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169Y1 - 오토칫솔 - Google Patents

오토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169Y1
KR200273169Y1 KR2020020000948U KR20020000948U KR200273169Y1 KR 200273169 Y1 KR200273169 Y1 KR 200273169Y1 KR 2020020000948 U KR2020020000948 U KR 2020020000948U KR 20020000948 U KR20020000948 U KR 20020000948U KR 200273169 Y1 KR200273169 Y1 KR 2002731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toothpaste
supply
main body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9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은정
Original Assignee
허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은정 filed Critical 허은정
Priority to KR20200200009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1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1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169Y1/ko

Link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토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에 부착된 음식믈 찌꺼기나 치석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적정량의 치약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오토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브러쉬가 부착된 와이어를 회전시킴으로써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세척력이 우수하고, 치약의 적정량을 치약공급부재에 의해 브러쉬에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브러쉬가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배터리의 전력손실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면과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토칫솔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덮개(11)에 의해 상부의 소정부분이 개폐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되며 충전플러그(15)에 의해 전원을 충전하는 복수개의 충전배터리(14)와; 상기 복수개의 충전배터리(14)로 부터 충전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복수개의 구동모터(16)와; 상기 복수개의 구동모터(16) 회전축(17)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원형관(18)에 베어링(19)으로 각각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16)에 의해 회전되는 브러쉬와이어(21)와; 상기 브러쉬와이어(21)에 구비되어 치아를 세척하는 다수개의 브러쉬(22)와; 상기 브러쉬(22)를 감싸도록 구비하되, 상/하 대칭되게 소정부분이 절개되며 내측에 상기 브러쉬와이어(21)를 회전가능하도록 고정하는 다수개의 와이어고정구(23)가 착설된 브러쉬하우징(20)과; 상기브러쉬하우징(20)의 상부와 하부에 치아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치아삽입홈(24)과; 상기 치아삽입홈(24)에 차아가 삽입되어 상기 브러쉬하우징(20)이 상호 밀착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16)에 상기 충전배터리(14)의 전원을 인가하도록 상기 브러쉬하우징(20)의 절개부에 구비된 감지센서(25)와; 상기 브러쉬하우징(20)의 내측 상부에 구비하되, 상기 브러쉬(22)로 치약을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유출공(13a)이 형성된 치약공급관(13)과; 상기 치약공급관(13)에 소정량의 치약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본체(10) 하부에 구비된 치약공급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치약공급수단은 상기 본체(10) 하부에 교환사용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개구된 상부가 상기 치약공급관(13)의 종단부에 삽입된 치약용기(12)와; 상기 치약용기(12)의 저부를 압착하도록 승강되며 외주면에 돌기(31)가 형성된 승강기(32)와; 상기 승강기(32)가 승강될 수 있도록 삽입되며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장공(33)이 형성된 내통체(34)가 결합된 외장케이스(35)와, 상기 외장케이스(35)의 외측에 결합하며, 원주상에 나선장공(36)이 형성된 가이드통체(37)와; 상기 가이드통체(37)의 외측에 끼움결합된 회전체(38)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Description

오토칫솔{Auto toothbrush}
본 고안은 오토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에 부착된 음식믈 찌꺼기나 치석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적정량의 치약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오토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건강은 신체적인 건강과 직결되어 동,서양을 막론하여 건강한 치아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등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는 바, 그 중에서도 칫솔을 사용하는 방법이 가장 보편화되어 있으며, 그러한 칫솔질은 대부분이 사람이 직접적으로 수작에 의해서 이루짐에 따라 올바른 칫솔질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오히려 치아 및 잇몸을 손상시키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근래에는 칫솔질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올바른 치솔질을 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칫솔질을할 수 있는 다양한 전동 칫솔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 전동 칫솔의 구성은 대부분이 칫솔모가 설치되는 칫솔모케이스와, 이칫솔모케이스가 결합되어 칫솔모가 구동될 수 있도록 구동모터와 충전부가 내장되는 몸체케이스와, 상기 칫솔모케이스와 몸체케이스가 결합된 상태로 재치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보관케이스로 구성되어 진다.
이와같이 구동된 종래의 전동 칫솔은 제조되는 회사에 따라 칫솔모의 작동이 조금씩 다르게 작동되는 데, 대부분 칫솔모가 전,후로 작동하는 것으로, 이는 올바른 칫솔질과는 거리가 멀어 사용자들에게 외면을 받는 실정이다.
그리고, 칫솔모가 하나로 구성되어 작동됨으로 인해 치솔질의 효율이 낮을 뿐더러 어금니 뒷부분 까지 치솔질을 하기에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몸체케이스 내로 구동모터와 충전부가 내장되는관계로, 그 부피 또한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 전동 칫솔을 사용하고 난 후에는 칫솔질로 인해 입안으로 포집되어 있는 이물질이나 치약등을 헹구어 내야하는 데, 그 대부분이 컵을 이용하여 물로서 입안을 헹구었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최근에는 상기한 전동 칫솔과 같은 형태로 물을 분사할수 있도록 제작된 분사기를 상기 전동 칫솔과 같이 별도로 구비시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도 전동 칫솔과 분사기가 별도로 제작되어 구비됨에 따라 그에 따른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 및 사용상에 불편한 문제점, 즉 전동 칫솔로 칫솔질을 한 다음 다시 분사기를 사용하여 헹굼으로써, 불편할 뿐만 아니라 전동 칫솔 또한 별도로 세척해야 하는 번거러운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브러쉬가 부착된 와이어를 회전시킴으로써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세척력이 우수하고, 치약의 적정량을 치약공급부재에 의해 브러쉬에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브러쉬가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배터리의 전력손실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면과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오토칫솔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덮개(11)에 의해 상부의 소정부분이 개폐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되며 충전플러그(15)에 의해 전원을 충전하는 복수개의 충전배터리(14)와; 상기 복수개의 충전배터리(14)로 부터 충전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복수개의 구동모터(16)와; 상기 복수개의 구동모터(16) 회전축(17)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원형관(18)에 베어링(19)으로 각각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16)에 의해 회전되는 브러쉬와이어(21)와; 상기 브러쉬와이어(21)에 구비되어 치아를 세척하는 다수개의 브러쉬(22)와; 상기 브러쉬(22)를 감싸도록 구비하되, 상/하 대칭되게 소정부분이 절개되며 내측에 상기 브러쉬와이어(21)를 회전가능하도록 고정하는 다수개의 와이어고정구(23)가 착설된 브러쉬하우징(20)과; 상기 브러쉬하우징(20)의 상부와 하부에 치아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치아삽입홈(24)과; 상기 치아삽입홈(24)에 차아가 삽입되어 상기 브러쉬하우징(20)이 상호 밀착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16)에 상기 충전배터리(14)의 전원을 인가하도록 상기 브러쉬하우징(20)의 절개부에 구비된 감지센서(25)와; 상기 브러쉬하우징(20)의 내측 상부에 구비하되, 상기 브러쉬(22)로 치약을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유출공(13a)이 형성된 치약공급관(13)과; 상기 치약공급관(13)에 소정량의 치약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본체(10) 하부에 구비된 치약공급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치약공급수단은 상기 본체(10) 하부에 교환사용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개구된 상부가 상기 치약공급관(13)의 종단부에 삽입된 치약용기(12)와; 상기 치약용기(12)의 저부를 압착하도록 승강되며 외주면에 돌기(31)가 형성된 승강기(32)와; 상기 승강기(32)가 승강될 수 있도록 삽입되며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장공(33)이 형성된 내통체(34)가 결합된 외장케이스(35)와, 상기 외장케이스(35)의 외측에 결합하며, 원주상에 나선장공(36)이 형성된 가이드통체(37)와; 상기 가이드통체(37)의 외측에 끼움결합된 회전체(38)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오토칫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오토칫솔의 본체 내부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오토칫솔의 치약공급부재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오토칫솔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오토칫솔 10 : 본체
11 : 덮개 12 : 치약용기
13 : 치약공급관 13a : 치약공급관
14 : 충전배터리 15 : 충전플러그
16 : 구동모터 17 : 회전축
18 : 원형관 19 : 베어링
20 : 브러쉬하우징 21 : 브러쉬와이어
22 : 브러쉬 23 : 와이어고정구
24 : 치아삽입홈 25 : 감지센서
30 : 치약공급부재 31 : 돌기
32 : 승강기 33 : 장공
34 : 내통체 35 : 외장케이스
36 : 나선장공 37 : 가이드통체
38 : 회전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오토칫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오토칫솔의 본체 내부구성을 보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오토칫솔의 치약공급부재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오토칫솔의 회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오토칫솔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덮개(11)에 의해 상부가 개폐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상부로 연장 형성하되, 몸체가 상/하부로 일정간격으로 벌어지도록 절개한 브러쉬하우징(20)과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치약을 공급하는 치약공급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충전플러그(15)에 의해 전원을 충전하는 복수개의 충전배터리(14)와, 상기 복수개의 충전배터리(14)로 부터 충전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복수개의 구동모터(16)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브러쉬하우징(20)에는 상기 복수개의 구동모터(16) 회전축(17)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원형관(18)에 베어링(19)으로 각각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16)에 의해 회전되는 브러쉬와이어(21)와, 상기 브러쉬와이어(21)에 구비되어 치아를 세척하는 다수개의 브러쉬(22)와, 상기 브러쉬(22)를 감싸도록 구비하되, 상/하 대칭되게 소정길이로 절개되며 내측에 상기 브러쉬와이어(21)를 회전가능하도록 고정하는 다수개의 와이어고정구(23)와, 상기 브러쉬하우징(20)의 상부와 하부에 치아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치아삽입홈(2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브러쉬하우징(20)은 상기 치아삽입홈(24)에 치아를 삽입시 발생되는 충격을 원활하게 흡수함과 아울러 치아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부드러운 재질의 연성소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구동모터(16)는 수직하게 2개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16)의 회전축(17)으로부터 각각 상기 브러쉬와이어(21)가 연결되어 상기 브러쉬하우징(2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가장 이상적인 칫솔질 방법인 상기 브러쉬(22)가 잇몸쪽에서 치아쪽으로 하는 칫솔질을 행하도록 상기 구동모터(16)를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브러쉬하우징(20)의 절개된 부분에는 감지센서(25)가 구비되어 상기 치아삽입홈(24)에 차아가 삽입되어 상기 브러쉬하우징(20)이 상호 밀착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16)에 상기 충전배터리(14)의 전원을 인가할 수 있으며, 상기 브러쉬하우징(20)의 내측 상부에 상기 브러쉬(22)로 치약을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유출공(23a)이 형성된 치약공급관(23)이 상기 브러쉬와이어(21)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치약공급수단은 상기 본체(10) 하부에 교환사용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개구된 상부가 상기 치약공급관(13)의 종단부에 삽입된 치약용기(12)와, 상기 치약용기를 압착하는 치약공급부재(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치약용기(12)는 리필용으로 내부에 치약이 다 소진되면, 새로운 치약용기를 교체하여 사용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치약공급부재(30)는 상기 치약용기(12)의 저부를 압착하도록 승강되며 외주면에 돌기(31)가 형성된 승강기(32)와, 상기 승강기(32)가 승강될 수 있도록 삽입되며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장공(33)이 형성된 내통체(34)가 결합된 외장케이스(35)와, 상기 외장케이스(35)의 외측에 결합하며, 원주상에 나선장공(36)이 형성된 가이드통체(37)와, 상기 가이드통체(37)의 외측에 끼움결합된 회전체(38)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기(32)의 돌기(31)는 상기 외장케이스(35)에 형성된 장공(33)과 상기 가이드통체(37)에 형성된 나선장공(36)이 교차되는 지점에 결합되며, 상기한 교차지점은 상기 가이드통체(37)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통체(37)와 결합된 상기 회전체(38)를 회전시켜, 상기 교차지점에 상기 돌기(31)가 결합하는 승강기(32)를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오토칫솔(1)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먼저 덮개(11)를 열어 본체(10)를 개봉한다.
상기 본체(10)가 개봉되면, 치약용기(12)를 상기 본체(10)의 내부로부터 브러쉬하우징(20)에 연결된 치약공급관(13)에 삽입되도록 장착한다.
이어서, 상기 치약공급부재(30)를 작동시켜 승강기(32)가 상기 치약용기(12)의 저부를 압착하게 되면, 상기 치약용기(12)로부터 일정량의 치약이 상기 치약공급관(13)의 유출공(13a)을 통해 상기 브러쉬하우징(20) 내부의 브러쉬(22)에 공급된다.
상기 브러쉬(22)에 치약이 공급되면, 사용자는 상기 본체(10)를 손으로 파지하고 상기 브러쉬하우징(20)의 상/하부에 형성된 치아삽입홈(24)에 치아가 삽입되도록 물게된다.
이때, 치아에 상기 브러쉬(22)의 종단부가 접촉된 상태이며, 상기 브러쉬하우징(20)의 절개된 부분에 감지센서(25)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브러쉬하우징(20)이 상호 밀착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충전배터리(14)의 전원을 상기 구동모터(16)에 인가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16)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16)의 회전축(17)과 원형관(18)에 베어링(19)으로 각각 연결된 브러쉬와이어(21)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이로 인해 상기 브러쉬(22)가 치아에 부착된 음식믈 찌꺼기나 치석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상기 브러쉬와이어(21)는 상기 브러쉬하우징(20)의 내측에 다수개의 와이어고정구(23)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어, 회전시 일정한 틀을 형성하며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브러쉬(22)가 잇몸쪽에서 치아쪽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모터(16)를 회전시킴으로써 일반적으로 알려진 가장 이상적인 칫솔질 방법인 잇몸쪽에서 치아쪽으로 하는 칫솔질을 자동으로 행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 브러쉬(22)가 잇몸쪽에서 치아쪽으로 쓸어 내리듯이 회전하므로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 찌꺼기와 플라그 제거가 쉽게 되며, 또한 잇몸도 많은 맛사지를 받는 효과가 있어 튼튼한 잇몸과 치아를 유지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이 브러쉬(22)에 의해 치아를 세척한 다음, 사용자가 입을 벌려 치아를 상기 치아삽입홈(24)으로 부터 이탈시키면, 상기 브러쉬하우징(20)의 절개된 부분이 원상태로 복귀되고, 이어서 상기 감지센서(25)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16)에 공급되는 상기 충전배터리(14)의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브러쉬하우징(20)의 치아삽입홈(24)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브러쉬(22)에 묻은 치약과 음식물찌꺼기 등을 세척함으로써 본 고안의 오토칫솔(1)을 사용하여 치아의 세정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치약용기(12)에 치약이 다 소진되면, 상기 치약용기(12)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상기 오토칫솔(1)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구동모터에 의해 브러쉬가 잇몸쪽에서 치아쪽으로 쓸어 내리듯이 회전하므로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 찌꺼기와 플라그 제거가 쉽게 되며, 또한 잇몸도 많은 맛사지를 받는 효과가 있어 튼튼한 잇몸과 치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브러쉬하우징의 치아삽입홈에 치아를 삽입하게 되면, 감지센서에 의해 구동모터가 작동되는 구조로 구동방법이 간단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배터리의 전력손실을 줄일 있어 작동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치약용기를 압착하는 치약공급부재에 의해 일정량의 치약을 브러쉬에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다 소진된 치약용기는 새로운 용기로 교체사용함으로써 오토칫솔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Claims (2)

  1.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덮개(11)에 의해 상부의 소정부분이 개폐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되며 충전플러그(15)에 의해 전원을 충전하는 복수개의 충전배터리(14)와;
    상기 복수개의 충전배터리(14)로 부터 충전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복수개의 구동모터(16)와;
    상기 복수개의 구동모터(16) 회전축(17)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원형관(18)에 베어링(19)으로 각각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16)에 의해 회전되는 브러쉬와이어(21)와;
    상기 브러쉬와이어(21)에 구비되어 치아를 세척하는 다수개의 브러쉬(22)와;
    상기 브러쉬(22)를 감싸도록 구비하되, 상/하 대칭되게 소정부분이 절개되며 내측에 상기 브러쉬와이어(21)를 회전가능하도록 고정하는 다수개의 와이어고정구(23)가 착설된 브러쉬하우징(20)과;
    상기 브러쉬하우징(20)의 상부와 하부에 치아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치아삽입홈(24)과;
    상기 치아삽입홈(24)에 차아가 삽입되어 상기 브러쉬하우징(20)이 상호 밀착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16)에 상기 충전배터리(14)의 전원을 인가하도록 상기 브러쉬하우징(20)의 절개부에 구비된 감지센서(25)와;
    상기 브러쉬하우징(20)의 내측 상부에 구비하되, 상기 브러쉬(22)로 치약을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유출공(13a)이 형성된 치약공급관(13)과;
    상기 치약공급관(13)에 소정량의 치약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본체(10) 하부에 구비된 치약공급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칫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공급수단은,
    상기 본체(10) 하부에 교환사용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개구된 상부가 상기 치약공급관(13)의 종단부에 삽입된 치약용기(12)와;
    상기 치약용기(12)의 저부를 압착하도록 승강되며 외주면에 돌기(31)가 형성된 승강기(32)와;
    상기 승강기(32)가 승강될 수 있도록 삽입되며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장공(33)이 형성된 내통체(34)가 결합된 외장케이스(35)와,
    상기 외장케이스(35)의 외측에 결합하며, 원주상에 나선장공(36)이 형성된 가이드통체(37)와;
    상기 가이드통체(37)의 외측에 끼움결합된 회전체(3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칫솔.
KR2020020000948U 2002-01-11 2002-01-11 오토칫솔 KR2002731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948U KR200273169Y1 (ko) 2002-01-11 2002-01-11 오토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948U KR200273169Y1 (ko) 2002-01-11 2002-01-11 오토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169Y1 true KR200273169Y1 (ko) 2002-04-20

Family

ID=73072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948U KR200273169Y1 (ko) 2002-01-11 2002-01-11 오토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16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6159A (ko) * 2002-02-04 2003-08-09 김종범 구강내 인입형 자동치솔
KR100452840B1 (ko) * 2002-05-08 2004-10-15 최주아 전동 칫솔
KR200470142Y1 (ko) 2012-02-01 2013-11-29 류창한 마우스피스형 전동칫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6159A (ko) * 2002-02-04 2003-08-09 김종범 구강내 인입형 자동치솔
KR100452840B1 (ko) * 2002-05-08 2004-10-15 최주아 전동 칫솔
KR200470142Y1 (ko) 2012-02-01 2013-11-29 류창한 마우스피스형 전동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626163U (zh) 电动牙刷的刷头
CN205251733U (zh) 新型防水电动牙刷
KR200273169Y1 (ko) 오토칫솔
CN105411714A (zh) 新型防水电动牙刷
KR101057113B1 (ko) 회전형 브러쉬 전동칫솔
KR200401783Y1 (ko) 전동 칫솔
KR200420016Y1 (ko) 컵을 구비하는 양치세트
CN211433440U (zh) 一种牙套式刷头的电动牙刷
CN209734210U (zh) 一种电动牙刷
CN207532089U (zh) 一种可旋转的牙刷
KR200394926Y1 (ko) 전동칫솔
KR101071913B1 (ko) 구강마사지가 가능한 칫솔
CN101164508A (zh) 口腔清洗电动牙刷
KR19980014477U (ko) 전동치솔
KR200287703Y1 (ko) 치아건강을 높여 주는 전동칫솔
KR200308098Y1 (ko) 자동 칫솔
CN2604162Y (zh) 一种顺齿电动牙刷
CN217723777U (zh) 电动牙刷
CN211610161U (zh) 一种电动三面刷牙器
CN215130658U (zh) 一种电动牙刷
KR200326599Y1 (ko) 전동칫솔
KR200184890Y1 (ko) 전동 칫솔
CN210408648U (zh) 一种自动软毛牙刷
CN2194703Y (zh) 电动牙刷
CN2426726Y (zh) 旋转式电动牙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