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4114B1 - 진동방식에 의한 콘크리트 유공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진동방식에 의한 콘크리트 유공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4114B1
KR100444114B1 KR10-2001-0059162A KR20010059162A KR100444114B1 KR 100444114 B1 KR100444114 B1 KR 100444114B1 KR 20010059162 A KR20010059162 A KR 20010059162A KR 100444114 B1 KR100444114 B1 KR 100444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ated
hole
mold
concret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6119A (ko
Inventor
윤병권
Original Assignee
영풍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풍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풍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9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4114B1/ko
Publication of KR20030026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6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1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02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by casting into moulds
    • B28B21/1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by casting into moulds using compacting means
    • B28B21/14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by casting into moulds using compacting means vibrating, e.g. the surface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56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incorporating reinforcements or inserts
    • B28B21/6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incorporating reinforcements or inserts prestressed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6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 B28B7/168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for holders or similar hollow articles, e.g. vaults, sewer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8Rigid pipes of concrete, cement, or asbestos cement,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085Reinforce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몰드를 구성하는 내,외측통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이를 양생하는 진동방식을 통해 유공관을 제조할 수 있는 진동방식에 의한 유공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원통형의 철근롱에 배근 철근의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유공도관을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유공도관들의 내부에 유공도관의 양단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신축부재를 삽입하는 단계와, 몰드를 구성하는 내,외측통의 사이에 형성된 타설부에 상기 철근롱을 삽입 장착하여 신축부재의 양단부를 상기 내,외측통의 표면과 밀착되게 하는 단계와, 상기 타설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바이브레이터를 통해 몰드를 진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타설을 마친 후 진동을 멈추고 몰드를 탈형하는 단계, 및 일정시간의 양생이 끝난 후 상기 유공도관에 삽입되어 있는 신축부재를 배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동방식에 의한 콘크리트 유공관 제조방법{A manufacturing of perforated reinforced concrete pipes by vibration method}
본 발명은 진동방식에 의한 유공관 제조방법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몰드를 구성하는 내,외측통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를 양생하는 진동방식을 통해 유공관을 제조할 수 있는 진동방식에 의한 유공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콘크리트 유공관이라 함은,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철근 콘크리트 관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서, 지중에 길이방향으로 연결 시공하여 하천이나 복류수의 물을 상기 관통홀을 통해 내부로 유입받아 이를 소요장소로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관을 수직방향으로 연결 시공하여 물을 집수하는데도 사용되는 것이다.
즉 상기 유공관의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통상적인 유공관을 나타낸 것으로서, 통상의 유공관은, 다수의 유공 테이퍼 관(101)이 배근 철근에 대하여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는 철근롱(100)과, 철근롱(100)의 내외측과 상기 유공 테이퍼 관(101)의 외측을 감싸는 콘크리트층(20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공관을 제조할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원심력 방식이 사용되는데, 이하 상기 원심력 방식을 통한 유공관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종래의 원심방식을 통한 유공관 제조방법의 공정도이며, 도 8은 종래의 원심방식을 통한 유공관 제조방법의 진행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철근롱(101)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는 유공 테이퍼관(101)의 내측 단부에 캡(102)을 삽입하는 단계(400;도 8a참조)와,
상기 철근롱(100)을 원통형의 회전몰드(300)의 내측에 장착하는 단계(401;도 8b참조)와,
상기 회전몰드를 고속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콘크리트를 회전몰드(300)의 내부로 투입시켜 상기 철근롱(100)의 내외측과 상기 유공 테이퍼 관(101)의 주위에 콘크리트층(200)이 형성되게 하는 단계(402;도 8c참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원심방식으로 유공관을 제조함에 있어 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됨에 따라, 유공관의 생산성이 극히 저하됨으로서, 유공관의 대량생산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하나의 회전몰드에서 하나의 유공관 만을 성형함에 따라서, 하나의 회전몰드에서 다수의 유공관을 제조할 수 없는 문제도 가지고 있었다.
또 원심력을 통해 콘크리트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많은 양의 슬러지가 생성됨에 따라 별도의 슬러지 처리시설을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 상기 공정을 마친 후 성형된 유공관을 회전몰드에서 배출함에 있어서, 콘크리트 양생시간을 길게 주어야 함으로서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양생된 유공관을 배출함에 있어서 많은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한편, 도 9는 도 8c의 A부 확대도로서, 원심력을 통해 콘크리트 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유공 테이퍼관의 내측단부에 삽입된 캡(102)의 둘레에도 콘크리트층(200)이 형성되게 됨으로서, 유공관에 유공을 형성할 경우에는 먼저 캡(102)의 주위에 타설된 콘크리트층(200)을 깬 후, 캡(102)을 뽑아내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따라서 상기 캡의 주위에 형성된 콘크리트층을 깨는 과정이 유공관의 내부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캡의 주위에 형성된 콘크리층을 깨는 과정에서 유공관을 구성하는 내면의 일부도 손상시키게 됨으로서, 유공관의 불량을 유발시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몰드를 구성하는 내,외측통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이를 양생하는 진동방식을 통해 유공관을 제조함에 따라 유공관을 구성하는 콘크리트층의 형성을 신속히 함으로서, 유공관의 생산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진동방식에 의한 콘크리트 유공관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철근롱에 다수로 고정된 유공도관의 내부에는 콘크리트의 유공도관 침투방지 및 원활한 철근롱 삽입과 제품 내외측의 정확한 유공구 성형을 위해 몰드를 구성하는 내,외측통의 표면과 항상 밀착되는 신축부재를 삽입함으로서, 작업의 효율성 및 신축부재의 양단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공도관의 양단부가 막히게 성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
또 진동방식인 내,외측통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이를 양생함으로서, 슬러지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
또 몰드의 내,외측통의 사이에 거푸집방식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서, 몰드를 탈형하는 시간을 크게 줄임으로서, 장치의 성형 주기를 단축하고자 하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
또 하나의 유공관 제조장치에서 다수의 유공관을 동시에 성형할 수 있게 함으로서, 유공관의 생산성을 극대화 하고자 하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
또 몰드에 형성된 타설부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시점에서 유공도관의 내측면에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유공도관의 내측면이 거칠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
또 유공관에 형성되는 유공을 원통홀로 형성함으로서, 물의 흐름을 용이하게 함에 따라 유공관의 물 유입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목적도 가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통형의 철근롱에 배근 철근의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유공도관을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유공도관들의 내부에 유공도관의 양단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신축부재를 삽입하는 단계와, 몰드를 구성하는 내,외측통의 사이에 형성된 타설부에 상기 철근롱을 삽입 장착하여 신축부재의 양단부를 상기 내,외측통의 표면과 밀착되게 하는 단계와, 상기 타설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바이브레이터를 통해 몰드를 진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타설을 마친 후 진동을 멈추고 몰드를 탈형하는 단계, 및 일정시간의 양생이 끝난 후 상기 유공도관에 삽입되어 있는 신축부재를 배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계들로 이루어진 공정은, 다수의 유공관을 신속히 제조할 수 있도록 하나의 진동방식의 유공관 제조장치에서 동시에 다수로 진행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유공도관 고정단계에서는 공지된 테이퍼관의 유공도관을 사용하고, 상기 신축부재 삽입단계에서는 환봉의 신축부재가 사용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유공도관 고정단계에서는 공지된 테이퍼관의 유공도관을 사용하고, 상기 신축부재 삽입단계에서는 상기 테이퍼관의 내부와 상응되는 테이퍼봉의 신축부재가 사용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유공도관 고정단계에서는 원통관의 유공도관을 사용하고, 상기 신축부재 삽입단계에서는 상기 원통관의 내부와 상응되는 환봉의 신축부재가 사용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신축부재 삽입단계에서는 고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재의 신축부재를 사용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몰드탈형 단계는, 몰드를 구성하는 외측통을 상승시켜 내측관으로부터 외측통과 제품을 탈형하는 과정과, 양생실에서 외측통을 상승시켜 제품을 탈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축부재 배출단계에서는, 봉을 사용하여 신축부재의 외측단부을 반복적으로 압압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공관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의 진행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a는 유공도관 고정단계를,
도 2b는 신축부재 삽입단계를,
도 2c는 철근롱 장착단계를,
도 2d는 콘크리트 타설단계를,
도 2e는 몰드 탈형단계를,
도 2f는 신축부재 배출단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공도관 고정단계와 신축부재 삽입단계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공도관 고정단계와 신축부재 삽입단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유공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통상적인 유공관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원심방식을 통한 유공관 제조방법의 공정도.
도 8은 종래의 원심방식을 통한 유공관 제조방법의 진행상태를 나타낸 것
으로서,
도 8a : 캡 장착단계를,
도 8b : 철근롱 장착단계를,
도 8c : 회전을 통한 콘크리트층 형성단계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8c의 A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철근롱
2 : 유공도관
21 : 테이퍼관
22 : 원통관
3 : 신축부재
31 : 환봉
32 : 테이퍼봉
4 : 몰드
41 : 내측통
42 : 외측통
43 : 타설부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방식의 유공관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의 진행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격자로 철근이 배근된 원통형의 철근롱(1)에 배근 철근의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유공도관(2)을 고정하는 단계(10;도 2a참조)가 진행된 후. 상기 유공도관(2)들의 내부에 유공도관(2)의 양단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신축부재(3)를 삽입하는 단계(20;도 2b참조)가 진행된다.
다음 몰드(4)를 구성하는 내,외측통(41,42)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타설부(43)에 상기 철근롱(1)을 삽입 장착하여 상기 신축부재(3)의 양단부를 상기 내,외측통(41,42)의 표면과 밀착되게 하는 단계(30;도 2c참조)가 진행된다.
다음 상기 타설부(43)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바이브레이터(도시않됨)를 통해 몰드(4)를 진동시키는 단계(40;도 2d참조)가 진행된 후, 상기 타설을 마친 후에는 바이브레이터의 작동을 멈추고 몰드(4)를 탈형하는 단계(50;도 2e참조)가 진행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기 몰드에서 배출된 유공관과 일체로 양생된유공도관(2)에 삽입되어 있는 신축부재(3)를 배출하는 단계(60;도 2f참조)를 진행함으로서, 유공관을 제조하는 한번의 공정을 마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유공도관 고정단계(10)에서는 공지된 테이퍼관(21)의 유공도관(2)을 사용하고, 상기 신축부재 삽입단계(20)에서는 상기 환봉(31)의 신축부재(3)가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신축부재 삽입단계(20)에서는, 바이브레이터의 작동시 상기 내,외측통(41,42)의 표면에 양단이 밀착되어 있는 신축부재(3)의 양단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재의 신축부재(3)가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몰드탈형 단계(50)는, 몰드(4)를 구성하는 외측통(42)을 상승시켜 내측관(41)으로부터 외측통(42)과 제품을 탈형하는 과정(50a)과, 양생실에서 외측통(42)을 상승시켜 제품을 탈형하는 과정(50b)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신축부재 배출단계(60)에서는, 봉을 사용하여 신축부재의 외측단부를 반복적으로 압압함으로서, 신축부재(3)를 신속히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진동방식을 통해 유공관을 제조함으로서, 유공관을 구성하는 콘크리트층의 형성이 신속함에 따라서, 유공관의 생산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몰드(4) 전체가 바이브레이터의 작동으로 인하여 진동되더라도 신축부재(3)는 신축성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서, 신축부재(3)의 양단이 몰드(4)를 구성하는 내,외측통(41,42)의 표면과 항상 밀착되게 됨으로서, 신축부재(3)의 양단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유공도관(2)의 양단부가 막히게 성형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유공관의 내,외측면을 고르게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몰드(4)의 내,외측통(41,42)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몰드를 탈형하는 시점인 1차 양생의 시간이 크게 단축됨으로서, 장치의 성형 주기를 단축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공도관 고정단계(10), 신축부재 삽입단계(20), 철근롱 장착단계(30), 콘크리트 타설단계(40), 몰드 탈형단계(50), 및 신축부재 배출단계(60)로 이루어진 공정은, 다수의 유공관을 신속히 제조할 수 있도록 하나의 진동방식의 유공관 제조장치에서 동시에 다수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유공관 제조장치에서 하나의 유공관은 물론, 하나 이상의 유공관을 동시에 성형할 수 있음으로서, 유공관의 생산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공도관 고정단계와 신축부재 삽입단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유공도관 고정단계(10)에서는 공지된 테이퍼관(21)의 유공도관(2)을 사용하고, 상기 신축부재 삽입단계(20)에서는 상기 테이퍼관(21)의 내부와 상응되는 테이퍼봉(32)의 신축부재(3)가 사용될 수 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몰드(4)에 형성된 타설부(43)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시점에서 상기 테이퍼관(21)의 내측면에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테이퍼관(21)의 내측면이 거칠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공도관 고정단계와 신축부재 삽입단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유공도관 고정단계(10)에서는 원통관(22)의 유공도관(2)을 사용하고, 상기 신축부재 삽입단계(20)에서 상기 원통관(22)의 내부와 상응되는 환봉(31)의 신축부재(3)가 사용될 수 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몰드(4)에 형성된 타설부(43)로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시점에서 상기 원통관(22)의 내측면에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원통관(21)의 내측면이 거칠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실시예를 통해 제조되는 유공관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철근롱(1)이 내장되어 있는 통상의 유공관에 있어서, 상기 철근롱(1)에는 외부의 물이 관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원통관(22)으로 구성된 다수의 유공도관(2)이 장착됨으로서, 원통홀의 유공들이 형성된 유공관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원통홀의 유공들을 통해 물의 흐름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유공관의 물 유입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진동방식을 통해 유공관을 제조함에 따라 유공관을 구성하는 콘크리트층의 형성을 신속히 하여 유공관의 생산성을 극대화함으로서, 유공관의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축부재의 양단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공도관의 양단부가 막히게 성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유공관의 성형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슬러지의 생성을 방지함으로서, 별도의 슬러지 처리장치가 필요 없게되는 효과도 있다.
또 몰드를 탈형하는 시점인 1차 양생의 시간을 크게 줄여 장치의 성형 주기를 단축함으로서, 유공관의 생산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하나의 유공관 제조장치에서 다수의 유공관을 동시에 성형할 수 있게 함으로서, 유공관의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유공관을 구성하는 유공도관의 내측면이 거칠게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양질의 유공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유공관에 유공을 원통홀로 형성함으로서, 물의 흐름을 용이하게 함에 따라 유공관의 물 유입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유공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9)

  1. 원통형의 철근롱에 배근 철근의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유공도관을 고정하는 단계(10)와.
    상기 유공도관들의 내부에 유공도관의 양단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신축부재를 삽입하는 단계(20)와,
    몰드를 구성하는 내,외측통의 사이에 형성된 타설부에 상기 철근롱을 삽입 장착하여 신축부재의 양단부를 상기 내,외측통의 표면과 밀착되게 하는 단계(30)와,
    상기 타설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바이브레이터를 통해 몰드를 진동시키는 단계(40)와,
    상기 타설을 마친 후 진동을 멈추고 몰드를 탈형하는 단계(50), 및
    상기 유공도관에 삽입되어 있는 신축부재를 배출하는 단계(6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방식에 의한 콘크리트 유공관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들로 이루어진 공정은, 다수의 유공관을 신속히 제조할 수 있도록 하나의 진동방식의 유공관 제조장치에서 동시에 다수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방식에 의한 콘크리트 유공관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도관 고정단계(10)에서는 공지된 테이퍼관의 유공도관을 사용하고, 상기 신축부재 삽입단계(20)에서는 환봉의 신축부재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방식에 의한 콘크리트 유공관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도관 고정단계(10)에서는 공지된 테이퍼관의 유공도관을 사용하고, 상기 신축부재 삽입단계(20)에서는 상기 테이퍼관의 내부와 상응되는 테이퍼봉의 신축부재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방식에 의한 콘크리트 유공관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도관 고정단계(10)에서는 원통관의 유공도관을 사용하고, 상기 신축부재 삽입단계(20)에서 상기 원통관의 내부와 상응되는 환봉의 신축부재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방식에 의한 콘크리트 유공관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 삽입단계(20)에서는 고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재의 신축부재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방식에 의한 콘크리트 유공관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탈형 단계(50)는, 몰드를 구성하는 외측통을 상승시켜 내측관(41)으로부터 외측통(42)과 제품을 탈형하는 과정(50a)과, 양생실에서 외측통(42)을 상승시켜 제품을 탈형하는 과정(50b)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공관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 배출단계(60)에서는, 봉을 사용하여 신축부재의 외측단부을 반복적으로 압압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방식에 의한 콘크리트 유공관 제조방법.
  9. 삭제
KR10-2001-0059162A 2001-09-24 2001-09-24 진동방식에 의한 콘크리트 유공관 제조방법 KR100444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162A KR100444114B1 (ko) 2001-09-24 2001-09-24 진동방식에 의한 콘크리트 유공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162A KR100444114B1 (ko) 2001-09-24 2001-09-24 진동방식에 의한 콘크리트 유공관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119A KR20030026119A (ko) 2003-03-31
KR100444114B1 true KR100444114B1 (ko) 2004-08-09

Family

ID=27725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162A KR100444114B1 (ko) 2001-09-24 2001-09-24 진동방식에 의한 콘크리트 유공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41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622B1 (ko) 2007-09-14 2010-11-04 한상관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보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699B1 (ko) * 2009-06-22 2009-12-24 원기업 주식회사 쌍공용 유공 도관 및 이를 이용한 쌍유공 철근 콘크리트 관의 제작방법
KR102400860B1 (ko) * 2021-12-17 2022-05-20 서형배 배면토압을 저하시키기 위한 배수로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0228Y1 (ko) * 1980-11-25 1982-03-09 동아콩크리트 공업주식회사 콘크리트 유공관의 성형장치
US4957424A (en) * 1989-03-13 1990-09-18 Hydrotile Machinery Company Concrete pipe making machine
KR950026640A (ko) * 1994-03-04 1995-10-16 존 씨. 단넨버그 개선된 진동기 및 그 진동기를 구비한 기계
KR19990031065A (ko) * 1997-10-08 1999-05-06 육기동 고강도 콘크리트관 제조용 진동, 원심 성형장치의 진동전달 기구 및 이 기구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관의 제조방법
KR19990038996A (ko) * 1997-11-04 1999-06-05 이종수 콘크리트 형틀 진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0228Y1 (ko) * 1980-11-25 1982-03-09 동아콩크리트 공업주식회사 콘크리트 유공관의 성형장치
US4957424A (en) * 1989-03-13 1990-09-18 Hydrotile Machinery Company Concrete pipe making machine
KR950026640A (ko) * 1994-03-04 1995-10-16 존 씨. 단넨버그 개선된 진동기 및 그 진동기를 구비한 기계
KR19990031065A (ko) * 1997-10-08 1999-05-06 육기동 고강도 콘크리트관 제조용 진동, 원심 성형장치의 진동전달 기구 및 이 기구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관의 제조방법
KR19990038996A (ko) * 1997-11-04 1999-06-05 이종수 콘크리트 형틀 진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0622B1 (ko) 2007-09-14 2010-11-04 한상관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보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119A (ko) 2003-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26935A (zh) 基于3d打印的混凝土浇注用一体化柱子模板以及柱子浇筑方法
KR102300325B1 (ko) 주름관을 이용한 습식 중공 pc부재 생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생산방법
CN112681610A (zh) 异型混凝土柱的施工方法
KR100444114B1 (ko) 진동방식에 의한 콘크리트 유공관 제조방법
CN112873527A (zh) 支护桩的制造模具以及制造支护桩的方法
KR102398499B1 (ko) 섬유강화플라스틱 보강재를 적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00071317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ollow tubular parts, parts and assembly obtained from them
KR102615967B1 (ko) 콘크리트 파일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2001107563A (ja) コンクリートの現場養生方法
JPH0742305A (ja) 遠心成型鋼管コンクリート柱とその製造方法
JPH04155059A (ja) 中空PCa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3339241B2 (ja) 中空孔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成形体の中空孔成形用中型
KR101244780B1 (ko) 섬유가 노출되어 있는 연결면을 가지는 섬유보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제작방법
CN113107541B (zh) 一种模喷混凝土施工方法及湿喷台车
KR102340445B1 (ko) 굽힘 성형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섬유강화플라스틱 보강재
CN204914155U (zh) 一种预制件抽芯管
CN112976255B (zh) 成孔模件及其制造方法、带有成孔模件的预制构件成型模具
CN219171215U (zh) 一种制备混凝土空心圆柱体模具
CN218861590U (zh) 一种免预埋墩柱基础结构
JP4287640B2 (ja) 内型枠及び中空コンクリート体の製造方法
JPH0516131A (ja) プレキヤ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製造法
KR20000017994A (ko) 주조물 내의 유체유로 형성 방법
JPH01316217A (ja) プレキヤ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製造方法
WO202402339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building elements
JPH04309644A (ja) 中空プレキヤストコンクリート柱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