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925Y1 - 충전기 내장형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상태 검지장치 - Google Patents

충전기 내장형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상태 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925Y1
KR200214925Y1 KR2020000026257U KR20000026257U KR200214925Y1 KR 200214925 Y1 KR200214925 Y1 KR 200214925Y1 KR 2020000026257 U KR2020000026257 U KR 2020000026257U KR 20000026257 U KR20000026257 U KR 20000026257U KR 200214925 Y1 KR200214925 Y1 KR 2002149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oltage
current
charging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2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62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9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9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925Y1/ko

Link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충전기 내장형 휴대폰에 있어서, 특히 배터리에 현재 충전되는 정도를 비율별로 알려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 내장형 배터리 충전상태 검지장치는, 입력되는 직류전원을 스위칭 출력하는 제 1스위칭소자와, 상기 제 1스위칭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 수단과, 상기 제 1스위칭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전압 및 전류를 배터리에 공급하기 위한 제 2 스위칭소자와, 상기 전류감지수단의 양단에 연결되어 감지된 전류를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충전전류 증폭부와, 상기 배터리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배터리전압을 분압하는 배터리전압 분압부와, 상기 충전전류 증폭부 및 배터리전압 분압부로부터 레벨을 각각 감지하여 정전압 또는 정전류 충전이 되도록 제어하고, 감지된 배터리전압과 전류의 기울기에 따라 현재 충전된 상태를 비율별로 검지하는 시스템 컨트롤러와, 상기 시스템 컨트롤러에 의해 배터리의 충전정도를 비율별로 표시해 주는 액정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전압이 낮을 때 전류가 일정하기 때문에 전압을 체크하고 배터리전압이 높을 때 전압이 일정하기 때문에 전류를 체크하여, 그 배터리전압의 높고 낮은 정도에 따라 충전 전압/전류를 검지하여 이를 일정비율로 나누어 사용자에게 배터리 충전정도를 비율별로 알려 줄 수 있도록 함에 있다.

Description

충전기 내장형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상태 검지장치{CHECKING DEVICE FOR BATTERY CHARGING STATE OF MOBILE PHONE HAVING CHARGER}
본 고안은 충전기 내장형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 충전상태를 전압 및 전류 충전정도에 따라 비율별로 표시해 줄 수 있도록 한 충전기 내장형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상태 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폰 배터리의 직류 충전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을 참조하며, 외부로부터 입력된 직류전원을 제공받아 불필요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직류전원입력부(10)와, 소정의 PWM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되어 상기 직류전원입력부(1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원의 전류량과 전압을 조절하거나 전원공급을 차단시키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Q1,Q2)로 구성된 PWM 스위치부(20)와, 상기 PWM 스위치부(20)의 전류 통로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의 인덕턴스(L)와 커패시터(C)와 같은 평활회로를 통해 직류로 정류한 후 출력하는 직류평활부(30)와, 상기 직류평활부(30)의 출력단과 배터리(BT) 사이에 설치되어 제 1저항(R1)으로부터 배터리(BT)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함과 아울러 제 3저항을 통해 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는 배터리전원감시부(40),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도통되어 배터리(BT)가 장착여부와 에러상태 및 만충전상태를 각각 표시하는 복수의 발광소자(LED)(151)를 로 구성된 충전상태표시부(50)와, 시스템 컨트롤러(60)를 구비한다.
여기서, 시스템 컨트롤러(60)는 배터리(BT)로 인가되는 전류를 제 1 저항(R1)의 양단에 의해 검출한 전압을 각각 제공받아 비교한 후 PWM 스위치부(20)의 개폐를 제어하여 배터리로 인가되는 전류량을 일정하게 제어하고, 제 3 저항(R3)을 통해 배터리로 인가되는 전압을 검출하여 PWM 스위치부(20)의 스위칭 주파수를 조절하여 배터리로 인가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제어함과 아울러 배터리(BT)의 장착 상태와 배터리의 충전 상태 및 배터리의 용량을 각각 검출하여 제반 시스템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휴대폰 배터리의 충전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직류전원입력부(10)는 외부 어댑터(Adapter) 또는 자동차 등의 시가잭(Cigar Jack)을 통해 입력된 직류 전원을 다이오드(D)와 커패시터(C) 소자를 통해 노이즈를 필터링하여 제거한다.
상기 직류전원입력부(10)에서 출력된 직류 전원은 PWM 스위치부(20)의 전류통로를 통해 펄스폭변조(PWM 신호)된 후 직류평활부(30)에 의해 PWM 펄스 신호가 직류로 평활되어 충전구의 전원단자를 통해 배터리(BT)로 공급된다.
상기 직류평활부(30)에서 출력된 직류 전원은 이에 직렬로 연결된 제 1 저항(R1)을 통하여 배터리(BT)로 공급된다.
시스템 컨트롤러(60)는 충전 초기에는 제 1 저항(R1)의 양단에 걸린 전압을 제 2 및 제 3 저항(R2, R3)을 통해 검출하여 상호 비교한 후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소정 주파수의 PWM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PWM 스위치부(20)의 스위칭 소자(Q1,Q2)의 스위칭을 제어하여 직류평활부(30)로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시스템 컨트롤러(60)는 배터리(BT)로 인가되는 전압을 제 3 저항(R3)을 통해 검출하여 배터리(BT)가 만충전에 도달할 시점부터는 미리 설정한 PWM 가변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여 PWM 스위치부(20)의 스위칭을 제어하므로 직류평활부(30)로 인가되는 펄스의 전압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시스템 컨트롤러(60)에서 발생하는 PWM 제어신호의 주파수는 제 3 저항(R3)을 통해 검출한 전압을 기초로 하여 결정하며, 상기 제 4 및 제 5 저항(R4, R5)을 통해 검출한 전압은 배터리의 용량을 파악하기 위한 소스원으로 사용된다.
상기 제 3 저항(R3)을 통해 검출한 전력 정보가 배터리가 만충전되었음을 알리는 정보이면, 시스템 컨트롤러(160)는 PWM스위치부(120)의 스위칭소자(Q1)로 '로우'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배터리(BT)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게 된다.
즉, 시스템 컨트롤러(60)는 제 1 저항(R1)의 양단을 통해 검출한 전압이 미리 설정한 기준전압 보다 높을 경우에는 전압제어용 PWM 신호를 출력하고, 제 3 저항(R3)을 통해 검출한 전압이 미리 설정한 전압보다 낮을 경우에는 전류제어용 PWM신호를 출력하며, 제 3 저항(R3)을 통해 검출한 전압을 기초로 하여 PWM 신호의 주파수를 결정하게 된다.
한편, 시스템 컨트롤러(60)는 직류전원입력부(10)에서 출력된 직류전원을 소정의 정전압전원회로(미 도시)를 통하여 일정 전압으로 다운시킨 후 그 전원(VDD)을 공급받아 구동된다.
그리고, 시스템 컨트롤러(60)는 배터리전원감시부(40)의 제 3 저항(R3)과 제 4 및 제 5 저항(R4, R5)을 통해 배터리의 용량과 장착 상태 및 충전상태를 각각 검출하여 제반 시스템(20)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충전상태 표시부(50)의 복수의 발광소자(LED)(51)를 제어한다.
상기의 배터리(BT)는 리듐이온(Li-Ion) 배터리로, 이러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 배터리전압이 낮으면 정전류로 충전을 하다가 배터리전압이 상승을 하면 정전압으로 바꾼다.
그리고 충전이 계속되면 충전 전류는 떨어지며 상기 저항(R1)을 통해 전류는 흐르는 데 그 저항(R1)의 양단 전압을 체크하여 그 전압이 설정된 전압보다 높으면 배터리가 충전 중이고, 같거나 낮으면 충전완료가 된다. 이때, 충전 중일 때에는 충전기에 마련된 충전상태표시부(50)의 발광소자가 황색(Amber)이 되며, 충전완료가 되면 녹색(green)이 된다.
한편, 충전기가 휴대폰에 내장되었을 경우 충전상태를 사용자에게 인식시켜 줄 수 있도록 화면표시부(LCD)에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데, 충전 중에는 'Battery Charging(충전 중)'로 표시하며, 충전 완료일때에는 'Battery completed(충전완료)'로 표시한다.
그러나, 충전기 내장형 또는 외장형 휴대폰에서는 배터리가 충전 중일 때 단지 충전 중이라는 표시나 또는 황색으로만 표시해주기 때문에 배터리가 어느 정도 충전되었는지 사용자가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충전이 완료될 때 까지 기다려야만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배터리전압이 낮을 때 전류가 일정하기 때문에 전압을 체크하고 배터리전압이 높을 때 전압이 일정하기 때문에 전류를 체크하여, 그 체크되는 전압/전류를 일정 등분으로 각각 나누고 그 나눈정도를 비율별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전기 내장형 휴대폰에서 배터리가 충전 중일 때 현재 충전이 진행되는 정도를 LCD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도록 한 충전기 내장형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상태 검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배터리 충전상태 검지장치를 보인 회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충전기 내장형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상태 검지장치를 보인 회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의 전압전류 충전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직류전원입력부 20...PWM 스위치부
30...직류 평활부 40...배터리전원감지부
50...충전상태표시부 60,110...시스템 컨트롤러
BT...배터리 Q101...제 1스위칭소자
101...충전전류 증폭부 Q102...제 2스위칭소자
102...배터리전압 분압부 103...스위치부
104...정전압/정전류 회로 120...LCD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충전기 내장형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상태 검지장치는,
외부 어댑터 및 시가잭으로부터 입력되는 직류전원을 스위칭 출력하기 위한 제 1스위칭소자와, 상기 제 1스위칭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 수단과, 상기 제 1스위칭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전압 및 전류를 배터리에 공급하기 위한 제 2 스위칭소자와, 상기 전류감지수단의 양단에 연결되어 감지된 전류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충전전류 증폭부와, 상기 배터리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배터리전압을 분압하는 배터리전압 분압부와, 상기 충전전류 증폭부 및 배터리전압 분압부로부터 입력되는 레벨을 각각 감지하여 정전압 또는 정전류 충전이 되도록 제어하고, 전압과 전류의 기울기에 따라 현재 충전된 정도를 비율별로 검지하는 시스템 컨트롤러와, 상기 시스템 컨트롤러에 의해 충전 중의 비율별 상태를 각각 표시해 주는 액정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스템 컨트롤러는 배터리전압이 소정이 전압 이하일 때 배터리 충전전압을 감지하여 그 감지된 충전전압을 일정 등분으로 나누고, 배터리전압이 소정의 전압 이상일 때 배터리 충전전류를 감지하여 그 감지된 충전전류를 일정 등분으로 나누어, 전체 충전비율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액정 표시부에는 시스템 컨트롤러에 의해 나누어진 비율을 10% 부터 90% 까지는 해당 퍼센트로 표시해 주고, 100%는 특정 만충전으로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로서, 충전기 내장형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상태 검지장치에 대한 회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배터리의 전압전류 충전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외부 어댑터 및 시가잭으로부터 입력되는 직류전원을 스위칭하여 출력하는 제 1스위칭 소자(Q101)와, 상기 제 1스위칭 소자(Q101)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수단인 저항(R101)과, 상기 저항(R101)에 의해 감지된 전류를 검출하여 소정의 레벨로 증폭한 후 출력하는 충전전류 증폭부(101)와, 상기 저항(R101)으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를 배터리(BT)에 스위칭 출력하는 제 2스위칭 소자(Q102)와, 상기 배터리(BT)에 공급되는 전압을 분압하는 충전전압 분압부(102)와, 상기 제 2스위칭 소자(Q102)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부(103)와, 상기 제 1스위칭 소자(Q101)의 정전압/정전류 출력을 제어하는 정전압/정전류 회로(104)와, 상기 충전전류 증폭부(101) 및 배터리전압 분압부(102)로부터 전체 전류 및 배터리전압을 각각 입력받아 충전정도를 검지하는 시스템 컨트롤러(110)와, 상기 시스템 컨트롤러(110)에 의해 검지되는 충전정도를 기설정된 정보로 표시하는 액정표시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충전전류 증폭부(101)는 상기 저항(R101)의 양단에 연결되어 이로부터 인가되는 전류를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는 연산증폭기(OP1)로 구성되며, 상기 충전전압 분압부(102)는 복수개의 저항(R106,R107)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충전기 내장형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상태 검지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충전기 내장형 휴대폰으로 그 배터리(BT)는 리듐 이온(Li-Ion) 배터리를 사용한다. 이러한 리듐 이온 배터리를 충전할 때 충전회로는 정전압/정전류 회로(104)에 의해 정전압, 정전류로 충전된다.
이러한 정전압/정전류 회로(104)의 구동신호에 의해 제 1스위칭 소자(Q101)는 온되고, 외부 잭 및 아답터(AC/DC Adapter)로부터 공급되는 전원(Vin)을 스위칭출력하고, 그 출력된 전원은 다이오드(D101) 및 저항(R101)을 통해 제 2스위칭 소자(Q102)의 콜렉터에 공급된다.
그러면, 제 2스위칭 소자(Q102)는 스위치부(103)에 의해 온 되어 상기 저항(R10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출력하게 되며, 그 출력된 배터리전압(VBT)은 배터리(BT)에 충전된다.
이때, 스위치부(103)는 상기 제 2스위칭 소자(102)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충전시에는 온시켜 전원이 배터리(BT)에 공급되도록 하고 충전이 완료되면 오프시켜 더 이상 배터리(BT)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시켜 준다.
그리고, 정전압/정전류 회로(104)는 배터리(BT)에 정전압, 정전류로 충전시켜 주기 위해 상기 제 1스위칭 소자(Q101)와 정전압, 정전류 회로로 구성되어, 배터리(BT)의 전압(VBT)에 따라 시스템 컨트롤러(1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제 1스위칭 소자(Q101)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전류를 조절하게 된다. 즉, 배터리전압(VBT)이 낮으면 정전류로 충전을 하고 배터리전압(VBT)이 충전이 되어 상승하면 정전압 충전을 한다.
상기 저항(R101)의 양단에 접속되어 전체 충전전류(IT)를 감지하는 충전전류 증폭부(101)는 그 양단 전압을 검출한 후 이를 소정의 레벨로 증폭한 충전전류(IBT1)를 시스템 컨트롤러(110)의 단자(ADC2)에 출력하고, 배터리전압 분압부(102)는 배터리(BT)의 전압(VBT)을 저항(R106,R107)에 의해 분압한 후 그 분압된 전압(VBT1)을 시스템 컨트롤러(110)의 단자(ADC1)에 입력된다.
이때, 시스템 컨트롤러(110)는 상기 배터리 충전전압(VBT1)을 감지하고 그 감지전압이 소정의 기준전압 이하/이상이 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배터리전압전류 충전 특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충전전압(VBT1)이 낮으면(약 2.105V이하) 충전은 정전류로 충전하고 그 이상(약 2.105V이상)이 되면 정전압 충전을 하게 된다. 정전류로 충전을 할 때는 배터리 충전전압의 기울기가 변화게 되며 정전압으로 충전을 할 때에는 충전전류의 기울기가 변화게 된다.
그러므로, 시스템 컨트롤러(110)는 전압 분압부(102)로부터 분압된 배터리 충전전압(VBT1)을 감지하여 상기 배터리전압(VBT)을 인식한 후, 그 감지전압(VBT1)이 소정의 기준전압 이하/이상이 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소정의 기준전압(약 2.105V) 이하이면 상기 감지된 배터리 충전전압(VBT1)을 일정 등분(약 5등분)으로 나누어 그 나누어진 비율을 퍼센트(%)화하여 각각 표시해 준다. 이러한 예는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배터리전압(VBT) 배터리 전류(IT) LCD 표시
2.016V don't Care 10% Battery Charging
2.051V don't Care 20% Battery Charging
2.069V don't Care 30% Battery Charging
2.085V don't Care 40% Battery Charging
2.105V don't Care 50% Battery Charging
상기 표 1에 나타낸 것 처럼 배터리 충전전압(VBT1)을 체크할 때에는 배터리 전류는 무시하여 그 배터리전압에 의한 충전정도에 따라 이를 비율별로 퍼센트 화하여 액정표시부(LCD)(120)에 충전비율 즉,10%,20%,30%,40%,50% 로 표시해 준다.
그리고, 저항(R101)에는 배터리(BT)에 공급되는 전체 전류가 흐르므로, 그 양단전압을 체크하면 전체 전류가 얼마정도 흐르는지 알 수 있다. 이러한 전체 전류를 검출하기 위해서 충전전류 증폭부(101)는 저항(R102~R105) 및 연산증폭기(OP1)로 구성되어, 저항(R101)의 양단에 연산 증폭기(OP1)의 반전/비반전 단자(-/+)를 연결하여 그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검출하여 소정의 레벨로 증폭한 충전전류(IBT1)를 시스템 컨트롤러(MSM)(110)로 단자(ADC2)로 출력한다.
시스템 컨트롤러(110)는 충전전류 증폭부(101)로부터 입력되는 배터리 전류(IBT1)에 해당하는 전압을 체크하여 그 배터리전압이 소정의 전압(약 2.105V) 이상인가를 판단하여, 소정의 전압 이상이면 이를 일정 등분(예; 5등분)으로 나눠 각각을 임의의 퍼센트(%)화하여 60%부터 100%까지 할당해 준다. 이러한 예는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배터리전압(VBT) 배터리 전류(IT) LCD 표시
don't Care 2.199V 60% Battery Charging
don't Care 1.647V 70% Battery Charging
don't Care 1.209V 80% Battery Charging
don't Care 0.882V 90% Battery Charging
don't Care 0.672V Charging Completed
즉,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충전전류(IT)로부터 감지된 전압이 충전정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감소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충전정도별로 퍼센트로 할당해 주고, 그 할당된 충전비율은 액정 표시부(120)에 60%에서 90%까지 각각 표시되고, 100%에서는 충전완료(Charging Completed)로 표시된다.
시스템 컨트롤러(110)는 전압과 전류 기울기의 변화를 체크함으로써 배터리 충전정도를 알 수가 있으며, 그 충전정도에 따라 전체 충전 비율에서 해당하는 충전 퍼센트를 액정표시부(120)에 표시해 준다.
이와 같이 정전압 상태로 계속 배터리를 충전을 하면 충전전류(IT)를 거의 제로 암페어(0 Ampere)까지 내려가며 배터리전압(VBT)은 정전압 회로의 출력전압과 거의 비슷하게 된다.
이러한 배터리 충전전류를 감지하여 충전이 거의 되면 충전전류가 낮아지게 될 때 설정 값 보다 같거나 낮으면 배터리 충전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부(103)가 제 2스위칭 소자(Q102)를 오프시키면, 배터리 충전은 끝난다.
배터리전압(VBT)이 소정의 전압(4.21V)을 기준으로 그 이하이면 전압(VBT1)을, 그 이상이면 전류(IBT1)를 체크하여 액정표시부에 %로 나타내어 충전중일때 배터리가 어느 정도 충전이 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즉, 충전할 때 배터리전압(VBT1)을 체크하여 전압이 2.105V이하이면 배터리전압을 5등분으로 2.105V 이상이면 충전전류(IBT1)를 체크하여 5등분으로 나눠 각각 10%씩 즉, 전체 10등분 100%로 충전상태를 나타낼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충전상태 검지장치는, 휴대 단말기 사용자에게 배터리가 충전 중일 때 현재 충전된 정도를 검지하여 이를 각 단계별 퍼센트로 나타내어 줌으로써, 사용자가 충전상태를 쉽게 알아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외부 어댑터 및 시가잭으로부터 입력되는 직류전원을 스위칭 출력하기 위한 제 1스위칭소자와, 상기 제 1스위칭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 수단과, 상기 제 1스위칭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전압 및 전류를 배터리에 공급하기 위한 제 2 스위칭소자와, 상기 전류감지수단의 양단에 연결되어 감지된 전류를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충전전류 증폭부와, 상기 배터리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배터리전압을 분압하는 배터리전압 분압부와, 상기 충전전류 증폭부 및 배터리전압 분압부로부터 입력되는 레벨을 각각 감지하여 정전압 또는 정전류 충전이 되도록 제어하고, 감지된 배터리전압과 전류의 기울기에 따라 현재 충전된 상태를 비율별로 검지하는 시스템 컨트롤러와, 상기 시스템 컨트롤러에 의해 배터리의 충전정도를 비율별로 표시해 주는 액정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내장형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상태 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컨트롤러는 배터리전압이 소정이 전압 이하일 때 배터리 충전전압을 감지하여 그 감지된 충전전압을 일정 등분으로 나누고, 배터리전압이 소정의 전압 이상일 때 배터리 충전전류를 감지하여 그 감지된 충전전류를 일정등분으로 나누어, 전체 충전비율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내장형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상태 검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부에는 시스템 컨트롤러에 의해 나누어진 비율을 10% 부터 90% 까지는 해당 퍼센트로 표시해 주고, 100%는 특정 만충전으로 표시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내장형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상태 검지장치.
KR2020000026257U 2000-09-19 2000-09-19 충전기 내장형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상태 검지장치 KR2002149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257U KR200214925Y1 (ko) 2000-09-19 2000-09-19 충전기 내장형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상태 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257U KR200214925Y1 (ko) 2000-09-19 2000-09-19 충전기 내장형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상태 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925Y1 true KR200214925Y1 (ko) 2001-02-15

Family

ID=73088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257U KR200214925Y1 (ko) 2000-09-19 2000-09-19 충전기 내장형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상태 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92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814A (ko) * 2001-10-16 2001-12-07 공성욱 LED(light-emitting diode)표시 핸드폰 밧데리충전기
KR20030039155A (ko) * 2001-11-12 2003-05-1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충전기
KR100452511B1 (ko) * 2002-05-04 2004-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화기의 충전상태 감지회로
KR100879515B1 (ko) * 2006-11-09 2009-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상태 표시방법 및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814A (ko) * 2001-10-16 2001-12-07 공성욱 LED(light-emitting diode)표시 핸드폰 밧데리충전기
KR20030039155A (ko) * 2001-11-12 2003-05-1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충전기
KR100452511B1 (ko) * 2002-05-04 2004-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화기의 충전상태 감지회로
KR100879515B1 (ko) * 2006-11-09 2009-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상태 표시방법 및 장치
US8004241B2 (en) 2006-11-09 2011-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harging-state of battery of portable terminal
USRE45797E1 (en) 2006-11-09 2015-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harging-state of battery of portable terminal
USRE47712E1 (en) 2006-11-09 2019-1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harging-state of battery of portable terminal
USRE49632E1 (en) 2006-11-09 2023-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harging state of battery of portab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8324B1 (en) Operating environment and process position selected charge-pump operating mode in an audio power amplifier integrated circuit
EP1746701B1 (en) Intelligent serial battery charger
JP3540848B2 (ja) 充電制御装置及び電子機器
US4963814A (en) Regulated bifurcated power supply
US8471524B2 (en) Battery charg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thereof
CN110140057B (zh) 电压检测集成电路和包括其的电池管理系统
CN102958245B (zh) 点亮装置、前照灯单元和车辆
EP3071978B1 (en) Battery fuel gauges using fet segment control to increase low current measurement accuracy
WO2007023849A1 (ja) 電圧モニタ装置とそれを用いた蓄電装置
JP4381365B2 (ja) 充電器の電池装着の判定方法
KR200214925Y1 (ko) 충전기 내장형 휴대폰의 배터리 충전상태 검지장치
JP2016025617A (ja) シュミットトリガ回路及び電源監視装置
US6906498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detection of a charging voltage
CN104515902A (zh) 具有高电压警示功能的万用电表
JPH11332111A (ja) バッテリー状態監視回路及びバッテリー装置
CN211741880U (zh) 一种基于电源供电的光纤激光器控制系统
KR102309483B1 (ko) 전원 공급 이상 여부 감지 장치
KR100541741B1 (ko) 충전기능 검사장치
KR100481505B1 (ko) 배터리 충전기능을 갖는 디지털 장치 및 그 충전방법
JP2650505B2 (ja) 蓄電池残存容量計
JP2002247771A (ja) 強電系バッテリの電圧センサ
KR200183703Y1 (ko) 이동단말기용 배터리의 직류 충전장치
KR101142459B1 (ko) 절연파괴 측정회로
CN218629990U (zh) 电容检测电路以及led驱动电路
JP2004157077A (ja) 電池電圧の検出方法と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