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6868B1 - 강도강화제를 첨가한 스프레이형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 및 그를 이용한 방수방법 - Google Patents

강도강화제를 첨가한 스프레이형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 및 그를 이용한 방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868B1
KR100446868B1 KR10-2001-0079638A KR20010079638A KR100446868B1 KR 100446868 B1 KR100446868 B1 KR 100446868B1 KR 20010079638 A KR20010079638 A KR 20010079638A KR 100446868 B1 KR100446868 B1 KR 100446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oluble
rubber asphalt
spray
resin em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9435A (ko
Inventor
이원헌
김경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방포루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방포루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방포루마
Priority to KR10-2001-0079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868B1/ko
Publication of KR20030049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8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8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pplication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ice, mist or water thereto; Thawing or antifreeze materials for application to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7Water resistance, i.e. waterproof or water-repell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6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organic materials
    • C04B41/48Macromolecular compounds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 및 그를 이용한 방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공지의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와 경화제를 스프레이하여 방수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와 혼화성이 없는 강도강화제를 경화제에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스프레이 방식에 의해 형성된 도막층의 강도, 신율 및 물성을 개선하기 위한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 및 그를 이용한 방수방법에 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강도강화제로는 수용성 수지 에멀젼 또는 수용성 라텍스 에멀젼이 사용되고 수용성 수지 에멀젼 중에서도 주로 멜라민 수지 에멀젼, 수용성 에폭시 수지 에멀젼, 석유수지 에멀젼 및 아크릴 수지 에멀젼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강도강화제가 첨가된 경화제와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를 스프레이 방식에 의해 시공함으로써 속경화 특성에 의해 천장면이나 벽면에도 흘러내리는 현상이 없고, 소정의 두께를 형성하는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므로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공사의 완성도가 양호하며, 스프레이형 장비 사용으로 공사기간이 단축되어 작업 효율성을 가져오고, 강력 스프레이 식이므로 접착성 및 내진 성능이 우수하고, 수직면, 급경사면, 곡면 등의 1회 또는 2회 스프레이로서 소정의 두께를 형성하므로 시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강도강화제를 첨가한 스프레이형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 및 그를 이용한 방수방법{A water-Based rubberized Asphalt waterproof of spray type added with intensity reinforcing agent and the waterproof method of using the agent}
본 발명은 강도강화제를 첨가한 스프레이형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 및 그를 이용한 방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공지의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와 강도강화제를 첨가한 경화제를 스프레이 방식에 의하여 도포하고 이에 의해 도포된 방수재의 강도, 신율 및 물성을 개선하기 위한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 및 그를 이용한 방수방법에 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는 아스팔트에 고무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아스팔트가 가질 수 없는 성질 즉 우수한 신장률, 내균열성, 내한성, 접합성을 가지게 하였지만, 내열성과 강도 및 경도가 부족하여 도막제로서 요구하는 물성을 충분히 충족시키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강도강화등을 위하여 고무 아스팔트에 에폭시 수지를 첨가하여 초속경성 고무화 아스팔트를 제조하는 방법(공개번호 특1988-0014074호)이 개발되었는데 이는 초속경성을 위한 방수재로서 저장성이 떨어질뿐만 아니라 로울러나 붓등으로 시공할 수는 있으나 에폭시 수지를 고무 아스팔트에 첨가할 경우 속경화되는 성질상 스프레이 방식에 의한 시공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를 도포할 경우에는 흙손이나 로울러등을 사용하였는바 작업의 효율성등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방수재 도막층의 강도를 강화시키면서도 스프레이 방식에 의해 도포할 수 있는 공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종래에도 방수재를 스프레이 방식에 의해 도포하였으나 이러한 스프레이 방식에 사용된 경화제는 주제인 고무 아스팔트를 경화시키는 역할만 하였다. 즉 강도강화제를 주제인 고무 아스팔트에 혼합할 경우 속경화되는 성질이 있어 저장성이 떨어지며, 설령 강제로 혼합하여 분사 시공할 경우라도 분사 과정에서 고압이 발생되므로 방수재가 노즐에 응고되어 스프레이에 의한 시공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스프레이 시공은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와 경화제를 이액형으로 분사하여 스프레이의 노즐 앞 또는 피사체의 표면에서 혼합, 경화 반응시켜 방수층을 형성케 하는 것으로서 경화제는 주로 염화물등과 같이 고무 아스팔트를 경화시키기 위한 물질만이 사용되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강도강화제를 첨가하여 스프레이 시공을 하는 방법은 개발되지 않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고무 아스팔트 도막방수재의 도막층의 물성에 있어서의 문제 및 작업효율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지의 고무 아스팔트와 잘 혼합되지 않는 수용성 수지 에멀젼이나 수용성 고무 라텍스 에멀젼을 경화제에 혼합하여 스프레이 방식에 의하여 방수층을 형성케함으로써 도막층의 물성을 개선하고 작업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강도강화제를 첨가한 스프레이형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 및 그를 이용한 방수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방수방법에서 2개의 노즐을 통하여 스프레이하는 시공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방수방법에 있어서 3개의 노즐을 통하여 스프레이하는 시공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의 설명>
1: 제1노즐 2: 제2노즐 3: 제1노즐
4: 제2노즐 5: 제3노즐
본 발명은 종래의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에 비하여 도막층의 강도를 강화시키기 위하여 수용성 수지 에멀젼 또는 수용성 라텍스 에멀젼을 경화제에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붓이나 로울러등으로 시공할 경우의 작업효율성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프레이 방식에 의한 시공방법을 채택하였다. 또한 강도강화제가 첨가된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를 스프레이어에 의하여 시공하기 위하여 주제에 잘 혼합되지 않는 강도강화제를 경화제에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경화제에 강도강화제인 수용성 수지 에멀젼이나 수용성 라텍스 에멀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이유는 상기 물질들은 주제에 잘 섞이지 않아 스프레이 시공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강도강화제를 주제인 고무 아스팔트에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속경화되는 성질상 저장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강제로 혼합하여 분사 시공할 경우라도 분사 과정에서 고압이 발생되므로 방수재가 노즐에 응고되어 스프레이에 의한 시공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제인 고무 아스팔트와 잘 혼합되지 않는 강도강화제를 경화제에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도막층의 강도를 강화시키면서 스프레이 방식에 의하여 시공할 수 있다는 점에 큰 특징이 있다.
본발명에 의한 방수재의 시공방법은 먼저 주제와 혼합되지 않는 수지 에멀젼 또는 라텍스 수지 에멀젼을 경화제에 혼합하여 주제와 동시에 분사시켜 피사체의 표면에서 혼합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주제로 혼합하였을 때 발생되는 응고현상을 방지하고 혼합이 불가능한 재료도 방수재의 원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멜라민수지 에멀젼 같은 재료의 경우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와 혼용성이 나빠 주제에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아스팔트와 응고되어 에멀젼이 파괴되거나 혹은 혼합 즉시 이상이 없더라도 저장성의 문제가 발생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스팔트와 응고가 진행되어 초기에는 작은 덩어리가 발생하며 점차 전체 액상의 에멀젼 상태가 파괴된다. 만약 재료를 시공 직전에 혼합하여 분사하여도 안정성이 낮아 고압이 발생되는 스프레이 노즐의 구경에서 에멀젼이 파괴되어 노즐의 구경을 막아 시공이 불가능하게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존의 경화만을 목적으로 하는 경화제에 수지 에멀젼이나 라텍스 에멀젼을 혼합하여 분사함으로써 피사체의 표면에서 혼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정성이 낮은 재료라도 재료의 이상없이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는 공지의 물질로서, 고농도 스치렌 부타디엔 합성고무(SBR 라텍스) 30중량부에 음이온 유화제 10중량부를 혼합하고 130℃의 스트레이트 아스팔트(AP-3 또는 AP-5) 55중량부를 교반하면서 서서히 혼합한 다음 5중량부의 이온 교환수를 투입하여 제조된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이며, 강도강화제를 첨가한 경화제는 기존의 경화제인 염화물 3% 내지 5% 수용액에 녹방지제와 적어도 1% 내지 40% 중량부의 수용성 수지 에멀젼 또는 수용성 라텍스 에멀젼을 첨가한 것을 사용한다.
강도강화제로 첨가되는 수용성 수지 에멀젼은 멜라민 수지 에멀젼, 수용성 에폭시 수지 에멀젼, 석유수지 에멀젼, 아크릴 수지 에멀젼 등과 같은 수용성 수지에멀젼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고, 수용성 라텍스 에멀젼은 적어도 60% 내지 90% 중량부의 스티렌이 포함된 수용성 스티렌 부타디엔 합성고무(SBR 라텍스) 에멀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기존의 방수재에 비하여 강도강화제를 첨가한 경우 도막층의 물성이 얼마나 개선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 결과는 표1과 같다.
표1에서 대조구는 강도강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주식회사 동방포루마의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이며, 본 발명에 의한 방수재에서 A와 B는 각각 경화제에 강도보강제로 멜라민 수지 에멀젼과 석유수지 에멀젼을 사용한 경우이다.
[표1]
온도 시험항목 대조구 본발명에 의한 도막방수재
A B
표준온도 인장강도(㎏/㎠) 3.7 8.5 11
신장률 2000% 이상 2000% 이상 2000% 이상
인열강도(㎏/㎠) 4.0 12 14
-20℃ 신장률 110 107 98
인장강도(㎏/㎠) 34.22 77.52 103.73
60℃ 신장률 700% 이상 700% 이상 700% 이상
인장강도(㎏/㎠) 1.55 7.9 10.4
A : 고형분(40%)인 멜라민수지 에멀젼 5% 사용
B : 고형분(20%)인 석유수지 에멀젼 15% 사용
표1에서 보듯이 멜라민 수지 에멀젼이나 석유수지 에멀젼을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에 첨가함으로써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가 현저히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인 강도강화제가 첨가된 스프레이형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에 대한 방수성능 및 내구성에 대한 분석 결과는 표2와 같다.
[표2]
구분 실험종류 단위 스프레이형 고무 아스팔트
인장성능 인장강도 kgf/㎠ 3.41
신 장 율 % 1638
인열성능 인열강도 kgf/㎠ 4.05
온도의존성 인장강도(-20℃) kgf/㎠ 16.59
신 장 율(-20℃) % 25
인장강도(20℃) kgf/㎠ 3.41
신 장 율(20℃) % 1638
인장강도(60℃) kgf/㎠ 1.83
신 장 율(60℃) % 726
내화학성 산처리 인장강도 kgf/㎠ 2.79
신 장 율 % 1604
알칼리처리 인장강도 kgf/㎠ 3.86
신 장 율 % 1546
무처리 인장강도 kgf/㎠ 3.41
신 장 율 % 1638
인장강도는 KS F 3211에서 규정하고 있는 인장강도에 미치지 못하고 있어 재료 자체의 물성 계량의 필요성과 재실험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인열강도는 대체적으로 KS F 3211의 규정치는 만족하나 시험체의 두께 미확보로 인하여 시험체의 선별에 어려움이 있었다.
온도 의존성 실험에서 저온 성능이 상온보다 강도는 증가하였으나, 신장률에 있어서 현저한 감소가 나타났다. KS F 3211의 규정상의 강도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어, 물성을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내화학성 실험에 있어서 산 보다는 알칼리에 더 높은 성능을 발휘하며, 대체적으로 KS F 3211 규정의 인장강도비 80이상 150이하의 범위에는 범위에는 들었으나, 재료적 물성 개량을 통하여 더욱 향상된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방수재료의 기본적 성능평가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시공성 및 재료적 특성에 따른 성능분석의 결론에 따른 대처방안으로 스프레이형(뿜칠형)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의 기본적인 성능 분석에 따른 실험결과 물성 계량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인 강도강화제를 첨가한 스프레이형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들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한다.
(실시예2)
주제인 고무 아스팔트와 경화제의 혼합비율에 따른 스프레이형(뿜칠형)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의 방수성능 및 내구성에 대한 실험결과는 표3과 같다. 여기서 주제인 고무 아스팔트와 경화제의 혼합비율은 스프레이어의 구경등에 의해 조절한다.
< 시공조건>
노즐에서 뿜칠 되는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비율에 따른 시험체를 제작하여 성능 분석을 하는데 주제와 경화제의 비율을 4 : 1 또는 8 : 1 로 하여 시험하였다.
<시험체 평가 방법>
① 시험체 두께는 2.0±0.3mm가 되도록 한다.
② 시험체의 재령은 3일, 7일, 14일로 성능 평가한다.
③ 성능 분석에 따른 값은 시험체 5개의 값중 최고값과 최저값을 제외한 나머지 시험체 3개의 평균값을 적용하였다.
[표3]
구분 실험온도 성능항목 3일 7일 14일
A B C A B C A B C
인장강도 표준온도 인장성능(kgf/㎠) 3.33 3.59 3.25 3.33 4.61 3.88 3.31 3.84 4.01
신장율(%) 2500이상 2500이상 2500이상 2500이상 2500이상 2500이상 2500이상 2500이상 2500이상
온도의존성 -20℃ 인장성능(kgf/㎠) 21.42 23.84 27.83 25.00 25.42 27.81 27.86 26.35 30.97
신장율(%) 85 75 65 128 103 69 86 46 74
60℃ 인장성능(kgf/㎠) 0.76 2.32 0.99 1.08 1.75 1.51 0.78 1.89 1.26
신장율(%) 465 488 354 541 401 353 435 552 555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비율에 있어서 경화의 촉진을 위해 많은 양의 경화제를 사용하더라도 경화 시간은 단축하지 못하고, 강도가 저하되었다. 주제와 경화제의 혼합비율은 8:1보다 4:1의 혼합비율이 적절하다
온도 의존성에 있어서 표준온도(20℃) 보다 저온(-20℃)에서의 인장성능이 평균 3∼4배 정도의 증가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방수재의 특성인 물에 대한 영향으로 저온(-20℃)에서의 잔존하는 H2O와 고무 성분이 고체화되어 성능의 증가에 큰 원인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표준온도(20℃)에 대한 저온(-20℃)의 인장 강도비는 KS F 3211에서 규정하고 있는 성능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즉, 저온(-20℃)에서의 인장강도가 표준온도(20℃)에 비례적으로 낮은 성능을 발휘하고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저온(-20℃)에서의 재료적 물성개량을 통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상온(60℃)에서의 인장강도는 표준온도(20℃)에 비해 낮은 성능을 발휘하고 있다. 그 이유는 일정한 두께의 미 확보로 인하여 상온(60℃)의 높은 온도에 의해 저온(-20℃)에서 나타난 고체화 현상이 반대의 현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즉, 고온에 의해 시험체가 늘어져 버려 실험이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일정한 두께의 확보(최소 2mm)가 필요하다.
(실시예3)
주제인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와 경화제의 혼합비율을 4:1로 하였을 경우라도 재료적 물성 개량을 통한 성능향상을 필요로 하므로 주제의 점도 및 고형분의 구성비를 조절하여 스프레이형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의 방수성능 및 내구성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는 표4와 같다.
<시공조건 및 평가>
주제의 점도 및 고형분에 구성비를 ① 점도 360cps, 고형분 76%(시험제A), ② 점도 580cps, 고형분 79%점도 580cps(시험체 B), ③ 점도 490cps(시험체 C) 와 같이하여 각각의 시험체를 제작한다. 시험체 평가방법은 실시예2와 동일하다.
[표4]
구분 실험온도 (%)성능항목 3일 7일 14일
4:1 8:1 4:1 8:1 4:1 8:1
인장강도 표준온도 인장성능(kgf/㎠) 2.52 2.47 3.51 3.37 3.89 3.82
신장율(%) 2500 이상 2500 이상 2500 이상 590 1364 757
온도의존성 -20℃ 인장성능(kgf/㎠) 19.13 15.38 18.90 11.13 18.73 15.64
신장율(%) 75 80 58 54 40 26
60℃ 인장성능(kgf/㎠) 1.57 실험불가 0.75 2.00 0.23 0.27
신장율(%) 316 실험불가 644 358 408 184
주제의 점도 및 고형분에 따른 구성비의 성능 분석 결과, 시험체 A의 경우는 점도 및 고형분의 배합이 낮기 때문에 스프레이 시공시 흘러내림 현상이 나타나며, 시험체 B의 경우는 A의 경우와 반대현상으로 점도 및 고형분의 배합이 높기 때문에 들뜸현상이나 주제의 뭉침, 에어포켓 현상이 나타난다. 시험체 C의 경우는 A나 B의 들뜸현상, 주제의 뭉침, 흘러내림 현상이 없고, 안정된 방수층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점도 및 고형분의 적절한 구성비는 시험체 C(점도 490cps, 고형분 70%)의 경우가 적절하다.
(실시예4)
본 발명에서 스프레이 방식에 의한 방수방법은 다음과 같다.
주제와 분해제(경화제)를 동시에 흡입하여 2 내지 3개의 노즐을 통하여 각 각 별도로 분출되는 순간에 혼합되어 직접 바탕면에 부착해서 막을 형성하는데 이를 도1과 도2에서 나타내었다.
2노즐 스프레이어에 의한 경우는 2개의 노즐을 이용하여 주제는 제1노즐(1)에서 분사되고 경화제는 제2노즐(2)에서 분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고, 3노즐 스프레이어에 의한 경우는 3개의 노즐을 통하여 주제는 제2노즐(4)에서 분사되고 경화제는 제1노즐(3)과 제3노즐(5)에서 분사되어 방수층을 형성한다.
여기서 스프레이어에 의해 분사되는 스프레이형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의 주제와 경화제의 분사각도에 따른 성능 분석을 통하여 물성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는 표5와 같다.
<시공조건>
뿜칠 기계에 의해 분사되는 주제와 경화제의 분사각도를 30°,45°,60°로 설정하여 그에 따른 각각의 시험체를 제작하여 실험하였고 시험체 평가 방법은 실시예2와 같다.
[표5]
구분 실험온도 성능항목 3일 7일 14일
30° 45° 60° 30° 45° 60° 30° 45° 60°
인장강도 표준온도 인장성능(kgf/㎠) 3.04 3.79 3.23 3.54 3.94 3.92 3.17 3.98 3.25
신장율(%) 2500 이상 2500 이상 2500 이상 2500 이상 2500 이상 2500 이상 2500 이상 2500 이상 2500 이상
온도의존성 -20℃ 인장성능(kgf/㎠) 16.52 18.09 13.87 19.13 21.86 15.23 19.34 24.45 16.00
신장율(%) 47 49 43 48 90 61 47 38 38
60℃ 인장성능(kgf/㎠) 1.84 2.31 1.91 1.95 2.53 2.33 2.64 2.48 2.24
신장율(%) 465 488 354 541 407 388 435 552 555
분사각도에 따른 성능분석표에 의하면 분사각도는 45°인 경우 가장 좋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분사각도를 30°로 하였을 경우에는 주제와 경화제가 분사되는 각도가 너무 좁기 때문에 분사반경이 좁아져 서로 빗겨서 소실되는 부분이 많아지기 때문이며, 60°에서는 30°와 반대의 현상으로 분사반경이 너무 멀기 때문에 주제와 경화제가 서로 부딪치지 못하고, 제각기 바탕면에 닿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45°의 경우에는 주제와 경화제의 뿜칠 범위가 거의 일치하므로 30°, 60°의 경우보다 분사각도가 적합한 것이다.
(실시예5)
스프레이형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의 성능 분석을 뿜칠 건과 바탕 콘크리트간 거리를 조정하여 알아보았는데 그 실험 결과는 표6과 같다.
< 시공조건 및 평가방법>
뿜칠 건과 바탕 콘크리트의 거리를 30㎝, 50㎝, 70㎝로 하여 시험하였으며 시험체 평가방법은 실시예2와 같다.
[표6]
구분 실험온도 성능항목 3일 7일 14일
30㎝ 50㎝ 70㎝ 30㎝ 50㎝ 70㎝ 30㎝ 50㎝ 70㎝
인장강도 표준온도 인장성능(kgf/㎠) 2.54 2.72 2.60 2.95 3.54 3.39 3.37 3.81 3.46
신장율(%) 2500 이상 2500 이상 2500 이상 2500 이상 2500 이상 2500 이상 2500 이상 2500 이상 2500 이상
온도의존성 -20℃ 인장성능(kgf/㎠) 23.75 24.93 22.81 24.67 21.05 17.61 23.46 28.14 26.75
신장율(%) 95 80 76 75 105 121 113 94 99
60℃ 인장성능(kgf/㎠) 1.00 0.71 0.76 0.34 0.30 0.27 1.38 1.43 0.95
신장율(%) 594 1142 880 552 787 904 731 927 1122
뿜칠 건과 바탕 콘크리트의 거리에 따른 성능분석에 있어서 50㎝의 경우가 가장 좋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거리가 30㎝일 경우에는 뿜칠되는 범위가 좁기 때문에 시공성이 떨어지고, 주제와 경화제가 부딪치는 범위가 좁아져 성능저하의 원인으로 작용하며, 70㎝는 이와 반대 현상으로 뿜칠 건과 바탕 콘크리트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방수재의 소실양이 많아 성능저하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시공성 및 성능 면에서 50㎝의 거리가 적합하다.
(실시예6)
본 발명인 강도강화제를 첨가한 스프레이형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바탕정리
이물질(기름, 철선)을 제거하고 요철 부분을 모르터로 매워 평활하게 한다.
②특수부위 보강공사
모서리 부위등 취약 부분에는 모르탈로 각을 잡아주거나 보강해준다.
③ 스프레이 고무 아스팔트 방수
㉮ 프라이머 도포(0.4ℓ/㎡)
바탕정리 및 보강공사 후 프라이머용으로 포루마 1말:물2말:시멘트1/4포의 비율로 혼합하여 로라로 도포한다(포루마 도포 전 모체습도는 물기가 손에 묻어나지 않을 정도로 건조하면 됨).
㉯ 강도보강재망 부착
프라이머층이 완전 건조되면 이중직으로 된 보강재를 포루마를 사용하여 군데 군데 접착하여 움직임이 없도록 한다.
㉰ 스프레이 고무 아스팔트 1회 도포(2ℓ/㎡)
지정된 스프레이 장비를 사용하여 보강재가 함침되도록 균일하게 도포한다.
㉱ 스프레이 고무 아스팔트 2회 도포(2ℓ/㎡)
1회 고무 아스팔트층 도포 후(약30분) 1회 도포와 동일한 방법으로 고무 아스팔트를 균일하게 도포한다.
④ 보호층
고무 아스팔트 방수공사가 완료된 다음 8시간 이후 24 시간 전에 방수층 보호재를 부착한 다음 흙되메우기를 한다.
기존 도막 방수ㆍ방식공법과 본 발명인 스프레이 방식(뿜칠형 방식)에 의한 시공법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기존의 도막 방수공법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① 롤러, 흙손 등을 사용하여 시공하므로 작업성이 매우 나쁘고, 넓은 면적의 공사에는 공사기간이 장기간 요구된다.
② 경화에 따른 양생기간이 약 2 내지 3일 정도 필요하므로 생산효율이 저하된다.
③ 시공자에 따라 제품의 완성도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도막 두께가 일정하지 않다.
④ 방수재가 완경화되므로 흘러내리는 성질이 있다.
이에 반해 본발명인 강도강화제를 첨가한 스프레이형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를스프레이 공법으로 시공할 경우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① 속경화 특성에 의해 천장면이나 벽면에도 흘러내리는 현상이 없고, 소정의 두께를 형성하는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므로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공사의 완성도가 양호하다.
② 뿜칠형 장비 사용으로 공사기간이 단축되어 작업 효율성을 가져온다.
③ 강력 스프레이식이므로 접착성 및 내진 성능이 우수하다.
④ 수직면, 급경사면, 곡면 등의 1회 또는 2회 스프레이로서 소정의 두께를 형성하므로 시공성이 우수하다.
⑤ 스프레이 방식에 의해 주제와 경화제가 피사체의 표면에서 속경화되므로 흘러내리는 현상이 없다.
본 발명의 스프레이형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의 용도는 도심부의 방수공사, 안전한 무공해 공사, 시공기술에 의존하지 않는 방수공사, 신설ㆍ부전에 적합한 방수공사, 인텔리젼트 빌딩의 바닥공사등에 사용되며 그 적용범위는 표7과 같다.
[표7]
구 분 외 부 내 부
건 축 지상 옥상, 주차장, 경기장, 베란다, 복도, 외벽, 사벽 등 수영장, 수조, 냉동창고, 화장실, 욕실, 주방, 병원, 공장, 연구소바닥, 인텔리젼트 빌딩 바닥 등
지하 외벽, 연벽, 슬러브, 주차장 등 수조
토 목 정수장, 하수처리장, 저수조, 수조, 댐, 수영장, 지하주차장, 지하 횡단로, 공동구, 지하철, 철도, 고가도로, 터널, 콘크리트 등
본 발명에 의해 기존의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에 의해 도포된 도막층보다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는데 이는 주제인 고무 아스팔트에 잘 혼합되지 않는 재료를 경화제에 섞어 사용함으로써 가능하고, 강도강화제가 첨가된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를 스프레이 방식에 의해 도포함으로써 속경화 특성에 의해 천장면이나 벽면에도 흘러내리는 현상이 없고, 소정의 두께를 형성하는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므로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공사의 완성도가 양호하며, 스프레이형 장비 사용으로 공사기간이 단축되어 작업 효율성을 가져오고, 강력 스프레이식이므로 접착성 및 내진 성능이 우수하고, 수직면, 급경사면, 곡면 등의 1회 또는 2회 스프레이로서 소정의 두께를 형성하므로 시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와 경화제가 이액형으로 구분되어 각각 분리된 노즐을 통하여 스프레이방식으로 방수층을 형성시키는 방수재에서, 상기 경화제는 적어도 1% 내지 40% 중량부의 강도강화제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형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
  2. 제1항에서, 강도강화제로는 수용성 수지 에멀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형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
  3. 제1항에서, 강도강화제로는 적어도 60% 내지 90% 중량부의 스티렌이 포함된 수용성 스티렌 부타디엔 합성고무(SBR 라텍스) 에멀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형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
  4. 제2항에서, 수용성 수지 에멀젼은 멜라민 수지 에멀젼, 수용성 에폭시 수지 에멀젼, 석유수지 에멀젼 및 아크릴 수지 에멀젼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레이형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
  5. 바탕을 정리하는단계, 스프레이 방식으로 방수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보호층을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수방법에서, 상기의 스프레이 방식으로 방수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수재를 이용하여 스프레이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강화제를 첨가한 스프레이형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의 시공방법.
KR10-2001-0079638A 2001-12-15 2001-12-15 강도강화제를 첨가한 스프레이형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 및 그를 이용한 방수방법 KR100446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638A KR100446868B1 (ko) 2001-12-15 2001-12-15 강도강화제를 첨가한 스프레이형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 및 그를 이용한 방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638A KR100446868B1 (ko) 2001-12-15 2001-12-15 강도강화제를 첨가한 스프레이형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 및 그를 이용한 방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435A KR20030049435A (ko) 2003-06-25
KR100446868B1 true KR100446868B1 (ko) 2004-09-04

Family

ID=29575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638A KR100446868B1 (ko) 2001-12-15 2001-12-15 강도강화제를 첨가한 스프레이형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 및 그를 이용한 방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8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256B1 (ko) * 2009-09-07 2010-06-11 세트코코리아(유) 스프레이형 라텍스 아스팔트 방수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493B1 (ko) * 2009-02-20 2009-08-17 이봉규 수용성 합성고무 라텍스와 유기계 실리콘 화합물을 에멀션화시킨 콘크리트 표면도포용 액상형 흡수방지재
KR101232628B1 (ko) * 2012-06-20 2013-02-13 주식회사 견준씨에스 겔상 방수제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7964366B (zh) * 2017-12-30 2020-01-07 天津卓宝科技有限公司 非固化橡胶沥青防水涂料
KR101969419B1 (ko) 2018-09-28 2019-04-22 (주)서현하이텍 고내구성을 지니는 폴리우레아 도막 방수재 조성물
KR102490937B1 (ko) 2022-03-04 2023-01-27 주식회사 지엘코팅스 방수시공용 스프레이
CN115558178B (zh) * 2022-11-03 2023-06-20 山东高氏科工贸有限公司 一种新型粉末沥青改性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1760A (en) * 1978-12-16 1980-06-20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Spray coating process
KR860001170A (ko) * 1984-07-25 1986-02-24 이봉찬 수지 에멀죤 방수제의 제법
KR870007259A (ko) * 1986-01-18 1987-08-18 중앙방수기업 주식회사 속경성 고무화 아스팔트 도막 방수제의 제조방법
JPH0450267A (ja) * 1990-06-19 1992-02-19 Nitto Chem Ind Co Ltd ゴムアスファルト系防水用組成物
US5270373A (en) * 1992-06-05 1993-12-14 W. R. Grace & Co.-Conn. Aqueous-based waterproofing primer system and method
KR20000032229A (ko) * 1998-11-13 2000-06-05 류중근 초속경 수용성 도막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용도
KR20010068964A (ko) * 2000-01-11 2001-07-23 박찬구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공중합체를 이용한 수용성고무아스팔트 도막방수재의 제조방법
KR20010090067A (ko) * 2001-09-05 2001-10-18 김의식 속건성 방수제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1760A (en) * 1978-12-16 1980-06-20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Spray coating process
KR860001170A (ko) * 1984-07-25 1986-02-24 이봉찬 수지 에멀죤 방수제의 제법
KR870007259A (ko) * 1986-01-18 1987-08-18 중앙방수기업 주식회사 속경성 고무화 아스팔트 도막 방수제의 제조방법
JPH0450267A (ja) * 1990-06-19 1992-02-19 Nitto Chem Ind Co Ltd ゴムアスファルト系防水用組成物
US5270373A (en) * 1992-06-05 1993-12-14 W. R. Grace & Co.-Conn. Aqueous-based waterproofing primer system and method
KR20000032229A (ko) * 1998-11-13 2000-06-05 류중근 초속경 수용성 도막방수제, 그 제조방법 및 용도
KR20010068964A (ko) * 2000-01-11 2001-07-23 박찬구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공중합체를 이용한 수용성고무아스팔트 도막방수재의 제조방법
KR20010090067A (ko) * 2001-09-05 2001-10-18 김의식 속건성 방수제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256B1 (ko) * 2009-09-07 2010-06-11 세트코코리아(유) 스프레이형 라텍스 아스팔트 방수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435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0463A (en) Acrylic polymer Portland cement coating composition
KR10095648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폴리우레아 방수 코팅공법
KR100759370B1 (ko) 시멘트 몰탈 조성물 및 콘크리트 조성물
KR100446868B1 (ko) 강도강화제를 첨가한 스프레이형 수용성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 및 그를 이용한 방수방법
US6489032B1 (en) Cement structure containing a waterproofing layer
WO2004076573A1 (de) Beschichtungsmaterial, verwendung desselben sowie verfahren zur aufbringung des beschichtungsmaterials
KR101073693B1 (ko) 친환경 바닥마감재를 이용한 바닥시공방법
US20080196623A1 (en) Multiple Component Multiple Layer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Application
CN103420642B (zh) 高弹性抗冲磨砂浆修补材料及施工工艺
KR20160125654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 방법
KR100795775B1 (ko) 교면 긴급보수 방수공법
AT411260B (de) Beschichtungsmaterial, verwendung desselben sowie verfahren zur aufbringung des beschichtungsmaterials
WO1998049404A1 (en) Coating composition and method
KR101586489B1 (ko) 자기 수평 칼라 마감재 및 이의 시공 방법
JP2728131B2 (ja) 防水工法
EP2246492B1 (de) Beschichtung von Befestigungselementen
KR100502633B1 (ko) 수용성 칼라 아스팔트 몰탈 시공방법
KR102409842B1 (ko) 불소 우레아 발포액, 주입제 및 pud 아크릴 주입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체의 배면방수공법
EP2839952A1 (de) Verbessertes Verbundsystem
Hing Application of polymer in concrete construction
Mailvaganam Effective use of bonding agents
JP2000240297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増厚補強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469168B1 (ko) 속건성 노면 방수제의 시공방법
KR102322586B1 (ko) 탄성 도막방수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06088106A (ja) コンクリート床面の塗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