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7333B1 - 카메라 - Google Patents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7333B1
KR100447333B1 KR1019960044698A KR19960044698A KR100447333B1 KR 100447333 B1 KR100447333 B1 KR 100447333B1 KR 1019960044698 A KR1019960044698 A KR 1019960044698A KR 19960044698 A KR19960044698 A KR 19960044698A KR 100447333 B1 KR100447333 B1 KR 100447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intermittent sprocket
rotation
lever
lock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4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2472A (ko
Inventor
나카 요지
다까무라 마사시
소마 히로시
온다 가즈히꼬
Original Assignee
후지 샤신 고오끼 가부시끼가이샤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61775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46997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1756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230457A/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샤신 고오끼 가부시끼가이샤,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샤신 고오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22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2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7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73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00Film strip handl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00Film strip handling
    • G03B1/18Moving film strip by means which act on the film between the ends thereof
    • G03B1/20Acting means
    • G03B1/24Sprockets engaging holes in the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36Counting number of expos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2Interlocking between shutter operation and advance of film or change of plate or cut-film
    • G03B17/425Interlocking between shutter operation and advance of film or change of plate or cut-film motor drive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G03B7/10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a servo-motor providing energy to move the setting me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Abstract

각 프레임의 필름급송방향의 길이를 규정하는 긴 간격과 프레임 상호간의 간격을 규정하는 짧은 간격이 교호로 부여된 퍼포레이션열을 갖춘 필름을 사용하는 카메라에 있어서, 필름의 급송에 종동하는 간헐스프로켓을 필름 되감기 시에 소정의 초기위치에 정지시키고 다음의 필름감기 시에 필름 감기용 모터가 필름감기의 도중에 정지하는 것을 방지한다.
필름되감기 시에 카운터판(49)이 스타트위치로 되돌아온 것을 검지하여 간헐스프로켓(27)을 소정위치에 고정하는 잠금기구를 설치한다. 잠금기구는 간헐스프로켓(27)에 연동하는 잠금용회전부재(54)와 잠금용회전부재(54)에 형성된 갈고리상의 계합부(54a)에 계합하는 갈고리상의 클로(55d)를 갖는 잠금레버(55)를 갖는다.

Description

카메라{CAMERA}
본 발명은 각 프레임의 필름급송방향의 길이를 규정하는 긴 간격과 프레임 상호간의 간격을 규정하는 짧은 간격 등이 교호로 부여된 퍼포레이션 열(列)을 갖춘 필름을 사용하는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의 카트리지실에 장전된 필름 카트리지에서 모터로 필름을 감으면서 촬영을 행하고 촬영종료 후에 필름을 상기모터에서 카트리지본체 내로 되감도록 구성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공개 제5-19368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프레임당 2개의 퍼포레이션을 갖춘 사진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이들 2개의 퍼포레이션은 각 프레임마다 프레임의 선단에 대응하는 위치와 프레임의 후단에 대응하는 위치 등에 설치되고 이들 퍼포레이션 사이에 있는 프레임이 촬영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퍼포레이션은 각 프레임의 필름급송방향의 길이를 규정하는 긴 간격과 프레임 상호간의 간격을 규정하는 짧은 간격 등이 교호로 부여되어 상기 긴간격과 짧은 간격 등을 더한 길이가 1프레임 급송길이로 되어 있다.
이러한 포맷을 갖는 필름의 급송을 비교적 저렴한 가격구성으로 실시하는데 적합한 수단으로서, 상기 퍼포레이션에 계합하는 한 쌍의 이를 퍼포레이션의 짧은 간격에 맞추어지게 외주에 갖춤으로써 필름급송에서 종동회전하는 간헐스프로켓을 사용한 필름급송기구가 제안되고 있다.
이 필름 급송기구는 셔터버튼의 누름조작(셔터릴리스조작) 종료 때마다 모터에서 필름을 1프레임씩 이송하는 필름감기기구를 갖추고 있고 필름 1프레임의 이송에 따라 상기 간헐스프로켓을 간결적으로 1회전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필름 1프레임분의 감기가 종료된 시점에서 작동하는 필름 감기정지기구와 이 필름감기정지기구에 연동하는 스위치를 설치하고 필름 1프레임분의 감기가 종료된 시점에서 필름감기정지기구가 작동하여 상기 스위치를 OFF로 함으로써 모터의 정회전구동을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필름감기정지기구는 소정의 각도위치에 홈을 갖추고 간헐스프로켓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갖추고 간헐스프로켓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이 회전부재의 홈에 계입하여 얻은 계합단부를 갖춘 고정레버(locking lever)로부터 이루어지고 상기 계합부의 상기 홈으로 계입을 통하여 간헐스프로켓을 1프레임마다 고정시키고 필름 감기정지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필름감기에 따른 간헐스프로켓의 회전을 이용하여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한 셔터구동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필름감기정지기구 및 셔터구동기구는 퍼포레이션의 이동을 기계적으로 검지하는 구성이므로 1프레임분의 필름이송을 확실히 검출할 수 있으며 셔터구동을 간헐스프로켓의 이가 퍼포레이션에 계합하고 있는 사이에 행하게 하는 것으로 셔터에 걸린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항할 수 있다.
또, 상기 필름급송장치에 있어서는 필름선단의 프레임부터 순차촬영을 행하고 최후의 프레임촬영이 완료된 후에 촬영자가 필름되감기용 조작부재를 조작하면 필름감기정지기구 및 셔터구동기구와 간헐스프로켓의 연결이 해제되어 간헐스프로켓이 자유롭게 됨과 동시에 필름되감기용 조작부재에 연동하는 모터 회전방향 전환(switching, 切換)스위치가 역회전 측에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이 조작으로 모터가 역회전하여 필름되감기가 행해지나 이때에는 간헐스프로켓이 자유롭게 되어 있으므로 촬영이 끝난 필름을 전부 카트리지 본체 내로 되감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필름 되감기 중에는 간헐스프로켓이 필름되감기 방향으로 종동하여 간헐적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촬영이 끝난 필름을 되감은 후에는 필름선단이 이탈하였을 때의 위치에서 간헐스프로켓이 정지하나 이 정지위치는 필름의 이송력에 의해 차이가 생긴다.
그러나 필름 되감기 후의 간헐스프로켓의 정지위치가 일정하지 않으면 이하에 서술함과 같은 불리함이 생긴다.
첫째, 간헐스프로켓의 이(齒)가 필름급송 궤적 내에 돌출해 있으면 새로운 필름카트리지를 카메라에 장전하고 필름선단을 카트리지 본체 내에서 송출하려고 할때 필름선단이 간헐스프로켓의 이에 걸려 필름감기가 행해지지 않는다는 불리함이 생길 우려가 생긴다.
둘째, 필름감기가 행해졌다하여도 간헐스프로켓의 정지위치가 정규의 정지위치에서 어긋나 있으면 필름감기의 도중에 필름감기정지기구가 작동하여 모터가 정지하여 버리는 사태가 발생한다.
셋째, 필름급송 불능 시에는 셔터릴리스 후 소정의 타이머 시간 경과 후에 모터의 정회전을 정지시키는 기능을 카메라가 갖고 있는 경우에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필름을 사용하였을 경우 필름의 최후의 1프레임 촬영이 완료한 후의 필름감기에서는 퍼포레이션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간헐스프로켓은 회동되지 않고 따라서 필름 감기정지기구가 작동하지 않는다. 그 경우는 필름감지정지기구의 작동에 연동하여 모터를 정지시키는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으므로 모터의 정회전이 계속된다. 그때 필름감기정지기구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도 셔터릴리스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모터가 자동적으로 정지하도록 콘덴서의 방전시간을 이용한 상기 타이머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타이머 시간은 15초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필름최후의 1프레임의 촬영이 완료된 후 촬영자가 곧 필름 되감기용 조작부재를 조작하여 모터회전방향 전환 스위치를 역회전측으로 전환하고 모터를 역회전시켜 필름을 카트리지 본체 내에 되감고 되감기완료와 함께 필름되감기용 조작부재를 원래대로 되돌려놓은 경우를 상정하면 예를 들어 15장을 찍을 수 있는 짧은 필름의 경우 되감기에 필요한 시간이 아주 짧으므로 되감기 완료와 함께 필름 되감기용 조작부재를 원래대로 되돌려놓은 시점에서 상기 타이머 시간이 경과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모터 회전방향전환스위치는 전회전측으로 전환되고 있으나 간헐스프로켓가 정규의 정지위치에 정지하고만 있다면 필름되감기용 조작부재를 원래대로 되돌려 놓은 시점에서 필름감기정지기구가 작동하여 모터를 정지시키는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상기 타이머 시간이 경과하지 않아도 모터가 전회전할 우려는 없다.
그러나 간헐스프로켓의 정지위치가 필름감기정지기구가 작동하는 정규의 정지위치에서 어긋나 있을 경우 상기 타이머시간이 남아있으면 모터가 전회전하고 되감겨져 있는 필름을 카트리지 본체 내로부터 다시 송출해버리는 불리함이 생기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사정에 비추어 볼 때 본 발명은 각 프레임의 필름급송방향의 길이를 규정하는 긴 간격과 프레임 상호간의 간격을 규정하는 짧은 간격 등이 교호로 주어진 퍼포레이션열을 갖춘 필름을 사용하는 카메라에 있어서 필름되감기 후에 정지하는 간헐스프로켓의 정지위치의 위치가 어긋남으로써 생기는 불리함을 해소한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는, 외주면에 필름의 퍼포레이션에 계합하는 이(齒)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급송되는 필름에 외주면이 마찰 계합하여 종동회전하는 마찰회전영역과 퍼포레이션에 이(齒)가 계합하여 종동회전하는 계합회전영역을 갖는 간헐스프로켓;
필름감기 시에는 필름이 1프레임분 급송되는 동안의 간헐스프로켓의 종동회전에 따라서 스타트 위치에서 1보씩 회전하여 촬영프레임수를 표시하고, 또 필름되감기 시에는 간헐스프로켓의 필름감기와 반대방향의 종동회전에 따른 스타트 위치로 되돌아가는 카운터판; 및
필름되감기 시에 카운터판이 스타트 위치에 되돌아 왔다는 것을 검지하여 간헐스프로켓을 소정위치로 고정시키는 잠금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1).
상기 잠금기구는,
외주면의 소정 각도위치에 고정부를 갖추고 간헐스프로켓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잠금용 회전부재;
이 회전부재의 고정부에 계합할 수 있는 클로를 갖추고 이 클로의 상기 고정부에 대한 계합으로부터 회전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위치와 상기 클로가 고정부에 계합불능인 후퇴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부재의 록을 통하여 간헐스프로켓을 소정 위치에 고정하는 잠금레버;
카운터판이 스타트 위치 이외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잠금레버를 상기 후퇴위치에 고정하고 카운터 판이 스타트 위치로 되돌아왔을 때에 잠금레버를 개방하여 이 잠금레버의 상기 록 위치로의 회동을 허용하는 캠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청구항2).
이 경우 잠금레버의 클로가 갈고리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회전부재의 고정부가 잠금레버의 클로에 삽입되어 임의로 계합가능한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3).
상기 캠부재는 카운터판에 설치할 수 있다 (청구항4).
또, 잠금레버에 탄성아암을 일체로 설치함과 동시에 카운터판에 이 카운터판의 스타트 위치로의 복귀에 동반하여 상기 탄성아암에 계합할 수 있는 잠금레버가압돌기를 설치하고 잠금레버가압돌기가 탄성아암에 계합하여 이를 탄성변형시킴으로써 잠금레버에 잠금위치로 향하는 가압력이 부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청구항5).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2개의 퍼포레이션에 각각 계합하는 2개의 이(齒)가 외주면에서 돌출하여 설치되고 급송되는 필름에 상기 외주면이 마찰계합하여 종동회전하는 마찰회전영역, 상기 퍼포레이션에 상기 2개의 이(齒)가 계합하여 종동회전하는 계합회전영역 등을 갖는 간헐스프로켓; 필름 감기방향으로의 급송에 종동하여 간헐스프로켓이 정회전할 때에 상기 계합회전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간헐스프로켓이 회전하는 동안에 그 회전에 연동하여 셔터구동을 행하는 셔터구동기구; 필름되감기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간헐스프로켓과 셔터구동기구 등의 연동을 끊고 필름의 되감기 방향으로의 급송에 연동하여 간헐스프로켓이 역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전환수단; 필름되감기를 행하고 간헐스프로켓의 2개의 이(齒)가 필름의 가장 선두측에 있는 2개의 퍼포레이션에서 이탈한 후 필름의 선단이 간헐스프로켓에서 이탈하기까지의 사이에 상기 2개의 이(齒)가 셔터구동기구를 구동하는 구간 이외의 위치로 간헐스프로켓의 역회전을 저지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최후 프레임의 촬영종료 후 필름되감기 조작이 행해진다. 이 조작에 응답하여 전환수단이 간헐스프로켓과 셔터구동기구 등의 연동을 끊고 간헐스프로켓의 역회전을 허용한다. 사진필름이 되감겨지면 간헐스프로켓이 퍼포레이션에 도달하기까지 사진필름에 외주면이 마찰계합하여 종동회전하고 그 후에 한 쌍의 이(齒) 중 선행의 이가 사진필름에 당접한 상태에서 정지하고 한 쌍의 퍼포레이션이 도달하는 것으로 한 쌍의 이에 맞물려 종동회전하는 간헐적인 회전을 행하면서 필름을 감을 때와 역으로 회전한다.
사진필름의 가장 선두에 있는 2개의 퍼포레이션이 간헐스프로켓의 2개의 이(齒)에서 이탈 후 간헐스프로켓은 사진필름에 외주면이 마찰계합하여 종동회전하고 그 후 한 쌍의 이(齒) 중 선행의 이(齒)가 사진필름에 당접한 상태에서 정지하고 필름선단이 없어짐으로써 또 마찰계합하여 종동회전한다. 그 후 잠금수단은 2개의 이(齒)가 셔터구동기구를 구동하는 직전의 위치 즉 구동완료위치에서 상기 간헐스프로켓의 역회전을 잠근다. 이 상태는 필름선단이 간헐스프로켓에서 이탈하기까지의 사이에서 록수단이 마찰회전영역을 필름의 급송로로 향한 상태 즉 2개의 이를 필름의 급송로에서 후퇴시킨 상태이므로 셔터구동수단의 스프링가압에 의한 부하가 생기지 않는 위치로 된다. 따라서 새로운 사진필름을 장전하여 필름선단을 송출하여도 불리함이 생기는 일은 없다. 더구나 필름되감기 시에 간헐적으로 종동회전하는 간헐스프로켓의 역회전만을 잠그고 필름감기 시에 간헐적으로 종동회전하는 간헐스프로켓의 정회전을 허용하고 있으므로 다음 번의 필름감기가 지장 없이 행해진다.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발명에서는 의하면 필름되감기 시에 카운터판이 스타트 위치로 돌아온 것을 감지하여 간헐스프로켓을 소정위치로 고정하는 잠금기구를 갖추고 있으므로 새로운 필름카트리지를 카메라에 장진하고 필름의 선단을 카트리지 본체 내로부터 송출하도록 할 때 필름선단이 간헐스프로켓의 이(齒)에 걸려 필름감기를 행할 수 없다는 불리함이 생길 우려가 없고, 또, 필름 감기의 도중에 필름감기정지기구가 작동하고 모터가 정전하여 버린다는 사태가 발생할 우려도 없다.
더욱이 필름되감기에 의해 카운터판이 스타트 위치로 돌아온 때에 간헐스프로켓이 정지하는 위치가 규정되어 있으면 이 위치에서 모터를 확실히 정지시키는 기구를 간헐스프로켓과 연동시켜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의 최후 1프레임의 촬영이 완료된 후, 촬영자가 곧 필름 되감기용 조작부재를 조작하여 모터 회전방향전환스위치를 역회전측으로 전환하고 모터를 역회전시켜 필름을 카트리지 본체 내에 되감고 되감기 완료와 함께 필름되감기용조작 부재를 원래대로 되돌린 시점에서 타이머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라도 모터가 정회전하여, 되감겨져 있는 필름을 카트리지 본체 내에서 다시 송출하여 버린다는 불합리가 생길 우려가 없어진다.
특허청구범위 제2항의 발명에서는 카운터판이 스타트 위치 이외의 위치에 있을때에 잠금레버를 후퇴위치에서 고정하고 카운터판이 스타트위치에 되돌아왔을 때에 잠금레버를 개방하여 이 잠금레버의 잠금위치로의 회동을 허용하는 캠부재를 갖추고 있으므로 카운터판이 스타트위치로 돌아왔을 때에 간헐스프로켓을 소정위치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특허청구범위 제3항의 발명에서와 같이 잠금레버의 클로를 갈고리형상으로 형성하고 또 간헐스프로켓에 연동하는 회전부재의 계합부를 상기 클로에 끼워 맞추어 임의대로 계합 가능한 갈고리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클로와 계합부의 계합이 보다 견고해지고 잠금레버에 의한 회전부재의 잠금을 통하여 간헐스프로켓의 고정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특허청구범위 제4항의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캠부재를 카운터판에 설치함으로써 카운터판이 스타트 위치로 돌아온 것을 검지하는 기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그 만큼 가격의 저렴화 시도할 수 있다.
또한, 특허청구의범위 제5항의 발명에서와 같이 잠금레버에 탄성아암을 일체로 설치하고 이 탄성아암을 탄성변형시킴으로써 잠금레버에 잠금위치로 향하는 가압력이 부여되도록 구성한 경우는 잠금레버의 가압수단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그만큼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카메라에 사용되는 필름을 카트리지 본체에서 인출한 상태로 도시한 필름카트리지의 정면도이다.
이 필름카트리지(10)는 이 카트리지본체(11) 내에 필름(12)을 권취하는 스풀(13)을 구비하며 이 스풀(13)을 모터로 필름송출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필름(12)을 그 선단(12a) 측에서 외부로 송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필름(12)에는 그 긴 방향에 따른 한쪽의 모서리에 프레임위치결정용 퍼포레이션열(14a∼14z)이 필름급송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들 퍼포레이션(14a∼14z)은 각 프레임의 선두에 대응하는 위치와 후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데 1프레임마다 2개씩 설치되며 이들 2개 퍼포레이션 사이에, 예를 들면 퍼포레이션(14b,14c) 사이에 각 프레임, 예를 들면 프레임(15a)이 촬영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퍼포레이션열(14a∼14z)은 프레임(15a∼15m)의 상호 간의 간격을 결정하기 위한 짧은 간격(L1)과 각 프레임(15a∼15m)의 필름 급송방향의 길이를 정하기 위한 긴 간격(L2)의 2종류 간격으로 교호로 배열되어 있고 또 필름 선단(12a) 측으로부터 짧은 간격(L1) 및 긴 간격(L2)의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카메라 측에서는 긴 간격(L2)의 퍼포레이션 사이의 중심에 촬영구멍의 긴 쪽 방향의 중심을 맞추도록 필름(12)의 급송을 행하고 촬영구멍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촬영프레임(15a∼15m)이 형성된다. 1프레임 급송길이는 (L1+L2)가 된다.
최후의 프레임(15m)의 필름후단(12b) 측에는 퍼포레이션열(14a∼14z)이 형성되어 있는 모서리와 반대측의 모서리에 필름단부검출용의 퍼포레이션(16)이 형성되어 있다. 최후의 퍼포레이션(14z)와 필름단부 검출용의 퍼포레이션(16)과의 필름급송 방향의 간격은 상기 짧은 간격(L1)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있다.
도2는 이 카메라의 필름 감기 및 되감기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촬영구멍(17)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카트리지실이 우측으로는 필름권취실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촬영구멍(17)은 배후를 통하는 필름통로와 함께 촬영렌즈(18)측으로 오목한 면을 향한 만곡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카트리지실에는 필름카트리지(10)가 스풀(13)의 축방향에 따라 장전되어 있다. 스풀축의 일단에는 카트리지 본체(11)의 단면에서 외부로 노출하는 키홈을 갖춘 축공(19)이 형성되고 이 축공(19)에 카트리지실에 설치된 구동축(20)이 계합하고 모터에 의한 구동축(20)의 회동에 의해 스풀(13)이 회동된다.
카트리지 본체(11)에는 그 필름출입구(21)의 내부에 차광하는 문이 내장되어 있다. 이 차광문은 필름출입구(21)를 막는 닫힘위치와 필름출입구(21)를 여는 열림위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차광하는 문의 일단에는 카트리지본체(11)의 단면에서 외부로 노출하는 키 홈(22)이 형성되고 이 키 홈(22)에는 카트리지 실에 설치된 차광문개폐용의 구동축(23)이 계합한다. 이 구동축(23)은 카트리지실의 덮개부재를 닫힘(閉)위치에 잠그는 키부재의 조작에 연동하고 있고 키 부재가 덮개부재를 잠그는 위치로 조작된 때에는 차광 문부재를 열림위치로, 키부재가 비잠금, 위치로 조작된 때에 문부재를 닫는 위치로 각각 회동한다.
이들 구동축(20,23)은 카트리지실의 안에 돌출되어 있고 카트리지실의 덮개부재를 열어 필름카트리지(10)를 스풀(13)의 축방향에서부터 장전하였을 때에는 스풀(13)의 키 홈을 갖춘 축공(19)에 스풀 구동용의 구동축(20)이, 또 키 홈(22)에 문부재 개폐용의 구동축(23)이 각각 순조롭게 계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키 부재에 의한 카트리지실의 덮개부재의 록조작에 연동하여 차광문이 열림(開) 위치로 회전한 후에 필름급송용모터(24)의 전회전방향으로의 구동이 개시된다. 이 모터(24)의 구동은 기어의 열(列) 등에 의해 감속되어 구동축(20)에 전달되고 스풀(13)이 필름송출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카트리지 본체(11) 내에서 송출된 필름(12)은 필름 통로에 따라 촬영구멍(17)의 배후를 통하여 필름권취실에 보내어진다.
필름권취실에는 권취축(25)이 회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권취축(25)에는 모터(24)의 구동이 기어열(列) 등에 의해 감속되어 전달되고 송출된 필름(12)을 선단(12a)에서 권취한다. 모터(24)와 권취축(25)의 사이에는 슬립기구가 조합되어 있다. 이 슬립기구에 의해 필름(12)의 권취에 따라 두꺼워진 권취축(25)의 회전과 모터(24)의 회전축의 차이가 흡수된다.
최후의 프레임(15m)의 촬영이 완료한 후에는 필름되감기 조작부재(52)(후술함)의 조작에 의해 모터(24)가 역회전구동되고 필름되감기조작이 행해진다. 이때에는 권취축(25)과의 사이에 조합된 클러치(26)에 의해 권취축(25)에 역회전구동이 전달되지 않고 따라서 필름(12)은 스풀(13)의 필름권취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카트리지 본체(11) 내에 수용된다.
촬영렌즈(18) 측에서 보아 촬영구멍(17)의 상방에서, 또 촬영광축(18a) 보다도 필름권취실 측에 가까운 위치에는 간헐스프로켓(27)이 회전가능하게 조합되어 있다. 이 간헐스프로켓(27)은 짧은 간격(L1)으로 나열된 한 쌍의 퍼포레이션(14)이 이동하였을 때에 순차치합(齒合)하는 2개의 이(27a,27b)를 갖추고 있고 이들 이(27a,27b)의 외주면의 회전궤적은 필름통로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간헐스프로켓(27)의 하방에는 필름(12)의 단부검출용 퍼포레이션(16)에 계합하는 필름 단부검출클로(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필름 단부검출클로(50)는 퍼포레이션(16)에 계합하는 계합위치와 앞으로 후퇴하는 후퇴위치의 사이를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고 스프링(51)에 의해 계합위치를 향해 가압되어 있다. 이 필름 단부검출클로(50)가 퍼포레이션(16)에 계합함으로써 그 이상의 필름감기가 저지된다. 또 도1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필름선단(12a)의 퍼포레이션(16)의 연장선에는 테퍼면(12c)이 형성되어 필름단검출클로(50)가 필름(12)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배려가 있다.
도3은 간헐스프로켓(27)을 그 축선에 수직평면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4 및 도5는 각각 도3의 IV-IV 선 및 V-V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퍼포레이션열(14a∼14z)의 짧은 간격(L1)으로 맞춰지는 한 쌍의 이(27a,27b)를 외주면에 갖춘 간헐스프로켓(27)에는 그 외주면 중 한 쌍의 이(27a,27b) 및 이들 이(27a,27b) 사이의 면을 제외한 길이(L3)의 외주면에 필름(12)과의 마찰저항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무부재(28)가 노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길이(L3)는 퍼포레이션열(14a∼14b)의 길이 간격(L2) 이하로 되어 있다. 그 짧은 간격(L1)으로 나열한 퍼포레이션(14)에 한 쌍의 이(27a,27b)가 계합하여 종동회전하는 계합회전영역이 도3에 나타내는 원주길이(L1)이고 또 급송되는 필름(12)에 고무부재(28)가 마찰계합하여 종동회전하는 마찰회전영역이 원주길이(L3)이다.
간헐스프로켓(27)은 필름(12)의 급송에 종동하여 회전하지만 필름감기 시에 필름(12)이 1프레임분 급송되고 필름감기정지기구(후술)가 작동하여 필름급송이 정지한 시점에서 회전이 정지된다. 이때에는 회전방향에 따라 선행하는 이(27a)가 퍼포레이션(14)에서 나오고 후속의 이(27b)가 퍼포레이션(14)에 계합한 프레임정지위치의 상태가 된다.
프레임부재(28)가 필름(12)을 1프레임 급송하는 사이에 한 쌍의 이(齒)(27a,27b)가 퍼포레이션(14)에서 빠져 나온 구간에서 필름(12)과의 사이에 생기는 마찰에 의해 간헐스프로켓(27)을 종동회전시켜 선행하는 이(齒)(27a)가 필름(12)에 당접하여 간헐스프로켓(27)의 종동회전이 금지된 후에는 선행하는이(齒)(27a)가 다음의 대응하는 퍼포레이션(14)에 계합하기까지의 사이에서 슬립시키면서 필름(12)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6은 본 발명 카메라의 필름급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간헐스프로켓(27)의 회전은 이 간헐스프로켓(27)과 동축으로 설치된 기어(30)와 이에 맞물리는 기어(31) 등을 거쳐 셔터구동기구, 필름감기정지기구, 카운터기구 및 잠금기구 등에 전달된다. 셔터구동기구 및 필름감기정지기구는 셔터구동캠(33) 원판상의 감기정지용 회전부재(34), 고정레버(35), 셔터구동레버(36) 및 스프링(37)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셔터구동캠(33) 및 감기정지용 회전부재(34)는 기어(31)와 함께 캠축(32)에 고정되어 간헐스프로켓(27)의 회전에 연동한다. 감기정지용 회전부재(34)는 외주면의 소정위치에 홈(34a)을 갖추고 있다.
고정레버(35)는 축(38)의 주위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고정레버(35)에는 도10 및 도11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계합단부(35a), 압압베어링(受)부(35b), 상향편(35c), 하향돌기(35d) 및 스위치 압압편(35e)등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계합단부(35a)의 회동궤적 내에는 간헐스프로켓(27)의 프레임정지위치로 감기정지용 회전부재(34)의 홈(34a)이 위치한다. 고정레버(35)는 셔터구동 완료 후에 그 계합단부(35a)가 홈(34a) 내에 계입하여 회전부재(34)의 회전을 저지하는 감기정지위치로 회동하고(도10 참조) 이에 의해 회전부재(34)의 도6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저지하여 간헐스프로켓(27)의 시계방향의 회전을 저지한다. 또 고정레버(35)는 셔터릴리스 완료 후에 계합단부(35a)가 홈(34a)에서 후퇴하여 간헐스프로켓(27)의 록을 해제하는 감기정지해제위치로 회동한다(도11 참조).
비틀림 스프링(37)은 그 일단(37a)이 고정레버(35)의 하향편(35c)에 고정되고 타단은 셔터구동레버(36)의 스프링베어링(36d)에 고정되어 고정레버(35)를 축(38)의 주위에서 감기정지위치로(도면의 시계방향으로) 가압한다. 또, 고정레버(35)의 스위치 압압편(35e)은 고정레버(35)가 감기정지해제위치로 회동한 때에 스위치(46)를 ON으로 한다.
고정레버(35)의 하향돌기(35d)는 셔터구동레버(36)가 구동위치로 회동한 때에 그 상향돌기(36c)의 회동궤적 내에 개입하여 돌기(36c)에 계합하고 셔터구동레버(36)를 구동위치로 보지한다(도10 참조). 고정레버(35)의 하향편(35c)은 셔터릴리스에 의해 밑으로 눌리는 셔터버튼(39)의 하부에 설치된 로드(39a)에 의해 감기 정지 해제 위치를 향하여 압압된다. 또한, 고정레버(35)가 감기정지 해제위치로 이동한 때에는 그 하향돌기(35d)가 셔터구동레버(36)의 상향돌기(36c)의 회동궤적 내에서 후퇴하고 셔터구동레버(36)의 구동위치에서의 보지를 해제한다.
셔터버튼(39)은 예컨대 카메라 몸체의 상면일부를 잘라 형성된 탄성을 갖는 버튼이고 그 하방으로 셔터버튼(39)에 눌려 ON이 되는 스위치(40)가 배치되고 있다.
셔터구동캠(33)의 회전궤적 내에는 셔터구동레버(36)의 계합단부(36a)가 임하고 있다(도11 참조). 이 셔터구동레버(36)에는 계합단부(36a) 외에 숙비(발로 차서 날려버림)편(36b) 상향돌기(36c) 비틀림스프링(37)의 타단을 고정하는 스프링베어링(36d) 및 압압베어링(36e)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축(41)의 주위에서 비틀림스프링(37)에서 릴리스 위치를 향하여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회동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셔터구동레버(36)는 그 계합단부(36a)가 셔터구동캠(33)으로 눌려 구동되는 구동위치(도10)와 이 위치에서 비틀림스프링(37)의 가압력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릴리스 완료위치(도11)의 사이에서 회동된다.
셔터구동레버(36)의 숙비편(36b)은 셔터구동레버(36)가 구동위치에서 스프링(37)의 가압력으로 릴리스 완료위치로 회전하는 도중에서 셔터블레이드(42)를 날려 버린다. 이로 인해 셔터블레이드(42)를 스프링(4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축(43)의 둘레로 도6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셔터개구(44)를 노출시킨다. 이후에는 스프링(45)에 의해 순식간에 원래위치로 되돌아온다. 셔터구동레버(36)의 상향돌기(36c)는 셔터구동레버(36)가 릴리스 완료위치로 회전한 때에 고정레버(35)의 하향돌기(35d)의 회동궤적 내에 개입하여 고정레버(35)를 감기정지해제위치에 보지한다(도11).
필름 1프레임 급송에 의해 간헐스프로켓(27)이 회전하는 도중에 셔터구동캠이 셔터구동레버(36)를 스프링(37)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릴리스 완료위치에서 구동위치를 향하여 회동된다. 이 때문에 셔터구동이 한 쌍의 이(27a,27b)와 퍼포레이션(14)등이 계합하고 있는 사이의 간헐스프로켓(27)의 회전력으로 행해지듯이 셔터구동캠(33)의 형상이 고려되고 있다. 이로 인해 필름 1프레임분의 이송에 의해 간헐스프로켓(27)이 프레임정지위치로 되면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구동캠(33)이 셔터구동레버(36)의 계합단부(36a)의 회동궤적을 통과한 위치에서 정지하기 위해 그 후의 셔터 릴리스에 의해 셔터구동레버(36)가 릴리스 완료위치로 회동할 수 있다.
카운터기구는 캠축(32)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하나의 이를 갖는(一齒)기어(48)와 이 기어(48)가 치합하는 치부(49a)를 외주에 갖춘 카운터판(49)으로 구성되어 있다. 1이기어(48)는 간헐스프로켓(27)의 1회전으로 카운터 판(49)을 한눈에 알 수 있는 눈금만큼 진보시킨다. 카운터판(49)은 셔터구동레버(36)가 설치되어 있는 축(41)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면에 눈금이 표시되어 있다. 이 눈금은 한번 진보하는 때마다 카메라체의 외면에 설치된 표시창(58)을 통해 촬영 프레임 수를 순산식으로 표시한다.
모터(24)는 고정레버(35)가 감기정지해제위치로 회동한 때에 스위치(46)가 ON되고 또 셔터버튼(39)의 압압 조작완료 후에 스위치(40)가 OFF 됨으로써 필름(12)을 필름감기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전회전구동한다. 그리고 필름(12)의 1프레임 이송으로 고정레버(35)가 감기정지위치로 회동하여 스위치(46)가 OFF 됨으로써 모터(24)가 정지된다.
촬영 완료 후의 필름되감기는 카메라 몸체의 외면에 노출된 필름되감기 조작부재(52)를 촬영자가 통상위치에서 되감기위치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개시된다. 이 되감기조작부재(52)에는 2개의 압압부(52a,52b)와 스위치 압압편(52c) 등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압압부(35)의 압압베어링(35b)과 셔터구동레버(36)의 압압베어링(36e) 등을 각각 압압하고 고정레버(35)를 감기정지해제위치로 또 셔터구동레버(36)를 구동위치로 각각 강제적으로 회전시키고 이 상태로 보지한다. 이에의해 필름감기정지기구 및 셔터구동기구에 대한 간헐스프로켓(27)에서의 구동전달이 단절되고 간헐스프로켓(27)은 회전이 자유롭게 된다.
되감기조작부재(52)가 되감기 위치로 이동한 때에 그 스위치 압압편(52c)이 모터 정·역회전 전환스위치(53)를 역회전측으로 전환하고 모터(24)를 회전구동시킨다. 이 필름되감기에 의해 간헐스프로켓(27)이 퍼포레이션(14)에 계합하면서 회전하고 1이기어(48)가 카운터판(49)을 스타트 위치로 향하여 역회전시킨다.
필름되감기가 완료되면 필름선단(12a)이 간헐스프로켓(27)에서 탈출하므로 간헐스프로켓(27)이 정지된다. 이 정지위치에는 차이가 있으나 간헐스프로켓(27)의 1회전 중 셔터구동을 행하는 구간에서 정지한다. 이 경우 간헐스프로켓(27)의 정지위치가 규정의 정지위치에서 어긋나 있으면 전술한 바와 같이 규정매수대로의 촬영을 할 수 없고 다음 필름의 급송을 할 수 없는 등의 불리함이 생긴다.
여기서 필름선단(12a)이 간헐스프로켓(27)에서 탈출한 사이에 간헐스프로켓(27)을 초기위치로 잠그기 위한 잠금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잠금기구는 캠축(32)에 고정설치된 원판형의 잠금용 회전부재(54)와 축(3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잠금레버(55)와 카운터판(49)의 뒷면에 일체로 형성된 잠금레버가압돌기(56) 및 C링 형상의 잠금레버 작동캠(57)으로 구성되어 있다.
잠금용회전부재(54)는 1이기어(48)와 감기정지캠(34)과의 사이의 위치에 캠축(32)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그 외주면(54b)의 소정위치에는 갈고리상의 고정부(54a)가 설치되어 있다.
잠금레버(55)는 도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레버(35)가 설치되어 있는 축(38)에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된 원환상부(55a)와 이 원환상부(55a)에서 서로 소정 각도 간격의 라디알 방향으로 돌출하는 고정아암(55b)와 탄성아암(55c)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 아암(55b)의 선단에는 갈고리상의 클로(55d)가 형성되고 잠금 레버(55)는 그 클로(55d)가 상기 회전부재(54)의 갈고리상의 고정부(54a)에 계합하는 잠금위치(도9)와 클로(55d)가 고정부(54a) 내에서 탈출한 후퇴위치(도4)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축(38)에 설치되어 있다. 또, 잠금레버(55)의 고정아암(55b)에는 상향돌기(55e)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용회전부재(54)가 갖추고 있는 갈고리상의 고정부(54a)는 간헐스프로켓(27)의 필름 감기에 종동한 회전방향에서는 잠금레버(55)의 클로(55d)에 계합하지 않고 간헐스프로켓(27)이 필름되감기 시에 상기 회전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종동회전 함에 의해 상기 갈고리상의 클로(55d)에 삽입, 임의로 계합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클로(55d)는 필름되감기의 최종단계에서 상기고정부(54a)에 계합하면서 간헐스프로켓(27)을 소정의 초기위치에 정지시킨다. 이 초기 위치는 프레임정지위치에서 필름 감기에 종동하여 회전하는 방향으로 조금씩 회전하고 한 쌍의 이(27a,27b)가 한 쌍의 퍼포레이션(14)으로부터 벗어난 위치 즉, 이(27a,27b)가 필름 통로에서 후퇴한 위치에 설정된다.
잠금용회전부재(54)는 간헐스프로켓(27)이 필름감기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그 외주면(54b)이 클로(55d)를 압압하여 잠금레버(55)를 후퇴위치로 향하게 회동시키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카운터판(49)의 뒷면에 일체로 형성된 잠금레버 작동캠(57)은 간극부(57b)를 갖춘 C링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필름(12)의 되감기 중에 간헐스프로켓(27)의 2개의 이(27a,27b)가 필름(12)의 가장 선두측에 있는 2개의 퍼포레이션(14a,14b)에서 이탈한 후, 필름선단(12a)이 간헐스프로켓(27)에서 이탈하기까지의 사이 즉, 카운터판(49)이 스타트위치, 예를 들면 표시창(58)에 기호「S」를 표시하는 위치로 되돌아오기 직전에 잠금레버작동캠(57)은 그 간극부(57b)를 잠금레버(55)의 상향돌기(61b)의 회전궤적 내에 위치시키고 잠금레버(55)의 잠금위치로의 회동을 허용한다. 또 그것 이외일 때 즉, 필름(12)이 간헐스프로켓(27)을 통과하고 있을 때에는 잠금레버작동캠(57)은 그 C링의 내벽면(57a)에 잠금레버(55)의 상향돌기(55e)를 계합시키고 잠금레버(55)의 위치로의 회동을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잠금레버작동캠(57)과 함께 카운터판(49)의 이면에 일체로 형성된 잠금레버가압돌기(56)는 필름되감기 중 카운터판(49)이 스타트 위치로 돌아오기 직전에 잠금레버(55)의 탄성아암(55c)을 압압하여 잠금레버(55)를 잠금위치로 향하여 가압한다. 이러한 가압에 의해 필름(12) 되감기 중에 필름선단(12a)이 간헐스프로켓(27)에서 이탈하기 직전에 잠금레버작동 캠(57)의 간극부(57b)가 잠금레버(55)의 상향돌기(55e)의 회동궤적 내에 위치함과 동시에 잠금레버(55)의 잠금위치로의 회동이 허용된다. 그리고 카운터판(49)이 스타트 위치로 돌아온 시점에서 잠금레버(55)의 클로(55d)가 잠금용회전부재(54)의 고정부(54a)에 고정하고(도9) 간헐스프로켓(27)은 초기위치에 고정된다. 즉, 이 고정부(54a)는 잠금레버(55)의 클로(55d)와 함께 간헐스프로켓(27)의 필름 되감기에 종동하는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역회전저지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간헐스프로켓(27)이 프레임정지위치에 있을 때에는 감기정지용 회전부재(34)의 홈(34a)이 고정레버(35)의 계합단부(35a)의 회동궤적 내에 위치한다. 이동안 셔터구동이 행해지고 셔터구동레버(36)가 구동위치로 회동함으로써 고정레버(35)가 감기정지 위치를 향하여 회동하고 그 계합단부(35a)가 감기정지용 회전부재(34)의 홈(34a)에 개입하여 간헐스프로켓(27)의 회전을 저지한다. 홈(34a)은 필름되감기 시에 회전하는 방향으로 폭이 넓다. 이로 인해 간헐스프로켓(27)이 상기 소정의 초기위치에 있을 때에도 홈(34a)이 고정레버(35)의 계합단부(35a)의 회동궤적 내에 위치하고 있고 필름되감기 조작부재(52)를 통상위치로 되돌리면 고정레버(35)의 계합단부(35a)와 함께 간헐스프로켓(27)의 필름 감기에 종동하는 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는 전회전저지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또 간헐스프로켓(27)이 초기위치에 있을 때에는 셔터구동캠(33)이 셔터구동레버(36)의 계합단부(36a)의 회동궤적을 통과한 위치에서 정지하기 위해 그 후의 셔터 릴리스에 의해 셔터구동레버(36)가 릴리스 완료위치로 회동할 수 있고 비틀림 스프링(37)의 가압력에 의해 생기는 부하(負荷)가 간헐스프로켓(27)에 주어지는 일이 없다.
다음에 도7은 모터(24)의 제어회로를 나타내고 도8은 그 타이밍 챠트이다.
이 회로에서는 필름감기. 되감기용 모터(24)의 전원인 전지(24a)와 모터구동회로의 사이에 콘덴서(24b)가 있다. 그리고 도8에 나타낸 시점 t1에 있어서는 셔터버튼(39)의 압압조작에 따른 스위치(40)의 ON 동작에 의해 스위치(40)의 접점(40a,40b) 사이가 접속되면 콘덴서(24b)의 구동이 개시되고 시점 t2에 있어서는 셔터버튼(39)의 압압조작의 종료에 따른 스위치(40)의 OFF 동작에 의해 스위치(40)의 접점(40a, 40c)사이가 접속되고 콘덴서(24b)의 구동회로가 끊어짐과 동시에 구동전압이 트랜지스터(24c)의 베이스에 인가되도록 되어 있다.
또, 스위치(46)는 시점(t1)에 있어서 셔터버튼(39)의 압압조작에 따라 고정레버(35)가 감기정지 해제위치로 회동한 때에 고정레버(35)에 의해 ON 되어 접점(46a,46b) 사이가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시점(t2)에 있어서는 셔터버튼(39)의 압압조작의 종료와 함께 스위치(40)의 접점(4Oa,40c) 사이가 접속되면 콘덴서(24b)의 구동전압에 의해 모터구동회로의 트랜지스터(24c,24d)가 ON 되고 모터(24)의 전회전구동이 개시되어 필름이 1프레임 감겨진다.
그리고 필름 1프레임분의 감기가 종료된 시점(t3)에 있어서는 필름 감기정지기구가 작동하여 고정레버(35)가 도10에 도시된 위치로 회동됨으로써 스위치(46)가 OFF 되고 스위치(46)의 접점(46a,46c)의 사이가 접속됨으로써 모터(24)의 전회전구동이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필름 최후의 1프레임의 촬영이 완료한 후의 필름 감기에서는 간헐스프로켓(27)이 회전하지 않으므로 필름 감기정지기구가 작동하지 않고 스위치(46)가 OFF 되지 않는다. 거기서 스위치(46)가 OFF 되지 않아도 모터(24)의 전회전구동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키기 위한 타이머로서 상기 콘덴서(24b)가 설치되어 있고콘덴서(24b)에 구동된 전압이 일정레벨까지 하강한 시점(t4)에서 모터(24)의 전회전구동이 자동적으로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되감기 조작부재(52)에 의해 모터 정·역회전 전환스위치(53)가 역회전측으로 전환되면 모터(24)가 역회전구동되고 필름(12)이 되감기고 필름되감기 후 되감기조작부재(52)가 원래대로 되돌아감으로써 필름감기정지기구가 작동하고 모터(24)를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하기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을 갖는 필름급송기구의 동작에 대하여 도9∼도1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카메라 하부덮개를 열어 필름카트리지(10)를 장전하고 하부덮개를 닫으면 이 닫음(閉)조작에 연동하여 차광문 구동축(23)이 회전하여 카트리지 본체(11)의 차광문을 열림(開)위치로 회동시킨다. 이때 카운터판(49)은 스타트 위치로 되돌아간다. 카운터판(49)의 뒷면에 형성되어 있는 캠(57)의 간극부(57b)가 잠금레버(55)의 상향돌기(55e)의 회동궤적 내에 위치하고 있고 잠금레버가압돌기(56)가 잠금레버(55)의 탄성아암(55c)을 압압하여 가압시킴으로써 잠금레버(55)는 잠금위치로 회동하고 그 클로(55d)가 잠금용 회전부재(54)의 고정부(54a)에 계합하고 캠축(32)의 시계방향으로의 회동을 저지하고 이로 인해 간헐스프로켓(27)의 반시계방으로의 회동을 저지하고 있다. 그리고 간헐스프로켓(27)는 한 쌍의 이(27a,27b)가 필름(12)의 급송궤적 상에서 종동방향을 따라 후퇴한 초기위치에 정지하고 있다.
이때 필름감기정지기구 및 셔터구동기구는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레버(35)가 감기정지위치에 있는 상태로 되어 있고 고정레버(35)의 계합단부(35a)가 감기정지용회전부재(34)의 홈(34a)에 계합하여 캠축(32)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동을 저지하고 이로 인해 간헐스프로켓(27)의 시계방향으로의 회동을 저지하고 있다. 또 고정레버(35)는 그 하향돌기(35d)를 셔터구동레버(36)의 상향돌기(36c)의 회동 궤적 내에 개입시켜 셔터구동레버(36)를 구동위치에 보지하고 있다.
최초의 필름 감기는 셔터버튼(39)의 압압조작에 의해 개시된다.
도8의 시점 t1에서 셔터버튼(39)이 압압되면 스위치(40)가 ON 되고 도7에 도시된 접점(40a,40b)사이가 접속되므로 전원전지(24a)의 전압에 의해 콘덴서 (24b)로의 구동이 개시된다.
한편, 셔터버튼(39)의 눌러내림 조작에 의해 로드(39c)가 고정레버(35)를 반시계방향으로 압압하여 감기정지해제위치로 회동시킨다.
이때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레버(35)의 하향돌기(35d)가 셔터구동레버(36)의 상향돌기(36c)의 회동궤적 내로부터 후퇴하므로 셔터구동레버(36)의 구동위치에서의 보존이 해제되고 셔터구동레버(36)는 순식간에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셔터블레이드(42)를 치지만 필름(12)이 카트리지 본체(11) 내에서 송출되고 있지 않으므로 필름(12)이 노출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셔터구동레버(36)는 릴리스 완료위치로 이동하여, 고정레버(35)를 감기정지해제위치에 보지한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레버(35)가 감기정지 해제위치로 회동하면 스위치(46)가 ON 된다. 그리고 도8의 시점 t2에서 셔터버튼(39)이 압압 위치에서 원래대로 되돌아왔을 때 스위치(40)가 OFF 되고 접점(40a,40c) 사이가 접속됨으로써 콘덴서(24b)로의 구동이 끊어짐과 동시에 콘덴서(24b)의 단자전압으로 트랜지스터(24c,24d)가 통하여 모터가 전회전구동한다. 이로 인해 필름(12)의 초기 감기가 개시된다. 이 경우, 필름선단(12a)에서 최초의 퍼포레이션(14a)까지의 필름(12)의 길이는 1프레임의 급송길이(L1+L2) 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모터(24)의 전회전구동에 의해 카트리지본체(11) 내에서 송출된 필름(12)은 필름선단(12a)의 테이퍼부(12c)로 필름단부검출클로(50)를 후퇴위치로 누르면서 권취실로 향하여 이동되고 권취축(25)으로 권취된다. 이 필름급송에 의해 간헐스프로켓(27)은 시계방향으로 종동회전하고 퍼포레이션(14a)이 도달하기까지의 사이에 한쌍의 이(27a,27b)중의 선행하는 이(27a)가 필름(12)에 당접한 상태에서 고무부재(28)가 필름(12)에 대하여 슬립하고 필름(12)의 급송을 허용한다.
계속하여 필름(12)이 급송되면 최초의 퍼포레이션(14a)이 도달하고 선행의 이(27a)가 퍼포레이션(14a)에서 엇갈리고 후속의 이(27b)가 다음의 퍼포레이션(14b)에 계합한 도12에 도시된 상태에서 간헐스프로켓(27)의 프레임정지위치가 된다.
또, 이 사이에 셔터구동캠(33)이 셔터구동레버(36)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있고 셔터구동레버(36)가 구동위치로 회동하면 그 상향돌기(36c)가 고정레버(35)의 하향돌기(35d)의 회동궤적 내에서 벗어난다. 이로 인해 고정레버(35)가 스프링(37)의 가압력에 의해 감기정지위치를 향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고정레버(35)의 하향돌기(35d)가 셔터구동레버(36)의상향돌기(36c)의 회동궤적 내에 개입하여 셔터레버(36)를 구동위치에 보지한다(도10).
고정레버(35)가 감기정지위치로 향하여 회동하면 그 계합단부(35a)가 감기정지용 회전부재(34)의 외주에 당접한 위치에서 고정레버(35)의 회동이 정지하고 간헐스프로켓(27)이 프레임정지 위치로 회전한 때에 계합단부(35a)가 홈(34a)에 걸리고 고정레버(35)가 감기정지위치로 회동한다. 고정레버(35)가 감기정지위치로 회동하면 스위치(40)가 OFF 되고 도7에 도시된 접점(46a,46c)사이가 접속되어 도8에 도시된 시점(t3)에서 모터(24)의 전회전구동이 정지된다. 이로 인해 필름감기정지기구 및 셔터구동기구는 도10에 도시된 상태로 돌아오고 초기 필름감기가 완료한다. 그리고 촬영구멍(17)에는 초기의 프레임(15a)이 세트된다.
카운터 기구는 필름초기감기 중의 간헐스프로켓(27)의 회전으로 1이기어(48)가 카운터판(49)을 한 눈금만큼 진행시키므로 최초의 프레임(15a)이 세트된 때에는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창(58)에 촬영프레임수 「1」이 표시된다.
잠금기구는 필름초기감기 중의 카운터판(49)의 진행으로 잠금레버가압돌기(56)가 잠금레버(55)의 탄성아암(55c)에서 떨어진 방향(시계방향)으로 향하여 아주 조금 회동하여 잠금레버(55)에 대한 가압을 완화한 상태로 되어 있다. 잠금레버(55)는 필름초기감기 중의 간헐스프로켓(27)의 회전이 잠금용회전부재(54)에 전달되어 있으므로 회전부재(54)의 외주면(54b)이 클로(55d)를 눌러 후퇴위치로 회전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잠금레버(55)의 상향돌기(55e)는 잠금레버작동캠(57)의 간극부(57b)에 걸리게 된다. 게다가 필름초기감기 중의 카운터판(49)의 진행으로 캠(57)의 극간부(57b)를 구성하는 한편의 단면(57c)(카운터판(49)이 시계방향으로 진행할 때에 회전방향에 접하고 있는 단면)이 상향돌기(55e)에 계합하여 잠금레버(55)가 잠금위치를 향하여 회동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이 단면(57c)은 상향돌기(55e)를 캠(57)의 내벽면(57a)에 순조롭게 들어가기 위해 테퍼면으로 되어 있다.
그 후 셔터버튼(39)의 압압조작을 행함으로써 도1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로드(39a)에 의해 고정레버(35)의 하향편(35c)이 눌려 감기정지해제위치를 향하여 회동되고 이 회동 중에 셔터구동레버(36)의 상향돌기(36c)와 고정레버(35)의 하향돌기(36d)의 계합이 해제 셔터구동레버(36)가 비틀림스프링(37)의 가압력에 의해 릴리스 완료위치를 향하여 회동한다. 그리고 이 사이에 셔터구동레버(36)의 때림(36b)이 셔터구동블레이드(42)를 침으로써 노출이 행해진다.
셔터구동레버(36)는 그것이 릴리스완료위치로 회동한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레버(35)를 감기정지해제 위치에 보지하고 있으므로 다음의 필름감기가 허용됨과 동시에 스위치(46)는 ON으로 되어 있다.
셔터버튼(39)의 압압을 해제하면 스위치(40)가 OFF 되고 모터(24)의 전회전구동이 개시된다. 이 모터(24)의 전회전구동에 의해 카트리지 본체(11) 내의 스풀(13)이 구동축(20)에 의해 필름송출방향으로 회동되어 필름(12)이 송출된다. 그리고 간헐스프로켓(27)이 1회전함으로써 다시 한번 프레임정지위치의 상태가 되고 필름감기정지가 행해진 뒤에 모터(24)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로 인해 2번째의 프레임(15b)이 촬영구멍(17)에 세트되고 이 사이에 셔터구동과 카운터판(49)이 한 눈금만큼 진행한다.
잠금기구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감기 중의 카운터판(49)의 진행에 의해 그 잠금레버가압돌기(56)가 잠금레버(55)의 탄성아암(55c)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향하여 회전함으로써 잠금레버(55)로의 가압력이 거의 삭감된다. 또 필름감기 중의 카운터판(49)의 진행에 의해 잠금레버작동캠(57)의 내벽면(57a)이 잠금레버(55)의 상향돌기(55e)의 외측(캠축(32)측)에 들어가고 잠금레버(55)가 잠금위치를 향하여 회동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다음에는 상술함과 같이 셔터버튼(39)의 압압조작만으로 필름감기가 행해지고 순차적으로 촬영을 행해 나아갈 수 있다. 그리고 최후의 프레임(15m)의 촬영을 완료한 후의 최종필름감기 중에는 필름단부검출클로(50)가 퍼포레이션(16)에 계입하여 필름(12)의 송출방향으로 이송을 저지한다. 그 후, 콘덴서(24b)에 축적된 전압이 일정레벨까지 효과 있는 지점(도8의 시점 t4)에서 모터(24)의 전회전구동이 정지한다.
필름(12)의 최종감기가 완료한 시점에서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운터판(49)이 표시창(58)에 촬영정규매수 예를 들면 「40」을 표시하고 있다. 이때 캠(57)의 내벽면(57a)은 잠금레버(55)의 잠금위치로의 회동을 저지한 상태로 계속한다.
촬영자는 이 표시를 확인한 후에 필름되감기 조작부재(52)를 도15에 도시한 화살표 B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킨다. 이 조작에 의해 되감기 조작부재(52)의 2개의 압압부(52a, 52b)가 고정레버(35) 및 셔터구동레버(36)의 압압베어링(35b,36e)을 각각 압압하고 고정레버(35)를 감기정지 해제위치로 또 셔터구동레버(36)를 구동위치로 각각 회동시킨 상태로 보지된다. 이로 인해 필름감기정지기구 및 셔터구동기구에 대한 간헐스프로켓(27)의 연결상태가 차단되어 간헐스프로켓(27)이 자유로워진다. 또 이때 되감기조작부재(52)가 갖추어져 있는 스위치 압압부(52c)가 모터 정·역회전 전환스위치(53)를 역회전측으로 전환한다.
스위치(53)가 역회전측으로 전환되면 모터(24)의 역회전구동이 개시되고 스풀구동축(20)이 권취방향으로 회전하고 필름(12)이 카트리지 본체(11) 내에 수압된다. 이때 간헐스프로켓(27)이 필름(12)의 되감기 방향으로 종동하여 회전하고 퍼포레이션(14)에 치합하면서 필름감기와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간헐스프로켓(27)의 회전은 카운터기구에 전달되어 1이기어(48)가 카운터판(49)을 스타트위치로 향하여 되돌아가게 한다. 이 사이에 잠금레버 작동캠(57)의 내벽면(57a)이 잠금레버(55)의 잠금위치로의 회동을 저지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필름 되감기가 계속되고 도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카운터판(49)이 표시창(58)에 촬영프레임수 「1」을 표시하는 위치로 되돌려졌을 때에는 필름(12)의 최초프레임(15a)이 촬영구멍(17)을 통과하고 있고 간헐스프로켓(27)의 이(27b)가 퍼포레이션(14b)에 계합하고 있다. 이때 카운터판(49)의 잠금레버가압돌기(56)가 잠금레버(55)의 탄성아암(55c)을 압압하여 잠금레버(55)를 잠금위치로 향하여가압시키지만 캠(57)의 간극부(57b)의 단면(57c)이 잠금레버(55)의 상향돌기(55e)에 계합한 상태이므로 잠금레버(55)의 잠금위치로의 회동을 저지한 상태가 지지되고 있다.
또 이때의 잠금레버가압돌기(56)에 의한 압압력은 탄성아암(62)의 탄성변형에 의해 흡수되어 있으므로 잠금레버(55)가 파손될 우려는 없다.
다음에 퍼포레이션(14b) 및(14a)이 순차적으로 통과하므로 간헐스프로켓(27)이 치합하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회전 중에 1이기어(48)가 카운터판(49)을 한 눈금 분만큼 돌아오게 하여 카운터판(49)이 스타트 위치가 된다. 이 카운터판(49)이 스타트 위치로 돌아옴으로써 캠(57)의 간극부(57b)가 잠금레버(55)의 상향돌기(55e)의 회동 궤적 내에 개입한다. 따라서, 잠금레버(55)의 록 위치로의 회동이 허용되고 게다가 카운터판(49)의 진행으로 잠금레버가압돌기(56)가 탄성아암(55c)을 더욱 탄성변형시키고 있으므로 잠금레버(55)는 잠금위치를 향하여 순간적으로 회동한다. 이때 간헐스프로켓(27)의 회전에 연동하여 잠금용회전부재(5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그리고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부재(54)의 갈고리상의 고정부(54a)가 잠금레버(55)의 갈고리상의 클로(55d)에 계합한 시점에서 회전부재(54)의 시계방향의 회전이 잠겨지게 되고 이 회전부재(54)의 잠김을 통하여 간헐스프로켓(27)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이 잠겨진다. 또, 이 상태에서는 간헐스프로켓(27)의 고무부재(28)가 필름(12)에 접촉하고 있고 그 후의 필름(12)의 되감기는 필름(12)이 고무부재(28)의 표면을 슬립함으로써 허용된다.
촬영이 끝난 필름(12)이 카트리지 본체(11) 내에 전부 수납되면 모터(24)에 걸리는 부하(負荷)가 경감하고 모터음이 변화한다. 이 음의 변화가 촬영자에게 위화감을 주어 표시창(58)의 표시를 볼 수 있게 한다. 촬영자는 표시창(58)의 표시가 「S」를 표시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함으로써 되감기조작부재(52)를 도15에 도시된 화살표 B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하여 필름되감기 조작을 종료시킨다.
되감기조작부재(52)를 슬라이드 조작하면 도15에 도시된 상태에서 필름되감기기구 및 셔터구동 기구의 초기상태인 도10에 도시된 상태로 돌아온다. 즉 되감기조작부재(52)의 2개의 압압부(52a,52b)가 고정레버(35) 및 셔터 구동레버(36)의 압압베어링(35b,36e)에 대한 압압을 각각 해제한다. 이중 압압부(52a)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어 이 압압부(52a)의 압압해제 쪽이 압압부(52b) 보다도 빨리 행해진다. 따라서 고정레버(35)는 스프링(37)의 가압력에 의해 감기정지위치를 향하여 보다 빨리 회동한다.
이 경우 잠금레버(55)에 의해 간헐스프로켓(27)이 정규의 정지위치로 고정되고 감기정지용 회전부재(34)의 홈(34a)이 고정레버(35)의 계합단부(35a)를 계합할 수도 있는 각도위치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고정레버(35)는 스프링 가압력에 의해 감기정지 위치로 회동할 수 있고 이와 함께 스위치(46)가 OFF 되고 모터(24)의 역회전 구동이 정지한다.
그리고 고정레버(35)가 감기정지위치로 보다 빨리 회동함으로써 셔터구동레버(36)가 비틀림스프링(37)의 가압력에 의해 릴리스완료위치를 향하여 회동하는 것보다 먼저 고정레버(35)의 상향돌기(35d)가 셔터구동레버(36)의 상향돌기(36c)의회동궤적 내로 들어가 셔터구동레버(36)를 셔터위치에 보지하여 도10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또, 되감기조작부재(52)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정·역전환스위치(53)가 전회전 측으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는 고정레버(35)의 계합단부(35a)가 감기정지용회전부재(34)의 홈(34a) 내로 들어가 있으므로 간헐스프로켓(27)의 필름감기에 종동하는 회전(전회전)이 저지되고 있다. 이로서 간헐스프로켓(27)은 고정레버(35)로부터의 전회전저지와 잠금레버(55)에 의한 역회전의 저지에 의해 확실히 초기위치에 보존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카메라를 흔들어도 간헐스프로켓(27)이 초기위치로부터 벗어날 우려가 없다.
특히 잠금레버(55)의 클로(55d)가 갈고리상을 갖고 있고 회전부재(54)의 고정부(54a)가 상기 클로(55d)에 삽입되어 임의대로 계합할 수도 있는 갈고리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필름되감기 종료 시에 있어서 간헐스프로켓(27)의 위치규제를 보다 확실히 또는 견고하게 할 수 있다.
필름 되감기가 완료한 후에는 카메라본체의 카트리지실의 덮개를 열고 촬영이 끝난 필름카트리지(10)를 꺼낸다. 이때 카트리지실의 덮개를 잠그는 키부재의 잠금 해제조작에 연동하여 차광문 구동축(23)이 회전하고 카트리지 본체(11)의 차광문을 폐쇄위치로 회동시킨다. 따라서 필름카트리지(10)를 카메라본체에서 꺼내도 촬영이 끝난 필름(12)이 빛을 받거나 하는 일은 없다.
또, 필름 카트리지(10)를 장전하지 않고 셔터릴리스 조작을 행하면 필름감기정지기구 및 셔터구동기구가 도11에 도시된 상태가 되고 셔터릴리스 종료 직후에모터(24)의 전회전구동이 행해진다. 그러나 필름 카트리지(10)가 장전되어 있지 않으므로 간헐스프로켓(27)과 카운터판(49)이 도9에 도시된 상태에서 전회전하는 일은 없다. 한편 모터(24)의 전회전구동도 콘덴서(24b)에 구동된 전압이 일정레벨까지 하강한 시점에서 자동적으로 정지하므로 문제는 없으나 예를 들면 카트리지 비장전시에 콘덴서(24b)를 단락시키고 필름카트리지(10)의 장전과 함께 작동되어 콘덴서(24b)의 단락을 자동적으로 해제하는 스위치를 설치해 놓으면 카트리지 비상전시에는 콘덴서(24b)의 구동이 행해지지 않으므로 모터(24)는 구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불필요한 전류소비를 저지하여 전원전지(24)의 수명을 늘일 수 있다.
또 필름카트리지(10)의 비상장전 시에 셔터릴리스 조작을 행하면 필름감기정지기구 및 셔터구동기구는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레버(35)가 감기정지해제위치에, 서터구동레버(36)가 릴리스 완료위치에 있는 상태로 되어 있으나 필름카트리지(10)를 장전한 후의 셔터릴리스 조작의 종료 직후에는 모터(24)가 전회전구동되고 송출된 필름(12)에 의해 간헐스프로켓(27)이 전회전되어 프레임정지위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회전으로 셔터구동이 행해지므로 문제는 없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간헐스프로켓(27)의 1회전에서 필름이 1프레임 이송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간헐스프로켓의 반회전으로 필름 1프레임 이송을 행하는 형태의 필름급송기구를 사용하여도 좋다. 그 경우에는 짧은 간격으로 늘어선 이(27a,27b)의 두 쌍을 간헐스프로켓(27)의 원주상의 180°떨어진 위치로 각각 돌출되게 설치하면 좋다. 또, 셔터구동기구로서는 간헐스프로켓의 반회전 셔터구동레버(36)를 구동위치로 밀어 올리는 2개의 셔터구동캠을 원주상의 180°떨어진 위치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필름 감기정지기구로는 간헐스프로켓 반회전으로 고정레버(35)의 계합단부(35a)가 고정을 행하도록 2개의 감기정지 캠(34)의 원주상의 180°떨어진 위치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카메라에 사용되는 필름을 카트리지 본체에서 인출한 상태를 타나내는 정면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필름감기, 필름되감기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간헐스프로켓의 축선에 수직 평면에 따른 단면도.
도4는 도3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
도5는 도3의 V-V선에 따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필름급송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7은 같은 필름급송용 모터의 구동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8은 도7 회로의 동작설명에 제공되는 타이밍챠트.
도9는 도6의 필름급송기구의 간헐스프로켓, 잠금기구 및 카운터기구의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10은 도6의 필름급송기구에 있어서, 필름감기정지기구 및 셔터구동기구의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11은 도10의 필름감기정지기구 및 셔터구동기구의 릴리스 완료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12는 필름의 최초프레임이 촬영구멍에 세트되었을 때의 간헐스프로켓, 잠금기구 및 카운터기구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13은 필름의 2번째 프레임이 촬영구멍에 세트되었을 때의 간헐스프로켓, 잠금기구 및 카운터기구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14는 필름의 최후프레임 촬영을 완료한 후 필름감기가 저지되었을 때의 간헐스프로켓, 잠금기구 및 카운터 기구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15는 필름되감기조작이 행해졌을 때의 필름감기정지기구 및 셔터구동기구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16은 필름되감기로 최초의 프레임에 대응한 퍼포레이션이 통과 중에 간헐스프로켓, 잠금기구 및 카운터기구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17은 필름되감기로 필름선단이 간헐스프로켓에서 이탈하였을 때의 간헐스프로켓, 잠금기구 및 카운터 기구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필름 카트리지 11 : 카트리지 본체
12 : 필름 14, 16 : 퍼포레이션(perforation)
24 : 모터
27 : 간헐스프로켓 27a,27b ; 간헐스프로켓의 이(齒)
28 : 고무부재 34 : 감기정지용 회전부재
35 : 고정레버 36 : 셔터구동레버
48 : 하나의 이를 갖는 기어 49 : 카운터판
54 : 잠금용회전부재 54a : 잠금용회전부재의 고정부
55 : 잠금레버 55b : 잠금레버의 클로(claw)
55c : 잠금레버의 탄성아암
56 : 잠금레버 가압돌기 57 : 잠금레버 작동캠

Claims (8)

  1. 각 프레임의 필름급송방향의 길이를 규정하는 긴 간격과 프레임 상호간의 간격을 규정하는 짧은 간격 등이 교호로 부여된 퍼포레이션열을 갖춘 필름을 갖는 카메라에 있어서,
    외주면에 상기 필름의 퍼포레이션에 계합하는 이(齒)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급송되는 상기 필름에 상기 외주면이 마찰 계합하여 종동회전하는 마찰회전영역 및 상기 퍼포레이션에 상기 이(齒)가 계합하여 종동회전하는 계합회전영역을 갖는 간헐스프로켓;
    필름감기 시에는 상기 필름이 1프레임분 급송되는 사이의 상기 간헐스프로켓의 종동회전에 따라 스타트위치에서 한번씩 회전하여 촬영프레임수를 표시하고 또 필름되감기 시에는 상기 간헐스프로켓의 필름감기 시와 반대방향의 종동회전에 따라 상기 스타트위치로 돌아오는 카운터판; 및
    필름되감기 시에 그 카운터판이 상기 스타트위치로 돌아온 것을 검지하여 상기 간헐스프로켓을 소정위치로 고정시키는 잠금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기구가,
    외주면의 소정 각도 위치에 고정부를 갖추어 상기 간헐스프로켓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잠금용 회전부재;
    그 회전부재의 고정부에 계합할 수 있는 클로를 갖추고 그 클로의 상기 고정부에 대한 계합으로 그 회전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잠금위치와 상기 클로가 상기 기고정부에 계합 불능인 후퇴위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잠금을 통하여 상기 간헐스프로켓을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잠금레버; 및
    상기 카운터판이 상기 스타트 위치 이외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잠금레버를 상기 후퇴위치에 고정시키고 상기 카운터판이 상기 스타트 위치로 돌아올 때에는 상기 잠금레버를 개방하여 그 잠금레버의 상기 잠금위치로의 회동을 허용하는 캠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레버의 클로가 갈고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고정부가 상기 클로에 대해 삽입되어 임의로 계합 가능한 갈고리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가 상기 카운터판에 설치되어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레버가 탄성아암을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카운터판이 상기 스타트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상기 탄성아암에 계합 가능한 잠금레버가압돌기가 상기 카운터판에 설치되고, 상기 잠금레버가압돌기가 상기 탄성아암에 계합하여 이를 탄성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잠금레버에 상기 잠금위치를 향한 가압력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6. 1프레임 급송 길이마다 2개의 퍼포레이션이 좁은 간격으로 배열된 필름을 갖는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퍼포레이션에 각각 계합하는 2개의 이(齒)가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급송되는 필름에 상기 외주면이 마찰계합하여 종동회전하는 마찰회전영역 및 상기 퍼포레이션에 상기 2개의 이(齒)가 계합하여 종동회전하는 계합회전영역을 갖는 간헐스프로켓;
    필름의 감기 방향으로 급송에 종동하여 간헐스프로켓이 정회전할 때에 상기계합회전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간헐스프로켓이 회전하는 동안에 그 회전에 연동하여 셔터구동을 행하는 셔터구동기구;
    필름되감기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간헐스프로켓과 셔터구동기구 등의 연동을 끊고 필름되감기 방향으로의 급송에 종동하여 간헐스프로켓이 역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전환(switching)수단; 및
    필름되감기를 행하여 간헐스프로켓의 2개의 이(齒)가 필름의 가장 선두측에 있는 2개의 퍼포레이션에서 이탈한 후 필름의 선단이 간헐스프로켓에서 이탈할 때까지의 사이에서 상기 2개의 이(齒)가 셔터구동기구를 구동하는 구간 이외의 위치로 간헐스프로켓의 역회전을 저지하는 잠금(locking)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7. 제6항에 있어서, 필름감기 시에는 필름이 1프레임분 급송되는 사이의 상기 간헐스프로켓의 회전에 의해 스타트위치에서 한번씩 회전하여 촬영프레임 수를 표시하고 필름되감기 시에는 간헐스프로켓의 역회전과 함께 역회전하는 카운터판을 설치하여 필름되감기 시에 이 카운터판이 상기 스타트위치로 돌아온 것을 검지함으로써 상기 잠금수단에 의해 간헐스프로켓의 역회전을 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8. 제7항에 있어서, 필름되감기 완료 후에 상기 2개의 이가 셔터구동기구의 셔터구동을 완료시킨 위치에서 간헐스프로켓의 정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을 고정시키는 정회전고정부재를 설치하고, 이 회전고정부재는 필름되감기를 작동시키는 외부 스위치부재를 통상위치로 돌아오게 하는 조작에 연동하여 고정되고 필름장전 후의 필름 급송 스타트에 연동하여 고정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KR1019960044698A 1995-10-09 1996-10-09 카메라 KR1004473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177595A JP3469975B2 (ja) 1995-10-09 1995-10-09 カメラ
JP7-261775 1995-10-19
JP8-31756 1996-02-20
JP3175696A JPH09230457A (ja) 1996-02-20 1996-02-20 カメ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472A KR970022472A (ko) 1997-05-28
KR100447333B1 true KR100447333B1 (ko) 2004-11-03

Family

ID=26370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4698A KR100447333B1 (ko) 1995-10-09 1996-10-09 카메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5749009A (ko)
KR (1) KR100447333B1 (ko)
CN (2) CN118765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0408B2 (ja) * 1996-08-28 2005-07-13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スプロケット及びフイルム巻上げ装置
DE19901577A1 (de) * 1999-01-16 2000-07-20 Agfa Gevaert Ag Kamera mit einer Verschlußauslöseeinrichtung
US6628896B2 (en) * 2001-12-04 2003-09-30 Arc Design, Inc. Motorized single use camera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0900A (en) * 1995-01-23 1998-08-04 Fuji Photo Film Co., Ltd. Photo film, photo film advancing device and lens-fitted photo film unit for use with the same
US5585877A (en) * 1995-09-08 1996-12-17 Sinpo Optical Co., Ltd. Sprocket mechanism for camer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37066A (zh) 2003-08-20
CN1159007A (zh) 1997-09-10
US5749009A (en) 1998-05-05
CN1187650C (zh) 2005-02-02
US5890024A (en) 1999-03-30
CN1115592C (zh) 2003-07-23
KR970022472A (ko)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1969B1 (ko) 자동 리와인드 기구를 가진 카메라
USRE33436E (en) Film feeding system of a camera
US4506965A (en) Motor-driven winding and rewinding camera
US5075707A (en) Camera
KR100447333B1 (ko) 카메라
USRE32558E (en) Autorewinding self-threading camera
US5875366A (en) Sprocket wheel and photo film advancing device
JP2715495B2 (ja) カメラ
JPH09230457A (ja) カメラ
JP2811644B2 (ja) カメラ及びカートリッジ装填装置
JP3033068B2 (ja) フィルム給送制御装置
JP2929467B2 (ja) フィルム給送装置
US5940636A (en) Apparatus using a film cartridge having an indicator for indicating an exposure condition of a film
JPH1124159A (ja) カメラのカートリッジ室蓋開閉装置
US6295421B1 (en) Camera
JP3469975B2 (ja) カメラ
JP2928077B2 (ja) レンズ付きフィルムの回収部品を再利用するカメラ
US20010028795A1 (en) Camera
JPH07199337A (ja) カメラのフィルムカートリッジ装填装置
JP3375095B2 (ja) カメラ
JPH09281573A (ja) カメラ
JP3200709B2 (ja) レンズ付きフィルムユニットのフィルム装填方法
EP0745888B1 (en) Camera with means for magnetic recording on film and film positioning means
JPS628035Y2 (ko)
JPH09101560A (ja) スプロケット及びこれを用いる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