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2582B1 - 공기 압축기 - Google Patents

공기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582B1
KR100452582B1 KR10-2002-0030956A KR20020030956A KR100452582B1 KR 100452582 B1 KR100452582 B1 KR 100452582B1 KR 20020030956 A KR20020030956 A KR 20020030956A KR 100452582 B1 KR100452582 B1 KR 100452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ylinder
compressor
discharg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0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3406A (ko
Inventor
김문수
Original Assignee
와브코 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브코 코리아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와브코 코리아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0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2582B1/ko
Publication of KR20030093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5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04G1/22Scaffolds having a platform on an extensible substructure, e.g. of telescopic type or with lazy-tongs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designed to provide support only at a low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브레이크의 압축기(이하 공기압축기라 한다)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탱크에 압축공기가 충만하게 되면 압축기에서 에어탱크로 가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서 압축공기를 생성하는데 드는 소모동력을 감소시키며, 또한 압축행정시 일정한 미로플래이트(labyrinth plate)를 마련하여 압축공기의 온도를 저감하여 에어드라이어(air dryer)의 효율을 최적화시키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공기압축기에 있어서, 헤드의 하부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에 상기 흡입실과 상기 실린더 내부를 개방하도록 형성된 배기구멍, 상기 헤드의 하부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에어탱크와 연통되는 조절실린더, 상기 조절실린더에 에어탱크로부터 역유입된 공기압에 의하여 상기의 배출구멍을 개방 또는 차단시킬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차량용 공기압축기에 있어서, 토출실은 미로형의 유로가 형성된 미로플래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모동력 저감을 통한 연비개선 및 에어드라이어의 수명을 길게하고 또한, 공기압축기의 토출구와 에어드라이어 압축공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파이프(이하, 전송파이프라한다)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공기 압축기{Air Compressor}
본 발명은 차량용 공기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주로 상용차(대형차)에서 고압으로 압축된 압축공기를 제동력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마련되는 공기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차에서는 페달에 가해진 힘을 전달받아 배력장치에서 배력을 생성하여 차량을 제동하고 있으나 상용차에서는 배력장치에서 생성된 배력만으로 차량을 제동하기가 충분하지가 않다. 따라서 고압으로 압축된 압축공기를 제동력으로 이용하게 된다.
도1은 공기 압축기를 필요로 하는 차량에서의 제동시스템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1에서, 100은 운전석에 마련된 브레이크 페달, 101은 공기압축기, 102는 에어 드라이어, 103은 에어탱크, 104는 브레이크 밸브, 105는 에어마스터실린더, 106은 오일 탱크, 107은 브레이크 108은 휠, 109는 전송파이프이다.
도1에서 각각의 휠(108)에는 브레이크(107)가 마련된다. 그리고, 운전석에는브레이크밸브(104)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페달(100)이 마련되어 있다. 이 브레이크밸브(104)의 일 측은 공기압축기(101), 에어드라이어(102)와 연통되는 에어탱크(103)와 연결되어 있으며, 타 측은 에어마스터실린더(105)와 연결된다.
에어마스터실린더(105)는 오일이 저장된 오일탱크(106)와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한 측에는 에어탱크(103)와 직접 연결된다. 그리고 에어마스터실린더(105)는 각각의 휠(108)에 설치된 브레이크(107)와 연결되어 오일을 공급함으로써 브레이크(107)의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또한 공기압축기(101)와 에어탱크(103) 사이에는 공기를 정화하는 에어드라이어(102)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에어드라이어(102)는 에어탱크(103)의 내부에 공기가 충만할 때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밸브가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동시스템은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100)을 밟음으로써 브레이크밸브(104)가 개방되고, 브레이크밸브(104)를 통하여 에어탱크(103)내의 고압공기가 에어마스터실린더(105)로 유입된다. 에어마스터실린더(105)는 유입된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에어탱크(103)측과 연통되고, 이로 인해 에어탱크(103)내의 고압공기가 에어마스터실린더(105)로 직접 유입되어 에어마스터실린더(105)에 유입되어 있는 오일탱크(106)의 오일이 브레이크(107)로 전달되어 휠(108)을 제동하는 것이다.
도2는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압축기를 보인 단면도이다. 201은 차량의 구동축과 연결된 크랭크축, 201a는 크랭크부, 202는 실린더, 203은 흡입밸브, 203a는 흡입밸브 제한판, 204는 토출밸브, 204a는 토출밸브 제한판, 205는 로드를 통해 크랭크부와 연결되어 있는 피스톤, 205a는 로드, 206은 흡입구멍, 207은 토출구멍, 208은 흡입구, 209는 토출구, 210은 흡입실, 211은 토출실이다.
공기압축기(101)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엔진(미도시)의 구동으로 인해 차량의 구동축(미도시)이 회전하고, 이와 연결된 공기압축기(101)의 크랭크축(201)이 회전함으로써 크랭크축(201)의 크랭크부(201a)가 로드(205a)와 연결되어 있는 피스톤(205)을 실린더(202)의 상하 측으로 왕복 운동시킨다. 이 때, 상기 피스톤(205)이 상기 실린더(202)의 하측으로 이동할 때 흡입밸브(203)는 흡입밸브제한판(203a)까지 개방되고, 토출밸브(204)는 폐쇄되어 압축기(101)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의 피스톤(205)이 상기 실린더(202)의 하단까지 내려왔다가 상기 실린더(202)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될 때 상기 흡입밸브(203)는 폐쇄되고, 상기 토출밸브(204)는 토출제한판(204a)까지 개방되어 공기압축기(101)의 내부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공기를 토출하는 것이다. 이렇게 토출된 공기는 토출구(209)와 연결된 에어드라이어(102)를 거쳐 에어드라이(102)에 연결된 에어탱크(103)에 저장되는 것이다.
한 편 크랭크부 쪽으로는 엔진오일이 일정량 차있으며, 상기 크랭크부의 회전으로 상기 엔진오일은 상기 실린더(202)의 내벽에 살포되어 상기 피스톤(205)의 왕복운동으로 인한 상기 실린더(202)와 상기 피스톤(205)의 마찰을 감소시켜주고 상기 피스톤(205)을 경계로 나누어진 상기 실린더(202)의 상측과 하측의 기밀구조를 유지시킨다. 이로 인하여 피스톤(205)의 하강 운동시에 상기 실린더(202)에 유입된 공기에는 일정정도의 엔진오일이 섞이게 된다. 또한 고온 고압의 압축공기는 긴 전송파이프(109)를 지나면서 온도가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압축공기는 이슬점온도 이하로 내려가 압축공기 속에 분포하던 수증기는 응결현상을 일으키며 따라서 에어드라이어(102)로 가는 압축공기는 일정한 오일과 이슬을 포함하게 된다.
에어드라이어(102)는 고온, 고압의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 및 엔진오일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드라이어(102)의 내에 마련된 건조제(desiccant)가 수분을 흡수하게 되는데 이 건조제는 압축공기의 온도가 65?? 이하 일 때 최적의 성능을 발취하게 된다. 따라서 압축기(101)의 토출구를 통해 에어드라이어(102)로 이동되는 고온의 압축공기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압축기의 토출구와 에어드라이어의 사이에 긴 전송파이프(109)를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압축기는 에어탱크에 저장된 공기의 양과는 상관없이 계속적으로 압축공기를 토출하여 에어탱크에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제동을 위한 압축공기의 소모가 없는 비제동시에 발생되는 압축공기의 손실량이 많게 되고 손실된 고압공기를 압축하기 위하여 압축기가 지속적으로 작동하므로 내구성이 저하되며, 압축기의 지속적인 구동으로 인해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고, 압축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오일의 소모가 많게 된다. 에어드라이어의 성능 또한 계속적인 수분과 오일의 유입으로 인하여 수명이 짧아지고, 압축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소모동력이 필요하므로, 엔진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으론, 고온의 압축공기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긴 전송파이프를 마련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에어 드라이어와 공기압축기 사이에 마련되는 전송파이프와 병렬로 양자를 연결시키는 공기압축기(101)의 공기압축행정조절을 위한 파이프(이하 조절파이프라 한다)와 에어탱크의 공기압이 소정압력이상인 경우 실린더 내부와 외부를 개방시킬 수 있는 장치를 구성하여 에어탱크의 공기압이 소정압력 이상시 공기압축기의 내부를 폐쇄시켜 소모동력을 감소시키는 공기압축기를 제공하고, 또한 공기압축기의 토출실에 미로플래이트를 구비하여 저온의 압축공기를 배출함으로서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하는 공기압축기의 토출구와 에어드라이어 사이의 전송파이프 및 조절파이프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는 공기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공기압축기를 필요로 하는 차량에 있어서 종래의 제동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2는 종래의 공기압축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축기와 이에 연통되는 에어드라이어 및 에어탱크의 압축공기 이동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례를 표현한 공기압축기의 단면도이다.
도5는 도4의 1-1??선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6은 도5의 2-2??선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례를 표현한 공기압축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2: 슬라이딩립 403:흡입밸브
403a:흡입밸브 제한판 403b:흡입밸브홀
406a: 흡입구멍 406b: 배출구멍
407: 토출구멍 501: 조절실린더
503: 조절핀 601: 조절스프링
602: 조절피스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스톤이 상하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상단에 위치하고 일측에는 외부공기와 개방되어 있는 흡입실, 타측에는 연료탱크와 개방되어 있는 토출실을 구비한 헤드, 상기 헤드의 하부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의 일측은 상기 흡입실과 상기 실린더 내부를 개방시키는 흡입구멍과 타측은 상기 토출실과 상기 실린더 내부를 개방시키는 토출구멍을 형성하는 차량용 공기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하부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에 상기 흡입실과 상기 실린더 내부를 개방하도록 형성된 배출구멍, 상기 헤드의 하부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에어탱크와 연통되는 조절실린더, 상기 조절실린더에 유입된 공기압에 의하여 작동하여 에어탱크의 공기가 소정압력 이상인 경우엔 상기의 배기구멍을 개방하고 에어탱크의 공기압이 소정압력이 이르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배기구멍을 차단시킬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되, 상기의 배출구멍을 차단시킬 수 있는 장치는, 상기 조절실린더 내측에 조절스프링과 결합하는 조절피스톤, 상기 조절피스톤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조절핀, 헤드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의 하단에 마련되며 일측은 상기 헤드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조절핀과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조절핀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며 배출구멍을 개방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슬라이딩립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에는 상기 토출실과 상기 흡입실외에 헤드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실린더에만 연통되는 공기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압축기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압축기와 이에 연통되는 에어드라이어 및 에어탱크의 압축공기 이동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5는 도4의 11'선을 자른 단면도로서 도4에 도시된 공기압축기의 하 방향에서 상 방향으로 관찰한 도이다. 도6은 도5의 22'선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3에서 301은 공기압축기(300)의 헤드, 302는 상기 공기압축기에서 압축된공기가 공기압축기를 빠져나와 에어드라이어로 가는 통로를 제공하는 전송파이프, 303은 에어탱크(103)의 압축공기가 에어드라이어(102)를 거쳐 상기 헤드의 하부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에 형성된 조절실린더(501)로 이동되도록 통로를 제공하는 조절파이프(303)이다. 도4에서 401은 가스킷, 402는 슬라이딩립, 403은 흡입밸브, 403a는 흡입밸브 제한판, 404는 토출밸브, 404a는 토출밸브 제한판, 406a는 흡입구멍, 406b는 배출구멍, 407은 토출구멍, 408은 흡입구, 409는 토출구, 410은 흡입실, 411은 토출실, 도5에서 501은 조절실린더, 503은 조절핀, 도6에서 601은 조절스프링, 602는 조절피스톤이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공기압축기의 제어 기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압축기(300)의 압축행정이 이루어질 때는 실린더(202)내의 압축공기는 헤드에 형성된 토출실(411), 토출구(407), 압축공기를 에어드라이어(102) 및 에어탱크(103)로 연통시키는 전송파이프(309)를 순서대로 거쳐 에어드라이어(102)로 이동되고, 수분과 엔진오일을 포함한 압축공기는 에어드라이어(102)에서 수분과 엔진오일을 제거당한 다음에 에어탱크(103)로 이동되어 저장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플레이트(301b)에 형성된 조절실린더(501)에 마련된 스프링(601)은 에어탱크(103)의 에어탱크의 공기압이 소정압력 이상일시에 에어탱크에서 유입된 공기압에서 의해서 수축될 수 있는 정도의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에어탱크(103)가 에어탱크의 공기압이 소정압력 이상이 되면 역으로 공기압은 에어탱크(103)의외부를 향하여 세지게 되므로 이 때 상기 조절실린더(501)와 연결되는 조절파이프(303)를 통하여 조절실린더(501)로 이동하여 용수철(601)과 결합되어 있는 피스톤(602)에 에어탱크(103) 완충시의 공기압을 전달하여 상기의 스프링(601)을 후퇴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면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축기(301)에서 압축행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에는 다음에서 설명되어지는 바와 같다.
피스톤(205)이 실린더(202)의 하단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흡입밸브(403)는 상기 흡입밸브(403)의 과도한 개방동작으로 인한 상기 흡입밸브(403)의 탄성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흡입밸브제한판(403a)까지 개방되고, 토출밸브(404)는 토출구멍(407)를 폐쇄시켜 외부의 공기가 흡입구(408), 흡입실(410) 및 흡입구멍(406a)를 거쳐 상기 실린더(202)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토출행정, 즉, 상기의 피스톤(205)이 상기 실린더(202)의 상단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상기의 토출밸브(404)가 상기의 토출밸브(404)의 과도한 개방동작으로 인한 상기 토출밸브(404)의 탄성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토출밸브제한판(404a)까지 개방되고, 상기의 흡입밸브(403)는 외부와 상기의 실린더(202)를 폐쇄시켜 압축된 공기가 상기의 토출구멍(407), 토출실(411) 및 토출구(209)를 거쳐 에어탱크에 이동 및 저장되게 된다.
한편, 압축행정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상기 에어탱크의 공기압이 소정압력 이인 때이므로 도 5에서 표현된 슬라이딩립(402)이 점선인 상태에 있게 된다. 도6과 비교하여 보면 조절피스톤(602)이 점선모양으로 조절실린더(501)에 전진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에 관하여 상술하면,
상기 조절피스톤(602)과 결합되는 조절스프링(601)은 에어탱크(103)에 압축공기가 완충되었을 때 에어탱크(103)의 완충된 압축공기에 의한 유압이 조절파이프(303)를 거쳐 조절피스톤(602) 상단에 후퇴압력을 가하는데 이 때의 조절스프링(601)의 탄성력이 에어탱크의 공기압이 소정압력 이상이 되었을 때만 조절스프링(601)의 수축이 있게 되는 일정한 탄성계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하였듯 에어탱크(103)가 에어탱크의 공기압이 소정압력에 이르지 아니하여 압축행정이 일어나고 있는 경우에 조절파이프(303)를 거쳐 조절피스톤(602)의 상단에 미치는 공기압은 조절스프링(601)의 탄성력에 미치지 못하므로 상기의 조절피스톤(602)은 도6의 점선 모양의 위치에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절피스톤(602)의 일측에 조절핀(503)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딩립(402)은 조절피스톤(602)을 따라서만 움직이므로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점선 모양의 위치에 있게 된다. 슬라이딩립(402)이 점선모양에 있게 되는 경우에는 토출구멍(407)이 슬라이딩립(402)에 의하여 닫혀지지 아니하므로 공기압축기는 원활한 압축행정을 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에어탱크(103)에 압축공기가 소정압력 이상이 되면에어탱크(103)의 고압의 공기는 에어드라이어(102)를 거쳐 조절파이프(303)를 통하여 상기 조절피스톤(602)의 상단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조절스프링(601)의 탄성력은 에어탱크(103)의 소정압력 이상인 공기압을 견대내지 못하고 수축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조절피스톤(602)은 뒤로 후퇴하게 되는데, 이는 도6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로 후진 배치되어 있는 조절피스톤(602)의 상태에 해당한다. 이에 의하여 상기조절피스톤(602)의 일측과 상기 조절핀(503)에 의하여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립(402)은 상기 조절피스톤(602)의 움직임을 따라 이동하므로 도5에서 표시된 이점 쇄선모양의 위치에 자리하게 된다. 이를 살펴보면, 상기의 슬라이딩립(502)은 상기 배출구멍(406b)을 개방시켜 놓았으며 상기 배출구멍(406b)은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흡입밸브(203)의 내측에 형성된 홀(404)에 의해 상기 흡입구멍(406a)만을 차단시키게 되어있는 상기의 흡입밸브(403)에 의해서도 항상 닫혀있지 아니하므로 상기의 실린더(202) 내부와 상기의 흡입실(410) 및 외부는 서로 개방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 때의 공기압축기(3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피스톤(205)이 상기 실린더(202)의 하단으로 이동하는 경우 외부의 공기가 상기 흡입실(410)과 상기 흡입구멍(406b) 및 상기 배출구멍(406a)을 순차적으로 거쳐 실린더(202)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의 피스톤(205)이 상기 실린더(202)의 상단으로 이동하는 경우는 상기 흡입밸브(403)가 닫히더라도 상기의 흡입밸브(403)에 대하여 항상 개방되어 있는 상기의 흡입구멍(406a)을 통하여 실린더(202)의 공기가 흡입실(410) 및 흡입구(408)를 거쳐 외부로 출토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피스톤(205)이 실린더(202)의 상단으로 이동시 대기압의 저항만이 있게 되는 것이므로 사실상 거의 공기의 저항이 없는 공회전을 한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부연하자면, 도5에서 슬라이딩립(402)이 실선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 토출구멍(407) 중의 하나에 대하여 반쯤 닫혀 있어 슬라이딩립(40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개방되어 있는 듯이 보이지만 흡입행정시에는 에어탱크(103)의 고압의 공기가 에어드라이어(102) 및 전송파이프(302)를 역으로 거쳐 토출구(409)로 역유입되어 상기 토출밸브(404)에 상기 에어탱크(103)의 고압의 공기압력을 가하므로, 상기 토출밸브(404)에 의하여 상기 토출구멍(407)이 닫혀지게 된다.
또한 덧붙이면 압축행정에 해당하는 상태인 경우 상기 에어탱크(103)의 공기압을 가진 상기 토출구(409)쪽의 고압의 공기는 상기 토출밸브(404)에 상기의 실린더(202) 쪽 방향으로 여전히 압력을 가하고, 이에 반하여 상기의 실린더(202)는 외부에 개방되어 상기 실린더(202) 내부는 대기압이므로 상기 토출밸브(404)에 상기 토출구(209)쪽 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실린더(202)상의 공기압은 대기압과 동일하고 이에 의해서 상기 토출구(409)쪽으로 가하는 공기압을 가지게 되므로 이 때에도 상기의 토출밸브(404)가 실린더(202)와 토출실(411)을 개방시켜 놓을 염려는 없는 것이다.
도7은 본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로서 압축공기 수용부(701, 이하 공기수용부라 한다)는 배출구멍(406a)을 통하여 오로지 실린더(202)와만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수용부(701)는 외부와 차단되고 또한 흡입실(410) 및 토출실(411)과도 차단되어 있다.
도7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에어탱크(103)의 공기압이 소정압력 이상인경우 슬라이딩립(402)이 상기 도 5의 이점쇄선인 상태에 가 있게 되면 토출로(407)는 상기의 슬라이딩립(402)에 의하여 차단되고 피스톤(505)이 실린더(202)의 상단으로 향하게 되는 경우는 흡입구멍(406a) 또한 차단되므로 공기는 배출구멍(406a)을 거쳐 공기수용부(701)로 압축 유입되게 된다. 그 후 상기의 피스톤(205)이 상기 실린더(202)의 하강 이동시 상기 공기수용부(701)에 압축되어 있던 공기는 상기 피스톤(205) 상단에 일정한 하방향으로의 압력을 가하여 상기 피스톤(205)의 운동을 도와주게 되는 것이다. 나머지 압축기(101)의 기작은 도 4,5,6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차량용 공기압축기에 있어서, 토출실 내부에는 미로의 형태를 한 유로가 형성되는 플래이트가 마련되어질 수 있다. 상기 유로는 연장길이가 최대로 되게 설계되어져야 적당하다. 본 실시례에 따르면 압축공기가 토출구를 통하여 나가기 전에 상기 미로판 내부에 형성된 긴 유로를 지나가면서 온도가 하강하므로 에어드라이어에 마련된 건조제가 최적의 성능을 가질 수 있는 알맞은 온도를 가진 채 상기의 토출구를 빠져나가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긴 전송파이프(302)를 단축 마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미로플레이트의 미로의 일측 끝단은 실린더와 토출실을 개방시키는 토출구멍과 연결되고 타측 끝단은 토출실과 에어탱크를 개방시키는토출구에 연결되어야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공기압축기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와 동일 범주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브레이크의 압축기는 에어탱크의 충만시 압축기의 내부가 토출실과 폐쇄되고 흡입실과 개방됨으로서 비제동시에 발생되는 압축공기의 손실에 비례하는 에너지의 손실을 감소시키고, 흡입과 토출이 없는 행정이 이루어져 소모동력의 감소와 압축기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에어드라이어로 가는 수분 및 유압을 포함한 압축공기가 감소됨으로 인하여 에어드라이어에 사용되는 물품의 수명을 길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서 본 바와 같이 일정정도 압축된 공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두어 이 압축공기로 인한 피스톤의 운동을 도움으로서 보다 압축기에 제공되는 동력을 감소시켜 엔진의 효율을 상승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토출실내에 긴 미로형 유로를 형성한 경우에는 전송파이프 및 조절파이프의 길이를 단축시켜 차량 조립공정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피스톤이 상하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상단에 위치하고 일측에는 외부공기와 개방되어 있는 흡입실과 타측에는 연료탱크와 개방되어 있는 토출실을 구비한 헤드, 상기 헤드의 하부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의 일측은 상기 흡입실과 상기 실린더 내부를 개방시키는 흡입구멍을 구비하고 타측은 상기 토출실과 상기 실린더 내부를 개방시키는 토출구멍을 구비하는 차량용 공기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하부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에 상기 흡입실과 상기 실린더 내부를 개방하도록 형성된 배출구멍, 상기 헤드의 하부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에어탱크와 연통되는 조절실린더, 상기 조절실린더에 유입된 공기압에 의하여 작동하여 에어탱크의 공기압이 소정압력 이상에 이르는 경우 상기의 배출구멍을 개방하고 에어탱크의 공기압이 소정압력 이상에 이르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배출구멍을 차단시킬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되, 상기의 배출구멍을 차단시킬 수 있는 장치는, 상기 조절실린더 내측에 조절스프링과 결합하는 조절피스톤, 상기 조절피스톤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조절핀, 헤드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의 하단에 마련되며 일측은 상기 헤드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조절핀과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조절핀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며 배출구멍을 개방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슬라이딩립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에는 상기 토출실과 상기 흡입실 외에 상기 헤드내부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실린더에만 개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실린더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기수용부를 구비한 차량용 공기 압축기.
  4. 삭제
KR10-2002-0030956A 2002-06-03 2002-06-03 공기 압축기 KR100452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956A KR100452582B1 (ko) 2002-06-03 2002-06-03 공기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956A KR100452582B1 (ko) 2002-06-03 2002-06-03 공기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406A KR20030093406A (ko) 2003-12-11
KR100452582B1 true KR100452582B1 (ko) 2004-10-13

Family

ID=32385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956A KR100452582B1 (ko) 2002-06-03 2002-06-03 공기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258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9184A (ja) * 1988-01-08 1989-07-17 Minolta Camera Co Ltd 電子写真複写機
JPH0663874U (ja) * 1993-02-15 1994-09-09 三輪精機株式会社 エアコンプレッサ
JPH0663873U (ja) * 1993-02-17 1994-09-09 三輪精機株式会社 エアコンプレッサ
JPH109141A (ja) * 1996-06-27 1998-01-13 Zexel Corp エアーコンプレッサ
KR19990086819A (ko) * 1998-05-30 1999-12-15 오상수 브레이크 에어드라이어용 냉각기
JP2000192886A (ja) * 1998-12-25 2000-07-11 Zexel Corp エアコンプレッサ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9184A (ja) * 1988-01-08 1989-07-17 Minolta Camera Co Ltd 電子写真複写機
JPH0663874U (ja) * 1993-02-15 1994-09-09 三輪精機株式会社 エアコンプレッサ
JPH0663873U (ja) * 1993-02-17 1994-09-09 三輪精機株式会社 エアコンプレッサ
JPH109141A (ja) * 1996-06-27 1998-01-13 Zexel Corp エアーコンプレッサ
KR19990086819A (ko) * 1998-05-30 1999-12-15 오상수 브레이크 에어드라이어용 냉각기
JP2000192886A (ja) * 1998-12-25 2000-07-11 Zexel Corp エアコンプレッ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406A (ko) 200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2448B2 (en) Compression-release engine brake system for lost motion rocker arm assembly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1101556B1 (ko) 고정시간 밸브 구동을 위한 로스트 모션 시스템 및 방법
US64501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ydraulic clip and reset of engine brake systems utilizing lost motion
JP2005201259A (ja) 排気バルブを機械的に制御するとともに、電子制御された油圧デバイスによって吸気バルブを制御するカム軸を備えた内燃機関
JP2001510259A (ja) 定時エンジンブレーキ装置の最適化のための作用空転
JP2011510223A (ja) 省エネルギ装置を備えたコンプレッサ並びにコンプレッサの省エネルギ運転のための方法
CN1738971A (zh) 可变容量压缩机的控制阀
AU2004233525B2 (en) Multi-directional pump
KR100452582B1 (ko) 공기 압축기
ITTO20010273A1 (it)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con sistema idraulico per l'azionamento variabile delle valvole e con mezzi di spurgo dell'aria dal sistema idr
CN113623043B (zh) 一种制动摇臂及其控制方法
CN212406980U (zh) 一种具有卸载储气油雾分离腔的汽车空压机
KR19980019478A (ko) 공압식 도어클로저(door closer)
JP3209015B2 (ja) 制動エネルギ回収装置付車両用エンジン
KR20060049627A (ko) 내연 기관의 밸브 작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캠
WO2004101993A1 (en) Air compressor
KR20210041334A (ko) 압축 완화형 엔진 브레이크의 소켓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엔진 브레이크의 작동 방법
KR100388309B1 (ko) 차량용 브레이크의 압축기
CN218717042U (zh) 一种制动摇臂总成
US11359524B1 (en) Compression release type engine brake
CN101040103B (zh) 内燃机
JPH11159460A (ja) 車両用空気圧縮装置および空気圧縮機
JPH08193576A (ja) 車両用エアコンプレッサ装置
CN112065691A (zh) 一种具有卸载储气油雾分离腔的汽车空压机
ITMI20011432A1 (it) Dispositivo di sicurezza per la limitazione di pressione di un compressore di climatizzazione a corsa variabile rispettivamente a dislocam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