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6269B1 - 편향 요크 및 이것에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 - Google Patents

편향 요크 및 이것에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269B1
KR100446269B1 KR10-2002-0028341A KR20020028341A KR100446269B1 KR 100446269 B1 KR100446269 B1 KR 100446269B1 KR 20020028341 A KR20020028341 A KR 20020028341A KR 100446269 B1 KR100446269 B1 KR 100446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turable
magnet
deflection
magnetic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1245A (ko
Inventor
노자와다카히로
요코즈카가츠히사
초난유스케
Original Assignee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32301A external-priority patent/JP3734158B2/ja
Application filed by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뽕빅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1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1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2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4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inside U-shaped sect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8Window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4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inside U-shaped section members
    • E06B2003/5472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inside U-shaped section members in an at least partly preassembled frame by introducing it through a slot in one of the frame members or inserting the pane before completing th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포화 리액터를 구비한 편향 요크에 있어서, 종래와 동등 이상의 편향 보정 특성을 가지면서, 부품 개수 및 조립 수고가 적고 저 코스트인 편향 요크를 제공한다.
가포화 리액터는 가포화 코어(1a, 1b)와, 가포화 코어(1a, 1b)에 권선되어 수평 편향 코일에 접속된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과, 가포화 코어(1a, 1b)에 자기 바이어스를 부여하는 자석(5)과, 폐자로(閉磁路)(6)를 형성하는 자성 코어(3)와, 상기 자성 코어(3)에 권선되고 수직 편향 전류가 흐르는 포화 제어 코일(4)을 구비한다. 포화 제어 코일(4)이 발생하는 수직 편향 포화 제어 자계 방향을 스크린 상측 편향시와 스크린 하측 편향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한다.

Description

편향 요크 및 이것에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Deflection yoke and saturable reactor for use in the deflection yoke}
본 발명은 텔레비전 수상기나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음극선관(CRT)에 장착되는 편향 요크에 관련되는 것이며, 특히, 컨버전스를 조정하거나, 래스터(raster) 왜곡(distortion)을 보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포화 리액터 구조를 개량한 편향 요크에 관한 것이다.
편향 요크에 있어서는, 컨버전스 특성을 향상시키거나, 래스터 왜곡이 없는 편향 특성을 얻기 위해, 각종 보정 부품을 구비하고 있는 것은 주지된 것이다. 편향 보정 부품의 하나로서, 가포화 리액터가 있다. 가포화 리액터를 구비한 편향 요크는 일례로서,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 2000-173497 호에 기재되어 있다.
도 35는 상기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가포화 리액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5에 있어서, 드럼 코어(21)에는 포화 제어 코일(22)이 권선되어 있다. 이 드럼 코어(21)의 양 바깥 측에는 드럼 코어인 가포화 코어(23a 내지 23d)가 배치되어있으며, 가포화 코어(23a 내지 23d)에는 각각 임피던스 제어 코일(24a 내지 24d)이 권선되어 있다. 가포화 코어(23a 내지 23d)의 양 바깥 측에는 자기 바이어스를 부여하는 자석(25a, 25b)이 배치되어 있다.
이 도 35에 도시하는 가포화 리액터는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된다. 임피던스 제어 코일(24a 내지 24d)은 모두 직렬 접속되며, 이 임피던스 제어 코일(24a 내지 24d)은 병렬 접속된 수평 편향 코일(12a, 12b)과 직렬 접속되어 있다. 포화 제어 코일(22)은 직렬 접속된 한 쌍의 수직 편향 코일(13a, 13b)과 직렬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에 의해, 도 35에 도시하는 가포화 리액터는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스크린 좌우 방향 중앙부와 좌우 끝 부분 각각의 대략 중앙부에 발생하는 종선 래스터의 실감기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도 35에 도시하는 종래의 가포화 리액터는 드럼 코어(21) 및 가포화 코어(23a 내지 23d)의 5개의 드럼 코어에 대하여, 포화 제어 코일(22)이나 임피던스 제어 코일(24a 내지 24d)을 권선하고, 2개의 자석(25a, 25b)과 함께 케이스에 장착할 필요가 있어서, 부품 개수가 많고, 상당한 조립 수고가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포화 리액터를 편향 요크에 장착함에 있어서도, 5개의 코일로부터 인출되는 전선을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선할 필요가 있어, 조립 수고 증대를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도 35에 도시하는 가포화 리액터를 구비한 편향 요크는 코스트가 높아져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종래와 동등 이상의 편향 보정 특성을 가지면서 부품 개수 및 조립 수고가 적고, 저 코스트의 가포화 리액터 및 이것을 사용한 편향 요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제 1 실시예의 접속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제 1 실시예의 접속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스크린 상의 편향점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특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의 제 5 실시예를도시하는 평면도.
도 1O은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의 제 6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의 제 7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의 제 8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의 제 9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의 제 10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의 제 11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6은 스크린 좌우 방향 중앙부에 발생하는 활 모양 왜곡을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의 제 12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의 제 13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의 제 14 실시예를도시하는 평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의 제 15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의 제 16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의 제 17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의 제 18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의 제 19 실시예의 기본적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5는 제 19 실시예의 가포화 리액터의 일부인 제 1 부품(100)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6은 제 19 실시예의 가포화 리액터의 일부인 제 1 부품(100)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7은 제 19 실시예의 가포화 리액터의 일부인 제 1 부품(100)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8은 제 19 실시예의 가포화 리액터의 일부인 케이스(20)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9는 제 19 실시예의 가포화 리액터의 일부인 케이스(20)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0은 제 1 부품(100)을 케이스(20)에 장착하는 도중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1은 제 1 부품(100)을 케이스(20)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2는 도 31의 상태에 대하여 부가로 부품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3은 제 19 실시예의 가포화 리액터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의 제 20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5는 종래의 가포화 리액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36은 종래의 가포화 리액터의 접속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37은 종선(縱線) 래스터(raster)의 실감기 왜곡을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1b: 가포화 코어 2a, 2b: 임피던스 제어 코일
3: 자성 코어 4: 포화 제어 코일
5, 5a, 5b, 50, 5Oa: 자석 6: 폐자로
8: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 9, 10: 다이오드
11, 11a, 11b: 자성체 피스 12a, 12b: 수평 편향 코일
13a, 13b: 수직 편향 코일 14: 보빈
14a, 14b: 플랜지 14d, 14e: 돌기
15a, 15b: 폴리에스테르 테이프 20: 케이스
20a: 수납측 반체(半體) 20a1 내지 20a4: 수납부
20a12: 구멍 20a13: 오목부
20b: 덮개측 반체 20c: 힌지
100: 제 1 부품 200: 제 2 부품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구성을 제공한다.
(a) 수평 편향 코일(12a, 12b)과, 수직 편향 코일(13a, 13b)과, 편향 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가포화 리액터를 구비한 편향 요크에 있어서, 상기 가포화 리액터는 적어도 1개의 가포화 코어(1, 1a, 1b)와, 상기 가포화 코어에 권선되어 상기 수평 편향 코일에 접속된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과, 상기 가포화 코어에 자기 바이어스를 부여하는 적어도 1개의 자석(5, 5a, 5b)과, 상기 가포화 코어와 상기 자석과 함께 폐자로를 형성하는 자성 코어(3)와, 상기 자성 코어에 권선되어 수직 편향 전류가 흐르는 포화 제어 코일(4)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포화 제어 코일이 발생하는 수직 편향 포화 제어 자계 방향을 스크린 상측 편향시와 스크린 하측 편향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하는 수단(8, 9, 10)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b) 편향 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가포화 리액터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가포화 코어(1a, 1b)와, 상기 가포화 코어에 권선되어 수평 편향 코일에 접속되는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과, 상기 가포화 코어에 자기 바이어스를 부여하는 적어도1개의 자석(5, 50)과, 상기 가포화 코어와 상기 자석과 함께 폐자로를 형성하는 자성 코어(3)와, 상기 자성 코어에 장착된 보빈(14)과, 상기 보빈에 권선되어 수직 편향 전류가 흐르는 포화 제어 코일(4)과, 상기 임피던스 제어 코일이 권선된 상기 가포화 코어와 상기 자석을 수납하는 케이스(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자성 코어와 상기 포화 제어 코일이 권선된 상기 보빈은 제 1 부품(100)을 구성하며, 상기 제 1 부품은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포화 리액터.
(c) 수평 편향 코일(12a, 12b)과, 수직 편향 코일(13a, 13b)과, 편향 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가포화 리액터를 구비한 편향 요크에 있어서, 상기 가포화 리액터는 적어도 1개의 가포화 코어(1a, 1b)와, 상기 가포화 코어에 권선되어 상기 수평 편향 코일에 접속된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과, 상기 가포화 코어에 자기 바이어스를 부여하는 적어도 1개의 자석(5, 50)과, 상기 가포화 코어와 상기 자석과 함께 폐자로를 형성하는 자성 코어(3)와, 상기 자성 코어에 장착된 보빈(14)과, 상기 보빈에 권선되어 수직 편향 전류가 흐르는 포화 제어 코일과, 상기 임피던스 제어 코일이 권선된 상기 가포화 코어와 상기 자석을 수납하는 케이스(20)를 구비하며, 상기 자성 코어와 상기 포화 제어 코일이 권선된 상기 보빈은 제 1 부품(100)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부품은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포화 제어 코일이 발생하는 수직 편향 포화 제어 자계 방향을 스크린 상측 편향시와 스크린 하측 편향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하는 수단(8, 9, 10)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발명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제 1 실시예의 접속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스크린 상의 편향점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특성도, 도 6 내지 도 15는 각각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의 제 2 내지 제 11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6은 스크린 좌우 방향 중앙부에 발생하는 활 모양 왜곡을 도시하는 도면, 도 17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의 제 12 내지 제 18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의 제 19 실시예의 기본적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5 및 도 26은 제 19 실시예의 가포화 리액터의 일부인 제 1 부품(100)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7은 제 19 실시예의 가포화 리액터의 일부인 제 1 부품(100)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28 및 도 29는 제 19 실시예의 가포화 리액터의 일부인 케이스(20)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0은 제 1 부품(100)을 케이스(20)에 장착하는 도중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1은 제 1 부품(100)을 케이스(20)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2는 도 31의 상태에 대하여 부가로 부품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3은 제 19 실시예의 가포화 리액터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서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의 제 20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또한,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도 36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병기되어 있다.
<제 1 실시예>
도 1에 있어서, 드럼 코어인 가포화 코어(1a, 1b)에는 각각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이 권선되어 있다. 가포화 코어(1a, 1b) 사이에는 자기 바이어스를 부여하는 자석(5)이 배치되어 있다. 가포화 코어(1a, 1b)와 자석(5)은 대략 ㄷ자형 자성 코어(3)의 2개의 레그부(31, 3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자성 코어(3)의 바디부(30)에는 포화 제어 코일(4)이 권선되어 있다. 가포화 코어(1a, 1b)와 자석(5)과 자성 코어(3)로 폐자로(6)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제 1 실시예의 가포화 리액터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된다. 우선, 도 2에 있어서,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은 직렬 접속되며, 상기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은 병렬 접속된 수평 편향 코일(12a, 12b)과 직렬 접속되어 있다.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에는 수평 편향 코일(12a, 12b)로 흐르는 수평 편향 전류의 전부가 흐른다.
포화 제어 코일(4)은 직렬 접속된 한 쌍의 수직 편향 코일(13a, 13b)과 직렬 접속된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8)의 출력(2개의 출력 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8)는 수직 편향 코일(13a, 13b)과 직렬 접속된 저항(7)에 대하여 병렬 접속되어 있다. 포화 제어 코일(4)에는 수직 편향 코일(13a, 13b)로 흐르는 수직 편향 전류의 거의 전부가 흐른다.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8)는 포화 제어 코일(4)이 발생하는 수직 편향 포화 제어 자계를 스크린 상측 편향시와 스크린 하측 편향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하기 위한 수단으로 되어 있다. 포화 제어 코일(4)이 발생하는 자계는 자석(5)이 발생하는 자계와 역방향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은 서로 역방향의 자계를 발생시키도록 권선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하는 접속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은 도 2와 동일하게 직렬 접속되며, 상기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은 병렬 접속된 수평 편향 코일(12a, 12b)과 직렬 접속되어 있다.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에는 수평 편향 코일(12a, 12b)로 흐르는 수평 편향 전류의 전부가 흐른다.
포화 제어 코일(4)은 2개의 전선을 함께 하여 바이파일러 형으로 권선한 2개의 코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2개의 포화 제어 코일(4)에는 서로 역방향의 다이오드(9, 10)가 직렬 접속되어 있다. 2개의 포화 제어 코일(4)과 다이오드(9, 10)는 직렬 접속된 한 쌍의 수직 편향 코일(13a, 13b)과 직렬 접속되어 있다. 2개의 포화 제어 코일(4)과 다이오드(9, 10)의 직렬 회로는 수직 편향 코일(13a, 13b)과 직렬 접속된 저항(7)에 대하여 병렬 접속되어 있다. 포화 제어 코일(4)에는 수직 편향 코일(13a, 13b)로 흐르는 수직 편향 전류의 거의 전부가 흐른다.
다이오드(9, 10)는 포화 제어 코일(4)이 발생하는 수직 편향 포화 제어 자계를 스크린 상측 편향시와 스크린 하측 편향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하기 위한 수단으로 되어 있다. 도 2와 마찬가지로, 포화 제어 코일(4)이 발생하는 자계는 자석(5)이 발생하는 자계와 역방향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은 서로 역방향의 자계를 발생시키도록 권선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서의 가포화 리액터는 동일한 동작을 한다.
여기서, 상기 가포화 리액터의 동작에 대해서, 도 4 및 도 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CRT의 스크린 상의 편향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서의 가로 축(H)은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이 권선되어 있는 가포화 코어(1a, 1b)에 가해지는 자계를 도시하고 있으며, 세로 축(L)은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의 인덕턴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서의 C점, 즉, 스크린의 센터 편향시에는 수평 편향 전류, 수직 편향 전류 모두 흐르지 않기 때문에, 자석(5)이 발생하는 자계(HDC)만이 작용하여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의 동작점은 도 5의 P1이 된다.
도 4에서 MR점 편향할 때에는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이 발생하는 자계(HM)는 서로 역방향이 되도록 권선되어 있기 때문에, 동작점은 임피던스 제어 코일(2a)이 Ma1, 임피던스 제어 코일(2b)이 Mb1이 된다. 도 4에서 R점 편향할 때에는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이 발생하는 자계(HR)의 작용에 의해, 동작점은 임피던스 제어 코일(2a)이 Ra1, 임피던스 제어 코일(2b)이 Rb1이 된다.
다음으로, 도 4에서의 T점 편향시는 수평 편향 전류는 흐르지 않고,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 편향 전류에 의해 포화 제어 코일(4)이 발생하는 자계(HV)는 자석(5)이 발생하는 자계(HDC)와 역방향이기 때문에, 동작점은 P2가 된다. 도 4에서의 TTR점 편향시의 동작점은 임피던스 코일(2a)이 Ma2, 임피던스 코일(2b)이 Mb2가 된다. 마찬가지로, 도 4에서의 TR점 편향시의 동작점은 임피던스 코일(2a)이 Ra2, 임피던스 코일(2b)이 Rb2가 된다.
따라서, 도 4의 각 편향점에서의 가포화 리액터의 인덕턴스는
MR점에서의 인덕턴스 LMR=Ma1+Mb1
R점에서의 인덕턴스 LR=Ra1+Rb1
TTR점에서의 인덕턴스 LTTR=Ma2+Mb2
TR점에서의 인덕턴스 LTR=Ra2+Rb2
가 된다.
여기서, LTR과 LR을 비교하면 LTR > LR이 되기 때문에, 도 4의 R점의 수평 편향량보다 도 4의 TR점의 수평 편향량이 작아져, 좌우 끝 부분에서의 종선 래스터의 실감기 왜곡이 감소한다. 마찬가지로, LTTR > LMR이 되기 때문에, 도 4의 MR점의 수평 편향량보다 도 4의 TTR점의 수평 편향량이 작아져, 중앙부와 좌우 끝 부분의 대략 중앙부에서의 종선 래스터의 실감기 왜곡도 감소한다. 이 때, (LTTR-LMR) > (LTR-LR)이 되기 때문에, 좌우 끝 부분보다 중앙부와 좌우 끝 부분의 대략 중앙부에서의 개선량이 크며, 도 37에 도시하는 종선 래스터의 실감기 왜곡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실시예>
도 6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의 제 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 도 1과 실질적으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병기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이 권선된 가포화 코어(1a, 1b)는 도 6의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그 한쪽 측(여기서는 우측)에는 자석(5)이 배치되어 있다. 가포화 코어(1a, 1b)와 자석(5)은 대략 ㄷ자형 자성 코어(3)의 2개의 레그부(31, 3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자성 코어(3)의 바디부(30)에는 포화 제어 코일(4)이 권선되어 있다. 가포화 코어(1a, 1b)와 자석(5)과 자성 코어(3)로 폐자로(6)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가포화 리액터의 편향 요크에 대한 접속은 도 2 또는 도 3과 동일하다. 이 제 2 실시예에 의해서도, 도 37에 도시하는 종선 래스터의 실감기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7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의 제 3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 도 1과 실질적으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병기되어 있다. 도 7에 있어서, 가포화 코어(1)는 2개의 드럼 코어를 일체로 한 형상을 갖고 있으며, 2개의 권선부에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이 권선되어 있다. 가포화 코어(1)의 한쪽 측(여기서는 우측)에는 자석(5)이 배치되어 있다. 가포화 코어(1)와 자석(5)은 대략 ㄷ자형 자성 코어(3)의 2개의 레그부(31, 3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자성 코어(3)의 바디부(30)에는 포화 제어 코일(4)이 권선되어 있다. 가포화 코어(1)와 자석(5)과 자성 코어(3)로 폐자로(6)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가포화 리액터의 편향 요크에 대한 접속은 도 2 또는 도 3과 동일하다. 이 제 3 실시예에 의해서도, 도 37에 도시하는 종선 래스터의 실감기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8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편향 요크에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의 제 4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에 있어서, 도 1과 실질적으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가 병기되어 있다. 도 8에 있어서,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이 권선된 가포화 코어(1a, 1b)는 도 8의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가포화 코어(1a, 1b)를 끼우도록 자석(5a, 5b)이 배치되어 있다. 가포화 코어(1a, 1b)와 자석(5a, 5b)은 대략 ㄷ자형 자성 코어(3)의 2개의 레그부(31, 3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자성 코어(3)의 바디부(30)에는 포화 제어 코일(4)이 권선되어 있다. 가포화 코어(1a, 1b)와 자석(5a, 5b)과 자성 코어(3)로 폐자로(6)가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가포화 리액터의 편향 요크에 대한 접속은 도 2 또는 도 3과 동일하다. 이 제 4 실시예에 의해서도, 도 37에 도시하는 종선 래스터의 실감기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의 가포화 리액터에 있어서는, 어느 것도 폐자로(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임피던스 제어 코일 수를 줄일 수 있어, 자석 수를 줄이거나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임피던스 제어 코일이나 포화 제어 코일의 권취수도 줄일 수 있어, 사용하는 전선량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의 가포화 리액터에 의하면, 구성 부품을 삭감하여 조립 수고와 코스트 상승을 억제하고, 또한, 종래와 동등 이상의 편향 보정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편향 요크는 뛰어난 편향 보정 특성(실감기 왜곡 보정 특성)을 가지면서 저 코스트를 실현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가포화 코어(1, 1a, 1b)와 자석(5, 5a,5b) 사이, 가포화 코어(1, 1a, 1b)와 자성 코어(3) 사이, 자석(5, 5a, 5b)과 자성 코어(3) 사이는 서로 접촉하고 있어도 되며, 편향 보정 효과가 현저하게 감소하지 않는 범위이면, 약간의 갭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그런데, 이상 설명한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자성 코어(3)의 재질로서는 코스트 및 가공의 용이함을 고려하면, 규소 강판 등의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성 코어(3)와 가포화 코어(1, 1a, 1b)가 접촉하고 있거나, 극히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자성 코어(3)의 재질로서 금속을 사용한 경우, 가포화 코어(1, 1a, 1b)가 발생하는 수평 편향 주기의 자계에 의해, 자성 코어(3)의 가포화 코어(1, 1a, 1b)와의 접촉부에 와전류(eddy current)가 발생하여 발열한다. 상기 발열이 문제가 될 경우에는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 약간의 개량을 가하여, 각각 다음과 같이 구성하면 된다.
<제 5 실시예>
도 9에 도시하는 제 5 실시예는 발열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도 1에 도시하는 제 1 실시예에 개량을 가한 것이다. 도 9에 있어서, 도 1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병기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성 코어(3)의 레그부(31, 32)와 가포화 코어(1a, 1b) 사이에는 와전류가 발생하기 어려운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인 자성체 피스(11a, 11b)가 삽입되어 있다. 자성체 피스(11a, 11b)는 적합한 일례로서 페라이트(ferrite)로 이루어진다. 자성 코어(3)의 레그부(31, 32)와 가포화 코어(1a, 1b) 사이에 자성체 피스(11a, 11b)가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자성 코어(3)에 발생하는 와전류가 감소하여,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자성체 피스(11a, 11b) 자체에도 와전류가 발생하지 않아, 자성체 피스(11a, 11b)는 발열하지 않는다.
자성체 피스(11a, 11b)를 삽입하여도 폐자로(6)는 유지되기 때문에, 상술한 가포화 리액터로서의 동작(왜곡 보정 특성)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 제 5 실시예에 의해,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왜곡 보정량을 줄이는 일 없이 약 3O℃의 온도 저감 효과가 얻어졌다.
<제 6 실시예>
도 10에 도시하는 제 6 실시예는 발열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도 6에 도시하는 제 2 실시예에 개량을 가한 것이다. 도 10에 있어서, 도 6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병기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성 코어(3)의 레그부(31)와 가포화 코어(1a, 1b) 사이에는 와전류가 발생하기 어려운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자성체 피스(11)가 삽입되어 있다. 자성체 피스(11)는 적합한 일례로서 페라이트로 이루어진다. 자성 코어(3)의 레그부(31)와 가포화 코어(1a, 1b) 사이에 자성체 피스(11)가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자성 코어(3)에 발생하는 와전류가 감소하여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자성체 피스(11) 자체에도 와전류가 발생하지 않아, 자성체 피스(11)는 발열하지 않는다.
자성체 피스(11)를 삽입하여도 폐자로(6)는 유지되기 때문에, 상술한 가포화 리액터로서의 동작(왜곡 보정 특성)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 제 6 실시예에 의해, 제 2 실시예와 비교하여 왜곡 보정량을 줄이는 일 없이 약 30℃의 온도 저항 효과가 얻어졌다.
<제 7 실시예>
도 11에 도시하는 제 7 실시예는 발열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도 7에 도시하는 제 3 실시예에 개량을 가한 것이다. 도 11에 있어서, 도 7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병기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성 코어(3)의 레그부(31)와 가포화 코어(1) 사이에는 와전류가 발생하기 어려운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자성체 피스(11)가 삽입되어 있다. 자성 코어(3)의 레그부(31)와 가포화 코어(1) 사이에 자성체 피스(11)가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자성 코어(3)에 발생하는 와전류가 감소하여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자성체 피스(11) 자체에도 와전류가 발생하지 않아, 자성체 피스(11)는 발열하지 않는다.
자성체 피스(11)를 삽입하여도 폐자로(6)는 유지되기 때문에, 상술한 가포화 리액터로서의 동작(왜곡 보정 특성)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 제 7 실시예에 의해, 제 3 실시예와 비교하여 왜곡 보정량을 줄이는 일 없이 약 30℃의 온도 저감 효과가 얻어졌다.
또한, 제 5 내지 제 7 실시예에서는 자성체 피스(11, 11a, 11b)로서 가장 적합한 페라이트를 사용하였지만, 와전류가 발생하기 어려운(발생하지 않는) 자성체라면 다른 재질이어도 된다. 자성 코어(3)의 재질로서는 페라이트 등의 와전류가 발생하지 않는 재질을 사용한 경우에는 발열 문제는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이 경우는 특히 제 5 내지 제 7 실시예를 채용할 필요 없이,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여도 된다.
<제 8 실시예>
도 12에 도시하는 제 8 실시예는 더욱이 온도 저감 효과가 얻어지도록 도 10에 도시하는 제 6 실시예를 발전시킨 것이다. 도 12에 있어서, 도 10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병기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성 코어(3)의 레그부(31)와 가포화 코어(1a, 1b) 사이에는 자성체 피스(11a)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자성 코어(3)의 레그부(32)와 자석(5) 사이에도 자성체 피스(11b)가 삽입되어 있다.
제 8 실시예에서는 자성 코어(3)의 레그부(32)와 가포화 코어(1a, 1b) 사이에 자석(5) 및 자성체 피스(11b)가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자성 코어(3)의 레그부(32)에 발생하는 와전류가 감소하여, 도 10에 도시하는 제 6 실시예보다 더욱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제 8 실시예에 의해, 제 2 실시예와 비교하여 왜곡 보정량을 줄이는 일 없이 약 36℃의 온도 저감 효과가 얻어졌다. 온도 저감 효과는 제 6 실시예보다 더욱 약 6℃ 우수하다.
<제 9 실시예>
도 13에 도시하는 제 9 실시예는 도 12에 도시하는 제 8 실시예의 변형예로, 자석(5)과 자성체 피스(11b)의 위치를 바꾼 것이다. 즉, 자성체 피스(11b)를 가포화 코어(1a, 1b)와 자석(5) 사이에 삽입한 것이다. 이 제 9 실시예의 온도 저감 효과는 제 8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제 10 실시예>
도 14에 도시하는 제 10 실시예는 더욱 온도 저감 효과가 얻어지도록 도 11에 도시하는 제 7 실시예를 발전시킨 것이다. 도 14에 있어서, 도 11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병기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성 코어(3)의 레그부(31)와 가포화 코어(1) 사이에는 자성체 피스(11a)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자성 코어(3)의 레그부(32)와 자석(5) 사이에도 자성체 피스(11b)가 삽입되어 있다.
제 10 실시예에서는 자성 코어(3)의 레그부(32)와 가포화 코어(1) 사이에 자석(5) 및 자성체 피스(11b)가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자성 코어(3)의 레그부(32)에 발생하는 와전류가 감소하며, 도 11에 도시하는 제 7 실시예보다 더욱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이 제 10 실시예에 의해, 제 3 실시예와 비교하여 왜곡 보정량을 줄이는 일 없이 약 36℃의 온도 저감 효과가 얻어졌다. 온도 저감 효과는 제 7 실시예보다 더욱 약 6℃ 우수하다.
<제 11 실시예>
도 15에 도시하는 제 11 실시예는 도 14에 도시하는 제 10 실시예의 변형예로, 자석(5)과 자성체 피스(11b)의 위치를 교체한 것이다. 즉, 자성체 피스(11b)를 가포화 코어(1)와 자석(5) 사이에 삽입한 것이다. 이 제 11 실시예의 온도 저감 효과는 제 10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그런데, 최근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는 각종 래스터 왜곡 보정 기기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래스터 왜곡 보정 기능에 의한 스크린 좌우에서의 보정 특성의 비대칭 등에 의해, 도 16a, 1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크린 좌우방향 중앙부에서의 종선 래스터의 활 모양 왜곡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도 17 내지 도 21에 도시하는 실시예는 상술한 기본적 구성과 더불어, 도 16a, 1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종선 래스터 왜곡을 보정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7 내지 도 21에 있어서, 도 1, 도 6 내지 도 11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병기하여 그 설명을 적당히 생략한다.
<제 12 실시예>
도 17에 도시하는 제 12 실시예는 도 16a, 1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종선 래스터 왜곡을 보정하도록 도 10에 도시하는 제 6 실시예에 개량을 가한 것이다. 도 17과 도 10을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7에 도시하는 제 12 실시예에서는 자석(5)의 위치를 도 17의 아래 방향으로 오프셋시키고 있다. 즉, 자석(5)을 가포화 코어(1a, 1b)의 양 플랜지에 균등하게 접촉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양 플랜지에 불균등하게 접촉시키도록 배치시키고 있다.
이로써, 자석(5)이 가포화 코어(1a, 1b)의 양 플랜지에 접촉하는 면적은 서로 다르다. 이렇게 하면, 가포화 코어(1a, 1b)에 주는 자기 바이어스가 서로 달라, 가포화 코어(1a, 1b)에 권선된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의 인덕턴스가 서로 다른 것이 된다. 또한, 임피던스 제어 코일(2a)의 인덕턴스는 임피던스 제어 코일(2b)의 인덕턴스보다 커진다.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의 인덕턴스가 서로 같으면,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은 서로 역방향의 자계를 발생시키도록 권선되어 있기 때문에, 포화 제어 코일(4)의 자계에 의해 발생하여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에 흐르는 유도전류는 서로 삭제하게 된다. 그렇지만, 도 17과 같이 구성하여,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의 인덕턴스에 차이가 생겨 있을 경우에는 유도 전류에도 차이가 생겨 서로 제거되지 않게 된다.
그렇게 하면, 그 유도 전류는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에 접속된 수평 편향 코일(12a, 12b)로 흘러, 스크린 상측 및 하측에서 전자 빔을 수평 방향으로 편향시킨다. 그 결과, 도 16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크린 상측 및 하측에서 종선 래스터를 활 모양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그래서, 자석(5)에 의한 가포화 코어(1a, 1b)로의 자기 바이어스를 다르게 하여, 스크린 좌우 방향 중앙부에서의 종선 래스터의 활 모양 왜곡을 없애도록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의 인덕턴스를 의도적으로 언밸런스시킨다.
이상에 의해, 도 17에 도시하는 제 12 실시예는 도 16에 도시하는 종선 래스터의 활 모양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종선 래스터가 변화하는 방향, 즉, 도 16a, b 중 어느 것이 될지는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의 인덕턴스의 대소 관계나 권선 방향에 의해 결정된다.
<제 13 실시예>
도 18에 도시하는 제 13 실시예는 도 17에서의 자석(5) 대신 그보다 길이가 짧은 자석(50)을 사용하고 있다. 도 17에서의 자석(5)은 가포화 코어(1a, 1b)의 플랜지의 양단간 거리와 대략 동등한 길이를 갖고 있지만, 도 18에서의 자석(50)은 그 양단간 거리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것이다. 도 18의 예에서는 자석(5O)은 그 길이 방향의 한쪽 끝 부분을 가포화 코어(1b)의 플랜지 끝 부분에 맞추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제 13 실시예에 있어서도, 자석(50)은 가포화 코어(1a, 1b)의 양 플랜지에 불균등하게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가포화 코어(1a, 1b)에 주는 자기 바이어스가 서로 달라, 가포화 코어(1a, 1b)에 권선된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의 인덕턴스가 서로 다른 것이 된다. 또한, 임피던스 제어 코일(2a)의 인덕턴스는 임피던스 제어 코일(2b)의 인덕턴스보다 커진다. 따라서, 제 1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16에 도시하는 종선 래스터의 활 모양 왜곡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4 실시예>
도 19에 도시하는 제 14 실시예는 도 17에서의 자석(5) 대신 서로 크기가 다른 2개의 자석(50a, 50b)을 사용하고 있다. 자석(50a)은 자석(50b)보다 작다. 자석(50b)은 가포화 코어(1b)의 플랜지의 양단간 거리와 대략 동등한 길이를 갖고 있지만, 자석(50a)은 가포화 코어(1a)의 플랜지의 양단간 거리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다. 이 제 14 실시예에 의해서도, 도 16에 도시하는 종선 래스터의 활 모양 왜곡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5 실시예>
도 20에 도시하는 제 15 실시예는 도 16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종선 래스터 왜곡을 보정하도록 도 8에 도시하는 제 4 실시예에 개량을 가한 것이다. 도 20과 도 8을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20에 도시하는 제 15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석(5a)의 위치를 도 20의 아래 방향으로 오프셋시키고 있다. 이 구성에서도, 가포화 코어(1a, 1b)에 주는 자기 바이어스가 서로 달라, 임피던스 제어 코일(2a)의 인덕턴스는 임피던스 제어 코일(2b)의 인덕턴스보다 커진다. 따라서, 이 제 15 실시예에 의해서도, 도 16에 도시하는 종선 래스터의 활 모양 왜곡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6 실시예>
도 21에 도시하는 제 16 실시예는 도 20에서의 자석(5a) 대신 그보다 길이가 짧은 자석(50a)을 사용하고 있다. 자석(50a)은 자석(5b)보다 작다. 따라서, 가포화 코어(1a, 1b)에 주는 자기 바이어스가 서로 달라 임피던스 제어 코일(2a)의 인덕턴스는 임피던스 제어 코일(2b)의 인덕턴스보다 커진다. 이 제 16 실시예에 의해서도, 도 16에 도시하는 종선 래스터의 활 모양 왜곡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2 내지 제 16 실시예에서는 자기 바이어스를 다르게 한 수단으로서, 가포화 코어(1a, 1b)의 양 플랜지에 접촉하는 자석의 위치를 벗어나거나, 자석의 길이를 다르게 하였지만, 가포화 코어(1a, 1b)의 양 플랜지에 접촉하는 자석의 두께나 형상을 다르게 하거나 자기량(magnetic charge:着磁量)을 다르게 하여도 된다.
그런데,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하는 제 8 내지 제 11 실시예에 있어서, 도 16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스크린 좌우 방향 중앙부에서의 종선 래스터의 활 모양 왜곡이 발생할 경우에는 그 왜곡을 보정하도록 제 12 내지 제 16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자석(5)에 의한 가포화 코어(1a, 1b)에의 자기 바이어스를 다르게 하면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2에 도시하는 제 8 실시예와 도 13에 도시하는제 9 실시예를 비교하면, 온도 저감 효과에는 차이가 없지만, 자기 바이어스를 다르게 하여 종선 래스터의 활 모양 왜곡을 보정할 경우에는 자석(5)이 가포화 코어(1a, 1b)에 의해 가까운 제 8 실시예 쪽이 왜곡 보정 효과가 크다. 따라서, 스크린 좌우 방향 중앙부에서의 종선 래스터의 왜곡 보정 효과라는 점에서는 제 9 실시예보다 제 8 실시예 쪽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 11 실시예보다 제 10 실시예 쪽이 바람직하다.
<제 17 실시예>
가포화 리액터를 동작시키면, 가포화 코어(1, 1a, 1b)는 수평 편향 주기로 진동하고, 포화 제어 코일(4)이 권선된 자성 코어(3)는 수직 편향 주기로 진동하며, 이들과 접하는 자석(5, 5a, 5b, 50, 50a)이나 자성체 피스(11, 11a, 11b)와 충돌하여, 노이즈(진동음)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도 22에 도시하는 제 17 실시예는 도 10에 도시하는 제 6 실시예를 개량하여, 진동음 발생을 억제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22에 있어서, 가포화 코어(1a, 1b)와 자성체 피스(11) 사이, 가포화 코어(1a, 1b)와 자석(5) 사이에는 폴리에스테르 테이프(15a, 15b)가 설치되어 있다. 일례로서, 폴리에스테르 테이프(15a)는 자성체 피스(11)에 점착되어 있으며, 폴리에스테르 테이프(15b)는 자석(5)에 점착되어 있다. 폴리에스테르 테이프(15a, 15b)를 설치함으로써, 가포화 코어(1a, 1b)와 자성체 피스(11) 사이 및 가포화 코어(1a, 1b)와 자석(5) 사이의 부분에서, 폐자로(6)에 자기적인 갭이 형성되어 있다. 폴리에스테르 테이프(15a, 15b)의 두께는 0.1mm 정도로, 가포화 리액터로서의동작에 특별히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이 구성에 의해, 가포화 코어(1a, 1b)가 진동하여 자성체 피스(11)나 자석(5)과 충돌하는 것에 의한 진동음 발생을 대폭 억제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테이프(15a, 15b) 대신 다른 진동 흡수 물질(완충재)을 사용하여도 되며, 가포화 리액터의 케이스에 리브를 설치하여 공간을 형성하여도 된다.
<제 18 실시예>
도 23에 있어서, 자성 코어(3)의 레그부(31)와 자성체 피스(11) 사이, 자성 코어(3)의 레그부(32)와 자석(5) 사이에는 폴리에스테르 테이프(15a, 15b)가 설치되어 있다. 일례로서, 폴리에스테르 테이프(15a)는 자성체 피스(11)에 점착되어 있으며, 폴리에스테르 테이프(15b)는 자석(5)에 점착되어 있다. 이 제 18 실시예에서도, 제 17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진동음 발생을 대폭 억제할 수 있다.
제 17, 제 18 실시예에서는 폐자로(6)의 자기적인 갭을 2개소 설치하고 있지만, 가포화 코어(1a, 1b)의 양단, 자성 코어(3)의 레그부(31)와 자성체 피스(11) 사이, 자성 코어(3)의 레그부(32)와 자석(5) 사이의 4개소 중, 어느 1개소에서도 자기적인 갭을 설치하면, 진동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폐자로(6)의 자기적인 갭 수를 늘리면, 진동음의 저감 효과도 커진다. 폐자로(6)의 자기적인 갭을 2개소 설치한 제 17, 제 18 실시예에 의해, 실용상 문제가 없는 레벨로까지 개선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 17, 제 18 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제 6 실시예에 진동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폴리에스테르 테이프(15a, 15b)를 설치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있어서도 완전히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 19 실시예>
제 19 실시예는 일례로서 도 10에 도시하는 제 6 실시예의 가포화 리액터를 실제로 편향 요크에 장착하는 부품으로서 형성할 경우에 적합한 기구적 구성을 도시하는 것이다. 우선, 제 19 실시예의 가포화 리액터의 기본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4에 있어서, 드럼 코어인 가포화 코어(1a, 1b)에는 각각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이 권선되어 있다. 가포화 코어(1a, 1b)는 도 24의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가포화 코어(1a, 1b)의 한쪽(여기서는 우측)에는 자기 바이어스를 부여하는 자석(5)이 배치되고, 다른 한쪽(여기서는 좌측)에는 와전류가 발생하기 어려운 자성체로 형성된 자성체 피스(11)가 배치되어 있다. 자성체 피스(11)는 적합한 일례로서 페라이트로 이루어진다.
가포화 코어(1a, 1b)와 자석(5)과 자성체 피스(11)는 대략 ㄷ자형 자성 코어(3)의 2개의 레그부(31, 3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자성 코어(3)의 바디부(30)에는 수지로 형성된 보빈(14)이 바디부(30)의 중간부를 둘러싸도록 장착되어 있다. 보빈(14)에는 포화 제어 코일(4)이 권선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가포화 코어(1a, 1b)와, 자석(5)과, 자성체 피스(11)와, 자성 코어(3)로 파선으로 도시하는 폐자로(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도 24에 도시하는 가포화 리액터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된다.
도 24의 구성에서의 자성체 피스(11)는 자성 코어(3)에 발생하는 와전류를 감소시키며, 이것에 의해 자성 코어(3)의 발열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자성체 피스(11) 자체에도 와전류가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아, 자성체 피스(11)는 거의 발열하지 않는다. 자성체 피스(11)를 삽입하여도 폐자로(6)는 유지되기 때문에, 상술한 가포화 리액터로서의 동작(왜곡 보정 특성)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자성체 피스(11)가 없는 구성과 비교하여 왜곡 보정량을 줄이는 일 없이 약 30℃의 온도 저감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발열 문제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자성체 피스(11)는 삭제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25 내지 도 33을 사용하여 제 19 실시예의 가포화 리액터의 케이스를 포함한, 더욱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25 내지 도 27은 자성 코어(3)와 포화 제어 코일(4)과 보빈(14)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부품(100)을 도시하고 있다. 도 25 및 도 26은 제 1 부품(100)의 사시도이고, 도 27은 제 1 부품(100)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25, 도 26에 있어서는 포화 제어 코일(4)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24를 사용한 설명에서는 자성 코어(3)를 대략 ㄷ자형으로 표현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 레그부(31, 32)는 하나의 평면이 아니라, 도 25 내지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레그부(31, 32)에서의 전체 바디부(30) 측으로부터 1/3 정도된 곳에서 바디부(30)와 대략 평행하는 방향으로 안쪽으로 구부러지고, 더욱이, 2/3 정도된 곳에서 바디부(30)와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이렇게 구부러진 레그부(31, 32) 각각의 부분을 기저부(31a, 32a), 중간부(31b, 32b), 선단부(31c, 32c)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2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선단부(31c, 32c)에는 그 폭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슬릿(31cs, 32cs)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을 갖는 자성 코어(3)는 일례로서, JIS 규격 50A470의 전자 강판의 t0.5로 이루어지며, 1장의 평면형 강판을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성 코어(3)의 바디부(30)에 2장의 자성 코어(3a)가 적층되어 있으며, 보빈(14)은 바디부(30)와 자성 코어(3a) 3장의 강판을 둘러싸고 있다. 자성 코어(3a)는 가포화 리액터로서의 소망하는 보정 특성이 얻어지도록 삽입한 것으로, 그 매수는 임의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삭제 가능하다.
또한, 보빈(14)은 인서트 성형에 의해 바디부(30)와 자성 코어(3a)에 장착한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힌지에 의해 굴곡이 자유로운 것을 구부려, 바디부(30)와 자성 코어(3a)에 장착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보빈(14)의 양단에는 플랜지(14a, 14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플랜지(14a, 14b)에는 각각 보빈(14)에 권선된 포화 제어 코일(4)의 인출선을 휘감기 위한 대략 갈고리형 돌기(14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14a, 14b)에서의 자성 코어(3)의 레그부(31, 32)측 끝 부분에는 후술하는 제 2 부품(20O)의 케이스(20)와 결합하기 위한 돌기(14d, 14e)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14d)는 플랜지(14a, 14b)에서의 돌기(14c)를 설치한 쪽의 끝 부분에 바깥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으며, 돌기(14e)는 플랜지(14a, 14b)에서의 다른 한쪽 끝 부분에 플랜지(14a, 14b)의 면과 평행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28 내지 도 33을 사용하여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을 권선한 가포화 코어(1a, 1b)와, 자석(5)과, 자성체 피스(11)와, 이들을 수납하기 위한케이스(20)로 이루어지는 제 2 부품(200)이나, 제 2 부품(200)에 대한 제 1 부품(100)의 장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8, 도 29는 케이스(20)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8은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을 권선한 가포화 코어(1a, 1b)와, 자석(5)과, 자성체 피스(11)를 수납하는 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9는 그 반대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우선, 도 28을 사용하여 수납측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20)는 수납측 반체(20a)와 덮개측 반체(20b)로 이루어지며, 수납측 반체(20a)와 덮개측 반체(20b)의 연결 부분은 힌지(20c)로 되어 있다. 덮개측 반체(20b)는 힌지(20c)에 의해 수납측 반체(20a)에 대하여 개폐가 자유롭게 되어 있다. 케이스(20)는 일례로서, 힌지(20c)의 굴곡 특성에 뛰어난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일체 형성되어 있다.
수납측 반체(20a)는 가포화 코어(1a, 1b)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20a1, 20a2)와, 자석(5)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20a3)와, 자성체 피스(11)를 수납하는 수납부(20a4)를 갖는다.
이들 수납부(20a1 내지 20a4)는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수납측 반체(20a)의 바닥부에는 가포화 코어(1a, 1b)의 각 플랜지 각각에 접촉하는 경사면(20a5)을 갖는 2개의 입벽(立壁)(20a6)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측 경사면(20a5) 사이에는 기둥 모양 돌기(20a7)가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입벽(20a6) 사이가 가포화 코어(1a, 1b)의 수납부(20a1, 20a2)이다. 수납부(20a1, 20a2)는 기둥 모양 돌기(20a7)에 의해 서로 구획되어 있다. 2개의 입벽(20a6)의 양 바깥측이 각각 자석(5)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20a3)와 자성체 피스(11)를 수납하는 수납부(20a4)가 된다.
또한, 수납측 반체(20a)의 힌지(20c)측 끝 부분 근방에는 벽(20a8i)이 형성되고, 힌지(20c)와는 반대측의 끝 부분 근방에는 벽(20a8o)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입벽(20a6)은 이 벽(20a8i, 20a8o)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수납측 반체(20a)의 힌지(20c)와는 반대측의 끝 부분에는 버튼 모양 돌기(20a9)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덮개측 반체(20b)에는 힌지(20c)와 직행 방향으로 연장된 판 모양의 리브(20b1)와, 판 모양 리브(20b1)와 인접한 가는 판 모양 리브(20b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측 반체(20b)에는 방열용 2개의 개구(20b3)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측 반체(20b)의 폭 방향 양단부에는 계단 모양 벽(20b4)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벽(20b4) 사이의 거리(Lb4)는 상술한 자성 코어(3)에서의 레그부(31, 32)의 선단부(31c, 32c)의 바깥측 간격(Lco)(도 27 참조)보다 약간 큰 정도로 되어 있다.
더욱이, 덮개측 반체(20b)의 힌지(20c)와는 반대측 끝 부분에 설치한 벽(20b5)의 내면측으로, 벽(20b4) 근방에는 리브(20b6)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측 반체(20b)의 힌지(20c)와는 반대측 끝 부분으로, 벽(20b5)의 상단면에는 결합 구멍(20b7)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측 반체(20b)의 폭 방향 양단부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은 기판 등에 이 가포화 리액터를 장착하기 위한 버튼 모양 돌기(20b8)가 형성되어 있다.
수납부(20a1 내지 20a4)에 가포화 코어(1a, 1b)나 자석(5), 자성체 피스(11)를 각각 수납하여, 덮개측 반체(20b)를 접어 겹치면, 덮개측 반체(20b)에 형성한 판 모양 리브(20b1)가 가포화 코어(1a, 1b)의 각 플랜지 상 끝 부분에 접촉하여, 수납측 반체(20a)와 덮개측 반체(20b)가 가포화 코어(1a, 1b)를 삽입하며, 판 모양 리브(20b2)가 자석(5), 자성체 피스(11)의 상단부에 접촉하여, 수납측 반체(20a)와 덮개측 반체(20b)가 자석(5), 자성체 피스(11)를 삽입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수납측 반체(20a)의 버튼 모양 돌기(20a9)가 덮개측 반체(20b)의 결합 구멍(20b7)에 삽입하며, 수납측 반체(20a)와 덮개측 반체(20b)가 결합하여, 덮개측 반체(20b)는 수납측 반체(20a)에 대하여 닫힌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도 29를 사용하여 수납하는 측과는 반대측인 이면측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측 반체(20a)의 폭 방향 양단부에는 가이드 벽(20a10)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벽(20a10) 사이의 거리(La10)는 상술한 보빈(14)의 플랜지(14a, 14b)의 바깥측 간격(L14)(도 27 참조)과 거의 같은 정도로 되어 있다. 가이드 벽(20a10)에 인접한 수납측 반체(20a) 이면의 바닥부는 가이드 면(20a11)으로 되어 있다.
제 1 부품(100)은 수납측 반체(20a)의 이면측에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30은 제 1 부품(100)을 수납측 반체(20a)의 이면측에 장착하여 도중까지 슬라이드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0에 있어서는 보빈(14)에 권선되는 포화 제어 코일(4)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제 1 부품(100)은 플랜지(14a, 14b)의 돌기(14e)를 설치한 측을 선두로 하여, 수납측 반체(20a)의 이면측에 장착된다. 이 때, 가이드 벽(20a10)과 가이드 면(20a11)이 플랜지(14a, 14b)를 가이드한다. 수납측 반체(20a)의 가이드 벽(20a10)과 가이드 면(20a11)은 제 1 부품(100)을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유지하는 유지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도 29로 돌아가, 가이드 면(20a11) 안쪽으로, 수납측 반체(20a) 양측부의 힌지(20c)측 끝 부분에는 돌기(14e)와 대개 형태 없이 결합하는 구멍(20a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벽(20a10)의 앞측(제 1 부품(100)을 삽입하는 측)에는 플랜지(14a, 14b)의 돌기(14d)와 대개 형태 없이 결합하는 오목부(20a13)가 형성되어 있다.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부품(100)을 화살표(A)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장 속까지 슬라이드시키면, 플랜지(14a, 14b)의 돌기(14e)가 수납측 반체(20a)의 구멍(20a12)에 결합하고, 돌기(14d)가 오목부(20a13)에 결합하여, 제 1 부품(100)은 수납측 반체(20a)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이로써, 제 1 부품(100)은 수납측 반체(20a)의 바닥면과 직교하는 도 30에 도시하는 화살표(B) 방향의 위치 규제가 이루어진다. 또한, 돌기(14d, 14e)가 각각 오목부(20a13), 구멍(20a12)에 대개 형태 없이 결합하기 때문에, 제 1 부품(100)은 슬라이드 방향(화살표(A)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도 어느 정도의 위치 규제가 이루어진다. 이 때, 제 1 부품(100)은 수납측 반체(20a)에 대하여 임시고정된 상태이다. 돌기(14d, 14e)와 이들이 결합하는 오목부(20a13), 구멍(20a12)은 제 1 부품(100)을 수납측 반체(20a)에 임시고정하는 임시고정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 1 부품(100)을 수납측 반체(20a)의 표면측에 장착한 후, 수납측 반체(20a)의 수납부(20a1 내지 20a4)에 각각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을 권선한 가포화 코어(1a, 1b)와, 자석(5)과, 자성체 피스(11)를 수납한다. 도 31은 레그 부품을 수납부(20a1 내지 20a4)에 수납하기 전의 상태, 도 32는 각 부품을 수납부(20a1 내지 20a4)에 수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31, 도 32에 있어서는 간략화를 위해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31, 도 3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부품(100)을 수납측 반체(20a)의 이면측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자성 코어(3)에서의 레그부(31, 32)의 중간부(31b, 32b)는 수납측 반체(20a) 안쪽으로 연장되어, 수납부(20a3, 20a4) 근방까지 이르고 있다. 따라서, 제 1 부품(100)을 수납측 반체(20a)의 이면측에 장착하여 슬라이드시키는 도중에서도, 제 1 부품(100)은 수납측 반체(20a)로부터 낙하하는 일은 없다. 자성 코어(3)에서의 레그부(31, 32)의 선단부(31c, 32c)는 수납부(20a3, 20a4)의 양 바깥측에 위치한다.
자석(5)의 두께와, 가포화 코어(1a, 1b)의 길이 방향의 길이와, 자성체 피스(11)의 두께의 합계 치수는 레그부(31, 32)의 선단부(31c, 32c) 내측의 간격(Lci)(도 27 참조)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선단부(31c, 32c)의 간격을 약간 바깥 방향으로 휘게 하여, 가포화 코어(1a, 1b)와 자석(5)과 자성체 피스(11)를 각각의 수납부(20a1 내지 20a4)에 수납하면, 자성 코어(3)는 이들 부품 전체를 가압 유지한다.
또한, 자석(5)의 두께와, 가포화 코어(1a, 1b)의 길이 방향의 치수와, 자성체 피스(11)의 두께의 합계 치수와, 레그부(31, 32)의 선단부(31c, 32c) 내측 간격(Lci)과의 차이는 삽입이 용이하며, 적절한 가압력이 얻어지도록 0.3mm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선단부(31c, 32c)에는 그 폭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슬릿(31cs, 32cs)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부(31c, 32c)는 슬릿(31cs, 32cs)에 의해 분할된 각각의 부재로 독립하여 휠 수 있다. 따라서, 레그 부품 삽입이 용이해짐과 동시에, 각각의 부재가 부품 전체를 양호하게 삽입한다.
즉, 가포화 코어(1a, 1b)의 길이 방향 치수가 다소 흩어져도 그 격차를 흡수하여, 가포화 코어(1a, 1b) 각각에 균등하게 가압력을 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짧은 쪽의 가포화 코어가 움직여버리거나, 자석(5)이나 자성체 피스(11) 사이에 갭이 생겨 폐자로(6)를 형성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32와 같이 각 부품을 수납측 반체(20a)에 수납하면,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의 리드(도시하지 않는다)를 소정의 위치로 인출하고, 힌지(20c)를 중심으로 하여 덮개측 반체(20b)를 수납측 반체(20a) 방향으로 구부려, 버튼 모양 돌기(20a9)를 결합 구멍(20b7)에 결합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부품(100)과 제 2 부품(200)이 일체화한 본 발명의 가포화 리액터를 얻을 수 있다.
이 도 33의 상태에 있어서, 덮개측 반체(20b)의 벽(20b4)의 단면(20b41)이 자성 코어(3)에서의 레그부(31, 32)의 중간부(31b, 32b)의 힌지(20c)와는 반대측 단면에 거의 접촉하기 때문에, 제 1 부품(100)은 최종적으로 슬라이드 방향(도 30의 화살표(A)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의 위치 규제가 이루어진다. 즉, 덮개측 반체(20b)를 수납측 반체(20a)에 대하여 연 상태에서 수납측 반체(20a)에 장착한 제 1 부품(1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수납측 반체(20a)(케이스(20))에 대하여 임시고정 상태에 있으며, 덮개측 반체(20b)를 수납측 반체(20a)에 대하여 닫으면, 제 1 부품(1O0)은 케이스(20)에 대하여 대개 형태 없이 고정되는 것이 된다.
또한, 도 33의 상태에 있어서, 덮개측 반체(20b)의 2개의 리브(20b6)는 수납측 반체(20a)의 벽(20a8o)의 폭 방향의 양 바깥측에 거의 접촉하여, 수납측 반체(20a)와 덮개측 반체(20b)의 폭 방향의 형태 부착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제 1 부품(100)과 제 2 부품(200)을 일체화한 후에 있어서도 제 1 부품(100)과 제 2 부품(200)을 다시 분해할 수 있지만, 도 33에 도시하는 가포화 리액터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가포화 리액터 전체를 고착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가포화 리액터 및 이것을 사용한 편향 요크는 이상의 구성에 의해, 도 37에 도시하는 종선 래스터의 실감기 왜곡을 보정할 수 있어, 종래와 동등 이상의 편향 보정 특성을 가지면서 부품 개수 및 조립 수고가 적어, 저 코스트가 된다.
<제 20 실시예>
제 20 실시예는 상술한 도 24 내지 도 33에 도시하는 기본적 구성과 더불어, 도 16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종선 래스터의 활 모양 왜곡을 보정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34에 있어서, 도 25 내지 도 33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병기하여 그 설명을 적당히 생략한다.
도 34와 도 32를 비교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34에 도시하는 제 20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석(5) 대신 그보다 길이가 짧은 자석(50)을 사용하고 있다. 도 32에서의 자석(5)은 가포화 코어(1a, 1b)의 플랜지의 양단간 거리와 대략 동등한 길이를 갖고 있지만, 도 34에서의 자석(50)은 그 양단간 거리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것이다. 도 34의 예에서는 자석(50)은 그 길이 방향의 한쪽 끝 부분이 벽(20a8i)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자석(50)을 가포화 코어(1a, 1b)의 양 플랜지에 균등하게 접촉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양 플랜지에 불균등하게 접촉시키도록 배치시키고 있다. 이로써, 자석(50)이 가포화 코어(1a, 1b)의 양 플랜지에 접촉하는 면적은 서로 다르다. 이렇게 하면, 가포화 코어(1a, 1b)에 주는 자기 바이어스가 서로 달라, 가포화 코어(1a, 1b)에 권선된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의 인덕턴스가 서로 다른 것이 된다.
도 34와 같이 구성하여, 임피던스 제어 코일(2a, 2b)의 인덕턴스에 차이가 생겨 있을 경우에는 유도 전류에도 차이가 생겨 서로 제거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 16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크린 상측 및 하측에서 종선 래스터를 활 모양으로 변화시켜, 스크린 좌우 방향 중앙부에서의 종선 래스터의 활 모양 왜곡을 제거할 수 있다.
도 34의 제 20 실시예에서는 자기 바이어스를 다르게 한 수단으로서, 자석(50)이 가포화 코어(1a, 1b)의 양 플랜지에 접촉하는 면적을 다르게 하였지만, 형상이 다른 자석을 가포화 코어(1a, 1b)의 양 플랜지에 접촉시키거나, 자기량이 다른 자석을 가포화 코어(1a, 1b)의 양 플랜지에 접촉시키도록 하여도 된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아,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각종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발열 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자성체 피스(11)는 없어도 된다. 자성체 피스(11)를 삭제한 경우에는 상술한 기구적인 구성은 그에 따라서 적당히 변경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향 요크는 편향 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가포화 리액터로서, 적어도 1개의 가포화 코어와, 이 가포화 코어에 권선되어 수평 편향 코일에 접속된 임피던스 제어 코일과, 가포화 코어에 자기 바이어스를 부여하는 적어도 1개의 자석과, 가포화 코어와 자석과 함께 폐자로를 형성하는 자성 코어와, 이 자성 코어에 권선되어 수직 편향 전류가 흐르는 포화 제어 코일을 구비하여 구성하며, 더욱이 포화 제어 코일이 발생하는 수직 편향 포화 제어 자계 방향을 스크린 상측 편향시와 스크린 하측 편향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하는 수단을 설치하여 구성하였기 때문에, 종래와 동등 이상의 편향 보정 특성을 가지면서 부품 개수 및 조립 수고가 적어, 편향 요크를 저 코스트로 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과 더불어, 가포화 코어와 자성 코어 사이에 와전류가 발생하기 어려운 자성체를 개재시킴으로써, 발열량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가포화 코어를 구비한 구성에 있어서, 자석이 다수의 가포화 코어에 대하여 서로 다른 자기 바이어스를 주도록 하였기 때문에, 스크린 좌우 방향 중앙부에서의 종선 래스터의 활 모양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포화 리액터는 적어도 1개의 가포화 코어와, 이 가포화 코어에 권선되어 수평 편향 코일에 접속되는 임피던스 제어 코일과, 가포화 코어에 자기 바이어스를 부여하는 적어도 1개의 자석과, 가포화 코어와 자석과 함께 폐자로를 형성하는 자성 코어와, 자성 코어에 장착된 보빈과, 이 보빈에 권선되어 수직 편향 전류가 흐르는 포화 제어 코일과, 임피던스 제어 코일이 권선된 가포화 코어와 자석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자성 코어와 포화 제어 코일이 권선된 보빈은 제 1 부품을 구성하며, 상기 제 1 부품은 케이스에 대하여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품 개수 및 조립 수고가 적어 저 코스트로 할 수 있다.

Claims (18)

  1. 수평 편향 코일과, 수직 편향 코일과, 편향 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가포화 리액터를 구비한 편향 요크에 있어서,
    상기 가포화 리액터는
    1개 이상의 가포화 코어와,
    상기 가포화 코어에 권선되어 상기 수평 편향 코일에 접속된 임피던스 제어 코일과,
    상기 가포화 코어에 자기 바이어스를 부여하는 1개 이상의 자석과,
    상기 가포화 코어와 상기 자석과 함께 폐자로를 형성하는 자성 코어와,
    상기 자성 코어에 권선되어 수직 편향 전류가 흐르는 포화 제어 코일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포화 제어 코일이 발생하는 수직 편향 포화 제어 자계 방향을 스크린 상측 편향시와 스크린 하측 편향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하는 수단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수직 편향 코일 및 상기 포화 제어 코일에 접속된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 제어 코일은 병렬 접속된 제 1 및 제 2 코일로이루어지며, 상기 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 각각에 서로 역방향으로 접속된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포화 코어와 상기 자성 코어 사이에 와전류가 발생하기 어려운 자성체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가포화 코어를 구비하며, 상기 자석은 상기 다수의 가포화 코어에 대하여 서로 다른 자기 바이어스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다수의 가포화 코어 각각에 접촉하고, 상기 자석이 상기 다수의 가포화 코어 각각에 접촉하는 면적을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상기 자석이 상기 다수의 가포화 코어에 대하여 서로 다른 자기 바이어스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7. 편향 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가포화 리액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가포화 코어와,
    상기 가포화 코어에 권선되어 수평 편향 코일에 접속되는 임피던스 제어 코일과,
    상기 가포화 코어에 자기 바이어스를 부여하는 1개 이상의 자석과,
    상기 가포화 코어 및 상기 자석과 함께 폐자로를 형성하는 자성 코어와,
    상기 자성 코어에 장착된 보빈과,
    상기 보빈에 권선되고 수직 편향 전류가 흐르는 포화 제어 코일과,
    상기 임피던스 제어 코일이 권선된 상기 가포화 코어와 상기 자석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자성 코어와 상기 포화 제어 코일이 권선된 상기 보빈으로 구성된 제 1 부품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부품은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포화 리액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임피던스 제어 코일이 권선된 상기 가포화 코어와 상기 자석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갖는 수납측 반체와, 이 수납측 반체에 연결되고 상기 수납측 반체에 대하여 개폐가 자유롭게 형성된 덮개측 반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납측 반체는 상기 제 1 부품을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포화 리액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측 반체는 상기 제 1 부품을 상기 수납측 반체에 임시고정하는 임시고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덮개측 반체를 상기 수납측 반체에 대하여 폐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 부품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포화 리액터.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코어는 상기 가포화 코어와 상기 자석을 가압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포화 리액터.
  11.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가포화 코어를 구비하며, 상기 자석은 상기 다수의 가포화 코어에 대하여 서로 다른 자기 바이어스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포화 리액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다수의 가포화 코어 각각에 접촉하고, 상기 자석이 상기 다수의 가포화 코어 각각에 접촉하는 면적을 서로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자석이 상기 다수의 가포화 코어에 대하여 서로 다른 자기 바이어스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포화 리액터.
  13. 수평 편향 코일과, 수직 편향 코일과, 편향 특성을 보정하기 위한 가포화 리액터를 구비한 편향 요크에 있어서,
    상기 가포화 리액터는,
    1개 이상의 가포화 코어와,
    상기 가포화 코어에 권선되어 상기 수평 편향 코일에 접속된 임피던스 제어 코일과,
    상기 가포화 코어에 자기 바이어스를 부여하는 1개 이상의 자석과,
    상기 가포화 코어와 상기 자석과 함께 폐자로를 형성하는 자성 코어와,
    상기 자성 코어에 장착된 보빈과,
    상기 보빈에 권선되어 수직 편향 전류가 흐르는 포화 제어 코일과,
    상기 임피던스 제어 코일이 권선된 상기 가포화 코어와 상기 자석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자성 코어와 상기 포화 제어 코일이 권선된 상기 보빈으로 구성된 제 1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품은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포화 제어 코일이 발생하는 수직 편향 포화 제어 자계 방향을 스크린 상측 편향시와 스크린 하측 편향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하는 수단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임피던스 제어 코일이 권선된 상기 가포화 코어와 상기 자석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갖는 수납측 반체와, 이 수납측 반체에 연결되고 상기 수납측 반체에 대하여 개폐가 자유롭게 형성된 덮개측 반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납측 반체는 상기 제 1 부품을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측 반체는 상기 제 1 부품을 상기 수납측 반체에 임시고정하는 임시고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덮개측 반체를 상기 수납측 반체에 대해 닫음으로써, 상기 제 1 부품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코어는 상기 가포화 코어와 상기 자석을 가압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17.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가포화 코어를 구비하며, 상기 자석은 상기 다수의 가포화 코어에 대하여 서로 다른 자기 바이어스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다수의 가포화 코어 각각에 접촉하고, 상기 자석이 상기 다수의 가포화 코어 각각에 접촉하는 면적을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상기 자석이 상기 다수의 가포화 코어에 대하여 서로 다른 자기 바이어스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요크.
KR10-2002-0028341A 2001-06-27 2002-05-22 편향 요크 및 이것에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 KR100446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94361 2001-06-27
JP2001194361 2001-06-27
JP2001271524 2001-09-07
JPJP-P-2001-00271524 2001-09-07
JPJP-P-2001-00332301 2001-10-30
JP2001332301A JP3734158B2 (ja) 2001-10-30 2001-10-30 可飽和リアクタ及びこれを用いた偏向ヨーク
JPJP-P-2001-00336184 2001-11-01
JP2001336184 2001-11-01
JPJP-P-2002-00049415 2002-02-26
JP2002049415 2002-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245A KR20030001245A (ko) 2003-01-06
KR100446269B1 true KR100446269B1 (ko) 2004-09-01

Family

ID=27531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341A KR100446269B1 (ko) 2001-06-27 2002-05-22 편향 요크 및 이것에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446269B1 (ko)
CN (1) CN1266728C (ko)
TW (1) TW564459B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6859A (en) * 1974-03-14 1979-03-27 Whitewater Electronics, Inc. Saturable reactor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JPS6210845A (ja) * 1985-07-08 1987-01-19 Denki Onkyo Co Ltd 偏向ヨ−ク装置
JPS6345965U (ko) * 1986-09-12 1988-03-28
JPH06325699A (ja) * 1993-05-10 1994-1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偏向ヨーク用補正装置
JPH07288829A (ja) * 1994-02-25 1995-10-31 Victor Co Of Japan Ltd 偏向ヨー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6859A (en) * 1974-03-14 1979-03-27 Whitewater Electronics, Inc. Saturable reactor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JPS6210845A (ja) * 1985-07-08 1987-01-19 Denki Onkyo Co Ltd 偏向ヨ−ク装置
JPS6345965U (ko) * 1986-09-12 1988-03-28
JPH06325699A (ja) * 1993-05-10 1994-1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偏向ヨーク用補正装置
JPH07288829A (ja) * 1994-02-25 1995-10-31 Victor Co Of Japan Ltd 偏向ヨー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93904A (zh) 2003-01-29
TW564459B (en) 2003-12-01
CN1266728C (zh) 2006-07-26
KR20030001245A (ko) 200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3314A (en) Inductor
US5977853A (en) Choke coil for eliminating common mode noise and normal mode noise
US6014071A (en) Choke coil
US6927650B2 (en) Common mode choke coil with vertically arranged edgewise windings of rectangular wire
US20120056707A1 (en) Transformer for a power supply converter
JP5127060B2 (ja) 可変インダクタ
KR100446269B1 (ko) 편향 요크 및 이것에 사용하는 가포화 리액터
JP6283976B2 (ja)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
JPH07192934A (ja) 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4800357A (en) Transformer support assembly
US11515076B2 (en) Coil device
JP3425914B2 (ja) リアクター
KR100234487B1 (ko) 적층시트코어를 가진 트랜스
JP3734158B2 (ja) 可飽和リアクタ及びこれを用いた偏向ヨーク
JPH07106147A (ja) 面実装型インダクタ
JP3263022B2 (ja) リニアリティコイル
US20240304381A1 (en) Filter-choke,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electrical device
CN213905093U (zh) 电感器芯组件和包括电感器芯组件的电感器
JP3874257B2 (ja) 偏向ヨーク
CN115132473A (zh) 线圈部件
EP4184533A1 (en) Filter-choke,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electrical device
JP2569628Y2 (ja) 可飽和リアクタ
JP2006108390A (ja) トランスコア及びこれを用いたリーケージトランス
JP3407522B2 (ja) コイル部品
KR950003478Y1 (ko) 편향요크의 마그네트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