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2840B1 - 전동 칫솔 - Google Patents

전동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840B1
KR100452840B1 KR10-2002-0025231A KR20020025231A KR100452840B1 KR 100452840 B1 KR100452840 B1 KR 100452840B1 KR 20020025231 A KR20020025231 A KR 20020025231A KR 100452840 B1 KR100452840 B1 KR 100452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bristles
teeth
gap adjusting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7246A (ko
Inventor
최주리
최주아
Original Assignee
최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2-0025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2840B1/ko
Application filed by 최주아 filed Critical 최주아
Priority to EP02749405A priority patent/EP1416825B1/en
Priority to DE60217876T priority patent/DE60217876T2/de
Priority to AU2002319928A priority patent/AU2002319928B8/en
Priority to CNB028168747A priority patent/CN1262223C/zh
Priority to JP2003513371A priority patent/JP2004534603A/ja
Priority to CA002452821A priority patent/CA2452821A1/en
Priority to US10/483,816 priority patent/US7222382B2/en
Priority to AT02749405T priority patent/ATE352227T1/de
Priority to PCT/KR2002/001334 priority patent/WO2003007756A1/en
Publication of KR20030087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8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발명은, 탄력성을 가지면서 회전이 가능한 복수개의 칫솔지지대 상단에 각각 칫솔대를 결합시킨 후 그 칫솔대에는 엇갈린 배열각도로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칫솔모를 식모하는 한편, 복수개로 이루어진 칫솔대의 간격이 조절되는 전동칫솔을 구성하므로서, 칫솔모의 치간 접근을 용이하게 하면서 치아의 배열 형태에 따라 치아의 양면은 물론 상하 치아의 측면과 교합면 및 교합측면을 동시 또는 별개로 하면서 치아방향으로 쓸어 내리는 방식으로 자유롭게 세척할수 있도록 함은 물론, 칫솔대의 간격조절을 통해 사용자에 따라 서로 다른 치아 두께를 가지더라도 그 사용에 전혀 불편함이 없도록 하고, 더불어 세척안내판과 연장되는 이중구조의 덮개판을 통해 칫솔모를 보호하도록 함은 물론, 전동칫솔에 구비된 모터의 회전구동이 인체감지센서의 감지동작으로 부터 온/오프되도록 하여 전동칫솔의 안전한 사용과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전동 칫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동 칫솔{Electromotion toothbrush}
본 발명은 전동 칫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탄력성을 가지면서 회전이 가능한 복수개의 칫솔지지대 상단에 각각 칫솔대를 결합시킨 후 그 칫솔대에는 엇갈린 배열각도로 식모된 칫솔대의 회전으로 부터 그 회전이 서로 중첩되는 칫솔모를 식모하여 칫솔모의 치간 접근을 용이하게 하면서 치아의 배열 형태에 따라 치아의 양면은 물론 상하 치아의 측면과 교합면 및 교합측면을 동시 또는 별개로 하면서 치아방향으로 쓸어 내리는 방식으로 자유롭게 세척할수 있도록 하는 전동칫솔에 관한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은 복수개로 이루어진 칫솔대의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사용자에 따라 서로 다른 치아 두께를 가지더라도 그 사용에 전혀 불편함이 없도록 함은 물론, 세척안내판과 연장되는 이중구조의 덮개판을 통해 칫솔모를 보호하도록 하는 한편,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모터의 회전구동이 온/오프되도록 하므로서 전동칫솔의 안전한 사용과 편의성을 증대시킬수 있도록 하는 전동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치아의 건강을 위해 세척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는 수동방식과 전동방식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수동방식의 경우 칫솔대에 식모된 칫솔모가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를 이루는 관계로, 이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칫솔모가 옆으로 누워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는 바, 이를 제대로 잡아주지 못할 경우 잇몸 손상이 발생되는데 종래에는 이를 해소하도록 주기적으로 칫솔을 교체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더불어, 종래의 수동방식 칫솔은 치아의 양면을 세척하고자 하는 작업에 상당한 불편함이 따랐을뿐만 아니라 치간으로의 칫솔모 접근이 어려워 치아의 정확한 세척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한편, 전동 칫솔의 경우 치아의 세척에는 상당한 편의성을 제공하는 반면, 칫솔모의 형태가 수동방식에서와 같이 한 방향으로만 세워져 있는 관계로, 상기 수동방식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소하지는 못하였다.
이에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전동칫솔의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복수개의 원형 칫솔대를 제공하는 한편, 상기 각 칫솔대의 원형 둘레면을 따라 칫솔모를 식모하는 방식의 전동칫솔을 제공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또한 복수개를 이루는 칫솔모가 동일방향으로 그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고정되었는 바, 칫솔의 사용기간에 따라 칫솔대에 식모된 칫솔모의 기울어짐이 발생되면서 이를 소정의 주기마다 교체하여야 하는 폐단이 따랐다.
더불어, 상기와 같은 복수개의 칫솔대를 사용하는 전동칫솔은 복수개의 칫솔대를 지지하는 칫솔지지대가 소정의 장력을 제공하지 못하는 관계로, 치아의 배열형태에 따른 치아의 양면 세척은 물론, 상하 치아의 측면과 교합면 및 교합 측면을 동시 또는 별개로 세척할 때 그 세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지는 못하였다.
이에 본원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01년 8월 6일자로 전동칫솔(특허출원 제 2001-47202 호)을 특허 출원하였는 바, 본 발명은 이의 개선된 특허이다.
즉, 본 발명은 탄력성을 가지면서 회전이 가능한 복수개의 칫솔지지대 상단에 각각 칫솔대를 결합시킨 후 그 칫솔대에는 엇갈린 배열각도로 식모된 칫솔대의 칫솔모가 회전을 할 때 서로 중첩되도록 하는 한편, 복수개로 이루어진 칫솔대의 간격이 조절되는 전동칫솔을 구성하므로서, 칫솔모의 치간 접근을 용이하게 하면서 치아의 배열 형태에 따라 치아의 양면은 물론 상하 치아의 측면과 교합면 및 교합측면을 동시 또는 별개로 하면서 치아방향으로 쓸어 내리는 방식으로 자유롭게 세척할수 있도록 함은 물론, 칫솔대의 간격조절을 통해 사용자에 따라 서로 다른 치아 두께를 가지더라도 그 사용에 전혀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전동칫솔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세척안내판과 연장되는 이중구조의 덮개판을 통해 칫솔모를 보호하도록 함은 물론, 전동칫솔에 구비된 모터의 회전구동이 인체감지센서의 감지동작으로 부터 온/오프되도록 하여 전동칫솔의 안전한 사용과 편의성을 증대시킬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전동칫솔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전동칫솔의 구조를 보인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제 2 회전지지축에 원형유동구가 결합되는 상태의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세척안내판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대와 세척안내판의 결합사시도.
도 6의 a∼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칫솔대에 다양한 나선형 형태로 칫솔모가 식모된 상태의 개략사시도.
도 7의 a∼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칫솔모가 식모된 복수 칫솔대가 서로 중첩 회전하는 상태의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복수개로 이루어진 칫솔모가 치아의 측면을 세척하는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복수개로 이루어진 칫솔모가 치아의 양면을 세척하는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복수개로 이루어진 칫솔모가 치아의 교합면과측면을 세척하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터 2 ; 구동기어
3 ; 피동기어 4,5 ; 제 1,2 회전기어
6,7; 제 1,2 회전지지축 8,9; 제 1,2 칫솔지지대
10; 케이스 11,12; 제 1,2 칫솔대
21; 경첩부 22,23; 제 1,2 세척안내판
24; 링체결고리 24a; 슬라이드홈
25,26; 제 1,2 덮개판 27; 링체결부
30; 인체감지센서 31; 마이크로프로세서
32; 축전지 41; 간격조절부
42; 작동로드 43; 간격조절판
43a; 걸림부 44; 유동안내홈
45; 고정축 46; 탄성스프링
47; 간격제어부 50; 원형유동구
100; 칫솔모 200,300; 제 1,2 원판
10a; 램프 SW1; 램프스위치
SW2; 속도조절스위치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전동칫솔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전동칫솔의 구조를 보인 개략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제 2 회전지지축에 원형유동구가 결합되는 상태의 개략 단면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세척안내판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대와 세척안내판의 결합사시도 이다.
도 6의 a∼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칫솔대에 다양한 나선형 형태로 칫솔모가 식모된 상태의 개략사시도이고, 도 7의 a∼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칫솔모가 식모된 복수 칫솔대가 서로 중첩 회전하는 상태의 개략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복수개로 이루어진 칫솔모가 치아의 측면을 세척하는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복수개로 이루어진 칫솔모가 치아의 양면을 세척하는 상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복수개로 이루어진 칫솔모가 치아의 교합면과 측면을 세척하는 상태도 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 및 제 2 원판(200)(300)을 소정높이로 유지시키면서 상기 제 2 원판(300)의 하면에는 모터(1)를 구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원판(200)(300)의 사이에는 모터(1)의 구동으로 부터 연동되는 구동기어(2) 및 피동기어(3)와, 상기 피동기어(3)의 회전에 따라 서로 맞물리면서 회전하는 제 1 및 제 2 회전기어(4)(5)와,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기어(4)(5)에 고정되는 제 1 및 제 2 회전지지축(6)(7)과,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지지축(6)(7)에 결합되어 소정의 탄력성을 가지는 제 1 및 제 2 칫솔지지대(8)(9)와 케이스(10)를 포함하는 전동칫솔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기어(4)(5)는 그 둘레면의 크기가 서로 다른 마름모꼴 모양으로 하여 맞물리게 배열하되, 상기 제 1 원판(200)에는 제 2 회전지지축(7)에 삽입되면서 회전하는 원형유동구(50)를 밀착 고정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칫솔지지대(8)(9)의 끝단부에는 제 1 및 제 2 칫솔대(11)(12)를 결합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칫솔대(11)(12)에는 각각 칫솔대(11)(12)의 회전이 이루어질 때 서로 엇갈린 배열각도로 칫솔모(100)를 식모시키며,
상기 제 1 및 제 2 칫솔대(11)(12)에는 칫솔모(100)를 통해 치아의 양면은 물론 상하 치아의 측면과 교합면 및 교합측면을 별개 또는 동시에 세척 가능하게 함은 물론 치아로 부터 칫솔모(1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경첩부(21)를 통해 절첩되는 제 1 및 제 2 세척안내판(22)(23)을 결합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세척안내판(22)(23)에는 제 1 및 제 2 칫솔대(11)(12)에 식모된 칫솔모(100)를 보호할수 있도록 회전 움직임이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덮개판(25)(26)을 결합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원판(200)(300)의 사이에는 제 2 회전지지축(7)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칫솔대(11)(12)의 간격을 넓게 혹은 좁게 조절할수 있도록 간격조절수단을 결합하고,
상기 케이스(10)의 일단에는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30)를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10)내에는 인체감지센서(30)로 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모터(1)의 회전구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31)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1)의 제어에 따라 모터(1)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32)를 내장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세척안내판(22)(23)에는,
제 1 및 제 2 칫솔대(11)(12)로 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일측 개구형으로 슬라이드홈(24a)을 가지는 링체결고리(24)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판(25)(26)에는,
링체결고리(24)의 슬라이드홈(24a)으로 체결되어 제 1 및 제 2 덮개판(25)(26)의 회전 움직임을 안내 및 지지하는 일측 개구형의 링체결부(27)를 연장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전동칫솔의 케이스(10) 외측면에 형성된 간격조절부(41)와,
상기 간격조절부(41)의 작동으로 부터 회전되는 작동로드(42)와,
상기 작동로드(42)의 일단에 일체로 연결되면서 제 2 회전지지축(7)의 일단으로 걸림동작하도록 걸림부(43a)를 가지되, 작동로드(42)의 회전시 제 2 원판(300)의 면을 따라 소정각도로 움직이면서 제 1 및 제 2 칫솔지지대(8)(9)는 물론 제 1 및 제 2 칫솔대(11)(12)의 간격을 좁게 조절하도록 제 2 회전지지축(7)을 유동시키는 간격조절판(43)과,
제 2 원판(300)의 면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회전지지축(7)의 움직임 범위를 제공하는 유동안내홈(44)과,
제 2 원판(300)의 면상에 고정된 고정축(45)과 상기 간격조절판(43)에 양단에 체결되도록 하되, 상기 간격조절부(41)의 작동해제시 움직임이 발생된 제 2 회전지지축(7)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복수개의 탄성스프링(46)과,
케이스(10)의 외측면에 위치하되, 상기 간격조절부(41)의 작동범위를 설정하는 간격제어부(47)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의 상단면에는 램프(10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10)의 외측 둘레면에는 램프(10a)의 점등을 온/오프시키는 램프스위치(SW1)와, 모터(1)의 구동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조절스위치(SW2)를 구성하고 있다.
더불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마이크로프로세서(31), 인체감지센서(30), 모터(1), 램프(10a), 축전지(32), 램프스위치(SW1), 속도조절스위치(SW2)를 회로적으로 연결 구성하는 별도의 인쇄회로기판(PCB)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전동칫솔은 충전방식으로 그 구동이 가능하도록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충전이 가능한 축전지(32)와 충전핀(도시하지 않음)을 가지도록 하였으며, 상기 충전핀에는 전원코드(도시하지 않음)와 일체형을 이루는 충전잭(도시하지 않음)이 꽂아지도록 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정 모양으로 그 외측면에 램프스위치(SW1) 및 속도조절스위치(SW2)와 인체감지센서(30) 및 간격조절수단으로서 간격조절부(41)와 간격제어부(47)를 형성한 전동칫솔 케이스(10)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31)와 축전지(32)가 회로적으로 연결 구성되는 인쇄회로기판은 물론 제 1 및 제 2 원판(200)(300)을 구성하고, 상기 제 2 원판(300)의 하면에는 모터(1)를 연결한다.
더불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는 모터(1)와 인체감지센서(30) 및 속도조절스위치(SW2)와 램프스위치(SW1) 및 램프(10a)가 회로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둔다.
또한, 상기 축전지(32)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케이스(10)의 배면에는 충전핀을 형성하여 둔다.
이후, 상기 제 1 및 제 2 원판(200)(300)의 사이에는 모터(1)와 연결되는 구동기어(2)를 연결하고, 상기 구동기어(2)에는 피동기어(3)가 맞물리도록 한다.
상기 피동기어(3)에는 서로 맞물리면서 회전하는 제 1 및 제 2 회전기어(4)(5)를 연결 구성하는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기어(4)(5)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회전지지축(6)(7)을 고정하여 둔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기어(4)(5)는 그 둘레면의 크기가 서로 다른 마름모꼴 모양으로 하여 서로 맞물리게 배열하고, 상기 제 1 원판(200)에는 제 2 회전지지축(7)에 삽입되면서 회전하는 원형유동구(50)를 밀착 고정하는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지지축(6)(7)은 제 1 및 제 2 회전기어(4)(5)의 중심면은 물론 제 1 원판(200)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 후,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지지축(6)(7)에는 소정의 탄력성을 발휘하는 제 1 및 제 2 칫솔지지대(8)(9)를 결합하여 둔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칫솔지지대(8)(9)의 끝단부에는 제 1 및 제 2 칫솔대(11)(12)를 결합시키는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칫솔대(11)(12)에는 각각 서로 엇갈린 배열각도로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칫솔모(100)를 식모시켜 둔다.
더불어, 상기 제 1 및 제 2 칫솔대(11)(12)에는 칫솔모(100)를 통해 치아의 양면은 물론 상하 치아의 측면과 교합면 및 교합측면을 별개 또는 동시에 세척 가능하게 함은 물론 칫솔모(100)를 보호하고 안전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절첩이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2 세척안내판(22)(23)과 제 1 및 제 2 덮개판(25)(26)을 결합하여 둔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세척안내판(22)(23)은 칫솔모(100)를 통해 치아의 양면은 물론 상하 치아의 측면과 교합면 및 교합측면을 별개 또는 동시 세척이 가능하도록 경첩부(21)를 통해 절첩시키고, 상기 제 1 및 제 2 세척안내판(22)(23)에는 슬라이드홈(24a)을 가지는 링체결고리(24)가 연장되어 있는 바,
상기 링체결고리(24)를 통해 제 1 및 제 2 칫솔대(11)(12)에 제 1 및 제 2 세척안내판(22)(23)을 끼움방식으로 결합시킬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제 1 및 제 2 세척안내판(22)(23)으로는 제 1 및 제 2 칫솔대(11)(12)에 식모된 칫솔모(100)를 보호할수 있도록 회전 움직임이 가능한 제 1 및 제 2 덮개판(25)(26)를 결합시킨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판(25)(26)에는 링체결부(27)가 연장되어 있는 바,
상기 링체결부(27)를 링체결고리(24)의 슬라이드홈(24a)으로 체결하면, 상기링체결고리(24)와 링체결부(27)에 의해 제 1 및 제 2 세척안내판(22)(23)과 제 1 및 제 2 덮개판(25)(26)의 결합이 완료됨은 물론, 상기 제 1 및 제 2 덮개판(25)(26)은 링체결고리(24)의 슬라이드홈(24a)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링체결부(27)의 회전 움직임으로 구강여건에 따라 그 개폐가 가능하게 되면서 안전한 사용과 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제 1 및 제 2 칫솔대(11)(12)에 식모된 칫솔모(100)를 보호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원판(200)(300)의 사이에는 제 2 회전지지축(7)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칫솔대(11)(12)의 간격을 넓게 혹은 좁게 조절할수 있도록 간격조절수단을 결합하여 둔다.
즉,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전동칫솔의 케이스(10) 외측면에는 간격조절부(41)를 형성하고, 상기 간격조절부(41)에는 케이스(100)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작동로드(42)를 연결하여 둔다.
그러면, 상기 작동로드(42)는 간격조절부(41)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작동로드(42)의 일단에는 간격조절판(43)을 일체로 연결하되, 상기 간격조절판(43)에는 제 2 회전지지축(7)의 일단으로 걸림동작하는 걸림부(43a)를 형성하여 둔다.
그러면, 상기 작동로드(42)의 회전이 이루어질 때 상기 간격조절판(43)은 제 2 원판(300)의 면을 따라 소정각도로 움직이면서 제 1 및 제 2 칫솔지지대(8)(9)는 물론 제 1 및 제 2 칫솔대(11)(12)의 간격을 좁게 조절하도록 제 2 회전지지축(7)을 유동시킬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2 원판(300)의 면상에는 제 2 회전지지축(7)의 끝단부가 안착될수 있는 유동안내홈(44)을 형성하므로서, 상기 제 2 회전지지축(7)이 간격조절판(43)에 의해 움직일 때 그 움직임 범위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더불어, 상기 간격조절판(43)과 제 2 원판(300)의 면상에 고정된 고정축(45)에는 복수개의 탄성스프링(46)을 연결하므로서, 상기 탄성스프링(46)은 간격조절부(41)의 작동해제 즉, 사용자가 간격조절부(41)를 놓을 때 움직임이 발생된 제 2 회전지지축(7)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작용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외측면에는 간격제어부(47)를 형성하여 두므로서, 상기 간격제어부(47)는 간격조절부(41)의 작동범위를 설정할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간격제어부(47)는 회전방식으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간격조절부(41)의 움직임 범위를 제한하였는 바, 상기 제한된 움직임 범위에 따라 제 1 및 제 2 칫솔지지대(8)(9)는 물론 제 1 및 제 2 칫솔대(11)(12)의 간격조절 범위는 임의로 설정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동칫솔을 통해 치아를 세척하고자 케이스(10)의 일면에 형성된 인체감지센서(30)로 사용자의 손이 접촉하면, 상기 인체감지센서(30)에서는 사용자의 손 접촉상태를 감지한 후 그 감지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31)에 출력하는 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1)에서는 축전지(32)의 전원을 모터(1)로 공급하여 상기 모터(1)의 회전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모터(1)는 사용자가 케이스(10)의 외측면에 형성된 인체감지센서(30)에 접촉할 때에만 그 구동이 이루어지고, 만약 사용자가 상기 인체감지센서(30)로 부터 손의 접촉을 해제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31)는 모터(1)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전동칫솔의 구동을 정지시킴은 물론, 그 구동에 따른 사용자의 손상을 예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모터(1)의 구동으로 부터 서로 맞물려 있는 구동기어(2) 및 피동기어(3)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바,
상기 피동기어(3)의 회전에 따라 이에 맞물려 있던 제 1 및 제 2 회전기어(4)(5)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그 회전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기어(4)(5)에는 각각 제 1 및 제 2 회전지지축(6)(7)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지지축(6)(7)에는 제 1 및 제 2 칫솔지지대(8)(9)가 체결되어 있는 바,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기어(4)(5)의 회전으로 부터 제 1 및 제 2 칫솔지지대(8)(9)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칫솔지지대(8)(9)에 결합된 제 1 및 제 2 칫솔대(11)(12)도 더불어 연동 회전하는 바,
상기 제 1 및 제 2 칫솔대(11)(12)에 식모된 각각의 칫솔모(100)는 상기 제 1 및 제 2 칫솔대(11)(12)의 회전이 이루어질 때 서로 엇갈린 형태로 중첩되면서 회전하여 치아를 세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칫솔대(11)(12)에는 제 1 및 제 2세척안내판(22)(23)과 제 1 및 제 2 덮개판(25)(26)이 절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바,
상기 제 1 및 제 2 세척안내판(22)(23)의 절첩으로 부터 도 8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치아 측면을 세척하고자 그 상하 치아의 측면으로 복수개의 칫솔모(100)를 갖다 대면 그 구강 여건에 따라 제 1 및 제 2 덮개판(25)(26)이 열림 또는 닫힘동작을 하면서 세척이 이루어진다.
또한, 사용자가 치아의 배열과 크기에 따라 윗니(또는 아랫니)의 양면을 동시에 세척하고자 대칭을 이루는 칫솔모(100)의 사이로 치아를 넣으면, 상기 치아의 삽입으로 부터 제 1 및 제 2 세척안내판(22)(23)의 경첩부(21)가 도 9에서와 같이 치아 교합면쪽으로 이동하게 되는 바,
상기 경첩부(21)의 이동으로 부터 제 1 및 제 2 세척안내판(22)(23)은 칫솔모(100)로 부터 잇몸쪽으로 과탈을 자동 제어하면서 그 펼쳐짐의 절첩이 이루어지므로서, 상기 복수개로 이루어진 칫솔모(100)는 윗니(또는 아랫니)의 양면으로 그 접촉상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치아의 양면 세척을 진행할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복수개로 이루어진 칫솔모(100)는 도 10에서와 같이 치아의 교합면과 측면도 동시에 세척할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치아를 세척하는 도중 그 세척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또는 느리게 할수 있는데, 이는 케이스(10)에 형성된 속도조절스위치(SW2)를 통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에 형성된 램프스위치(SW1)와 램프(10a)의 작동으로부터 충치의 조기 발견을 유도할수도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복수개로 이루어진 칫솔모(100)의 간격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조절될수도 있다.
즉, 제 1 원판(200)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제 2 회전지지축(7)에 원형유동구(50)를 삽입하여 연동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기어(4)(5)의 둘레면 크기를 각각 다르게 하여 서로 맞물리게 배열하였는 바,
상기 제 2 회전지지축(7)의 유동으로 상기 제 1 회전지지축(6)과의 간격이 벌어질 때 제 1 및 제 2 회전기어(4)(5)은 그 둘레면이 넓은 방향끼리 서로 맞물리면서 회전하여 동력을 전달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10)의 외측면에 형성된 간격제어부(47)를 임의로 설정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간격조절부(41)를 잡아당긴다.
그러면, 상기 간격조절부(41)의 당김동작으로 부터 작동로드(42)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작동로드(42)의 회전에 따라 제 2 회전지지축(7)으로 걸림부(43a)가 걸림동작된 간격조절판(43)은 제 2 원판(300)의 면을 따라 소정각도로 움직임이 발생된다.
이때, 상기 간격조절판(43)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2 회전지지축(7)은 걸림부(43a)에 의해 그 움직임이 발생됨은 물론, 그 움직임 범위가 제 2 원판(300)의 면상에 형성된 유동안내홈(44)을 따라 이루어지는 바,
상기 제 2 회전지지축(7)에 결합된 제 2 칫솔지지대(9)는 물론 제 2 칫솔대(12)는 제 1 칫솔지지대(8) 및 제 1 칫솔대(11)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그간격이 좁아지므로서, 복수개로 이루어진 칫솔모(100)와 치아의 접촉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치아의 세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가 간격조절부(41)를 이동시키면, 상기 간격조절판(43)은 복수개로 이루어진 탄성스프링(46)에 의해 리턴 즉 원위치로 복귀되는 움직임이 발생하는 바,
상기 간격조절판(43)의 복귀동작으로 부터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제 2 회전지지축(7)은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제 1 및 제 2 칫솔지지대(8)(9)는 물론 제 1 및 제 2 칫솔대(11)(12)의 간격은 다시 넓어질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탄력성을 가지면서 회전이 가능한 복수개의 칫솔지지대 상단에 각각 칫솔대를 결합시킨 후 그 칫솔대에는 엇갈린 배열각도로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칫솔모를 식모하는 한편, 복수개로 이루어진 칫솔대의 간격이 조절되는 전동칫솔을 구성하므로서, 칫솔모의 치간 접근을 용이하게 하면서 치아의 배열 형태에 따라 치아의 양면은 물론 상하 치아의 측면과 교합면 및 교합측면을 동시 또는 별개로 하면서 치아방향으로 쓸어 내리는 방식으로 자유롭게 세척할수 있도록 함은 물론, 칫솔대의 간격조절을 통해 사용자에 따라 서로 다른 치아 두께를 가지더라도 그 사용에 전혀 불편함이 없도록 하고, 더불어 세척안내판과 연장되는 이중구조의 덮개판을 통해 칫솔모를 보호하도록 함은 물론, 전동칫솔에 구비된 모터의 회전구동이 인체감지센서의 감지동작으로 부터 온/오프되도록 하여 전동칫솔의 안전한 사용과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4)

  1. 제 1,2 원판을 소정높이로 유지시키면서 상기 제 2 원판의 하면에는 모터를 구성하고, 상기 제 1,2 원판의 사이에는 모터의 구동으로 부터 연동되는 구동기어 및 피동기어, 상기 피동기어의 회전에 따라 서로 맞물리면서 회전하는 제 1,2 회전기어, 상기 제 1,2 회전기어에 고정되는 제 1,2 회전지지축, 상기 제 1,2 회전지지축에 결합되어 소정의 탄력성을 가지는 제 1,2 칫솔지지대와 케이스를 포함하는 전동칫솔에 있어서,
    상기 제 1,2 회전기어는 그 둘레면의 크기가 서로 다른 마름모꼴 모양으로 하여 맞물리게 배열하되, 상기 제 1 원판에는 제 2 회전지지축에 삽입되면서 회전하는 원형유동구를 밀착 고정하고,
    상기 제 1,2 칫솔지지대의 끝단부에는 제 1,2 칫솔대를 결합하되, 상기 제 1,2 칫솔대의 둘레면에는 1열 이상의 나선형을 이루며 일정한 간격으로 엇갈리게 회전하는 칫솔모를 식모시키며,
    상기 제 1,2 칫솔대의 간격이 수축을 반복하면서 연동회전하여 중첩회전을 할 때 상기 제 1,2 칫솔대에는 칫솔모를 통해 치아의 양면은 물론 상하 치아의 측면과 교합면 및 교합측면을 별개 또는 동시에 세척 가능하게 함은 물론 치아로 부터 칫솔모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경첩부를 통해 절첩되는 제 1,2 세척안내판을 결합하고,
    상기 제 1,2 세척안내판에는 제 1,2 칫솔대에 식모된 칫솔모를 보호할수 있도록 회전 움직임이 이루어지는 제 1,2 덮개판을 결합하며,
    상기 제 1,2 원판의 사이에는 제 2 회전지지축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제 1,2 칫솔대의 간격을 넓게 혹은 좁게 조절할수 있도록 간격조절수단을 결합하고,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는 사용자의 손이 접촉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를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내에는 인체감지센서로 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모터의 회전구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모터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를 내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세척안내판에는,
    제 1,2 칫솔대로 끼움 결합이 가능하도록 일측 개구형으로 슬라이드홈을 가지는 링체결고리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덮개판에는,
    링체결고리의 슬라이드홈으로 체결되어 제 1,2 덮개판의 회전 움직임을 안내 및 지지하는 일측 개구형의 링체결부를 연장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전동칫솔의 케이스 외측면에 형성된 간격조절부와, 상기 간격조절부의 작동으로 부터 회전되는 작동로드와, 상기 작동로드의 일단에 일체로 연결되면서 제 2 회전지지축의 일단으로 걸림동작하도록 걸림부를 가지되 작동로드의 회전시 제 2 원판의 면을 따라 소정각도로 움직이면서 제 1 및 제 2 칫솔지지대는 물론 제 1 및 제 2 칫솔대의 간격을 좁게 조절하도록 제 2 회전지지축을 유동시키는 간격조절판과, 제 2 원판의 면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회전지지축의 움직임 범위를 제공하는 유동안내홈과, 제 2 원판의 면상에 고정된 고정축과 상기 간격조절판의 양단에 체결되도록 하되 간격조절부의 작동해제시 움직임이 발생된 제 2 회전지지축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복수개의 탄성스프링과, 케이스의 외측면에 위치하되 간격조절부의 작동범위를 설정하는 간격제어부의 결합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KR10-2002-0025231A 2001-07-16 2002-05-08 전동 칫솔 KR100452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231A KR100452840B1 (ko) 2002-05-08 2002-05-08 전동 칫솔
DE60217876T DE60217876T2 (de) 2001-07-16 2002-07-15 Elektrische zahnbürste
AU2002319928A AU2002319928B8 (en) 2001-07-16 2002-07-15 Electro-motion toothbrush
CNB028168747A CN1262223C (zh) 2001-07-16 2002-07-15 电动牙刷
EP02749405A EP1416825B1 (en) 2001-07-16 2002-07-15 Electro-motion toothbrush
JP2003513371A JP2004534603A (ja) 2001-07-16 2002-07-15 電動歯ブラシ
CA002452821A CA2452821A1 (en) 2001-07-16 2002-07-15 Electro-motion toothbrush
US10/483,816 US7222382B2 (en) 2001-07-16 2002-07-15 Electron-motion toothbrush
AT02749405T ATE352227T1 (de) 2001-07-16 2002-07-15 Elektrische zahnbürste
PCT/KR2002/001334 WO2003007756A1 (en) 2001-07-16 2002-07-15 Electro-motion toothbru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231A KR100452840B1 (ko) 2002-05-08 2002-05-08 전동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246A KR20030087246A (ko) 2003-11-14
KR100452840B1 true KR100452840B1 (ko) 2004-10-15

Family

ID=32381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231A KR100452840B1 (ko) 2001-07-16 2002-05-08 전동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284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8472U (ko) * 1977-09-28 1979-04-23
JPS5636229U (ko) * 1979-08-28 1981-04-07
JPS58181233U (ja) * 1982-05-31 1983-12-03 市川 洋 電動二重歯ブラシ器
KR900001638Y1 (ko) * 1987-09-16 1990-03-03 김공남 나선형 브러쉬를 삽탈되게 한 회동식 칫솔
KR910003894Y1 (ko) * 1988-04-16 1991-06-07 우영대 물체 지연 분리낙하기의 현수 로우프 고정장치
KR200251608Y1 (ko) * 2001-07-16 2001-11-17 최주리 전동칫솔
KR200273169Y1 (ko) * 2002-01-11 2002-04-20 허은정 오토칫솔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8472U (ko) * 1977-09-28 1979-04-23
JPS5636229U (ko) * 1979-08-28 1981-04-07
JPS58181233U (ja) * 1982-05-31 1983-12-03 市川 洋 電動二重歯ブラシ器
KR900001638Y1 (ko) * 1987-09-16 1990-03-03 김공남 나선형 브러쉬를 삽탈되게 한 회동식 칫솔
KR910003894Y1 (ko) * 1988-04-16 1991-06-07 우영대 물체 지연 분리낙하기의 현수 로우프 고정장치
KR200251608Y1 (ko) * 2001-07-16 2001-11-17 최주리 전동칫솔
KR200273169Y1 (ko) * 2002-01-11 2002-04-20 허은정 오토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246A (ko) 200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534603A (ja) 電動歯ブラシ
US11684143B2 (en) Automatic toothbrushes
US8584291B2 (en) Whole mouth toothbrush
RU2747618C1 (ru) Аппарат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US20050102776A1 (en) Head for a toothbrush
RU2328195C2 (ru) Гибкая зубная щетк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EP2648649B1 (en) Dual motion powered toothbrush
CN104797166A (zh) 口腔护理套件和用于其的包装
JP2015164531A (ja) ブラシ及びブラシ体
CN103917192A (zh) 电动牙刷
KR100452840B1 (ko) 전동 칫솔
CN211610163U (zh) 一种全方位洁牙设备
KR101124526B1 (ko) 전동칫솔
KR200251608Y1 (ko) 전동칫솔
KR101056274B1 (ko) 전동칫솔
CN106420092A (zh) 多功能口腔护理刷及刷头
KR100400350B1 (ko) 전동칫솔
KR200308098Y1 (ko) 자동 칫솔
JP2009195575A (ja) 歯磨き用ブラシ及び介護用歯ブラシ
KR101205625B1 (ko) 전동칫솔
KR100602988B1 (ko) 롤형 브러시를 구비한 전동칫솔
CN216255964U (zh) 一种全面清洁牙面的牙刷
EP3934573B1 (en) Device for dental hygiene
KR20130112403A (ko) 티형 전동 치솔
KR20060087196A (ko) 전동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