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7174B1 -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세탁물 건조 장치 및 건조 겸용세탁기의 세탁물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세탁물 건조 장치 및 건조 겸용세탁기의 세탁물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7174B1
KR100447174B1 KR10-2001-0075384A KR20010075384A KR100447174B1 KR 100447174 B1 KR100447174 B1 KR 100447174B1 KR 20010075384 A KR20010075384 A KR 20010075384A KR 100447174 B1 KR100447174 B1 KR 100447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laundry
drum
reactor
hea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4575A (ko
Inventor
홍상의
구자형
김영수
김인규
김지원
김경호
박병일
홍영호
허경욱
박일권
강성희
차강욱
성시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5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7174B1/ko
Publication of KR20030044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4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7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71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통상적인 냉매를 사용하지 않고 수소와 수소저장합금간의 상관 관계를 이용하여 열원을 발생시키고, 이 발생된 열원을 이용하여 세탁물 건조에 필요한 건조 상태의 가열 공기를 생성하여 세탁물의 건조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세탁물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외형을 이루며, 세탁물의 투입을 위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부(160)를 가지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120)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수소저장합금과 수소와의 반응에 따른 흡열 및 발열 작용을 이용하여 주위 공기를 냉각 혹은, 가열하는 열원 발생부(130)와; 일단은 상기 열원 발생부에 의해 가열된 가열 공기가 유입되도록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유입된 가열 공기를 상기 드럼의 내부측을 향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가열 공기 배송관(140):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세탁물 건조 장치 및 건조 겸용 세탁기의 세탁물 건조 장치{laundry drying apparature using Hydrogen Storage Alloy and laundry drying apparature in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수소와 수소저장합금간의 관계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건조가 가능하도록 할 뿐 아니라 이의 열원을 이용하여 온수의 공급 역시 가능하도록 한 수소 저장합금을 이용한 세탁물 건조 장치 및 건조 겸용 세탁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수를 강제로 유동시킴에 따라 수류와 세탁물과의 마찰력, 세제의 유화작용 및 세탁날개(혹은, 드럼)가 세탁물에 가하는 충격작용 등의 복합작용에 의해 세탁물에 묻어있는 세탁때를 분리시켜 세탁을 수행하는 기기이다.
특히, 최근에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이 세워진 상태로써 회전하는 펄세이트형 세탁기와는 달리 상기 드럼이 눕혀진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세탁물을 세탁하여 주는 드럼 세탁기가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드럼 세탁기는 상기한 펄세이트형 세탁기에 비해 세탁용량의 극대화와 세탁후 세탁물의 꼬임이 일어나지 않은 등의 장점으로 인해 갈수록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드럼 세탁기는 그 호응도의 향상에 따라 관련 기술이 급속히 발달되어 가고 있으며, 세탁후 젖은 세탁물의 건조 기능을 가지는 장치 역시 상기 드럼 세탁기에 적용되어 개발되고 있음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건조 기능을 가지는 세탁기는 통상적으로 그 열원으로써 히터 등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상기 히터의 특성상 순간적인 가열이 되지 못하여 세탁물의 건조를 위한 건조 공기의 투입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그 온도 역시 빠른 세탁물의 건조를 위한 온도에는 미치지 못하였음으로 인해 건조 성능이 낮을 수 밖에 없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온도를 높이고자 할 경우에는 많은 전력이 소모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한편, 수소저장합금(Hydrogen Storage Alloy)은 수소가 흡착될 경우 발열반응을 일으키고, 수소가 방출될 경우 흡열반응을 일으키는 특성을 지님과 더불어 수소를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이 크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히트 펌프(heat pump)나 수소 저장기기(hydrogen storage devices) 등의 응용분야에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종래에는 전술한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제품으로의 적용이 단순히 개념적으로만 제시되었을 뿐 이러한 수소저장합금의 특성을 고려하여 구체적인 시스템의 구현은 이루어진 바가 없다.
이는,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제품의 형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이 제품을 이루는 각 구성부분과의 상관관계를 적절히 이용하여 그 배치를 이루어야만 최적의 효율을 얻을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하였음으로 인해 과도한 비용이 발생되거나 제품 자체의 크기가 비대할 수 밖에 없음에 따라 큰 호응은 얻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통상의 세탁물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 장치 혹은, 건조 겸용 세탁기에 수소저장합금을이용한 기술을 적용하여 세탁물 건조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제1실시예의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세탁물 건조 장치의 구성도
도 2 는 도 1에 따른 열원 발생부의 내부 구성을 평면에서 본 상태도
도 3 은 도 2의 열원 발생부가 다르게 동작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 는 도 1의 세탁물 건조 장치에 대한 구성 중 열원 발생부의 가열 공기를 배송하는 다른 형태에 따른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제2실시예의 세탁물 건조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따른 열원 발생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제3실시예의 세탁물 건조 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9 는 도 8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습 열풍 배출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제4실시예의 세탁물 건조 장치를 나타낸구성도
도 11 및 도 12 는 도 10에 따른 열원 발생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13 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세탁물 건조 장치의 구성도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세탁물 건조 장치를 드럼 세탁기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15 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세탁물 건조 장치를 펄세이트형 세탁기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본체 120. 드럼
130. 열원 발생부 131a, 131b. 반응기
132. 수소 유로관 133. 펌핑 수단
134a, 134b. 공기 흡입부 135a, 135b. 송풍 수단
136. 하우징 137. 절환판
138. 슈라우드 140. 가열 공기 배송관
150. 냉각 공기 배출관 160. 덮개부
170. 고습 열풍 배출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외형을 이루며, 세탁물의 투입을 위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수소저장합금과 수소와의 반응에 따른 흡열 및 발열 작용을 이용하여 주위 공기를 냉각 혹은, 가열하는 열원 발생부와; 일단은 상기 열원 발생부에 의해 가열된 가열 공기가 유입되도록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유입된 가열 공기를 상기 드럼의 내부측을 향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가열 공기 배송관: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이 본체 내에 가로로 눕혀진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세탁물을 세탁하여 주는 드럼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드럼 세탁기의 본체에 설치되며, 수소저장합금과 수소와의 반응에 따른 흡열 및 발열 작용을 이용하여 주위 공기를 냉각 혹은, 가열하는 열원 발생부와; 일단은 상기 열원 발생부에 의해 가열된 가열 공기가 유입되도록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유입된 가열 공기를 상기 드럼의 내부측을 향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가열 공기 배송관: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세탁물 건조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이 본체 내에 세로로 세워진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세탁물을 세탁하여 주는 펄세이트형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드럼 세탁기의 본체에 설치되며, 수소저장합금과 수소와의 반응에 따른 흡열 및 발열 작용을 이용하여 주위 공기를 냉각 혹은, 가열하는 열원 발생부와; 일단은 상기 열원 발생부에 의해 가열된 가열 공기가 유입되도록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유입된 가열 공기를 상기 드럼의 내부측을 향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가열 공기 배송관: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펄세이트형 세탁기의 세탁물 건조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형태에 따른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 장치에 따른 일 형태는 도시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형을 이루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120)과, 세탁물의 건조를 위해 가열 공기를 발생시키는 열원 발생부(130)와, 가열 공기 배송관(140) 및 냉각 공기 배출관(150)으로 크게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드럼(120)은 본체(110) 내에서 수평한 방향으로 눕혀진 상태로 설치되어 그 개구부위 즉, 세탁물의 투입이 이루어지는 개구된 부위가 본체(110)의 전면에 위치된다.
이와 함께, 상기 본체(110)에는 세탁물의 투입을 위해 개폐되는 덮개부(16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와 같은 덮개부(160)는 전술한 드럼(120)의 설치 형태에 따라 상기 드럼(120)의 개구된 부위에 대응되도록 본체(110)의 전면에설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 장치를 구성하는 열원 발생부(130)는 본체(110)에 설치된 상태로써 수소저장합금과 수소와의 반응에 따른 흡열 및 발열 작용을 이용하여 주위 공기를 냉각 혹은,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열원 발생부(130)는 본체(110)의 내측 벽면에 일체화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고, 본체(110)의 외측 벽면에 일체화된 상태로써 설치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여타의 공간에 설치할 수도 있음으로써 그 위치에 따른 한정은 생략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원 발생부(130)가 본체(110)의 내측 벽면에 일체화된 상태로 설치됨을 제시한다.
이와 함께, 상기 열원 발생부(130)의 구성은 도시한 도 2와 같이 수소저장합금이 충전된 한 쌍의 반응기(131a, 131b)와, 수소가 유동하는 수소 유로관(132)과, 수소를 강제 압송하기 위한 압송력을 발생시키는 펌핑 수단(133)과,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부(134a, 134b)와, 상기 공기를 강제 송풍하는 송풍 수단(135a, 135b)과, 선택적인 공기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공기 유동 안내 수단과, 전술한 각 구성부분의 외관을 형성하고, 그 일측에는 가열 공기 배출구(136a)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타단에는 냉각 공기 배출구(136b)가 형성되어 가열 공기 배송관(140) 및 냉각 공기 배출관(150)이 각각 연결되어 이루어진 하우징(136)과, 각 구성부분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컴(도시는 생략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열원 발생부(130)를 구성하는 한 쌍의 반응기(131a, 131b)는 상기 하우징(136) 내의 양측 공간 상에 상호 대향된 상태로써 각각 설치됨과 더불어각각의 내부 공간에는 수소저장합금이 충전되어 선택적인 각 반응기(131a, 131b) 내로의 수소 유입 혹은, 유출에 의한 상기 수소저장합금으로의 수소 흡착/탈착에 의해 흡열 반응 및 발열 반응을 교대로 수행하면서 주위 공기를 냉각 혹은, 가열하는 통상적인 열교환기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열원 발생부(130)를 구성하는 수소 유로관(132)은 그 일단이 상기 어느 한 반응기에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은 다른 한 반응기에 연결되어 상기 각 반응기 간의 수소 유동 통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열원 발생부(130)를 구성하는 펌핑 수단(133)은 상기 수소 유로관(132)에 설치되어 어느 한 반응기(131a) 내에 위치된 수소를 다른 한 반응기(131b)로 강제 펌핑함으로써 압송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하우징(136) 내의 각 부위 중 냉각 공기 토출구(136b)가 형성된 측에 설치하여 상기 냉각 공기 토출구(136b)를 통해 토출되는 냉각 공기를 이용하여 그 구동열을 식힐 수 있도록 하며, 통상적인 컴프레셔(compressor) 등과 같은 압축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열원 발생부(130)를 구성하는 공기 흡입부(134a, 134b)는 각 반응기(131a, 131b)가 설치된 부위인 하우징(136)의 양측면에 각각 상기 하우징(136)의 외부 공간과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본체(11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열원 발생부(130)를 구성하는 송풍 수단(135a, 135b)은 하우징(136)의 내부 중 각 반응기(131a, 131b)와 가열 공기 배출구(136a) 사이 및 각 반응기(131a, 131b)와 냉각 공기 배출구(136b)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열원발생부(130)의 공기 흡입부(134a, 134b)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각 반응기(131a, 131b)와 상기 가열 공기 배출구(136a) 혹은, 냉각 공기 배출구(136b)를 선택적으로 통과하면서 배출되도록 강제 송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송풍 수단(135a, 135b)은 통상적인 축류팬 혹은, 시로코 팬(sirocco fan)과 같은 횡류팬 등이 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은 위치가 아닌 각 공기 흡입부(134a, 134b)와 각 반응기(131a, 131b) 사이에 각각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36)의 냉각 공기 배출구(136b)에 연결되는 냉각 공기 배출관(150)의 다른 일단은 건조 장치를 구성하는 본체(110)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위치시키며, 상기 하우징(136)의 각 부위 중 각각의 반응기(131a, 131b)가 위치되는 공간에는 상기 각 반응기(131a, 131b)를 통과하면서 선택적으로 응축되는 응축수의 배수를 위한 드레인 홀(136c)이 형성되고, 이 드레인 홀(136c)은 본체(110) 내부 혹은, 본체(110) 외부로의 응축수 배수를 위한 드레인 호스(18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열원 발생부(130)를 구성하는 공기 유동 안내수단은 하우징(136)의 내부 중 각 반응기(131a, 131b)와 가열 공기 배출구(136a) 및 각 반응기(131a, 131b)와 냉각 공기 배출구(136b) 사이에 설치되며, 크게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써 유동하는 공기의 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절환판(137) 및 상기 절환판을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도시는 생략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절환판(137)은 어느 하나의 반응기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공기를 가열 공기 배출구(136a)로 안내함과 동시에 다른 하나의 반응기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는 냉각 공기 배출구(136b)로 안내할 수 있도록 선택적인 공기의 유동 방향을 결정하도록 동작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절환판(137)은 각 반응기(131a, 131b) 및 각 토출구(136a, 136b) 상호간의 위치가 직교된 곳임을 고려할 때 어느 하나의 토출구 및 어느 한 반응기가 위치된 공간이 상호 연통된 상태 혹은, 폐쇄된 상태를 교대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공간 상에서 대각선 방향을 향하여 정지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유동 안내수단의 회전 수단은 절환판(137)에 축(137a)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모터로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의 축결합은 반드시 축방향으로의 결합으로만 한정되지는 않고, 하우징(136) 내부의 공간 구조를 고려하여 다수의 기어를 이용한 구동력의 전달이 이루어질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한 도시는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하우징(136) 내부 부위 중 절환판(137)의 끝단이 향하는 부위에는 상기 절환판의 정지시 위치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써 상기 절환판(137)과 각 반응기(131a, 131b)가 위치된 공간 간의 틈새를 폐쇄할 수 있도록 슈라우드(shroud)(138)를 각각 설치한 것을 추가로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 장치를 구성하는 가열 공기 배송관(140)은 본체(110) 내의 상측부위를 따라 설치하고, 가열 공기가 배출되는 끝단은 드럼(120)의 각 부위 중 세탁물이 투입되는 개구된 부위의 상부측에 상기 드럼(12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함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 때, 세탁물 건조 장치를 구성하는 덮개부(160)의 상측 둘레면 상에는 상기 가열 공기 배송관(140)이 연통됨과 더불어 그 끝단은 드럼(120)의 내부를 향하도록 절곡 형성한 보조 토출관(161)을 더 형성하여 구성한다.
하나, 반드시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한 도 4와 같이 드럼(120)의 둘레면인 상측부위에 별도의 배출공(121)을 형성하고, 이 배출공(121)에 상기 가열 공기 배송관(140)의 끝단을 연결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제1실시예의 세탁물 건조 장치에 대한 구동 과정을 해당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가 드럼(120) 내부에 세탁물을 투입한 후 덮개부(160)를 닫아 본체(110)의 내부를 폐쇄한 상태로써 건조 기능의 수행을 선택할 경우 마이컴(도시는 생략함)은 상기 건조 기능의 수행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건조 기능을 위한 각종 구성 부분의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마이컴의 제어에 의해 펌핑 수단(133)의 구동이 이루어지면, 수소 유로관(132)의 내부는 상기 펌핑 수단(133)의 구동에 따른 압송력이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발생된 압송력은 어느 한 반응기(이하, “제1반응기”라 한다)(131a) 내에 있는 수소를 다른 한 반응기(이하, “제2반응)”라 한다)(131b)로 압송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제1반응기(131a) 내에 충전된 수소저장합금은 수소의 방출에 따른 흡열 반응을 수행함과 더불어 제2반응기(132b)의 수소저장합금은 수소의 유입에 따른 발열 반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함께 각 송풍 수단(135a, 135b) 역시 마이컴의 제어에 의한 구동을 수행하면서 공기 흡입부(134a, 134b)를 통해 본체(110) 내부의 공기를 강제 송풍시켜 각 반응기를(131a, 131b)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이 때에는 공기 유동 안내 수단을 구성하는 절환판(137)이 마이컴의 제어를 받는 회전 수단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면서 도시한 도 2와 같이 제1반응기(131a)가 위치된 측의 공간과 가열 공기 배출구(136a)가 위치된 공간은 상호 폐쇄된 상태를 이룸과 동시에 상기 제1반응기(131a)가 위치된 측의 공간과 냉각 공기 배출구(136b)가 위치된 공간은 상호 연통된 상태를 이루도록 위치된다.
물론, 이의 상태에서는 제2반응기(131b)가 위치된 측의 공간은 가열 공기 배출구(136a)가 위치된 공간과 상호 연통된 상태를 이룸과 동시에 냉각 공기 배출구(136b)가 위치된 공간과는 폐쇄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제1반응기(131a)가 위치된 측에 형성된 공기 흡입부(이하, 제1공기 흡입부라 한다)(134a)를 통해 흡입된 세탁물 건조 장치의 본체 내부 공기는 제1반응기(131a)를 통과하면서 열교환하여 냉각되고, 이 냉각된 공기는 하우징(136)의 중앙측 공간으로 유입됨과 더불어 절환판(137)에 의해 유동을 안내받으면서 냉각 공기 토출구(136b)가 위치된 측의 공간을 통해 상기 냉각 공기 토출구(136b)와 연결된 냉각 공기 배출관(150)을 따라 본체(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제2반응기(131b)가 위치된 측에 형성된 또 다른 공기 흡입부(이하, 제2공기 흡입부라 한다)(134b)를 통해 흡입된 세탁물 건조 장치의 본체(110) 내부 공기는 제2반응기(131b)를 통과하면서 열교환하여 가열되고, 이 가열된 공기는 하우징(136)의 중앙측 공간으로 유입됨과 더불어 절환판(137)에 의해 유동을 안내받으면서 가열 공기 토출구(136a)가 위치된 측의 공간을 통해 상기 가열 공기 토출구와 연결된 가열 공기 배송관(140)을 따라 드럼(120)의 내부로 배출된다.
이 상태에서 소정의 설정 시간이 지나면 마이컴은 회전 수단을 제어하여 도시한 도 3과 같이 절환판(137)을 소정 각도 회전시킴과 동시에 펌핑 수단(133)을 제어하여 제2반응기(131b) 내에 있는 수소를 흡입한 후 제1반응기(131a)로 압송한다.
이에 제1반응기(131a) 내에 충전된 수소저장합금은 수소 유입에 따른 발열 반응을 수행하게 되고, 제2반응기(131b) 내에 충전된 수소저장합금은 수소 방출에 따른 흡열 반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에 의해 제1공기 흡입부(134a)를 통해 흡입된 세탁물 건조 장치의 본체(110) 내부 공기는 제1반응기(131a)를 통과하면서 열교환하여 가열됨과 더불어 제2공기 흡입부(134b)를 통해 흡입된 세탁물 건조 장치의 본체(110) 내부 공기는 제2반응기(131b)를 통과하면서 열교환하여 냉각된다.
또한, 상기 제1반응기(131a)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가열 공기는 하우징(136)의 내부 중앙측 공간으로 유입됨과 더불어 절환판(137)에 의해 유동을 안내받으면서 가열 공기 토출구(136a)가 위치된 공간을 통해 상기 가열 공기 토출구(136a)와 연결된 가열 공기 배송관(140)을 따라 드럼(120)의 내부로 배출된다.
이와 함께 제2반응기(131b)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냉각 공기는 하우징(136)의 내부 중앙측 공간으로 유입됨과 더불어 절환판(137)에 의해 유동을 안내받으면서 냉각 공기 토출구(136b)가 위치된 공간을 통해 상기 냉각 공기 토출구와 연결된 냉각 공기 배출관(150)을 따라 본체(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 중 마이컴의 제어에 의해 펌핑력의 반전이 수행됨과 더불어 절환판(137)의 회전이 수행되는 주기는 제1반응기(131a) 혹은, 제2반응기(131b) 내에 있는 수소가 대부분 방출되어 흡열반응의 수행이 점차 약화될 때까지의 시간 주기이며, 각 반응기(131a, 131b)를 구성하는 수소저장합금이 과도한 발열로 인해 수명이 저하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상기 각 반응기(131a, 131b)의 과도한 발열이 이루어지기 전까지의 시간 주기로 수행되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각 과정은 세탁물의 양에 따른 기 설정된 건조 시간에 도달할 때 까지 반복적으로 수행되며, 이 과정에 의해 드럼(120)의 내부는 계속하여 가열된 공기가 공급되어 세탁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동작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에 있어서, 열원 발생부(130)를 통해 본체(110) 외부로 배출되는 냉각 공기는 통상 그 열교환 과정에서 응축된 건조한 상태의 공기임을 고려할 때 이 건조한 상태의 공기를 세탁물 건조를 위한 가열 공기로써 사용될 수 있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제2실시예에서는 흡열 반응을 수행하는 반응기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냉각 공기가 단순히 본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발열 반응을 수행하는 반응기를 통과하여 가열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을 추가로 제시한다.
즉, 도시한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냉각 공기 배출구(136b)에 연결되는 냉각공기 배출관(150)의 다른 일단을 열원 발생부(130)의 공기 흡입부(134a, 134b)에 연결시킴으로써 응축된 냉각 공기를 세탁물 건조를 위한 건조 가열 공기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가열 공기 배송관(140)을 통해 드럼(110)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항상 건조한 상태의 가열 공기가 됨에 따라 세탁물의 건조 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제3실시예에서는 열원 발생부(130)를 구성하는 공기 흡입부(134a, 134b)는 단순히 상기 응축된 냉각 공기 및 상기 열원 발생부(130)를 이루는 하우징(136) 외부의 공기만을 흡입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건조 장치를 구성하는 본체(110) 내부의 고습 열풍이 보다 원활히 흡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110) 내부의 고습 공기로 인한 세탁물의 건조 성능 저하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는, 도시한 도 8과 같이 일단이 드럼(120)의 내부측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습 열풍이 유입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입된 고습 열풍을 드럼(12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고습 열풍 배출관(170)을 더 구비함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이 때에는, 상기와 같은 고습 열풍 배출관(170)은 가열 공기 배송관(140)과는 상호 구성간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세탁물 건조 장치를 구성하는 본체(110) 내의 하측 부위를 따라 설치함과 더불어 그 끝단은 드럼(120)의 개구된 부위를 통해 상기 드럼(120)의 내부를 향하도록 구성하고, 세탁물 건조 장치를 구성하는 덮개부(160)의 하측 둘레면 상에는 상기 고습 열풍 배출관(170)이 연통됨과 더불어 그 끝단은 드럼(120)의 내부를 향하도록 절곡 형성한 보조 토출관(162)을 더 형성하여 구성한다.
하나, 반드시 이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가열 공기 배송관(140)의 구성에 따른 간섭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본체(110) 내의 상측 부위를 따라 설치할 수도 있고, 도시한 도 9와 같이 드럼의 전면 하부측에 별도의 배출공(122)을 형성하고, 이 배출공(122)에 상기 고습 열풍 배출관(170)의 일단을 연결함으로써 구성할 수도 있음은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습 열풍 배출관(170)에는 별도의 팬(171)을 장착하여 고습 열풍의 보다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고습 열풍 배출관(170)의 구성은 별도의 팬을 구비하여야만 하는 구성상의 곤란함 및 제작 비용의 상승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제4실시예에서는 도시한 도 10 내지 도 12와 같이 상기 고습 열풍 배출관(170)을 열원 발생부(130)의 공기 흡입부(134a, 134b)에 연결함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의 구성은, 건조 장치를 구성하는 본체(110)의 내부 중 세탁물이 위치된 부위로부터 가장 빠른 배출이 이루어져야 하는 드럼(120) 내부의 고습 열풍을 열원 발생부(130)의 공기 흡입부(134a, 134b)로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건조 성능의 향상을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이 때, 상기한 구성은 고습 열풍 배출관(170)의 일단이 열원 발생부(130)의 공기 흡입부(134a, 134b)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공기 흡입부을 통해 전달되는 각송풍 수단(135a, 135b)의 공기 흡입력이 드럼(120)의 내부를 향해 타단이 연결된 고습 열풍 배출관(170)을 통해 전달되어 상기 드럼(120) 내부의 고습 열풍 배출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써 별도의 고습 열풍 배출을 위한 팬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 장치는 반드시 전술한 일 실시예와 같이 드럼이 본체 내에 가로로 눕혀진 상태의 구성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도시한 도 13과 같이 드럼(220)의 개구된 부위 즉, 세탁물이 투입되는 부분이 본체(210)의 상측을 향할 수 있도록 상기 드럼(220)을 본체(210)의 형상에 대하여 세로로 세워진 상태로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의 경우 덮개부(260)는 상기 드럼(220)의 개구된 부위에 대응되도록 본체(210)의 상면에 설치된다.
또한, 열원 발생부(230)는 본체(210)의 상측 공간상 혹은, 후방측 공간상에 위치시킴으로써 드럼(220) 내로의 가열 공기 배송을 위한 가열 공기 배송관(240)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열원 발생부(230)를 통해 생성되는 고온의 건조 공기는 상기 드럼(220)의 직상방으로부터 상기 드럼의 내부를 향하여 토출될 수 있도록 가열 공기 배송관(240)의 끝단이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함께, 세탁물의 건조에 따라 드럼(220)의 내부에 발생되는 고온의 다습한 공기(고습 열풍)를 상기 드럼(220)의 내부로부터 원활히 배출시키기 위해 일단은 상기 드럼(220)의 내부 특히, 상기 드럼의 하부측과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유입된 고습 열풍을 드럼(220)의 외측 특히, 열원 발생부(230)의 내부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열원 발생부(230)의 공기 흡입부(234)와 연결되는 고습 열풍 배출관(270)을 구비한다.
이 때, 상기 고습 열풍 배출관(270)을 통한 드럼(220) 내부의 고습 열풍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음은 열원 발생부(230)의 송풍 수단(도시는 생략함)에 의해 발생된 공기 흡입력이 공기 흡입부(234) 및 상기 고습 열풍 배출관(270)을 통해 드럼(220)의 내부로 전달됨으로써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고습 열풍 배출관(270)의 일단을 드럼(220)의 하부측과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이유는 건조한 고온의 공기가 드럼(220)의 상부측으로부터 공급되고, 세탁물의 건조에 따라 발생되는 고습 공기는 그 무게에 의해 드럼(220)의 하부측으로 가라앉기 때문임과 더불어 건조한 고온의 공기가 세탁물을 향하여 토출될 경우 이 토출력이 상기 고습 열풍 배출관(270)을 통해 전달되는 흡입력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최상의 건조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세탁물 건조 장치에 대한 동작 설명은 기 전술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세탁물 건조 장치의 동작과 동일함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 장치는 기 전술한 일 형태 및 다른 형태에서와 같이 별도의 세탁물 건조 기능만을 수행하는 기기로 구성하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즉, 통상적인 세탁물의 세탁작용을 수행하는 세탁기에 본 발명의 구성을 적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예컨대, 도시한 도 14의 구성과 같이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120)이 본체(110) 내에 가로로 눕혀진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세탁물을 세탁하여 주는 드럼 세탁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 장치의 본체(110)는 드럼 세탁기 본체(310)로 대체됨과 더불어 드럼(120)은 상기 드럼 세탁기를 구성하는 터브(38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로써 세탁물 세탁을 위한 드럼(320)으로 대체된다.
또한, 열원 발생부(330)는 상기 드럼 세탁기의 본체(310)에 설치되며, 그 구성은 기 전술한 본 발명의 일 형태 및 다른 형태와 동일함으로써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드럼(320)의 내부로 가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가열 공기 배송관(340)은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세탁기의 본체(310) 내 상측 부위를 따라 설치함과 더불어 건조한 가열 공기가 배출되는 끝단은 드럼(320)의 각 부위 중 세탁물이 투입되는 개구된 부위의 상부측에 상기 드럼의 내부를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함께, 세탁물의 건조에 따라 발생되는 고습 열풍을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하여 상기 세탁물의 건조 효과를 높이기 위해 일단은 드럼(320)의 내부측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습 열풍이 유입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입된 고습 열풍을 드럼(320)의 외부 특히 열원 발생부(330)를 구성하는 공기 흡입부(334)로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한 고습 열풍 배출관(370)이 구비된다.
이 때, 상기 고습 열풍 배출관(370)의 일단은 드럼(32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성하되 그 끝단이 드럼(320)의 각 부위 중 세탁물이 투입되는 개구된 부위의 하부측에 상기 드럼의 내부를 향하도록 설치하여 건조한 가열 공기의 토출 유동에는 될 수 있는 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도시한 도 15의 구성과 같이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이 본체 내에 세로로 세워진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세탁물을 세탁하여 주는 펄세이터형 세탁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건조 장치의 본체(110)는 펄세이트형 세탁기 본체(410)로 대체됨과 더불어 드럼(120)은 상기 펄세이트형 세탁기의 아웃터 터브(48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 세탁을 위한 인너 터브(420)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열원 발생부(430)는 상기 펄세이트형 세탁기 본체(410)의 각 부위 중 상부측이나, 상기 본체(410)의 외측면에 설치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펄세이트형 세탁기의 각 구동 장치에 그 설치상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인너 터브(420) 내로의 가열 공기 배송을 위한 가열 공기 배송관(440)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통상적인 펄세이트형 세탁기의 상부측 공간이 여유로움을 고려할 때 그 설치 공간을 여유롭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열원 발생부(430)가 펄세이트형 세탁기의 본체(410)내 상부측에 설치함을 그 실시예로써 제시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조 장치를 펄세이트형 세탁기에 적용할 경우 열원 발생부(430)를 통해 생성되는 고온의 건조 공기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인너 터브(420)의 개구된 부위에 대응하여 직상방으로부터 상기 인너 터브(420)의 내부를 향하여 토출될 수 있도록 가열 공기 배송관(440)의 끝단이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함께, 세탁물의 건조에 따라 인너 터브(420)의 내부에 발생되는 고온의 다습한 공기(고습 열풍)를 상기 인너 터브(420)의 내부로부터 원활히 배출시키기 위해 일단은 아웃터 터브(480)의 하부측 둘레면과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아웃터 터브(480)의 내부와 연통된 일단으로부터 유입되는 고습 열풍을 상기 아웃터 터브(480)의 외측 특히, 열원 발생부(430)의 내부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열원 발생부(430)의 공기 흡입부(434)와 연결되는 고습 열풍 배출관(470)을 구비한다.
이 때, 상기 고습 열풍 배출관(470)의 일단을 아웃터 터브(480)의 하측 둘레면 상에 연통되도록 연결하는 이유는 통상적으로 습기를 가지는 공기는 그 무게로 인하여 중력 방향을 따라 하향 이동함을 고려할 때 이의 유입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와 더불어 상기 아웃터 터브(480)의 저면에는 세탁물의 건조시 발생되는 수분이 고여있을 수 있음으로써 이의 유입은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세탁기에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 장치를 적용한 구성에 따른 동작 설명은 기 전술한 본 발명의 일 형태 및 다른 형태에 따른 세탁물 건조 장치의 동작과 동일함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탁물 건조 장치는 통상의 세탁물건조를 수행하는 건조 장치 혹은, 건조 겸용 세탁기에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세탁물의 건조 성능이 더욱 향상된 효과가 있다.
특히, 세탁물의 보다 원활한 건조를 위해 건조한 상태의 가열 공기를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세탁물의 건조시 발생되는 고습 열풍이 원활히 제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건조 성능을 얻을 수 있게 된 효과가 있다.

Claims (37)

  1. 외형을 이루며, 세탁물의 투입을 위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수소저장합금과 수소와의 반응에 따른 흡열 및 발열 작용을 이용하여 주위 공기를 냉각 혹은, 가열하는 열원 발생부와;
    일단은 상기 열원 발생부에 의해 가열된 가열 공기가 유입되도록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유입된 가열 공기를 상기 드럼의 내부측을 향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가열 공기 배송관: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열원 발생부는
    각각의 내부 공간으로 선택적인 수소의 유입이 이루어짐에 따른 반응에 의해 흡열 및 발열을 수행하도록 수소저장합금이 충전된 한 쌍의 반응기와,
    일단은 상기 어느 한 반응기에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은 다른 한 반응기에 연결되어 수소의 유동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수소 유로관과,
    상기 수소 유로관에 설치되어 각 반응기로의 선택적인 수소 압송을 수행하는 펌핑수단과,
    본체 외부 혹은, 본체 내부 공기의 흡입을 위해 형성된 공기 흡입부와;
    상기 공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강제 송풍하는 송풍 수단과;
    각 반응기가 위치되는 상호간의 사이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각 반응기가 위치된 공간을 상호 구획하며, 각 반응기를 거쳐 열교환된 공기의 유동 방향을 결정하는 공기 유동 안내 수단과;
    상기한 각각의 구성 부분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그 일측에는 가열 공기 배송관이 연통된 상태로써 연결된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각 반응기는 하우징 내의 양측 공간 상에 상호 대향된 상태로써 각각 설치되고,
    공기 유동 안내 수단은 하우징의 내부 중 상기 각각의 반응기와 가열 공기 배송관 사이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공기 유동 안내 수단은
    하우징의 내부 공간 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어느 하나의 반응기를 통과하여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가열 공기 배송관 혹은, 열원 발생부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외부측을 향하여 선택적으로 토출되도록 공기의 유동 방향을 결정하는 절환판과,
    상기 절환판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회전 수단은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모터로 구성하고, 상기 절환판과 축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하우징 내부의 각 부위 중 절환판의 끝단이 향하는 각 모서리 부위에는 상기 절환판과 각 반응기가 위치된 공간 사이의 틈새의 밀폐를 위한 슈라우드(shroud)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슈라우드는
    상기 절환판의 정지시 위치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써 돌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송풍 수단은 하우징의 내부 중 가열 공기 배송관이 연결된 측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각 부위 중 가열 공기 배송관이 연결된 측의 반대측 부위에는 어느 한 반응기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냉각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냉각 공기 배출관의 일단이 더 연결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냉각 공기 배출관의 다른 일단은 열원 발생부를 구성하는 공기 흡입부에 연결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냉각 공기 배출관의 다른 일단은 기기 본체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위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부 중 냉각 공기 배출관이 연결된 측에 별도의 송풍 수단을 더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
  13. 제 2 항에 있어서,
    펌핑수단은 하우징 내의 각 부위 중 어느 한 반응기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가 배출되는 측에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
  14. 제 2 항에 있어서,
    공기 흡입부는
    하우징의 각 부위 중 각 반응기가 위치되어 있는 양측 부위에 각각 설치된 상태로써 상기 반응기가 설치된 하우징의 내의 소정 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은 드럼의 내부측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습 열풍이 유입되도록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유입된 고습 열풍을 상기 드럼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고습 열풍 배출관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고습 열풍 배출관의 다른 일단은 열원 발생부의 공기 흡입부에 연결하여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고습 열풍이 상기 열원 발생부의 내부로 순환되어 건조 공기로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고습 열풍 배출관은 본체 내의 하측부위를 따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고습 열풍 배출관의 고습 열풍이 유입되는 일단 위치는 드럼의 각 부위 중 세탁물이 투입되는 측에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열원 발생부는 본체의 내측 벽면에 일체화된 상태로써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열원 발생부는 본체의 외측 벽면에 일체화된 상태로써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가열 공기 배송관은 본체 내의 상측부위를 따라 설치하여 상기 가열 공기 배송관을 통해 배출되는 가열 공기가 본체의 상부측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도록 함을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가열 공기 배송관의 가열 공기가 배출되는 끝단 위치는 드럼의 각 부위 중 세탁물이 투입되는 측에 상기 드럼의 내부를 향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
  23. 제 2 항에 있어서,
    열원 발생부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각 부위 중 각 반응기가 설치된 부위에 응축수의 배수를 위한 드레인 홀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드레인 홀에는 상기 드레인 홀을 통해 배수되는 응축수의 배수 경로가 건조 장치의 내부 혹은, 외부를 향하여 배수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드레인 호스를 연결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건조 장치.
  25.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이 본체 내에 가로로 눕혀진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세탁물을 세탁하여 주는 드럼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드럼 세탁기의 본체에 설치되며, 수소저장합금과 수소와의 반응에 따른흡열 및 발열 작용을 이용하여 주위 공기를 냉각 혹은, 가열하는 열원 발생부와;
    일단은 상기 열원 발생부에 의해 가열된 가열 공기가 유입되도록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유입된 가열 공기를 상기 드럼의 내부측을 향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가열 공기 배송관: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세탁물 건조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열원 발생부는
    각각의 내부 공간으로 선택적인 수소의 유입이 이루어짐에 따른 반응에 의해 흡열 및 발열을 수행하도록 수소저장합금이 충전된 한 쌍의 반응기와,
    일단은 상기 어느 한 반응기에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은 다른 한 반응기에 연결되어 수소의 유동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수소 유로관과,
    상기 수소 유로관에 설치되어 각 반응기로의 선택적인 수소 압송을 수행하는 펌핑수단과,
    본체 외부 혹은, 본체 내부 공기의 흡입을 위해 형성된 공기 흡입부와;
    상기 공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강제 송풍하는 송풍 수단과;
    각 반응기가 위치되는 상호간의 사이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각 반응기가 위치된 공간을 상호 구획하며, 각 반응기를 거쳐 열교환된 공기의 유동 방향을 결정하는 공기 유동 안내 수단과;
    상기한 각각의 구성 부분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그 일측에는 가열공기 배송관이 연통된 상태로써 연결된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세탁물 건조 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일단은 드럼의 내부측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습 열풍이 유입되도록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유입된 고습 열풍을 상기 드럼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고습 열풍 배출관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세탁물 건조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고습 열풍 배출관의 다른 일단은 열원 발생부의 공기 흡입부에 연결하여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고습 열풍이 상기 열원 발생부의 내부로 순환되어 건조 공기로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세탁물 건조 장치.
  29. 제 27 항에 있어서,
    고습 열풍 배출관의 고습 열풍이 유입되는 일단은 드럼의 각 부위 중 세탁물이 투입되는 개구된 부위의 하부측에 상기 드럼의 내부를 향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세탁물 건조 장치.
  30. 제 25 항에 있어서.
    가열 공기 배송관은 세탁기 본체 내의 상측부위를 따라 설치함과 더불어 그 끝단인 가열 공기가 배출되는 부위는 상기 가열 공기가 세탁기 본체의 상부측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내부를 향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세탁물 건조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가열 공기 배송관의 가열 공기가 배출되는 끝단은 드럼의 각 부위 중 세탁물이 투입되는 개구된 부위의 상부측에 상기 드럼의 내부를 향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세탁물 건조 장치.
  32. 세탁물이 투입되는 인너 터브가 본체 내의 아웃터 터브 내에 세로로 세워진 상태로 회전하면서 상기 세탁물을 세탁하여 주는 펄세이트형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펄세이트형 세탁기의 본체에 설치되며, 수소저장합금과 수소와의 반응에 따른 흡열 및 발열 작용을 이용하여 주위 공기를 냉각 혹은, 가열하는 열원 발생부와;
    일단은 상기 열원 발생부에 의해 가열된 가열 공기가 유입되도록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유입된 가열 공기를 상기 인너 터브의 내부측을 향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가열 공기 배송관: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펄세이트형 세탁기의 세탁물 건조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열원 발생부는
    각각의 내부 공간으로 선택적인 수소의 유입이 이루어짐에 따른 반응에 의해 흡열 및 발열을 수행하도록 수소저장합금이 충전된 한 쌍의 반응기와,
    일단은 상기 어느 한 반응기에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은 다른 한 반응기에 연결되어 수소의 유동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수소 유로관과,
    상기 수소 유로관에 설치되어 각 반응기로의 선택적인 수소 압송을 수행하는 펌핑수단과,
    본체 외부 혹은, 본체 내부 공기의 흡입을 위해 형성된 공기 흡입부와;
    상기 공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강제 송풍하는 송풍 수단과;
    각 반응기가 위치되는 상호간의 사이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각 반응기가 위치된 공간을 상호 구획하며, 각 반응기를 거쳐 열교환된 공기의 유동 방향을 결정하는 공기 유동 안내 수단과;
    상기한 각각의 구성 부분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그 일측에는 가열 공기 배송관이 연통된 상태로써 연결된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펄세이트형 세탁기의 세탁물 건조 장치.
  34. 제 32 항에 있어서,
    일단은 인너 터브의 내부측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습 열풍이 유입되도록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유입된 고습 열풍을 아웃터 터브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고습 열풍 배출관이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펄세이트형 세탁기의 세탁물 건조 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고습 열풍 배출관의 일단인 고습 열풍이 유입되도록 연결되는 측은
    펄세이트형 세탁기를 구성하는 아웃터 터브의 하측 둘레면 상에 연통되도록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펄세이트형 세탁기의 세탁물 건조 장치.
  36. 제 34 항에 있어서,
    고습 열풍 배출관의 다른 일단은 열원 발생부의 공기 흡입부에 연결하여 인너 터브로부터 배출된 고습 열풍이 상기 열원 발생부의 내부로 순환되어 건조 공기로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펄세이트형 세탁기의 세탁물 건조 장치.
  37. 제 32 항에 있어서.
    가열 공기 배송관은 세탁기 본체 내의 상측부위를 따라 설치하여 상기 가열 공기 배송관을 통해 배출되는 가열 공기가 세탁기 본체의 상부측으로부터 인너 터브의 내부를 향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펄세이트형 세탁기의 세탁물 건조 장치.
KR10-2001-0075384A 2001-11-30 2001-11-30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세탁물 건조 장치 및 건조 겸용세탁기의 세탁물 건조 장치 KR100447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384A KR100447174B1 (ko) 2001-11-30 2001-11-30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세탁물 건조 장치 및 건조 겸용세탁기의 세탁물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384A KR100447174B1 (ko) 2001-11-30 2001-11-30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세탁물 건조 장치 및 건조 겸용세탁기의 세탁물 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575A KR20030044575A (ko) 2003-06-09
KR100447174B1 true KR100447174B1 (ko) 2004-09-04

Family

ID=29572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384A KR100447174B1 (ko) 2001-11-30 2001-11-30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세탁물 건조 장치 및 건조 겸용세탁기의 세탁물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71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137B1 (ko) * 2006-01-26 2013-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6193A (ja) * 1998-10-06 2000-06-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乾燥機
KR20010089071A (ko) * 2000-03-21 2001-09-29 구자홍 드럼식 건조겸용 세탁기
KR20010104012A (ko) * 2000-05-12 2001-11-24 차승식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냉·난방기
KR20020071117A (ko) * 2001-03-03 2002-09-12 차승식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냉·난방공조기 및냉장·냉동장치의 수소순환용 배관 시스템
KR20030016945A (ko) * 2001-08-23 2003-03-03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냉난방기
KR20030040829A (ko) * 2001-11-16 2003-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급수 가열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6193A (ja) * 1998-10-06 2000-06-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乾燥機
KR20010089071A (ko) * 2000-03-21 2001-09-29 구자홍 드럼식 건조겸용 세탁기
KR20010104012A (ko) * 2000-05-12 2001-11-24 차승식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냉·난방기
KR20020071117A (ko) * 2001-03-03 2002-09-12 차승식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냉·난방공조기 및냉장·냉동장치의 수소순환용 배관 시스템
KR20030016945A (ko) * 2001-08-23 2003-03-03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냉난방기
KR20030040829A (ko) * 2001-11-16 2003-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급수 가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575A (ko) 2003-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66640B (zh) 滚筒式洗涤干燥机
KR100986910B1 (ko) 의류 건조기
JP4550747B2 (ja) 衣類乾燥機
CN1936158B (zh) 衣物干燥装置
JP4607774B2 (ja) 洗濯乾燥機
JP4715695B2 (ja) 乾燥ユニットおよび乾燥装置
JP4241758B2 (ja) 洗濯乾燥機
KR20210028486A (ko) 의류건조기
KR100447174B1 (ko)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세탁물 건조 장치 및 건조 겸용세탁기의 세탁물 건조 장치
JP2010029521A (ja) 洗濯乾燥機
US10954625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JP2008284142A (ja) 衣類乾燥機
JP4013693B2 (ja) 洗濯乾燥機
WO2012120827A1 (ja) 衣類乾燥機
JP4791882B2 (ja) 衣類乾燥機
CN214245014U (zh) 衣物处理装置
KR101861668B1 (ko) 의류처리장치
JP5873979B2 (ja) 乾燥装置
CN114908538B (zh) 衣物处理装置
JP2009018088A (ja) 洗濯乾燥機
JP2013220138A (ja) 乾燥機
JP2016168361A (ja) 乾燥装置
CN105200727A (zh) 带盒形洗衣粉溶解器的节能洗衣机
KR20230124653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111012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