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016Y1 - 컵을 구비하는 양치세트 - Google Patents

컵을 구비하는 양치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016Y1
KR200420016Y1 KR2020060008358U KR20060008358U KR200420016Y1 KR 200420016 Y1 KR200420016 Y1 KR 200420016Y1 KR 2020060008358 U KR2020060008358 U KR 2020060008358U KR 20060008358 U KR20060008358 U KR 20060008358U KR 200420016 Y1 KR200420016 Y1 KR 2004200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toothbrush
cup
inner case
screw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3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순교
Original Assignee
서순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순교 filed Critical 서순교
Priority to KR20200600083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0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0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0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18Receptacles for hair brushes or tooth brushes as travelling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24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with a permanently displaceable pressurising member that remain in position unless actuated, e.g. lead-screw or ratchet mechanisms, toothpaste tube twisting or 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91Container, e.g. bag or box with a collection of various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4Protective covers for the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18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for both soap and toothpaste or the like; in combination with holders for drinking glasses, toothbrushes, or the like ; Toothpaste dispensers; Dental care cent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컵을 구비하는 양치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치약(51)을 내장하여 전체적인 몸체를 구성하는 치약부(52)와; 상기 치약부(52)와 결합 되어 실질적인 양치를 수행하는 치솔부(53)와; 상기 치솔부(53)를 커버 하면서 양치 후 헹굼을 위한 컵부(54)로 구성하고; 상기 치약부(52)는 외부케이스(55)의 내부에 치약(51)을 수용하여 삽입되는 내부케이스(56)와; 상기 내부케이스(56)에 치약(51)을 추출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치약추출기(57)와; 상기 내부케이스(56)의 상부 일 측에는 치솔부(53)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아웃렛관(62)을 포함하고; 상기 치솔부(53)는 하방에 아웃렛관(62)과 패킹(63)을 개재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관(65)을 형성하고 상방에 치솔모(66)를 심은 치솔헤드(67)를 가지고 구비되는 치솔바디(68)와; 상기 연결관(65)에서 치솔헤드(67) 까지는 치약(51)이 치솔모(66)로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치약공급로(69)와 토출공(70)을 포함하고; 상기 컵부(54)는 컵바디(71)에 손잡이(72)를 형성하여 컵바디(71)의 입구(73) 내벽면(74)에 외부케이스(55)에 형성되는 결합돌기(75)와 억지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결합홈(76)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컵, 치솔, 치약, 양치

Description

컵을 구비하는 양치세트{Toothbrushing set}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컵을 구비하는 양치세트를 도시한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컵을 구비하는 양치세트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컵을 구비하는 양치세트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컵을 구비하는 양치세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컵을 구비하는 양치세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50; 양치세트
52; 치약부
53; 치솔부
54; 컵부
57; 치약추출기
61; 가압판
66; 치솔모
69; 치약공급로
70; 토출공
본 고안은 컵을 구비하는 양치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치에 필요한 치솔과 치약과 컵을 일체로 가지는 양치세트로 구비하여 일괄보관이 가능하면서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양치세트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양치는 음식물 등을 섭취하고난 후 이와 잇몸에 묻어 있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여 치석현상을 방지하면서 입냄새를 제거하여 상쾌함을 가지도록 하면서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양치는 치솔을 구성하는 치솔모에 치약을 묻힌 후 양치를 수행한 후 컵을 이용하여 양치한 입을 물로 헹굼으로서 완료된다.
통상적으로는 치솔과 치약 및 컵을 각각 분리하여 구비하고, 보관 또한 분리된 상태에서 수행하게 되므로 가족이 많은 경우에는 세면대에 각각 보관되는 치솔과 컵의 수가 많아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가지런한 상태의 정리되 되지 않게 된다.
특히, 좁은 공간에 많은 수의 치솔을 한번에 보관하는 관계로 인접한 치솔의 치솔모가 서로 결합 된 상태로 되거나 연접된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쉽게 건조되지 않는 것은 물론, 비위생적인 요인이 강하다.
또한 장기간 출타시에는 세면도구와 함께 양치세트를 구비하여야 하는 데 이 경우에도 치솔과 치약 및 컵을 각각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부피를 차지하게 되어 휴대가 불편하고 현장에서의 사용에 있어서도 간단하게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그리고, 외출시 치솔과 치약 및 컵을 한 곳에 보관하여 휴대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도 각각의 치솔모를 보호하는 수단이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치솔모가 서로 엉켜붙는 경우가 발생하여 비위생적인 등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치솔과 치약을 결합하여 치솔모에 치약이 바로 추출되도록 하면서 치솔 부위에 컵을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는 세트화로 구성하여 양치를 위한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면서 위생적인 보관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이용자들의 사용상의 편익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가장 큰 목적을 가진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컵을 구비하는 양치세트를 도시한 분해 상 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컵을 구비하는 양치세트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컵을 구비하는 양치세트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컵을 구비하는 양치세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컵을 구비하는 양치세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컵을 구비하는 양치세트(50)는 치약(51)을 내장하여 전체적인 몸체를 구성하는 치약부(52)와 상기 치약부(52)와 결합 되어 실질적인 양치를 수행하는 치솔부(53) 및 상기 치솔부(53)를 커버 하면서 양치 후 헹굼을 위한 컵부(54)로 구성한다.
상기 치약부(52)는 원통 또는 이용자가 손으로 잡기 용이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외부케이스(55)의 내부에 치약(51)을 수용한 내부케이스(56)를 삽입하여 외부케이스(55)에 일체로 형성되는 유지돌기 등에 의하여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부케이스(56)에는 치약(51)을 추출하기 위한 치약추출기(57)를 구비하고, 상기 치약추출기(57)는 내부케이스(56)의 중앙부 상측에는 축홈(58)을 형성하여 스크류축(59)의 상단부를 결합하고, 상기 스크류축(59)은 내부케이스(56)와 외부케이스(55)의 하방을 관통하도록 한다.
상기 스크류축(59)의 하단부에는 회전을 위한 손잡이(60)를 형성하고, 스크류축(59)이 관통되는 외부 및 내부케이스(55,56)에는 기밀재(패킹)을 개재하여 내부케이스(56)에 충진되는 치약(51)의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스크류축(59)에는 스크류축(59)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내부케이스(56)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치약(51)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판(61)을 내장하여 구성하고, 상기 가압판(61)의 중앙고 가장자리에도 패킹을 개재하여 치약(51) 가압시 누출되는 현상이 없도록 한다.
상기 내부케이스(56)의 상부 일 측에는 치솔부(53)를 결합할 수 있도록 아웃렛관(62)을 형성하고, 상기 아웃렛관(62)에는 치솔부(53)와 결합시 기밀성을 높여 치약(51)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패킹(63)을 더 개재한다.
상기 외부케이스(55)와 내부케이스(56)의 일 측에는 치약(51)의 소모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구성하거나 외부케이스(55)의 형상을 손으로 잡기에 편하고 용이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 치솔부(53)는 하방에 아웃렛관(62)과 연결할 수 있도록 나사를 형성한 연결관(65)을 형성하고 상방에는 치솔모(66)를 심은 치솔헤드(67)를 가지는 치솔바디(68)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관(65)에서 치솔바디(68)를 경유하여 치솔헤드(67) 까지는 치약(51)이 치솔모(66)로 공급될 수 있도록 치약공급로(69)와 토출공(70)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토출공(70)에는 토출팁(T)을 치솔모(66) 방향으로는 돌출시켜 치약(51)이 치솔모(66)에 고르게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토출팁(T)은 양치시 이와 잇몸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연질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컵부(54)는 컵바디(71)에 손잡이(72)를 형성하여 치솔부(53)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상태로 구비하고, 상기 컵바디(71)의 입구(73) 내벽면(74)에는 외부케이스(55)에 형성되는 결합돌기(75)와 억지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76)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물론, 상기 컵바디(71)의 내벽면(74)과 외부케이스(55) 사이에는 외부공기의 유입을 방지하여 세균의 감염과 치약성분의 변질 및 경질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패킹(77)을 개재함을 당연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예로서는 상기 치약추출기(57)를 구성하는 가압판(61)을 작동시키는 스크류축(59)을 전원(건전지)에 의하여 작동하는 모터(80)의 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 예이다.
즉, 상기 스크류축(59)의 하단부와 모터(80)의 축에 베벨기어(81)를 설치하여 서로 맞물리게 함으로서 모터(80)에 의하여 스크류축(59)이 작동하여 가압판(61)을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예로서는 상기 치약(51)을 수용하는 내부케이스(56)를 튜브타입으로 구성하여 이용자 손으로 내부케이스(56)를 눌러서 치약(51)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고, 컵부(54)는 내부케이스(56)와 바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 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컵을 구비하는 양치세트(50)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치약부(52)를 구성하는 외부케이스(55)에 컵부(54)의 컵바디(71)의 입구(73)가 억지결합된 상태에 있게 되고, 이 경우에는 입구(73)의 내벽면(74)에 형성되는 결합홈(76)에 외부케이스(55)에 형성되는 결합돌기(75) 가 서로 결합 되어 이탈되지 않는 상태가 되고, 외부케이스(55)와 컵바디(71)상간에 개재되는 패킹(77)에 의하여 기밀이 유지되어 외부공기가 컵바디(7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그러므로, 투명한 컵바디(71)에 의하여 내부의 치솔부(53)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외부공기의 유입이 차단되므로 치솔모(66)로의 세균감염을 방지하고 치솔헤드(67)의 토출공(70)에 까지 위치한 치약(51)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치약부(53)와 치솔부(53) 및 컵부(54)를 일체화한 상태에서 보관하거나 휴대하게 되므로 가정이나 사무실에서의 보관이 용이한 것은 물론, 외부로 출타시에도 쉽게 휴대하고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양치세트(5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외부케이스(55)에 결합 된 컵부(54)를 분리시킨 후 외부케이스(55)에 구비되는 치약추출기(57)를 이용하여 치약(51)이 아웃렛관(62)과 치솔바디(68)의 치약공급로(69)를 통하여 이동하여 치솔헤드(67)에 심어진 치솔모(66)가 있는 토출공(70)으로 추출되도록 한다.
상기 토출공(70)으로 추출된 치약(51)은 토출공(70)에서 연결되어 치솔모(66)의 중간위치까지 돌출된 토출팁(T)을 통하여 치솔모(66)에 공급됨으로서 양치가 가능하게 되고, 양치과정에서는 토출팁(T)이 연질로 되어 있으므로 이와 잇몸에 상처를 주는 것이 예방된다.
상기 치약추출기(57)에 의하여 치약(51)이 추출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외부케이스(55)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스크류축(59)에 구비되는 손잡이(60)를 회전시키 면 내부케이스(56)를 통과하여 축홈(58)에 결합 된 스크류축(59)이 회전하고 이 스크류축(59)에 결합 된 가압판(61)이 내부케이스(56)의 상방으로 이동하여 치약(51)을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치약(51)은 내부케이스(56)의 상부 일 측에 형성된 아웃렛관(62)을 통하여 아웃렛관(62)과 결합 된 치솔바디(68)에 형성되는 치약공급로(69)를 통하여 치솔헤드(67)의 토출공(70)으로 토출되어 치솔모(66) 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치약(51)이 추출될 때에는 가압판(61)과 스크류축(59)이 연접되는 중앙부위와 가압판(61)과 내부케이스(56)가 연접하는 가장자리에도 패킹을 개재하고 있기 때문에 치약(51)의 누출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용자는 외부케이스(55)를 잡고 통상적으로 양치하듯이 양치를 수행하면 되며, 양치 후에는 외부케이스(55)로부터 분리된 컵부(54)를 이용하여 입안을 헹굼으로서 양치가 완료된다.
양치 후에는 컵부(54)를 외부케이스(55)와 결합시켜 기밀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외부공기의 유입을 막아 치솔모(66)의 오염을 방지하면서 치약(51)의 변질상태를 예방하게 된다.
그리고, 치약(51)이 소모된 경우에는 아웃렛관(62)으로부터 치솔부(53)를 분리하고 가압판(61)을 내부케이스(56)의 하방에 위치시킨 후 치약(51)을 충진시켜 재사용하면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치솔과 치약을 결합하여 치솔모에 치약이 바로 추출 되도록 하면서 치솔부위에 컵을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는 세트화로 구성하여 양치를 위한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면서 위생적인 보관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이용자들의 사용상의 편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이다.

Claims (4)

  1. 컵을 구비하는 양치세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양치세트(50)는 치약(51)을 내장하여 전체적인 몸체를 구성하는 치약부(52)와;
    상기 치약부(52)와 결합 되어 실질적인 양치를 수행하는 치솔부(53)와;
    상기 치솔부(53)를 커버 하면서 양치 후 헹굼을 위한 컵부(54)로 구성하고;
    상기 치약부(52)는 외부케이스(55)의 내부에 치약(51)을 수용하여 삽입되는 내부케이스(56)와;
    상기 내부케이스(56)에 치약(51)을 추출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치약추출기(57)와;
    상기 내부케이스(56)의 상부 일 측에는 치솔부(53)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아웃렛관(62)을 포함하고;
    상기 치솔부(53)는 하방에 아웃렛관(62)과 패킹(63)을 개재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관(65)을 형성하고 상방에 치솔모(66)를 심은 치솔헤드(67)를 가지고 구비되는 치솔바디(68)와;
    상기 연결관(65)에서 치솔헤드(67) 까지는 치약(51)이 치솔모(66)로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치약공급로(69)와 토출공(70);
    상기 토출공(70)에서 치솔모(66)방향으로 돌출되어 치약(51)이 치솔모(66)에 고르게 공급되도록 하는 토출팁(T)을 포함하고;
    상기 컵부(54)는 컵바디(71)에 손잡이(72)를 형성하여 컵바디(71)의 입구(73) 내벽면(74)에 외부케이스(55)에 형성되는 결합돌기(75)와 억지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결합홈(76)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을 구비하는 양치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추출기(57)는 내부케이스(56)의 중앙부 상측에 축홈(58)을 형성하여 스크류축(59)의 상단부를 결합하고;
    상기 스크류축(59)의 하단부는 내부케이스(56)와 외부케이스(55)의 하방을 관통시키고;
    상기 스크류축(59)의 하단부에 스크류축(59) 회전을 위하여 형성하는 손잡이(60)와;
    상기 스크류축(59)이 관통되는 외부 및 내부케이스(55,56)에 개재하여 치약(51)의 누출을 방지하는 기밀재와;
    상기 스크류축(59)에 결합 되어 스크류축(59)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내부케이스(56)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치약(51)을 가압하는 가압판(61)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을 구비하는 양치세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축(59)을 전원(건전지)에 의하여 작동하는 모터(80)의 동력을 전 달받아 정,역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을 구비하는 양치세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56)는 이용자 손으로 내부케이스(56)를 눌러서 치약(51)을 추출할 수 있도록 튜브타입으로 구성하고;
    상기 컵부(54)는 내부케이스(56)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을 구비하는 양치세트.
KR2020060008358U 2006-03-29 2006-03-29 컵을 구비하는 양치세트 KR2004200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358U KR200420016Y1 (ko) 2006-03-29 2006-03-29 컵을 구비하는 양치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358U KR200420016Y1 (ko) 2006-03-29 2006-03-29 컵을 구비하는 양치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016Y1 true KR200420016Y1 (ko) 2006-06-30

Family

ID=41768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358U KR200420016Y1 (ko) 2006-03-29 2006-03-29 컵을 구비하는 양치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01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941Y1 (ko) 2018-12-18 2020-01-29 주식회사 지아이엘 컵을 구비한 양치세트 보관함
KR102188367B1 (ko) * 2019-10-14 2020-12-09 정해윤 일체형 칫솔세트를 이용한 구강관리 시스템 및 구강관리 방법
KR102214587B1 (ko) * 2019-10-25 2021-02-09 정해윤 양치용 컵 결합형 칫솔세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941Y1 (ko) 2018-12-18 2020-01-29 주식회사 지아이엘 컵을 구비한 양치세트 보관함
KR102188367B1 (ko) * 2019-10-14 2020-12-09 정해윤 일체형 칫솔세트를 이용한 구강관리 시스템 및 구강관리 방법
KR102214587B1 (ko) * 2019-10-25 2021-02-09 정해윤 양치용 컵 결합형 칫솔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4542B2 (en) Teeth cleaning device and method
RU2525808C2 (ru) Система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CN108430262A (zh) 封闭型牙齿清洁器
US20150074926A1 (en) Portable toothbrush
KR100899904B1 (ko) 다용도 칫솔
KR200420016Y1 (ko) 컵을 구비하는 양치세트
US9629449B2 (en) Portable interdental toothbrush
KR20170069102A (ko) 교체 가능한 치간칫솔이 구비된 휴대용 칫솔
KR101290259B1 (ko) 칫솔
KR20070010928A (ko) 전동칫솔
KR20200101478A (ko) 휴대용 치아 세정 장치
KR200408887Y1 (ko) 치약을 내장한 구강세정기
CN206166159U (zh) 一种内藏齿间刷的牙刷
KR200273169Y1 (ko) 오토칫솔
KR20170077675A (ko) 치약튜브 홀딩기능을 갖는 칫솔
KR200331100Y1 (ko) 양치질액이 수용된 칫솔
KR200427382Y1 (ko) 컵을 구비하는 양치세트
KR102594383B1 (ko) 세정제 일체형 치간 칫솔
KR101378541B1 (ko) 기능성 칫솔
CN202959303U (zh) 一种水洗牙刷
CN210931992U (zh) 一种震动模式交替式切换的电动牙刷
CN215458870U (zh) 一种电动牙刷头和电动牙刷
KR100860090B1 (ko) 칫솔
KR20120095007A (ko) 치약이 내장된 칫솔
CN209611378U (zh) 复合间隙刷的冲牙器喷头及冲牙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