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1847B1 - 3차원 측정기용 위치보정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측정기용 위치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1847B1
KR100451847B1 KR10-2002-0041012A KR20020041012A KR100451847B1 KR 100451847 B1 KR100451847 B1 KR 100451847B1 KR 20020041012 A KR20020041012 A KR 20020041012A KR 100451847 B1 KR100451847 B1 KR 100451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measuring device
measured
position correction
dimensional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1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6672A (ko
Inventor
이경덕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1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1847B1/ko
Publication of KR20040006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6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1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18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coordinates of points
    • G01B7/00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coordinates of points using coordinate measuring mach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21/04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coordinates of points
    • G01B21/042Calibration or calibration artifa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ordinates of points
    • G01B5/00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ordinates of points using coordinate measuring mach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2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3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are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측정기용 위치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측정물이 놓인 정반의 상면에 위치보정용 볼이 설치된 3차원 측정기용 위치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3차원 측정기용 위치보정장치{position correction apparatus for x-y-z axial measuring machine}
본 발명은 3차원 측정기용 위치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측정물이 놓인 정반의 상면에 위치보정용 볼이 설치된 3차원 측정기용 위치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3차원 측정기는 피측정물과 접촉을 감지하는 프로브가 장착되어 있어 피측정물의 치수와 기학적인 양을 감지신호로 받은 시점에서 접촉점의 3차원 공간 좌표값(x,y,z)으로 변화하는 작업을 기본 기능으로 하는 측정기이다.
이와 같은 측정기 중 하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3차원 측정기는 크게 지주(11), 일단이 지주(11)에 연결되는 링크(13), 프로브(17), 링크(13)와 프로브(17)를 연결하는 링크(15)로 구성된다. 이러한 측정기는 정반(20)의 주변에 설치된다. 정반(20)은 피측정물(1)이 놓여지는 베이스의 기능을 한다.
전술한 구성을 통해 피측정물의 형상을 측정하는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반(20)이나 피측정물(1)에 프로브(17)를 접촉시키면 3좌표값이 동시에 측정(기준데이터)된다. 이 기준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프로브(17)가 피측정물(1)의 측정 위치에 따라 이동됨에 따라, 그 각각의 위치가 마이크로컴퓨터(미도시) 등에 입력된다. 이 입력된 각 측정데이터는 기준데이터로부터 환산되어 좌표값이 설정되게 된다.
그런데, 종래 3차원 측정기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측정물(1)이 정반(20)을 벗어나 놓여진 경우 또는 프로브(17)의 이동범위에 제한이 있는 경우에는 프로브(17)가 피측정물(1)에 접촉될 수 있도록 링크의 수를 늘리거나 측정기를 옮겨 측정해야 한다. 링크의 수를 늘리는 경우에는 작업이 번거롭고 링크의 길이를환산하는 등 데이터 처리가 복잡해질 수 있다. 또한, 측정기를 옮기는 경우에는 측정기의 위치선정에 따른 측정 정밀도가 상당히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측정 정밀도를 유지한 채 측정기의 위치 선정이 자유로운 구조를 갖는 3차원 측정기용 위치보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측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도 2는 도 1의 위치보정수단을 도시한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피측정물 10 : 3차원 측정기
11 : 지주 13,15 : 링크
17 : 프로브 20 : 정반
21 : 상면 21a : 상면암나사부
23 : 측면 23a : 측면암나사부
30 : 위치보정수단 31 : 제1기준 볼
31' : 제2기준 볼 33 : 수나사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3차원 측정기용 위치보정장치는 주위에 다관절용 3차원 측정기가 배치되며 상면에 피측정물이 놓여지는 정반; 상기 정반의 상면에 천공 설치되는 암나사부; 볼; 상단에 볼이 고정된 채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수나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볼은 상기 3차원 측정기가 상기 피측정물의 다른 부분을 측정하기 위해 이동될 때의 위치를 보정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이 구성을 통하여, 측정 정밀도를 유지한 채 측정기의 위치 선정이 자유롭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측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위치보정수단을 도시한 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3차원 측정기용 위치보정장치는 크게 정반(20), 정반(20) 상면(21)에 설치된 암나사부(21a), 암나사부(21a)에 체결되는 위치보정수단(30)으로 구성되어있다.
정반(20)은 상면(21)에 피측정물(1)이 놓이는 베이스로서, 좌우방향이 x축, 전후방향이 y축, 상하방향이 z축으로 하여 설정되어 있다.
암나사부(21a)는 정반(20)의 상면(21)의 소정 위치에 암나사가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이 암나사부(21a)가 피측정물(1)에 설치될 경우 피측정물의 손상 및 변형, 부착 위치의 제한성 등의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피측정물(1)이 정반(20) 아래로 내려오는 경우에는 위치 보정이 용이하도록 정반(20)의 측면(23)에 암나사부(23a)가 가공 설치될 수 있다.
이 암나사부(21a 또는 23a)에는 위치보정수단(30)이 체결된다. 위치보정수단(3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31,31')과 수나사부(33)로 구성된다. 볼(31)은 본 실시예에서 제1기준 볼로 기준좌표값의 기능하며 볼(31')은 제2기준 볼로 제2기준좌표값의 기능을 하도록 구현되어 있다. 따라서, 측정기(10)의 위치가 이동되더라도 제2기준좌표값이 제1기준좌표값에 대해 보정 환산되어 측정기(10)의 이동에 따른 위치의 보정이 확실하게 된다. 수나사부(33)는 암나사부(21a 또는 23a)에 나사 체결되는데, 이 나사산의 높이에 따라 볼(3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피측정물(1)의 높이(z축)가 높은 경우에는 별도의 위치 보정구 체결용 블록을 설치할 필요 없이 수나사부(33)의 나사산을 조절함으로써 간단히 블록을 대체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프로브(17)로 정반(20)이나 볼(31)에 기준점을 설정한다. 예컨대,볼(31)이 기준점의 좌표인 경우에는 볼(31)의 표면에 임의의 3점을 찍어 볼(31)의 중심을 좌표의 원점(x0,y0,z0)으로 설정한다. 이 원점(x0,y0,z0)을 기준으로 하여, 프로브(17)가 피측정물(1)의 각 지점에 접촉되면서 좌표값이 각각 기록된다.
측정기(10)를 이동하여 피측정물(1)을 측정할 필요가 있을 때, 측정기(10)를 이동하기 전에, 전술한 볼(31)과 마찬가지로 볼(31')의 표면에 임의의 3점을 찍어 볼(31') 중심의 좌표값(x',y',z')을 기록한다.
볼(31')의 좌표값이 설정된 후 측정기(10)를 이동시킨다.
측정기(10)가 이동된 위치에서, 볼(31')의 좌표값(x',y',z')을 원점(x0,y0,z0)으로 세팅한다. 이 세팅된 원점을 기준으로 하여, 나머지 부분의 피측정물(1)의 좌표값을 찍어 기록한다.
이와 같이, 측정기(10)를 옮긴 상태에서도 원점으로 세팅된 볼(31')의 좌표값이 제2기준이 되기 때문에, 제1기준과의 거리를 환산하면 다른 부분에서 측정된 좌표값은 보정되어 정확한 위치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측정기(10)의 링크 수를 늘리지 않고도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측정기용 위치보정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차원 측정기용 위치보정장치에 따르면, 주위에 다관절용 3차원 측정기가 배치되며 상면에 피측정물이 놓여지는 정반; 상기 정반의 상면에 천공 설치되는 암나사부; 볼; 상단에 볼이 고정된 채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수나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볼은 상기 3차원 측정기가 상기 피측정물의 다른 부분을 측정하기 위해 이동될 때의 위치를 보정함으로써, ①정반 주위로 측정기의 위치 선정이 자유로우며 ②암나사부가 정반에 가공되어 피측정물의 파손이나 변형이 발생치 않으며 ③수나사부의 나사산을 조절하여 높이(z축)가 높은 피측정물의 측정할 때의 위치 보정구 체결용 블록을 간단히 대체할 수 있다.

Claims (1)

  1. 주위에 다관절용 3차원 측정기가 배치되며 상면에 피측정물이 놓여지는 정반;
    상기 정반의 상면에 천공 설치되는 암나사부;
    볼;
    상단에 볼이 고정된 채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 체결되는 수나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볼은 상기 3차원 측정기가 상기 피측정물의 다른 부분을 측정하기 위해 이동될 때의 위치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측정기용 위치보정장치.
KR10-2002-0041012A 2002-07-13 2002-07-13 3차원 측정기용 위치보정장치 KR100451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012A KR100451847B1 (ko) 2002-07-13 2002-07-13 3차원 측정기용 위치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1012A KR100451847B1 (ko) 2002-07-13 2002-07-13 3차원 측정기용 위치보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6672A KR20040006672A (ko) 2004-01-24
KR100451847B1 true KR100451847B1 (ko) 2004-10-08

Family

ID=37316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012A KR100451847B1 (ko) 2002-07-13 2002-07-13 3차원 측정기용 위치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18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794Y1 (ko) * 2010-03-19 2011-01-12 주식회사 케이피 힌지 보강구조가 부착된 선박 가구용 하드코어 보강재
KR101959665B1 (ko) 2018-02-19 2019-07-04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위치 보상 알고리즘을 구비한 겐트리 타입(Gentry type)의 볼(Ball) 접촉식 3차원 측정 시스템, 그 작동방법, 그 작동방법이 컴퓨터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4408A (en) * 1987-09-17 1989-03-20 Hitachi Ltd Three-dimensional measuring instrument
US5107599A (en) * 1990-08-28 1992-04-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Universal fixture for coordinate measuring machines
US5402582A (en) * 1993-02-23 1995-04-04 Faro Technologies Inc. Three dimensional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JPH08210837A (ja) * 1995-02-07 1996-08-20 Tokyo Seimitsu Co Ltd 三次元座標測定機の回転角度誤差補正におけるプローブ位置ベクトル算出装置
US5611147A (en) * 1993-02-23 1997-03-18 Faro Technologies, Inc. Three dimensional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KR19990009516U (ko) * 1997-08-22 1999-03-15 정몽규 위치 측정용 보조블록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4408A (en) * 1987-09-17 1989-03-20 Hitachi Ltd Three-dimensional measuring instrument
US5107599A (en) * 1990-08-28 1992-04-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Universal fixture for coordinate measuring machines
US5402582A (en) * 1993-02-23 1995-04-04 Faro Technologies Inc. Three dimensional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US5611147A (en) * 1993-02-23 1997-03-18 Faro Technologies, Inc. Three dimensional coordinate measuring apparatus
JPH08210837A (ja) * 1995-02-07 1996-08-20 Tokyo Seimitsu Co Ltd 三次元座標測定機の回転角度誤差補正におけるプローブ位置ベクトル算出装置
KR19990009516U (ko) * 1997-08-22 1999-03-15 정몽규 위치 측정용 보조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6672A (ko) 2004-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4393B2 (en) Gimbal assembly test system and method
CN102519339B (zh) 回转支承内圈滚道测量杆装置
CN109373871A (zh) 一种用于斜孔倾斜角度及其深度检测的装置
CN103471481A (zh) 外球面直径及轮廓度测量仪
JPH07294244A (ja) テーパねじ測定の方法と配置
CA1336532C (en) Probe motion guiding device, position sensing apparatus and position sensing method
CN202119407U (zh) 一种适于校准齿轮测量中心的双球渐开线样板
KR100451847B1 (ko) 3차원 측정기용 위치보정장치
JP2003194501A (ja) 測定機の較正用の基準ゲージおよび測定機の較正方法
CN113701631A (zh) 视觉测量结合接触式测量的螺纹孔中心定位装置及方法
CN111397557B (zh) 位置度测量装置和位置度测量方法
CN109084932B (zh) 一种调整六维力/力矩传感器标校坐标系的方法和系统
US5012587A (en) Machine for measuring by coordinates
CN208635724U (zh) 一种复合式影像测头组件以及复合式影像坐标测量仪
TWI618918B (zh) 長度量測裝置
CN209470683U (zh) 测量设备
CN201964861U (zh) 数显外径测量仪
CN221099581U (zh) 测量工具及具有其的断路器
US20190390947A1 (en) Measuring apparatus and measuring method
CN112846683A (zh) 零部件集成装配误差测量装置及装配误差调整方法
KR100319685B1 (ko) 웨이퍼 프로빙 방법
CN214951121U (zh) 一种立体视觉测量机构的校验装置
CN205388467U (zh) 三坐标辅助测量工具
CN215984969U (zh) 适用于弹性链系统的张力测量工具
CN116718144A (zh) 用于测头的水平面内预行程测量方法和预行程补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