 완료수가 전체 사용자의 평균 통화량의 2배 이상인지를 확인한다. (S2 단계)
산출된 가입자 번호의 일단위 통화 완료수가 전체 사용자의 평균 통화량의 2배 이상인 경우에는 가입자 번호의 전주합계 통화 완료수를 금주합계 통화 완료수를 나누어 3과 같거나 클경우에는 단말기 분실 또는 고장 상태로 분류하여 관리대상으로 1차 선택한다. 또한, 최근 2일 동안 연속 제로(0) 통화 완료수인 경우에도 단말기 분실 또는 고장 상태로 분류하여 관리대상으로 1차 선택한다. (S3, S4 단계)
이 때, 산출된 가입자 번호의 일단위 통화 완료수가 전체 사용자의 평균 통화량의 2배 이상인 경우에 가입자 번호의 전주합계 통화 완료수를 금주합계 통화 완료수를 나누어 3보다 작을 경우에는 단말기 정상상태로 분류된다. 또한, 최근 2일 동안 연속 제로(0) 통화 완료수가 아니 경우에도 단말기 정상상태로 분류된다. (S5 단계)
한편, 산출된 가입자 번호의 일단위 통화 완료수가 전체 사용자의 평균 통화량의 2배 이하인 경우에는 가입자 번호의 전주합계 통화 완료수를 금주합계 통화 완료수를 나누어 3과 같거나 클경우에는 단말기 분실 또는 고장 상태로 분류하여 관리대상으로 1차 선택한다. 또한, 최근 4일 동안 연속 제로(0) 통화 완료수인 경우에도 단말기 분실 또는 고장 상태로 분류하여 관리대상으로 1차 선택한다. (S6, S5 단계)
이 때, 산출된 가입자 번호의 일단위 통화 완료수가 전체 사용자의 평균 통 화량의 2배 이하인 경우에 가입자 번호의 전주합계 통화 완료수를 금주합계 통화 완료수를 나누어 3보다 작을 경우에는 단말기 정상상태로 분류된다. 또한, 최근 4일 동안 연속 제로(0) 통화 완료수가 아니 경우에도 단말기 정상상태로 분류된다. (S5 단계)
그런 다음, 1차 관리대상으로 선택된 가입자 번호에 대하여 현재 개통 상태 및 해지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S7 단계) 즉, 1차 관리대상으로 선택된 가입자 번호 중 현재 개통상태인 가입자 번호만을 추출하여 2차 관리대상으로 선택하고, 현재 단말기 해지 상태인 가입자 번호는 1차 관리대상에서 제외시킨다. (S7, S8 단계)
이어서, 2차 관리대상으로 선택된 가입자 번호에 대하여 특정 요금제를 사용하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S9 단계) 즉, 2차 관리대상으로 선택된 가입자 번호 중 특정 요금제를 사용하지 않는 가입자 번호는 최종 단말기 분실 또는 고장 상태인 것을 분류한다. (S10 단계) 한편, 2차 관리대상으로 선택된 가입자 번호 중 특정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는 가입자 번호를 2차 관리대상에서 제외시켜 단말기 정상상태로 최종 분류한다. (S11 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장치 및 방법은 가입자의 통화량을 일단위 및 주단위를 분석하여 기존 대비 통화량의 급격한 감소가 있을 경우 단말기의 분실 또는 고장으로 간주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입자의 단말기 분실 등의 문제를 사전에 감지하여 신속하게 대응함으로써, 고객확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8)

  1. 이동전화 단말기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무선통신하는 다수의 기지국들과,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상기 기지국들 간의 통화내역, 개통여부 및 요금제도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통화내역에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통화수를 산출하는 통화 산출부와,
    상기 통화 산출부로부터의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통화수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개통여부 및 요금제도에 따라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여부를 판단하는 판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산출부는,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전체 가입자들의 평균 통화수를 산출하는 제 1 산출부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통화수를 일단위 및 주단위로 산출함과 아울러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주단위 통화수에 대하여 전주합계 및 금주합계를 산출하는 제 2 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일단위 통화수가 적어도 2일 또는 적어도 4일 이상 연속하여 무통화이거나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상기 주단위 통화수의 전주합계를 금주합계로 제산하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여부를 1차로 판정하는 제 1 판정부와,
    상기 1차로 판정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들에 대하여 상기 개통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여부를 2차로 판정하는 제 2 판정부와,
    상기 2차로 판정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들의 특정 요금제도에 따라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을 최종 판정하는 제 3 판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정부는,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일단위 통화수가 상기 전체 가입자들의 평균 통화수보다 많을 경우에는 적어도 2일 이상 연속하여 무통화일 경우에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를 분실로 판정하고,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일단위 통화수가 상기 전체 가입자들의 평균 통화수보다 적을 경우에는 적어도 4일 이상 연속하여 무통화일 경우에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를 분실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장치.
  5. 이동전화 단말기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무선통신하는 다수의 기지국들을 가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기지국들 간의 통화내역, 개통여부 및 요금제도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통화내역에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통화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통화수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개통여부 및 요금제도에 따라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전체 가입자들의 평균 통화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통화수를 일단위 및 주단위로 산출함과 아울러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주단위 통화수에 대하여 전주합계 및 금주합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일단위 통화수가 적어도 2일 또는 적어도 4일 이상 연속하여 무통화이거나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상기 주단위 통화수의 전주합계를 금주합계로 제산하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여부를 1차로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1차로 판정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들에 대하여 개통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여부를 2차로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2차로 판정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들 중 특정 요금제를 사용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을 최종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여부를 1차로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일단위 통화수가 상기 전체 가입자들의 평균 통화수보다 많을 경우에는 적어도 2일 이상 연속하여 무통화일 경우에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를 분실로 판정하고,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일단위 통화수가 상기 전체 가입자들의 평균 통화수보다 적을 경우에는 적어도 4일 이상 연속하여 무통화일 경우에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를 분실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방법.
KR1020020049013A 2002-08-19 2002-08-19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장치 및 방법 KR100551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013A KR100551120B1 (ko) 2002-08-19 2002-08-19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013A KR100551120B1 (ko) 2002-08-19 2002-08-19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726A KR20040016726A (ko) 2004-02-25
KR100551120B1 true KR100551120B1 (ko) 2006-02-13

Family

ID=37322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013A KR100551120B1 (ko) 2002-08-19 2002-08-19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11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39824A (zh) * 2011-11-25 2013-06-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通信网络中感知差用户的识别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2687A (ja) * 1996-05-23 1997-12-02 Nec Eng Ltd 防犯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20000042952A (ko) * 1998-12-28 2000-07-15 김동연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도난 상태 제어방법
KR20000042657A (ko) * 1998-12-26 2000-07-15 서평원 휴대폰의 분실 또는 도난 방지 방법
JP2001313980A (ja) * 2000-04-28 2001-11-09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携帯電話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2687A (ja) * 1996-05-23 1997-12-02 Nec Eng Ltd 防犯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20000042657A (ko) * 1998-12-26 2000-07-15 서평원 휴대폰의 분실 또는 도난 방지 방법
KR20000042952A (ko) * 1998-12-28 2000-07-15 김동연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도난 상태 제어방법
JP2001313980A (ja) * 2000-04-28 2001-11-09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携帯電話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726A (ko) 2004-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34207C (zh) 无线通信切换方法和装置
US6360103B2 (en) Cellular telephone system which increases efficiency of reserved channel usage
CN105636047A (zh) 一种欺诈用户的检测方法、装置和系统
US6332073B1 (en) Emergency number dialing from a fixed cellular terminal
EP0782813B1 (en) Terminal equipment
CA2182600A1 (en) Cellular radiotelephone with dialed number analysis
US6934527B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changing dynamically charge rate an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usable therewith
US6088584A (en) Methods for cellular pay phone/debit phone support on analog channels
EP118825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a mobile station to a communication resource
KR100551120B1 (ko) 이동전화 단말기의 분실 검출장치 및 방법
US6694140B2 (en) Channel entering method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subscriber station
KR100477607B1 (ko) 이동전화 가입자 통합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CN101646189A (zh) 无线网络小区性能测试方法和设备
US20060079223A1 (en) Communication method
CA2275698C (en) Methods for cellular pay phone/debit phone support
KR100497298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불량단말기 검출방법 및 시스템
KR100510182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체감통화불만가입자 추출방법 및 시스템
KR10045316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장애 검출장치 및 방법
KR20010018342A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중계기별 유입호 분석 방법
WO1997004602A2 (en) Method for usin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s with telecommunications calls
WO2001022757A1 (en) Method of processing charging information
CA2133730A1 (en) Radio telephone system using voice/data signal
KR100245758B1 (ko) Mf-ppe신호방식에서의 시내/외호에 대한 번호수신방법
KR20050001000A (ko)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티켓 발행방법 및 그 장치
US20040198343A1 (en) Call handling for a fixed wireless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