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4896B1 - 연성(延性)페놀수지의제조방법과그이용 - Google Patents

연성(延性)페놀수지의제조방법과그이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4896B1
KR100444896B1 KR1019970703441A KR19970703441A KR100444896B1 KR 100444896 B1 KR100444896 B1 KR 100444896B1 KR 1019970703441 A KR1019970703441 A KR 1019970703441A KR 19970703441 A KR19970703441 A KR 19970703441A KR 100444896 B1 KR100444896 B1 KR 100444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enol
phenolic resin
soft
group
aldehy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3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7000356A (ko
Inventor
뵈쳐 악셀
스티버 울리히
투미넬로 안토니타
Original Assignee
바켈리테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켈리테 아게 filed Critical 바켈리테 아게
Publication of KR987000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7000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8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8/0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08G8/38Block or graft polymers prepared by polycondensation of aldehydes or ketones onto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enolic Resins Or Amino Resin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성 페놀수지는 페놀-알데히드 축합 산물 속에 들어 있는 작용기를 함유하는 탄성고무를 포함한다. 상기 연성 페놀수지는 페놀 화합물 및 히드록시기, 카복시기, 아미노기 또는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3-20 중량%의 고무가 알데히드의 존재하에서 축합 반응을 거침에 따라 제조된다.

Description

연성(延性) 페놀수지의 제조방법과 그 이용
페놀수지는 내화성이 우수하고, 화재시에 발생하는 연소가스의 밀도가 낮기 때문에 섬유 적층재료의 모체수지, 특히 인력수송 분야에 적용되는 모체수지로서 적합하다(합성수지 핸드북 10 "써모프라스틱" 하우져 출판사, 2판, 490 다음페이지 이하 참조).
그러나 단점은 취성이다. 즉, 예를 들면, 신축율은 최대 4-5% 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최대 1% 정도에 불과하다.
선행기술에 따르면 페놀수지는 에폭시 수지나 인조고무와 같은 다른 열경화성 수지와 합성됨으로서 개량된다.
이로 인하여 연소반응과 연소가스 밀도가 악화된다. 연소반응은 내화 첨가제에 의하여 재차 개선되지만 연소가스 밀도의 개선은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페놀수지의 기계적 강도에 대하여 화재시 페놀수지의 연소반응과 연소가스 밀도가 선행기술에 상당하면서도 최소한 4% 의 연성(延性)을 가지는 신축성의 페놀수지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범위 제 1 항 내지 제 2 항에 따른 연성 페놀수지와 청구범위 제 3 항 내지 제 7 항에 따른 상기 연성 페놀수지의 제조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상기 연성 페놀수지는 우선적으로 인력수송 분야, 특히, 항공기 제작에 사용되는 섬유 적층재료의 제조에 사용된다.
작용기를 포함하는 합성고무가 페놀수지의 소중합체 연쇄 결합속에 함께 투입되고, 이때 이들은 이러한 합성의 경우 알데히드와 페놀 화합물과 더불어 전화(轉化)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와 동시에 공지의 방법으로 경화되는 개량 페놀수지가 생겨난다.
투입된 합성고무의 양에 비례하여 생성되고 또한 경화된 페놀수지는 연화되므로 경화된 연성 페놀수지의 10% 까지의 신축은 수지모체를 파괴함이 없이 가능하다.
그러나 의외로 이러한 연성 페놀수지는 그것의 연소반응에 있어서 종래의 범용 페놀수지에 상당하며, 본 발명에 따른 연성 페놀수지에 있어서, 화재발생시의 연소가스 밀도 또한 표준 페놀수지와 대등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성 페놀수지들은 이에 따라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무가 페놀-알데히드 축합 산물속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투입되는 페놀에 대하여 3-20중량% 의 상기 작용기를 포함하는 고무 부분이 증가됨에 따라 탄성이 증가한다. 3%미만으로 최소의 연화를 관찰할 수 있는 반면 20중량% 이상의 고무 함유시 페놀수지 조직 및 이에 따른 페놀수지의 대표적인 성질들은 상실된다.
페놀 화합물이나 또는 축합반응을 위한 화합물로서 1가(價) 또는 다가(多價)의 페놀이나 소위 화합물류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단일심은 물론 다수심 페놀도 사용될 수 있다. 이에대한 실시예들은 페놀 자체 및 그것의 알킬-치환체 및 o-, m- 또는 p- 크레솔, 크사롤 또는 보다 높은 알킬페놀 이밖에도 클로로- 또는 브롬페놀과 같은 할로겐 치환 페놀 및 레소르시놀 또는 초성(焦性)카테킨 및 나프톨, 비스페놀 A 또는 비스페놀 F 와 같은 다심 페놀들이다.
알데히드는 일반식 R-CHO 의 모든 화합물들이 적용 가능하다. 예로서 포름알데히드, 아세트-, 프로피온-, n-부칠 또는 이소부틸-알데히드, 글리옥살 또는 푸르푸랄을 들 수 있다.
우선 알데히드는 예컨대 파라포름알데히드 또는 트리옥산과 같이 포름알데히드 형태로 분열하는 물질로 사용되는 포름알데히드 이다. 우선적인 추가 폼은 30% 이상의 포름알데히드-함량을 갖는 수용액이다 (포르말린). 알데히드에 대한 페놀 화합물의 분자적 관계는 축합조건에 의존한다.
축합반응은 알칼리성 또는 암모니아성 환경에서 수행되는데 여기서 자경 레졸(self-hardening Resol)이 생성된다. 여기서 페놀-알데히드의 몰비는 1:1.5 내지 1:3의 범위내에서 선정된다. 그러나. 축합은 또한 산성 환경에서 노볼락 수지의 존재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페놀-알데히드의 몰비는 2:1 내지 1:1 범위에 있다.
히드록실-, 카복실-, 아미노-, 에폭시드- 들과 같은 작용기를 포함하는 모든 비결합 천연 또는 합성고무들이 고무로서 사용 가능하다.
그의 예들로서는 히드록시-, 카복실-, 아민- 또는 에폭시 터미널 부칠-, 이소프렌-, 아크릴-, 나이트릴-, 폴리부타디엔-, 아크릴부타디엔-, 또는 실리콘고무 및 비닐피리딘- 또는 아크릴산-부타디엔-스티롤-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고무들은 미립분말로서 비용액, 용액(또한 페놀에서 용해)으로, 또는 페놀 화합물 및 축합촉매제의 격자형으로 나뉘어 진다. 알데히드를 첨가하면 반응화합물은 축합반응의 공지된 방법으로 원하는 축합도에 이르기까지 체크 처리된다.
알카리 촉매적 축합의 경우에 있어서는 연성의 자경 수지 그리고 산촉매적 축합의 경우에서는 공지된 자경제 특히 헥사메틸렌테트라아민(Hexa)을 가지고 공지된 방법으로 연성 노볼락이 얻어진다.
수용성 계 또는 용제를 포함하는 계에서 축합반응을 실시함으로서 최종 산물들은 스프레이 건조에 의한 공지된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페놀수지는 분말수지로서 얻을 수 있다.
상기 연성 페놀수지의 양호한 기계적 성질, 연성 및 유리한 연소반응으로 인하여 이것은 특히 운동기구 또는 인력수송 분야에 있어서, 항공기제작과 같은 인력수송분야 및 모든 일반 지주(支柱) 특히 박판제품 및 전기 박판제품의 층상 압연재와 같은 고가의 섬유 합성소재에 적합하다. 이러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성 페놀수지는 모든 일반적 사용방법과 수지침투가공재 또는 레진-운반-조형-, 섬유감기- 또는 펄투루존(pultrusion)- 방법과 같은 수동 적층 제조방법이 적용된다. 보강재로는 이러한 분야에 있는 모든 일반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 유무기 섬유, 합성섬유와 같이 동일하게 불규칙한 천연섬유, 직물이나 또는 플리스(양모의 방적공정중에 생기는 엷은 섬유군)와 같은 섬유소로 제조된 평재로 된 암면등이 이에 속한다.
그러나 예컨대 목재 제조용 재목의 접착제로서의 이용, 또는 탄성의 발포에 의한 열경화성 수지로서의 이용 등, 기타 적용분야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페놀수지는 상당한 이점을 제시하고 있다. 완충재용 결합제로서 이것들은 이러한 재료가 쉽게 부서지는 것을 억제해 준다. 연마재의 결합제로서 이것들은 연마성능을 제고해주며 고속의 회전수를 가능케한다. 마찰재의 결합제로서 특히 브레이크 디스크에 있어서 이것들은 마찰을 감소시켜 준다. 적층재의 결합제로서 이것들은 온도변화에 의하여 생기는 응력에 대한 내성을 제고시켜준다.
실시예
실시예 1
연성 페놀레졸
18kg 페놀(100%), 4kg 물, 0.5kg 트리에칠아민 및 액상 카르복실-터미널 부타디엔-아크릴니트릴-중합체 0.9kg (Hycar(R)CTBN 1300×13)이 반응용기에 담겨진다. 60℃에서 45% 포르말린용액 18kg 이 2시간에 걸쳐 첨가된다. 포르말린 첨가가 끝난후 80℃에서 30분간 후 반응(post reaction)이 수행된다. 70%의 수지에 반응 혼합물 농축이 90℃ 진공에서 이루어진다.
실시예 2
실시예 1 과 유사하나 액상 아민-터미널 부타디엔-아크릴-중합체(Hycar(R)ATBN 1300×16) 0.9kg이 사용됨.
실시예 3
실시예 1 과 유사하나 액상 아민-터미널 부타디엔-아크릴니트릴-중합체(Hycar(R)ATBN 1300×35) 0.9kg 이 사용됨.
실시예 4
실시예 1 과 유사하나 액상 아민-터미널 부타디엔-아크릴니트릴-중합체 0.9kg(Hycar(R)ATBN 1300×42) 이 사용됨.
실시예 5(비교예)
실시예 1 과 유사하며 18kg 페놀이 18kg 포르말린 용액과 축합된다. 0.9kg Hycar(R)CTBN 1300×13 은 축합반응과 반응 혼합물 농축이 종결된 후 레졸에 첨가된다.
실시예 6
연성 페놀노볼락
47kg 페놀이 470g 옥살산 및 2.35kg Hycar(R)CTBN 1300×13 과 혼합되고 100℃로 가열된다. 교반 및 환류하에 3시간에 걸쳐 6.65kg, 45% 포르말린 분산 첨가. 종료후 반응 혼합물은 환류하에 <0.5%인 임의의 포르말린 함량이 가열된 후 저비등점의 구성물질(물, 페놀)의 증류에 의하여 방출된다.
실시예 7
실시예 6 과 유사하나 Hycar(R)ATBN 1300×16 으로 처리.
실시예 8
실시예 6 과 유사하나 Hycar(R)ATBN 1300×15 로 처리.
실시예 9
실시예 6 과 유사하나 Hycar(R)ATBN 1300×42 로 처리.
실시예 10
실시예 6 과 유사하며 47kg 페놀이 6.65kg 포르마린 용액과 축합된다. 축합반응이 종료되고 저비등점 구성물질이 증류 분리된 후 2.35kg Hycar(R)CTBN 1300×13이 노볼락에 첨가된다.
실시예 11
적층판의 제조
적층판을 제조하기 위하여 유리섬유(인터글라스형 7781 296 g/㎡) 각 실시예 1-10의 수지 또는 혼합용액(65-67% 메칠에칠케톤)이 함침된다 (수지함유량 40-2 중량%). 130℃에서 3분 이내 수지침투가공재가 제조된다.
각 8겹의 수지침투가공재들은 135℃에서 75분간 프레스에서 2mm 두께의 적층판으로 압축된다. 그 다음에 본 적층판들은 DIN 53452에 의한 조도와 80℃의 경우에 대한 굽힘강도 DAN 432에 의한 중간적층의 전단강도(ILS) DAN 406에 의한 박리내성 UL 94-V에 의한 가연성에 대하여 각각 검사된다.
가연성은 모든 수지계에 대하여 V-0으로 분류된다. 기타 결과들은 표 1에 들어 있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12
순수 수지의 신장률(伸張率)
각 2mm 두께층들이 진공하에서 용제함유 수지용액으로부터 주조됨. 본 수지들은 그다음 135℃에서 75분 동안 경화된다. 이어서 DIN 53 452(굽힘 시험)에 의거 최대 신장률이 계측된다. 얻은 결과는 표 2가 보여준다.
Figure pct00002

Claims (8)

  1. 히드록시기, 카복시기, 아미노기 또는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고무가 페놀-알데히드 축합 산물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페놀수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페놀수지는 히드록시기, 카복시기, 아미노기 또는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고무를, 사용된 페놀에 대하여, 3-20 중량% 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페놀수지.
  3. 제 1 항의 연성 페놀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페놀 화합물 및 상기 히드록시기, 카복시기, 아미노기 또는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3-20 중량%의 고무가 알데히드의 존재하에서 축합 반응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페놀수지의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축합 반응은 알칼리성 또는 암모니아성 환경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페놀수지의 제조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축합 반응은 산성 환경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페놀수지의 제조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페놀 대 알데히드의 몰비는 1:1.5 내지 3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페놀수지의 제조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페놀 대 알데히드의 몰비는 2:1 내지 1:1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페놀수지의 제조 방법.
  8. 제 1 항 및 제 2 항에 따른 상기 연성 페놀수지를, 인력 수송 분야에서 사용되는 섬유 적층재료의 제조에 이용하는 방법.
KR1019970703441A 1995-11-09 1996-10-01 연성(延性)페놀수지의제조방법과그이용 KR1004448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41726.7 1995-11-09
DE19541726A DE19541726A1 (de) 1995-11-09 1995-11-09 Flexibilisierte Phenolharz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PCT/EP1996/004288 WO1997017385A1 (de) 1995-11-09 1996-10-01 Flexibilisierte phenolharz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7000356A KR987000356A (ko) 1998-03-30
KR100444896B1 true KR100444896B1 (ko) 2005-02-07

Family

ID=7776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3441A KR100444896B1 (ko) 1995-11-09 1996-10-01 연성(延性)페놀수지의제조방법과그이용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802937B1 (ko)
JP (1) JPH10512618A (ko)
KR (1) KR100444896B1 (ko)
AT (1) ATE193713T1 (ko)
DE (2) DE19541726A1 (ko)
TW (1) TW416967B (ko)
WO (1) WO19970173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5102B2 (ja) * 2004-03-26 2011-07-06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新規な熱硬化性ベンゾオキサジン樹脂、その製造法及び硬化物
EP2072547A1 (de) 2007-12-20 2009-06-24 Nanoresins AG Modifizierte Phenolharze
JP2010265480A (ja) * 2010-08-04 2010-11-25 Hitachi Chem Co Ltd 新規な熱硬化性ベンゾオキサジン樹脂、その製造法及び硬化物
US9328188B2 (en) 2011-12-29 2016-05-0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preparing phenol-formaldehyde resins, resin materials and method for preparing resin molding materials
US10030332B2 (en) * 2014-03-14 2018-07-24 Si Group, Inc. Methods of using phenolic fatty acid compound on a non-phenolic polymer
EP3444216A1 (en) 2017-08-14 2019-02-20 thyssenkrupp Home Solutions S.r.l. An elevator spindle system lubric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6827A (en) * 1980-04-17 1982-02-23 Union Carbide Corporation Rubber modified phenolic friction particles
US4400229A (en) * 1980-12-13 1983-08-23 Ciba-Geigy Corporatio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henolic resin-containing dispersions and their use as adhes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512618A (ja) 1998-12-02
EP0802937B1 (de) 2000-06-07
WO1997017385A1 (de) 1997-05-15
TW416967B (en) 2001-01-01
EP0802937A1 (de) 1997-10-29
DE19541726A1 (de) 1997-06-12
KR987000356A (ko) 1998-03-30
DE59605402D1 (de) 2000-07-13
ATE193713T1 (de)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629464T2 (de) Phenolharz-zusammensetzungen mit verbesserter schlagfestigkeit
CN1984958B (zh) 含有醚化硬化剂的酚醛树脂组合物
US3823103A (en) Aqueous dispersions based on heathardenable phenolic resins containing a gum mixture stabilizing agent
US5075413A (en) Resorcinol-modified phenolic resin binder for reinforced plastics
EP2310434B1 (de) Modifizierte phenolharze
US5075414A (en) Resorcinol-modified phenolic resin binder for reinforced plastics
KR100444896B1 (ko) 연성(延性)페놀수지의제조방법과그이용
DE1026956B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lycidylaethern von Phenolen
Dorieh et al. Effect of different acids during the synthesis of urea‐formaldehyde adhesives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medium‐density fiberboards bonded with them
JPH0659729B2 (ja) 複合材料およびその製造法
US3944703A (en) Fibrous batts impregnated with aqueous dispersions based on heat-hardenable phenolic resins
JP3655640B2 (ja) レソルシノール樹脂を硬化させ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JPH1121419A (ja) フェノール樹脂組成物及びフェノール樹脂の製造方法
US5650478A (en) Liquid binding agents
JP2966974B2 (ja) 変性フェノール樹脂混合エポキシ樹脂積層板の製造方法
US2453704A (en) Furfuryl alcohol-phenolic resins
JPH04364941A (ja) フェノール樹脂積層板
JPH0574609B2 (ko)
DE2225458B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intern plastifizierter phenolharze und deren verwendung
SU859386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фенолформальдегидного св зующего
JPS61246220A (ja) オイチシカ油変性フエノ−ル樹脂の製造法
JP3091861B2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
US7759448B2 (en) Simplified method for production of phenolic resole resin with high molecular weight fraction
JPH06100666A (ja) エポキシド樹脂−フェノール樹脂組成物を基剤とする結合剤系
JPH04359007A (ja) 変性フェノール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