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5279B1 - 제트룸에 있어서의 위사저류장치 - Google Patents

제트룸에 있어서의 위사저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5279B1
KR100445279B1 KR10-2001-0035457A KR20010035457A KR100445279B1 KR 100445279 B1 KR100445279 B1 KR 100445279B1 KR 20010035457 A KR20010035457 A KR 20010035457A KR 100445279 B1 KR100445279 B1 KR 100445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sliding contact
yarn
contact piece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6421A (ko
Inventor
쓰지모토고이치
시마자키하루오
아메타니기쿠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020006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6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5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52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gas je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24Mechanisms for inserting shuttle in shed
    • D03D49/50Miscellaneous devices or arrangements concerning insertion of weft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4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e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권사면(卷絲面)에 위사(緯絲)가 양호하게 감길 수 있는 사가이드(yarn guide)를 제공한다.
위사의 길이계측부(23)와 저류드럼(11)의 사이에는 사가이드(24)가 배치되어 있다. 사가이드(24)는 절곡형성된 심봉(心棒)(25)과, 심봉(25)에 고정부착된 미끄럼접촉편(26)과, 심봉(25)과 미끄럼접촉편(26)의 단차(段差)(241)(242)를 피복하는 튜브(27)(246)로 이루어진다. 심봉(25)의 양단부는 나사(29)의 체결에 의해 고정부(30)에 체결고정되어 있다.
심봉(25)은 롤러(16)(17)의 둘레면과 권사면(111)의 사이를 가로지르고 있다. 미끄럼접촉편(26)은 환상의 권사면(111)의 중심축선(C)방향으로 보아, 송출롤러(16)의 둘레면과 권사면(111)의 공통접촉평면(K)과 경사교차(斜交)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제트룸에 있어서의 위사저류장치{WEFT STORAGE APPARATUS IN JET LOOM}
본 발명은 권사부의 환상 권사면을 향하여 위사의 길이계측부로부터 위사를 송출하며, 환상의 기류로를 흐르는 기류에 의하여 상기 권사면에 상기 위사를 감아주는 제트룸(jet loom)에 있어서의 위사의 저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개소 52-155258호 공보, 실개소55-168084호 공보에 개시되는 이와 같은 종류의 위사저류장치에서는 권사면을 형성하는 드럼이 회전하고 있으며, 환상 기류로내의 기류의 작용에 의해 위사가 권사면 위에 감겨서 저류된다.
권사면에 대하여 교차 및 이간하는 걸림고정핀을 사용한 위사저류장치에서는 권사면에 대한 걸림고정핀의 교차 및 이간의 타이밍설정이 어렵고, 권사면에 감겨서 저류되는 위사의 길이에 과부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기류의 작용에 의해 권사면에 위사를 감아서 저류시키는 방식에 있어서는 상기 걸림고정핀 방식과 같은 번잡한 접리(接離)타이밍의 설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류의 위사저류장치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권사면에 있어서의 위사의 감는 상태이다. 이 감는 상태가 양호하지 않으면 권사면으로부터의 위사인출이 양호하게 진행되지 않으며, 양호한 위사삽입을 기대할 수 없다.
일본국 특개소52-155258호 공보에서는 위사반송부(위사 길이계측부)와 권사면과의 사이의 위사경로(經路)가 환상공기류의 영향에 의해서 안정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권사면에 대한 위사감기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으며, 권사면에 있어서의 위사를 감는 상태가 흐트러질 우려가 있다.
일본국 실개소55-168084호 공보에서는 위사반송부(위사 길이계측부)와 권사면과의 사이의 위사경로를 안정시켜, 권사면에 대한 위사감기를 원활하게 진행시키기 위하여, 위사반송부와 권사면의 사이에 사가이드(yarn guide)가 배치되어 있다.
일본국 실개소55-168084호 공보의 사가이드는 링형상이며, 위사반송부로부터 송출되는 위사는 사가이드의 링내를 통과하게 된다. 사가이드의 링내를 통과하게 되는 위사는 사가이드의 링내주면에 미끄럼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링내의 둘레면을 매끄럽게 마무리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사가이드의 링 지름을 작게 하면, 링의 내주면을 매끄럽게 마무리하는 일이 극히 어렵게 된다. 매끄럽게 마무리하는데 있어서 큰 곤란성은 사가이드의 제작을 까다롭게 하며, 또한 제작비를 증대시킨다.
사가이드의 링 지름을 크게 하면, 링의 내주면을 매끄럽게 마무리하는데는 약간은 용이할 수 있지만, 사가이드의 링내를 통과하고 있는 위사가 환상의 권사면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흔들리기 쉽게 된다.
위사반송부로부터 송출되는 위사가 권사면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흔들리기 쉽게 되면, 권사면 위에 감겨지는 위사가 중첩되기 쉽다. 권사면상에 감겨진 위사의 중첩된 상태는 위사의 양호한 위사삽입을 저해하게 된다.
링형상의 사가이드를 위사의 인출방향과는 반대측으로 이동시켜, 사링의 내주면과 위사를 항상 접촉상태로 해 두면, 위사의 흔들림은 없어진다. 그러나, 주변부재와의 간섭회피를 위한 위치적인 제약때문에, 사링의 내주면과 위사를 항상 접촉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는 위치에 링형상의 사가이드를 배치하는 일은 어렵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사를 감는 권사면에 위사를 양호하게 감을 수 있는 사가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제작이 용이한 사가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제1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a)는 측단면도이고 (b)는 요부확대 측단면도.
도 2의 (a)는 정면도이고, (b)는 요부확대정면도.
도 3의 (a)는 요부평면도이고, (b)는 요부배면도.
도 4는 제2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a)는 요부평면도이고 (b)는 요부배면도.
도 5는 제3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a)는 요부평면도이고 (b)는 요부배면도.
도 6은 제4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a)는 요부평면도이고 (b)는 요부배면도이며 (c)는 (a)의 A-A선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권사부가 되는 저류드럼 111 ; 권사면
115 ; 권사 개시위치 23 ; 위사의 길이계측부
24, 24A, 24B ; 사가이드 241, 242 ; 단차
243, 243B ; 사 접촉부 25 ; 심재(心材)가 되는 심봉
26, 26A, 26B, 26C ; 사의 접촉부를 구성하는 미끄럼접촉편
261 ; 사의 안내영역이 되는 볼록주면
27, 28 ; 튜브 32 ; 심재가 되는 심판(心板)
33 ; 광폭부(廣幅部) 34 ; 협폭부(狹幅部)
35 ; 걸림저지편 351 ; 경사테두리
36 ; 홈 C ; 중심축선
L ; 환상 기류로(氣流路) Y ; 위사(緯絲)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권사부의 환상의 권사면을 향하여 위사의 길이계측부로부터 위사를 송출하며, 상기 환상의 기류로를 흐르는 기류에 의해 상기 권사면에 상기 위사를 감는 위사저류장치를 대상으로 하며,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봉(棒)형상의 사접촉부를 구비한 사가이드를 상기 위사의 길이계측부와 상기 권사면 사이에 배치하며, 상기 위사의 길이계측부와 상기 권사면 사이의 위사경로와 상기 봉형상의 사접촉부를 교차시켰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위사는 봉형상의 사접촉부의 둘레면에 접한다. 또, 봉형상의 사접촉부는 위사를 항상 접촉시키는 위치에 배치하기 쉽다. 또한, 봉형상의 사접촉부의 둘레면을 매끄럽게 마무리짓는 것은 용이하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봉형상의 사접촉부에 있어서의 사안내영역은 볼록주면 형상으로 하였다.
볼록주면 형상의 사안내영역의 둘레면을 매끄럽게 마무리하는 것은 용이하다.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안내영역은 환상의 상기 권사면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에 평행이 되도록 하였다.
권사면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상에 사안내영역을 배치하는 구성은 사안내영역의 길이를 짧게 하는데 있어서 유리하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2 및 3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형상의 사가이드에 있어서의 사의 안내영역은 상기 권사면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보아, 상기 위사 길이계측부의 송출위치와 상기 권사면의 권사 개시위치 사이의 위사경로를 상기 송출위치측으로부터 상기 권사 개시위치측으로 옮겨가는데 따라서, 상기 사안내영역으로 근접해 가며, 이어서, 상기 사안내영역으로부터 떨어져 가도록 상기 위사경로에 대하여 경사교차하도록 하였다.
이것에 의해, 사안내영역에 대한 위사의 접촉길이가 크게 된다.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형상의 사접촉부는 심재와, 상기 심재에 부착된 미끄럼접촉편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위사는 상기 미끄럼접촉편에 접하여 안내되도록 하였다.
이에 의하여, 위사를 미끄럼접촉안내하는데 있어서 적합한 재질을 미끄럼접촉편만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미끄럼접촉편을 심재에 분리가 가능하게 부착하는 구성으로 하면, 미끄럼접촉편만을 교환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봉형상의 심봉(心棒)이며, 상기 미끄럼접촉편은 상기 심봉의 측면에서 끼워 결합시킬 수 있는 통분할형상으로 하였다. 이것에 의해, 심봉에 대한 미끄럼접촉편의 부착이 용이하다.
청구항 7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심봉과 상기 미끄럼접촉편의 단차는 튜브에 의하여 피복하였다. 튜브는 심봉과 미끄럼접촉편의 단차에 대한 위사의 걸림을 방지한다.
청구항 8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열수축성 수지제로 하였다. 열수축성 수지제의 튜브는 상기 단차를 피복하는데 있어서 그 용이성이 뛰어나다.
청구항 9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판형상의 심판이며, 상기 심판은 판의 폭이 넓은 광폭부와, 판의 폭이 좁은 협폭부를 직렬로 연결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미끄럼접촉편은 상기 협폭부의 측테두리에서 끼워 결합시킬 수 있는 절곡(折曲)형상이며, 상기 광폭부와 상기 협폭부 사이의 판폭의 단차에는 상기 광폭부의 측테두리로부터 상기 미끄럼접촉편의 절곡부의 볼록면에 이르는 경사테두리를 구비한 걸림저지편을 설치하며, 상기 걸림저지편과 상기 협폭부의 측테두리와의 사이에 상기 미끄럼접촉편의 단부를 삽입하기 위한 홈을 형성하며, 상기 위사는 상기 협폭부에 끼워 넣고, 또한 상기 미끄럼접촉편의 단부를 상기 홈에 삽입한 상기 미끄럼접촉편의 절곡부의 볼록면에 접하여 안내되도록 하며,
상기 위사의 길이계측부로부터 송출되는 위사를 상기 권사면에 감을 때의 상기 위사 길이계측부와 상기 사접촉부와의 사이의 제1의 사경로와, 상기 위사길이계측부로부터 송출되는 위사를 위사삽입 측으로 직접 인출할 때의 상기 위사길이계측부와 상기 사접촉부와의 사이의 제2의 사경로와의 사이로부터 벗어난 범위, 또한, 상기 제1의 사경로보다 상기 제2의 사경로에 가까운 측에 상기 판폭의 단차를 배치하였다.
위사저류장치의 작동이 정지하였을 때, 위사길이계측부의 작동 오버런에 의해 위사가 위사길이계측부로부터 여분으로 송출되는 일이 있다. 이 위사의 여분의 송출은 위사의 이완을 초래한다. 이완된 위사는, 상기 판폭의 단차를 넘어서 상기 사안내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일이 있다.
그러나, 위사의 저류장치가 재가동하게 되면, 상기 사안내영역으로부터 벗어나 있던 위사가 상기 판폭의 단차를 넘어서 상기 사안내영역으로 이행한다.
걸림저지편의 경사테두리는 미끄럼접촉편의 단부와 심판의 사이에 있는 단차에 있어서의 위사의 걸림을 저지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시킨 제1의 실시형태를 도 1∼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의 권사부인 저류드럼(11)은 회전축(12)에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12)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회전드럼(11)은 사의 권사면(111)을 형성하는 대경부(큰 지름부)와, 기류로(氣流路)형성주면(112)을 형성하는 소경부(작은 지름부)로 이루어진다. 권사면(111)은 테이퍼(taper)(113)와 원주면(114)으로 이루어져 있다.
저류드럼(11)의 주위에는 환상커버(13)가 배치되어 있다. 환상커버(13)와 기류로 형성주면(112)의 사이에는 환상의 기류로(L)가 형성되어 있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상커버(13)에는 송풍파이프(14)가 접속되어 있다. 송풍파이프(14)는 환상기류로(L)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접속되어 있다.
송풍파이프(14)는 송풍기(15)에 접속되어 있으며, 송풍기(15)로부터 송출되는 기류가 환상기류로(L)에 취입된다.
저류드럼(11)의 상방에는 송출롤러(16)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송출롤러(16)에는 프레스롤러(17)가 압박접촉되어 있다.
송출롤러(16) 및 프레스롤러(17)는 위사길이계측부(23)를 구성한다. 위사치스(18)로부터 공급되는 위사(Y)는, 사가이드(19)를 경유하여 송출롤러(16)와 프레스롤러(17)의 압박접촉부를 통과하게 된다. 송출롤러(16)와 프레스롤러(17)의 사이를 통과한 위사(Y)는 송출롤러(16)의 소정속도의 회전에 의해서 저류드럼(11)측으로 공급된다.
위사길이계측부(23)와 저류드럼(11)의 사이에는 사가이드(24)가 배치되어 있다. 사가이드(24)가 도 3(a),(b)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절곡하여 형성된 심봉(25)과, 심봉(25)에 고정부착된 미끄럼접촉편(26)과, 심봉(25)과 미끄럼접촉편(26)의 단차(241)(242)를 피복하는 튜브(27)(28)로 이루어진다.
심재인 심봉(25)은 철계의 재질제이며, 미끄럼접촉편(26)은 세라믹제이다.튜브(27)(28)는 열수축성 수지제이다.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끄럼접촉편(26)은 단면이 U자 형상이며, 직선형상의 원통을 반으로 분할한 형상에 가까운 통분할형상으로 되어 있다.
미끄럼접촉편(26)의 표면은 요철(凹凸)이 없는 볼록주면(261)으로 되어 있다. 미끄럼접촉편(26)은 예를 들면, 열경화성수지에 의해서 심봉(25)의 직선형상의 중앙부(251)에 접착된다.
미끄럼접촉편(26) 및 심봉(25)의 중앙부(251)는 봉형상의 사접촉부(243)를 구성한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봉(25)의 양 단부는 나사(29)의 체결에 의해서 고정부(30)에 체결고정되어 있다.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봉(25)은 양 롤러(16)(17)의 둘레면과 권사면(111)과의 사이를 가로지르고 있다.
미끄럼접촉편(26)은 환상 권사면(111)의 중심축선(C)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상에 있다.
그리고, 미끄럼접촉편(26)은 중심축선(C)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보아, 테이퍼(113)의 직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 미끄럼접촉편(26)은 환상 권사면(111)의 중심축선(C)의 방향으로 보아, 송출롤러(16)의 둘레면과 권사면(111)과의 공통접촉평면(K)과 경사교차(斜交)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사안내영역인 볼록주면(261)은 중심축선(C)의 방향으로 보아, 위사 길이계측부(23)의 송출위치(231)와 권사면(111)에 있어서의 권사개시위치(115)와의 사이의 위사경로를 송출위치(231)측으로부터 권사개시위치(115)측으로 옮겨가는데 따라서, 볼록주면(261)에 근접해 가며, 이어서 볼록주면(261)으로부터 떨어져 가도록 위사경로에 대하여 경사교차하고 있다.
위사 길이계측부(23)로부터 송출되는 위사(Y)는 테이퍼(113)의 직상에 있는 미끄럼접촉편(26)의 볼록주면(261)에 접해서 안내된다. 즉, 위사 길이계측부(23)의 위사 송출개시위치, 즉, 롤러(16)(17)사이의 접합위치와, 권사면(111)상의 권사개시위치(115)와, 미끄럼접촉편(26)과의 사이의 위치관계는 권사면(111)에 위사(Y)를 감고 있을때, 위사 길이계측부(23)로부터 송출되는 위사(Y)를 미끄럼접촉편(26)의 볼록주면(261)에 항상 접촉시키는 관계로 되어 있다.
미끄럼접촉편(26)의 볼록주면(261)에 접해서 안내된 위사(Y)는 저류드럼(11)과 환상커버(13)의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송풍파이프(14)로부터 취입되는 에어흐름은 환상기류로(L)내를 주회(周回)하며, 위사(Y)는 환상 기류로(L)와 교차한다. 따라서, 위사(Y)는 환상 기류로(L)내에서 주회기류의 작용을 받는다.
그리퍼(21)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송출롤러(16)와 프레스롤러(17)의 사이로부터 일정한 속도로 송출되는 위사(Y)는 회전하는 권사면(111)상에 상기 주회기류의 작용에 의해 장력을 부여받으면서 감겨진다. 위사삽입용의 노즐(22)이 분사됨과 동시에, 그리퍼(21)가 열리면, 권사면(111)상에 감겨서 저류되어 있는 위사(Y)가 인출로 풀린다.
권사면(111)으로부터 인출로 풀린 위사(Y)는 저류드럼(11)의 전방의 사가이드(20) 및 그리퍼(21)를 거쳐서 위사삽입용의 노즐(22)로부터 사출되어 위사삽입이 실시된다.
상기 제1의 실시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1) 위사 길이계측부(23)로부터 송출되는 위사(Y)를 미끄럼접촉편(26)의 둘레면에 항상 접촉시켜 두면, 위사 길이계측부(23)로부터 송출되는 위사(Y)가 중심축선(C)의 방향으로 요동하는 일은 거의 없어진다. 위사 길이계측부(23)로부터 송출되는 위사(Y)가 중심축선(C)의 방향으로 요동하는 일이 없으며, 권사면(111)에 감긴 권사끼리 중첩되는 일이 없으며, 권사면(111)상의 권사의 중첩으로 인한 위사 넣기의 불량은 발생하지 않는다.
중심축선(C)과 직교하는 평면상에 있는 직선형상의 미끄럼접촉편(26)은 위사 길이계측부(23) 또는 권사면(111)의 테이퍼(113)와 간섭하지 않도록 테이퍼(113)의 최대지름의 부위측에 근접배치하기 쉽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끄럼접촉편(26)은 위사 길이계측부(23)로부터 송출되는 위사(Y)가 볼록주면(261)에 항상 접촉가능하게 테이퍼(113)의 최대지름의 부위측에 근접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위사 길이계측부(23)로부터 송출되는 위사(Y)가 중심축선(C)의 방향으로 흔들리는 일이 없으며, 권사면(111)에 감겨진 권사끼리 중첩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권사면(111)상의 권사의 중첩으로 인한 위사삽입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1-2) 환상체의 내측면을 매끄럽게 마감하기 위한 작업은 환상체의 외측면을 매끄럽게 마감하는 작업에 비하여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미끄럼접촉편(26)의 볼록주면(261)의 매끄러운 마감은 종래의 환상 사가이드의 내주면의 매끄러운 마감에 비하여 용이하다. 이와 같은 작업용이성의 향상은 사가이드의 제조비를 저감시킨다.
(1-3) 원통을 반으로 분할한 형상에 가까운 통분할형상의 미끄럼접촉편(26)의 볼록주면(261)은 매끄럽게 마감하는데 있어서 유리한 형상이다.
(1-4) 위사(Y)가 권사면(111)에 감길 때의 위사 길이계측부(23)와 권사면(111)과의 사이의 위사경로는 도 2(a)에 나타내는 공통접촉평면(K)상에 있다. 사가이드(24)에 있어서의 사의 안내영역인 볼록주면(261)에 접하는 위사(Y)는 공통접촉평면(K)내에서 직선 또는 약간 굴곡하는 선형으로 권사면(111)에 이른다. 위사(Y)와 미끄럼접촉편(26)과의 사이의 접촉저항이 클수록 위사(Y)가 손상될 우려가 커진다. 그러나, 직선 또는 약간 굴곡하는 선형으로 미끄럼접촉편(26)의 볼록주면(261)에 접하는 위사(Y)와 미끄럼접촉편(26)과의 사이의 접촉저항은 작다. 따라서, 위사(Y)와 미끄럼접촉편(26)과의 사이의 접촉저항은 극히 작으며, 사가이드(24)에 접하는 위사(Y)의 손상이 방지된다.
(1-5) 권사면(111)에 감겨서 저류되어 있는 위사가 위사삽입용 노즐(22)의 분사작용에 의해 모두 인출된 후에는 위사 길이계측부(23)로부터 송출되는 위사(Y)는 사가이드(24)에서 크게 굴곡하여 직접 위사 넣기용 노즐(22)측으로 견인된다.
사가이드(24)로부터 위사삽입용 노즐(22)측으로 위사(Y)를 직접 견인하고 있을 때에 있어서의 경사(經絲)개구내의 위사의 비주(飛走)는 구속비주(拘束飛走)라고 말한다.
구속비주중에 있어서도 사가이드(24)에 위사(Y)를 미끄럼접촉시켜 두기 때문에, 미끄럼접촉편(26)의 길이는 위사(Y)와 항상 접촉이 가능한 필요길이가 되어 있지 않으면 안된다.
권사면(111)의 중심축선(C)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에 평행하도록 미끄럼접촉편(26)을 배치한 구성은 사안내영역인 볼록주면(261)을 갖는 미끄럼접촉편(26)의 길이를 필요한 최소의 길이로 하는데 있어서 유리하다. 이와 같은 미끄럼접촉편(26)의 단축화는 사가이드(24)의 제조비용의 저감에 기여한다.
(1-6) 볼록주면(261)에 대한 위사(Y)의 접촉하는 길이가 길수록, 볼록주면(261)과 위사(Y)의 접촉에 수반하는 위사(Y)에 대한 면압(面壓)이 작게 되며, 미끄럼접촉편(26)과의 미끄럼접촉에 의한 위사(Y)의 손상이 발생하기 어렵게 된다.
미끄럼접촉편(26)은 환상 권사면(111)의 중심축선(C)의 방향으로 보아, 위사 길이계측부(23)에 있어서의 송출위치(231)와 권사면(111)의 권사개시위치(115)와의 사이의 위사경로에 대하여 경사교차하고 있다.
위사경로에 대하여 미끄럼접촉편(26)을 경사교차시킨 구성은 권사면(111)으로의 권사할때 있어서의 볼록주면(261)에 대한 위사(Y)의 접촉길이를 크게 하는데 있어서 유리하다.
(1-7) 심봉(25)에 미끄럼접촉편(26)을 부착한 구성은 위사(Y)를 미끄럼접촉안내하는데 적합한 재질을 미끄럼접촉편(26)에만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위사(Y)를 미끄럼접촉안내하는 적합한 재질의 값이 고가라 하여도, 심봉(25)을 저가재료(예를 들면, 철)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사가이드(24)제조에 있어서 고비용화를 회피할 수 있다.
(1-8) 예를 들면, 철제의 미끄럼접촉편의 볼록주면에 크롬도금을 실시하였을 경우는 볼록주면이 위사(Y)와의 미끄럼접촉에 의해서 비교적 조기에 마모된다. 미끄럼접촉편(26)은 열경화성수지에 의해 심봉(25)에 접착되어 있으나, 미끄럼접촉편(26)은 심봉(25)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리가능한 구성은 필요에 따라서 미끄럼접촉편(26)만을 교환할 수 있게 된다.
(1-9) 통을 분할한 형상의 미끄럼접촉편(26)은 심봉(25)에 대하여 측면으로부터 끼워 넣어서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1-10) 직기가 운전정지상태에 있으면, 위사 길이계측부(23)와 저류드럼(11)의 사이의 위사가 이완되며, 직기가 운전을 개시하면 위사가 긴장되어 간다. 심봉(25)과 미끄럼접촉편(26)과의 사이의 단차(241)(242)가 노출되어 있으면, 상기한 바와 같이, 이완되어 있던 위사가 긴장되어 갈때 단차(241)(242)에 걸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단차(241)(242)는 튜브(27)(28)에 의해 피복되어 있으며, 튜브(27)(28)는 단차(241)(242)에 있어서 위사(Y)가 걸치는 것을 방지한다.
(1-11) 튜브(27)(28)에 의한 단차(241)(242)의 피복은 단차(241)(242)에 있어서의 지름보다 큰 내경의 열수축성 수지제의 튜브를 단차(241)(242)에 끼워 결합시킨 후, 가열에 의해 튜브를 수축시켜서 심봉(25) 및 미끄럼접촉편(26)에 밀착시킨다. 따라서, 튜브(27)(28)는 위사(Y)가 걸치지 않도록 심봉(25) 및 미끄럼접촉편(26)에 밀착이 가능하다. 또한, 열수축성 수지제의 튜브(27)(28)는 심봉(25) 및 미끄럼접촉편(26)에 밀착하도록 단차(241)(242)를 용이하게 피복시키는 점에 있어서 뛰어나다.
(1-12) 심봉(25)은 저류드럼(11), 위사 길이계측부(23)등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절곡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도 4(a),(b)의 제2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사가이드(24A)에는 판재를 절곡시켜 형성한 심판(31)이 사용되고 있다. 심재인 심판(31)에는 미끄럼접촉편(26A)이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
다음에, 도 5(a),(b)의 제3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사가이드(24B)에서는 심재인 심봉(25B)의 좌우의 중앙부(251B)가 위사의 인출측을 향하여 만곡하고 있으며, 동일하게 만곡한 미끄럼접촉편(26B)이 중앙부(251B)에 접착되어 있다. 심봉(25B)의 중앙부(251B) 및 미끄럼접촉편(26B)은 만곡한 봉형상의 사접촉부(243B)를 구성한다. 위사(Y)가 권사면(111)에 감겨져 있을때는 위사 길이계측부(23)로부터 송출되는 미끄럼접촉편(26B)의 한쪽의 단부측에서 미끄럼접촉편(26B)에 미끄럼접촉한다. 위사의 구속비주 중에는 위사 길이계측부(23)로부터 송출되는 위사(Y)는 미끄럼접촉편(26B)의 만곡한 바닥에 미끄럼접촉한다. 위사의 구속비주중에 미끄럼접촉편(26B)의 만곡한 바닥에 위사(Y)를 미끄럼접촉시키는 구성은, 위사의 구속비주중에 있어서의 위사(Y)와 미끄럼접촉편(26B)과의 사이의 미끄럼 접촉저항을 저감시키는데 있어서 유효하다.
다음에, 도 6(a),(b),(c)의 제4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사가이드(24C)에는 판재를 절곡시켜 형성한 심판(32)이 사용되고 있다. 심재인 심판(32)에는 미끄럼접촉편(26C)이 부착되어 있다.
심판(32)은 판폭이 넓은 광폭부(33)와, 판폭이 좁은 협폭부(34)를 직렬로 연결시킨 형상으로 되어 있다. 광폭부(33)와 협폭부(34)와의 사이의 판폭의 단차(331)에는 걸림저지편(3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걸림저지편(35)은 광폭부(33)의 측면테두리(332)로부터 미끄럼접촉편(26C)의 절곡부(262)의 볼록면(263)에 이르는 경사테두리(351)를 구비하고 있다.
또, 협폭부(34)의 측면테두리(341)와 걸림저지편(35)과의 사이에는 홈(36)이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접촉편(26C)은 협폭부(34)의 측면테두리(341)로부터 끼워 넣을 수 있는 절곡형상이다. 미끄럼접촉편(26C)은 한쪽의 단부(264)를 홈(36)에 삽입시킨 상태로 협폭부(34)에 끼워 넣어 접착고정되어 있다. 협폭부(34) 및 미끄럼접촉편(26C)은 봉형상의 사접촉부(243C)를 구성한다.
위사(Y)는 미끄럼접촉편(26C)의 절곡부(262)의 볼록면(263)에 접해서 안내된다. 절곡부(262)의 볼록면(263)은 사안내영역이 된다.
도 6(b)의 쇄선(L1)은 위사 길이계측부(23)로부터 송출되는 위사(Y)를 권사면(111)에 감을 때의 위사 길이계측부(23)와 사접촉부(243C)와의 사이의 제1의 사경로를 나타낸다.
도 6(b)의 쇄선(L2)은 위사 길이계측부(23)로부터 송출되는 위사(Y)를 위사 넣는 측(위사삽입용 노즐(22)측으로)으로 직접 인출할 때의 위사 길이계측부(23)와 사접촉부(243C)와의 사이의 제2의 사경로를 나타낸다.
미끄럼접촉편(26C)의 단부(264)는 미끄럼접촉편(26C)의 다른 단부보다 제2의 사경로(L2)에 근접해 있으며, 판폭의 단차(331)는 제1의 사경로(L1)와 제2의 사경로(L2)의 사이에서 벗어난 범위, 또한 제1의 사경로(L1)보다 제2의 사경로(L2)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어 있다. 위사저류장치의 작동이 정지하였을 때, 위사 길이계측부(23)를 구성하는 롤러(16)(17)의 작동오버런에 의해 위사(Y)가 위사 길이계측부(23)로부터 여분으로 과잉송출되는 일이 있다. 이 위사(Y)의 과잉송출은 위사(Y)의 이완을 초래한다. 이완된 위사(Y)는 판폭의 단차(331)를 넘어서 미끄럼접촉편(26C)의 볼록면(263)으로부터 벗어나는 일이 있다.
그러나, 위사저류장치가 재가동하게 되면, 볼록면(263)으로부터 벗어나 있던 위사가 판폭의 단차(331)를 넘어서 볼록면(263)으로 이행한다. 걸림저지편(35)의 경사테두리(351)는 미끄럼접촉편(26C)의 단부(264)와 심판(32)과의 사이의 단차, 즉, 미끄럼접촉편(26C)의 단부(264)로 위사가 걸치는 것을 저지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실시형태도 가능하다.
(1) 위사와 미끄럼접촉하는 봉재(棒材)의 표면에 크롬도금, 세라믹코팅 등의 내마모처리를 실시하여 사가이드를 형성하는 것.
(2) 환상커버(13)에 사가이드를 부착하는 것.
(3) 제4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미끄럼접촉편(26C)의 단부(264)와는 다른 단부측에도 심판(32)에 걸림저지편을 형성하는 것.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봉형상의 사접촉부를 구비한 사가이드를 상기 위사 길이계측부와 상기 권사면의 사이에 배치하며, 상기 위사 길이계측부와 상기 권사면과의 사이의 위사경로와 상기 봉형상의 사접촉부를 교차시켰기 때문에, 권사면에 위사를 양호하게 감을 수 있도록 상기 사가이드에 의해 위사를 안내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사가이드를 값싸게 제작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도 발휘한다.

Claims (9)

  1. 권사부의 환상의 권사면을 향하여 위사 길이계측부로부터 위사를 송출하며, 환상 기류로를 흐르는 기류에 의하여 상기 권사면에 상기 위사를 감는 제트룸에 있어서의 위사저류장치에 있어서,
    봉(棒)형상의 사접촉부를 구비한 사가이드를 상기 위사 길이계측부와 상기 권사면의 사이에 배치하며, 상기 위사 길이계측부와 상기 권사면과의 사이의 위사경로와 상기 봉형상의 사접촉부를 교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트룸에 있어서의 위사저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형상의 사접촉부에 있어서의 사안내영역은 볼록주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트룸에 있어서의 위사저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안내영역은 환상의 상기 권사면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에 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트룸에 있어서의 위사저류장치.
  4. 제2항 및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안내영역은 상기 권사면의 중심축선의 방향으로 보아, 상기 위사 길이계측부의 송출위치와 상기 권사면의 권사개시위치와의 사이의 위사경로를 상기 송출위치측으로부터 상기 권사개시위치측으로 옮겨가는데 따라서, 상기 사안내영역으로 근접해 가며, 이어서, 상기 사안내영역으로부터 떨어져 가도록 상기 위사경로에 대하여 경사교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트룸에 있어서의 위사저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형상의 사접촉부는 심재와, 상기 심재에 부착된 미끄럼접촉편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위사는 상기 미끄럼접촉편에 접하여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트룸에 있어서의 위사저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봉형상의 심봉이며, 상기 미끄럼접촉편은 상기 심봉의 측면에서 끼워 결합시킬 수 있는 통분할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트룸에 있어서의 위사저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심봉과 상기 미끄럼접촉편과의 단차는 튜브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트룸에 있어서의 위사저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열수축성 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트룸에 있어서의 위사저류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는 판형상의 심판이며, 상기 심판은 판의 폭이 넓은 광폭부와, 판의 폭이 좁은 협폭부를 직렬로 연결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미끄럼접촉편은 상기 협폭부의 측면테두리에서 끼워 결합시킬 수 있는 절곡형상이며,
    상기 광폭부와 상기 협폭부 사이의 판폭의 단차에는 상기 광폭부의 측면테두리로부터 상기 미끄럼접촉편의 절곡부의 볼록면에 이르는 경사테두리를 구비한 걸림저지편을 설치하며,
    상기 걸림저지편과 상기 협폭부의 측면테두리와의 사이에 상기 미끄럼접촉편의 단부를 삽입하기 위한 홈을 형성하며,
    상기 위사는 상기 협폭부에 끼워 넣고, 또한 상기 미끄럼접촉편의 단부를 상기 홈에 삽입한 상기 미끄럼접촉편의 절곡부의 볼록면에 접하여 안내되도록 하며,
    상기 위사의 길이계측부로부터 송출되는 위사를 상기 권사면에 감을때의 상기 위사 길이계측부와 상기 사접촉부와의 사이의 제1의 사경로와,
    상기 위사 길이계측부로부터 송출되는 위사를 위사삽입측으로 직접 인출할 때의 상기 위사 길이계측부와 상기 사접촉부와의 사이의 제2의 사경로와의 사이로부터 벗어난 범위,
    또한, 상기 제1의 사경로보다 상기 제2의 사경로에 가까운 측에 상기 판폭의 단차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트룸에 있어서의 위사저류장치.
KR10-2001-0035457A 2000-07-12 2001-06-21 제트룸에 있어서의 위사저류장치 KR1004452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11423 2000-07-12
JP2000211423A JP3760732B2 (ja) 2000-07-12 2000-07-12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糸貯留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6421A KR20020006421A (ko) 2002-01-19
KR100445279B1 true KR100445279B1 (ko) 2004-08-21

Family

ID=18707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457A KR100445279B1 (ko) 2000-07-12 2001-06-21 제트룸에 있어서의 위사저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760732B2 (ko)
KR (1) KR100445279B1 (ko)
CN (1) CN1283861C (ko)
TW (1) TW5171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29351B2 (ja) * 2011-05-06 2013-07-0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織機における緯糸貯留装置
JP5273205B2 (ja) * 2011-05-27 2013-08-2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織機における緯糸貯留装置
CN102634913A (zh) * 2012-04-06 2012-08-15 经纬纺织机械股份有限公司 无捻度变化储纬装置
CN105177828B (zh) * 2015-09-28 2017-11-14 嵊州市中森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喷气织机纬纱处理的储纬器
CN105332151B (zh) * 2015-10-21 2017-11-14 嵊州市中森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储纬器的纬纱定位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32254A (ko) * 1974-04-03 1975-10-20
JPS52155258A (en) * 1976-06-18 1977-12-23 Tsudakoma Ind Co Ltd Weft reservoir for shuttleless loom
JPS55168084U (ko) * 1979-05-17 1980-12-03
JPS59137543A (ja) * 1983-01-19 1984-08-07 伊藤 晃 緯糸貯留装置
JPS60110953A (ja) * 1983-11-17 1985-06-17 多川機械株式会社 回転ドラム式緯糸貯留装置
JPH0330281A (ja) * 1989-06-28 1991-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導加熱調理器
JPH0355871A (ja) * 1989-07-25 1991-03-11 Mitsubishi Electric Corp 集積回路
JPH0378081A (ja) * 1989-08-22 1991-04-03 Nec Corp ワードプロセッサ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32254A (ko) * 1974-04-03 1975-10-20
JPS52155258A (en) * 1976-06-18 1977-12-23 Tsudakoma Ind Co Ltd Weft reservoir for shuttleless loom
JPS55168084U (ko) * 1979-05-17 1980-12-03
JPS59137543A (ja) * 1983-01-19 1984-08-07 伊藤 晃 緯糸貯留装置
JPS60110953A (ja) * 1983-11-17 1985-06-17 多川機械株式会社 回転ドラム式緯糸貯留装置
JPH0330281A (ja) * 1989-06-28 1991-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誘導加熱調理器
JPH0355871A (ja) * 1989-07-25 1991-03-11 Mitsubishi Electric Corp 集積回路
JPH0378081A (ja) * 1989-08-22 1991-04-03 Nec Corp ワードプロセッ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60732B2 (ja) 2006-03-29
JP2002030545A (ja) 2002-01-31
TW517112B (en) 2003-01-11
KR20020006421A (ko) 2002-01-19
CN1333393A (zh) 2002-01-30
CN1283861C (zh) 200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9699B2 (ja) 糸継ぎ方法および糸継ぎ装置
EP2009151B1 (en) Air-jet spinning device
IT9048476A1 (it) Dispositivo per riprodurre filati.
US9677197B2 (en) Spinning station of a spinning preparation machine
JP6045577B2 (ja) 粗糸を製造する粗紡機並びにスライバに準備紡績する方法
KR100445279B1 (ko) 제트룸에 있어서의 위사저류장치
JP6558879B2 (ja) 空気式紡績機械の紡績ノズル及び該紡績ノズルを備える紡績部
ITMI950463A1 (it) Dispositivo di preparazione delle estremita' dei fili per macchine tessili producenti bobine incrociate
JPS58144056A (ja) 線材を線材コイルから加工位置に送るための装置
US8464510B2 (en) Air-jet spinning apparatus
JP2003009722A (ja) 竿体の製造方法
US20020152739A1 (en) Spinning device
US4418523A (en) Notched roller for producing fancy yarns in spinning-twisting machines
HU204579B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core-yarn
US6726139B2 (en) Method for feeding a thread without twists and a thread feeding device
JP4332606B2 (ja) 繊維束の引き出し方法及び繊維束引き出し装置
JP5923476B2 (ja) 柄経糸用部分整経機
EP0709502B1 (en) Roving joining method and device applicable to spinning machines
JPS59179829A (ja) 結束紡積用空気仮撚ノズルへの糸切れ糸端の插通方法
JPS582580Y2 (ja) 補強合成樹脂管の製造装置
JPH08199445A (ja) クーリングプレート
JPS5922139Y2 (ja) 無杼織機における緯糸測長装置
KR200227413Y1 (ko) 섬유보강로드의 제조장치
JPS60146023A (ja) 結束紡績装置の糸継ぎ方法
CS261155B1 (cs) Zařízení k vedení příze za pomoci vzduchového proud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