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553B1 - 반사판, 그 반사판을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그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반사판, 그 반사판을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그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553B1
KR100448553B1 KR10-2002-0013160A KR20020013160A KR100448553B1 KR 100448553 B1 KR100448553 B1 KR 100448553B1 KR 20020013160 A KR20020013160 A KR 20020013160A KR 100448553 B1 KR100448553 B1 KR 100448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on
light
center
area
emiss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3270A (ko
Inventor
후나모토아키히로
아오야마시게루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3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3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5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 윗쪽측(또는 경사 아래쪽측)의 유효 시야 영역에 반사광의 출사영역을 형성할 수 있는 반사판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면을 구비한 복수의 단위 반사영역(13)을 가지며, 해당 복수의 단위 반사영역으로부터 반사광이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출사 넓이가 각각 윗쪽의 소정 위치에서 교차하여 공통의 출사영역(14)을 형성되는 반사판(1)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에 대하여 연직 방향으로부터 입사된 광이 상기 복수의 단위 반사영역에 의해 각각 개략 상기 반사판의 연직 윗쪽 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출사영역 중심 방향을 향하여 반사되고 해당 반사된 각각의 광의 강도 중심이 상기 출사영역 중심(12)에 집광되도록 상기 단위 반사영역을 배치하였다.

Description

반사판, 그 반사판을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그 액정 표시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REFLECTIVE PLATE, LCD USING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IS LCD}
본 발명은 반사형의 표시장치에 이용되는 반사판과, 그 반사판을 갖는 액정 표시장치, 그 액정 표시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근년에 있어서는, 퍼스널컴퓨터(PC), 텔레비젼, 워드프로세서, 비디오 등에 액정 표시장치의 응용이 진전되고 있다. 그 한편에서는 이러한 전자기기에 대하여 한층 더 고기능화와 더불어 소형화, 전력 절약화, 저코스트화 등을 위해 백라이트를 이용하지 않고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시켜 액정 화상을 표시하는 반사형 액정 표시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이러한 반사형 액정 표시장치에서는, 백라이트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입사광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도 1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형 액정 표시장치에 이용되는 반사막(4)은 액정층(38)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입사된 주위광을 반사시키는데, 주위광의 일부는 윗측 기판(2)의 표면에서 반사되고 나머지의 주위광은 윗측 기판(2)과 액정층(38)을 통과하여 반사막(4)에서 반사되기 때문에, 윗측 기판(2)의 표면에서의 반사광과 반사막(4)에 의한 반사광의 반사 방향이 같으면, 광원이 액정 표시장치의 화상에 중복 인식되어, 화상을 보기 어렵게 되어 시인성(視認性)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때문에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막(4)의 표면에 다수의 요철(3)로 이루어지는 패턴을 배열해 두고, 도 1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요철(3)에 의해 입사광을 산란 반사시키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요철(3)에 의해 반사막(4)에 입사된 광을 산란시키도록 하면, 그 산란광 중에서 윗측 기판(2)에서 정반사된 광과 같은 방향으로 향하지 않는 광을 이용하여 액정 화면을 시인(視認)할 수 있어서, 윗측 기판(2)에서의 정반사광과는 다른 방향에서 액정 화면을 시인하는 것이 가능하여 시인성이 양호하게 된다.
그리고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3a) 표면의 경사 각도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반사각(α)을 조정하여, 윗측 기판(2)의 표면에서 정반사된 광과 같은 방향으로 향하지 않는 광을 시인 위치로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요철(3)의 표면을 같은 경사각으로 형성하여, 반사막(4)의 어떤 위치에서도 요철 형상이 같으면, 액정 화면의 시인을 위해 이용하지 않는 방향까지도 입사광을 반사시키는 결과가 되어, 쓸데없는 방향까지 광을 반사하여 광의 이용율이 나빠진다.
즉,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철(3)을 미소 면적에 취해 반사막(4)에 수직으로 입사된 광이 각도(α) 내로 퍼진다고 하면, 입사광이 반사막(4)에 수직으로 입사된 경우, 반사막(4)에서 반사되는 광은, 양측에 존재하는 반사막(4)으로부터 반사광이 전혀 닿지 않는 영역(I, I)을 제외한 영역(Ⅱ, Ⅱ), (Ⅲ, Ⅲ) 및 영역(Ⅳ)으로 반사된다.
이 영역중에서 영역(Ⅱ, Ⅱ)은, 서로 반사막(4)의 일부(αL 또는 αR)로부터의 반사광만 닿는 영역이며, 또한 영역(Ⅳ)은 반사막(4) 전체로부터 반사광이 닿지만 윗측 기판(2)에 의한 정반사 때문에 액정 화면의 콘트라스트가 나빠져서 화상의 인식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영역(Ⅲ, Ⅲ)은 반사판(1)의 좌측의 αL과 우측의 αR부터 반사광이 도달하며 윗측 기판(2)의 정반사를 받지 않기 때문에 액정 화면의 화상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영역(Ⅲ, Ⅲ)을 액정 화면을 보는 유효 시야 영역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유효 시야 영역(Ⅲ, Ⅲ)은 영역(Ⅳ)를 중앙으로 하여 도넛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 유효 시야 영역을 휴대전화에 이용하는 경우를 고려하면, 반사형 액정 화면에서는 윗측 기판에 수직으로 입사되는 광원이 있는 경우는, 액정 화면을 바로 위에서 볼 수 없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경사로하여 화면을 보게 된다. 이 때에는, 좌우 방향에서 보는 것은 타인에 의한 시인을 용이하게 행하게 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 윗쪽(또는 경사 아래쪽)으로부터 화면을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 경사 윗쪽(또는 경사 아래쪽)에 출사영역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유효 시야 영역(Ⅲ, Ⅲ)의 반사광이 모여지도록 반사판의 반사면에 지향성을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종래부터 반사판의 반사면을 경사시켜 반사광에 지향성을 갖게 하는 기술은 알려지고 있지만, 이들의 종래 기술은, 상기 영역(Ⅳ)에 반사되는 광을 반사광이 전혀 닿지 않는 영역(I, I)으로 시프트시키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유효시야 영역(Ⅲ, Ⅲ)에 반사광을 모으도록 한 것은 아니어서 광의 이용 효율이 좋지 않다.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반사형 액정 화면에 이용할 수 있는 반사판으로서, 해당 반사판의 경사 윗쪽측(또는 경사 아래쪽측)의 유효 시야 영역에 반사광의 출사영역을 형성할 수 있는 반사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당 반사판을 이용한 반사형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당 반사판을 이용한 반사형 액정 표시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당 반사판을 이용한 광반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반사판에 관한 본 발명은,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면을 적어도 하나 이상구비한 단위 반사영역을 복수 가지며, 해당 복수의 단위 반사영역으로부터 반사광이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출사 넓이가 각각 윗쪽의 소정 위치에서 교차하여 공통의 출사영역을 형성되는 반사판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에 대하여 연직방향으로부터 입사된 광이, 상기 복수의 단위 반사영역에 의해 각각 개략 상기 반사판의 연직 윗쪽 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출사영역 중심 방향을 향하여 반사되고 해당 반사된 각각의 광의 강도 중심이 상기 출사영역 중심에 집광되도록 상기 단위 반사영역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단위 반사영역이란,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구획되고 입사광을 반사하는 반사 영역을 말한다.
그리고 단위 반사영역이란, 1개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구획된 반사 영역이어도, 또한 복수개의 집합체로서도 파악할 수 있다. 반사 영역은 오목부로 구획되면 그 내부는 필연적으로 볼록부로 형성되고, 해당 볼록부는 한쪽으로 경사되는 반사각이 일률적으로 평면 또는 볼록모양의 구면 또는 볼록모양의 비구면으로 된다. 또한, 볼록부로 구획되면 그 내부는 필연적으로 오목부로 형성되고, 해당 오목부 내는 한쪽으로 경사하는 반사각이 일률적인 평면 또는 오목모양의 구면 또는 오목모양의 비구면이 된다.
또한, 상기 오목부 또는 볼록부로 구획된 내부의 반사면은, 반사각이 일률적으로 평면만이 아니고, 그 단조롭게 증가 또는 감소하는 평면 높이의 도중에서 미소한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상기 오목모양 또는 볼록모양의 구면 또는 비구면은 연속하여 곡률이 변화되는 것이어도, 또한 그 도중에서미소한 볼록부 또는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개략 상기 출사영역 중심 방향을 향하여 반사되어」라 함은, 「해당 반사판이 액정 표시장치에 적용되고, 해당 액정 표시장치를 관찰하는 관찰자가 시인 가능한 범위이며, ±30° 정도의 퍼짐 각도를 허용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출사영역 중심에 집광한다」라 함은, 「1점에 집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소의 편차는 허용된다. 예를 들면, 이상적인 출사영역 중심을 가상 중심으로 하였을 때에 반사광의 강도 중심은 가상 중심에 대하여 상기 퍼짐 각도(±30°)의 범위 내라면 같은 효과가 얻어지고, 상기 출사영역 중심에 집광한다고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사판을,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면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한 단위 반사영역을 복수 가지며, 해당 복수의 단위 반사영역으로부터 반사광이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출사 넓이가 각각 윗쪽의 소정 위치에서 교차하여 공통의 출사영역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각각 윗쪽의 소정 위치에 반사광을 이끌어 집광할 수 있고, 또한, 상기 반사판에 대하여 연직방향으로부터 입사된 광이 상기 복수의 단위 반사영역에 의해 각각 개략 상기 반사판의 연직 윗쪽 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출사영역 중심 방향을 향하여 반사되고 해당 반사된 각각의 광의 강도 중심이 상기 출사영역 중심에 집광되도록 상기 단위 반사영역을 배치하였기 때문에, 해당 반사판를 액정 표시장치에 적용한 경우, 해당 공통의 출사영역에서 집광한 광속에 의해 밝은 액정의 표시를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반사영역은, 설치 위치에 따라서 상기 반사면의 형상이 다르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술수단에 의하면, 반사면의 방향을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되어 소정 방향으로 반사광을 집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반사영역으로의 입사광과 해당 입사광에 의한 반사광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출사영역 중심측에 가까이 감에 따라 작게 되도록 상기 단위 반사영역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술수단에 의하면, 입사광과 해당 입사광에 의한 반사광이 이루는 각도가, 상기 단위 반사영역의 위치가 상기 공통의 출사영역 중심측에 가까이 감에 따라 작게함으로써 각각의 출사영역의 강도 중심을 상기 출사영역 중심에 집광할 수 있어 공통 출사영역을 밝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반사영역은 상기 출사영역을 향하는 면에 복수의 곡면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술수단에 의하면, 반사면의 방향을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반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 휘도의 편차를 방지할 수 있어 지향성을 높이면서 휘도 얼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상기 단위 반사영역은 상기 출사영역 중심을 상기 반사판을 포함하는 평면에 투영한 점으로부터 동심원상으로 배치됨과 함께, 상기 단위 반사영역의 경사면에 세운 법선은 상기 투영한 점을 향하여 경사되고, 또한, 상기 법선은 동일 동심원상에서 동일한 경사각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반사판을 포함하는 평면」이라 함은, 반사판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시킨 가상 평면을 의미하며, 반사판을 형성되는 반사막을 연장한 가상 평면이어도, 또한, 그 위치보다 상하로 반사판의 단면 두께를 넘어 가상 평면이 존재하여도 좋다. 이러한 기술수단에 의하면, 상기 출사영역 중심의 투영점에서부터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상기 단위 반사영역은 각각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반사면이 상기 투영점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출사영역의 강도 중심을 상기 출사영역 중심에 집광할 수 있어 공통 출사영역을 밝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사영역 중심은 상기 반사판의 개략 2등분선상에서 상기 반사판 표면에 수직하게 기립하는 가상면 내에 존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술수단에 의하면, 상기 출사영역 중심에 집광한 각각의 출사영역의 강도 중심이 반사판의 개략 2등분선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액정 표시장치에 적용하였을 때에 좌우 대칭 위치를 밝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액정 표시장치에 관한 본 발명은, 대향하도록 배치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액정을 밀봉한 액정층을 가지며 상기 제2 기판에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면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한 단위 반사영역을 복수 갖는 반사층을 구비한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액정층측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일정한 방향으로부터 입사된 제1 입사광은 적어도 상기 제1 기판 표면에서 정반사하는 제1 반사광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액정층을 통하여 상기 단위 반사영역에 도달하는 제2 입사광으로 나뉘어지고,
해당 제2 입사광에 의해 상기 복수의 단위 반사영역으로부터 반사하는 제2 반사광이 형성되는 복수의 출사 넓이가 각각 상기 제1 기판의 윗쪽의 소정 위치에서 교차하여 공통의 출사영역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2 반사광이 각각 개략 상기 출사영역 중심 방향을 향하여 반사되고 해당 반사된 각각의 광의 강도 중심이 상기 출사영역 중심에 집광하고,
상기 제1 반사광의 진행방향상에 없는 소정의 위치에 상기 출사영역 중심이 형성되도록 상기 단위 반사영역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단위 반사영역으로부터 반사하는 제2 반사광이 형성되는 복수의 출사 넓이가 각각 상기 제1 기판의 윗쪽의 소정 위치에서 교차하여 공통의 출사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반사광이 각각 개략 상기 출사영역 중심 방향을 향하여 반사되고 해당 반사된 각각의 광의 강도 중심이 상기 출사영역 중심에 집광하는 것이 제1 특징 이며, 해당 제1 특징에 의해 각각의 출사영역의 강도 중심을 상기 출사영역 중심에 집광할 수 있어서 공통 출사영역을 밝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액정층측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일정한 방향으로부터 입사된 제1 입사광에 의한 상기 제1 기판표면에서 정반사하는 제1 반사광의 진행방향상에 없는 소정의 위치에 상기 출사영역 중심이 형성되도록 상기 단위 반사영역을 배치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에 의해, 상기 제1 반사광과 상기 출사영역을 형성되는 상기 제2 반사광이 동일 방향으로 방출되지 않기 때문에 액정 표시장치에 의한 화상이 상기 제1 반사광과 중복하여 시인되는 일이 없어 양호하게 액정 표시를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사영역 중심은 상기 제2 기판의 개략 2등분선상에서 상기 제2 기판 표면에 수직하게 기립하는 가상면 내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술수단에 의하면, 상기 출사영역 중심에 집광한 각각의 출사영역의 강도 중심이 액정 표시장치 화면의 개략 2등분선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해당 화면의 좌우 대칭 위치를 밝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반사판을 배열설치한 액정 표시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관한 본 발명은, 대향하도록 배치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액정을 밀봉한 액정층을 가지며 상기 제2 기판에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면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한 단위 반사영역을 복수 갖는 반사층을 구비한 표시부를 갖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액정층측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일정한 방향으로부터 입사된 제1 입사광은 적어도 상기 제1 기판 표면에서 정반사하는 제1 반사광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액정층을 통하여 상기 단위 반사영역에 도달하는 제2 입사광으로 나뉘어지고,
해당 제2 입사광에 의해 상기 복수의 단위 반사영역으로부터 반사하는 제2 반사광이 형성되는 복수의 출사 넓이가 각각 상기 제1 기판의 윗쪽의 소정 위치에서 교차하여 공통의 출사영역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2 반사광이 각각 개략 상기 출사영역 중심 방향을 향하여 반사되고 해당 반사된 각각의 광의 강도 중심이 상기 출사영역 중심에 집광되고,
상기 제1 반사광의 진행방향상에 없는 소정의 위치에 상기 출사영역 중심이 형성되도록 상기 단위 반사영역을 배치하여 구성한 액정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상기 표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액정 표시장치로 전자기기의 표시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해당 표시부는, 상기 복수의 단위 반사영역으로부터 반사하는제2 반사광이 형성되는 복수의 출사 넓이가 각각 상기 제1 기판의 윗쪽의 소정 위치에서 교차하여 공통의 출사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반사광이 각각 개략 상기 출사영역 중심 방향을 향하여 반사되고, 해당 반사된 각각의 광의 강도 중심이 상기 출사영역 중심에 집광하는 것이 제1 특징이며, 해당 제1 특징에 의해, 각각의 출사영역의 강도 중심을 상기 출사영역 중심에 집광할 수 있어 공통 출사영역을 밝게 할 수 있다.
또한, 해당 표시부의 제2 특징은,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액정층측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일정한 방향으로부터 입사된 제1 입사광에 의한 상기 제1 기판 표면에서 정반사하는 제1 반사광의 진행방향상에 없는 소정의 위치에 상기 출사영역 중심이 형성되도록 상기 단위 반사영역을 배치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에 의해, 상기 제1 반사광과 상기 출사영역을 형성되는 상기 제2 반사광이 동일 방향으로 방출되지 않기 때문에 액정 표시장치에 의한 화상이 상기 제1 반사광과 중복하여 시인되는 일이 없어서 양호하게 액정 표시를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반사판의 광반사 방법에 관한 본 발명은,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면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한 단위 반사영역을 복수 가지며 해당 복수의 단위 반사영역으로부터 반사광이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출사 넓이가 각각 윗쪽의 소정 위치에서 교차하여 공통의 출사영역을 형성되는 반사판의 광반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을 상기 반사판에 대하여 연직방향에서부터 입사시키고,
해당 입사된 광을 상기 복수의 단위 반사영역에 의해 반사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반사영역에 의해 반사된 각각의 광을 개략 상기 반사판의연직 윗쪽 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출사영역 중심 방향을 향하며 또한 해당 반사된 각각의 광의 강도 중심이 상기 출사영역 중심에 집광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해당 광반사 방법를 액정 표시장치에 적용한 경우, 해당 공통의 출사영역에서 집광한 광속에 의해 밝게 액정의 표시를 관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반사판의 주요부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반사막의 확대 단면 형상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반사막 볼록부의 면 형상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반사판의 평면도.
도 5는 반사막 볼록부의 배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반사막 볼록부의 다른 면형상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7은 반사막 볼록부의 또다른 면형상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반사판의 설계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9는 단위 반사영역을 임의로 배치한 반사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스탬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1은 반사판의 한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2는 반사판의 다른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3은 반사형 액정 표시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14는 무선 정보 전달장치의 사시도.
도 15는 반사형 액정 표시장치의 사용 상태 설명도.
도 16은 종래의 반사형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
도 17은 종래의 반사판에서 반사된 광의 거동을 도시한 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사판 12 : 출사영역 중심
13 : 단위 반사영역 14 : 출사영역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예시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실시 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적 배치 등은 특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은 본 발명의 범위를 그것으로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라 단순한 설명예에 지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반사판의 오목부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반사막의 확대 단면 형상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반사막 볼록부의 면 형상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반사판의 평면도이다.
윗측 기판(2), 액정층(38)과 반사판(1)으로 구성되는 반사형 액정 표시장치 (10)의 단면을 도시하고, 반사판(1)은 세라믹, 유리,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되는 불투명 또는 투명한 아래측 기판(11)상에 수지층(6)과 반사막(4)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 1은 모식도로서, 액정층(38), 윗측 기판(2) 등에 있어서의 각 층의 굴절율의 상위는 고려하여 그리지 않았다. 또한, 반사막(4)은 평면 형상으로 그리고 있지만, 윗면(4a)상에는 후술하는 반사 경사면을 갖는 볼록부(17)가 형성된다.
윗측 기판(2)를 통해 입사된 입사광(7)은 일부 윗측 기판(2)의 표면(2a)에서 반사되어 되돌아가지만 윗측 기판(2)에 침입한 광은 단위 반사영역(13)에 도달한다. 단위 반사영역(13)은 영역(A)부터 영역(B)으로 향함에 따라서 입사광과 반사광 사이의 각도(θ)를 다르게 하여 배열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영역(A)에서는 입사광(7)은 각도 θ1로 반사하고, 영역(B)에서는 각도 θ3로 반사한다.
그리고 반사광(8)은 각도 α의 범위 내에 반사광(8a, 8b)으로서 퍼지는 개략 원형의 출사영역(14)을 형성하고, 또한, 반사광(9)은 각도 β의 범위 내에 반사광(9a, 9b)으로서 퍼지는 개략 원형의 출사영역(14)을 형성한다. 이 출사영역(14)의 중심(12)은, 반사형 액정 표시장치(10)의 단부로부터 M 만큼 이간된 위치의 수선상(垂線上)에 형성된다. 이 중심(12)의 위치는, 예를 들면 도 1상의 반사형 액정 표시장치(10)의 좌우 길이(L)를 40mm, 단 테두리(11a)부터의 거리 M을 10mm, 반사막(4)의 윗면(4a)의 가상 연장면(4a')상에 상기 중심(12)의 바로 아래에는 중심(12)의 투영점(14a)이 위치하고, 해당 투연점(14a)으로부터 상기 중심(12)까지의 거리(H)를 300mm로 설정함으로써, 바람직한 결과를 얻고 있다.
반사막(4)의 볼록부(17) 형상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역(A)부터 영역(B)으로 향함에 따라서 반사광(8, 15, 9)과 입사광 사이의 각도(θ)가 커지도록,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윗측 기판(2)의 표면에 수직으로 입사하는 광선(7)에 대하여의 입사광과 반사광 사이의 각도(θ)가 얻어지도록 단위 반사영역(13)의 반사각을 변화시켜 설정하고 있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반사판의 평면도이다. 반사판(1)의 단위 반사영역(13)은, 중심선(수직 2등분선)(16)상에 소정 간격을 갖고 배치됨과 함께, 해당 중심선상에 배치되는 중심점(14a)을 중심으로하는 동심원(a1···an)(n은 1이상의 정수)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같은 동심원상에서는 입사광과 반사광 사이의 각도가 같은 단위 반사영역이 배치되고, 그것은 좌로부터 θ1, θ2, θ3으로 다르게 하여 다수 배치된다.
그리고, 동심원상의 단위 반사영역(13)은, 도 4상의 지면의 수직방향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반사하여 출사영역(14)을 형성하고, 모든 단위 반사영역(13)은 출사영역(14)의 중심(12)에 반사광이 집중하도록 배치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서 출사영역 중심측에 광을 집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인접하는 단위 반사영역이 겹쳐 액정 화상을 배후로부터 조명할 수 있어서 출사영역 중심측에서 밝은 화면을 시인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이용되는 단위 반사영역(13)의 구체적 구조를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에 도시한 단위 반사영역(13)은 기립한 원주모양의 볼록부(17)를 경사지게 절단하고 그 절단면을 표면(17a) 처럼 만곡시켜서 형성하고 있다.
표면(17a)의 정점(19)과 경사한 만곡면인 표면(17a)의 형상을 목표로 하는 출사영역에 맞추어서 설계되어 있다. 이 표면(17a)은 단위 반사영역(13)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부터 입사하는 입사광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접평면)을 가지지 않고,선단이 뾰족하기 때문에, 표면(17a)에 의한 반사광을 도 4에 도시한 반사판(1)의 오른쪽으로 거의 반사시키지 않는다.
반사판(1)상의 다른 위치의 단위 반사영역(13)에 의한 공통의 출사영역(14)으로 광을 반사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표면(17a)의 대면(對面) 방향은 단위 반사영역(13)의 위치가 달라질때 마다 조금씩 다르다.
즉, 수직 2등분선(16)상의 단위 반사영역(13)은 정점(19)과 중심(17c)을 잇는 직선(40)과 수직 2등분선(16)과 일치시키지만, 그 이외의 단위 반사영역(13)은,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직선(40)을 출사영역(14)의 중심(14a) 방향에 일치시킨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단위 반사영역(13)의 구체적 구조를 기립한 원주모양의 볼록부(17)를 경사지게 절단하고 그 절단면을 표면(17a) 처럼 만곡시켜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삼각주모양, 사각주모양 또는 다각주모양이라도 좋고, 또한 절단면의 표면에 복수의 볼록 곡면 또는 오목 곡면을 갖게 하여도 좋다. 또한, 복수의 기둥모양의 볼록부를 적절히 조합하여 단위 반사영역(13)을 구성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 6을 이용하여 반사막 볼록부의 다른 면형상을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표면(17)의 높이를 바꿈으로써 출사영역(14)측에 광을 반사시킨데 대하여, 이 반사막 볼록부는, 소정각도로 형성된 반사면을 갖는 단위 반사영역(13)을 복수 준비하고, 해당 단위 반사영역의 반사면의 각도를 소정 위치에 대하여 바꾸어서 상기 단위 반사영역을 출사영역측으로부터 나열 배치하여, 출사영역(14)측으로 광을 반사시키는 것이다.
이 단위 반사영역(13)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면(20)을 갖고 있다. 해당 반사면(20)을 갖는 미소한 쐐기모양의 볼록부(27)(b 내지 d)는 단면이 개략 직각 삼각형 모양을 하고 있고 표면은 만곡되어 있다.
쐐기모양의 볼록부(27)(b 내지 d)에 의해 소정의 출사영역(14)에 광을 모으기 위해서는 볼록부(27)의 위치에 따라서 표면의 경사를 변화시킬 필요가 있고, 그 것을 위해서는 도 6(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27)(b 내지 d)의 높이(h)를 일정하게 하고 길이(볼록부(27)의 피치)(k)를 변화시키고 있다.
또한, 출사영역(14)은 반사판(1C)과 평행한 면 내에 있을 필요는 없고, 반사판(1C)의 표면에 대하여 경사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반사면(20)은 볼록방향으로 만곡되어 있지만, 평면이라도 좋고 또한 오목면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반사면(20)에 만곡을 마련할 때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곡면(21a 내지 21f)을 마련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복수의 곡면을 마련함으로써 반사면의 방향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반사판면 내에서의 휘도의 편차를 방지할 수 있고, 지향성을 높이면서 반사광의 휘도 얼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에 단위 반사영역(13)의 볼록부(17)의 면(17a)의 형상을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8(a)에 있어서, 액정층(38)과 상부기판(2)과의 굴절율 n1이 동등하다고 하고, 지금 공기층(50)으로부터 상부기판(2)에 수직으로 입사광(7)이 입사된 경우, 반사면(17a)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8)은 상부 기판(2)과 공기층(50)과의 경계에서 굴절광(8')으로서 굴절한다.
공기층(50)의 굴절율 n2= 1, 액정층(38)의 굴절율 n1, 입사각 i, 굴절각 θX라고 하면, 스넬의 법칙으로부터,
(sini/sinθX)= 1/n1
sini= sinθX/n1
i= sin-1(sinθX/n1) ··· (1)
한편,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각 φ=i/2이 정점에 대응하는 위치(B3)로부터 아래쪽(B1)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φ123으로 변화되도록 설계되고, 중심(B2)에 대응하는 공기층(50)에 있어서의 굴절각을 θX라고 하면, B1에 대응하는 굴절각 θX+β, B2에 대응하는 굴절각 θX, B3에 대응하는 굴절각 θX-β로 된다.
따라서, B1에 대응하는 반사각도(입사각과 동등하다) i는
sin-1{sin(θX+β)/n1) ··· (2)
B2에 대응하는 반사각도 i는
sin-1(sinθX/n1) ···(3)
B3에 대응하는 반사각도 i는
sin-1{sin(θX-β)/n1} ··· (4)
로 된다.
그리고, 기울기(반사각) φ는,
B1에 있어서,
φ1= (1/2)sin-1{sin(θX+β)/n1}
B2에 있어서,
φ2= (1/2)sin-1{sinθX/n1}
B3에 있어서,
φ3= (1/2)sin-l{sin(θX-β)/n1)
으로 산출된다.
상술한 단위 반사영역(13)은 하나 또는 복수의 요철(17, 18)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단위 반사영역(13)은 기본적으로는 주기적 내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지만, 균일한 치수를 갖고 있을 필요는 없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기가 임의로 이루어져도 좋으며, 형상도 다각형 부정형이라도 좋다. 따라서 단위 반사영역 (13)의 배열도 매트릭스 배치일 필요는 없고 또한 치밀하게 2차원 배열되어 있어 평탄한 부분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반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면 좋다.
다음에 반사판에 이용되는 요철 형상의 제조 방법를 설명한다. 이 요철 형상은 스탬퍼라고 불리는 금형에 의해 대량으로 복제할 수 있다. 그 제조 방법인 2P법을 도 10(a) 내지 도 10(d)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1)을 준비하고 그 위에 전자빔 레지스트(22)를 도포한다.
계속해서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빔에 의해 레지스트(22)를 미세 가공하여 볼록형의 형상으로 하여 요철 형상 원판(23)을 제작한다.
다음에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주법(電鑄法)에 의해 니켈 등의 스탬퍼 재료를 원반(23)의 위에 퇴적하여 스탬퍼(24)를 제작한다.
또한, 도 10(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탬퍼(24)와 원반(23)을 분리한다. 스탬퍼(24)는 상기 볼록형의 형상에 대응하여 오목형의 형상으로 되어 요철 형상의 금형으로 된다.
다음에 상기 반사판의 제조 방법를 도 11(a) 내지 도 11(d)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반사판의 모형인 원반(23)을 작성한 후, 전주법에 의해 스탬퍼(24)가 제작되고, 해당 스탬퍼(24)에는 반사판 표면 형상의 반전 패턴(24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1(a)에 기재한 바와 같이 유리 기판이나 투명 수지 필름 등의 투명한 기판(11)(단, 스탬퍼가 자외선을 투과하는 경우에는, 기판(11)은 투명할 필요는 없다)의 위에 자외선 경화 수지(6)를 적하한 후, 자외선 경화 수지(6)의 위로부터 기판(11)상에 스탬퍼(24)를 강하시켜, 기판(11)과 스탬퍼(24) 사이에 자외선 경화 수지(6)를 펴서 넓히여서 기판(11)과 스탬퍼(24) 사이에 자외선 경화 수지(6)를 충전시킨다.
계속해서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1)측에서부터 자외선 경화 수지(6)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 경화 수지(6)를 광경화 반응에 의해 경화시킨다. 자외선 경화 수지(6)가 경화하면, 자외선 경화 수지(6)로부터 스탬퍼(24)를 박리시키면, 도 11(c)와 같이 자외선 경화 수지(6)의 표면에는 스탬퍼(24)의 반전 패턴(24a)이 반전하여 패턴(6a)으로서 전사된다.
이 후, 자외선 경화 수지(6)의 패턴(6a)상에 Ag, Al 등의 금속 박막을 스퍼터링 형성 등에 의해 퇴적시켜 도 1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막(4)을 형성하고 이로써 반사판(1)이 완성된다.
다음에 상기 반사판의 다른 제조 방법을 도 12(a) 내지 도 12(d)에 의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반사판의 모형인 원반(23)을 작성한 후 전주법에 의해 스탬퍼(24)가 제작되고 해당 스탬퍼(24)에는 반사판 표면 형상의 반전 패턴(24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a)에 기재한 바와 같이 기판(11)의 위에 아크릴 등의 수지(30)를 스핀코트한 후, 도 12(b)에 기재한 바와 같이 해당 수지(30)의 위로부터 스탬퍼(24)를 강하시켜, 수지(30)를 가압시켜, 도 12(c)와 같이 수지(30)의 표면에는 스탬퍼(24)의 반전 패턴(24a)이 반전하여 패턴(30a)으로서 전사된다.
이 후, 수지(30)의 패턴(30a)상에 Ag, Al 등의 금속 박막를 스퍼터링 형성에 의해 퇴적시켜, 도 1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막(4)을 형성하고, 이로써 반사판(1)이 완성된다.
도 13에 도시한 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제작된 반사판를 구비한 반사형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윗측 기판(2)은 반사판(1)을 이면측 기판으로 하여 구성된다. 즉, 도 11에 도시한 공정의 앞에 반사판(1)의 표면에 박막 트랜지스터(TFT)(32)를 마련하여 아래측 기판(11)을 형성한다.
그 후, 상술한 바와 같이 아래측 기판(11)상에 감광성 수지에 의한 요철 패턴을 형성하고 TFT(32)에 대응한 위치에 콘택트홀(41)을 형성하고, 요철 패턴 및 콘택트홀(41) 내에 금속 박막을 스퍼터링 형성하여 반사막(4)과 더불어 해당 반사막(4)과 TFT(32)를 도통하는 도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윗측 기판(2)의 이면에 블랙 매트릭스(36)나 컬러 필터(35), 투명 전극 (ITO)(37)을 형성하고, 윗측 기판(2)의 표면에 도시하지 않은 편광판을 붙여서 표면 기판을 형성한다. 이 후 투명전극(ITO)(37)과 반사판(4) 사이에 액정층(38)을 끼움으로써 반사형 액정 표시장치가 완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액정 표시 패널과 반사판이 일체화 되어 반사형 액정 표시장치를 박형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반사판은 반사형 액정 표시장치에 한하지 않고 그 밖의 반사형 표시장치에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백라이트 광원의파워를 작게 하거나 액정 패널 이외의 곳에서부터 입사광을 받아들이는, 소위 반투과형 액정 표시장치에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반사판의 표면에 요철 패턴을 형성하고 각 요철의 표면에서 입사광을 반사시키는 표면 반사형의 반사판을 설명하였지만, 기판를 유리나 투명수지 등으로 형성하고 기판의 이면에 형성한 요철 패턴에 의해 입사광을 반사시키도록 한 이면 반사형의 반사판이라도 좋다.
도 14에 도시한 것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반사판을 이용한 반사형 액정 표시장치를 디스플레이용으로 이용한 휴대전화나 약전력형 무선기기 등의 무선 정보 전달장치(39)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무선 정보 전달장치(39)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지하여 모니터 화면(39a)에 직각으로 입사된 광에 대하여 윗쪽의 출사영역(14)으로부터 모니터 화면(39a)의 화상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윗쪽으로부터의 입사광(7)에 대하여 액정 표시장치를 경사지게 쥐고서, 사용자(25)의 위치에서 시인할 수 있다. 그 때는, 입사광(7)은 윗측 기판(2)의 표면(2a)에서 반사광(7a) 처럼 반사하기 때문에, 사용자(25)에 도달하는 일이 없어, 모니터 화면을 명료하게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상기한 무선 정보 전달장치(39)만이 아니라, 전자수첩, 휴대용 컴퓨터, 휴대용 텔레비전 등의 휴대 정보 단말을 비롯하여, 반사형 액정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모든 전자기기에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반사형 액정 표시장치에 본 실시 형태의 반사판을 이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화면을 밝게 할 수 있어서 이러한 반사형 액정 표시장치를 무선 정보 전달장치나 휴대 정보 단말 등에 이용한 경우, 백라이트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어서 전력 절약화가 가능하게 되어 장시간의 배터리 구동이 실현될 수 있고 또한 장치의 소형화나 저가격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정보 전달장치나 휴대 정보 단말에 한하지 않고, 이러한 반사형 액정 표시장치를 디스플레이에 이용한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밝게 할 수 있어서 시인성을 양호하게 함과 함께해당 시인에 지향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옆에서의 타인에 의한 시인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위 반사영역에 의해 광을 소정면 영역에 모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반사판을 표시장치와 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소정 면적 역에서는 전체가 밝고 선명한 화상을 인식할 수 있다.

Claims (10)

  1.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면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한 단위 반사영역을 복수 가지며, 해당 복수의 단위 반사영역으로부터의 반사광이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출사 넓이가 각각 윗쪽의 소정 위치에서 교차하여 공통의 출사영역을 형성하는 반사판에 있어서,
    상기 단위 반사영역은, 상기 반사판에 대하여 연직방향으로부터 입사된 광이 상기 반사판의 연직 윗쪽 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출사영역 중심 방향을 향하여 반사되고, 해당 반사광의 강도 중심이 상기 출사영역 중심에 집광되도록 상기 반사면의 정점과 상기 반사면의 중심을 잇는 직선의 방향이 배치 위치에 따라 다르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반사영역은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반사면의 형상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반사영역으로의 입사광과 해당 입사광에 의한 반사광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출사영역 중심측에 가까워짐에 따라 작아지도록 상기 단위 반사영역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반사영역은 상기 출사영역을 향하는 면에 복수의 곡면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기 단위 반사영역은, 상기 출사영역 중심을 상기 반사판을 포함하는 평면에 투영한 점으로부터 동심원상으로 배치됨과 함께, 상기 단위 반사영역의 경사면에 세운 법선은, 상기 투영한 점을 향하여 경사되고, 또한 상기 법선은 동일 동심원상에서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영역 중심은 상기 반사판의 개략 2등분선상에서 상기 반사판 표면에 수직으로 기립하는 가상면 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판.
  7. 대향하도록 배치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액정을 밀봉한 액정층을 가지며, 상기 제2 기판에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면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한 단위 반사영역을 복수 갖는 반사층을 구비한 액정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액정층측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일정한 방향으로부터 입사된 제1 입사광은, 적어도 상기 제1 기판 표면에서 정반사되는 제1 반사광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액정층을 통하여 상기 단위 반사영역에 도달하는 제2 입사광으로 나뉘어지고,
    해당 제2 입사광에 의해 상기 복수의 단위 반사영역으로부터 반사되는 제2 반사광이 형성하는 복수의 출사 넓이가 각각 상기 제1 기판의 윗쪽의 소정 위치에서 교차하여 공통의 출사영역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2 반사광이 각각 개략 상기 출사영역 중심 방향을 향하여 반사되고 해당 반사된 각각의 광의 강도 중심이 상기 출사영역 중심에 집광하여,
    상기 제1 반사광의 진행 방향상에 없는 소정의 위치에 상기 출사영역 중심이 형성되도록 상기 단위 반사영역을 배치하고, 상기 반사면의 정점과 상기 반사면의 중심을 잇는 직선의 방향이 배치 위치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영역 중심은 상기 제2 기판의 개략 2등분선상에서 상기 제2 기판 표면에 수직으로 기립하는 가상면 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9. 대향하도록 배치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액정을 밀봉한 액정층을 가지며, 상기 제2 기판에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면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한 단위 반사영역을 복수 갖는 반사층을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를 갖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액정층측의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일정한 방향으로부터 입사된 제1 입사광이, 적어도 상기 제1 기판 표면에서 정반사하는 제1 반사광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액정층을 통하여 상기 단위 반사영역에 도달하는 제2 입사광으로 나뉘어지고,
    해당 제2 입사광에 의해 상기 복수의 단위 반사영역으로부터 반사되는 제2 반사광이 형성하는 복수의 출사 넓이가 각각 상기 제1 기판의 윗쪽의 소정 위치에서 교차하여 공통의 출사영역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제 2의 반사광이 각각 개략 상기 출사영역 중심 방향을 향하여 반사되고 해당 반사된 각각의 광의 강도 중심이 상기 출사영역 중심으로 집광하고,
    상기 제1 반사광의 진행 방향상에 없는 소정의 위치에 상기 출사영역 중심이 형성되도록 상기 단위 반사영역을 배치하고, 상기 반사면의 정점과 상기 반사면의 중심을 잇는 직선의 방향이 배치 위치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면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한 단위 반사영역을 복수 가지며 해당 복수의 단위 반사영역으로부터 반사광이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출사 넓이가 각각 윗쪽의 소정 위치에서 교차하여 공통의 출사영역을 형성되는 반사판의 광반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을 상기 반사판에 대하여 연직 방향으로부터 입사시키는 단계와,
    해당 입사된 광을 상기 복수의 단위 반사영역에 의해 반사시키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단위 반사영역에 의해 반사된 각각의 광을 개략 상기 반사판의 연직 윗쪽 영역의 외부에 위치하는 상기 출사영역 중심 방향으로 향하는 단계와, 또한, 해당 반사된 각각의 광 강도 중심이 상기 출사영역 중심에 집광되도록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판의 광반사 방법.
KR10-2002-0013160A 2001-03-14 2002-03-12 반사판, 그 반사판을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그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KR1004485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72468A JP2002267821A (ja) 2001-03-14 2001-03-14 反射板、該反射板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該液晶表示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JP-P-2001-00072468 2001-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270A KR20020073270A (ko) 2002-09-23
KR100448553B1 true KR100448553B1 (ko) 2004-09-13

Family

ID=18930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160A KR100448553B1 (ko) 2001-03-14 2002-03-12 반사판, 그 반사판을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그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057685B2 (ko)
EP (1) EP1243964A3 (ko)
JP (1) JP2002267821A (ko)
KR (1) KR100448553B1 (ko)
CN (1) CN122388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4561A (ja) * 2003-02-28 2004-09-24 Omron Corp 反射板、該反射板を用いた表示装置、該表示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7212969A (ja) * 2006-02-13 2007-08-23 Nec Lcd Technologies Ltd 反射板及び該反射板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8065102A (ja) * 2006-09-08 2008-03-21 Alps Electric Co Ltd 反射板及び液晶表示装置
US7715103B2 (en) * 2007-09-10 2010-05-11 Microvision, Inc. Buried numerical aperture expander having transparent properties
JP5730081B2 (ja) * 2011-03-08 2015-06-0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US9798066B2 (en) * 2014-08-18 2017-10-24 New Optics, Ltd Display device and light guide plate thereof
KR20170080674A (ko) 2014-12-10 2017-07-10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엠보싱 시트 및 화장 시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777A (ko) * 1998-12-16 2000-07-05 구본준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반사판
KR100268069B1 (ko) * 1995-12-11 2000-10-16 마찌다 가쯔히꼬 반사판, 반사판이 결합된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 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5895A (en) * 1978-03-31 1980-01-29 Hughes Aircraft Company Reflective mode, dynamic scattering liquid crystal display system having a Fresnel reflector for lighting
CH633381A5 (de) * 1978-12-20 1982-11-30 Bbc Brown Boveri & Cie Elektrooptische anzeige mit reflektor.
WO1982004326A1 (en) * 1981-05-25 1982-12-09 Masataka Negishi Optical width and direction converter
US5128787A (en) * 1990-12-07 1992-07-07 At&T Bell Laboratories Lcd display with multifaceted back reflector
US6199992B1 (en) * 1997-03-13 2001-03-13 Alps Electric Co., Ltd. Reflecto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reflector
US6285426B1 (en) * 1998-07-06 2001-09-04 Motorola, Inc. Ridged reflector having optically transmissive properties for an optical display device
US6563559B2 (en) * 2000-02-02 2003-05-13 Sanyo Electric Co., Ltd.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increase luminance for each display pixel
JP3649145B2 (ja) * 2000-12-28 2005-05-18 オムロン株式会社 反射型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8069B1 (ko) * 1995-12-11 2000-10-16 마찌다 가쯔히꼬 반사판, 반사판이 결합된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 법
KR20000039777A (ko) * 1998-12-16 2000-07-05 구본준 반사형 액정표시장치의 반사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43964A3 (en) 2005-06-29
US7057685B2 (en) 2006-06-06
CN1223886C (zh) 2005-10-19
CN1375728A (zh) 2002-10-23
US20020159009A1 (en) 2002-10-31
KR20020073270A (ko) 2002-09-23
EP1243964A2 (en) 2002-09-25
JP2002267821A (ja) 200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5060B2 (en) Optical component for liquid crystal display
KR100531588B1 (ko) 면발광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US8158040B2 (en) Method for fabricating an optical sheet
CN112902111B (zh) 背光模块
US7623293B2 (en) Optical element and the light source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JP2002258277A (ja) 反射型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機器
WO2012050121A1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WO2011065052A1 (ja) 面状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2004179116A (ja) 背面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7086784A (ja) 光学板、それ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有する表示装置
US7658502B2 (en) Back light structure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6140124A (ja) 照明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20100024752A (ko) 프리즘 시트와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0448553B1 (ko) 반사판, 그 반사판을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그 액정표시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WO2007072600A1 (ja) 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3744422B2 (ja) 反射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27956A (ja) 面照明装置と液晶表示装置
JP2004233957A (ja) 光学素子、面状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US6816216B2 (en) Optical component and reflective plate, and device using the same optical component
JP2007242410A (ja) 照明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223408B2 (ja) 光学シート及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並びに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3066238A (ja) 導光体及びこ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とフロントライト装置並びに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JP3937745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4264561A (ja) 反射板、該反射板を用いた表示装置、該表示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2311431A (ja) フロントライト照明装置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