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5030B1 - 과충전 안전성이 우수한 비수계 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리튬 전지 - Google Patents

과충전 안전성이 우수한 비수계 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리튬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5030B1
KR100445030B1 KR10-2002-0013252A KR20020013252A KR100445030B1 KR 100445030 B1 KR100445030 B1 KR 100445030B1 KR 20020013252 A KR20020013252 A KR 20020013252A KR 100445030 B1 KR100445030 B1 KR 100445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electrolyte
formula
lithium
aqueous electroly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3603A (ko
Inventor
최상훈
김호성
이하영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3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5030B1/ko
Publication of KR20030073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3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5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50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과충전 안전성이 우수한 비수계 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에 관한 것으로, 여러 원인에 의해 전지가 과충전되어 전압 상승이 되더라도 전해액이 산화분해되어 중합물을 형성하게 되고, 이로 인해 과충전 전류를 소모하여 전지를 보호하므로 과충전 안전성이 향상된 비수계 전해액 및 리튬 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수계 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 리튬전지는 또한 스웰링 현상이 억제되고, 표준 용량 및 수명특성 저하 등의 부작용이 개선된다.

Description

과충전 안전성이 우수한 비수계 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Non aqueous electrolyte for improving overcharge safety and lithium batter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과충전 안전성이 우수한 비수계 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에 관한 것으로, 전지가 과충전되어 전압 상승이 되더라도 전해액이 산화분해되어 중합물을 형성하게 되고, 그에 따라 과충전 전류를 소모하여 전지를 보호하므로 과충전 안전성이 향상되면서도 스웰링 현상이 감소되고, 화성특성, 표준용량 및 수명특성 저하 등의 부작용을 개선할 수 있는 비수계 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첨단 전자기기의 발달로 전자 장비가 소형화 및 경량화됨에 따라 휴대용 전자 기기의 사용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고에너지 밀도 특성을 갖는 전지의 필요성이 높아지게 되어 리튬 전지에 대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리튬 전지는 캐소드, 애노드 및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에 리튬 이온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전해액과 세퍼레이타를 구성하여 제조한 전지로서, 리튬 이온이 상기 캐소드 및 애노드에서 삽입/탈삽입될 때의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한다. 그러나 리튬 전지는 충전기 오작동 등의 원인에 전지가 과충전되어 전압상승이 급격하게 진행될 경우 충전상태에 따라 캐소드에서는 과잉의 리튬이 석출되고 애노드에서는 리튬이 과잉으로 삽입되어 캐소드/애노드의 양극이 열적으로 불안정하게 되면 전해액의 유기용매가 분해되어 급격한 발열반응이 발생하여 열폭주와 같은 사태가 급격히 일어나 안전성에 심각한 손상을 주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해액의 조성을 변화시키거나 전해액에 첨가제를 가하여 리튬 전지의 과충전을 억제하고자 하는 시도가 많이 행해져 왔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5,580,684호에는 인산에스테르계 물질로서 트리메틸 포스페이트, 트리(트리플루오로에틸)포스페이트, 트리(2-클로로에틸)포스페이트 등을 전해액에 첨가하여 전해액의 자기 소화성(self-extinguishing)을 증대시킴으로써 전지이상 발생시 안전성을 높이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미국특허 5,776,627호에는 티오펜, 비페닐, 퓨란 등을 첨가하여 전지 이상시 이들이 폴리머화되어 리튬의 이동을 방해하고 이 때 발생하는 기체로서 전지의 벤트를 쉽게 열리도록 하여 전지의 안전성을 높이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방법들과 유사하게 미국특허 5,763,119호에서는 1,2-디메톡시-4-브로모-벤젠을, 미국특허 5,709,968호에서는 2-클로로-p-크실렌 및 4-클로로-아니솔을, 미국특허 5,858,573호에서는 2,7-디아세틸 티안트렌 등을 각각 첨가함으로써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7-302614호에서는 벤젠류 화합물을 사용하여 중합물을 형성함으로써 과충전 전류를 소비하여 전지를 보호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0-58116호에서는 터페닐 유도체를 사용하여 중합물을 형성함으로써 과충전 전류를 소비하여 전지를 보호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첨가제들은 전지의 정상적인 작동 조건에서 폴리머화되거나, 산화분해에 의해 가스를 대량 발생시켜 전지의 스웰링 현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화성 특성, 표준용량 및 수명특성과 같은 전지의 제반 특성을 저하시키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어 아직 실용화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충전기의 오작동 등과 같은 여러 원인에 의하여 과충전되거나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 전지의 과열, 발화 또는 폭발 등과 같은 위험을 억제하여 안전성을 개선하고, 스웰링 현상을 억제하며, 화성특성, 표준용량 및 수명특성 등의 부작용을 개선할 수 있는 비수계 전해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전해액을 채용한 리튬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전해액을 사용한 리튬 전지의 산화분해 전위를 나타낸다.
도 2는 비교예 1에 따른 전해액을 사용한 리튬 전지의 과충전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비교예 3에 따른 전해액을 사용한 리튬 전지의 과충전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전해액을 사용한 리튬 전지의 과충전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상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기용매에 용질로서 리튬염을 함유하는 비수계 전해액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계 전해액을 제공한다.
(식중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 니트로 또는 아민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중, R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중, X는 할로겐 원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의 첨가량은 비수계 전해액에 대하여 1 내지 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비수계 전해액을 채용한 리튬 전지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러 원인에 의해 전지가 과충전되어 전압상승이 급격하게 진행될 경우 충전상태에 따라 캐소드에서는 과잉의 리튬이 석출되고 애노드에서는 리튬이 과잉으로 삽입되어 캐소드/애노드의 양극이 열적으로 불안정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전해액의 유기용매가 분해되어 급격한 발열반응이 발생하므로 열폭주와 같은 사태가 급격히 일어나 안전성에 심각한 손상을 주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기 용매에 용질로서 리튬염을 용해시킨 전해액을 포함하는 비수계 전해액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수계 전해액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식중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 니트로 또는 아민기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중 페닐기의 o- 및 m- 위치에 수소원자가 치환되고 p- 위치에 할로겐원자,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 니트로 또는 아민기가 치환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p- 위치에 할로겐 원자가 치환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p- 위치에 브롬이 치환된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전해액 첨가제로 사용할 경우, 평상시 전지 사용조건(2.75V-4.2V)에서는 전지성능에 나쁜 영향을 거의 주지 않으면서, 전지가 과충전 단계로 진행되면 상기 첨가물이 산화되어 캐소드 표면에서 중합반응이 일어나므로 극판표면이 코팅된다. 이로 인해 캐소드와 애노드 사이에 저항을 증가시키고 또한 약간의 이온 및 전도성을 갖고 있는 상기 중합성 피막은 두 전극사이에서 소프트쇼트(션팅) 효과를 일으켜 과충전 전류를 소비하게 되어 전지를 보호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화합물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와 비교하여 전해액의 산화분해 전위가 보다 플러스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정상사용 조건에서 장시간 사용시 미세한 중합반응과 같은 부작용을 더욱 억제 시켜, 화성 및 표준용량, 스웰링 특성은 물론하고 수명특성의 저하도 방지하면서 과충전시의 전지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첨가량은 비수계 전해액에 대하여 1 내지 2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3 내지 15중량%가 더욱 바람직하고, 그 사용량이 1중량% 미만이면 목적하는 효과를 얻기가 곤란하며, 그 사용량이 20중량%를 초과하면 수명특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치환된 페닐기가 질소에 결합된 형태로서 상기 치환된 페닐기의 치환기는 o-, m- 또는 p- 위치 어느 곳이나 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 위치가 바람직하다.
p- 위치에 치환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2>
(식중 R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로서, 예를 들어 R이 할로겐원자인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화학식 3>
(식중 X는 할로겐 원자이다.)
또한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 중 X가 브롬원자인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화학식 4>
상기 화학식 1 내지 4의 화합물들은 유기용매중에 첨가되어 비수계 전해액을 형성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전해액의 산화분해 전위를 플러스 방향으로 이동시켜 전지 사용영역에서의 부반응을 최대한 억제하게 된다.
상기 전해액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유기용매로서는 리튬 전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프로필 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디메틸 술폭사이드, 아세토니트릴, 디메톡시에탄, 테트라히드로퓨란, 아세톤, 디메틸포름아미드, 사이클로헥사논, 플루오로벤젠 및 N-메틸-2-피롤리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의 사용량은 리튬 전지에서사용하는 통상의 수준으로 사용된다.
상기 전해액에 사용되는 리튬염은 유기 용매 중에서 해리되어 리튬 이온을 내는 리튬 화합물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과염소산 리튬(LiClO4), 사불화붕산 리튬(LiBF4), 육불화인산 리튬(LiPF6), 삼불화메탄술폰산 리튬(LiCF3SO3) 및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아미드(LiN(CF3SO2)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온성 리튬염을 사용하고, 그 함량은 리튬 전지에서 사용하는 통상적인 수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무기염을 함유하는 유기 전해액이 투입되면 전류의 방향에 따라 리튬 이온을 이동시키는 경로로서 작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정의된 전해액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리튬 전지의 제조방법에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1) 애노드/캐소드/세파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전극 조립체를 전지케이스에 수납한 후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비수계 전해액을 가해서 리튬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
(2) 매트릭스 형성용 고분자 수지 및 본 발명에 따르는 전해액을 혼합한 고분자 전해질을 전극이나 세파레이터에 도포한 후 이를 이용하여 전극 조립체를 형성하고, 이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를 전지케이스에 수납하여 리튬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 또는
(3) 매트릭스 형성용 수지로서 프리폴리머나 중합성 모노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지 및 본 발명에 따른 전해액을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 형성용 조성물을 전극이나 세파레이터에 도포한 후 이를 이용하여 전극 조립체를 형성하고, 이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를 전지케이스에 수납한 후 전지 내 중합하여 리튬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세파레이터로서는 리튬 전지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기용매와 반응성이 적고 안전성에 적합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다공성 막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매트릭스 형성용 고분자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전극판의 결합제에 사용되는 물질들이 모두 사용가능하다. 여기에는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코폴리머,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그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은 고분자 전해질을 형성하기 위한 고분자 충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충진제는 고분자 전해질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물질로서, 실리카, 카올린, 알루미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은 고분자 전해질을 형성하기 위한 가소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에틸렌 글리콜 유도체, 이들의 올리고머 및 유기 카보네이트계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에틸렌 글리콜 유도체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에틸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부틸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디부티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피오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있고, 유기 카보네이트계 물질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본 발명의 전해액을 함유하는 리튬 전지는 그 타입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1차 전지 및 2차 전지 모두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전해액을 함유하는 리튬 전지는 그 형태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각형 또는 원통형 모두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캐소드의 제조
캐소드 활물질인 LiCoO2과 도전제인 슈퍼-P(M.M.M. Corp. 제조) 및 결착제인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를 유기 용매인 N-메틸-2-피롤리돈(NMP)에 용해한 혼합물(슬러리 또는 페이스트)을 알루미늄 집전체의 양면에 균일하게 도포하여 활물질층이 도포된 캐소드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활물질층이 도포된 캐소드를 건조시켜 유기 용매를 제거한 후 롤프레스로 압연하여 두께가 0.147mm인 캐소드를 제조하였다.
2. 애노드의 제조
애노드 활물질인 MCF(Petoca 제조)와 결착제인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를 유기용매인 N-메틸-2-피롤리돈에 용해한 혼합물(슬러리 또는 페이스트)을 구리 집전체의 양면에 균일하게 도포하여 활물질층이 도포된 애노드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활물질층이 도포된 애노드를 건조시켜 유기 용매를 제거한 후 롤프레스로 압연하여두께가 0.178mm인 애노드를 제조하였다.
3. 전극체의 제조
상기와 같이 제조하여 얻어진 캐소드와 애노드를, 유기용매와 반응성이 적고 안전성에 적합한 두께 0.025mm의 폴리에틸렌 다공성 막을 사이에 두고 적층하여 약 900mAh 용량의 각형 전지로 제조하였다.
4. 전해액의 제조
실시예 1
에틸렌카보네이트(EC)/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프로필렌카보네이트(PC)의 혼합비가 30:30:40이 되는 혼합용매에 전해질염으로서 1.15M LiPF6을 혼합한 혼합용액에 대하여 하기 화학식 4의 트리(4-브로모페닐)아민(알드리치사) 3중량%를 첨가 혼합하여 목적하는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4>
실시예 2
상기 화학식 4의 트리(4-브로모페닐)아민 3중량% 대신에 5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하는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화학식 4의 트리(4-브로모페닐)아민 3중량% 대신에 7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목적하는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에틸렌카보네이트(EC)/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프로필렌카보네이트(PC)의 혼합비가 30:30:40이 되는 혼합용매에 전해질염으로서 1.15M LiPF6을 혼합하여 목적하는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에틸렌카보네이트(EC)/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프로필렌카보네이트(PC)의 혼합비가 30:30:40이 되는 혼합용매에 전해질염으로서 1.15M LiPF6을 혼합한 혼합용액에 대하여 2,4-디플루오로아니솔 5중량%를 첨가하여 목적하는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에틸렌카보네이트(EC)/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프로필렌카보네이트(PC)의 혼합비가 30:30:40이 되는 혼합용매에 전해질염으로서 1.15M LiPF6을 혼합한 혼합용액에 대하여 비페닐 5중량%를 첨가하여 목적하는 전해액을 제조하였다.
5. 리튬 이온 전지의 제조
상기와 같이 얻어진 전극체의 상하에 각각 세퍼레이터를 배치한 후, 이를 권취 압축하여 30mm × 48mm × 6mm 각형 캔에 삽입하였다. 그 후, 상기 전해액을 캔에 주입하여 리튬 이온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과충전 시험
상기한 바와 같이 얻어진 각 리튬 이온 전지를 실온에서 950mA(1C)의 충전 전류로 전지 전압이 4.2V가 되도록 충전하고, 4.2V의 정전압에서 3시간 충전하여 만충전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 만충전된 각 리튬 이온 전지의 캐소드/애노드 단자 사이에 950mA(1C)의 충전전류로 약 2.5시간 흘려 과충전을 행하여 충전전압 및 온도변화를 관찰하여 하기 표 1, 도 2 내지 도 4에 그 결과를 기록하였다.
도 2 및 도 3은 비교예 1 및 비교예 3에서 얻어진 리튬이온전지에 대해 1C(950mA)의 전류로 과충전한 실험결과로서 외부에서 12V 인가시 전해액 고갈 또는 캐소드/애노드 및 전해액의 산화반응에 의한 온도상승에 의해 세퍼레터 셧다운이 일어남을 알 수 있으며, 1C 정도의 고전류의 경우 열폭주가 발생하여 세퍼레터의 용해가 일어나고 내부쇼트로 연결되어 발열 및 발화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리튬이온전지에 대한 과충전 실험결과로서 비교예 1과 동일한 실험조건으로 행하여 졌다. 즉 도면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과충전후 약 10분 경과후 본첨가제에 의해 중합반응이 일어나므로 온도상승이 있으나, 과충전 전류가 계속해서 소비되므로 전압상승이 약 5V 정도에서 억제되고, 전해액 및전지재료의 산화분해 반응에 의한 발열이 억제되어 전지표면 온도가 최대 70℃로 억제되어, 근본적으로 열폭주가 제어되어 전지의 안전성이 확보된다.
실험예 2: 표준용량, 고율용량, 스웰링 특성 측정 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전지에 대해 표준용량, 고율용량 및 화성 전후의 스웰링 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화성조건에서 충전은 전압 4.2V, 전류 0.2C로 행하였고, 방전은 0.2C 전류, 2.75V 종지전압이며, 스웰링의 경우 전지의 두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예 3: 수명특성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얻어진 리튬 전지에 대하여 충방전 수명 특성을 시험하여 하기 표 1에 결과를 나타내었다. 전지의 충방전 사이클은 정전류/정전압 조건에서 2C로 2.7 내지 4.2V에서 실시하였으며 정전압구간은 정전류구간의 1/10로 하였다.
비고 화성 전후스웰링 차이(mm) 표준용량(mAh) 고율(2C)용량(mAh) 수명유지율(%)(300사이클) 과충전(1C, 12V)
실시예 1 4.85 950 940 85 전위제어(No vent open)
실시예 2 4.87 946 935 83
실시예 3 4.86 945 940 83
비교예 1 5.01 960 930 80 셧다운
비교예 2 5.41 968 920 82 셧다운
비교예 3 5.70 948 900 70 셧다운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과충전 방지용 첨가물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의 리튬 전지보다 종래의 과충전 방지용 첨가물을 포함하는 비교예 2 및 비교예3이 스웰링이 더 많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과충전 방지용 첨가물이 산화분해되어 가스를 대량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과충전 방지용 첨가물을 사용하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리튬 전지는 비교예 1과 거의 유사하거나 그 이하의 스웰링 정도를 나타내므로 상기 첨가물로 인한 스웰링 발생이 거의 억제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충전 방지용 첨가물을 포함하는 리튬 전지(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종래의 과충전 방지용 첨가물(비교예 2 내지 3)을 포함하는 리튬 전지와 비교하여 300회 충방전 후에 더 높은 용량을 가지므로 수명 특성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표준용량 및 고율용량에 있어서도 그 효율이 유사하거나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산화 분해 전위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리튬 전지에 대하여 산화 분해 전위를 측정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튬 전지는 전지의 사용영역에서는 산화분해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산화개시 전위가 플러스 방향으로 이동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수계 전해액은 여러 원인에 의해 전지가 과충전되어 전압 상승이 되더라도 전해액이 산화분해되어 중합물을 형성하게 되므로 과충전 전류를 소모하여 전지를 보호하므로 과충전 안전성이 향상되면서도 스웰링 현상이 감소되고 표준용량, 고율용량 및 수명특성 저하 등의 부작용을 개선할 수 있으며, 리튬 전지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6)

  1. 유기 용매에 용질로서 리튬염을 함유하는 비수계 전해액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
    <화학식 1>
    식중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고, 단 각 페닐기의 R중 적어도 하나는 할로겐 원자이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
    <화학식 3>
    (식중, X는 할로겐 원자이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3의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4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
    <화학식 4>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첨가량은 비수계 전해액에 대하여 1 내지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액.
  6. 제1항, 제 3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비수계 전해액을 채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전지.
KR10-2002-0013252A 2002-03-12 2002-03-12 과충전 안전성이 우수한 비수계 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리튬 전지 KR100445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252A KR100445030B1 (ko) 2002-03-12 2002-03-12 과충전 안전성이 우수한 비수계 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리튬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252A KR100445030B1 (ko) 2002-03-12 2002-03-12 과충전 안전성이 우수한 비수계 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리튬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603A KR20030073603A (ko) 2003-09-19
KR100445030B1 true KR100445030B1 (ko) 2004-08-21

Family

ID=32224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252A KR100445030B1 (ko) 2002-03-12 2002-03-12 과충전 안전성이 우수한 비수계 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리튬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50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0778A (ja) * 1994-05-20 1995-12-08 Sanyo Electric Co Ltd 非水電解液電池
US5731106A (en) * 1996-01-25 1998-03-24 Fujitsu Limited Electrolytic solution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9980064693A (ko) * 1996-12-27 1998-10-07 이데이노부유끼 비수성 전해액 2차 전지
KR20010011907A (ko) * 1999-07-31 2001-02-15 김순택 비수성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0778A (ja) * 1994-05-20 1995-12-08 Sanyo Electric Co Ltd 非水電解液電池
US5731106A (en) * 1996-01-25 1998-03-24 Fujitsu Limited Electrolytic solution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9980064693A (ko) * 1996-12-27 1998-10-07 이데이노부유끼 비수성 전해액 2차 전지
KR20010011907A (ko) * 1999-07-31 2001-02-15 김순택 비수성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603A (ko) 200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1551B2 (en) Electrolyte for lithium ion rechargeable battery and lithium ion rechargeable battery comprising the same
EP1458048B1 (en) A non-aqueous electrolyte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US7678504B2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0428977B1 (ko) 과충전 안전성이 우수한 고분자 전해질 형성용 조성물 및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KR101386165B1 (ko) 실란계 화합물을 채용한 유기전해액 및 리튬 전지
JP4430857B2 (ja) 過充電安全性に優れた非水系電解液及びこれを採用したリチウム電池
EP1657775B1 (en) Electrolyte for lithium battery and lithium battery comprising same
KR100424257B1 (ko) 과충전 안전성이 우수한 비수계 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리튬 전지
JP4430859B2 (ja) 過充電安全性に優れた非水系電解液及びこれを採用したリチウム電池
KR100424259B1 (ko) 과충전 안전성이 우수한 비수계 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리튬 전지
KR100766930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574328B1 (ko) 전지용 비수전해액
KR100424260B1 (ko) 과충전 안전성이 우수한 비수계 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리튬 전지
KR100445030B1 (ko) 과충전 안전성이 우수한 비수계 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리튬 전지
KR100449756B1 (ko) 과충전 안전성이 우수한 비수계 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리튬 전지
KR100424258B1 (ko) 과충전 안전성이 우수한 비수계 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리튬 전지
KR100402746B1 (ko) 과충전 안전성이 우수한 비수계 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리튬 전지
KR100703845B1 (ko) 리튬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20030073604A (ko) 과충전 안전성이 우수한 비수계 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리튬 전지
KR20050036617A (ko) 리튬2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 리튬전지
KR20040080529A (ko) 비수계 전해액 및 이를 채용한 리튬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