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5474B1 - 리셉터클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5474B1
KR100445474B1 KR10-2001-0073964A KR20010073964A KR100445474B1 KR 100445474 B1 KR100445474 B1 KR 100445474B1 KR 20010073964 A KR20010073964 A KR 20010073964A KR 100445474 B1 KR100445474 B1 KR 100445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ceptacle
body portion
side wall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3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3008A (ko
Inventor
허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73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5474B1/ko
Publication of KR20030043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3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5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54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02Maintenance of line connectors, e.g. clea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셉터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30)은 몸체부(32)가 도전성 재질의 금속판을 프레스가공하여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32)의 선단측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측벽(34)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34)의 내면에는 단자(40)의 삽입방향으로 길게 단자안착홈(35)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안착홈(35)에 대응되는 몸체부(32)에는 단자(40)를 상기 측벽(34)의 사이로 삽입하기 위한 단자통공(36)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자안착홈(35)의 형상과 상기 단자(40)의 외면 형상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단자안착홈(35)에 상기 단자(40)의 외면이 밀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40)를 리셉터클(30)의 측벽(34) 사이에 안착시키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되고, 상기 단자(40)와 리셉터클(30)의 측벽(34) 사이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이들 사이의 체결이 보다 견고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리셉터클{Receptacle}
본 발명은 리셉터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내부에 설치되어 단자와 와이어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셉터클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이 압축기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의 상세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압축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밀폐용기(1)의 일측 외면에는 단자캡(3)이 설치되고, 상기 단자캡(3)에는 다수개의 단자(5)가 설치된다. 상기 단자(5)는 상기 단자캡(3)과 밀폐용기(1)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그 양단부는 각각 상기 밀폐용기(1)의 내부와 외부에 위치된다.
상기 밀폐용기(1)의 내부로 돌출된 단자(5)의 일단부는 커넥터(6)에 삽입된다. 상기 커넥터(6)에는 와이어(7)가 구비되어 밀폐용기(1) 내부의 고정자(도시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커넥터(6)의 외관은 커넥터하우징(8,8')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하우징(8,8')의 내부 공간에는 리셉터클(10)이 설치된다. 상기 리셉터클(10)은 상기 와이어(7)와 상기 단자(5)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리셉터클(10)은 도전성 재질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몸체부(12)가 선단 정면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U자형으로 절곡된다. 상기 몸체부(12)의 선단측 양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소정 폭으로 측벽(14)이 형성된다. 상기 측벽(14)이 형성된 상기 몸체부(12)에는 상기 단자(5)가 상기 몸체부(1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하는 단자통공(16)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측벽(14)의 내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단자(5)의 외면 양단이 밀착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몸체부(12)의 후단에는 와이어연결부(17)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연결부(17)는 상기 와이어(7)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부분으로, 와이어(7)가 그 내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와이어(7)를 압착하도록 변형되어 와이어(7)를 고정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하우징(8,8')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밀폐용기(1)의 내부로 돌출된 단자(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7)가 연결된 고정자로 상기 단자(5)와 리셉터클(10)을 통해 전기신호가 전달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리셉터클(10)에는 상기 단자통공(16)을 통해 단자(5)가 삽입되어 상기 측벽(14)에 의해 양단부가 눌러져 고정된다. 하지만 상기 측벽(14)은 그 내벽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단자(5)는 봉형상의 것이어서, 상기 측벽(14)과 단자(5)가 접촉하는 부분은 직선으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특성상 상기 단자(5)와 리셉터클(10) 사이의 결합력이 약하여 상기 커넥터(6)에 큰 힘이 가해지거나 진동이 계속적으로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단자(5)가 리셉터클(10)에서 빠지게 되어 압축기의 내부로 전기신호의 전달이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측벽(14)과 단자(5)가 선접촉하도록 리셉터클(10)이 구성됨에 의해 상기 측벽(14)과 단자(5) 사이의 접촉력을 크게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상기 측벽(14) 사이의 간격을 상기 단자(5)의 직경보다 작게 하여 상기 측벽(14)의 탄성변형에 의한 탄성력으로 단자(5)와 리셉터클(10) 사이의 결합을 유지하여야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단자(5)를 상기 단자통공(16)을 통해 측벽(14)의 사이로 삽입시키는데 상대적으로 많은 힘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리셉터클과 단자사이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자를 리셉터클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이 채용된 압축기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a는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b는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c는 도 2a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리셉터클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리셉터클의 요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밀폐용기 3: 단자캡
5: 단자 6: 커넥터
7: 와이어 8,8': 커넥터하우징
10: 리셉터클 12, 32: 몸체부
14, 34: 측벽 35: 단자안착홈
16,36: 단자통공 37: 와이어연결부
40: 단자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소정 폭으로 형성되고 단자와 연결되는 측벽과, 상기 측벽에 대응되는 몸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단자가 상기 측벽의 사이로 삽입되게 하는 단자통공과, 상기 단자통공과 대응되는 상기 양 측벽의 내면에 상기 단자의 삽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단자의 외면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단자안착홈과,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와이어가 고정되는 와이어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양 측벽에 형성된 단자안착홈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봉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단자의 외면이 압입되게 상기 단자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에 의하면 리셉터클과 단자사이의 결합력이 커지게 되어 단자와 리셉터클 사이의 체결상태가 견고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리셉터클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3의 A-A'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예의 리셉터클(30)을 구성하는 몸체부(32)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판을 프레스작업으로 가공한 것이다. 상기 몸체부(32)는 리셉터클(30)을 길이방향 선단 정면에서 볼 때 대략 'U'자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32)의 선단측에는 측벽(34)이 소정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측벽(34)은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 것으로, 그 사이에 단자(40)가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자(40)가 봉상으로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측벽(34)에는 상기 단자(40)의 외면과의 접촉면적을 상대적으로 넓게 하게 위해 상기 단자(40)의 외면과 대응되는 단자안착홈(35)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안착홈(35)은 봉상의 단자(40)가 삽입되는 방향과 대응되게 상기 몸체부(32)에서 상기 측벽(34)의 상단을 향해 길게 형성되고, 상기 단자(40)의 외면이 밀착되게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측벽(34)에 형성된 상기 단자안착홈(35)과 대응되는 몸체부(32)에는 단자통공(36)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통공(36)을 통해서는 단자(40)가 삽입되어 상기 측벽(34)과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몸체부(32)의 일단부에는 와이어연결부(37)가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연결부(37)는 리셉터클(30)의 제조시에는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고, 와이어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와이어가 내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와이어에 압착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리셉터클(30)은, 예를 들어 압축기의 밀폐용기 내부로 연장된 단자(40)에 연결되는 커넥터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즉,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 고정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와이어와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커넥터의 내부로 삽입된 상기 단자(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된다.
이때, 상기 단자(40)는 상기 단자통공(36)을 통해 상기 측벽(34)의 사이로 삽입된다. 상기 측벽(34)의 사이에서 상기 단자(40)의 외주면 양단은 상기 단자안착홈(35)에 각각 밀착되어 안착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측벽(34)과 상기 단자(40) 사이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면서 상기 단자(40)와 리셉터클(3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보다 확실하게 되고, 상기단자(40)와 리셉터클(30) 사이의 체결력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어 상기 단자(40)와 리셉터클(30) 사이의 연결이 보다 견고하게 된다. 따라서 압축기의 작동중에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커넥터에 가해지더라도 상기 리셉터클(30)과 단자(40) 사이의 체결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커넥터의 내부에 설치된 리셉터클(30)의 측벽(34)에 형성된 단자안착홈(35)에 단자(40)가 안착됨에 의해 상기 리셉터클(30)과 단자(40) 및 와이어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예를 들면 압축기의 경우 상기 단자(40)는 압축기의 외부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리셉터클(30)과 와이어를 통해 고정자로 전달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리셉터클(30)을 압축기의 커넥터에 사용되는 것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며 다양한 제품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에는 단자와 접촉되는 부분을 단자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되게 단자와 접촉되는 측벽에 단자안착홈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단자와 리셉터클이 서로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이들사이의 체결력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단자와 리셉터클 사이의 체결상태가 쉽게 해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벽의 단자안착홈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상기 단자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측벽의 사이로 단자를 삽입하는 작업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도전성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소정 폭으로 형성되고 단자와 연결되는 측벽과,
    상기 측벽에 대응되는 몸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단자가 상기 측벽의 사이로 삽입되게 하는 단자통공과,
    상기 단자통공과 대응되는 상기 양 측벽의 내면에 상기 단자의 삽입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단자의 외면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단자안착홈과,
    상기 몸체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와이어가 고정되는 와이어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벽에 형성된 단자안착홈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봉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단자의 외면이 압입되게 상기 단자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KR10-2001-0073964A 2001-11-26 2001-11-26 리셉터클 KR100445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964A KR100445474B1 (ko) 2001-11-26 2001-11-26 리셉터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964A KR100445474B1 (ko) 2001-11-26 2001-11-26 리셉터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008A KR20030043008A (ko) 2003-06-02
KR100445474B1 true KR100445474B1 (ko) 2004-08-21

Family

ID=29571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964A KR100445474B1 (ko) 2001-11-26 2001-11-26 리셉터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54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187B1 (ko) * 2008-06-16 2011-01-14 오토스테크 주식회사 기능성 가스켓을 갖는 용접 마스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960A (ko) * 1994-06-13 1996-01-26 프랭크 에이. 오울플링 전기 리셉터클 터미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960A (ko) * 1994-06-13 1996-01-26 프랭크 에이. 오울플링 전기 리셉터클 터미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008A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21437B1 (en) Female terminal fitting
US6575793B1 (en) Audio jack connector
KR100524835B1 (ko) 암형 콘택트 및 그것을 사용한 전기 커넥터
JP4761320B2 (ja) コネクタ
EP2430708A2 (en) Electrical connector
US713187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irst and second terminals
JP3428756B2 (ja) 雌型電気端子
EP1686663B1 (en) Electric connector having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plying force when the connector is coupled to a mating connector
JP2939867B2 (ja) 金属製外壁構造をもつ電気コネクタ
KR100897014B1 (ko) 전기 커넥터
US3924921A (en) Electrical-pin-and-socket connector
JP5229924B2 (ja) コネクタ
JP4353433B2 (ja) コネクタ
US10811803B2 (en) Connection terminal
JPH10106663A (ja) 電気端子
KR100445474B1 (ko) 리셉터클
CN109980370B (zh) 连接器
US7044804B2 (en) Optical-electric connector
KR100816830B1 (ko) 리셉터클과 단자의 연결구조
JPH0487172A (ja) 電気コネクタ
US20080124949A1 (en) Contact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or
JP2018014300A (ja) コネクタ
JP3684803B2 (ja) 同軸コネクタ
KR100907541B1 (ko) 리셉터클 터미널
US5957719A (en) Press-fitting connector assembl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