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1139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1139B1
KR100451139B1 KR10-2002-0029265A KR20020029265A KR100451139B1 KR 100451139 B1 KR100451139 B1 KR 100451139B1 KR 20020029265 A KR20020029265 A KR 20020029265A KR 100451139 B1 KR100451139 B1 KR 100451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guide
rocker
locker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9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1336A (ko
Inventor
이충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9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1139B1/ko
Publication of KR20030091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13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1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11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를 단말기 본체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기 본체의 리어 케이스에 형성된 록커 장착공을 덮고, 측면에 슬라이딩공 및 가이드공이 형성된 록커 가이드와, 슬라이딩공 및 가이드공에 각각 결합되는 슬라이딩축 및 가이드축이 형성되고, 배터리의 고정홈과 푸쉬홈에 각각 끼워지는 고정리브 및 푸쉬리브가 형성된 록커와, 일단이 록커 가이드에 탄성지지되고, 타단이 록커에 탄성 지지된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A battery locker of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단말기 본체에서 용이하게 탈착시키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반복적으로 충전과 방전이 이루어지면서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단말기 본체에 탈착 및 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 및 도 2 는 배터리가 단말기 본체에 결합되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종래의 배터리 록킹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에 도시된 종래 배터리 록킹장치(이하, 제1배터리 록킹장치)는 배터리(1a)하단부의 돌기를 단말기 본체(2a)의 후면 하단부의 홈에 끼워 넣은 후, 회전시켜 배터리의 상단부를 단말기 본체의 후면 중심부에 형성된 록커(3a)에 결합시켜 배터리가 록커에 의해 단말기 본체에 록킹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배터리의 분리는 록커(3a)를 단말기 본체의 표면과 평행하게 밀어 언록킹시킨 다음 배터리(1a)를 손으로 분리한다.
도 2에 도시된 종래 배터리 록킹장치(이하, 제2배터리 록킹장치)는 배터리(1b)를 단말기 본체(2b)의 후면에 형성된 리브의 홈에 맞추어 밀어 넣어 배터리(1b)의 상단부를 단말기 본체의 후면 중심부에 형성된 록커(3b)에 수평방향으로 밀어 넣어지는 힘에 의해 결합시켜 배터리가 록커에 의해 단말기 본체에 록킹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배터리의 분리는 록커(3b)를 단말기 본체(2b)의 표면과 수직하게 눌러 언록킹시킨 다음 배터리를 리브의 홈에서 이탈되도록 잡아 당겨 분리한다.
그러나, 종래 제1 및 제2 배터리 록킹장치는 배터리를 단말기 본체에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기에 불편함이 있어왔다.
제1 배터리 록킹장치는 배터리를 언록킹시켜 단말기 본체에서 분리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단말기 본체의 후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힘을 가해 록커를 밀어 올려야 하므로 록커가 대부분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표면이 매우 매끄럽다.
따라서, 록커를 밀어 올리는 과정에서 마찰력이 적게 작용하여 사용자의 손이 쉽게 미끄러져 배터리를 분리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또한, 록커의 표면에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록커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록커를 성형하는 사출 금형의 구조가 복잡해져 비용상승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록커에 가해지는 힘이 균일하지 않고 한쪽으로 몰릴 경우 록커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록커를 언록킹시킨 다음 배터리를 들어올리기 위해 배터리에 별도의 구조가 추가되어야 한다.
제2 배터리 록킹장치는 단말기 본체 후면에 배터리를 고정하기 위한 슬라이드 홈을 안내하는 리브가 형성되어야 하므로 단말기 본체의 사출 성형시 언더컷(under cut)설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단말기 본체의 사출 성형을 위한 금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배터리를 단말기 본체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단말기 본체에 배터리를 장착 및 탈착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는 단말기 본체의 리어 케이스에 형성된 록커 장착공을 덮고, 측면에 슬라이딩공 및 가이드공이 형성된 록커 가이드와, 슬라이딩공 및 가이드공에 각각 결합되는 슬라이딩축 및 가이드축이 형성되고, 배터리의 고정홈과 푸쉬홈에 각각 끼워져 상기 배터리를 상기 본체에 록킹시킬 때 고정시키는 고정리브와 언록킹시킬 때 상기 배터리를 밀어 상기 본체로 부터 이탈시키는 푸쉬리브가 형성된 록커와, 일단이 록커 가이드에 탄성지지되고, 타단이 록커에 탄성 지지된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과 2 는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4,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 내지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40 : 배터리 2 : 단말기 본체
3,30 : 록커 20 : 록커 가이드
50 : 리턴 스프링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는 단말기 본체에 배터리(40)를 장착 및 탈착하기 위해 단말기 본체의 리어 케이스(11)에 형성된 록커 장착공(12)을 덮고, 측면에 슬라이딩공(21)및 가이드공(22)이 형성된 록커 가이드(20)와, 슬라이딩공 및 가이드공에 각각 결합되는 슬라이딩축(31) 및 가이드축(32)이 형성되고 배터리의 고정홈(41)과 푸쉬홈(42)에 각각 끼워지는고정리브(33)및 푸쉬리브(34)가 형성된 록커(30)와, 일단이 록커 가이드(20)에 탄성지지되고, 타단이 록커(30)에 탄성 지지된 리턴 스프링(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록커 가이드(20)는 단말기 본체의 리어 케이스에 형성된 록커 장착공(12)을 덮도록 고정 볼트(60)로 고정되고, 내면에 리턴 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하기 위한 리브(23)가 돌출 형성된다.
록커(30)는 슬라이딩축(31)이 슬라이딩공(21)에 결합되고, 가이드축(32)이 가이드공(22)에 결합되어 록커 가이드(20)내부에서 움직임이 구속된다.
그리고, 록커의 가이드축(32)은 록커 자체의 슬라이딩 운동과 회전운동을 보조하고, 록커의 슬라이딩축(31)은 록커 자체의 슬라이딩 운동과 회전운동의 중심이 된다.
또한, 록커의 푸쉬리브(34)는 배터리(40)에 형성된 푸쉬홈(42)에 끼워져 록커(30)가 슬라이딩축(31)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하면 이 회전력에 의해 배터리(40)를 밀어 배터리가 이탈되도록 하고, 고정리브(33)는 배터리에 형성된 고정홈(41)에 끼워져 배터리가 장착되면 단말기 본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록커(30)에는 리턴 스프링(50)의 타단이 지지되도록 리브(35)가 돌출 형성된다.
리턴 스프링(50)은 록커(30)가 회전운동 및 슬라이딩 운동하면 록커를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에서 배터리의 록킹 및 언록킹 동작을 도 7 내지 12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9,11 은 배터리의 록킹 및 언록킹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8,10,12 는 배터리의 록킹 및 언록킹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배터리의 록킹은 도 7,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의 리어 케이스(11)에 배터리를 밀착시킨 다음 배터리를 밀어 올린다.
배터리가 밀어 올려지면 록커의 고정 리브(33)및 푸쉬 리브(34)가 배터리의 고정홈(41)및 푸쉬홈(42)에 끼워져 고정되어 배터리(40)가 록킹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배터리의 언록킹은 도 9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사용자가 록커(30)에 내부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록커는 슬라이딩축(31)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을 하게 되고, 록커의 회전은 가이드축(32)이 가이드공(22)을 따라 이동하면서 일정한 궤적을 가지며 이루어진다.
이때, 리턴 스프링(50)은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처럼 록커(30)가 회전을 하게 되면 푸쉬 리브(34)는 배터리(40)를 밀어 이탈되도록 한다.
따라서, 배터리가 단말기 본체에서 들어올려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는 록커의 눌림에 따라 푸쉬 리브가 배터리를 밀어 단말기 본체에서 이탈시킴으로써 원터치로 배터리의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Claims (1)

  1. 단말기 본체에 배터리를 장착 및 탈착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의 리어 케이스에 형성된 록커 장착공을 덮고, 측면에 슬라이딩공 및 가이드공이 형성된 록커 가이드와;
    상기 슬라이딩공 및 가이드공에 각각 결합되는 슬라이딩축 및 가이드축이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의 고정홈과 푸쉬홈에 각각 끼워져 상기 배터리를 상기 본체에 록킹시킬 때 고정시키는 고정리브와 언록킹시킬 때 상기 배터리를 밀어 상기 본체로 부터 이탈시키는 푸쉬리브가 형성된 록커와;
    일단이 상기 록커 가이드에 탄성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록커에 탄성지지된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
KR10-2002-0029265A 2002-05-27 2002-05-27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 KR100451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265A KR100451139B1 (ko) 2002-05-27 2002-05-27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265A KR100451139B1 (ko) 2002-05-27 2002-05-27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336A KR20030091336A (ko) 2003-12-03
KR100451139B1 true KR100451139B1 (ko) 2004-10-02

Family

ID=32384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265A KR100451139B1 (ko) 2002-05-27 2002-05-27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11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510B1 (ko) * 2004-12-27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팩 락킹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580U (ko) * 1997-08-07 1999-03-05 홍재순 핸드폰 밧데리 팩의 락킹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580U (ko) * 1997-08-07 1999-03-05 홍재순 핸드폰 밧데리 팩의 락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336A (ko) 200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9438B1 (ko)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
US7892668B2 (en) Battery lock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US7690233B2 (en) Portable device and mechanical key
US7550226B2 (en) Battery cover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00177468A1 (en) Latch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H06215741A (ja) 充電用電池取り出し装置
US20060019530A1 (en)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JP2001082017A (ja) 南京錠
KR10045113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
US20050130029A1 (en) Battery pack mount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45114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
KR200285666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
US20100188805A1 (en) Cover releasing mechanisms
KR1006519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35965B1 (ko) 토글스프링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KR10045577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
JP2665189B2 (ja) 携帯電話機の電池パック保持着脱装置
CN212074990U (zh) 收纳装置
CN217374767U (zh) 一种电池锁紧装置及电动车
JP2912243B2 (ja) 二次電池ロック構造
KR0138484Y1 (ko) 차량용 거치대의 휴대폰 로킹장치
KR200167110Y1 (ko) 이동전화단말기용 배터리 팩의 착탈구조
KR200338281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결합장치
KR200355865Y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배터리팩 착탈장치
KR10104606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탈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