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4891B1 - 미닫이문 - Google Patents

미닫이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4891B1
KR100444891B1 KR10-2002-0039758A KR20020039758A KR100444891B1 KR 100444891 B1 KR100444891 B1 KR 100444891B1 KR 20020039758 A KR20020039758 A KR 20020039758A KR 100444891 B1 KR100444891 B1 KR 100444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unit
attache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9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5809A (ko
Inventor
이근준
Original Assignee
(주)미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리텍 filed Critical (주)미리텍
Priority to KR10-2002-0039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4891B1/ko
Publication of KR20030035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8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54Horizontally-sliding wings disappearing in pockets in the wall; Pocke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1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movable in plane of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06B7/215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with sealing strip being moved to a retracted position by elastic means, e.g.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미닫이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문체의 상부에 롤러가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 미닫이문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에 따르는 미닫이문은, 상부에 하나 이상의 롤러가 부착되어 횡으로 여닫을 수 있는 문체; 상기 롤러의 구름부재의 구름에 의해 상기 문체가 개폐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이 부착되는 상부틀;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틀의 일측은 하나 이상의 측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측프레임은 결합이 용이한 브라켓 및 단위프레임에 의하여 조립구성되며, 상기 문체는 하부에서 문체와 바닥 사이의 틈을 메우기 위한 밀봉유니트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부틀에 고정되는 안착부고정구와 안착부고정구에 결합 부착되는 안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닫이문{Sliding door}
개시된 본 발명은, 미닫이문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문체의 상부에 롤러가 형성되어, 횡방향으로 여닫힐 수 있도록 구성된 미닫이문에 관한것이다.
종래 기술에서의 미닫이문은 문체를 지지하는 문틀을 가지며, 문틀의 하부 또는 상부에서 상기 문체에 구성된 롤러가 유도되어 이동되는 가이드레일이 장착된 구성을 가지게 된다.
상술한 구성 중 롤러가 문체의 하부에 구성되며, 바닥면 또는 문틀을 이루는 하부틀상에 가이드레일이 설치되는 경우, 문체의 하중에 의하여 롤러가 손쉽게 파손될 수 있으며, 또한, 가이드레일이 바닥에 설치됨으로서 문턱이되어 사용자의 이동에 방해물로 작용할 수는 문제점을 가진다.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대안으로 문체의 상부에 롤러를 장착하고, 문틀 중 상부틀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여, 롤러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유도되도록 함으로서, 문이 여닫히도록 하는 구성이 제공되나, 이경우, 문체와 바닥사이에는 자연스럽게 틈이 생기게 되며, 틈에의하여 외부로부터 먼지, 소음 등의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에 더하여, 상술한 문틀을 구성함에 있어, 문틀을 이루는 다수의 부재들이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다. 상술한 부재가 목재인 경우에는 홈을 파고, 서로 짜맞추거나, 못 등을 이용하여 조립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못에 의한 조립의 경우에는 그 강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홈에 의하여 서로 짜맞추는 경우에는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된다. 또한, 문틀을 이루는 프레임부재 혹은 단위프레임이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등의 금속부재인 경우에는 용접 작업을 수행해야 하며, 용접에 의하지 않고 동일 면상에서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조립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작업이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미닫이문의 문틀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서의 측프레임을 본원 발명의 일 특성으로서의 단위프레임 및 브라켓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립구성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조립된 측프레임이 문을 이루는 벽체의 내측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사용되는 실내 공간의 낭비 및 실내의 미관의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미닫이문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원 발명은 또한, 문체가 닫히는 경우, 문체의 하부면으로부터 차폐체가 돌출됨으로서 문체와 바닥면 사이의 틈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밀봉유니트가 문체의 하부의 내측에 장착되는 밀봉유니트를 가지는 미닫이문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미닫이문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미닫이문에 구성되는 단위프레임의 단면도,
도3은, 도2의 단위프레임을 수직으로 결합시키는 브라켓의 평면도,
도3a는, 도3의 브라켓의 측면도,
도3b는, 도3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는 브라켓의 평면도,
도3c는, 도2의 단위프레임이 상기 도3내지 도3의 브라켓에 의하여 수직으로 조립되는 것을 나타내는 부분분해사시도,
도4는, 본원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을 가지는 브라켓의 정면도,
도4a는, 상기 도4의 브라켓의 측면도,
도5는, 상기 도4의 브라켓의 의하여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단위프레임의 단면도,
도5b는, 도5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르는 단위프레임의 단면도,
도6은, 도4의 브라켓에 의하여 도5내지 도5b의 단위프레임이 서로 직각으로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6a는, 도6에 의하여 결합된 단위프레임들이 타부재의 면상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7은, 본원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을 가지는 단위프레임과 브라켓의 사시도,
도8은, 도4내지 도5b의 브라켓과 단위프레임에 의하여 조립된 미닫이문의 사시도,
도8a는, 도8에 z-z 방향으로 절단한 미닫이문의 수직단면도,
도9는, 도8내지 도8a의 문체 하부에 구성되는 밀봉유니트의 분해사시도,
도10은, 본원 발명에 따르는 가이드레일의 단면도,
도11은, 상기 도10의 변형된 구성을 가지는 가이드레일의 단면도,
도12는, 상기 도11의 안착부가 변형된 실시 예로서 또 다른 구성을 가지는 안착부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미닫이문
1 : 문체 2 : 상부틀
4 : 측프레임
3, 60, 60a : 브라켓
61 : 수용홈
23, 54, 54a, 54b : 단위프레임
22, 22B, 210 : 가이드레일
22b : 안착부 고정구 22c, 211 : 안착부
300 : 밀봉유니트
301 : 고정프레임 302 : 구동봉
303 : 탄성체 304 : 스토퍼
307 : 판스프링가이드 308 : 판스프링
309 : 패킹고정구 310 : 패킹부재
320 : 케이스 330 : 구동체340 : 차폐체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은,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가 부착되는 문체;와 상기 롤러가 안착되고, 상기 문체가 횡으로 이동되어 여닫힐 수 있도록 상기 롤러의 이동을 유도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이 하부면에 부착되는 상부틀; 및 상기 상부틀의 측부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상부틀을 지지하는 측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측프레임은 다수의 단위프레임과 브라켓에 의하여 조립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위프레임은, 사각형의 관상으로 내측에는 체결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관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상기 브라켓은 사각형의 강판형으로 상기 단위프레임과 접하는 영역에서 상기 체결관에 체결구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을 가지며, 상기 단위프레임이 접하지 않는 양측 영역에는 타부재의 면상에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구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멍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위프레임은 또한, 상기 단위프레임의 외측면에서 길이방향의 단면이 톱니형상을 이루도록 돌출되는 프레임지지돌기를 더 가질 수 있다. 상술한 프레임지지돌기는 상기 단위프레임이 벽체 등에 설치되는 경우 벽체의 내측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서 단위프레임이 더욱 견고하게 벽체에 부착되도록 한다.
상기 단위프레임과 상기 브라켓의 또 다른 구성은,상기 단위프레임은, 길이방향의 측부면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고 돌출되는 리브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은 일정 두께 및 폭을 가지는 'ㄱ'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단위프레임의 리브가 각각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직각으로 만나는 두 개의 외측면의 각각의 중앙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깊이로 파여져서 상기 두개의 면이 만나는 외측면의 모서리에서 서로 직각으로 연통되는 수용홈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위프레임 및 상기 브라켓의 또 다른 구성은,상기 단위프레임은 내부가 비어 있으며, 양단부는 관통되어 있고, 일 면 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양측에 턱이 형성되도록 하는 개구부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브라켓은 단면이 상술한 단위프레임의 내부의 공간의 단면과 일치되는 형상을 가지며, 전체 형상은 '┑'형상으로 꺽여지는 봉형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의 양측은 서로 다른 단위프레임의 양 단부에서 상기 단위프레임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서, 두 개의 단위프레임을 서로 90도가 되도록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브라켓은 또한, 외주로 끼워진 단위프레임이 더욱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단위프레임의 개구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는 면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요철부를 더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롤러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삽입되어 상기 안착부를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가지는 안착부고정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가이드레일의 설치시, 안착부고정구를 먼저 상부틀에 장착하고, 안착부 고정구의 단부에서 안착부를 안착부고정구에 삽입함으로서 가이드레일의 설치작업이 용이해 진다.
상기 문체는 문체의 하부의 내측에 장착되어 문체가 닫혀지는 경우하부에서 차폐체가 돌출되어 문체와 바닥사이의 틈을 차폐하도록 구성되는 밀봉유니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상기 밀봉유니트는, 저면이 개방된 상태의 관형상으로 상기 문체 하부면에서 상기 문체의 내부에 삽입고정되는 케이스;와,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내측에 장착되는 구동체;와 상기 구동체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구동체의 횡방향 이동에 의해 하부로 돌출되는 차폐체;로 구성될 수 있다.상기 케이스는 저면과 양단부가 개방된 관 형상의 고정프레임;과, 중앙에 형성된 관통구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문체의 측면에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단부를 고정지지하는 제1마감편;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고정프레임의 타단부에 부착되어 개방된 단면을 밀폐하는 제2마감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상기 구동체는, 일 단부가 상기 제1마감편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문체의 측면에서 돌출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에 길이방향으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봉;과 , 상기 구동봉의 하부에서 일 단부가 부착되어 상기 구동봉의 수평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판스프링;과,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판스프링이 수평이동되는 경우 상기 판스프링이 휘어지도록 유도하는 판스프링가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차폐체는 판스프링에 부착되는 패킹고정구;와 패킹고정구에 삽입 고정되는 식모부재, 고무판 등의 패킹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미닫이문(100)의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미닫이문(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21)가 상부에 부착된 문체(1)와 상기 롤러(11)의 구름부재가 유도되어 상기 문체(1)가 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레일(22)과 상기 가이드레일이 하부면에 부착되는 상부틀(2)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틀(2)은 벽체 자체에 의하여 지지될 수도 있으며, 선택적으로 전체 문체의 틀을 이루는 목재 등으로 형성되는 수직틀(25) 및 측프레임(4)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수직틀(25)은 문체(1)와 접하는 면에 문체(1)가 삽입 안착되는 홈이 수직틀(25)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 목재 등으로 다양하게 실시 될 수 있다.
상술한 측프레임(4)은 다수의 단위프레임(23)과 다수의 브라켓(3)에 의해 조립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3)에 의하여 상기 단위프레임(23)이 상부틀(2) 또는 타 부재의 면에 수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도2 내지 도4a는 상술한 단위프레임(23)과 브라켓(3)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5는 상술한, 단위프레임(23)이 브라켓(3)에 의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되고, 상부틀(2) 등의 타 부재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1의 실시 예에 따르는 미닫이문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상기 단위프레임(23)은 내부가 빈 사각형의 파이프 구조를 가지며, 사각형의 파이프 내부에서 하나의 대향되는 각각의 면에는 체결구(35)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공(23a)이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체결공(23a)의 측부에는 체결구(35)가 체결공(23a)에 삽입되는 경우 느슨해지도록 벌어짐으로서 체결공(23)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홈(23b)이 실시자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위프레임(23)의 일 측면상에는 프레임이 벽체등에 부착되거나 삽입되는 경우 고정력을 크게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톱니 모양의 단면을 가지고 돌출 형성된 프레임지지돌기(23c)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3 내지 도3c는 상기 도2의 단위프레임(23)을 서로 결합시키는 브라켓(3)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3은 상기 브라켓(3)의 평면도이며, 도3a는 상기 브라켓(3)의 우측면도이다. 브라켓(3)의 좌측면은 우측면과 대칭을 이룬다.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르는 브라켓(3)은 직사각형의 강판으로 형성된다. 브라켓(3)의가로길이는 도2의 단위프레임(23)의 단면의 가로 길이보다 크며, 세로길이는 상기 단위프레임(23) 단면의 세로길이와 같다. 브라켓(3)의 중앙에는 단위프레임(23)의 단부가 접하는 영역의 꼭지점 각각에 돌기(32)를 가지는데 상기 돌기(32)는 브라켓(3)의 일부가 절개되어 돌출되도록 꺽여져 구성된다. 상기 돌기(32)는 브라켓(3)이 단위프레임(23)의 단부에 접하여 결합되는 경우, 단위프레임(23)의 단부 내부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단위프레임(23)의 내부면에 접하여 브라켓(3)이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브라켓(3)의 중앙부에는 단위프레임(23)의 단부가 접하는 영역에서 상기 단위프레임(23)의 내부에 형성된 체결공(23a)과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구(35)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구멍(3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위프레임(23)의 단부가 접하는 영역 이외의 양측부의 면상에도 다수의 구멍(33)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33)들을 통해 체결구(35)가 삽입됨으로서 브라켓(3)에 의해 단위프레임(23)의 단부가 타 단위프레임(23)의 측부 또는 상부틀(2)의 면을 포함하는 타 부재의 면상에 고정 결합된다.
도3b는 도3의 브라켓(3)의 변형된 실시 예로서, 브라켓(3)상에 형성된 돌기(32)가 브라켓(3)의 일측부로 치우치도록 구성됨으로서, 단위프레임(23)의 단부가 브라켓(3)의 일 측으로 치우쳐서 부착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브라켓(3)은 단위프레임(23)의 말단부의 측면 상에 타 단위프레임(23)의 단부가 결합되는 경우, 브라켓(3)의 일 측부가 단위프레임(23)의 말단부의 측면상에서 단위프레임(23)의 길이를 벗어나 돌출되지 않도록 결합되기 위한 것으로서 선택적인 구성요소이다.
도3c는 상기 도3내지 도3b에 개시된 브라켓(3)에 의하여 도2의 프단위프레임(23)이 타 단위프레임(3)의 측부면상 또는 상부틀(2) 등의 타 부재의 면상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3c에 되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3)의 일면은 하나의 단위프레임(23)의 단부(24)에 접하게 되고, 체결구(35)가 브라켓(3)에 형성된 구멍(31)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공(23a)에 결합됨으로서 단위프레임(23)의 단부(24)에 고정된다. 상기 단위프레임(23)의 단부(24)에 고정된 브라켓(3)은 타 단위프레임(23)의 외부측면(a) 또는 상부틀(2)의 하부면(b) 등의 타 부재의 면에 접하게 되고, 체결구(35)가 브라켓(3)에 형성된 구멍(33)을 통해 단위프레임(23)의 외부측면(a) 또는 상부틀(2)의 하부면(b)등에 고정됨으로서, 단위프레임(23)들이 서로를 어긋남이 없이 동일면상에서 서로 직각으로 조립되거나, 단위프레임(23)을 상부틀(2)의 하부면(b) 등 부재의 면(a,b) 상에서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도4는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브라켓(60)의 정면도이고, 도4a는 상기 도4의 브라켓의 좌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브라켓(60)은 직각을 이루는 적어도 두개의 면을 가지고 구성되는 것으로, 도4에서는 일정 두께 및 폭을 가지는 '┑'자 형상으로 도시된다. 상기 브라켓(60)에서 직각을 이루는 브라켓(60)의 외부면 각각면 중앙에는 일정 깊이의 수용홈(61)이 각각 형성되어 브라켓의 내부에서 서로 연결된다. 또한, 상술한브라켓(60)의 측면에는 상기 수용홈(61)을 지나서 관통하는 다수의 체결공(62)이 형성되며, 도4의 B 방향에서 바라본 브라켓(60)의 좌측면도인 도4a에 상기 체결공(62)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수용홈(61)을 도4a에 의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용홈(61)은 도4a의 A 방향 각각의 면(65)의 중앙에 형성되어 내부에서 서로 연결된다. 상술한 수용홈의 깊이와 내부의 위치가 도4a에 도시된 점선(64)에 의하여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브라켓(60)에 의하여 결합되는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로서의 단위프레임(53)의 일 실시 예가 도5 내지 도5a에 도시되어 있다.
도5에 도시된 상기 단위프레임(54)은 일정두께와 폭을 가지는 바형의 강판(54)으로서 일측모서리 또는 양 측 모서리 전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 리브(57)가 형성되어, 단면이 'ㄷ' 형상을 가진다. 도5a는 도5의 단위프레임(54)의 변형된 실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5의 'ㄷ' 단면을 가지는 단위프레임에서 'ㄷ'자의 리브(57)의 측부면에서 돌출부(56)가 길이방향을 따라 더 형성되고, 돌출부(56)의 단부에는 문체(1)와 측프레임(4) 사이의 틈을 메우기 위한 실링부재(56b)가 삽입되는 홈(56a)이 또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돌출부(56)는 문틀이 사람의 시야에 노출되는 위치에서 수직프레임으로 사용되어 문틀의 지지력을 높일 뿐 아니라, 마감재의 역할을 수행함은 물론, 상술한 실링부재(56b)와 함께, 문체(1)와 측프레임(2) 사이의 틈을 밀폐시킨다. 상술한 실링부재(56b)의 일 실시예로는, 식모되는 다수의 식모부재(56d)와단위프레임(54a)의 홈(56a)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식모부재(56d)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홈이 형성되어 ''단면을 가지는 식모부재지지구(56c)로 구성된다. 식모부재(56d)가 구비된 식모부재지지구(56c)가 단위프레임(54a)의 홈(56a)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서 문체(1)와 상부틀 및 측프렘임으로 구성되는 문틀 사이의 틈을 밀봉하게 되어, 문틀이 설치된 벽체 내부 및 실내로 먼지의 유입을 차단하고, 실내에 대한 방풍, 방음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6 내지 도6a는 도5 및 도5a의 단위프레임(54)이 도4의 브라켓(60)에 의하여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 및 도5a의 구조를 가지는 단위프레임(54,54a)의 리브(57)는 도4 및 도4a의 브라켓(60)에 형성된 수용홈(61)의 깊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됨으로서 두개의 단위프레임(54,54a)에 구성된 리브(57) 각각이 도6 에서와 같이 브라켓(60)의 수용홈(61)에 각각 삽입되고, 체결구(35)에 의하여 고정됨으로서 두개의 단위프레임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조립된다. 리브(57)가 단위프레임(54,54a)의 양측에 형성되는 경우 리브(57)사이의 폭은 리브가(57) 브라켓(60)의 수용홈(61)에 삽입되는 경우 수용홈(61)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브라켓(60)이 리브(57)에 의하여 방해되지 않는 정도의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의 과정에 의해서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두개의 단위프레임(53)은 이후 상부틀(2) 또는 목재 기둥 등의 타부재의 면상에 고정 부착되고, 상술한 부착과정이 도6a에 도시되어 있다.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6에 의해서 직각으로 결합된 두개의 단위프레임(54,54a)은 단위프레임(54,54a)에 형성된 리브(57)의 사이에서 단위프레임(54,54a)의 단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체결구(35)에 의하여 상부틀(2), 목재 기둥, 문체를 이루는 벽 등의 타부재의 면상에 부착된다.
도7은 본원 발명의 또 다른 단위프레임 및 브라켓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의 단위프레임(54b)은, 내부가 비어 있으며, 양단부(54e)는 관통되어 있고, 단위프레임(54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면에는 내부의 공간까지 관통된 개구부(54d)가 형성된다. 개구부(54d)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턱(54c)을 가진다. 상술한 단위프레임(54b)을 직각으로 조립하기 위한 브라켓(60a)은 엘로드와 같은 '┑'형상의 봉형 부재이다. 봉의 단면은 상술한 단위프레임(54b)의 내부의 공간의 단면과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브라켓(60a)의 양측이 서로 다른 단위프레임(54b)의 양 단부에서 삽입됨으로서, 두 개의 단위프레임(54b)을 서로 90도가 되도록 결합시킨다. 상술한 브라켓(60a)은 단위프레임(54b)과 결합되는 경우, 단위프레임이 브라켓(60a)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90도의 각을 이루는 면상에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 요철부(60b)를 가지며, 상기 요철부(60b) 양측에는 브라켓(54b)의 턱(54c)이 유도될 수 있도록, 턱(54c)의 폭과 일치하는 단턱부(60c)를 각각 가지며, 단턱부(60c)가 연장되어 브라켓(60a)과 만나는 위치에서 상술한 턱(54c)이 걸리지 않고,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턱가이드홈(60d)을 가진다. 상술한 턱가이드홈(60d)은 브라켓(60a)이단위프레임(54b)의 단부에서 삽입되는 경우, 턱이 브라켓(60a)의 면상에서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서, 브라켓(60a)이 단위프레임(54b)의 내부로 완전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도8는 도4의 브라켓 및 도5 내지 도5a에 단위프레임에 의하여 조립구성된 측프레임과, 본원 발명의 가이드레일(210) 및 밀봉유니트(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미닫이문의 사시도이며, 도8a는 도8의 미닫이문을 z-z방향으로 절단한 수직단면도이다.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의 미닫이문은, 문체(1)의 상부에 롤러(21)가 구성되며, 문틀의 상부를 이루는 상부틀(2)의 하부면에는 가이드레일(210)이 부착되고, 부착된 가이드레일(210)에는 롤러(21)의 구름부재(21a)가 안착되어 유도됨으로서, 문체(1)가 횡으로 이동되어 문을 개폐하도록 구성되고, 문체(1)의 하부 내측에는 문이 닫히는 경우 차폐체(340)가 돌출되어 문체(1)와 바닥의 틈을 막도록 구동되는 밀봉유니트(300)가 구성된다. 상술한 밀봉유니트(300)의 상세 구성이 도9에 도시되어 있다.상술한 밀봉유니트(300)의 상세 구성이 도9에 도시되어 있다.문체(1)는 밀봉유니트(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문체의 하부면에 홈을 가지며, 홈의 일 측 면으로서 문체(1)의 측면에는 구멍(a)이 형성된다. 밀봉유니트(300)는 문체(1)의 하부면에 형성된 홈에서 문체(1)의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되고, 문체(1)가 닫히는 경우 밀봉유니트(300)의 차폐체(340)가 문체(1)의 하부로 돌출됨으로서 바닥과 문체(1) 사이의 틈을 막도록 동작된다. 따라서, 문체(1)가 닫히는 경우 차폐체(340)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소음 및 먼지 등이 문체(1)와 바닥면 사이의 틈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다.
도9는 상술한 밀봉유니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밀봉유니트(300)는 문체(1)의 하부면에서 문체(1)의 내부에 삽입된 후 다수의 고정핀(314)에 의하여 고정되는 케이스(320)를 가진다. 케이스(320)는 저면에 홈(318)이 형성되도록 양단부 및 저면이 개방된 관형상의 고정프레임(301)과 고정프레임(301)의 개방된 양단부를 밀폐하는 제1마감편(311) 및 제2마감편(312)으로 구성된다. 제1마감편(311)은 중앙에 관통구(312)를 가지고 문체(1)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a)을 막도록 고정프레임(301)의 일단부 및 문체(1)의 측면과 체결구(317)에 의해 부착됨으로서 고정프레임(301)을 문체(1)의 내측에 고정시키며, 제2마감편(313)은 고정프레임(301)의 개방된 타 단부를 막도록 고정프레임(301)의 타 단부에 부착된다. 상술한 홈(318)에는 구동봉(302)의 일 단부에 부착되는 래치(306)가 제1마감편(311)의 관통구(321)를 통해 문체(1)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동체(330)가 안착된다. 그리고, 구동체(330)의 저면에는 구동체(330)의 횡방향 이동에 의해서 하부로 돌출되는 차폐체(340)가 부착된다.
상술한 구동체(330)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구동체(330)는 일단부가 제1마감편(311)의 구멍(312)을 통해 문체(1)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래치(306)가 착된 상태로 고정프레임(301)의 홈(318)에서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는 구동봉(302)과 구동봉(302)이 횡방향으로 위치이동되는 경우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동봉에 일단부가 구동봉(302)에 부착되는 탄성체(303)와 탄성체(303)의 타 단단부를 지지하도록 고정프레임(302)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스토퍼(304)와 구동봉(302)의 저면에 부착되는 판스프링(308)과 구동봉(302)의 하부에서 판스프링(308)이 끼워진 상태로 고정프레임(301)의 내측에 고정되어 구동봉(302)이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판스프링(308)이 수직으로 꺽어지도록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스프링가이드(307)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봉(302)의 일 단부에는 길이를 조절하는 래치(306)의 길이를 조절하는 래치조절볼트(305)가 부착되고, 래치조절볼트(305)에는 제1마감편(311)의 관통구(312)를 통해 돌출되는 래치(306)가 부착된다. 그리고 구동봉(302)에는 탄성체(303)의 일 단부가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돌기가 하부로 돌출되며, 탄성체(303)의 타 단부는 고정프레임(301)에 고정부착된 스토퍼(304)에 부착됨으로서, 래치(306)가 눌리어져 구동봉(302)이 횡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탄성체(303)가 구동봉(302)이 원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탄성체(303)와 결합되는 구동봉(302)의 돌기(321)는 탄성체(303)를 지지하기 위하여 돌출면을 가지거나 절곡되는 면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스토퍼(304)는 고정핀(314)에 의하여 케이스에 고정되거나 또는 융착 구성될 수 있다.상술한 구동봉(302)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구동봉(302)의 일 단부에는 래치조절볼트(305)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래치조절볼트(305)의 일 단부는 구멍을 통해 너트에 의해 고정된다. 래치(306)는 래치조절볼트(305)의 타 단부에서 나사체결되어, 문체(1)의 측부 모서리면에서 돌출된다. 문체(1)가 닫히는 경우 문체(1)의 모서리면에서 돌출된 래치(306)가 수직틀(25) 또는 문틀을 이루는 벽체에 의하여 눌려저 구동봉(302)이 수평이동되고, 문체(1)가 열리면 탄성체(303)에 의하여 구동봉(302)이 원위치로 복귀된다.
상술한 래치조절볼트(305) 및 래치(306)는 선택적 구성요소로서, 래치조절볼트(305)와 래치(306)가 구비됨이 없이 구동봉(302)의 일 측 단부가 문체(1)의 일 측 모서리 면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도 있다.
구동봉(302)의 하부에는 다수의 판스프링(308)의 일 단부가 부착된다. 판스프링(304)은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으며, 휘어진 후에는 다시 복원될 수 있는 충분한 탄성을 가지는 스프링부재이다. 구동봉(302)의 하부에는 판스프링(308)이 끼워짐으로서 구동봉(302)이 수평이동 되는 경우, 판스프링(308)이 수직방향으로 꺽여지도록 판스프링(307)이 끼워져 안내되는 관통로를 가지는 판스프링가이드(307)가 판스프링(308)의 수만큼 구동봉(302)을 지지할 수 있도록 융착 또는 체결구에 의하여 고정프레임(301)에 고정된다. 판스프링(308)의 타 단부에는 차폐체(340)가 또한, 융착 또는 체결구에 의한 체결에 의하여 부착된다.
상술한 차폐체(340)는 구동봉(302)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고 판스프링가이드(307)에 의하여 꺽여짐으로서 일 단부가 상하운동하는 판스프링(308)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된다. 따라서 문체(1)가 닫히면 구동봉(302)이 수직틀(25)에 눌리어 수평 이동되고, 구동봉의 하부에 부착된 판스프링(308)이 판스프링가이드(307)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꺽여져 이동됨으로서 판스프링(308)의 단부에 부착된 차폐체(340)가 문체(1)의 하부로 돌출됨으로서 문체(1)와 바닥 사이의 틈을 밀봉한다. 또한, 문체(1)가 열리면 탄성체(303)의 복원력에 의하여 구동봉(302)이 원위치로 복귀하게되고, 구동봉(302)의 복귀에 따라 판스프링(308) 또한, 원위치로 복귀됨으로서 판스프링(308)에 부착된 차폐체(340)가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문체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술한 차폐체(305)는 구동봉(302)에 결합되는 패킹고정구(306)와 패킹고정구(306)에 고정되는 패킹부재(307)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패킹고정구(306)는 상부에는 판스프링(304)이 삽입고정되며, 하부에는 패킹부재(307)가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H형 단면을 가지는 봉으로 구성되고, 패킹부재(307)로는 고무 또는 실링(sealing)부재로서 식모편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상술한 밀봉유니트(300)는 구동봉(302)이 수직틀(25)에 눌림으로서 차폐체(340)가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구동봉(302)이 문체의 모서리면에서 문체(1)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문체(1) 내부에 설치되고, 수직틀(25) 또는 문을 이루는 벽면에 제1마감편(311)의 관통구(312)와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도면에 미도시)를 부착함으로서 문체가 닫히면, 상기 돌기가 개구부(312)로 삽입되어 구동봉(302)을 누름으로서 구동봉(302)이 수평이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10 내지 도12는, 본원 발명에 따르는 가이드레일을 나타낸다.
도10을 참조하여 도8a의 가이드레일(210)을 설명한다. 도10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의 상기 가이드레일(210)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가드레일(210)은, 도어의 롤러(21)가 안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홈(214)이 형성된 안착부(211)를 가진다. 안착부(211)는 롤러(21)와 문체(1)을 연결하는 롤러지지축(215)이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 방향으로 뚫려있는 개구부(212)가 형성되며, 개구부(212)는 개구부(212)의 입구의 양 모서리 면 각각에서 가이드레일(22)의 길이 방향을 개구부의 중심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롤러(21)를 지지하는 턱(213)을 가진다. 상술한 구성에서 롤러(21)는 가이드레일(210)의 단부에서 안착부(211)의 홈(214)으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턱(214)의 단부에는 턱(214)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돌기(22a)가 각각 형성되고, 지지돌기(22a)의 단부는 롤러(21)에 구성된 구름부재의 홈에 대응하는 곡면의 형상을 갖는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구름부재의 홈에 지지돌기(22a)가 삽입되는 형상으로 롤러가 안착부(211)에 안착된다.
도11는 도10의 가이드레일의 변형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22B)은 롤러(21)가 안착되는 안착부(22c)와 상기 안착부(22c)에 삽입되어 상기 안착부(22c)를 지지하는 지지돌기(22d)를 가지는 안착부고정구(22b)로 구성된다. 안착부고정구(22b)는 가이드레일(22B)과 같은 길이를 가진다.
상기 안착부고정구(22b)에 형성된 지지돌기(22d)는 하부면에서 상기 안착부(22c)에 삽입되어 상기 안착부(22c)를 지지하기 위하여 안착부(22c)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22c)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돌기(22d)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돌기(22d)가 삽입되는 지지홈(22f)을 가진다. 상기 안착부(22c)는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22B)의 하부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22g)의 하부 양단부에서 돌출된 턱(213)을 가진다. 상술한 턱(216)은 각각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롤러(21)에 구성된 구름부재가 지지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구름부재지지돌기(22e)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고정구(22b)에 형성된 지지돌기(22d)는 가이드레일(22B)에서 돌출됨에 따라 넓은 폭을 가지며, 상기 지지홈(22f)은 지지돌기(22d)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돌기의 단면에 대응되는 단면 모양을 가진다. 안착부고정구(22b)의 지지돌기(22d)는 안착부(22c)의 단부에서 지지홈(22f)에 미끄러지며 삽입됨으로서 안착부(22c)가 안착부고정구(22b)와 결합 고정된다. 상기 지지돌기(22d)와 상기 지지홈(22f)의 단면 형상은 상술한 바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지지돌기(22d)가 상기 안착부(22c)의 단부에서 지지홈(22f)에 삽입되는 경우, 지지돌기(22d)에 의하여 안착부(22c)가 걸려서 지지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면 족하다.
도12에 도시된 안착부(220)는 도11의 안착부(22c)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11의 안착부(22c)의 구성과 동일하나, 문체(1)가 두개가 설치되는 경우, 설치되는 문체(1)에 구성된 롤러(21)가 각각 안착될 수 있도록 도11의 안착부(22c)가 이중으로 결합된 구성을 가진다. 상술한 구조에 의하여, 문체가 두개가 구성된 이중 미닫이문이 설치되는 경우 문체(1)마다 가이드레일(22)을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본원 발명에 따르는 도11 또는 도12의 안착구고정구(22b)에 도12의 안착부(220)를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서 미닫이문에서 가이드레일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단일 문체으로 구성되는 미닫이문을 이중문체가 구성된 미닫이문으로 변경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안착부(220)만을 변경하면 되는 것이기에 미닫이문의 설치 이후의 구조 변경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본원 발명의 미닫이문은 측프레임을 이루는 프레임부재들이 서로 직각으로 조립되는 경우, 용접이나 연결부를 이루기 위한 절삭, 드릴링 등의 별도의 작업 없이, 단위프레임을 브라켓 및 체결구에 의하여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미닫이문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문을 이루는 벽체의 내측에 미닫이문을 지지하는 프레임체가 설치됨으로서, 실내 미관을 해치지 않게되고, 미닫이문의 설치를 위하여 실용되는 실내 공간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문체의 하부에 밀봉 유니트가 구성되어, 문체가 닫히는 경우 밀봉유니트에 의하여 문체와 바닥사이의 틈이 차폐됨으로서, 실내 또는 문틀이 장착된 벽체내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며, 실내에는 방풍, 방음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9)

  1. 상부에 하나 이상의 롤러가 부착되어 횡으로 여닫을 수 있는 문체; 상기 롤러의 구름부재가가 안착되어 이동됨으로서 상기 문체가 개폐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이 부착되는 상부틀;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틀의 일측은 하나 이상의 측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미닫이문에 있어서,
    상기 측프레임은,
    외부면에 수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 리브를 가지는 단위프레임;과, 서로 직각으로 만나는 두 개의 면과, 상기 두개의 면이 직각을 이루며 만나는 모서리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면 각각의 중앙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수용홈을 가지는 브라켓;에 의하여,
    서로 다른 상기 단위프레임의 리브 각각이 상기 수용홈에 삽입됨으로서, 상기 단위프레임들이 동일 면상에서, 서로 직각을 이루며 결합되어 조립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프레임이,
    상기 단위프레임에서 리브가 시작되는 상기 리브의 측부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고, 돌출된 단부에는 상기 측프레임 사이의 틈을 밀폐하기 위한 실링부재가 삽입고정되는 홈을 가지는 돌출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
  3. 상부에 하나 이상의 롤러가 부착되어 횡으로 여닫을 수 있는 문체; 상기 롤러의 구름부재가가 안착되어 이동됨으로서 상기 문체가 개폐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이 부착되는 상부틀;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틀의 일측은 하나 이상의 측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미닫이문에 있어서,
    상기 측프레임은,
    내부가 빈 파이프 구조를 가지며, 내부의 대향되는 각각의 면에는 체결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공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단위프레임;과, 직사각형의 강판으로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단위프레임의 단부가 접하는 영역에서 상기 단위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 각각에 다수의 구멍을 가지며, 상기 단위프레임의 단부가 접하는 영역 이외의 면상에서 상기 단위프레임의 단부를 타 부재의 면상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는 구멍을 가지는 브라켓;에 의하여,
    상기 단위프레임의 일 단부에 상기 브라켓이 체결구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은 타 부재의 면상에 체결구에 의하여 부착 고정됨으로서 조립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
  4. 상부에 하나 이상의 롤러가 부착되어 횡으로 여닫을 수 있는 문체; 상기 롤러의 구름부재가가 안착되어 이동됨으로서 상기 문체가 개폐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이 부착되는 상부틀;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틀의 일측은 하나 이상의 측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미닫이문에 있어서,
    상기 측프레임은,
    내부가 빈 파이프형으로서, 양 단부는 관통되어 있으며, 파이프의 일 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부가 일측 단부에서 타 단부까지 형성된 단위프레임;과, 상기 단위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된 관통부에 삽입되도록 단위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단면과 일치되는 단면을 가지며, 상기 단위프레임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를 통해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요철부를 일측면에 가지고, 상기 요철부가 형성된 면상에서 90도로 꺽여진 형상을 가지는 브라켓;에 의하여,
    상기 요철부가 상기 단위프레임의 개구부로 돌출되도록 서로 다른 상기 단위프레임의 각 단부의 관통부에 상기 브라켓의 양 측부가 각각 삽입됨으로서 상기 단위프레임들이 서로 결합되어 조립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
  5. 상부에 하나 이상의 롤러가 부착되어 횡으로 여닫을 수 있는 문체; 상기 롤러의 구름부재가가 안착되어 이동됨으로서 상기 문체가 개폐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이 부착되는 상부틀;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틀의 일측은 하나 이상의 측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미닫이문에 있어서,
    상기 문체가,
    양단부 및 저면이 개방된 고정프레임;과
    중앙에 관통구를 가지며,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 단부를 상기 문체의 측면에 고정시키는 제1마감편;으로 구성되어 상기 문체의 하측 내부에 장착되는 케이스와;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구동봉을 가지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장착되는 구동체;와
    상기 구동체의 저면에 부착되어 상기 구동체의 횡방향 이동에 의해 하부로 돌출되는 차폐체;로 구성되는 밀봉유니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가,
    저면에는 돌기를 가지며, 일 측단부가 상기 제1마감편의 관통구를 통해 상기 문체의 측면에서 돌출되도록 끼워진 상태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장착되는 구동봉;
    상기 구동봉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돌기에 일단부가 부착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의 타단부가 부착되된 상태로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측면에 고정부착되는 스토퍼;
    상기 구동봉의 하부에서 일 단부가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스프링;
    상기 판스프링이 수직방향으로 휘어지도록 끼워진 상태로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부착되는 판스프링가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체는,
    상기 판스프링에 결합되는 패킹고정구; 및,
    상기 패킹고정구에 삽입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유니트를 가지는 미닫이문.
  8. 삭제
  9. 삭제
KR10-2002-0039758A 2002-07-09 2002-07-09 미닫이문 KR100444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9758A KR100444891B1 (ko) 2002-07-09 2002-07-09 미닫이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9758A KR100444891B1 (ko) 2002-07-09 2002-07-09 미닫이문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483U Division KR200304189Y1 (ko) 2002-07-18 2002-07-18 브라켓
KR1020030016501A Division KR20040005577A (ko) 2003-03-17 2003-03-17 가이드레일을 가지는 미닫이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809A KR20030035809A (ko) 2003-05-09
KR100444891B1 true KR100444891B1 (ko) 2004-08-21

Family

ID=29578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9758A KR100444891B1 (ko) 2002-07-09 2002-07-09 미닫이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48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631B1 (ko) * 2006-10-18 2007-02-16 (주)미리텍 2단 슬라이드 구조를 갖는 미닫이문
KR100764629B1 (ko) 2006-10-18 2007-10-08 (주)미리텍 라운드 슬라이드 방식의 미닫이문
WO2008047998A1 (en) * 2006-10-18 2008-04-24 Militec Co., Ltd. Sliding door having a hinged door stru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7750A (ja) * 2000-01-25 2001-08-03 Abe Kogyo Co Ltd 戸袋付き引戸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7750A (ja) * 2000-01-25 2001-08-03 Abe Kogyo Co Ltd 戸袋付き引戸ユニッ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631B1 (ko) * 2006-10-18 2007-02-16 (주)미리텍 2단 슬라이드 구조를 갖는 미닫이문
KR100764629B1 (ko) 2006-10-18 2007-10-08 (주)미리텍 라운드 슬라이드 방식의 미닫이문
WO2008047998A1 (en) * 2006-10-18 2008-04-24 Militec Co., Ltd. Sliding door having a hinged door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809A (ko) 200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326B1 (ko) 레일 은폐형 창호장치
CA2417400C (en) Door panel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4222200A (en) Combination window casing and storm window frame
US5001864A (en) Shutter assemblies
KR200490219Y1 (ko) 창호의 완충 스토퍼장치
KR100444891B1 (ko) 미닫이문
JP2010150880A (ja) パネルの取付構造
JP5085884B2 (ja) ふかし枠、及び、建具
KR20100096460A (ko) 구조가 개선된 창호
KR102260557B1 (ko) 창문프레임 결합용 결합구조물을 갖는 금속제 창호 조립체
KR102328976B1 (ko) 창호용 가이드 스토퍼
KR100439112B1 (ko) 레일은폐형 창호장치
AU2008230042B2 (en) A bi-panel sliding door or window
JP5303499B2 (ja) 改装サッシユニット及び改装ユニットの取付方法
JP6831076B2 (ja) 建具
KR102636069B1 (ko) 창호
JP2948498B2 (ja) ドア付き間仕切
KR200305314Y1 (ko) 밀봉유니트
JP3116006B2 (ja) コーナー継ぎ手
KR102502641B1 (ko) 창호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열성과 기밀성 및 수밀성이 우수한 고정창호, 미서기창호, 입면분할창호
KR102092632B1 (ko) 슬라이딩 도어시스템의 문틀용 하부프레임
KR200490700Y1 (ko) 창호
JP7051427B2 (ja) 建具
KR200398165Y1 (ko) 블라인드 유리를 구비한 칸막이
KR200300848Y1 (ko) 미닫이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