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5334B1 - Ip 단말의 호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사설 교환기 - Google Patents

Ip 단말의 호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사설 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334B1
KR100895334B1 KR1020070090921A KR20070090921A KR100895334B1 KR 100895334 B1 KR100895334 B1 KR 100895334B1 KR 1020070090921 A KR1020070090921 A KR 1020070090921A KR 20070090921 A KR20070090921 A KR 20070090921A KR 100895334 B1 KR100895334 B1 KR 100895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ceiving terminal
calling terminal
buffer memory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0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5800A (ko
Inventor
이지희
Original Assignee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0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5334B1/ko
Publication of KR20090025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453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using an address exchange platform which sets up a session between two nodes, e.g. rendezvous servers, session initiation protocols [SIP] registrars or H.323 gatekeep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4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9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in systems involving PBX or KTS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P(Internet Protocol) 단말간의 통화일 경우에 사설교환기 내에 부가된 버퍼 메모리를 경유하여 음성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여 호 처리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사설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IP 단말의 호 처리 방법은, 신호 제어부 (signalling controller)가 발신단말과 수신단말이 IP 단말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발신단말과 수신단말이 모두 IP 단말인 경우 미디어 스트리밍 프로세서(media streaming processor)가 발신단말로부터 전송된 음성 데이터 패킷을 버퍼(buffer)를 거쳐 수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IP 단말의 호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사설 교환기 {Method for Call Processing of Internet Protocol Terminal and Private Branch Exchange Thereof}
본 발명은 사설교환기(Private Branch eXchange, PBX)에 관한 것으로 특히, IP (Internet Protocol) 단말간의 통화시 호 처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망을 기반으로 한 통신 서비스가 활성화되면서 IP-phone이나 Video-phone 같은 IP 단말들을 이용한 통화가 늘어나는 추세이며, 그러한 IP 단말간의 통화를 녹취하는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사설교환기(Private Branch eXchange, PBX), 스위칭 장치, 녹취 장비 등이 필요하다.
도 1은 IP 단말간 통화시 종래의 호 처리 방법의 일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IP 단말들(170, 172)은 스위칭 장비(160, 162)에 연결되며, 스위칭 장비들(160, 162)은 사설교환기(100)에 연결된다. 또, 녹취 장비들(150, 152)은 스위치장비(160, 162)에 연결되어 스위칭 장비를 경유하는 음성 데이터들을 수집함으로써 IP 단말들간의 통화 내용의 녹취를 한다.
일반적으로, 스위치장비(160, 162)는 다수의 포트(port)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포트에 IP 단말이 연결된다. 녹취장비가 통화내용 녹취를 할 수 있도록 미러링(mirroring) 기능을 제공하는 스위치장비는 통상적으로 48개의 포트를 갖고 있으나, 녹취를 위한 미러링 포트와 업로딩 포트(uploading port)를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IP 단말을 연결할 수 있는 포트는 최대 46개가 된다.
녹취 장비(150, 152)는 지원 가능한 회선 수가 정해져 있는데, 지원 가능한 최대 회선 수의 범위 내에서 여러 대의 스위치 장비와 랜 인터페이스 카드(LAN Interface card)가 연결된다. 예를 들어, IP 녹취 장비가 120~200 회선을 수용한다고 하면 3~5개의 스위치와 랜 인터페이스 카드가 필요하며 이 장비들이 모두 IP 녹취 장비에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단말(170)과 수신단말(172)이 동일한 스위치장비(162)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장비(162)가 A 지역에 있는 녹취장비(150)와는 물리적으로 먼 B 지역에 있는 경우에, 상기 발신단말(170)과 수신단말(162) 간의 통화는 A 지역의 스위치장비(160)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통화 녹취를 위해서는 B지역에 녹취장비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를 경우, 녹취장비의 추가적인 설치 및 운영에 따른 비용 증가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IP 단말간 통화시 종래의 호 처리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단말(170)로부터 송신된 음성 데이터가 사설교환기(100)의 미디어 제어부(120)를 거쳐 수신단말(172)로 전송됨에 있어, 이더넷(Ethernet) 인터페이스(122), 디지털 신호처리부(Digital Signal Processing, 124), TDM(Time Division Multiplexer) 인터페이스(126) 등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인코딩(encoding)/디코딩(decoding) 과정을 거치므로 음성 통화 품질의 저하를 가져오고, 신호 처리의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출한 것으로서, 특히, IP 단말들 간의 통화인 경우에 사설교환기 내 미디어 제어부에 부가된 버퍼 메모리를 거쳐 발신단말로부터 전송된 음성 데이터 패킷을 수신단말로 전송해주는 방식으로 호 처리를 함으로써, 다량의 IP 단말간의 통화를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음성 통화 품질의 개선을 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방법에 따라 IP 단말간의 통화에 따른 호 처리를 수행하는 사설교환기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IP 단말간의 호 처리 방법은, 신호 제어부 (signalling controller)가 발신단말과 수신단말이 IP 단말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발신단말과 수신단말이 모두 IP 단말인 경우 미디어 스트리밍 프로세서(media streaming processor)가 발신단말로부터 전송된 음성 데이터 패킷을 버퍼(buffer)를 거쳐 수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사설교환기는, 발신 단말과 수신 단말이 모두 IP 단말인지 여부 및 상기 발신단말과 수신단말의 IP 주소를 파악하는 신호 제어부와, 상기 신호 제어부로부터 전송받은 발신단말과 수신단말의 IP 주소에 근거하여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음성 데이터 패킷을 버퍼링(buffering)하여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미디어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디어 제어부는, 발신단말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 패킷을 임시 저장하는 버퍼 메모리와, 상기 버퍼 메모리에 임시 저장된 음성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으로 수신단말로 전송하는 미디어 스트리밍 프로세서 (Media Streaming Processo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IP 단말간의 호 처리 방법에 의하면, 물리적으로 거리가 있고 서로 다른 백본(backbone) 망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구성에서도 하나의 구역에서 하나의 녹취 장비로 통화 녹취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녹취장비의 추가적인 설치 및 유지에 대한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음성 데이터의 인코딩/디코딩가 같은 신호 처리에 따른 음성 품질 저하를 예방하여 IP 단말 사용자의 통화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원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설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설 교환기(200)는 신호 제어부(210), 미디어 제어부(220), 국선회로부(130)로 구성되며, 상기 미디어 제어부는 미디어 스트리밍 프로세서 (Media Streaming Processor, 222)와 버퍼 메모리(2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신호 제어부(210)는 발신 단말과 수신 단말이 모두 IP 단말인지 여부 및 상기 발신단말과 수신단말의 IP 주소를 파악하는 역할을 한다. 발신단말 사용자가 통화를 위해 훅 오프(hook off)하면 신호 제어부(210)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통화를 위한 호 설정 과정을 수행한다. 호 설정 시, 신호 제어부(210)는 발신단말(170)과 수신단말(172)의 양측 IP 단말에게 원격 정보로 미디어 제어부(220)의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전송해 주며, 미디어 제어부(220)로는 발신단말(170)과 수신단말(172)의 IP 주소, IP 단말이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 장비의 주소와 관련된 정보 등을 전송해준다.
미디어 제어부(220)는 미디어 스트리밍 프로세서(222)와 버퍼 메모리(2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미디어 제어부(220)는 사설교환기(200) 내의 VoIP 보드(Voice over Internet Protocol Board) 상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버퍼 메모리(224)는 발신단말(170)과 수신단말(172)간의 음성 데이터 패킷이 임시로 머무르는 장소 역할을 하며, 미디어 스트리밍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의해 음성 데이터 패킷의 입출력이 이루어진다. 상기 버퍼 메모리(224)는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 모두 사용 가능하며, 플래시(flash) 메모리나 하드디스크 메모리와 같은 특정 메모리로 한정하지 않는다.
미디어 스트리밍 프로세서(222)는 버퍼 메모리(224)로 입출력되는 음성 데이터 패킷의 입출력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데, 발신단말(170)로부터 버퍼 메모리(224)로 입력된 음성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으로 수신단말(172)로 전송해 주거나, 역으로 수신단말(172)로부터 입력된 음성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으로 발신단말(170)로 전송해 줌으로써 발신단말(170)과 수신단말(172)간의 음성 통화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발신단말(170)과 버퍼 메모리(224)간 및 수신단말(172)과 버퍼 메모리(224)간에 각각 통화로가 설정된 것처럼 세션이 설정된다.
미디어 스트리밍 프로세서(222)는 발신단말(170)과 수신단말(172) 간의 음성 데이터 패킷 전송을 위해 사설교환기(200)의 포트 설정 및 초기화를 수행하고, IP 단말의 IP 주소와 포트 정보를 이용하여 통화할 단말간의 통화로를 설정한다.
미디어 스트리밍 프로세서(222)가 음성 데이터 패킷을 발신단말(170)과 수신단말(172)로 전송함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암호루틴을 삽입/부가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국선 회로부(130)는 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연결되어, IP 단말과 IP 단말이 아닌 유선단말과의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호 설정 및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IP 단말간 호 처리 방법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IP 단말을 이용하여 통화를 하기 위해 발신단말(170)의 훅 오프(hook off)를 하고 수신단말(172)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S40).
수신단말(172)의 전화번호 입력이 이루어지면(S40), 수신단말로 통화가 연결되기까지 통화 연결음이 들리는데, 그동안 신호 제어부(210)는 발신단말(170)과 수신단말(172)이 IP 단말인지를 파악하며(S41), 상기 발신단말과 수신단말의 IP 주소도 파악한다.
발신단말(170)과 수신단말(172)간의 통화 세션이 설정되면, 발신단말(170)에서 전송된 음성 데이터 패킷은 스위치장비(160)를 거쳐 미디어 제어부(220) 내의 버퍼 메모리(224)에 임시 저장되고, 미디어 스트리밍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의해 순차적으로 수신단말(172)로 전송된다(S42, S43). 마찬가지로, 수신단말(172)로부터 전송된 음성 데이터 패킷 또한, 버퍼 메모리를 거쳐 발신단말(170)로 전송됨으로써, 발신단말 사용자와 수신단말 사용자간의 실시간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종래에는, IP 단말간의 통화이든 IP 단말과 PSTN을 통한 유선 단말과의 통화이든 관계없이 인코딩/디코딩 과정, TDM(Time Division Multiplexer) 인터페이스, 신호 제어부(110) 내에서의 신호 처리 과정을 모두 거쳐 음성 데이터의 전송이 이 루어졌기 때문에 통화품질 저하 및 IP 단말간의 통화에 있어 불필요한 과정이 수행됐으나, 본원발명에 따르면, IP 단말간의 통화일 경우에는 상술한 불필요 과정 없이 버퍼 메모리(224)를 거쳐 음성 데이터 패킷을 전송해줌으로써 통화품질의 향상 및 호 처리 과정의 신속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장비들(160, 162)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IP 단말들 간의 호가 사설교환기(200) 내의 미디어 제어부(220)를 거치도록 구성되므로, 미디어 제어부(220)를 통과한 음성데이터 패킷을 미러링 할 수 있도록 녹취장비(150)를 연결하면, 물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IP 단말간의 통화도 한 곳에서 모두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원 가능한 회선 수가 많은 녹취 장비를 이용하면 하나의 구역에서 하나의 녹취 장비로 통화 녹취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IP 단말간 호 처리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IP 단말기의 수화기를 들면 훅 오프되어 신호 제어부로 해당 신호가 전송된다(S50). 발신단말(170)의 수화기를 통해 수화음(tone)이 들리고 액정에 전화번호 입력 대기상태를 나타내는 화면 등이 표시된다(S51).
사용자가 수신단말(172)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S52), 신호 제어부(210)의 호 설정에 의해서 수신단말(172)의 벨이 울리거나, LED 가 깜박이거나, 전화 왔다는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등의 동작이 수행된다(S53).
발신단말(170)과 수신단말(172)이 모두 IP 단말인 경우에 미디어 제어부(220) 내의 미디어 스트리밍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의해 음성 데이터 패킷이 버퍼 메모리(224)를 거쳐 발신단말(170)과 수신단말(172)간에 전송되므로, 발신단말(170)은 상기 버퍼 메모리(224)와 세션이 설정된 것처럼 동작하며(S54), 수신단말(172)도 상기 버퍼 메모리(224)와 세션이 설정된 것처럼 동작한다(S55).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에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IP 단말간 통화시 종래의 호 처리 방법의 일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IP 단말간 통화시 종래의 호 처리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원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사설교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IP 단말간 호 처리 방법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IP 단말간 호 처리 방법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Claims (8)

  1. 사설교환기(Private Branch eXchange)를 통한 IP(Internet Protocol) 단말의 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신호 제어부 (signalling controller)가 발신단말과 수신단말이 IP 단말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발신단말과 수신단말이 모두 IP 단말인 경우 미디어 스트리밍 프로세서(media streaming processor)가 발신단말과 버퍼 메모리와 수신단말과 버퍼 메모리의 세션이 설정되어 동작하며, 발신단말로부터 전송된 음성 데이터 패킷을 버퍼(buffer) 메모리를 거쳐 수신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P 단말의 호 처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발신 단말과 수신 단말이 모두 IP 단말인지 여부 및 상기 발신단말과 수신단말의 IP 주소를 파악하는 신호 제어부; 와
    상기 신호 제어부로부터 발신단말과 수신단말의 IP 주소를 전송받아, 전송받은 IP 주소에 근거하여 발신단말과 버퍼 메모리, 수신단말과 버퍼 메모리의 세션을 설정하며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음성 데이터 패킷을 버퍼링(buffering)하여 수신 단말로 전송하는 미디어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설 교환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제어부는,
    발신단말로부터 수신한 음성 데이터 패킷을 임시 저장하는 버퍼 메모리;와
    상기 버퍼 메모리에 임시 저장된 음성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으로 수신단말로 전송하는 미디어 스트리밍 프로세서 (Media Streaming Processor)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교환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발신단말의 호 설정 요청시, 발신단말과 수신단말로 상기 미디어 제어 부의 IP 주소와 포트 정보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교환기.
  7. 삭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스트리밍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단말로부터 버퍼 메모리로 전송된 음성 데이터 패킷을 순차적으로 발신단말로 전송하는 기능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교환기.
KR1020070090921A 2007-09-07 2007-09-07 Ip 단말의 호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사설 교환기 KR100895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921A KR100895334B1 (ko) 2007-09-07 2007-09-07 Ip 단말의 호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사설 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0921A KR100895334B1 (ko) 2007-09-07 2007-09-07 Ip 단말의 호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사설 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800A KR20090025800A (ko) 2009-03-11
KR100895334B1 true KR100895334B1 (ko) 2009-05-07

Family

ID=40694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0921A KR100895334B1 (ko) 2007-09-07 2007-09-07 Ip 단말의 호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사설 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53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3922A (ko) * 2000-10-26 2002-08-0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인터넷 전화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 및통화 장치 어댑터
KR20030031442A (ko) * 2001-10-13 2003-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 및 그 호처리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3922A (ko) * 2000-10-26 2002-08-0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인터넷 전화 네트워크 시스템 및 네트워크 액세스 방법 및통화 장치 어댑터
KR20030031442A (ko) * 2001-10-13 2003-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포니 교환 시스템 및 그 호처리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800A (ko) 200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3196B1 (ko) 통신 단말기, 그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US5742596A (en) Network based distributed PBX system
US8442033B2 (en) Distributed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recording
US20110292928A1 (en) Method, modem and server for bridging telephone calls into internet calls
KR100480722B1 (ko) 링백 톤 발생장치를 구비한 인터넷 폰 및 그의 링백 톤전송 방법
RU2003102504A (ru)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терминала,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в двух режимах связи
MX2008010573A (es) Tecnicas para facilitar llamadas de emergencia.
JP3680772B2 (ja) 音声コーデック指定方式
US8553571B2 (en) Auto reply and loop-back method for the remote measurement of the quality of an internet phone
US7804815B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telecommunication
EP2074750B1 (en) Embedded media terminal adapter (emta) endpoint redirect mode
US7289618B2 (en) Method for performing external call forwarding between internet and telephone network in web-phone system
EP1889257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an electronic communication and extracting constituent audio data therefrom
KR101051723B1 (ko) 기존 내선전화에 발신 가능한 인터넷 내선전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980139A (zh) 服务器装置和电话终端
JP2011091661A (ja) 電話装置および電話方法
KR100895334B1 (ko) Ip 단말의 호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사설 교환기
KR100602643B1 (ko) 브이 오 아이 피 단말의 호 백업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US20080181388A1 (en) Telephone exchange system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use in the system
Cisco VoIP Commands
US20080008296A1 (en) Data Capture in a Distributed Network
US99065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directional emulation of telephonic device communication
JP2008219485A (ja) 通話不可理由の案内方法および通話システム
JP2000261553A (ja) ボタン電話装置とインターネット通信システム
KR20000030120A (ko) 다채널 훅 스위치가 장착된 인터넷전화장치 및 인터넷전화통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