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3937B1 - 밸브 연결기 - Google Patents

밸브 연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3937B1
KR100443937B1 KR10-2001-7001367A KR20017001367A KR100443937B1 KR 100443937 B1 KR100443937 B1 KR 100443937B1 KR 20017001367 A KR20017001367 A KR 20017001367A KR 100443937 B1 KR100443937 B1 KR 100443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valve
pin
proximal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1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콜라스 반데블롬
Original Assignee
엔브이비 인터내셔날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비 인터내셔날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엔브이비 인터내셔날 에이/에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9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60S5/04Supplying air for tyre inf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3/00Pumps actuated by muscle power, e.g. for infl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20Joints tightened by toggle-action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타이어의 팽창 밸브를 위한 밸브 연결기에서, 연결기는 연결기 하우징(368)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하우징은 일부는 압력원, 선호적으로는 수동 또는 푸트 펌프에 연결되고 일부는 연결될 밸브의 지름과 일치하는 지름을 가지는 커플링 구멍(5)을 가지는데, 상기 커플링 구멍은 다른 크기의 밸브에 대하여 밀봉 장치와 밸브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를 갖추고 있다. 밀봉 장치(366)는 연결기 하우징(368)에 동축으로 장착되고 적어도 두 개의 평행한, 분리된 레벨에 설치되고 밸브의 중심선과 동축인 연결기 하우징(368)의 중심선(4)을 가지고, 밀봉 장치의 내부 지름은 현 밸브 크기의 외부 지름과 거의 일치하고, 사용될 때 연결기는 밸브에 장착되고, 연결기 하우징(368)에서 커플링 구멍의 오우프닝(8)에 가장 인접한 밀봉 장치(366)는 가장 긴 내부 지름을 가지는 반면에, 연결기 하우징(368) 내 커플링 구멍의 오우프닝(8)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밀봉 장치(366)는 가장 짧은 내부 지름을 가지고, 두 단부 사이의 지름은 단부 사이의 떨어진 거리에 해당한다. 밸브 연결기는 당해 밸브에 자동 조절 가능성을 가지고 필요하다면 Schrader 밸브 중심 코어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 현 펌프와함께 연결기를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밸브 연결기{VALVE CONNECTOR}
본 발명은 청구항 1 항의 서두에 따른 자동차 타이어의 다양한 밸브를 통하여 팽창시키기 위한 밸브 연결기에 관한 것이다.
명확성을 위해, 몇 가지 기준들이 제시될 것이다. ISO 기준 제 10475:1992(E)에서는 자동차 타이어 팽창 밸브를 위한 나사가 설명된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나사는, 5.2㎜의 공칭 지름과 1.058㎜의 피치를 가지는 5V2 (DIN: Vg 5,2)와 7.7㎜의 공칭 지름과 0.794㎜의 피치를 가지는 8V1 (DIN: Vg 8)이다. 상기 나사 유형은 Dunlop-Woods, Sclaverand 또는 Schrader 밸브 유형에 사용된다. Schrader 밸브 유형은, 타이어에 펌프로 공기를 넣는 동안 공기가 통과하도록 밸브 코어 내에 스프링 하중을 받는 핀 헤드는 낮추어 유지되는, 일반적인 차량에서 많이 사용된다. 밸브 연결기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도록 돕는 적절한 장치가 장착되어야 한다. 또 밸브 코어 핀이 작동할 때 공기 손실을 막기 위해서 역밸브와 같은 적절한 장치가 사용되어야 한다. Dunlop-Woods 밸브처럼 Sclaverand 밸브는, 그것의 코어 핀이 공기 압력에 의해서만 열려지는 특징을 가진다. Sclaverand 밸브를여는데 필요한 공기 압력은 16bar 이고, 이 밸브는 16bar 정도의 압력을 가지는 고압 타이어와 함께 사용된다. Dunlop-Woods 밸브를 여는 압력은, 좀더 용이하게 열도록 보장하는 4bar 정도이다.
공지된 밸브 연결기(예. GB-B-977,139 는, Dunlop-Woods 밸브/Sclaverand 밸브 및/ Schrader 밸브 유형에 단지 연결될 수 있다.
Schrader 밸브를 위한 잘 알려진 연결기는, 고무 실린더를 축방향으로 압착하는, 레버를 수단으로 고무 실린더가 스템에 대하여 꽉 압착되는 유형이다. 상이한 밸브 지름에 대하여, 밸브 연결기에서 다른 밸브 지름까지 연결을 보장하도록 내부 지름을 미리 증감시키기 위해서, 보조 장치(너트 6)에서 밸브 나사를 풀거나 보조 장치로 밸브 나사를 죄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사용될 때 펌프 호스가 돌려진다면, 루스 부품은 분해 가능하므로, 상기 연결부는 더 이상 기밀 상태가 아니다. 이 연결기 유형의 단점은, 레버를 사용할 때 사용자가 더 큰 힘을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연결(분리)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 양손을 사용해야 한다.
GB 특허 축원 제 39808/77 은 모든 밸브 유형에 나사로 고정될 수 있는 밸브 연결기를 나타낸다. 8V1 에 해당하는 나사(4)는 부싱(26)을 제자리에 유지한다. 부싱(26)은 Sclaverand 또는 Dunlop-Woods 밸브를 위한 5V2 에 해당하는 내부 나사(30)를 가진다. Schrader 밸브의 코어 핀은 고정 핀(12)을 수단으로 기계적으로 열려진다. 이 연결기 유형의 단점은, Schrader 밸브에 연결하기 전에 5V2 나사를 포함한 부싱(26)이 제거되어야 하고, Dunlop-Woods 또는 Sclaverand 밸브에 연결하기 전에 부싱(26)이 다시 장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이 경우에 루스 부품이 사용된다. 사용될 때 펌프 호스가 돌려진다면 루스 부품은 분해될 수 있으므로, 비기밀 상태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DE-B 38 19 771 에서는, 두 개의 커플링 구멍을 가지는 수동 펌프의 일반적인 연결기가 공지되어 있다: 커플링 구멍중 하나는 Dunlop-Woods 및 Sclaverand 밸브를 위한 것이고 나머지 하나는 Schrader 밸브를 위한 것인데 이 밸브의 코어 핀은 기계적으로 열려진다. 상기 커플링 방법의 단점은, 첫째 밸브에 고정될 수 없다는 것이고, 둘째 커플링 구멍이 수직으로 위로 향하고 있는 일정한 위치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며 끝으로 두 개의 구멍중 어느 구멍이 당해 밸브에 사용되는지 사용자가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분명하게 특허 문헌에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또다른 공지된 밸브 유형은, 위에서 언급된 GB 특허 출원 NO 39808/77 과 동일한 유형이다. 이 고무 실린더는, 5V2 와 8V1 나사가 각각 끼워지는, 다른 지름과 길이를 가지는 인접한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구멍의 중심선에서 축방향으로, 인접하여 엇갈려져 있으므로 Schrader 밸브의 코어 핀을 열 수 있는 장치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커플링의 단점은, Dunlop-Woods 또는 Sclaverand 밸브의 연결(분리)을 안정화시키는데 양손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고, 가능한 다른 유형의 나사와 밸브에 연결하기 위해서 고무 실린더는 하우징 밖으로 꺼내어져 상부를 아래로 배치시켜야 하므로, 밸브를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부분은 커플링 구멍의 오우프닝에 가장 가깝게 놓인다는 것이다. 또 Schrader 밸브를 기계적으로 여는 핀은 전술한 조작에 따라 돌려져야 한다. 밸브에 커플링을 연결할 수 있도록 서로서로에 대해 두 장치가 정확하게 배치되어야하므로, 전술한 사항은 통상의 사용자에게는 문제가 된다: 전체적으로, 수동 사용이 가능하다면 정확하게 실행될 수 있는, 네가지 선택 가능성이 있다. 전술한 장치는 상기 조작시 분해될 수 있다.
WO-A-92/22448 에서는, 단일 레벨로 배치된, 밀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고, GB-B-977,139 에서는 레버 캠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 연결기가 공지되어 있다. 두 종래 기술의 공통점은, 단지 Schrader 밸브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고, 밀봉 장치는 하나의 지름 끼워 맞춤, 예를 들면 Schrader 밸브만 나타내므로, Sclaverand 유형이나 Dunlop-Woods 유형의 밸브는 상기 유형의 연결기에 의해 도움을 받지 못한다.
타이어가 상이한 밸브 유형을 가지고 단 하나의 펌프만 사용되어야 한다면 타이어에 공기를 넣어 부풀리는 것은 많은 사람들에게 문제가 된다. 이것은 대부분의 가구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모든 밸브 유형에 적합하고, 조작하기에 용이하고 경제적이며 당해 밸브에 적합하도록 자동 조절할 수 있는 밸브 연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현재의 펌프와 함께 연결기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것은 청구항 1 항의 특징을 나타낸 조항에 의해 해결된다.
자동차 타이어의 팽창 밸브를 위한 연결기에서, 이 연결기는 압력원, 선호적으로는 수동 또는 푸트 펌프에 연결된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연결될 밸브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가지는 커플링 구멍을 포함하며, 이 커플링 구멍은 다른 크기의 밸브에 대하여 밀봉 장치와 밸브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가 장착되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밀봉 장치는 연결기 하우징에서 동축으로 장착되고 사용될 때 밸브의 중심선과 동축을 이루는 연결기 하우징의 중심선을 가지는 적어도 두 개의 평행한 분리된 레벨에 설치되고, 밀봉 장치의 내부 지름은, 사용될 때 연결기가 장착되는 밸브의 외부 지름과 거의 일치하고, 연결기 하우징 내 커플링 구멍의 오우프닝에 가장 가까운 밀봉 장치가 가장 긴 지름을 가지는 반면에, 연결기 하우징 내 커플링 구멍의 오우프닝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밀봉 장치는 가장 짧은 지름을 가지고, 단부들 사이의 지름은 단부들 사이의 분리된 거리이다. 연결될 밸브에서 커플링 부분은, 관련된 밸브의 커플링 구멍 내 밀봉 장치상의 밀봉 표면에 대하여 위치 설정된다. 이 연결기는 단 하나의 커플링 구멍만 가진다. 따라서 이것의 사용은 매우 간단하고, 수동 조작이 필요 없으며, 루스 니플은 불필요하다. 따라서 연결은 단일 조작으로 항상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고정 장치는 하우징에 장착된 회전 부싱이고, 이 하우징은 커플링 구멍에서 나사가 장착되고, 상기 나사는 각각의 밸브에 끼워 맞추어지고 밸브는 연결기 하우징에 대하여 밀봉 장치로 밀봉되고, 상기 밀봉 장치는 연결기 하우징에서 커플링 구멍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다. 연결된 호스가 돌려질 때, 비기밀 상태가 될 수 없는, 기밀 연결부를 가지는 밸브에 연결기가 배치될 수 있다. 또 큰 힘을 가하지 않고서도 장착은 빠르게 이루어진다. 커플링의 연결 및 분리는 한 손만 사용하고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기 하우징에서 가스킷 밀봉 표면의 마모를 줄이고 회전부싱을 회전시키는 힘을 줄이며, 5V2 나사를 포함한 밸브에 대하여 밀봉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최내측 나사는 5V2 나사를 포함한 부싱에 의해 제공되는데, 여기에서 부싱은 회전 커플링 부싱에서 테이퍼 밀링에 끼워 넣어지고 축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을 하고 한 세트의 리브를 수단으로 커플링 부싱에 회전 없이 연결되는데, 상기 리브는 부싱 원주 둘레에 분배되고 커플링 부싱에서 대응하는 그루우브에 연결되고, 상기 밀봉 장치는 계단식 밀링에 놓인다. 이것은 주요부품에 나사를 체결하고 나사를 빼는 동안 가스킷 밀봉장치와 커플링 부싱 사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장하고, 반면에 단단히 죌 때 커플링 부싱은 밸브에 대하여 연결기 하우징과 그것의 가스킷 밀봉장치를 끌어당긴다. 단단히 죄는 것은 밸브 나사의 코어에 대하여 일어나고 가스킷 밀봉장치 내부의 감소된 반경에 따라 안정화된다.
표준이 아닌, Sclaverand 유형의 밸브에서 밸브 연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몇 개의 나사는 제거되어서 Sclaverand 유형의 밸브의 각 면에서 평행한 두 부분을 형성한다. 또다른 내부 부싱의 개선점이 제안되는데, 이 개선점에 따르면 내부 부싱은 밸브 하우징에서 하부가 잘린 그루우브내로 통과한다. 상기 Sclaverand 유형의 밸브는 밀봉 장치에 대하여 기밀 상태로 될 수 없고, 가압된 공기는 나누어진 오우프닝을 통하여 빠져나가려고 할 것이다. 밸브에 밸브 연결기를 장착할 때 하부가 잘린 그루우브 내로 통과함으로써 부싱은 밀봉 장치에 대하여 단단히 죄여질 것이다.
한 손만을 사용한 연결 및 분리에 관하여, 임시 나사를 수단으로 연결이 이루어지고, 즉 밸브 나사에 대하여 고무 실린더를 압착함으로써 연결이 이루어지는데 현 밸브 나사의 고정 장치와 밀봉장치는, "H" 모양의 고무 유형 물질인, 하우징내에 배치된 변형재로 만들어진 부싱으로 구성되고, 피스톤을 작동하기 위한 레버와 고무 부싱을 축 방향으로 압축하고 이완하는 두 단부를 가지는 고무 부싱과 밸브에 인접하여 피스톤이 장착되고, 레버의 축은 중심선에 수직으로, 중심이 같게 배치되고, 피스톤을 작동하기 위한 레버는, 중심선과 각 Ψ 을 이루는 위치에서 중심선과 직각을 이루는 위치로 돌려지고, 레버의 잠금 장치는 하우징의 잠금 장치와 함께 작동하고, 레버의 잠금 장치는 레버의 구성에 필요하다.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반동 아암은 두 위치 사이의 레버 아암 운동으로부터 발생하는 반동력을 흡수하도록 적용된다. 이 방법은 신뢰할만한 고정 및 조작의 단순화를 보장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연결기로, 연결기 하우징에서 호스 연결부와 평행한 반동 아암과 레버의 간단한 압착에 의해 레버는 잠금 위치로 낮추어지므로 한 손만을 사용해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작용에 의해 피스톤은 고무 부싱에 대해 눌러지고, 고무 부싱은 관련된 밸브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꽉 압착된다.
밸브 연결기의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고무 부싱은 밸브 나사에 대해 압착하는 부품에 인접한 중심축과 수직을 이루는 원주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V 모양의 외부 새김 부분을 가진다. 이 새김 부분을 통하여 새김 부분이 있는 나사에 대하여 정확하게 가장 큰 방사상 힘을 가하도록 고무 부싱은 미리 결정되고, 밸브 연결기의 사용자는 소프트 작동 레버 아암을 사용할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고 고압하에서 밸브 연결기를 밸브에 고정하기 위해서, 환상 고리가 새김 부분에 배치되어서 방사상 힘을 가하는 것이 제안된다.
밸브는 연결(분리)에 의해 어떤 휨-모우멘트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레버 아암을 포함한 실시예는 휨-모우멘트 자유 연결(분리)로 불려진다. 약 5-6bar 의 공기 압력으로 열리는 Schrader 밸브에서 코어 핀을 상기 유형의 연결기는 열 수 있기 때문에, 거의 모든 밸브에 연결이 가능하다. 펌프 호스 내 공기 압력은, Sclaverand 밸브를 갖춘 고압 타이어에 공기를 불어넣을 때와 같은 크기의 압력을 가진다. 이것은 손 또는 발로 작동되는 고압 수동 또는 푸트펌프와 같은 자전거 펌프를 사용함으로써 최적으로 달성된다. 통상의 자전거 펌프의 공기 압력(예. 최대 10bar)에 의해 열려질 수 없는 코어 핀 유형이 있다. 연결은 두가지 방법으로 쉽고 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마지막에 언급된 코어 유형은 제일 먼저 언급된 유형에 대체될 수 있고 핀이 없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연결기로서 사용되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어는, 코어(도 4B)의 중심 핀 헤드를 작동하기 위해서 밸브(도 4A)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로부터 축방향 이동에 의해 옮겨지는, 연결기 하우징의 중심선과 동축으로 연속하여 배치된 핀에 의해 열려질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의해, Schrader 밸브가 팽창될 때 필요한 펌핑 힘은 상당히 감소된다. 왜냐하면 밸브를 여는데 어떤 공기 압력도 사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상의 자전거 펌프로 팽창은 이루어진다.
비활성 위치에서 활성 위치까지 하우징 내 작동 핀의 자동 미끄럼 운동을 위한 장치로서, 작동 핀은 적절한 고정 장치와 피스톤 로드가 장착된 피스톤으로서조립되고, 원통형 하우징내에서 미끄럼 운동을 하고, 어떤 물리적 하중 없이 실린더 벽에 대하여 밀봉 장치 세로 위치로 유지되어서, 밸브 연결기의 연결 후에 피스톤의 미끄럼 운동은 압력원에서 수송된 압축 공기에 의해 발생하고, 차륜 밸브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피스톤은 실린더 벽에 대하여 100% 이하로 밀봉한다.
자동 미끄럼 작동 핀이 장착된 청구항 1 항에 따른 밸브 연결기로 압축기 호스에 밸브가 장착된 밸브 연결기를 장착할 수 있고, 이것은 자전거 가게등에서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기밀 연결부를 고정하는데 필요한 압력을 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밸브 연결기를 밸브에 고정할 필요가 없다.
이런 밸브 연결기로, 사용자는 밸브 유형 및 기능을 확인해야 할 필요없이 타이어에 공기를 불어넣는 것이 가능하다. 조작도 상당히 편리하게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정확한 압력으로 타이어에 공기를 불어넣는 것이 좀더 쉽게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구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타이어 마모를 줄인다. 동시에 역밸브 기능이 Schrader 밸브에 부가되어서, 압력원에서 충분한 공기 압력이 공급될 때 밸브는 Schrader 밸브의 코어를 열어서 팽창시키는 동안 타이어에서 공기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연결기의 적절한 실시예에서, 피스톤은 중심의 축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는 밸브와 함께 구조되고, 피스톤 상부에 대하여 닫힌 위치로 탄성 프레스된다. 이것은 피스톤 가이드에서 마모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명확한 오우프닝 영역을 제공하고, 코어의 증가한 오우프닝은 압력원으로부터 압축 공기의 통과를 확실하게 해준다.
예시로서, 피스톤에서 중심의 축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는 밸브는 적절한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는데 이 방법에 따라 피스톤 밸브는, 피스톤을 통하여 중심에서 벗어나 뻗어있는 밸브 레버로 움직여지고 피스톤이 차륜 밸브내에 코어에 영향을 주지 않을 때 피스톤과 밸브 사이의 스프링은 밸브를 닫힌 상태로 유지한다.
또는 피스톤 밸브는 피스톤을 통하여 축방향으로 중심이 같게 뻗어있는 코어 핀과 함께 레버로 작동되고, 스프링은 피스톤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로 이끈다. 따라서 코어핀을 포함한 피스톤은 당해 밸브의 제한에 맞도록 그 길이를 자동 조절할 수 있으므로, ISO 기준에 의해 확립된 한계 내에서 피스톤이 신뢰할 만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실시예는 밸브 레버의 안전 기능을 보장한다. 왜냐하면 그것은 축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또 Schrader 밸브에서 브리지는 피스톤 밸브를 작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피스톤으로부터 발생한 반동력은 대기에 작용하지만 기계 구조물에는 작용하지 않는다.
Schrader 밸브는 외부 나사(나사 유형 ISO 4570/3 8V1, ISO 10475:1992-12V1)의 가장 큰 외부 지름을 가지고 커플링 부분은 커플링 구멍의 오우프닝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다. Dunlop-Woods 코어 및 Sclaverand 밸브는 동일한 나사 유형을 가지는데, 외부 나사(나사 유형 ISO 4570/2 5V2)의 큰 쪽의 지름은 내부 나사 8V1 의 작은 쪽의 지름보다 짧다. 그러므로 Dunlop-Woods 코어 유형과 Sclaverand 밸브 유형은, 8V1 나사와 12V1 나사의 커플링 부분을 통과한다. 결과적으로, 5V2 나사 연결부의 커플링 부분은 커플링 구멍의 오우프닝에서 멀리 떨어져 배치된다.Dunlop-Woods 코어의 5V2 나사는 너트 8V1 에 의해 충분히 고정되는데 상기 너트는 코어를 스템에 유지하고 너트의 긴 지름 부분은 부싱에서 12V1 나사를 위한 내부 나사의 작은 지름보다 짧다. 그러므로 대응하는 밀봉 고리를 가지는 적어도 두 유형의 나사를 위한 충분한 공간이 있다. 상기 밀봉 고리는 압착 연결을 위해 적용되는데, 본 발명에 따라 연결기는 임시 나사를 형성하도록 압착된다. 상기 8V1 너트는 Schrader 밸브의 결합 부분을 통과할 수 없다. 이것은, 상기 너트의 긴 지름부가 고무 실린더 내 가장 큰 구멍의 지름보다 크기 때문이다. 5V2 나사의 결합은 결합 구멍의 오우프닝에서 떨어져 개시된다. 연결부에 가해지는 하중은 낮기 때문에, 내부 나사의 전체 길이를 이용할 필요는 없다. 일반적으로 결합된 외부 나사 크기의 0.8배이다. 이 규칙은, 고하중이 가해지고 나사가 렌치에 의해 체결되는 기계 구조물을 기초로 한다. 따라서 5V2 나사의 결합부는 8V1 나사의 결합부 뒤에 놓인다.
본 발명은 종속항에서 설명한 많은 실시예에 나타나 있다.
도 1 은 고압 푸트 펌프의 호스에 연결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결기를 나타낸 도면으로, 연결기는 밸브에 돌려 죄어지고 Schrader 밸브는 공기 압력에 의해 열려질 수 있다.
도 2A 는 도 1 에 따른 연결기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5V2 나사를 포함한 부싱과 Schrader를 위한 가스킷 밀봉 부품은 중심선과 평행하게 미끄럼 운동한다.
도 2B 는 도 2A 의 단면 A-A 에 따른 연결기의 정밀도.
도 3 는 ISO 기준에 맞지 않는, Sclaverand 밸브에 사용되도록 만들어진 도 2 에 따른 연결기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A, B 는 도 1 에 따른 연결기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인데, 커플링은 밸브에 돌려 죄어지고 Schrader 밸브는 핀에 의해 기계적으로 열려질 수 있고, 핀 이송 기구는 나사로 조립되고 핀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도 5A, B 는 도 4A, 4B 에 따른 연결기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핀 이송 기구는 큰 나사 피치로 조립되고, 핀은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다.
도 6 은 도 5A 의 단면 X-X 및 도 5B 의 단면 Y-Y 에 따른 연결기의 정밀도.
도 7 은 도 5A, 5B 의 단면 Z-Z 에 따른 실시예의 공급 실린더를 나타낸 도면.
도 8 은 도 1 에 따른 밸브 연결기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커플링은 밸브에 고정되고 Schrader 밸브는 피스톤인 핀에 의해 자동으로 열려질 수 있고, 피스톤은 원위에 배치되고, 가압된 공기는 제어 밸브이기도 한 피스톤을 통과할 수 있다.
도 9 는 도 8 에 따른 밸브 연결기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피스톤은 편심 밸브 레버에 의해 작용받는 밸브를 갖추고 있다.
도 10 은 피스톤이 편심 밸브 레버의 작용을 받는 밸브를 갖추고 있는, 제 8 실시예에 따른 다른 연결기를 나타낸 도면; 피스톤은 Schrader 밸브 코어 가까이에 배치되고, 피스톤 상부에서 밸브는 닫혀진다.
도 11 은 고압 푸트 펌프의 호스에 연결된 제 9 실시예에 따른 연결기를 나타낸 도면으로, 연결기는 밸브에 압착되고, Schrader 밸브는 상하부에 놓인 가동성 핀에 의해 기계적으로 열려질 수 있다.
도 12A, B 는 도 5 의 실시예를 수정한, 제 10 실시예에 따른 연결기를 나타낸 도면으로, 커플링은 푸트 펌프의 호스에 연결되고, 커플링은 밸브에 압착되고, Schrader 밸브는 상하부에 각각 놓인 가동성 핀에 의해 기계적으로 열려질 수 있다.
도 12C, 도 12A 의 단면 A-A 와 도 12B 의 단면 B-B 를 나타낸 도면으로, 비필수 부분은 상세히 나타내지 않았다.
도 13 은 연결기의 좁은 오우프닝과 차륜에 사용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특별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기를 나타낸 도면으로, 연결기는 밸브에 압착되고, Schrader 밸브는 자동 가동성 핀에 의해 열려진다.
도 14A 는 제 12 실시예에 따른 연결기를 나타낸 도면으로, 커플링은 새김부와 각 새김부에서 환상 고리를 가지는 고무 부싱을 사용하는 밸브에 압착되고, Schrader 밸브는, 피스톤으로 형성되고 바닥에 배치된 자동 가동성 핀에 의해 열려질 수 있다.
도 15 는 제 13 실시예에 따른 연결기를 나타낸 도면으로, 커플링은 새김부와 각 새김부에서 환상 고리를 가지는 고무 부싱을 사용하는 밸브에 압착되고, 커플링은 밸브에 압착되고, Schrader 밸브는 제어 밸브를 가지는 피스톤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배치된, 자동 가동성 핀에 의해 열려진다.
* 부호설명
3,16,19,35,77,110,134,151,164,190,302,341...하우징
4...중심선 5...커플링 구멍
6,191,193,331...부싱 8...오우프닝
12,13,79,80,192,194,200,311...밀봉장치
40,142,161...작동 핀 43, 140,162...노브
48,303...실린더 49,50...슬릿
51,52...돌기물 67...이송 기구
76,82,83,138,304...피스톤 102...레버
196...리브 197...그루우브
201...계단식 밀링장치 202...테이퍼 밀링장치
301...밸브 연결기 306...공기 도관
316'...스프링 317...미끄럼 밸브
318...코어 핀
도 1 에서 펌프 호스(1)는 링 클램프(2)를 수단으로 하우징(3)에 조립된다. 하우징(3)은 커플링 구멍(5)의 중심선(4)에 대해 약 30°- 60°의 각도로 구부려진다. 부싱(6)에 두가지 유형의 ISO 나사, 즉 커플링 구멍(5)의 오우프닝(8)에서 가장 멀리 놓인 5V2 나사(7)와 상기 오우프닝에서 출발하는 8V1 나사(9)가 끼워 넣어진다. 연결(분리)시에, 부싱(6)은 회전되고 그립-훅(10)에 의해 하우징(3)의 그루우브(11)에서 유지된다. 가스킷 밀봉 장치(12, 13)는 5V2 나사와 8V1 나사에 의해단단히 밀봉된다. 연결기가 Schrader 밸브에서 사용될 때 가스킷 밀봉장치(12)는 하우징(3)과 부싱(6) 사이의 교차부분(14)을 단단히 죄어준다. 부싱(6)의 하부에는 테이퍼(15)가 장착된다.
도 2A 는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하우징(190)은 커플링 부싱(191)을 갖추고 있는데, 상기 커플링 부싱은, 연결기 부싱(191)과 함께 밀봉 장치(192)와 부싱(193) 사이의 작은 공간 b 때문에 자유롭게 마찰없이 하우징(190)을 회전시킬 수 있다. Schrader 밸브를 위한 가스킷 밀봉 장치(194)는 나사 8V1 에서, 연결기 부싱(191)에 자유롭게 배치된다. 5V2 나사를 가지는 부싱(193)은 부착되지는 않지만 연결기 부싱(191) 내 테이퍼 밀링 장치(202)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두 장치 모두 밸브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움직일 수 있다. 밀봉 장치(200)는 외연 부품(192)을 가지는 하우징(190) 내 계단식 밀링 장치(201)에 끼워 넣어지고, 하우징(190)과 연결기 부싱(191) 사이의 교차 부분을 단단히 죄어준다. 부싱(193)은 연결기 부싱(191)에서 대응하는 그루우브(197)(도 2B)로 끼워 맞추어진 적어도 두 개의 리브(196)가 장착된다. Dunlop-Woods 또는 Sclaverand 밸브가 연결될 때, 밀봉 장치(200)는 밸브 나사의 작은 지름 부분에 죄어준다. 밸브는 가장자리(198)에서 끝나서, Dunlop-Woods 밸브의 너트는 8V1 나사의 하부(199)에 체결되지 않는다. 상부에서, 밀봉 장치(200)는 방사상으로 계단식으로 지름이 감소된다.
도 3 은, ISO 기준에 맞지 않는, Sclaverand 밸브에 사용되도록 만들어진 또다른 연결기를 나타낸다. 이 밸브에서 몇 개의 나사는 제거되어서 Sclaverand 유형 밸브의 각 면에 두 평행 할선을 형성한다. 가압된 공기가 나누어진 오우프닝을통하여 빠져나가려고 하므로, 상기 Sclaverand 유형의 밸브는 전술한 밸브 연결기의 밀봉 장치(330)에 대해 단단히 죄어줄 수 없다. 부싱(340)은 분리 가능한 잠금 장치(339)에 의해 하우징(341)에 고정되고, 중심축과 직각을 이루는 하우징(341)에서 외부 그루우브로 뻗어있다. 내부 밀봉 장치(330)와 외부 밀봉 장치(332)는, 커플링 부싱(331)과 하우징(341), 부싱(340) 사이에 각각 배치된다. 커플링 부싱(331)은 하부가 잘린 그루우브로 끼워 맞추어진 다른 밀봉 장치(333)에 의해 보조되는 하우징(341)에서 그루우브에 대해 단단히 죄어준다. 밸브에 밸브 연결기를 장착할 때, 커플링 부싱은 밸브 하우징에서 하부가 잘린 그루우브로 통과하고, Sclaverand 유형의 밸브가 밀봉 장치(330)에 대해 꽉 죄어줄 수 없다면, 공기는 커플링 부싱(331)과 다른 밀봉 장치(333) 사이의 공간으로 움직일 것이다.
도 4A 와 4B 는 도 1 에 따른 연결기를 나타내는데, 여기에서 핀(161)은 노브(162)에 끼워 넣어지고, 상기 노브는 그립 훅(163)을 수단으로 하우징(164)의 그루우브(160)에 유지된다. 노브(162)에 큰 피치를 가지는 내부 나사(165)가 끼워 넣어진다. 노브(162)가 회전될 때, 핀(161)은 구멍(5)의 슬릿(167)으로 통과하는 핀(fin)(166)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핀(161)은 커플링 구멍(5) 오우프닝(8)의 중심선(4)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인다. 하나의 가스킷 밀봉 장치(168)로 밀봉은 이루어진다. 노브(162)는 탄성재로 만들어진다. 핀(161)은 도 4A 에 나타낸 상부(18)와 도 4B 에 나타낸 하부(32)에 놓인다.
도 5A - 7 을 참조하면, 펌프 호스(1)는 링 클램프(2)에 의해 하우징(35)에 연결된다. 링 클램프(2)와 커플링 구멍(5)의 오우프닝(8) 중심선(4) 사이의 각도α는 30°- 60°이다. 내부나사와 가스킷 밀봉 장치를 포함한 부싱(6)은 도 1 에서 나타낸 부싱과 동일하다. 노브(43)가 위치 44(도 5A)에서 위치 45(도 5B)로 또는 그 반대로 회전될 때, 핀(40)은 위치(18)에서 위치(32)로 커플링 구멍(5)의 중심선(4)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하부에서, 노브(43)는 대응하는 벌브(47) 둘레에 놓인 방사상으로 내부로, 회전하는 돌출부(46)를 갖추고 있고, 노브(43)가 벌브(47)를 잡을 때, 노브는 위치(44, 45)에서 피벗 고정된다. 실린더(48)는 노브(43)에 직접 연결된다. 실린더(48)에 두 개의 슬릿(49, 50)이 존재하는데 슬릿(49)은 노브(43)의 반대쪽에서 열려진다. 핀(40)의 두 개의 둥근 돌기물(51, 52)은 슬릿(49, 50)에서 서로서로 정반대로 움직인다. 두 단부에서, 중심선(4)과 평행을 이루는, 중심선(53, 54)을 가지는 슬릿(49, 50)은 서로서로 정반대로 배치된 두 슬릿(55, 56, 57, 58)을 포함하는데, 중심선(59, 60, 61, 62)은 중심선(53, 54)에 수직으로 놓인다. 슬릿(55, 56, 57, 58)은 반원으로 끝나고, 이것의 중심선(63, 64, 65, 66)은 돌기물(51, 52)의 반경보다 슬릿(49, 50)의 가장 인접한 면에서 좀더 멀리 놓인다. 또 돌기물(51, 52)은 커플링 구멍(5)으로부터 내부 나사(67)에서 움직인다. 나사 피치(67)는 너무 커서 회전 노브(43)만 위치 44 에서 45 또는 반대로 약 240°회전하여야 한다. 노브(43)가 회전될 때, 슬릿(49, 50, 55, 56, 57, 58)은 돌기물(51, 52)을 나사(67)로 민다. 회전 노브(43)는 그립(68)에 의하여 하우징(35)에 고정되고, 상기 그립은 노브에서 내부 돌출부(69) 뒤로 움직인다. 전술한 구조물은 하우징(35)의 상부에서 가스킷 밀봉 장치(70)에 의해 기밀 상태가 된다. 하우징(35)의 측면에서 위치(44, 45)에 연결될 수 있는 밸브(71,72, 73)가 놓인다.
도 8 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연결기의 부분 종단면이 나타나 있는데, 여기에서 피스톤(304)은 원위에 배치되고 Schrader 밸브의 코어가 완전히 열리도록 누른다. 이런 식으로, 압력원에서 발생한 공기는, 실린더(303), 예를 들면 피스톤(304)과 피스톤 로드(312)에서 축방향으로 배치된 중심 블라인드 드릴링(309)을 통과할 수 있고, 방사상으로 향하고 있는 피스톤 로드(312)의 드릴링(310)에서 종료되고, O-링(311)으로 밀봉된 피스톤 제어장치(308)의 다른 면에서 종료된다. 이런 드릴링의 배치는 Schrader 밸브 코어의 오우프닝을 위한 피스톤에 최대 압력을 보장하고, 그 후에 Schrader 밸브의 코어가 거의 완전히 열렸을 때 공기 압력을 위한 오우프닝이 제공된다. 피스톤(304) 그 자체는 실린더 벽(303)에 대하여 다른 O-링(305)으로 밀봉되고, 원위 피스톤 위에 Schrader 코어의 스트로크에 해당하는 적절한 거리로 밀봉 감소를 위한 장치(307)가 조립된다. Schrader 밸브 이외의 밸브에 밸브 연결기를 적용시에 인접하여 옮겨질 때 공기가 피스톤(304)을 통과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 위치에서 피스톤 로드(312)는 단부 위치에서 너무 많이 옮겨져서 블라인드 드릴링(310)은 실린더 벽(303)의 밀봉된 부분 위에 놓여진다. 피스톤 로드(312)의 단부는 피스톤 제어 장치(308)로 일정하게 안내되고, 공기가 당해 밸브로 들어가도록, 피스톤 로드(312)는 종방향의 공기 덕트(306)를 갖추는데, 이 공기 덕트는, 공기가 밀봉 장치(311)와 밀봉된 피스톤 제어 장치(308)를 지나 피스톤 로드(312)를 통과하도록 한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밸브 연결기 종단면을 나타내었는데, 여기에서 피스톤(304)은 편심 밸브 레버(315)의 작용을 받는 밸브(317)를 갖추고 있다. 피스톤 밸브(317)는 피스톤(304)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면에 중심 코어 핀(318)을 가지고, 밸브로 통과할 때 상기 코어 핀은 일부는 방사상으로 향한 블라인드 드릴링(313)을 가지고 일부는 O-링(314)을 포함하고, 상기 O-링은 밸브(317)와 피스톤(304) 사이에 밀봉부를 제공한다. 방사상으로 향한 블라인드 드릴링(313)은 중심, 축방향으로 향한 블라인드 드릴링(309')에서 끝나는데, 이 드릴링은 밸브(317)에서 떨어진 블라인드 드릴링(313)으로부터 코어 핀(318)을 통과한다. 어떤 힘의 작용도 받지 않을 때 코어 핀(318)의 단부에서 인장 스프링(316)은 밸브 로드(312)의 원위 단부에 고정되고 밸브(317)를 닫기 위해 당긴다. 피스톤(304)이 실린더(303)에서 움직일 때, 피스톤(304)과 밸브(317)는 양립한다. 피스톤이 단부 위치에 좀더 가깝게 놓일 때 밸브(317)는 열려질 수 있는데, 밸브 레버(315)는 실린더(303)에서 단부 표면에 의해 정지된다. 이것은 피스톤(304)과 밸브(317)의 양립 운동을 멈추고, 그 후에 밀봉장치(314)와 바로 뒤쪽의 블라인드 드릴링(313)은 피스톤(304) 위에서 레버 작용을 받는다. 이것은 피스톤(304) 위에서 압축 공기가 블라인드 드릴링(313, 309')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 후에 압축 공기는 완전히 열린 Schrader 밸브의 코어를 통과한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밸브 연결기의 종단면을 나타내었는데, 여기에서 피스톤(304)은 코어 핀을 구성하는 편심 밸브 레버에 의해 움직여지는, 밸브(317)를 갖추고 있다. 피스톤(304) 위의 밸브(317)는 도 9 에 나타낸 것과 같은 것으로 더 자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피스톤(304)은 Schrader 밸브의 코어 중간위치에 배치되고, 피스톤(304)의 상부에서 밸브(317)는 닫혀진다. 코어 핀(318)이 Schrader 밸브의 코어를 내리누를 때, 밸브는 열려져서 이것은 밸브(317)의 오우프닝과 함께 동시에 열려진다. 이것을 통하여, 코어 핀(318)이 Schrader 밸브 코어의 상이한 제한에 맞도록 스프링(316')은 압착된다.
도 11 에서 펌프 호스(1)는, 클램프 링(2)을 수단으로, 하우징(110)에서 움직이는, 피스톤(76)에 연결된다. Dunlop-Woods와 Sclaverand 밸브를 위한 커플링 표면(79)과 Schrader 밸브를 위한 커플링 표면(80)을 가지는 탄성 바디(78)는, 위치(82)에서 위치(83)로 내리눌러지는, 레버(102)를 수단으로 가동성 피스톤(76)에 의해 압착되는데, 여기에서 위치(83)는 링 클램프(2)의 중심선(36)과 평행하다. 레버(102)는 하우징(110)에 장착된 축(85) 둘레를 회전하고 축 중심(107)은 축과 직각을 이루고 축은 커플링 구멍(5)의 오우프닝(8) 중심선(4)과 교차한다. 커플링 표면(80)이 커플링 구멍에 인접해 있을 때, 커플링 표면(79)은 커플링 구멍(5)의 오우프닝(8)에서 거리 'a' 만큼 떨어져 놓인다. 탄성 장치(78)상의 영역은 피스톤(76)에 대하여 유지된다. 피스톤 공기 공급 구멍(750은 외부 나사 5V2의 긴 지름 부분보다 약간 짧아서, Sclaverand 밸브는 연결부에서 자연 정지된다. 따라서 5V2 나사를 위한 커플링 부분은 5V2 나사 둘레이다.
분리할 때, 레버(102)는 풀려진다. 탄성 바디(78)는 비응력 상태로 되돌아가므로, 그것은 정지 위치(82)로 자동으로 되돌아간다. 이것은 축 중심(107)에서 표면(118)의 거리가 피스톤(76)의 상부에서 레버(102)의 표면(120) 거리보다 길기 때문에 가능하다. 레버(102)의 평면(120)이 피스톤의 편평한 상부(119)에 대하여멈출 때 레버(102)의 회전은 멈춘다. 레버(102)의 상부는 링 클램프(2)의 중심선(36)과 약 45°의 각도 Ψ를 이루면서 정지 위치(82)에 놓인다. 커플링 구멍(5)의 오우프닝(8)에서 하우징(110)은 연결기의 조립을 용이하게 해주는 원뿔형 부분(15)을 갖추고 있다.
도 12A, 12B, 12C 는, 도 11 의 연결기와 도 5A, 도 5B 의 핀 구조물이 결합한 실시에를 나타낸다. 도 12A 에서, 핀(142)은 상부(18)에 나타나 있고 도 12B 에서는 하부 위치(32)에 나타나 있다. 핀(142)의 구조 및 그것의 작동 방법은, 그것이 실린더(136)의 하측 단부상의 가장자리(135)에 의해 피스톤(138)에 장착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5 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핀 구조물은 피스톤(138)과 실린더(136) 사이의 가스킷 밀봉 장치(139)에 의해 기밀 상태가 된다. 회전 노브(140)는 노브(140) 위치를 나타내는 선(141)을 갖추고 있다. 밸브(71, 72)는 핀(142)의 위치(18)에 해당하고 밸브(73)는 핀(142)의 위치(32)에 해당한다. 피스톤이 벌브(144)와 함께 노브(140) 내 리세스(145)(도 12C)로 끼워 맞추어질 때 회전 노브(140)는 밸브(71, 72, 73)에 고정된다: 도 12A 의 단면 A-A와 도 12B 의 단면 B-B를 보라. 여기에서 커플링 구멍(5)의 오우프닝(8)은 중심선(4)을 가진다.
도 13 은 연결기를 위한 좁은 오우프닝을 가지는 차륜에 사용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특별한 실시예에 따른 연결기를 나타내는데, 여기에서 연결기는 밸브에 압착되고 Schrader 밸브는 자동 가동성 핀에 의해 열려진다.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레버 아암(319)은 특별한 형태를 가지고, 반동 아암(320)에 압력 호스를 위한 그루우브(321)가 만들어진다.
도 14 는 연결기의 실시예를 나타내었는데, 커플링은 새김 부분에서 환상 링(362)과 새김부분(361)을 가지는 고무 부싱(366)을 사용하는 밸브에 압착되고, Schrader 밸브는, 피스톤으로 형성되고 하부 위치에 나타나 있는, 자동 가동성 핀에 의해 열려질 수 있다. 운동량 힘이 자동차 밸브에 전달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표면(367)은 약간 원뿔형이다. 새김 부분(361)은 나타낸 위치에서 고무 부싱(366)을 약화시키고, 고무 부싱이 밸브상에 나사를 정확하게 압착하도록 하는데 여기에서 그것은 가장 편리하다. 또 환상 링이 새김 부분에 배치될 때, 밸브 나사에 가해지는 힘은 증가한다.
도 15 는 도 14 에 나타낸 것과 비슷한 실시예의 연결기를 나타내지만, 자동 가동성 핀은 Schrader 밸브 코어의 생산 오차에 맞게 자동 조절이 가능하다.

Claims (16)

  1. - 압력원에 연결되는 하우징,
    - 하우징 안쪽에서 팽창 밸브와 연결하기 위한, 중심 축과 외부 오우프닝을 가지는 커플링 구멍,
    - 팽창 밸브의 중심 탄성력에 의해 작동되는 코어 핀을 내리 누르기 위해, 커플링 구멍과 동축으로 배치된, 작동 핀과, 커플링 구멍에 결합될 때 팽창 밸브를 위치 설정하기 위한 위치 설정 장치로 구성된, 차량 타이어의 팽창 밸브와 연결하기 위한 밸브 연결기에 있어서,
    - 작동 핀은, 팽창 밸브가 위치 설정 장치에 의해 위치 설정될 때 근위 핀 위치에서 팽창 밸브의 코어 핀을 분리하고 원위 핀 위치에서 팽창 밸브의 코어 핀을 누르도록 위치 설정 장치에 대해 근위 핀 위치와 원위 핀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고,
    - 작동 핀은 피스톤(304)과 결합되고 피스톤(304)은 실린더 벽을 가지는 실린더(303) 내부에서 미끄러질 수 있게 배치되며 근위 핀 위치에 대응하는 근위 피스톤 위치와 원위 핀 위치에 대응하는 원위 피스톤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고,
    여기에서 실린더(303)가 압력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압력의 작용을 받을 때 피스톤(304)은 근위 피스톤 위치로부터 원위 피스톤 위치까지 움직일 수 있고,
    - 흐름 조절 장치는, 피스톤 위치에 따라 압력원과 연결 구멍 사이의 흐름 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하기 위해 구비되고 흐름 경로가 근위 피스톤 위치에서 차단되고 흐름 경로가 원위 피스톤 위치에서 개방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연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코어 핀이 상기 작동 핀에 의해 연결되는 중간 핀 위치와 일치하는 제 3 피스톤 위치에서 근위, 원위 피스톤 위치 사이에서 흐름 경로가 차단되도록 흐름 조절 장치가 적절히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연결기.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 조절 장치는 밀봉 장치를 포함하고 피스톤이 근위, 제 3 피스톤 위치에서 각각 근위 피스톤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밀봉 장치는 실린더 벽에 대해 피스톤의 가장자리를 밀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연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피스톤이 근위 피스톤 위치에서보다 커플링 구멍의 외부 오우프닝으로부터 더 멀리 놓여 있는 제 4 피스톤 위치로 근위 피스톤 위치 너머 더 멀리 움직일 수 있고 상기 피스톤이 제 4 피스톤 위치에 있을 때 실린더의 벽은 피스톤(304)의 가장자리를 지나 압축된 공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채널(30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연결기.
  5. 제 3 항에 있어서, 하우징(304)은 커플링 구멍(5)의 중심 축(4) 방향으로 작동 핀과 피스톤(304)의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피스톤 제어 장치(308)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연결기.
  6. 제 3 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커플링 구멍의 중심 축 방향으로 작동 핀과 피스톤의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실린더 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연결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장치는 피스톤 제어 장치(308)의 표면에 대해 작동 핀의 바깥쪽 면을 밀봉하기 위한 수단(3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연결기.
  8. 제 4항과 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304)이 제 4 피스톤 위치에 있을 때 작동 핀은 작동 핀과 피스톤 제어 장치(308) 사이에서 작동 핀을 지나 압축된 공기를 옮길 수 있는 관(30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연결기.
  9. 제 3 항에 있어서, 작동 핀은 피스톤 막대를 통하여 피스톤과 연결되고 상기 흐름 경로는 피스톤 막대(312)의 표면에서 오리피스와 실린더(303)를 연결하는 피스톤(304)과 피스톤 막대(312)를 관통하는 채널(309',310)을 포함하고,
    - 상기 피스톤(304)이 원위 피스톤 위치에 있을 때 오리피스는 밀봉 장치보다 커플링 구멍과 보다 가까워서 피스톤(304)이 원위 피스톤 위치에 있을 때 실린더(303)와 커플링 구멍 사이의 채널(309',310)을 통과하는 흐름 경로를 개방하고,
    - 상기 피스톤이 근위 피스톤 위치에 있을 때 밀봉 장치는 커플링 구멍보다 가까이 놓여서 상기 피스톤이 원위 피스톤 위치와 제 3 피스톤 위치에 있을 때 실린더와 커플링 구멍 사이의 채널을 통과하는 흐름 경로를 차단하도록 오리피스와 밀봉 장치의 위치가 상호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연결기.
  10.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흐름 조절 장치는 닫힌 밸브 위치와 열린 밸브 위치 사이에서 피스톤에 대해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피스톤(304) 내부에서 중심에 장착된 밸브 요소(3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연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요소(317)는 닫힌 밸브 위치를 향하여 연장 스프링(316)에 의해 당겨지고 피스톤이 원위 위치에 배치될 때 열린 밸브 위치를 향하여 밸브 요소를 밀기 위해 피스톤(304)을 통하여 편심으로 뻗어있는 밸브 레버(3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연결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작동 핀은 피스톤 막대를 통하여 피스톤과 연결되고 상기 밸브 요소(317)는,
    - 피스톤(304) 및 피스톤 막대(312)를 통과하여 편심으로 뻗어있는 중심 핀(318)과
    - 닫힌 밸브 위치를 향하여 밸브 요소(317)를 밀기 위한 압축 스프링(3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연결기.
  13. 하우징(3,110,190)은 하나의 커플링 구멍(5)을 가지고 이 커플링 구멍(5) 안쪽에서 다양한 종류 및/ 크기의 팽창 밸브로 밸브 연결기를 밀봉하기 위한 팽창 밸브 밀봉 장치(12,13,79,80,194,330,332)를 가지는, 제 1항, 2항,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 상기 커플링 구멍은 서로에 대해 축 방향으로 움직인 둘 이상의 커플링 구멍을 포함하고 다른 직경을 가지는데, 보다 긴 직경의 커플링 구멍 부분은 보다 짧은 직경의 구멍 부분보다 외부 오우프닝과 가깝게 놓이고,
    - 팽창 밸브 밀봉 장치는 중심축(4)을 따라 다른 높이에서 커플링 구멍(5)의 중심 축(4)과 동축으로 배치된 제 1 밀봉 부분(13,80,194,332)과 제 2 밀봉 부분(12,79,200,330)으로 구성되고, 제 1 밀봉 부분은 보다 큰 커플링 구멍 부분에 배치되고 제 2 밀봉 부분은 보다 작은 커플링 구멍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연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 정지 위치(82)와 작동 위치(83)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레버 아암(102,319)을 포함하고,
    - 커플링 구멍 내부에 변형 가능한 부싱(78,366)을 포함하는데;
    레버 아암이 작동 위치에 있을 때 변형되고 레버 아암이 정지 위치에 있을 때 변형되지 않도록 변형 가능한 부싱은 레버 아암의 운동에 의해 영향을 받도록배치되고, 팽창 밸브가 커플링 구멍에 연결될 때 변형된 상태는 변형 가능한 부싱의 표면으로 나사를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구조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연결기.
  15. 차량 타이어를 팽창시키기 위해 손이나 발에 의해 인간의 힘으로 작동하기 위한 수동 또는 푸트펌프와 같은 펌프에 있어서,
    상기 펌프가,
    - 압력원에 연결되는 하우징,
    - 하우징 안쪽에서 팽창 밸브와 연결하기 위한, 중심 축과 외부 오우프닝을 가지는 커플링 구멍,
    - 팽창 밸브의 중심 탄성력에 의해 작동되는 코어 핀을 내리 누르기 위해, 커플링 구멍과 동축으로 배치된, 작동 핀과, 커플링 구멍에 결합될 때 팽창 밸브를 위치 설정하기 위한 위치 설정 장치로 구성되고,
    - 작동 핀은, 팽창 밸브가 위치 설정 장치에 의해 위치 설정될 때 근위 핀 위치에서 팽창 밸브의 코어 핀을 분리하고 원위 핀 위치에서 팽창 밸브의 코어 핀을 누르도록 위치 설정 장치에 대해 근위 핀 위치와 원위 핀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고,
    - 작동 핀은 피스톤(304)과 결합되고 피스톤(304)은 실린더 벽을 가지는 실린더(303) 내부에서 미끄러질 수 있게 배치되며 근위 핀 위치에 대응하는 근위 피스톤 위치와 원위 핀 위치에 대응하는 원위 피스톤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고,
    여기에서 실린더(303)가 압력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압력의 작용을 받을 때 피스톤(304)은 근위 피스톤 위치로부터 원위 피스톤 위치까지 움직일 수 있고,
    - 흐름 조절 장치는, 피스톤 위치에 따라 압력원과 연결 구멍 사이의 흐름 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하기 위해 구비되고 흐름 경로가 근위 피스톤 위치에서 차단되고 흐름 경로가 원위 피스톤 위치에서 개방되도록 조절되는, 차량 타이어의 팽창 밸브와 연결하기 위한 밸브 연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
  16. 하우징에 연결된 압력원으로서 수동 또는 푸트 펌프와 같은 펌프로 차량 타이어를 팽창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 압력원에 연결되는 하우징,
    - 하우징 안쪽에서 팽창 밸브와 연결하기 위한, 중심 축과 외부 오우프닝을 가지는 커플링 구멍,
    - 팽창 밸브의 중심 탄성력에 의해 작동되는 코어 핀을 내리 누르기 위해, 커플링 구멍과 동축으로 배치된, 작동 핀과, 커플링 구멍에 결합될 때 팽창 밸브를 위치 설정하기 위한 위치 설정 장치로 구성되고,
    - 작동 핀은, 팽창 밸브가 위치 설정 장치에 의해 위치 설정될 때 근위 핀 위치에서 팽창 밸브의 코어 핀을 분리하고 원위 핀 위치에서 팽창 밸브의 코어 핀을 누르도록 위치 설정 장치에 대해 근위 핀 위치와 원위 핀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고,
    - 작동 핀은 피스톤(304)과 결합되고 피스톤(304)은 실린더 벽을 가지는 실린더(303) 내부에서 미끄러질 수 있게 배치되며 근위 핀 위치에 대응하는 근위 피스톤 위치와 원위 핀 위치에 대응하는 원위 피스톤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고,
    여기에서 실린더(303)가 압력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압력의 작용을 받을 때 피스톤(304)은 근위 피스톤 위치로부터 원위 피스톤 위치까지 움직일 수 있고,
    - 흐름 조절 장치는, 피스톤 위치에 따라 압력원과 연결 구멍 사이의 흐름 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하기 위해 구비되고 흐름 경로가 근위 피스톤 위치에서 차단되고 흐름 경로가 원위 피스톤 위치에서 개방되도록 조절되는 차량 타이어의 팽창 밸브와 연결하기 위한 밸브 연결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1-7001367A 1995-02-03 1996-02-02 밸브 연결기 KR1004439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0125/95 1995-02-03
DK012595A DK171607B1 (da) 1995-02-03 1995-02-03 Ventilkobling
GB9818558.3 1995-09-1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141A Division KR100443936B1 (ko) 1995-02-03 1996-02-02 밸브연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3937B1 true KR100443937B1 (ko) 2004-08-09

Family

ID=8090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1367A KR100443937B1 (ko) 1995-02-03 1996-02-02 밸브 연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0443937B1 (ko)
DK (1) DK171607B1 (ko)
GB (1) GB2297592A (ko)
PL (2) PL183769B1 (ko)
TW (1) TW3016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300565A (en) 1995-02-03 1999-05-28 Nvb International Valve connector with two coaxial seals having different inner diameters to allow connection to different sized tyre inflation valves
DE102012105914B4 (de) * 2012-07-03 2015-08-27 Beto Engineering and Marketing Co., Ltd. Mehrzweck-Aufpumpanschluss
EP4155141A1 (de) * 2021-09-24 2023-03-29 Wilfried Mijnen Verbindungs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s reifenventils eines druckluftreifens mit einer druckluftquel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92362A (en) * 1927-07-05 1928-06-21 Royce Stuart Boyce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devices for connecting a pump or other source of pressure to pneumatic tyres and other objects for the purpose of infl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183769B1 (pl) 2002-07-31
PL183749B1 (pl) 2002-07-31
GB2297592A (en) 1996-08-07
TW301632B (ko) 1997-04-01
DK12595A (da) 1996-08-04
DK171607B1 (da) 1997-02-24
GB9503736D0 (en) 1995-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3939B1 (ko) 밸브 연결기
US8402987B2 (en) Schrader valve/Presta valve dual-mode valve cap
US6260572B1 (en) Valve-coupling device for an inflation device
US7032613B2 (en) Connector for an inflation device compatible with several types of valve
US4294141A (en) Tool and method for holding automotive valves closed during servicing
KR100443937B1 (ko) 밸브 연결기
EP1122139B1 (en) Brake hydraulic circuit bleed device and bleed kit including said device
PL186149B1 (pl) Końcówka do nadmuchiwania opon pojazdów
US5624242A (en) Hand air pump for different types of valves
US11090989B2 (en) Coupling and a valve assembly for tubeless tires, and related fitting method
AU1847000A (en) Valve connector
AU4534496A (en) Valve connector
AU2003231658A1 (en) Valve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