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367B1 - 일체형 칫솔세트를 이용한 구강관리 시스템 및 구강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일체형 칫솔세트를 이용한 구강관리 시스템 및 구강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367B1
KR102188367B1 KR1020190127068A KR20190127068A KR102188367B1 KR 102188367 B1 KR102188367 B1 KR 102188367B1 KR 1020190127068 A KR1020190127068 A KR 1020190127068A KR 20190127068 A KR20190127068 A KR 20190127068A KR 102188367 B1 KR102188367 B1 KR 102188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oothbrush
oral
dat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윤
Original Assignee
정해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윤 filed Critical 정해윤
Priority to KR1020190127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3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0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 A46B15/000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with a controlling brush technique device, e.g. stroke movement measur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0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 A46B15/0008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with means for controlling duration, e.g. time of brush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1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 A46B15/003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enhancing means with a lighting means, e.g. laser, bulb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7/00Accessories for brushes
    • A46B17/06Devices for cleaning brushes after use
    • A46B17/065Sterilising brushes; products integral with the brush for sterilising, e.g. tablets, rinse, disinfect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06K9/00006
    • G06K9/0059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ultimedia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칫솔부와 컵 부와 받침부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칫솔세트를 이용한 구강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구강관리 시스템은, 상기 칫솔세트 이용 시 사용자의 치아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인식하는 감지장치, 상기 감지장치에서 인식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구강관리 상태를 분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분석된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데이터 가공이 수행되는 인공지능 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공지능 연산부는, 사용자의 양치 습관 및 양치 주기를 파악하는 패턴분석 모드 및 상기 패턴분석 모드에서 확인된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구강 케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추천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체형 칫솔세트를 이용한 구강관리 시스템 및 구강관리 방법{MOUTHCARE SYSTEM USING ASSEMBLED TOOTHBRUSH SET AND MOUTHCARE METHOD}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통해 사용자에게 구강 케어와 관련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구강관리 시스템 및 구강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양치 패턴과 양치 주기 등을 파악하고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치아 상태를 촬영하여 해당 데이터들을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올바른 양치 습관과 구강 케어에 대한 정보를 개인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일체형 칫솔세트를 이용한 구강관리 시스템 및 구강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을 섭취한 후 양치를 하지 않거나 양치를 하더라도 잘못된 습관을 가지고 양치질을 하게 되면, 입 안에 음식 찌꺼기 등이 남아 치태, 치석 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치태, 치석 등은 구강 내에서 각종 질환이나 악취를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어서 이를 제대로 제거하는 것이 구강 관리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양치할 때에 칫솔질 방법을 올바르게 숙지하지 않아, 양치를 하더라도 치태나 치석 등이 제거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있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특히 칫솔질의 방향이 잘못되는 경우 등과 같이 구강 내 건강 관리를 위한 양치가 오히려 치아의 마모나 불필요한 잇몸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개특허공보 제2018-0089934호(특허문헌 1)에서는 실시간으로 촬영된 구강 내 영상을 통해 치아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치아 관리용 칫솔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문헌에 따르면, 치아의 윗니와 아랫니에 대한 각각의 보정된 영상들을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하여 구강 내의 충치 상태, 잇몸 상태, 치석 상태 등에 대한 정확한 자가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2012-0020680호(특허문헌 2)에서는 양치한 부분에 대한 추가 확인을 통해 올바른 양치 방법을 안내하는 양치방법 안내 칫솔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본 문헌에 따르면, 양치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부분을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추가적으로 해당 부분의 양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그러나 위의 종래 기술들에 따르면, 구강 내 치아 배열이나 치아 상태는 각 개인별로 다양하기 때문에 올바른 양치 방법이라 하더라도 일률적으로 적용할 경우 칫솔모가 상대적으로 닿기 어려운 부분이 발생하여 충분한 양치질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즉, 올바른 양치 방법이라 할지라도, 개인별 구강 상태나 잇몸의 건강 상태에 따라 상대적으로 칫솔 헤드의 각도나 방향을 조금씩 다르게 움직여야 한다거나 칫솔질을 더욱 집중적으로 행해야 하는 부분이 존재하는 등 각 개인마다 맞춤형 양치 방법이 별도로 요구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단순히 구강 상태를 감지만 하는 데에 그치기 때문에 사용자의 향후 대응책 마련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구강 상태 점검도 일반적으로 자신이 촬영한 영상이나 사진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정확한 구강 내 검진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개인별 구강 상태가 정확하게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모든 사용자와 구강 내 모든 부위에 일률적으로 동일한 칫솔질을 수행하도록 안내하고 있어서 개인별 구강 관리의 효율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2018-0089934호(2018.08.10. 공개) 특허문헌 2: 공개특허공보 제2012-0020680호(2012.03.08.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치아나 잇몸 상태에 관한 정보 등을 감지하고 해당 정보들을 분석하여 올바른 양치 습관 및 구강 케어 솔루션을 추천함으로써 개인 맞춤형으로 치아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일체형 칫솔세트를 이용한 구강관리 시스템 및 구강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칫솔부와 컵 부와 받침부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칫솔세트를 이용한 구강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구강관리 시스템은, 상기 칫솔세트 이용 시 사용자의 치아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인식하는 감지장치, 상기 감지장치에서 인식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구강관리 상태를 분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분석된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데이터 가공이 수행되는 인공지능 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공지능 연산부는, 사용자의 양치 습관 및 양치 주기를 파악하는 패턴분석 모드 및 상기 패턴분석 모드에서 확인된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구강 케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추천 모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패턴분석 모드는, 상기 칫솔부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구강 상태에 관한 데이터 및 상기 칫솔부의 칫솔모 마모 위치와 마모량을 분석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양치 습관과 양치 주기를 파악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구강 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빛을 조사하는 라이트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패턴분석 모드는, 사용자의 구취 정도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컵 부에 설치되는 구취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더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천 모드에서 제공하는 구강 케어 솔루션은, 양치 용품에 관한 정보, 양치 방식에 관한 정보 및 치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공지능 연산부는, 사용자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보안 모드 및 상기 칫솔세트의 위생 상태를 점검하는 관리 모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안 모드는, 상기 컵 부의 외면에 설치되는 홍채인식센서 또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진위 여부를 파악하고, 상기 진위 여부에 따라 알람부의 작동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관리 모드는, 상기 칫솔세트 내의 온도와 습도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에서 제공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컵 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살균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칫솔세트의 무선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충천 칩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컵 부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표시창이 설치되고, 상기 표시창에는 상기 구취센서에서 측정된 구취 레벨에 관한 데이터, 상기 칫솔세트 내의 온도와 습도에 관한 데이터 및 상기 칫솔부의 잠금 여부에 관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칫솔세트를 이용한 구강관리 방법은, 칫솔부와 컵 부와 받침부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칫솔세트의 이용에 대한 분석 주기가 도달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칫솔부에 설치되는 카메라에 저장된 사용자의 구강 상태에 관한 데이터 및 상기 칫솔부의 칫솔모 마모 위치와 마모량을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양치 패턴 및 양치 주기를 파악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현재 치아 관리 상태를 통신기기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강관리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가 진행된 후에 사용자가 구강관리에 대한 추천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강관리에 대한 추천은, 서버에서 현재 사용자의 치아 상태에 관한 데이터 분석이 이루어지는 단계 및 분석된 데이터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양치 용품에 관한 정보, 양치 방식에 관한 정보 및 치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통해 사용자에게 구강 케어와 관련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각 사용자에게 맞는 올바른 양치 습관과 구강 케어에 대한 추천이 이루어짐으로써 개인별 구강 관리의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칫솔세트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치아 상태를 촬영하여 사용자의 양치 패턴과 양치 주기 등에 관한 정보를 파악하고 제대로 양치질이 되지 않은 부분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더욱 직관적인 구강 케어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빅데이터, 인공지능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정확한 맞춤형 구강 진단 및 상기 구강 진단 결과에 따른 추천 솔루션이 원스톱 서비스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자신의 구강 관리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받아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칫솔세트의 외면에 사용자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들이 설치되고 해당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에 따라 칫솔세트의 잠금 기능 발휘 여부가 결정되므로 해당 사용자 외에 타인이 칫솔을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안 상의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칫솔세트 받침부의 하부에 무선 및 자동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충전 칩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칫솔세트에 별도의 케이블을 연결해서 충전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칫솔세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체형 칫솔세트 중 컵 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1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5의 A2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에 커버가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결합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가 통신기기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어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에서 감지되는 데이터의 분석 및 가공을 통하여 상기 통신기기에서 다양한 모드가 수행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패턴분석 모드 및 추천 모드가 진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칫솔세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칫솔세트(10)는, 컵 부(100), 받침부(300) 및 칫솔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도 1에 도시된 구성들 외에도, 컵 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부(도 2의 도면부호 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 컵 부(100)는 일반적인 샴페인 또는 와인 컵의 상부 형태와 유사한 형태를 가진다. 이는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컵 부(100)와 받침부(300)의 결합된 형상이 전체적으로 샴페인 또는 와인 컵의 형태를 가지기 때문이다. 다만, 상기 컵 부(100)와 받침부(300)의 형태가 샴페인 또는 와인 컵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컵 부(100)는 양치 후 입을 헹구는 용도의 물이 수용되는 제1 수용공간(도 4의 도면부호 110)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수용공간(110)은 컵 부(100)의 내면과 상기 수용부(200)의 외주면으로 둘러싸인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컵 부(100)는 소정 강도 이상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복합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계열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컵 부(100)의 외면에는 사용자에게 구취센서(105)에서 측정된 구취 레벨에 관한 데이터, 상기 칫솔세트(10) 내의 온도와 습도에 관한 데이터 및 상기 칫솔부(400)의 잠금 여부에 관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되는 표시창(101)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창(101)은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사용자는 상기 표시창(101)에 나타나는 정보를 기초로 현재 사용자의 구강 상태, 칫솔세트(10)의 청결 상태 및 타인의 무단 칫솔 이용을 방지하는 보안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컵 부(100)의 외면에는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는 사용자의 안면, 특히 안구를 인식하는 홍채인식센서(102) 및 사용자의 지문을 파악하는 지문인식센서(103)를 포함한다. 상기 홍채인식센서(102)와 지문인식센서(103)는 도 7에 도시된 P2에 해당하는 컵 부(100)와 받침부(300) 간의 결합 잠금 여부를 결정하는 데이터를 제공한다. 즉, 상기 홍채인식센서(102)와 지문인식센서(103)에서 감지된 데이터에서 사용자가 실제 주인이 아닌 타인으로 밝혀지는 경우, 상기 P2 부분의 잠금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타인이 함부로 칫솔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타인의 사용 시도에 대해 사용자에게 위험 신호를 전송하는 알람부가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알람부에서 전송하는 신호는 청각적으로 느낄 수 있는 알림 신호 외에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신호일 수도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홍채인식센서(102)와 지문인식센서(103)에서 감지된 데이터에서 사용자가 실제 주인으로 파악된 경우, 상기 P2 부분을 열림 상태로 변경하여 사용자가 칫솔을 자유롭게 꺼내서 쓸 수 있다.
도 2는 일체형 칫솔세트 중 컵 부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00)는 컵 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컵 부(100)의 내측 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 2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수용부(200)의 하측은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수용부(200)의 내면은 컵 부(100)의 외면과 서로 이어진다. 상기 수용부(200)는 외부와 이어지는 제2 수용공간(도 4의 도면부호 210)을 형성하며, 컵 부(100)와 받침부(300)가 서로 결합될 때, 수용부(200)의 내부에 형성된 제2 수용공간(210)에는 후술하는 칫솔부(400)가 위치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300)는 컵 부(100)와 결합되어 상기 컵 부(100)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상기 받침부(300)는 일반적인 샴페인 또는 와인 컵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상기 컵 부(100)와 받침부(300)는 서로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도록 각각 소정의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컵 부(100)와 받침부(300)의 결합구조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300)와 컵 부(100)는 동일하게 소정 강도 이상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부(300)는 지지부(310)와 연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300)를 구성하는 지지부(310)와 연장부(320)는 서로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310)는 저면이 넓은 면적을 가지며,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가진다. 또한, 상기 연장부(320)는 상기 지지부(310)의 좁아진 상측과 연결되고 상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이다. 상기 연장부(320)의 상면에는 하측으로 함몰되는 홈(3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321)은 후술하는 칫솔부(400)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받침부(300)와 칫솔부(400)가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홈(321)의 형상은 상기 칫솔부(400)의 일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칫솔부(400)는 상기 받침부(300)의 상측에서 상기 받침부(300)와 결합되는 구성이다. 상기 칫솔부(400)는 삽입부(410) 및 칫솔(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410)는 칫솔부(400)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홈(321)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삽입부(410)는 단면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으며, 삽입부(410)의 외면과 홈(321)의 내면에는 결합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300)와 칫솔부(400)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410)의 외면과 홈(321)의 내면에 형성되는 결합구조는 억지끼움구조 또는 나사결합구조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410)는 소정 강도 이상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삽입부(410)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상기 삽입부(410)의 결합구조는 상기 삽입부(410)와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명확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삽입부(410)는 하측으로 연장될수록 그 면적이 작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 즉, 삽입부(410)의 하단의 직경은 상기 홈(321)의 상단 직경보다 작도록 제조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부(410)는 상기 홈(321)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410)의 하단이 상기 홈(321)에 삽입된 이후에는, 상기 홈(321)의 내주면이 가이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삽입부(410)를 보다 용이하게 상기 홈(321)에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칫솔(420)은 상기 삽입부(410)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칫솔과 비교하여 볼 때 본 실시 예에 따른 칫솔(420)은, 손잡이가 형성되지 않고 그 윗부분만 형성된 형태일 수 있으며, 그 외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칫솔과 동일하게 헤드 및 헤드에 형성된 다수개의 칫솔모로 구성될 수 있다. 칫솔부(400)가 받침부(300)에 결합되고 받침부(300)와 컵 부(100)가 서로 결합되는 상태에서, 상기 칫솔(420)은 수용부(200)가 형성하는 제2 수용공간(210)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의 결합 사시도로서, 컵 부(100), 받침부(300) 및 칫솔부(400)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상기 수용부(200)가 컵 부(100)의 내부에 위치한 관계로 도 3에서는 상기 수용부(200)가 따로 도시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치 시 사용자가 직접 파지하여 치아를 닦는 용도의 칫솔은 컵 부(100)의 내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컵 부(1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컵 부(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수용부(200)에 수납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10)를 바라보더라도, 상기 칫솔세트(10) 내에 칫솔이 존재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가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10)의 기능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장식용으로도 수려함을 느낄 수 있는 추가적인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컵 부(100)의 내측에는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10) 내의 온도와 습도 상태를 적절히 조절하기 위한 살균 램프(150)가 설치된다. 상기 살균 램프(150)는 상기 칫솔세트(10) 내의 온도와 습도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도시되지 않음)에서 제공된 정보를 수신하여, 만약 적정 온도나 습도가 아니라고 판단 시 해당 살균 램프(150)의 작동이 수행된다. 또한, 상기 살균 램프(150)의 중앙 부분에는 바람을 분사하는 송풍창(151)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창(151)에서 생성되는 바람은 칫솔(420)로 분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칫솔(420)의 건조가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10)에 포함되는 컵 부(100), 받침부(300) 및 칫솔부(400)가 서로 분해된 상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10)의 컵 부(100), 받침부(300) 및 칫솔부(4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10)의 단면을 통해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부(100)의 내부에는 제1 수용공간(110)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용공간(110)의 중앙 부분에는 수용부(200)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200)는 상기 컵 부(100)와 마찬가지로 제2 수용공간(210)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수용공간(210)은 외부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200)의 상측에는 통기홀(2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기홀(220)은 상기 컵 부(100)와 받침부(300)가 서로 결합될 때에 형성되는 제2 수용공간(210)에 위치한 칫솔(420)의 건조를 위한 것이다. 상기 통기홀(220)은 수용부(200)의 상단에 형성되기 때문에, 수용부(200)의 상단 높이(W2)는 컵 부(100)의 제1 수용공간(110)에 수용되는 물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컵 부(100)에 충분한 물의 수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컵 부(100)의 하단에서 수용부(200)의 상단까지의 높이는 컵 부(100)의 하단에서 상단까지의 높이의 약 70%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상기 수용부(200)의 상단 높이(W2)는 컵 부(100)의 상단 높이(W1)보다 아래에 위치하거나, 컵 부(100)의 상단 높이(W1)와 수용부(200)의 상단 높이(W2)가 서로 같은 높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통기홀(220)은 평상시에 개구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개폐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통기홀(220)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기홀(220)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수단의 예로, 실리콘으로 형성된 캡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칫솔(420)은 수용부(200)가 형성하는 제2 수용공간(210)에 원활히 수용되기 위해, 상기 칫솔(420)의 상단 길이가 상기 수용부(200) 내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칫솔(420)의 사용기간 또는 사용상의 편의에 따라 칫솔부(400)를 다른 종류로 교환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칫솔부(400)와 받침부(300)의 분리 후 새로운 칫솔부를 받침부(300)에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310) 저면의 직경은 컵 부(100)의 직경이 가장 큰 부분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10)가 지면에 세워져 있을 때에 더욱 안정적으로 세워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컵 부(100)의 내면 상측에는 사용자의 구취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구취 센서(105)가 설치된다. 상기 구취 센서(105)에서 측정된 구취 레벨은 사용자의 스마트폰(도 9의 도면부호 30) 및 상기 표시창(101)에 디스플레이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현재 구취 상태를 파악하여 양치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구취 레벨이 높은 경우, 사용자의 스마트폰(30) 및 상기 표시창(101)을 통해 양치 용품에 관한 정보나 양치 방식에 관한 정보 또는 가까운 치과에 관한 정보 등도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칫솔(420)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구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카메라(421)가 설치된다. 상기 카메라(421)는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통해 상기 카메라(421)에서 촬영된 자신의 구강 내 상황을 면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421)는 실시간으로 구강 내 상황을 촬영할 수 있으므로, 만약 사용자의 치아에 문제가 있는 경우 상기 카메라(421)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이 치과로 전송되어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421)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구강 내 상태를 밝은 환경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빛을 조사하는 라이트(422)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구취 센서(105), 카메라(421) 등에서 감지된 데이터는 사용자의 치아 상태에 관한 데이터라는 점에서, 상기 구취 센서(105) 및 카메라(421)는 통칭하여 감지장치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300)에는 무선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터리(321) 및 충전 칩(도 10의 도면부호 311)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하는 무선 충전기 위에 상기 받침부(300)를 세워놓아도 상기 배터리(321) 및 충전 칩(311)에 의해 원활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일체형 칫솔세트(10) 사용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A1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320)의 홈(321)의 내주면 상단과 삽입부(410)의 외주면에는 서로 결합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1 위치(P1)에는 연장부(320)의 상단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삽입부(410)의 외주면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인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부(320)와 삽입부(410)는 각각 일정 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장부(320)와 삽입부(410)는 돌기 및 홈을 통해 억지끼움결합 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칫솔부(400)를 일정 정도 이상의 힘으로 잡아당기거나 끼울 경우, 칫솔부(400)와 받침부(300)가 서로 탈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칫솔부(400)와 받침부(300)가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억지끼움구조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돌기부분만을 오링(O-ring)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칫솔부(400)와 받침부(300)는 억지끼움구조가 아닌 나사결합방식 또는 슬롯-후크 결합방식으로 서로 탈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7은 도 5의 A2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위치(P2)에는 연장부(320)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턱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컵 부(100)의 하측 내주면과 상기 연장부(320)의 외주면에는 서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 결합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위치(P2)에 형성된 결합구조는 도 6의 제1 위치(P1)에 형성된 결합구조와 동일하게 억지끼움구조로 구현되거나, 이 외에도 나사결합구조 또는 슬롯-후크 결합방식으로 서로 탈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외에도, 제1 위치(P1) 및 제2 위치(P2) 각각에 결합구조가 아닌, 자석을 이용해 컵 부(100)와 받침부(300)의 결합 및 받침부(300)와 칫솔부(40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칫솔세트(10) 전체 높이의 절반 이하 부분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1 위치(P1)와 제2 위치(P2)에 자석을 이용하여 부착구조를 형성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무거운 자석에 의해 무게중심이 상대적으로 낮아져 전체적으로 구조적 안정성이 더욱 확실하게 확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컵 부(100)와 받침부(300)의 탈착 및 받침부(300)와 칫솔부(400)의 탈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양치용 컵과 칫솔을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고, 칫솔의 교환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에 커버가 설치 가능함을 보여주는 결합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칫솔세트는 도 1에 도시된 일체형 칫솔세트(10)에서 커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500)는 컵 부(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상기 컵 부(100)를 상부에서 덮음으로써 컵 부(100)를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커버(500)의 하면에는 외경이 상기 컵 부(100)의 상단 내경에 대응되도록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500)가 컵 부(100)의 상단에 덮일 때, 보다 안정적인 덮임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50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커버(500) 자체의 목적을 고려할 때, 상기 커버(500)는 실리콘과 같이 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플라스틱과 같이 일정 강도 이상의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예로, 상기 커버(500)를 대신하여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 양치 컵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양치 컵은 뒤집어진 상태로 상기 컵 부(100)의 외면을 덮는 위치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뒤집어진 상태의 상기 양치 컵이 상기 제1 수용공간(110)을 위에서 덮음으로써,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10) 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가 통신기기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어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일체형 칫솔세트(10)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통신기기(30)와 서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기 통신기기(30)는 스마트폰 외에 PDA, 노트북 등 다양한 기기가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10) 내에는 통신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기기가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등의 통신망을 통해 서로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통신기기(30) 중 가장 흔히 사용되는 스마트폰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스마트폰(30)을 통해 사용자가 확인하는 데이터는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10)에서 감지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정보들을 분석 및 가공하는 제어부(20)를 거친 정보들이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10)와 스마트폰(30)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분석 및 가공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컵 부(100), 칫솔부(400) 및 받침부(300)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분석 및 가공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컵 부(100)에서 감지되는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구취 센서(105)에서 감지된 구취 레벨에 관한 데이터는 단순히 스마트폰(30)에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지만, 상기 제어부(20)를 통해 당장 양치가 필요한지 여부, 하루에 어느 시기에 양치를 하면 좋은지에 대한 정보, 시간별 구취 레벨 그래프 정보, 상기 구취 레벨에 따른 구강 관리 프로그램 등과 같이 가공된 정보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상기 제어부(20)를 거쳐서 고급 정보로 변환된 데이터를 확인하게 되므로 사용 만족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구취 센서(105) 외에도, 상기 제어부(20)는 홍채인식센서(102)와 지문인식센서(103)를 통해 인식된 정보도 수신한다. 상기 제어부(20)는 센서들(102, 103)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진위 여부에 관한 판단을 수행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주인이 아닌 타인이라 판단 시 상기 알람부에 이상 신호를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알림 신호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는 사용자의 진위 여부에 따라 상기 컵 부(100)와 상기 연장부(320) 간의 잠금 여부를 결정하도록 잠금 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컵 부(100) 외에 상기 칫솔부(400)에서 감지되는 정보, 상세하게 카메라(421)와 라이트(422)에서 감지되는 정보를 분석한다. 즉, 상기 카메라(421)를 통해 촬영된 데이터 역시 상기 제어부(20)로 전송된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카메라(421)에서 촬영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현재 사용자의 구강 상태에 관한 정보, 구강 케어 프로그램 제공에 관한 정보, 사용자의 구강 상태에 따른 구강 관리 방식에 관한 맞춤형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421)의 촬영 환경이 어두운 것으로 판단 시 상기 제어부(20)는 라이트(422)에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라이트(422)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컵 부(100) 및 상기 칫솔부(400) 외에,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받침부(300)에 설치되는 배터리(321) 및 충전 칩(311)에서 감지되는 정보를 추가로 분석한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배터리(321) 및 충전 칩(311)에서 감지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10)의 무선 충전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여부, 충전 상태에 관한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10)에서 감지된 정보, 상세하게 홍채인식센서(102), 지문인식센서(103), 구취센서(105), 카메라(421), 라이트(422), 배터리(321) 및 충전 칩(311)에서 감지된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정보들을 분석 및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10)는 IoT 사물인터넷 기술을 기반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위와 같은 다양한 정보들을 수집한다. 이와 같이 수집된 정보가 IoT 기술을 활용하여 상기 제어부(20)로 송신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20)는 IoT 기술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인공지능 학습을 통해 분석하고 데이터화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30)에는 인공지능 학습이 완료되어 가공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30)으로 송신된 정보는 클라우드 방식의 서버(40)에 저장된다. 즉, 상기 스마트폰(3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다양한 데이터들이 상기 서버(40)에 빅데이터 방식으로 쌓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서버(40)에는 사용자의 구강 상태에 따른 적절한 추천 정보에 관한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이러한 빅데이터 저장 및 상기 서버(40) 내에서의 딥러닝 수행 등을 통해 향후에는 사용자의 구강 상태 촬영만으로도 현재 구강 관련 문제점 제시, 문제 해결방안 제시 또는 관련 프로그램 추천 등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른 정확한 개인 맞춤형 구강 케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은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에서 감지되는 데이터의 분석 및 가공을 통하여 상기 통신기기에서 다양한 모드가 수행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10)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들을 분석 및 가공하기 위해 인공지능 연산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0) 내에는 사용자의 현재 요구사항에 맞는 대응안 또는 추천안이 상기 스마트폰(30)에 표시될 수 있도록 데이터들의 가공을 수행하기 위한 인공지능 연산부(5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인공지능 연산부(50)에서 수행하는 기능을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인공지능 연산부(50)는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대응하여 크게 네 가지의 모드로 구분되어 작동될 수 있다. 상세하게, 상기 인공지능 연산부(50)는 사용자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보안 모드(51)와, 사용자의 양치 습관 및 양치 주기를 파악하는 패턴분석 모드(52)와, 상기 패턴분석 모드(52)에서 확인된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구강 케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추천 모드(53)와,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10)의 위생 상태를 점검하는 관리 모드(54)로 나누어져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보안 모드(51)는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100)를 실제 주인 외에 타인이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상기 인공지능 연산부(50)의 작동 모드 중 하나이다. 즉, 상기 보안 모드(51)가 작동 시, 상기 인공지능 연산부(50)는 상기 컵 부(100)의 외면에 설치되는 홍채인식센서(102) 또는 지문인식센서(103)를 통해 사용자의 진위 여부를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의 진위 여부에 따라 알람부의 작동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보안 모드(51)의 활성화 신호는 사용자가 최초로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10)를 파지하고 상기 홍채인식센서(102) 또는 지문인식센서(103)를 작동시켰을 때에 상기 인공지능 연산부(50)의 신호에 따라 작동하게 된다. 또한, 타인이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100)에 접근하면, 상기 보안 모드(51)가 활성화되면서 컵 부(100)와 받침부(300) 간의 잠금 상태가 그대로 유지, 즉, 컵 부(100)와 받침부(300) 간의 잠금 장치가 작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스마트폰(30)에는 상기 보안 모드(51)가 작동하였다는 신호와, 보안 결과물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패턴분석 모드(52)는, 상기 칫솔부(400)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구강 상태에 관한 데이터 및 상기 칫솔부(400)의 칫솔모 마모 위치와 마모량을 분석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양치 습관과 양치 주기를 파악하는 모드이다. 나아가, 상기 패턴분석 모드(52)에서는, 사용자의 구취 정도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컵 부(100)에 설치되는 구취 센서(105)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파악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패턴분석 모드(52)는 칫솔세트(10) 사용 상태 및 구취 등의 현재 구강 상태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양치질 패턴을 분석하는 상기 인공지능 연산부(50)의 작동 모드 중 하나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스마트폰(30)에는 상기 패턴분석 모드(52)가 작동하였다는 신호와, 패턴분석의 결과물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추천 모드(53)는 상기 패턴분석 모드(52)의 결과물을 기초로 사용자에게 향후 바람직한 구강 케어를 수행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상기 인공지능 연산부(50)의 작동 모드 중 하나이다. 상기 추천 모드(53)에서 제공되는 솔루션 정보는, 양치 용품에 관한 정보, 양치 방식에 관한 정보 및 치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즉, 상기 추천 모드(53)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 자신의 구강 상태에 대응하는 구강 관리 프로그램 등에 관한 솔루션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스마트폰(30)에는 상기 추천 모드(53)가 작동하였다는 신호와, 추천 리스트 등의 결과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관리 모드(54)는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10) 내의 온도와 습도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에서 제공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컵 부(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살균 램프(150)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상기 인공지능 연산부(50)의 작동 모드 중 하나이다. 상기 관리 모드(54)가 활성화되면,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10) 내의 환경에 관한 정보들이 파악되고, 청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대응책들이 사용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스마트폰(30)에는 상기 관리 모드(54)가 작동하였다는 신호와, 청결 유지를 위한 관리 리스트 등의 결과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된다.
이처럼, 사용자의 요구에 기초하여 상기 인공지능 연산부(50)의 작동 모드가 나누어짐에 따라 상기 제어부(20)에 걸리는 부하를 줄일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가 원하는 정확한 정보가 상기 스마트폰(3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패턴분석 모드 및 추천 모드가 진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패턴분석 모드(52)가 실행되면, 먼저 제어부(20)는 사용자가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10)를 이용한 전체적인 기간을 계산하여 상기 패턴분석 모드(52)를 실행하기에 충분한 기간이 확보되었는지를 우선 판단한다(S10). 이는, 사용자의 양치 습관이나 양치 주기는 충분한 양의 데이터를 기초로 분석이 이루어져야 정확한 결과값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일체형 칫솔세트(10)에 대한 사용 기간이 충분하다고 판단 시, 상기 제어부(20), 구체적으로 상기 인공지능 연산부(50)는 카메라(421)에서 촬영된 영상 및 칫솔(420)의 마모 위치, 마모량 등을 분석한다(S20).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카메라(421)를 통해 일정 기간 동안 촬영된 영상과, 칫솔(420)의 마모 정도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현재 사용자의 구강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추출한다.
해당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20)는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 및 가공하여 사용자의 양치 패턴 및 양치 주기에 관한 정보를 추출한다(S30). 이러한 정보는 장기간 동안 사용자의 칫솔 사용을 기초로 산출된 정보로서, 상기 제어부(20)에 의해 분석 및 가공된 정보이다. 그 다음, 상기 가공된 정보들에 해당하는 현재 사용자의 치아 관리 상태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의 스마트폰(30)이나 표시창(101)에 디스플레이 된다(S40). 상기 스마트폰(30)이나 표시창(101)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는 사용자의 칫솔 사용과 관련된 데이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그래프나 표 등으로 표시한 정보이다.
이와 같이, 상기 S10 단계부터 S40 단계를 거쳐서 상기 패턴분석 모드(52)가 수행되면, 사용자에게 상기 패턴분석 모드(52)의 결과값을 기초로 개인 맞춤형 구강 관리에 대한 추천을 받아볼 것인지에 대한 사용자의 의사를 물어보는 과정이 진행된다(S50). 즉, 상기 패턴분석 모드(52)는 상기 S10 단계부터 S40 단계까지의 과정이라 할 수 있고, 상기 S50 단계부터는 상기 추천 모드(53)가 진행되는 과정이라 설명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개인 맞춤형 구강 관리에 대한 추천을 받지 않겠다고 하면, 상기 추천 모드(53)가 더 이상 진행되지 않고 그대로 시스템이 종료된다. 이는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굳이 추천 정보를 제작하고 가공할 필요가 없다면 불필요한 정보가 낭비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개인 맞춤형 구강 관리에 대한 추천을 수신하겠다고 동의하면, 서버(40)에서는 현재 사용자의 치아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해당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사용자 구강 상태에 대응하는 추천 리스트를 선별하는 작업이 수행된다(S60). 이러한 과정에 따라 상기 서버(40)에서 데이터 분석 및 추천 매칭 작업이 이루어지면, 사용자의 스마트폰(30)이나 표시창(101)에는 현재 사용자의 구강 상태에 대응하는 추천 리스트가 디스플레이 된다(S70). 예를 들어, 상기 추천 리스트는 양치 용품에 관한 추천일 수도 있고, 양치 방식에 관한 추천일 수도 있으며, 치과에 관한 추천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현재 사용자의 구강 상태에 대응하는 적절한 대응 추천이 이루어짐에 따라 더욱 효율적인 구강 케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빅데이터, 인공지능 및 IoT 기술을 이용하여 개인 맞춤형 구강 진단 및 상기 구강 진단 결과에 따른 추천 솔루션이 원스톱 서비스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정확한 정보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받아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일체형 칫솔세트 20: 제어부
30: 통신기기 40: 서버
51: 보안 모드 52: 패턴분석 모드
53: 추천 모드 54: 관리 모드
100: 컵 부 101: 표시창
110: 제1 수용공간 150: 살균 램프
200: 수용부 210: 제2 수용공간
220: 통기홀 300: 받침부
310: 지지부 320: 연장부
321: 홈 400: 칫솔부
410: 삽입부 420: 칫솔
421: 카메라 500: 커버

Claims (12)

  1. 칫솔부와 컵 부와 받침부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칫솔세트를 이용한 구강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칫솔세트 이용 시 사용자의 치아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인식하는 감지장치;
    상기 감지장치에서 인식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구강관리 상태를 분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분석된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데이터 가공이 수행되는 인공지능 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공지능 연산부는,
    사용자의 양치 습관 및 양치 주기를 파악하는 패턴분석 모드; 및
    상기 패턴분석 모드에서 확인된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구강 케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추천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분석 모드는,
    상기 칫솔부에 치되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구강 상태에 관한 데이터 및 상기 칫솔부의 칫솔모 마모 위치와 마모량을 분석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양치 습관과 양치 주기를 파악하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칫솔세트를 이용한 구강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구강 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빛을 조사하는 라이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칫솔세트를 이용한 구강관리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분석 모드는, 사용자의 구취 정도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컵 부에 설치되는 구취센서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더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칫솔세트를 이용한 구강관리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모드에서 제공하는 구강 케어 솔루션은,
    양치 용품에 관한 정보, 양치 방식에 관한 정보 및 치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칫솔세트를 이용한 구강관리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 연산부는,
    사용자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는 보안 모드; 및
    상기 칫솔세트의 위생 상태를 점검하는 관리 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칫솔세트를 이용한 구강관리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모드는,
    상기 컵 부의 외면에 설치되는 홍채인식센서 또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진위 여부를 파악하고, 상기 진위 여부에 따라 알람부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칫솔세트를 이용한 구강관리 시스템.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모드는,
    상기 칫솔세트 내의 온도와 습도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에서 제공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컵 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살균 램프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칫솔세트를 이용한 구강관리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칫솔세트의 무선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충천 칩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칫솔세트를 이용한 구강관리 시스템.
  10.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컵 부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표시창이 설치되고,
    상기 표시창에는 상기 구취센서에서 측정된 구취 레벨에 관한 데이터, 상기 칫솔세트 내의 온도와 습도에 관한 데이터 및 상기 칫솔부의 잠금 여부에 관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칫솔세트를 이용한 구강관리 시스템.
  11. 칫솔부와 컵 부와 받침부가 일체형으로 제작된 칫솔세트의 이용에 대한 분석 주기가 도달하였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칫솔부에 설치되는 카메라에 저장된 사용자의 구강 상태에 관한 데이터 및 상기 칫솔부의 칫솔모 마모 위치와 마모량을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양치 패턴 및 양치 주기를 파악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현재 치아 관리 상태를 통신기기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칫솔세트를 이용한 구강관리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가 진행된 후에 사용자가 구강관리에 대한 추천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강관리에 대한 추천은,
    서버에서 현재 사용자의 치아 상태에 관한 데이터 분석이 이루어지는 단계; 및
    분석된 데이터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양치 용품에 관한 정보, 양치 방식에 관한 정보 및 치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칫솔세트를 이용한 구강관리 방법.

KR1020190127068A 2019-10-14 2019-10-14 일체형 칫솔세트를 이용한 구강관리 시스템 및 구강관리 방법 KR102188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068A KR102188367B1 (ko) 2019-10-14 2019-10-14 일체형 칫솔세트를 이용한 구강관리 시스템 및 구강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068A KR102188367B1 (ko) 2019-10-14 2019-10-14 일체형 칫솔세트를 이용한 구강관리 시스템 및 구강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367B1 true KR102188367B1 (ko) 2020-12-09

Family

ID=73786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068A KR102188367B1 (ko) 2019-10-14 2019-10-14 일체형 칫솔세트를 이용한 구강관리 시스템 및 구강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3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8695A1 (ko) * 2021-01-21 2022-07-28 주식회사 명성 칫솔 추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016Y1 (ko) * 2006-03-29 2006-06-30 서순교 컵을 구비하는 양치세트
KR20120020680A (ko) 2010-08-30 2012-03-08 이석진 양치방법 안내 칫솔
JP2017060661A (ja) * 2015-09-25 2017-03-30 サンスター株式会社 口腔ケアサポートシステム
KR20180089934A (ko) 2017-02-01 2018-08-10 신성대학 산학협력단 치아 관리용 칫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016Y1 (ko) * 2006-03-29 2006-06-30 서순교 컵을 구비하는 양치세트
KR20120020680A (ko) 2010-08-30 2012-03-08 이석진 양치방법 안내 칫솔
JP2017060661A (ja) * 2015-09-25 2017-03-30 サンスター株式会社 口腔ケアサポートシステム
KR20180089934A (ko) 2017-02-01 2018-08-10 신성대학 산학협력단 치아 관리용 칫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8695A1 (ko) * 2021-01-21 2022-07-28 주식회사 명성 칫솔 추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168910B (zh) 用于操作个人梳理器具或家用清洁器具的设备和方法
EP4360589A2 (en) Oral hygiene system for compliance monitoring
AU2017356206B2 (en) Oral care system and method
US20160296163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 toothbrush with smart sensors for communication with electronic devices
US20230354993A1 (en) Oral Care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ng Oral Hygiene
WO2019150515A1 (ja) 口腔ケアシステム
KR102135874B1 (ko) 상태정보 분석장치,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JP2008543418A (ja) 歯磨きパターン分析校正装置、双方向歯磨き習慣校正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707173B1 (ko) 치아 관리용 칫솔 및 치아 관리 시스템
JP2021520940A (ja) ユーザーにパーソナライズされた口腔ケア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911834B1 (ko) 스마트 칫솔 및 그 제어방법
KR102188367B1 (ko) 일체형 칫솔세트를 이용한 구강관리 시스템 및 구강관리 방법
US20230132413A1 (en) Oral Care System and Method
CN109074418A (zh) 检测口腔保健装置的使用者的运动并且提供反馈的系统和方法
JP2019534081A (ja) 協調型個人ケア装置のためのネットワーク
KR20210019702A (ko) 상태정보 분석장치, 방법, 시스템 및 프로그램
KR102269549B1 (ko) 단체 칫솔 관리를 통한 덴탈 케어 시스템
KR101665123B1 (ko) 치아 관리용 칫솔 및 치아 관리 시스템
KR102057150B1 (ko) 구강 세정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96089B1 (ko) 칫솔 살균 장치
WO2023227433A1 (en) Method for use in an oral care system
KR20160097579A (ko) 치아 관리용 칫솔 및 치아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