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2511B1 - 무선전화기의 충전상태 감지회로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의 충전상태 감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511B1
KR100452511B1 KR10-2002-0024589A KR20020024589A KR100452511B1 KR 100452511 B1 KR100452511 B1 KR 100452511B1 KR 20020024589 A KR20020024589 A KR 20020024589A KR 100452511 B1 KR100452511 B1 KR 100452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ode
resistor
charging
power supply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6368A (ko
Inventor
이강송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4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2511B1/ko
Publication of KR20030086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6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5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WLL 무선전화기의 동작전원을 위한 충전전류를 인가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내부 전압강하를 통해 유입되는 전류를 처리하는 제1 다이오드와, 상기 전원부의 일단과 제1 다이오드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온도변화를 보상하는 제2 다이오드와, 상기 제1 및 제2 다이오드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일정 전압레벨로 분배하여 출력하는 제1 내지 제4 분배저항과, 상기 제1 내지 제4 분배저항을 통해 각기 분배입력되는 제1 다이오드와 제2 다이오드의 전압을 각각 비교하여 WLL 무선전화기로 인가되는 충전전류를 검출 출력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로부터 출력되는 충전검출신호에 따라 무선전화기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전화기의 충전상태 감지회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전화기의 충전상태 감지회로{A DETECTING CIRCUIT OF CHARGING STATE FOR CORDLESS PHONE}
본 발명은 분리형 무선가입자망(WLL) 무선전화기의 충전전류 변화에 의한 충전상태 감지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류의 변화량이 큰 경우에 적합하고, 주변온도 변화를 보상하는 충전상태 감지회로에 관한 것이다.
무선가입자망(WLL: WIRELESS LOCAL LOOP)은 전화국과 가입자 단말기 사이의 선로(LINE)를 기존의 유선선로(WIRE LINE) 대신에 무선선로(WIRELESS LINE)로 대치하여 가입자 선로의 구축을 저가로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써, 인구밀도 또는 가입자가 비교적 작은 지역에 저가로 통신혜택을 주기 위하여 처음 개발된 것이고, 현재는 통신기술의 발달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적합하며, 제한된 지역에서 이동 설치가 용이하고, 전화, 데이터, ISDN 등의 서비스 종류를 융통성 있게 변경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에 의하여 선호되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무선가입자망에 가입된 단말기의 경우, 설치된 지역 내의 일정한 범위에서 이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장치가 필요하며, 상기와 같은 충전장치는 충전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여야 한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전화기의 충전상태 감지회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전화기 충전상태 감지회로 구성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전화기의 충전상태 감지회로는, 충전에 필요한 전원을 일정한 전압의 레벨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전원부(10)와,
상기 전원부(10)로부터 일정한 레벨로 출력되는 전원을 전류의 흐름으로 감지하기 위한 제1 저항(20)과,
상기 전원부(10)로부터 일정한 레벨로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전압강하를 이용하는 제2 저항(30) 및 제3 저항(40)과,
상기 제1 저항(20)을 경유하여 출력되는 전압을 전압강하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제4 저항(50) 및 제5 저항(60)과,
상기 제2 저항(30) 및 제3 저항(40)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압강하를 비반전 단자(+)로 입력하고, 제4 저항(50) 및 제5 저항(60)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압강하를 반전단자(-)로 입력하는 비교기(70)와,
상기 비교기(7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표시부(80)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전화기 충전상태 감지회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전원부(10)는 무선가입자망(WLL) 방식의 단말기인 무선전화기를 충전하기 위하여 설정된 소정 레벨의 전압을 일정하게 출력한다.
상기 제1 저항(R1)(20)은 전원부(10)로부터 출력되어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것으로, 무선전화기에 인가되어 충전되는 전류를 일부 소모하여 전압차이를 발생한다.
상기 제1 저항(R1)(20)에 흐르는 전류는 무선전화기를 충전할 때만 흐르므로, 상기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경우는 충전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전원부(1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이 무선전화기에 인가되어 충전되는 경우에만 제1 저항(R1)(20)에 전류가 흐르고, 상기의 전류는 제1 저항(R1)(20)을 통과하면서 전압강하를 발생하므로, 상기 제1 저항(R1)(20)의 전단과 후단에 전압 차이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전압차이를 검출하므로써 충전의 진행상태를 감지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전원부(10)로부터 출력되고 상기 제1 저항(R1)(20)에 인가되기 전의 전압은, 상기 제2 저항(R2)(30)과 제3 저항(R3)(40)에 의하여 접지(GROUND)로 일부의 전류를 흘리게 되는 동시에 상기 제2 저항(R2)(30)과 제3 저항(R3)(40)에 의하여 전압강하를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제2 저항(R2)(30)과 제3 저항(R3)(40)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압은 상기 비교기(70)의 비반전(+) 단자에 인가된다.
또한, 상기 무선전화기 충전전류는 제1 저항(R1)(20)을 통과하므로써 전압강하를 발생하고, 일부의 전류가 제4 저항(R4)(50)과 제5 저항(R5)(60)을 통하여 접지(GROUND)로 흐르면서 전압강하를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제4 저항(R4)(50)과 제5 저항(R5)(60)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압은 상기 비교기(70)의 반전(-) 단자에 인가된다.
상기 비교기(70)는 상기 전원부가 무선전화기를 충전하지 않는 경우, 즉, 상기 제1 저항(R1)(20)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경우, 비반전(+) 단자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지만, 반전(-) 단자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비교기(70)는 반전(-) 단자에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 로우(LOW) 상태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로우(LOW) 상태의 출력신호는충전표시부(80)에 인가되어 무선전화기가 충전되지 않고 있음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무선전화기가 충전을 위하여 제1 저항(R1)(20)과 접지(GROUND) 사이에 접속되는 경우, 전원부(10)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는 제1 저항(R1)(20)을 통하여 상기 무선전화기에 인가된다.
상기와 같이 무선전화기가 충전되는 경우, 제1 저항(R1)(20)에 의하여 전압강하가 발생하고, 제4 저항(50)과 제5 저항(60)에 의하여 상기 전압강하가 검출되어 상기 비교기(70)의 반전(-) 단자에 인가된다.
상기 비교기(70)의 반전(-) 단자에, 상기 제4 저항(50)과 제5 저항(60)에 의하여 검출된 전압신호가 인가되면 하이(HIGH) 상태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와 같이 출력된 신호는 충전표시부(80)에 인가되어 무선전화기가 충전중인 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전화기 충전상태 감시회로는, 무선전화기가 충전되는 경우와 충전되지 않는 경우를 제1 저항(R1)(20)의 전압강하로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전압신호를 비교기(70)에서 비교하여 충전표시부(80)에 인가하므로써 충전상태를 감지하고 해당 표시를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상기 제1 저항(R1)(2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전압강하를 발생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전압강하가 발생하는 과정에서 많은 열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무선전화기를 충전하기 위하여 흐르는 전류는 매우 큰 범위로 변화하고, 작은 충전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도, 일정 레벨의 전압차를 발생하여 감지하여야 하므로, 저항값이 비교적 큰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저항의 크기가 커지고, 흐르는 전류가 많을 경우는 전압차이가 많이 발생하여 전력손실이 크게 발생하므로 충전효율이 떨어지는 동시에 열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를 충전하기 위하여 흐르는 전류 량의 변화 폭이 큰 경우에도 일정한 크기의 전압강하를 발생하는 동시에 발열이 크지 않고, 주변온도 변화를 보상하여 충전상태를 정확하게 감지하는 무선전화기의 충전상태 감지회로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WLL 무선전화기의 충전상태를 감지하는 회로에 있어서,상기 WLL 무선전화기의 동작전원을 위한 충전전류를 인가하는 전원부와,상기 전원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내부 전압강하를 통해 유입되는 전류를 처리하는 제1 다이오드와,상기 전원부의 일단과 제1 다이오드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온도변화를 보상하는 제2 다이오드와,상기 제1 및 제2 다이오드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일정 전압레벨로 분배하여 출력하는 제1 내지 제4 분배저항과, 상기 제1 내지 제4 분배저항을 통해 각기 분배입력되는 제1 다이오드와 제2 다이오드의 전압을 각각 비교하여 WLL 무선전화기로 인가되는 충전전류를 검출 출력하는 비교기와,상기 비교기로부터 출력되는 충전검출신호에 따라 무선전화기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선전화기의 충전상태 감지회로를 제공한다.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전화기 충전상태 감지회로 구성도 이고,
도2 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전화기의 충전상태 감지회로 구성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15 : 전원부 20 : 제1 저항
30 : 제2 저항 40 : 제3 저항
50 : 제4 저항 60 : 제5 저항
70,75 : 비교기 80,85 : 충전표시부
100 : 제1 다이오드 110 : 제2 다이오드
120 : 제1 분배저항 130 : 제2 분배저항
140 : 제3 분배저항 150 : 제4 분배저항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무선가입자망에 사용되는 단말기의 분리형 무선전화기 충전상태 감지회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2 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전화기의 충전상태 감지회로 구성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무선전화기의 충전상태 감지회로는, 무선가입자망(WLL) 분리형 단말기의 무선전화기 충전상태를 감지하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화기에 동작전원을 출력하여 충전(CHARGING)되도록 공급하는 전원부(15)와,
상기 전원부(15)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일정한 레벨(LEVEL)의 내부전압 강하만 발생하고, 나머지 전원을 모두 출력하는 제1 다이오드(D1)(100)와,
상기 전원부(15)에 접속되어 상기 제1 다이오드(D1)(100)의 온도변화를 보상하는 제2 다이오드(D2)(110)와,
상기 제1 다이오드(10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분배(DISTRIBUTION)하여 설정된 소정 레벨(LEVEL)의 전압을 검출하도록 하는 제1 분배저항(R10)(120) 및 제2 분배저항(R20)(130)과,
상기 제2 다이오드(11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분배하여 설정된 소정레벨(LEVEL)의 전압을 검출하도록 하는 제3 분배저항(R30)(140) 및 제4 분배저항(R40)(150)과,
상기 제1 분배저항(R10)(120) 및 제2 분배저항(R20)(130)에 의하여 검출되는 전압을 반전단자(-)로 입력하고, 제3 분배저항(R30)(140) 및 제4 분배저항(R40)(150)에 의하여 검출되는 전압을 비반전(+)단자로 입력하며, 상기 비반전(+)단자와 반전(-)단자로 각각 입력되는 전압을 비교하여,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75)와,
상기 비교기(7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무선전화기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표시부(85)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무선전화기 충전상태 감지회로를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전원부(15)는 무선가입자망(WLL)의 단말기이며, 이동성을 부가한 무선전화기가 동작하도록 하는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무선전화기는 상기 전원부(15)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동작하는 동시에 동작전원을 충전하므로써 소정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통신을 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전원부(15)로부터 출력되는 동작전원은, 제1 다이오드(D1)(100)와 제2 다이오드(D2)(110)에 인가되고, 상기 제1 다이오드(D1)(100)와 제2 다이오드(D2)(110)는 각각의 내부 전압강하를 제외하고 입력된 전압을 모두 출력한다.
일 예로, 상기 제1 다이오드(D1)(100)와 제2 다이오드(D2)(110)가 일반적인 반도체 다이오드(DIODE) 인 경우, 내부 전압강하는 약 0.6 볼트(VOLT) 정도가 되고, 제너다이오드(ZENER DIODE)의 경우는 내부 전압강하가 약 0.2 볼트(VOLT) 정도가 되며, 상기 제1 다이오드(D1)(100)와 제2 다이오드(D2)(110)는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전원부(10)로부터 출력되고 제1 다이오드(D1)(100)를 통과한 전원은 무선전화기에 공급되어 충전(CHARGING)되는 동시에 상기 제1 분배저항(R10)(120)과 제2 분배저항(R20)(130)에 인가된다.
상기 제1 분배저항(R10)(120)과 제2 분배저항(R20)(130)에 인가된 전원은, 상기 제1 분배저항(R10)(120)과 제2 분배저항(R20)(130)의 저항값 비례에 의하여, 즉, 설정된 비율로 상기 입력되는 전압을 소정 레벨만큼 검출하고, 상기와 같이 검출된 전압은 상기 비교기(75)의 반전(-)단자에 인가된다.
또한, 상기 전원부(15)로부터 출력되고, 상기 제2 다이오드(D2)에 의하여 내부 전압강하된 전압을 제외한 전압은, 제3 분배저항(R30)(140)과 제4 분배저항(R40)(150)에 인가된다.
상기 제3 분배저항(R30)(140)과 제4 분배저항(R40)(150)에 인가된 전압은, 상기 제3 분배저항(R30)(140)과 제4 분배저항(R40)(150)의 설정된 저항값 비율에 의하여 분배되고, 상기와 같이 분배되어 검출된 전압은 상기 비교기(75)의 비반전(+) 단자에 공급된다.
즉, 상기 비교기(75)의 비반전(+)단자와 반전(-)단자에 인가되는 검출 전압은 각각 제1 다이오드(D1)(100)와 제2 다이오드(D2)(110)를 통하여 인가되는 것으로, 일 예로, 제1 다이오드(D1)(100)가 주변온도의 변화에 의하여 내부 전압강하레벨의 크기가 변화하면, 동일한 사양(SPECIFICATION)의 제2 다이오드(D2)도 동일하게 내부 전압강하 레벨의 크기가 변화하므로, 주변온도의 변화를 보상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무선가입자망(WLL) 무선전화기에 동작전원을 충전하기 위하여 출력단자에 접속하면, 상기 전원부(15)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이 제1 다이오드(D1)(100)를 통하여 인가된다.
상기 전원부(15)로부터 출력되는 전압과, 상기 제1 다이오드(D1)(100)를 경유한 전압은 그 레벨에 차이가 발생하고, 상기와 같은 전압 레벨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무선전화기가 충전상태 임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원부(15)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제2 다이오드(D2), 제3 분배저항(R30)(140), 제4 분배저항(R40)(150)의 저항 값 비율에 의하여 일정한 레벨이 분배되고 상기 비교기(75)의 비반전(+) 단자에 인가된다.
상기 제1 다이오드(D1)(10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제1 분배저항(R10)(120)과 제2 분배저항(R20)(130)의 저항값 비율에 의하여 일정한 레벨이 분배되고 상기 비교기(75)의 반전(-) 단자에 인가된다.
상기 비교기(75)는 비반전(+) 단자에 전압신호가 인가되고, 반전(-)단자에는 전압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 즉, 무선전화기가 충전되지 않는 경우, 출력을 로우(LOW)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출력단자에 무선전화기가 접속되므로써 제1 다이오드(D1)(100)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상기 무선전화기를 충전하는 경우, 즉, 반전(-)단자에 소정의 전압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비교기(75)는 하이(HIGH)상태의 전압을 출력한다.
상기 다이오드(DIODE)는 주변온도가 낮은 경우, 내부전압강하의 크기가 크고, 주변온도가 높은 경우는 내부전압강하의 크기가 낮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좀더 요약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비교기(75)의 비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전압신호는 전원부(15)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그대로 검출하는 것이고, 상기 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신호는 상기 전원부(15)로부터 출력된 전압이 상기 제1 다이오드(D1)(100)의 내부 전압강하에 의한 전압값만큼 제외하고 출력되는 전압을 검출한다.
상기 비교기(75)로부터 출력되는 하이(HIGH) 또는 로우(LOW)의 신호는 충전표시부(85)에 인가되어 처리되므로써, 상기 무선전화기가 충전상태 인지를 감지하고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제1 다이오드(D1)(100)를 이용하여 충전전류의 흐름을 감지하므로, 전류의 변화가 많은 경우에도 상기 제1 다이오드(D1)(100)에 의하여 발생하는 내부전압강하는 일정하며 열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주변온도의 변화에 의하여 상기 제1 다이오드(D1)(100)에서 발생하는 내부전압강하 변동이 비교기(75)의 반전(-) 단자에 인가되고, 상기 제1 다이오드(D1)(100)와 동일한 특성의 상기 제2 다이오드(D2)(110)에 의하여 발생하는 내부전압강하 변동은 상기 비교기(75)의 비반전(+) 단자에 인가되므로 온도 보상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충전전류 변화가 많은 경우에도 일정한 전압을 검출할 수 있고, 발열이 거의 없으므로 크기를 작게하며, 전력효율을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교기의 비반전단자와 반전단자에 동일한 특성의 소자를 이용하므로, 주변온도의 변화에 능동 대처하는 온도보상 효과가 있다.

Claims (1)

  1. WLL 무선전화기의 충전상태를 감지하는 회로에 있어서,
    상기 WLL 무선전화기의 동작전원을 위한 충전전류를 인가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내부 전압강하를 통해 유입되는 전류를 처리하는 제1 다이오드와,
    상기 전원부의 일단과 제1 다이오드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온도변화를 보상하는 제2 다이오드와,
    상기 제1 및 제2 다이오드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일정 전압레벨로 분배하여 출력하는 제1 내지 제4 분배저항과, 상기 제1 내지 제4 분배저항을 통해 각기 분배입력되는 제1 다이오드와 제2 다이오드의 전압을 각각 비교하여 WLL 무선전화기로 인가되는 충전전류를 검출 출력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로부터 출력되는 충전검출신호에 따라 무선전화기의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충전상태 감지회로.
KR10-2002-0024589A 2002-05-04 2002-05-04 무선전화기의 충전상태 감지회로 KR100452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589A KR100452511B1 (ko) 2002-05-04 2002-05-04 무선전화기의 충전상태 감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589A KR100452511B1 (ko) 2002-05-04 2002-05-04 무선전화기의 충전상태 감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368A KR20030086368A (ko) 2003-11-10
KR100452511B1 true KR100452511B1 (ko) 2004-10-13

Family

ID=32381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589A KR100452511B1 (ko) 2002-05-04 2002-05-04 무선전화기의 충전상태 감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251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9304A (ko) * 1995-12-23 1997-07-29 배순훈 마이콤 정전 감지 장치
KR19980031050U (ko) * 1996-11-30 1998-08-17 이형도 온도에 따라서 제어되는 충전회로
KR19990001738A (ko) * 1997-06-17 1999-01-15 윤종용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제어장치
KR20000014308A (ko) * 1998-08-19 2000-03-06 윤종용 휴대용 무선 단말기 충전기의 발열 현상을 줄이는 회로
KR200214925Y1 (ko) * 2000-09-19 2001-02-15 엘지전자주식회사 충전기 내장형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상태 검지장치
JP2002044873A (ja) * 2000-07-27 2002-02-08 Nec Mobile Energy Kk 温度保護付き電池パック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9304A (ko) * 1995-12-23 1997-07-29 배순훈 마이콤 정전 감지 장치
KR19980031050U (ko) * 1996-11-30 1998-08-17 이형도 온도에 따라서 제어되는 충전회로
KR19990001738A (ko) * 1997-06-17 1999-01-15 윤종용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제어장치
KR20000014308A (ko) * 1998-08-19 2000-03-06 윤종용 휴대용 무선 단말기 충전기의 발열 현상을 줄이는 회로
JP2002044873A (ja) * 2000-07-27 2002-02-08 Nec Mobile Energy Kk 温度保護付き電池パック
KR200214925Y1 (ko) * 2000-09-19 2001-02-15 엘지전자주식회사 충전기 내장형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상태 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6368A (ko) 200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2324B1 (en) Detecting legacy powered device in power over ethernet system
JP4718562B2 (ja) 通信ケーブルの抵抗を決定するための機構を有する、通信ケーブルを通じて電力を与えるためのシステム
US20110254619A1 (en) Powered Device Including a Multi-Use Detection Resistor
CN103455067B (zh) 稳流电路与其电子装置
EP3153871A1 (en) Current sensing with compensation for component variations
KR950004679A (ko) 용장 배터리 공급에 대한 전력 조정
JPH0568120A (ja) 給電回路
US4322586A (en) Transformerless line interface circuit
US20050163308A1 (en) Technique for independent ground fault detection of multiple twisted pair telephone lines connected to a common electrical power source
KR100452511B1 (ko) 무선전화기의 충전상태 감지회로
TW202004389A (zh) 用於感測器之大陣列之偏壓產生及分佈
JP2006125902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及び非接触電子装置
KR100608709B1 (ko) 휴대폰의 배터리 보호회로
KR100641165B1 (ko) 휴대단말기의 충전전류 보상장치 및 방법
CN200976543Y (zh) 用于自动检测可变输出直流电源的种类的功率控制电路
CN210779308U (zh) 一种自带温度检测的数据线
KR19990023907A (ko) 전원 공급 어댑터 회로
JP3105697B2 (ja) 定電流発生回路
KR20190018365A (ko) 2선 무극선 통신시스템
JPH07193618A (ja) オフフック検出回路
JP2001304979A (ja) 温度検出回路
KR100190846B1 (ko) 진폭 검출 장치
JPS6188695A (ja) 低抵抗発信走査回路
CN117193445A (zh) 电压调整电路
JP3751822B2 (ja) 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