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0962B1 -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 및 그 호처리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 및 그 호처리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0962B1
KR100450962B1 KR10-2002-0062434A KR20020062434A KR100450962B1 KR 100450962 B1 KR100450962 B1 KR 100450962B1 KR 20020062434 A KR20020062434 A KR 20020062434A KR 100450962 B1 KR100450962 B1 KR 100450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call
internet protocol
lega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2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1442A (ko
Inventor
양두용
홍승철
김하홍
안태홍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30031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1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9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23Media gateways
    • H04L65/1026Media gateways at the ed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33Signalling gateways
    • H04L65/1036Signalling gateways at the ed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43Gateway controllers, e.g. 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MGCP] cont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4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6Call signalling protocols; H.323 and rel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 H04M7/1205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where the types of switching equipement comprises PSTN/ISDN equipment and switching equipment of networks other than PSTN/ISDN, e.g. Internet Protocol networks
    • H04M7/128Details of addressing, directories or routing t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14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34A/D conversion, code compression/expan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89LAN,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IP(Internet Protocol) 단말과 레가시 단말을 하나의 교환시스템에 통합하여 IP 단말의 호를 내선가입자와 같이 처리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은 ID(Identification)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훅크 상태 정보, 디지트 등의 사용자 정보를 발생하여 출력하거나 수신되는 각종 톤 메시지 등의 정보를 사용자가 식별 가능한 상태로 변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상기 IP 망에 접속되어 H.323/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프로토콜 프로시저에 따라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P 단말들이 IP 망에 접속된 환경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상기 IP 망에는, 상기 H.323/MGCP/SIP 프로토콜 프로시저에 근거한 IP 단말 접속 정보 및 호 처리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IP 단말들이 위치하는 IP 종점을 제어하는 IP 드라이버와; 다수의 레가시 단말 및 상기 IP 단말들에 대한 전화번호, 포트번호 및 IP 어드레스 정보 등의 가입자 정보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IP 망에 접속되어 상기 IP 단말들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며 호 처리 정보를 상기 IP 망을 통해 상기 IP 드라이버 및 상기 IP 단말로 전송하는 교환 인터페이스와, 상기 IP 망에 접속되며 상기 H.323/MGCP/SIP 프로토콜 프로시저에 근거한 IP 단말 접속 정보 및 호 처리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IP 단말과 상기 레가시 단말간의 통화채널을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카드와, 상기 IP 단말 및 상기 레가시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발호 정보에 의해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여 착신측 번호를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레가시 단말 혹은 상기 교환 인터페이스와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 및 상기 IP 드라이버를 통해 상기 IP 단말과 호 접속 서비스를 수행하는 호 처리 모듈로 구성되는 IP-PBX(Internet Protocol-Private Branch Exchange)가 접속된다.

Description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 및 그 호처리 제어방법{INTERNET PROTOCOL TELEPHONY EXCHANGE SYSTEM AND CALL PROCES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구내 사설 교환 시스템(Private Branch Exchange system)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Internet protocol telephony exchange system)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인터넷의 급속한 보급과 그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요구로 IP(Internet Protocol) 망(network)이 성능과 서비스 측면에서 획기적으로 발달하고 있고 그에 따른 보다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시장에서 대두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의 예를 들면, IP 망을 이용한 음성신호의 전달이 있다. 이러한 IP 망을 통한 음성신호의 전달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에 의해 지원되며, 이제 데이터의 전송과 함께 IP 망의 큰 역할로 자리 잡고 그에 따른 다양한 음성신호 전달 기능에 대한 요구도 가일층 증가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요구에 따라 범용의 레가시 통신(Legacy Telecommunication)과 VoIP 간의 통합요구는 현재 통신망과의 연동을 위해 더욱더 연구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서, IP 기반의 사설 교환기인 IP-PBX(Internet Protocol-Private Branch Exchange) 및 IP-센트렉스(IP-Centrex) 등이 있다. 따라서 IP 망에서 사용 가능한 전화 단말을 기존의 PSTN(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의 전화 단말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동일한 동작을 하도록 하여야만 다양한 요구사항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범용화되어진 IP-폰의 프로토콜은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에서 권고하고 있는 H.323 혹은 미디어 게이트웨이(Media Gateway)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Gateway Controller)간에 사용되고 있는 미디어 게이트웨이 콘트롤 프로토콜(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 MGCP) 및 데이터·음성·영상을 통합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통신표준안인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가 이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IP 망과 PSTN은 상호 분리되어 있고, 각 망에 접속가능한 단말도 다른 프로토콜 및 특성을 가지고 다르게 처리된다. PSTN에 접속되는 단말은 일반적으로 가입자 단말로서는, 아날로그 전화기, 디지털 전화기, 모뎀(MODEM: Modulator-Demodulator) 등이 있고, 트렁크(trunk) 접속부분의 단말로서는 E1/T1, 일차군 속도 인터페이스(primary rate interface; PRI), 루프(loop) 및 넘버 7시그날링(No.7 signaling) 등이 있다. 그리고, IP 망에 접속할 IP 단말은 H.323 단말, MGCP단말, SIP 단말 등이 있다. IP 단말과 IP 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LAN(Local Area Network)과 게이트키퍼(gate keeper)를 통해 IP 라인(IP line)에 접속되어야 한다.
위와 같은 IP 망 및 PSTN이 상호 연동하여 IP 망의 가입자와 PSTN의 가입자가 상호 통신하기 위해서는 어떤 형태로든지 게이트웨이(gateway)가 있어야 하고, 이러한 게이트웨이를 점유하기 위해서는 망 간에 게이트웨이 점유를 위한 독립적인 시스템 구성이 되어야 한다. 이는 IP 망과 PSTN이 상호 독립적인 번호체계, 단말관리체계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PSTN에 수용된 일반 레가시(legacy) 단말이 또다른 일반 레가시 단말을 호출하는 경우, 피호출 상대방 단말의 위치(자국내, 시외/ 해외, 유/무선)에 따라 미리 설정된 프리픽스(prefix)를 다이얼링(dialing)하여 호를 시도한다. 그러나,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이 IP 단말인 경우에는 해당 레가시 단말이 수용된 교환기에 연결되어 있는 게이트웨이를 점유하는 프리픽스를 반드시 다이얼링하여야 호가 처리되었다.
IP 망에 접속된 IP 단말도 상대방의 위치(자국내 혹은 타 지역)에 따라 미리 설정된 프리픽스를 다이얼링하고, PSTN으로의 호를 시도 시에는 상대측 단말을 제어하는 교환 시스템에 연결된 게이트웨이를 점유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반드시 다이얼링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PSTN의 단말과 IP 망의 단말의 호제어가 상호 독립적인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두개의 시스템의 연동에 있어서 독립적인 기능수행이 될 수밖에 없고, 망간의 통합된 기능 수행 및 단말 관리 체계가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점은 기존 PSTN을 사용하는 지역이나 동일한 건물 내에서 IP 단말의 통합에 상당한 어려움으로 작용을 하게 된다. 즉, IP를 기반으로 하는 PBX를 구현시 PBX에서 IP 단말을 내선가입자처럼 호 처리를 할 수 없는 문제가 야기되어 PBX에서 제공되는 많은 내선기능을 사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IP 단말과 레가시 단말에 동일한 전화번호 체계 및 유지보수 체계를 부여하여 하나의 시스템에 통합하여 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 및 그 호처리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IP 단말과 PBX의 호처리모듈간의 통신에 의해 IP 단말간, IP 단말과 레가시 단말간의 호 서비스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 및 그 호처리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IP 단말 및 레가시 단말을 하나의 시스템에 통합하여 PBX에서 제공하는 동일한 호 서비스 및 기능을 제공하여 다양한 기능을 IP 단말과 레가시 단말에 제공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 및 그 호처리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톨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의 호 제어 흐름도로서, IP 단말(Internet Protocol terminal)들 상호간의 통화로 연결시 제어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톨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의 호 제어 흐름도로서, IP 단말로부터 레가시 단말(Legacy terminal)로 통화로 연결시 제어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톨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의 호 제어 흐름도로서, 레가시 단말로부터 IP 단말로 통화로 연결시 제어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톨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의 호 제어 흐름도로서, IP 단말로부터 IP 트렁크로 통화로 연결시 제어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톨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의 호 제어 흐름도로서, 레가시 단말로부터 IP 트렁크로 통화로 연결시 제어 흐름도이다.
<도면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PSTN, 12: IP 망,
14: IP-PBX, 16: 레가시 단말,
18: IP 단말, 20: 허브,
22: IP 드라이버, 24: 데이터베이스,
26: 게이트웨이 카드, 28: 데이터베이스,
30: 교환 인터페이스, 32: 호처리모듈.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은,
IP 망에 접속되며, ID(Identification)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훅크 상태(hook state) 정보, 디지트(digit) 등의 사용자 정보를 발생하여 출력하거나 수신되는 각종 톤 메시지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사용자가 식별 가능한 상태로 변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H.323/MGCP/SIP 프로토콜 프로시저(procedure)에 따라 VoIP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P 단말들과;
상기 IP 망에 접속되며, 상기 H.323/MGCP/SIP 프로토콜 프로시저에 근거한 IP 단말 접속 정보 및 호 처리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IP 단말들이 위치하는 IP 종점(IP end point)을 제어하는 IP 드라이버와;
다수의 레가시 단말 및 상기 IP 단말들에 대한 전화번호, 포트번호 및 IP 어드레스 정보 등의 가입자 정보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IP 망에 접속되어 상기 IP 단말들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며 호 처리 정보를 상기 IP 망을 통해 상기 IP 드라이버 및 상기 IP 단말로 전송하는 교환 인터페이스와, 상기 IP 망에 접속되며 상기 H.323/MGCP/SIP 프로토콜 프로시저에 근거한 IP 단말 접속 정보 및 호 처리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IP 단말과 상기 레가시 단말간의 통화채널을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카드와, 상기 IP 단말 및 상기 레가시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발호 정보에 의해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여 착신측 번호를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레가시 단말 혹은 상기 교환 인터페이스와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 및 상기 IP 드라이버를 통해 상기 IP 단말과 호 접속 서비스를 수행하는 호 처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IP-PBX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다수의 레가시 단말들 16의 통화로 스위칭을 기본적으로 행하는 IP-PBX 14가 PSTN 10에 국선 트렁크 카드(혹은 보드 회로)(도시하지 않았음)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자세하게 설명되지는 않지만 이러한 국선 트렁크 카드는 E1/T1, PRI(Primary Rate Interface)/BRI(Basic Rate Inteface)/No.7시그날링 등을 인터페이스하는 것으로 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레가시 단말 예를 들면, 아날로그 전화기, 디지털 전화기 등과 같은 전화단말의 착신/발신에 의한 통화로 연결 또한 매우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레가시 단말 16과 IP 단말 18간의 호 접속 서비스, IP 단말 상호간의 호 접속 서비스, 레가시 단말 16 또는 IP 단말 18로부터 IP 트렁크로 호 접속 서비스에 국한하여 설명될 것이다. 상기 IP 트렁크로 호 접속은 게이트웨이를 통한 VoIP 접속을 의미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은 크게 PSTN 10에 접속되어 레가시 단말들 16의 통상적인 호 처리 서비스를 행하는 IP-PBX 14와, IP-PBX 14와 IP 망 12에 접속된 IP 단말들 18과, IP 드라이버(driver) 22를 구비한다. 상기 IP-PBX 14는 다른 종류의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는 게이트웨이 카드 26를 구비한다. 상기 IP-PBX 14의 게이트웨이 카드 26과 IP 드라이버 22 및 IP 단말들 18은 다수의 LAN 포트를 가지며 IP 망 12에 접속되는 허브 20의 LAN 포트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허브 20는 통상적인 스위칭 허브를 사용하며, LAN 포트들에 접속되는 LAN 장치들을 스위칭 접속한다.
상기 IP-PBX 14는 통상의 레가시 단말들 16의 호 처리 서비스 이외에 IP 망 12에 접속된 IP 단말들 18에 대하여도 본 발명에 따라 내선 가입자의 호 처리와 동일하게 실행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며, 이러한 기능에 대하여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기 IP-PBX 14는 게이트웨이 카드 26과,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 28과, 교환 인터페이스 30와, 호처리 모듈 32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28은 자신에게 수용된 레가시 단말들 16의 전화번호, 포트번호들의 정보와, 허브 20을 통해 IP 망 12에 접속된 IP 단말들 18의 전화번호, 포트번호, IP 어드레스 등의 가입자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 26은 IP 망 12와 PSTN 10간의 기본 통화 채널을 형성한다. 상기 교환 인터페이스 30은 허브 20을 통해 접속된 IP 단말들 18로부터 전송되는 발호정보를 수신하거나 IP 단말들 18로 착신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호처리 모듈 32는 레가시 단말들 16과 IP 단말 18들간의 호 서비스를 제어한다. 또한 교환 인터페이스 30과 게이트웨이 카드26은 허브 20을 통하여 LAN 통신을 행할 수 있도록 LAN 포트를 포함한다.
상기 IP 단말들 18은 그 내부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았음) 및 통신 모듈(도시하지 않았음)을 가진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IP-PBX 14로부터 부여받은 전화번호, 포트번호, IP 어드레스 등과 같은 ID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훅크 상태(hook state) 정보, 다이얼링 디지트(digit) 등의 사용자 정보를 발생하여 출력하거나, 다이얼링 톤, 링톤 및 링백톤 등의 각종 톤 메시지, 각종 표시 정보 메시지 혹은 명령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식별 가능하게 각종 톤의 발생하거나 표시장치 등을 구동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는 허브 20을 통한 LAN 라인 LAN-L을 통하여 IP-PBX 14와 송,수신된다. 상기 통신 모듈은 IP 망 12에 접속되어 H.323/MGCP/SIP 프로토콜 프로시저(procedure)에 따라 VoIP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IP 단말들 18은 훅크 오프시, IP-PBX 14로부터 부여받은 ID 식별코드, 예를 들면, 전화번호 및 포트번호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허브 20을 통해 IP-PBX 14내의 교환 인터페이스 30으로 제공한다. 상기 교환 인터페이스 30을 통해 IP-PBX 14와 직접 송수신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들은 ID 식별코드 및 다이얼 온/오프 메시지, 디지트 정보,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정보들이 포함된다.
그리고 허브 20을 통하여 IP-PBX 14 및 IP 단말들 18과 연결된 IP 드라이버 22는 게이트 키퍼(gate keeper)로서,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 24를 가지며, H.323/MGCP/SIP 프로토콜 프로시저에 근거한 IP 단말 접속 정보 및 호 처리 정보에 응답하여 IP 단말들 18이 위치하는 IP 종점을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은, 허브 20을 통해 IP 망 12에 접속된 IP 단말들 18 각각에 레가시 단말 16들에 부여하는 것처럼 전화번호 및 각종 가입자 정보를 부여하여 가입자 정보의 추가/변경/삭제 등이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면, 유지 보수 터미널(도시하지 않았음)을 이용하여 IP 단말들 18의 각각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포트번호 및 IP 어드레스 등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28상에 로딩하여 관리한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은 기존의 두 독립적인 시스템에서 유지 보수하던 방식에서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으로 유지 보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IP 단말 18이던지 레가시 단말 16이던지 동일하게 하나의 시스템내의 단말로 처리된다.
상기 도 1과 같이 구성되는 인터넷 프로토톨 텔레포니 시스템에 있어서 훅크 오프한 단말의 정보 혹은 상대방의 호출정보 검색에 의해 호처리 방향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IP 단말 18중 어느 하나의 IP 단말이 훅크 오프하면, IP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IP-PBX 14로부터 부여받은 전화번호, 포트번호 및 IP 어드레스 등의 ID 식별코드를 교환 인터페이스 30을 통해 IP-PBX 14의 호처리 모듈 32로 전송한다. 이때 호처리 모듈 32는 교환 인터페이스 30을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 예를 들면, 다이얼 톤, 링톤, 링백톤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 데이터, 각종 표시장치 등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통상의 사설교환기의 내선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신호들을 모두 제공한다. 이때, 발신측이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IP 단말인 경우에 상대방의 전화번호에 따라 내부 호 처리 혹은 트렁크 발신 처리를 행하게 된다.
이제 도 2 내지 도 6의 호 제어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기 도 1과 같이 구성되는 인터넷 프로토톨 텔레포니 시스템의 다양한 호처리 동작을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IP-PBX 14에 수용된 레가시 단말들 16 상호간의 호처리는 통상의 교환 시스템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호 처리 동작은 생략한다.
IP 단말로부터 IP 단말로 호처리
IP 단말들 18 상호간의 통화로 연결시 호 제어 절차를 202단계∼262단계로 보인 도 2를 참조하여 도 1의 인터넷 프로토톨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 IP 단말들 18 상호 간의 통화로 연결시 호 처리 동작을 설명한다. IP 단말 18들 중 어느 하나의 IP 단말이 발신 IP 단말로서 훅크 오프하면, 발신 IP 단말은 202단계에서 ID 식별코드, 예를 들면, IP-PBX 14의 내선 번호로 부여받은 전화번호, 포트번호 등을 포함하는 훅크 오프 메시지 HOF를 허브 20을 통해 교환 인터페이스 30으로 전송한다. 이처럼 교환 인터페이스 30로 수신된 훅크 오프 메시지 HOF는 호처리 모듈 32내의 발신 호처리부 CLG로 전달된다. 상기 발신 호처리부 CLG는 아이들 모드 IDLE에 있다가 훅크 오프 메시지 HOF의 수신에 응답하여 어느 IP 단말이 발호를 하였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발신 호처리부 CLG는 훅크 오프 메시지 HOF에 포함된 ID 식별코드(전화번호/포트번호 등의 정보)에 근거하여 발신 IP 단말을 인식한다. 그 후, 발신 호처리부 CLG는 다이얼톤 온 메시지 Dial_ON를 204단계에서 교환 인터페이스 30을 통해 발신 IP 단말로 전송하고 다이얼 모드 DIAL로 천이한다. 이때 발신IP 단말은 수신된 다이얼톤 온 메시지 Dial_ON에 따라 다이얼 톤을 발생시킨다.
이후, 사용자가 발신 IP 단말에 구비된 키패드를 이용하여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 IP 단말, 즉 착신 IP 단말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면, 다이얼링에 따른 디지트 정보 Digit가 206단계에서 발신 IP 단말로부터 호처리 모듈 30내의 발신 호처리부 CLG로 전송된다. 그러면 발신 호처리부 CLG는 208단계에서 다이얼톤 오프 메시지 Dial_OFF를 발신 IP 단말로 전송하고 내선 모드 STN로 천이한다. 이후 발신 IP 단말로부터 나머지의 디지트 정보 Digit가 210단계에서 계속해서 발신 호처리부 CLG로 전송되면 발신 호처리부 CLG는 ARQ(Admission Request) 대기 내선 모드 ARQ_WT_STN로 천이한다. 이후, 발신 호처리부 CLG는 212단계에서 다이얼링 정보(dial infomation), 즉 다이얼된 디지트(dialed digit) 등이 포함된 호 시작 메시지 Call_Start를 발신 IP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호 시작 메시지 Call_Start는 발신 IP 단말에게 IP 드라이버 22로 VOIP 호 시작 메시지인 ARQ를 보내라는 메시지이며, 이러한 호 시작 메시지 Call_Start에 다이얼링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은 리다이얼링, 자동다이얼링 등이 실행될 때 다이얼링 정보를 동일하게 이용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IP-PBX 14내 호처리 모듈 32내의 발신 호처리부 CLG로부터 전송된 호 시작 메시지 Call_Start를 수신한 발신 IP 단말은 착신 IP 단말을 호출하기 위한 ARQ를 214단계에서 IP 드라이버 22로 전송한다.
그러면 IP 드라이버 22는 216단계에서 ARQ의 수신에 응답하는 ARQ 응답메시지 ARQ_rqsted를 교환 인터페이스 30을 통해 IP-PBX 14내의 발신 호처리부 CLG로 전송한다. 그러면 발신 호처리부 CLG는 내선모드 STN로 되어 218단계에서 착신 호처리부 CLD로 내선 점유 요구 메시지 req_szr_stn을 전송하며, 착신 호처리부 CLD는 대기모드 IDLE에 있다가 220단계에서 내선 점유 메시지 szr를 IP 드라이버 22로 전송하며 222단계에서 링온 메시지 Ring_ON을 착신 IP 단말로 전송하고 링모드 RING로 진입한다. 이때, 착신 호처리부 CLD와 착신 IP 단말 간의 메시지 전송은 교환 인터페이스 30을 통하여 수행한다. 또한, 착신 호처리부 CLD로부터 링온 메시지 Ring_ON을 수신한 착신 IP 단말은 내부의 링거를 구동하여 벨을 발생한다. 상기 착신 호처리부 CLD로부터 내선 점유 메시지 szr을 수신한 IP 드라이버 22는 224단계에서 발신 IP 단말로 ARQ에 응답하는 메시지인 ACF(Admission Confirm)를 224단계에서 전송한다. 그러면 발신 IP 단말은 226단계에서 호 진행을 위한 셋업 메시지 Setup을 IP 드라이버 22로 전송한다. 이때, 링모드 RING로 진입한 착신 호처리부 CLD는 228단계에서 내선 점유 요구 메시지 req_szr_stn에 응답하는 내선 점유 응답 메시지 szr_stn_resp를 발신 호처리부 CLG로 전송하며, 이러한 동작에 의해 발신 호처리부 CLG는 링백톤 모드 RBACK로 진입한다.
한편, 발신 IP 단말로부터 셋업 메시지 Setup를 수신한 IP 드라이버 22는 H.323 프로토콜에 따라 230단계∼234단계를 수행하여 착신 IP 단말과 셋업 메시지 Setup, ARQ/ACF, 경보(alert) 메시지 Alert를 송수신하고 착신 IP 단말과 호를 셋업하며, 236단계 및 238단계에서 발신 IP 단말 및 발신 호처리부 CLG로 경보 메시지 Alert 및 착신측 상태 메시지 cld_sts를 각각 전송한다. 상기 착신측 상태 메시지 cld_sts는 착신측이 통화중 또는 아이들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메시지이다. 이때 발신 호처리부 CLG는 착신측 상태 메시지 cld_sts가 아이들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 240단계에서 발신 IP 단말로 링백톤 온 메시지 RBT_ON를 전송한다. 이와 달리 착신측 상태 메시지 cld_sts가 통화중 상태를 나타낸다면 비지톤 온 메시지를 발신 IP 단말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착신 IP 단말이 링신호에 응답하여 훅크 오프하면, 이에 따른 훅크 오프 메시지 HOF가 242단계에서 착신 호처리부 CLD로 전달되며, 연속하여 접속 메시지 Connect가 244단계 및 246단계에서 IP 드라이버 22를 통해 발신 IP 단말로 전달된다. 그러면 착신 호처리부 CLD는 통화 모드(convention mode) CONV로 진입하여 248단계에서 상대방 훅크 오프 메시지 opp_hof를 발신 호처리부 CLG로 전달한다. 그러면 발신 호처리부 CLG는 상대방 훅크 오프 메시지 opp_hof에 의해 통화모드 CONV로 진입한 후 250단계에서 발신 IP 단말로 링백톤 오프 메시지 RBT_OFF를 전송하여 링백톤의 발생을 중지시킨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IP 단말로부터 IP-PBX 14에 수용된 다른 IP 단말로의 호 연결인 경우, 발신 IP 단말의 훅크 오프/다이얼링 등의 사용자 정보는 교환 인터페이스 30을 통해 IP-PBX 14와 연동이 되어 호처리 모듈 32에 수신되어 상대방 번호가 분석된다. 이때 상대방이 IP 단말이므로 착신 IP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교환 인터페이스 30을 통해 제어하여 음성 통화를 위해 IP 드라이버 22를 통해 호를 연결한다. 이때 음성통화는 허브 20를 통해 발신 IP 단말과 착신 IP 단말 간에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IP 단말들 18간에 호가 연결되어 통화중인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IP 단말이 훅크 온하면, 해당 IP 단말로부터 그에 해당하는 사용자 정보즉, 훅크 온 메시지가 발생되어 IP-PBX 14내의 교환 인터페이스 30을 통하여 해당 호를 관장하는 호처리 모듈 32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착신 IP 단말이 훅크 온한 경우라면, 252단계에서 훅크 온 메시지 HON가 착신 IP 단말로부터 호처리 모듈 32의 착신 호처리부 CLD로 전송되고, 254단계에서 IP 드라이버 22로 복구 완료 메시지(release complete message) rls_complete가 전송된다. 그러면 IP 드라이버 22는 복구 완료 메시지 rls_complete의 수신에 응답하여 256단계에서 통화중이었던 발신 IP 단말로 복구 완료 메시지 rls_complete를 H.323 프로토콜 절차에 따라 전송하며, 착신 호처리부 CLD는 258단계에서 착신 IP 단말로 LED(Light Emitting Diode) 오프 메시지 LED_OFF를 전송함과 아울러 260단계에서 상대방 훅크 온 메시지 opp_hon을 발신 호처리부 CLG로 전송하고 아이들 모드 IDLE로 된다. 또한 발신 호처리부 CLG는 상대방 훅크 온 메시지 opp_hon의 수신에 응답하여 262단계에서 발신 IP 단말로 LED 오프 메시지 LED_OFF를 전송하고 아이들 모드 IDLE로 된다.
IP 단말로부터 레가시 단말로 호처리
IP 단말 18로부터 레가시 단말 16으로 통화로 연결시 제어 절차를 302단계∼354단계로 보인 도 3을 참조하여 도 1의 인터넷 프로토톨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 IP 단말 18로부터 레가시 단말 16으로 통화로 연결시 호 처리 동작을 설명한다. IP 단말들 18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IP-PBX 14에 수용된 레가시 단말들 16중 어느 하나와 음성 통화를 하기 위하여 훅크 오프하면, IP-PBX 14의 호처리 모듈 32의 발신 호처리부 CLG와 발신 IP 단말은 상기한 도 2의 202단계 내지216단계와 동일한 도 3의 302단계 내지 316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발신 호처리부 CLG는 314단계에서 발신 IP 단말로 ARQ를 전송하고, 316단계에서 IP 드라이버 22로부터 ARQ 응답 메시지 ARQ_rqsted를 수신하여 ARQ 대기 내선 모드 ARQ_WT_STN으로 진입한다. 이후, 발신 호처리부 CLG는 317단계에서 발신 IP 단말로부터 상태 메시지 State가 수신되면, 게이트웨이 점유 내선 모드 GW_SZR_STN로 진입하여 318단계에서 게이트웨이 채널 점유 요구 메시지 req_szr_gw(STN_IN)를 게이트웨이 제어기로 전송한다. 상기 게이트웨이 채널 점유 요구 메시지 req_szr_gw(STN_IN)는 게이트웨이 채널을 점유하기 위한 메시지이며, 상기 게이트웨이 제어기는 게이트웨이 카드 26내에 위치한 프로세서이다.
그러면 게이트웨이 제어기는 게이트웨이 카드 26에서 아이들 상태의 게이트웨이 채널(혹은 포트)을 점유하고, 320단계에서 게이트웨이 채널 점유 메시지 szr(itm_port)를 IP 드라이버 22로 전송한다. 그러면 IP 드라이버 22는 게이트웨이 채널 점유 메시지 szr(itm_port)의 수신에 응답하여 322단계에서 ACF(Admission Confirm)를 발신 IP 단말로 전송한다. 그러면 발신 IP 단말은 324단계에서 H.323프로토콜에 따라 셋업 메시지 Setup를 IP 드라이버 22로 전송하며, IP 드라이버 22는 이 셋업 메시지 Setup를 326단계에서 게이트웨이 카드 26으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IP 드라이버 22와 게이트웨이 카드 26간은 328단계에서 H.323 프로토콜인 ARQ/ACF를 주고 받으며 호 제어정보를 교환한다. 이후, 게이트웨이 카드 26이 330단계에서 훅크 오프 메시지 HOF를 게이트웨이 제어기로 전송하면, 게이트웨이 제어기는 332단계에서 게이트웨이 채널 점유 요구 메시지req_szr_gw(STN_IN)에 응답하는 게이트웨이 점유 응답 ACK 메시지 szr_gw_resp(ACK)를 발신 호처리부 CLG로 전송하여 게이트웨이 채널이 점유되었음을 통보한다. 이때, 게이트웨이 카드 26는 334단계 및 336단계에서 경보 메시지 Alert를 IP 드라이버 22를 통해 발신 IP 단말로 전송하며, 발신 호처리부 CLG는 338단계에서 착신 호처리부 CLD로 내선 점유 요구 메시지 req_szr_stn을 전송하고 내선모드 STN로 천이한다.
상기 착신 호처리부 CLD는 내선 점유 요구 메시지 req_szr_stn을 분석하고 링모드 RING로 되어 해당 레가시 단말, 즉 착신 레가시 단말로 링신호를 송출한다. 그리고 IP 드라이버 22는 340단계에서 착신측 상태 메시지 cld_sts를 발신 호처리부 CLG로 전송한다. 그러면 발신 호처리부 CLG는 착신측 상태 메시지 cld_sts의 수신에 응답하여 342단계에서 발신 IP 단말로 링백톤 온 메시지 RBT_ON를 전송하여 발신 IP 단말이 링백톤을 발생하도록 한다. 이후, 착신 호처리부 CLD가 내선 점유 응답 메시지 szr_stn_resp를 344단계에서 발신 호처리부 CLG로 전송하면, 발신 호처리부 CLG는 링백톤 모드 RBACK로 진입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게이트웨이 카드 26으로부터 접속 메시지 Connect가 346단계에서 IP 드라이버 22로 전송되면, IP 드라이버 22는 348단계에서 이를 발신 IP 단말로 전송하여 접속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발신 IP 단말과 착신 레가시 단말간의 호 셋업이 완료된 이후, 링이 울리는 착신 레가시 단말이 응답하여 훅크 오프함에 따라 350단계에서 훅크 오프 메시지 HOF가 착신 호처리부 CLD로 수신되면, 착신 호처리부 CLD는 352단계에서 상대방 훅크 오프 메시지 opp_hof를 발신 호처리부 CLG로 전송하고통화 모드 CONV로 진입한다. 그러면 발신 호처리부 CLG는 354단계에서 교환 인터페이스 30을 통해 링백톤 오프 메시지 RBT_OFF를 발신 IP 단말로 전송하여 링백톤의 발생을 중지시키고 통화 모드 CONV로 진입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발신 IP 단말과 착신 레가시 단말간의 통화로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 IP 단말 18로부터 레가시 단말 16로의 호 처리에 있어서 발신 IP 단말의 훅크 오프/다이얼링 등의 사용자 정보는 교환 인터페이스 30을 통해 IP-PBX 14로 제공되어 호처리 모듈 32에서 상대방 번호를 분석하고, 상대방이 레가시 단말 16이므로 자동으로 게이트웨이를 점유하여 레가시 단말 16로 착신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IP 단말 18은 IP-PBX 14의 제어에 의해 접속을 시도하며, 음성 통화는 게이트웨이 카드 26를 거쳐 IP 단말 18과 레가시 단말 16 간에 이루어진다.
레가시 단말로부터 IP 단말로의 호처리
레가시 단말 16로부터 IP 단말 18로 통화로 연결시 제어 절차를 402단계∼450단계로 보인 도 4를 참조하여 도 1의 인터넷 프로토톨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 레가시 단말 16로부터 IP 단말 18로 통화로 연결시 호 처리 동작을 설명한다. IP-PBX 14에 수용된 레가시 단말들 16중 어느 하나의 레가시 단말이 IP 단말들 18중 어느 하나와 통화하기 위하여 훅크 오프하여 다이얼링하면, 402단계에서 훅크 오프 메시지 HOF와 다이얼링에 따른 디지트 정보 Digit가 호처리 모듈 32내의 발신 호처리부 CLG로 수신된다. 이때 발신 레가시 단말이 훅크 오프할 때발신 호처리 모듈 CLG는 레가시 단말을 수용하는 통상의 교환기와 마찬가지로 발신 레가시 단말의 포트번호,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28를 참조하여 인식하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발신 레가시 단말로부터 훅크 오프 메시지 HOF 및 디지트 정보 Digit를 수신한 발신 호처리부 CLG는 내선모드 STN로 진입한 후, 404단계에서 착신 호처리부 CLD로 내선 점유 요구 메시지 req_szr_stn을 전송한다. 그러면 착신 호처리부 CLD는 아이들 모드 IDLE에 있다가 수신된 내선 점유 요구 메시지 req_szr_stn의 내용을 분석하여 착신번호가 레가시 단말 혹은 IP 단말인지를 분석하여 IP 단말인 경우에는 게이트웨이 채널 점유 모드 GW_SZR_RING로 진입한 후, 406단계에서 게이트웨이 제어기로 게이트웨이 채널 점유 요구 메시지 req_szr_gw를 전송한다.
그러면 게이트웨이 제어기는 408단계에서 게이트웨이 카드 26으로 아이들상태의 게이트웨이 채널 점유 메시지 szr(itm_port)를 전송한다. 이때, 게이트웨이 카드 26은 아이들상태의 게이트웨이 채널이 있는 경우 410단계에서 루프 메시지 loop_ok를 게이트웨이 제어기로 전송하며, 게이트웨이 제어기는 착신 호처리부 CLD로부터 수신한 디지트 정보 Digit를 루프 메시지 loop_ok의 수신에 응답하여 412단계에서 게이트웨이 카드 26로 전송한다. 그러면 게이트웨이 카드 26은 수신된 디지트 정보 Digit를 414단계에서 H.323 메시지로 변환하여 IP 드라이버 22로 ARQ를 전송한다.
상기 414단계에서 ARQ를 수신한 IP 드라이버 22는 416단계에서 게이트웨이접속 메시지 gw_conn를 게이트웨이 제어기로 전송하며, 이를 수신한 게이트웨이 제어기는 418단계에서 게이트웨이 채널 점유 응답 메시지 szr_gw_resp를 착신 호처리부 CLD로 전송한다. 그러면 착신 호처리부 CLD는 420단계와 422단계에서 교환 인터페이스 30을 통해 IP 드라이버 22와 착신 IP 단말로 호출정보 szr(Call_Info) 및 링온 메시지 Ring_ON를 각각 전송하다. 그리고 424단계에서 착신 호처리부 CLD는 발신 호처리부 CLG로 내선 점유 요구 메시지 req_szr_stn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내선 점유 요구 응답 메시지 req_szr_stn_resp를 전송하여 링모드 RING로 진입한다. 그러면 발신 호처리부 CLG는 발신 레가시 단말로 링백톤을 공급하도록 제어하여 링백톤 모드 RBACK로 진입한다.
한편, 게이트웨이 카드 26, IP 드라이버 22, 착신 IP 단말은 IP-PBX 14의 동작과 관계없이 H.323 프로토콜 프로시저에 따른 호 절차를 425단계∼438단계에서 수행하여 게이트웨이 카드 26의 게이트웨이 채널과 착신 IP 단말간의 채널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링을 청취한 착신 IP 단말의 사용자가 훅크 오프하면, 착신 IP 단말의 훅크 오프 메시지 HOF가 440단계에서 허브 20, 교환 인터페이스 30을 통해 호처리 모듈 32내의 착신 호처리부 CLD로 전송된다. 그러면 착신 호처리부 CLD는 훅크 오프 메시지 HOF에 응답하여 442단계에서 교환 인터페이스 30을 통해 착신 IP 단말로 링오프 메시지 Ring_OFF를 전송하며, 이를 수신한 착신 IP 단말은 링의 발생을 중지한다. 이때, 착신 IP 단말로부터는 링오프 메시지 Ring_OFF에 응답하여 접속 메시지 Connect가 출력되는데, 이 접속 메시지 Connect는 444단계 및 446단계에서 허브 20 및 LAN 네트워크를 통해 IP 드라이버 22와 게이트웨이 카드26으로 전달된다. 상기 접속 메시지 Connect를 수신한 게이트웨이 카드 26은 448단계에서 폴라리티(poarity) 메시지 Pola를 게이트웨이 제어기로 전송한다. 상기 폴라리티 메시지 Pola는 접속 메시지 Connect를 수신한 경우 IP 드라이버 22에서 호 진행 상태를 알리는 메시지이다.
한편 상기 442단계에서 링 오프 메시지 Ring_OFF를 착신 IP 단말로 전송한 착신 호처리부 CLD는 450단계에서 상대방 훅크 오프 메시지 opp_hof를 발신 호처리부 CLG로 전송하고 통화 모드 CONV로 진입하며, 상대방 훅크 오프 메시지 opp_hof에 따라 발신 호처리부 CLG도 통화 모드 CONV로 진입한다. 이때 발신 호처리부 CLG는 IP-PBX 14 내의 스위치(도시하지 않았음)을 제어하여 발신 레가시 단말과 게이트웨이 카드 26의 포트를 접속시켜 발신 레가시 단말과 착신 IP 단말간에 통화가 이루어지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레가시 단말 16로부터 IP 단말 18로의 호인 경우 레가시 단말 16에 대하여는 기존 레가시 단말이 호 발신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호가 처리되며, 착신 IP 단말은 자동으로 게이트웨이 카드 26의 포트를 점유하고, 착신 IP 단말 내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IP-PBX 14의 제어를 받으며 음성통화를 위한 IP 망 인터페이스는 IP 드라이버 22에 의해 제어된다. 이때 음성 통화는 게이트웨이 카드 26을 거쳐 착신 IP 단말과 발신 레가시 단말 간에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발신 레가시 단말과 착신 IP 단말간의 호가 연결되어 통화중인 상태에서 발신 레가시 단말이 훅크 오프하면, 호처리 모듈 32내의 발신 호처리부 CLG가 착신 호처리부 CLD로 상대방 훅크 온 메시지 opp_hon을 전송한다. 상기 상대방 훅크 온 메시지 opp_hon을 수신한 착신 호처리부 CLD는 교환 인터페이스 30을 통하여 통화중이었던 착신 IP 단말로 복구 요구 메시지 rls_request를 전송한다. 이때 착신 IP 단말은 복구 요구 메시지 rls_request의 입력에 응답하여 IP 드라이버 22로 복구 완료 메시지 rls_complete를 전송한다. 상기 복구 완료 메시지 rls_complete를 수신한 IP 드라이버 22는 게이트웨이 제어기로 H.323 프로토콜 절차에 따른 복구 메시지 rls를 전송하고, 호처리 모듈 32로 복구신호를 전송하여 발신 레가시 단말과 착신 IP 단말간의 호연결을 복구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은 IP-PBX 14의 관리를 받는 IP 단말 18은 물론 레가시 단말 16이 IP 망 12에 접속되어 IP-PBX 14의 관리를 받지 않는 대국 IP 망의 또다른 IP 단말을 직접 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동작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IP 단말로부터 IP 트렁크로 호처리
IP 단말 18로부터 IP 트렁크로 통화로 연결시 제어 절차를 502단계∼568단계로 보인 도 5를 참조하여 도 1의 인터넷 프로토톨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 IP 단말 18로부터 IP 트렁크로 통화로 연결시 호 처리 동작을 설명한다. IP 단말 18들 중 어느 하나의 IP 단말이 발신 IP 단말로서 IP 망 12에 접속된 대국의 또다른 IP 단말을 호출하기 위하여 훅크 오프하면, 502단계에서 해당 발신 IP 단말로부터 ID 식별코드, 예를 들면, IP-PBX 14의 내선 번호로 부여받은 포트번호를 포함하는 훅크 오프 메시지 HOF가 허브 20을 통해 교환 인터페이스 30으로 전송된다. 그러면 교환 인터페이스 30은 수신된 훅크 오프 메시지 HOF를 호처리 모듈 32내의 발신 호처리부 CLG로 제공한다. 그러면 발신 호처리부 CLG는 아이들 모드 IDLE에 있다가 훅크 오프 메시지 HOF의 수신에 응답하여 어느 IP 단말이 발호를 하였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발신 호처리부 CLG는 훅크 오프 메시지 HOF에 포함된 IP 식별코드(전화번호/포트번호 등의 정보)에 근거하여 발신 IP 단말을 인식한다. 그 후, 발신 호처리부 CLG는 504단계에서 발신 IP 단말로 다이얼톤 온 메시지 Dial_ON를 교환 인터페이스 30을 통해 발신 IP 단말로 전송하고 다이얼 모드 DIAL로 천이한다. 그러면 발신 IP 단말은 다이얼톤 온 메시지 Dial_ON에 따라 다이얼 톤을 발생시킨다.
이후, 사용자가 발신 IP 단말에 구비된 키패드를 이용하여 통화하고자 하는 IP 망 12에 접속된 대국의 상대방 IP 단말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면, 506단계에서 발신 IP 단말로부터 다이얼링에 따른 디지트 정보 Digit가 호처리 모듈 30내의 발신 호처리부 CLG로 전송된다. 그러면 발신 호처리부 CLG는 508단계에서 다이얼톤 오프 Dial_OFF 메시지를 발신 IP 단말로 전송한다. 이후 발신 IP 단말로부터 나머지의 디지트 Digit가 510단계에서 계속해서 전송되면 발신 호처리부 CLG는 512단계에서 다이얼링 정보, 즉 다이얼된 디지트(dialed digit) 등이 포함된 호 시작 메시지 Call_start를 발신 IP 단말로 전송하고, ARQ(Admission Request) 대기모드 ARQ_WT로 천이한다. 이때 발신 IP 단말은 514단계에서 상대방 IP 단말의 호출정보가 포함된 ARQ를 IP 드라이버 22로 전송한다.
이후 IP 드라이버 22는 516단계에서 ARQ 수신에 응답하는 ARQ 응답 메시지ARQ_rqsted를 교환 인터페이스 30을 통해 IP-PBX 14내의 발신 호처리부 CLG로 전송한다. 그러면 발신 호처리부 CLG는 ARQ 대기 모드 ARQ_WT에서 ARQ 응답 메시지 ARQ_rqsted를 수신하고, 518단계에서 착신 호처리부 CLD로 IP 트렁크 점유 요구 메시지 req_szr_trkgp를 전송하고 IP 트렁크 점유 모드 TRKGP로 진입한다. 그러면 착신 호처리부 CLD는 가상의 IP 트렁크 점유 메시지 szr(virtual)을 520단계에서 IP 드라이버 22로 전송한 후, 대기모드 WAIT로 되고 522단계에서 IP 트렁크 점유 응답 대기 메시지 szr_trkgp_resp(wait)를 발신 호처리부 CLG로 전송한다. 이때, 가상의 IP 트렁크 점유 메시지 szr(virtual)를 수신한 IP 드라이버 22가 524단계에서 루프 메시지 loop_ok를 착신 호처리부 CLD로 전송하면, 착신 호처리부 CLD는 이에 응답하여 526단계에서 IP 트렁크 점유 응답 ACK 메시지 szr_trkgp_resp(ACK)를 발신 호처리부 CLG로 전송하고 전송모드 SEND로 진입한다. 이때 발신 호처리부 CLG는 IP 트렁크 점유 응답 ACK 메시지 szr_trkgp_resp(ACK)를 수신하고 트렁크 발신모드 TRKOG로 진입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발신 IP 단말로부터 528단계에서 디지트 정보 Digit가 발신 호처리부 CLG로 수신되면, 발신 호처리부 CLG는 530단계에서 수신된 디지트 정보와 함께 디지트 전송 요구 메시지 req_send_digit를 착신 호처리부 CLD로 전송한다. 그러면 착신 호처리부 CLD는 532단계에서 점유된 IP 드라이버 22로 트렁크 디지트 메시지 szr(real)(digit)를 전송하고 착신측 상태 대기모드 WT_CLD_STS로 진입한다. 그러면 IP 드라이버 22는 534단계에서 발신 IP 단말로 ACF를 전송하며, 발신 IP 단말은 536단계에서 셋업 메시지 Setup를 IP 드라이버 22로 전송한다. 상기 IP 드라이버 22는 셋업 메시지 Setup의 수신에 응답하여 IP 망 12으로 셋업 메시지 Setup를 송출하여 해당 IP 어드레스를 가지는 IP 단말, 즉 착신 IP 단말로 그 호출 정보를 전송한다.
이후 해당 착신 IP 단말이 상기 호출에 응답함에 따라 IP 망 12로부터 경보 메시지 Alert가 540단계에서 IP 드라이버 22로 수신되면 IP 드라이버 22는 이를 542단계에서 발신 IP 단말로 전송하며, 546단계에서 착신 호처리부 CLD로 착신측 상태 메시지 cld_sts를 전송한다. 이때 발신 IP 단말은 544단계에서 착신측 상태 메시지 cld_sts를 발신 호처리부 CLG로 전송한다. 그리고 착신 호처리부 CLD는 546단계에서 IP 드라이버 22로부터 제공되는 착신측 상태정보 cld_sts를 수신하며, 발신 호처리부 CLG는 548단계에서 교환 인터페이스 30를 통해 링백톤 온 메시지 RBT_ON를 발신 IP 단말로 전송하여 발신 IP 단말에서 링백톤이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550단계에서 IP 망 12로부터 접속 메시지 Connect가 IP 드라이버 22로 전송되면 IP 드라이버 22는 이를 552단계에서 발신 IP 단말로 전송하여 접속상태를 알린다. 그후, IP 드라이버 22는 호처리 모듈 32로 이러한 상태를 알리기 위하여 554단계에서 폴라리티(polarity) 메시지 Pola를 착신 호처리부 CLD로 전송한다. 그러면 착신 호처리부 CLD는 수신된 폴라리티 메시지 Pola에 따른 상대방 폴라리티 메시지 opp_pola를 556단계에서 발신 호처리부 CLG로 전송한 후 통화모드 CONV로 진입한다. 상기 발신 호처리부 CLG는 착신 호처리부 CLD로부터 전송된 상대방 폴라리티 메시지 opp_pola의 수신에 응답하여 558단계에서 교환 인터페이스 30을 통해 발신 IP 단말로 링백톤 오프 메시지 RBT_OFF를 전송한 후 통화모드 CONV로 진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절차에 따라 발신 IP 단말은 IP 망 12을 통하여 또다른 IP 단말과 음성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호처리 제어만이 IP-PBX14의 호처리 모듈 32의 제어에 의해 실행될 뿐 실제적인 음성 통화는 IP 드라이버 22의 제어에 의해 IP 망 12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통화 상태에서, 560단계에서 IP 망 12을 통해 대국의 착신 IP 단말로부터 통화호 복구 완료 메시지 rls_complete가 IP 드라이버 22로 수신되면, IP 드라이버 22는 호를 복구하기 위하여 발신 IP 단말로 수신된 통화호 복구 완료 메시지 rls_complete를 562단계에서 전송하고, 564단계에서 착신 호처리부 CLD로 훅크 온 메시지 HON를 전송한다. 그러면 착신 호처리부 CLD는 566단계에서 상대방 훅크 온 메시지 opp_hon를 발신 호처리부 CLG로 전송하고 아이들 모드 IDLE로 천이하며, 발신 호처리부 CLG는 568단계에서 교환 인터페이스 30을 통하여 발신 IP 단말로 복구 메시지 rls를 전송하여 IP 단말과 IP 트렁크간의 호 접속을 완전하게 복구하고 아이들 모드 IDLE로 천이한다. 이때 발신 IP 단말은 복구 메시지 rls의 수신에 응답하여 훅크 온상태로 천이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IP-PBX 14에 연결된 IP 단말이 IP 망 12에 연결된 또다른 IP 단말로 호 연결을 하는 경우, 발신 IP 단말의 훅크 오프/다이얼링 등의 사용자 정보는 교환 인터페이스 30을 통해 IP-PBX 14로 제공되어 호처리 모듈 32에서 상대방 번호를 분석하고, 상대방이 IP 단말이므로 IP 망 12의 IP 트렁크를 제어하여 음성 통화를 위해 IP 망 12과 인터페이스를 처리하여 호를 연결시킨다.
레가시 단말로부터 IP 트렁크로 호처리
레가시 단말 16로부터 IP 트렁크로 통화로 연결시 제어 절차를 602단계∼658단계로 보인 도 6을 참조하여 도 1의 인터넷 프로토톨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 레가시 단말 16로부터 IP 트렁크로 통화로 연결시 호 처리 동작을 설명한다. 레가시 단말들 16중 어느 하나의 레가시 단말이 IP 망 12에 연결된 대국의 IP 단말을 호출하기 위하여 훅크 오프한 후 게이트웨이 카드 26의 케이트웨이 채널을 점유하기 위한 프리픽스를 다이얼링하면, 그에 따른 훅크 오프 메시지 HOF와 디지트 정보 Digit가 602단계에서 발신 호처리부 CLG로 전송된다. 그러면 발신 호처리부 CLG는 트렁크 점유 모드 TRKGP로 진입한 후 604단계에서 착신 호처리부 CLD로 IP 트렁크 점유 요구 메시지 req_szr_trkgp를 전송한다. 그러면 착신 호처리부 CLD는 아이들 모드 IDLE로 있다가 IP 트렁크 점유 요구 메시지 req_szr_trkgp의 수신에 응답하여 606단계에서 IP 드라이버 22로 가상 국선 즉, IP 트렁크의 점유를 위한 IP 트렁크 점유 메시지 szr(virtual)를 전송한 후, 608단계에서 IP 점유 응답 대기 메시지 szr_trkgp_resp(wait)를 발신 호처리부 CLG로 전송하고 대기모드 WAIT로 진입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IP 트렁크 점유 메시지 szr(virtual)를 수신한 IP 드라이버 22가 IP 망 12의 가상 IP 트렁크를 점유하여 610단계에서 루프 메시지 loop_ok를 착신 호처리부 CLD로 전송하면, 착신 호처리부 CLD는 612단계에서 IP 점유 응답 ACK 메시지 szr_trkgp_resp(ACK)를 발신 호처리부 CLG로 전송하고 전송모드 SEND로 진입한다. IP 점유 응답 ACK 메시지 szr_trkgp_resp(ACK)를 수신한 발신호처리부 CLG는 트렁크 발신 모드 TRKOG로 진입한다. 이후 발신 레가시 단말로부터 IP 망 12으로 전송하기 위한 디지트 정보 Digit가 614단계에서 발신 호처리부 CLG에 수신되면, 발신 호처리부 CLG는 616단계에서 디지트 전송 요구 메시지 req_send_digit를 착신 호처리부 CLD로 전송한다. 그러면 착신 호처리부 CLD는 디지트 전송 요구 메시지 req_send_digit의 수신에 응답하여 트렁크 게이트웨이 점유 모드 SZR_GW_TRK로 천이하여 618단계에서 게이트웨이 채널 점유 요구 메시지 req_szr_gw를 게이트웨이 제어기로 전송한다.
상기 게이트웨이 제어기는 게이트웨이 채널 점유 요구 메시지 req_szr_gw에 따라 620단계에서 게이트웨이 카드 26으로 게이트웨이 채널 점유 메시지 szr를 전송한다.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 26은 게이트웨이 채널 점유 메시지 szr에 응답하여 게이트웨이 채널을 점유하고 622단계에서 루프 메시지 loop_ok를 게이트웨이 제어기로 전송한다. 상기 루프 메시지 loop_ok에 응답하여 게이트웨이 제어기가 수신된 상대방 IP 단말의 전화번호 혹은 IP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디지트 정보 Digit를 624단계에서 게이트웨이 카드 26으로 전송하면, 게이트웨이 카드 26은 이를 ARQ로 변환하여 626단계에서 IP 드라이버 22로 전송한다.
상기 IP 드라이버 22는 ARQ의 수신에 응답하여 게이트웨이 채널이 접속되었음을 나타내는 게이트웨이 채널 접속 메시지 gw_conn를 628단계에서 게이트웨이 제어기로 전송하며, 게이트웨이 제어기는 630단계에서 게이트웨이 채널 점유 응답 ACK 메시지 szr_gw_resp(ACK)를 착신 호처리부 CLD로 전송한다. 이후 착신 호처리부 CLD는 632단계에서 물리적으로 접속된 IP 라인으로 전송될 다이얼 정보szr(real)(Dial_Info)를 교환 인터페이스 30를 통해 IP 드라이버 22로 전송하고 착신측 상태 대기모드 WT_CLD_STS로 천이한다.
이때 IP 드라이버 22는 634단계에서 게이트웨이 카드 26으로 ACF를 전송한다. 그러면 게이트웨이 카드 26는 636단계에서 IP 드라이버 22로 H.323 프로토콜에 근거한 셋업 메시지 Setup을 전송하며, IP 드라이버 22는 이 셋업 메시지 Setup을 638단계에서 IP 망 12로 전송한다. 상기 셋업 메시지 Setup는 TCP/IP프로토콜에 의해 상대방의 IP 단말로 전송된다. 상대방 IP 단말이 호출에 응답하여 IP 망 12로부터 경보 메시지 Alert가 640단계에서 전송되어 IP 드라이버 22로 수신되면, IP 드라이버 22는 642단계에서 착신 호처리부 CLD로 착신측 상태 메시지 cld_sts를 전송한다. 그러면 착신 호처리부 CLD는 수신된 착신측 상태 메시지 cld_sts에 따른 상대방 상태 메시지 opp_cld_sts를 644단계에서 발신 호처리부 CLG로 전송한 후 폴라리티 대기모드 WT_POLA로 천이한다. 그리고 IP 드라이버 22는 646단계에서 경보 메시지 Alert를 게이트웨이 카드 26으로 전송하며, 게이트웨이 카드 26은 수신된 경보 메시지 Alert를 분석하여 648단계에서 착신측 상태 메시지 cld_sts를 게이트웨이 제어기로 전송한다. 이후 IP 망 12로부터 접속 메시지 Connect가 수신되면, IP 드라이버 22는 652단계 및 656단계에서 폴라리티 메시지 Pola와 접속 메시지 Connect를 착신 호처리부 CLD와 게이트웨이 카드 26으로 각각 전송한다. 이때 게이트웨이 카드 26은 폴라리티 메시지 Pola를 게이트웨이 제어기로 전송하며, 착신 호처리부 CLD는 654단계에서 상대방 폴라리티 메시지 opp_pola를 발신 호처리부 CLG로 전송하고 통화모드 CONV로 진입하며, 발신 호처리부 CLG도 상대방 폴라리티 메시지 opp_pola의 수신에 따라 통화모드 CONV로 진입하여 발신 레가시 단말과 IP 망 12의 착신 IP 단말간의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레가시 단말 16로부터 IP 망 12으로의 호인 경우 레가시 단말 16에 대하여는 기존 레가시 단말이 호 발신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호가 처리되고 IP 드라이버 22가 자동으로 게이트웨이 카드 26의 포트를 점유하여 IP 망 12에 접속하여 호처리를 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IP 단말과 레가시 단말이 하나의 교환기 내의 단말로서 동작하기 때문에 상호간의 호 연결을 시도시 일반적인 내선호, 즉 자국호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IP 단말과 레가시 단말에 동일한 번호 체계를 부여하여 하나의 시스템에 통합하여 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IP 단말과 레가시 단말간의 프리픽스 입력없이 통화가 가능됨으로써 IP 단말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된다. 또한 IP 단말에 기존의 레가시 단말이 갖는 모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어서 사용자는 IP 단말인지 일반 레가시 단말인지 구별할 필요가 없이 IP 망과 PSTN간의 호접속을 보다 자유스럽게 할 수 있다.

Claims (10)

  1. IP(Internet Protocol) 망과, PSTN(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에 접속되어 인터넷 프로토콜 및 교환 호처리 제어에 의해 레가시 단말 및 IP 단말의 호 처리를 서비스하기 위한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IP 망에 접속되며, 사용자 정보를 발생하여 출력하거나 수신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사용자가 식별 가능한 상태로 변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미리 설정된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프로시저에 따라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P 단말들과;
    상기 IP 망에 접속되며, 상기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프로시저에 근거한 IP 단말 접속 정보 및 호 처리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IP 단말들이 위치하는 IP 종점을 제어하는 IP 드라이버와;
    다수의 레가시 단말 및 상기 IP 단말들에 대한 전화번호, 포트번호 및 IP 어드레스 정보 등의 가입자 정보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IP 망에 접속되어 상기 IP 단말들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며 호 처리 정보를 상기 IP 망을 통해 상기 IP 드라이버 및 상기 IP 단말로 전송하는 교환 인터페이스와, 상기 IP 망에 접속되며 상기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프로시저에 근거한 IP 단말 접속 정보 및 호 처리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IP 단말과 상기 레가시 단말간의 통화채널을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카드와, 상기 IP 단말 및 상기 레가시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발호 정보에 의해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여 착신측 번호를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레가시 단말 혹은 상기 교환 인터페이스와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 및 상기 IP 드라이버를 통해 상기 IP 단말과 호 접속 서비스를 수행하는 호 처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IP-PBX(Internet Protocol-Private Branch Exchange)를 구비하여,
    상기 IP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 발생시 상기 호처리 모듈이 상기 IP 단말의 전화번호, 포트번호 등을 분석하여 각종 톤 및 상기 IP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상기 IP 단말로 제공하므로써 상기 IP 단말을 상기 레가시 단말과 동일한 번호체계로 호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전화번호, 포트번호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사용자 정보는 상기 IP 단말의 훅크 오프시에 상기 IP 단말 내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교환 인터페이스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처리 모듈은 상기 IP 단말 혹은 레가시 단말로부터 이기종 단말로 통화 연결 시도에 응답하여 상대방 분석에 따라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의 채널을 자동으로 점유하여 이기종 단말간의 음성 통화로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
  4. IP(Internet Protocol) 망과, PSTN(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에 접속되어 IP 및 교환 호처리 제어에 의해 레가시 단말 및 IP 단말간의 호 처리를 서비스하기 위한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IP 망에 접속되고, 다수의 LAN(Local Area Network) 포트를 가지며, 상기 LAN 포트들에 접속되는 LAN 장치들을 스위칭 접속하는 허브와;
    상기 허브에 접속되며, ID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훅크 상태 정보, 디지트 등의 사용자 정보를 발생하여 출력하거나 수신되는 각종 톤 메시지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사용자가 식별 가능한 상태로 변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미리 설정된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프로시저에 따라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P 단말들과;
    상기 허브에 접속되며, 상기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프로시저에 근거한 IP 단말 접속 정보 및 호 처리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IP 단말들이 위치하는 IP 종점을 제어하는 IP 드라이버와;
    다수의 레가시 단말 및 상기 IP 단말들에 대한 전화번호, 포트번호 및 IP 어드레스 정보 등의 가입자 정보를 가지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허브에 접속되어 상기 IP 단말들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며 호 처리 정보를 상기 허브를 통해 상기 IP 드라이버 및 IP 단말로 전송하는 교환 인터페이스와, 상기 허브에 접속되며 상기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프로시저에 근거한 IP 단말 접속 정보 및 호 처리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IP 단말과 상기 레가시 단말간의 통화채널을 연결하는 게이트웨이 카드와, 상기 IP 단말 및 상기 레가시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발호 정보에 의해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여 착신측 번호를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레가시 단말 혹은 상기 교환 인터페이스와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 및 상기 IP 드라이버를 통해 상기 IP 단말과 호 접속 서비스를 수행하는 호 처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IP-PBX(Internet Protocol-Private Branch Exchange)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전화번호, 포트번호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사용자 정보는 상기 IP 단말의 훅크 오프시에 상기 IP 단말 내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상기 교환 인터페이스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처리 모듈은 상기 IP 단말 혹은 상기 레가시 단말로부터 이기종 단말로 통화 연결 시도에 응답하여 상대방 분석에 따라 상기 게이트웨이 카드의 채널을 점유하여 이기종 단말간의 음성 통화로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
  7. 다수의 LAN(Local Area Network) 포트를 가지고 IP(Internet Protocol) 망에 접속된 허브와; 상기 허브의 LAN 포트에 접속되어 사용자 정보를 발생하여 출력하거나 수신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사용자가 식별 가능한 상태로 변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미리 설정된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프로시저에 따라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P 단말들과; 상기 허브의 LAN 포트에 접속되며 인터넷 프로토콜 종점(end point)을 제어하는 IP 드라이버와; 레가시 단말 및 상기 IP 단말들에 대한 전화번호 및 이에 대응한 단말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허브의 LAN 포트에 각각 접속된 교환 인터페이스 및 게이트웨이 카드를 가지며 상기 교환 인터페이스로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 및 레가시 단말로부터 발생되는 호 접속 정보에 대응하여 호처리 서비스를 행하는 IP-PBX(Internet Protocol-Private Branch Exchange)를 구비한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의 호처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되는 발신 IP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분석하여 전화번호, 포트번호 등을 검출하고, 상기 발신 IP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대방 전화번호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호출정보일 때 응답하여 해당 전화번호의 단말정보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과정에서 해당 전화번호의 단말정보가 IP 단말인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IP 드라이버로 IP 호 제어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발신 IP 단말과 착신 IP 단말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제공하여 링백톤 및 링을 발생시키고, 상기 착신 IP 단말로부터 훅크 오프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 입력시 상기 IP 드라이버의 제어에 의한 IP 망의 통화로를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의 호처리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과정에서 해당 전화번호가 상기 IP 망을 접속하기 위한 프리픽스인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IP 드라이버로 IP 호 접속 제어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발신 IP 단말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제공하여 링백톤을 발생시키고, 상기 IP 드라이버의 IP 호 접속에 따른 IP 망의 통화로를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의 호처리 제어방법.
  9. 다수의 LAN(Local Area Network) 포트를 가지고 IP(Internet Protocol) 망에 접속된 허브와; 상기 허브의 LAN 포트에 접속되어 사용자 정보를 발생하여 출력하거나 수신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사용자가 식별 가능한 상태로 변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미리 설정된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프로시저에 따라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IP 단말들과; 상기 허브의 LAN 포트에 접속되며 인터넷 프로토콜 종점(end point)을 제어하는 IP 드라이버와; 레가시 단말 및 상기 IP 단말들에 대한 전화번호 및 이에 대응한 단말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허브의 LAN 포트에 각각 접속된 교환 인터페이스 및 게이트웨이 카드를 가지며 상기 교환 인터페이스로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 및 레가시 단말로부터 발생되는 호 접속 정보에 대응하여 호처리 서비스를 행하는 IP-PBX(Internet Protocol-Private Branch Exchange)를 구비한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의 호처리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레가시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대방 전화번호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호출정보일 때 응답하여 해당 전화번호의 단말정보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과정에서 해당 전화번호의 단말정보가 IP 단말인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웨이 채널의 점유를 통해 상기 IP 드라이버로 IP 호 제어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레가시 단말로 링백톤을 제공함과 동시에 착신 IP 단말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제공하여 링을 발생시키는 과정과,
    상기 착신 IP 단말로부터 훅크 오프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가 입력시 상기 착신 IP 단말로 제공하는 사용자 정보를 차단하여 상기 게이트웨이 채널을 통해 상기 레가시 단말과 착신 IP 단말간의 통화로를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의 호처리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과정에서 해당 전화번호가 상기 IP 망을 접속하기 위한 프리픽스인 경우에 응답하여 게이트웨이의 채널의 점유를 통해 상기 IP 드라이버로 IP 호 접속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IP 드라이버의 IP 호 접속에 따른 IP 망과 상기 레가시 단말간의 통화로를 게이트웨이의 채널을 통해 통화로를 제공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의 호처리 제어방법.
KR10-2002-0062434A 2001-10-13 2002-10-14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 및 그 호처리제어방법 KR1004509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63192 2001-10-13
KR1020010063192 2001-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442A KR20030031442A (ko) 2003-04-21
KR100450962B1 true KR100450962B1 (ko) 2004-10-13

Family

ID=19715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2434A KR100450962B1 (ko) 2001-10-13 2002-10-14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 및 그 호처리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33472B2 (ko)
KR (1) KR100450962B1 (ko)
CN (1) CN1165137C (ko)
AU (1) AU2002301409B2 (ko)
GB (1) GB238199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100B1 (ko) 2010-12-29 2015-01-23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음성 및 데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964B1 (ko) * 2001-10-13 2004-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시스템의 가입자 그룹 서비스방법
KR100410809B1 (ko) * 2002-01-11 2003-12-18 (주)애니 유저넷 사설인터넷망에서의 에스아이피전화기 통화방법
KR100480722B1 (ko) * 2002-10-07 2005-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링백 톤 발생장치를 구비한 인터넷 폰 및 그의 링백 톤전송 방법
US7480287B2 (en) * 2002-11-19 2009-01-20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mail server
US7852859B2 (en) * 2002-12-31 2010-12-14 Alcatel Lucent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legacy IP-PBX systems to SIP networks
US7450563B2 (en) * 2003-01-06 2008-11-11 At&T Intellectual Property, Ii, L.P. Call setup request confirmation
JP4205445B2 (ja) * 2003-01-24 2009-01-07 株式会社日立コミュニケ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交換装置
US10142023B2 (en) 2003-01-31 2018-11-27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Antenna system and methods for wireless optical network termination
US20040163126A1 (en) * 2003-01-31 2004-08-19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 computer data stream to a video appliance with a network interface device
US8050281B2 (en) * 2003-01-31 2011-11-01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Alert gateway, systems and methods
US8490129B2 (en) * 2003-01-31 2013-07-16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distributing urgent public information
US8713617B2 (en) * 2003-01-31 2014-04-29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elevision signals using a network interface device
US7793003B2 (en) * 2003-01-31 2010-09-07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microservers with a network interface device
US20040150750A1 (en) * 2003-01-31 2004-08-05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visual information
US7921443B2 (en) * 2003-01-31 2011-04-05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video and data services to a customer premises
US7263179B2 (en) * 2003-03-11 2007-08-28 Avaya Technology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person placing a phone call
JP4437013B2 (ja) * 2003-04-14 2010-03-24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Ip−pbxシステム及びip端末制御用プログラム
US7328257B2 (en) * 2003-06-06 2008-02-05 Avaya Technology Corp. System for automatically assigning a telephone number to an existing telephone after detecting a network connection of a portable computer
US7817567B2 (en) * 2003-07-28 2010-10-19 Jds Uniphase Corporation Troubleshooting a specific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telephone call transmitted over a communications network
US8112449B2 (en) * 2003-08-01 2012-02-07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a content object access point
US7990948B2 (en) * 2003-08-15 2011-08-02 Quintence Properties Kg, Llc Serverless and switchless internet protocol telephony system and method
US6956827B2 (en) 2003-08-15 2005-10-18 Popular Telephony, Inc. Distribution of identifiers in serverless networks
US20050041642A1 (en) * 2003-08-18 2005-02-24 Robinson Jeffrey I. Method, apparatus and system providing improved voice routing capabilities
US7257214B2 (en) * 2003-08-22 2007-08-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ow cost migration to a VoIP system
JP4328595B2 (ja) * 2003-10-21 2009-09-09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構内交換機及びそれに用いるマルチプロトコル通信端末制御方法
JP4728569B2 (ja) 2003-10-21 2011-07-20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構内交換機及びそれに用いるpbx付加サービス起動方法
KR100554228B1 (ko) * 2003-10-31 2006-02-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통 호 처리 방법 및 이에 따른 미디어 게이트웨이 장치
DE10354947A1 (de) * 2003-11-25 2005-06-30 Siemens Ag Verfahren zur Übermittlung von Kommunikationsdaten in einem Kommunikationssystem
CN100574255C (zh) * 2004-03-25 2009-12-23 冲电气工业株式会社 VoIP通信系统及利用该系统的拨叫号码信息分析方法
GB2413454B (en) * 2004-04-19 2006-12-27 Intelli Call Ltd Providing information relating to a telephone call
GB2414890A (en) * 2004-06-03 2005-12-07 Mitel Networks Corp Enhanced language support for legacy call control system
CN100440831C (zh) * 2004-06-07 2008-12-03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语音网络中统一管理域内号码资源的方法
US8363637B2 (en) * 2004-06-30 2013-01-29 Movius Interactive Inc. Telephony protocol server and telephony protocol client in a distributed IP architecture telecommunications system
US7668303B2 (en) 2004-08-31 2010-02-23 Aspect Software, Inc. Call tracking using SIP presence mechanism
US7451921B2 (en) 2004-09-01 2008-11-18 Eric Morgan Dowling Methods, smart cards, and systems for providing portable computer, VoIP, and application services
CN101176314A (zh) * 2005-05-13 2008-05-07 奈索希埃有限公司 使呼叫发信与接收成为可能的点对点技术通信方法以及其系统
JP4550705B2 (ja) * 2005-09-22 2010-09-22 株式会社東芝 サーバ装置
CN1941818B (zh) * 2005-09-30 2010-06-02 黄音凯 可将网络电话整合至一般电话的方法及其系统
US8553678B2 (en) * 2005-10-04 2013-10-08 Cisco Technology, Inc. Distributed codec for packet-based communications
US7751536B1 (en) * 2005-10-07 2010-07-06 Avaya Inc. Line appearance reservation for SIP endpoints
US20070086432A1 (en) * 2005-10-19 2007-04-19 Marco Schneider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ed provisioning of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gateways
US7839988B2 (en) 2005-10-19 2010-11-2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nd apparatus for data structure driven authorization and/or routing of outdial communication services
US7924987B2 (en) 2005-10-19 2011-04-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pparatus and data structures for managing distributed communication systems
US8238327B2 (en) 2005-10-19 2012-08-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s for subscriber and enterprise assignments and resource sharing
US20070116234A1 (en) * 2005-10-19 2007-05-24 Marco Schneider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serving access information during call transfers
US20070086433A1 (en) * 2005-10-19 2007-04-19 Cunetto Philip C Methods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shared communication resources to outdial communication services
US7643472B2 (en) * 2005-10-19 2010-01-0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horizing and allocating outdial communication services
JP2007124134A (ja) * 2005-10-26 2007-05-17 Toshiba Corp サーバ装置
CN100413377C (zh) * 2005-11-17 2008-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话机共享无线接入终端的实现方法
US7907718B2 (en) * 2005-11-18 2011-03-15 Cisco Technology, Inc. VoIP call routing
KR100662188B1 (ko) * 2005-12-26 2006-12-27 (주) 엘지텔레콤 관문국 교환기로서 동작하는 소프트 상호접속 게이트웨이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00571299C (zh) * 2006-02-15 2009-12-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实现公共电话交换网仿真业务的方法及系统
KR100738561B1 (ko) * 2006-02-20 2007-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피 사설교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voip 단말연동방법
US7486652B2 (en) * 2006-04-03 2009-02-03 Inventec Appliances Corp. Gateway
KR101231942B1 (ko) * 2006-04-10 2013-02-08 주식회사 케이티 인터넷 단말의 포트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관리 시스템
US20080075064A1 (en) * 2006-08-30 2008-03-27 Microsoft Corporation Device to PC authentication for real time communications
US7912448B2 (en) * 2006-08-31 2011-03-22 Skype Limited Wireless device for voice communication
US8837704B2 (en) * 2006-08-31 2014-09-16 Microsoft Corporation Client controlled dynamic call forwarding
US7860071B2 (en) * 2006-08-31 2010-12-28 Skype Limited Dual-mode device for voice communication
US8472613B1 (en) * 2006-11-03 2013-06-25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Intelligent and automatic calling process
US20080137643A1 (en) * 2006-12-08 2008-06-12 Microsoft Corporation Accessing call control functions from an associated device
CN101068287B (zh) * 2006-12-14 2011-05-1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在网络电话中实现就近接续的方法及系统
CN101690025B (zh) * 2007-08-31 2012-05-30 富士通株式会社 媒体网关装置
KR100895334B1 (ko) * 2007-09-07 2009-05-07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Ip 단말의 호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사설 교환기
WO2009039576A1 (en) * 2007-09-25 2009-04-02 Thebuzz Corp Pty Ltd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KR100952856B1 (ko) * 2007-11-30 2010-04-13 (주)뉴온시스 하이브리드 아이피 사설교환기
JP4364285B1 (ja) * 2008-05-13 2009-11-11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及び異常復旧方法
US20100246566A1 (en) * 2009-03-26 2010-09-30 Grasstell Networks Llc Serverless gateway infrastructure for voice or video
US8169898B2 (en) * 2009-09-28 2012-05-01 Avaya Inc. Modular telephone
KR101313270B1 (ko) * 2010-08-24 2013-09-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업통신 환경에서의 원 넘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JP5093534B2 (ja) * 2010-10-20 2012-12-12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下位主装置及び非ip端末収容方法
JP5970819B2 (ja) * 2012-01-10 2016-08-17 株式会社リコー 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
WO2013165054A1 (ko) * 2012-05-04 2013-11-07 Kim Yong Taek 보조서버를 포함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사설교환기 시스템
JP2014090229A (ja) * 2012-10-29 2014-05-15 Heiwa Techno System Co Ltd Sip電話交換システム
CN103840951B (zh) 2012-11-20 2017-11-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网络终端及其显示方法
CN103297442A (zh) * 2013-06-28 2013-09-11 杭州通宽广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数字中继网关且基于sip协议的sip++协议
JP5729796B1 (ja) 2014-06-30 2015-06-03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ゲートウェイ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CN105554321A (zh) * 2015-12-08 2016-05-04 上海市共进通信技术有限公司 VoIP网络中实现家庭网关快速拨号的系统及方法
TWI644544B (zh) * 2017-12-27 2018-12-11 中華電信股份有限公司 網路電話交換機虛擬化容量擴充系統與方法
CN111970293B (zh) * 2020-08-24 2023-04-07 成都天奥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VoIP地空语音通信的同步比选及跟随技术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940A (ko) * 2000-07-19 2002-01-29 공남수 통신망식별번호를 이용한 인터넷폰 가입자 접속 방법 및이를 기반으로 한 인터넷폰 서비스 시스템
KR20020034942A (ko) * 2000-10-31 2002-05-09 박관우, 정창윤 인터넷을 이용한 사설 교환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65802A (ko) * 2001-02-07 2002-08-14 (주)애니 유저넷 아이피망을 이용한 일반전화기와 인터넷 전화기의 서비스방법 및 이를 위한 인증 메시지 포맷
KR20020084783A (ko) * 2001-05-03 2002-11-11 에이스인텍(주) 인터넷망과 브이오아이피 기능을 이용한 사내전화시스템및 방법
KR20030027466A (ko) * 2001-09-28 2003-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 폰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설교환시스템에서 호 전환장치 및 방법
KR20030031310A (ko) * 2001-10-13 2003-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시스템의 가입자 그룹 서비스방법
KR20030031311A (ko) * 2001-10-13 2003-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시스템의 호처리 메시지 컨버터및 메시지 컨버팅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346500A (en) * 1999-07-14 2001-02-05 Starvo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ing a voice gateway with an ip/pbx telephone system
CA2328008A1 (en) * 1999-12-20 2001-06-20 Nortel Networks Limited Private reuse of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dial plan
US6654456B1 (en) * 2000-03-08 2003-11-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servic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940A (ko) * 2000-07-19 2002-01-29 공남수 통신망식별번호를 이용한 인터넷폰 가입자 접속 방법 및이를 기반으로 한 인터넷폰 서비스 시스템
KR20020034942A (ko) * 2000-10-31 2002-05-09 박관우, 정창윤 인터넷을 이용한 사설 교환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65802A (ko) * 2001-02-07 2002-08-14 (주)애니 유저넷 아이피망을 이용한 일반전화기와 인터넷 전화기의 서비스방법 및 이를 위한 인증 메시지 포맷
KR20020084783A (ko) * 2001-05-03 2002-11-11 에이스인텍(주) 인터넷망과 브이오아이피 기능을 이용한 사내전화시스템및 방법
KR20030027466A (ko) * 2001-09-28 2003-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 폰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설교환시스템에서 호 전환장치 및 방법
KR20030031310A (ko) * 2001-10-13 2003-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시스템의 가입자 그룹 서비스방법
KR20030031311A (ko) * 2001-10-13 2003-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시스템의 호처리 메시지 컨버터및 메시지 컨버팅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100B1 (ko) 2010-12-29 2015-01-23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음성 및 데이터 통합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0223703D0 (en) 2002-11-20
GB2381995B (en) 2003-11-19
CN1412983A (zh) 2003-04-23
KR20030031442A (ko) 2003-04-21
GB2381995A (en) 2003-05-14
CN1165137C (zh) 2004-09-01
AU2002301409B2 (en) 2003-11-06
US7333472B2 (en) 2008-02-19
US20030072330A1 (en) 200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0962B1 (ko)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 및 그 호처리제어방법
KR100876760B1 (ko)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시스템의 호처리 메시지 컨버터및 메시지 컨버팅 방법
KR100450964B1 (ko)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시스템의 가입자 그룹 서비스방법
US6810033B2 (en) Transmission system using packet switched network
RU2232478C2 (ru) Межсетевой интерфейс передачи речи по интернет протоколу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US7016338B2 (en) Methods, system and gateway for accessing features of equipment connected to a PSTN
KR100474912B1 (ko) 듀얼 ip 폰 및 이를 이용한 통화 방법
KR100408678B1 (ko) 사설교환기의 내선가입자회로를 통해 접속되는브이오아이피 게이트웨이 장치
KR100501337B1 (ko) 사설교환기와 연동을 위한 에스아이피 메시지 컨버터시스템 및 방법
WO2005011239A1 (ja) ゲートウェイ装置、内線電話交換システム及び内線電話交換方法
JP2001103155A (ja) 公衆交換網端末機を利用したインターネットホーン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H11341073A (ja) インターネット電話装置
KR100745605B1 (ko) 망 연동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68438A (ko) 웹폰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 호와 전화망 호 간의 외부 호포워딩방법
JP2004253990A (ja) インターネット電話アダプタ装置
JPH02198294A (ja) 加入者インタフェースネットワーク
KR20050082848A (ko) 개인평생번호를 이용한 VoIP 발/착신 통화 서비스 방법
WO2009039576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KR20020025130A (ko) 사설교환기의 하나의 포트를 다중포트로 사용할 수 있게하는 시스템(이하“QPtel Switching System(Q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