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3561B1 - 띠철근 이음구조 - Google Patents

띠철근 이음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3561B1
KR100443561B1 KR10-2002-0027550A KR20020027550A KR100443561B1 KR 100443561 B1 KR100443561 B1 KR 100443561B1 KR 20020027550 A KR20020027550 A KR 20020027550A KR 100443561 B1 KR100443561 B1 KR 100443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band reinforcing
band
washer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9368A (ko
Inventor
노인환
Original Assignee
이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기 filed Critical 이형기
Priority to KR10-2002-0027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3561B1/ko
Publication of KR20030089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9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3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35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5/00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 B21F15/02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 B21F15/06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Landscapes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구조물의 수직 주철근을 감싸는 띠철근의 양단부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띠철근 이음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곡률의 갖는 띠철근(51)의 양단부(53, 55)가 "8" 형상을 이루는 와셔(61)의 상부구멍(63) 및 하부구멍(65)에 각각 끼워지고, 상기 띠철근(51)의 양단부(53, 55)에 형성된 나선에 너트(71, 73)가 각각 체결되어 너트(71, 73)에 의해 와셔(61)가 지지되어 고정되므로서 띠철근(51)의 양단부(53, 55)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띠철근 이음구조{Structure for jointing a band steel reinforcement}
본 발명은 원형구조물의 수직 주철근을 감싸는 띠철근의 양단부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띠철근 이음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8" 형상을 이루는 와셔의 상부 구멍 및 하부 구멍에 띠철근의 양단부가 각각 끼워진 후 띠철근의 양단부에 형성된 나선부에 너트가 체결되는 띠철근 이음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띠철근(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대형구조물의 지주(3)에 심어지는 다수의 수직 주철근(5)들을 원주상으로 묶어서 외부의 국부적인 충격이나 하중에 의해 수직 주철근(5)의 일부가 지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국부하중을 수직 주철근(5) 전체로 분산되도록 전달함으로써 지주(3)가 오랫동안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종래의 띠철근 이음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커플러(21)에 의해 띠철근(11)의 양단(13, 15)이 서로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커플러에 의한 띠철근 이음구조는 띠철근(11)의 양단(13, 15)을 연결하는 이음부분이 직선으로 될 수 밖에 없다. 이와같은 이음구조는 띠철근(11)의 다른 둘레부분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반면 이음부분이 여전히 직선이기 때문에 곡률반경이 지나치게 커져서 기둥 단면적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구조 역학적으로도 불리한 단점이 있다.
종래의 띠철근 이음구조의 다른 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띠철근(31)이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만곡한 후 슬리브(41) 내부에 띠철근(31)의 일단(33)과 타단(35)을 삽입하고 몰탈(45)을 충전한다. 이러한 이음구조는 띠철근(31)이 일정한 곡률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커플러에 의한 띠철근 이음구조보다 진일보한 것이나 띠철근의 다른 둘레부분과는 여전히 곡률 차이가 있으며, 몰탈(45)이 굳을 때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상기 커플러에 의한 띠철근 이음구조 및 슬리브와 몰탈을 이용한 띠철근 이음구조는 띠철근의 양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부려야 띠철근의 양단이 서로 일치되기 때문에 작업 현장에서 정확하게 띠철근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부리는 벤딩작업이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8" 형상을 이루는 와셔의 상부 구멍 및 하부 구멍에 띠철근의 양단부를 각각 끼운 후 띠철근의 양단부에 형성된 나선부에 너트를 체결하여 띠철근의 양단을 서로 연결할 수 있는 띠철근 이음구조를 제공하므로서, 띠철근의 양단을 아주 정확하게 마주보게 할 필요가 없어 작업 진행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작업공정이 간편하게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원형 구조물의 철근배근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커플러에 의한 띠철근 이음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슬리브 및 몰탈에 의한 띠철근 이음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띠철근 이음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띠철근 이음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띠철근 이음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띠철근 이음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띠철근 이음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51, 91 : 띠철근 61, 101 : 와셔
71, 73, 81, 83, 111, 113 : 너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띠철근 이음구조의 일례는 소정의 곡률의 갖는 띠철근의 양단부가 "8" 형상을 이루는 와셔의 상부구멍 및 하부구멍에 각각 끼워지고, 상기 띠철근의 양단부에 형성된 나선에 너트가 각각 체결되어 너트에 의해 와셔가 지지 고정되므로서 띠철근의 양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띠철근 이음구조의 변형 예는 "8" 형상을 이루는 와셔의 하부구멍에 너트가 일체로 형성되어 띠철근의 일단부를 와셔의 하부구멍에 끼움과 동시에 상기 띠철근의 일단부에 형성된 나선에 너트를 체결하고, 상기 띠철근의 타단부를 와셔의 상부구멍에 끼운 후 상기 띠철근의 타단부에 형성된 나선에 너트를 체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띠철근 이음구조의 다른 변형 예는 "8" 형상의 와셔의 폭이 넓어 상기 와셔의 하부구멍이 탭가공되므로서 하부구멍에 나선이 형성되어 띠철근의 일단부가 와셔의 하부구멍에 체결되고, 상기 띠철근의 타단부가 와셔의 상부구멍에 끼워진 후 상기 띠철근의 타단부에 형성된 나선에 너트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띠철근 이음구조의 다른 예는 먼저 2개의 제 1 너트가 띠철근의 양단부에 각각 체결되고, 상기 띠철근의 양단부가 "8" 형상을 이루는 와셔의 상부구멍 및 하부구멍에 각각 끼워지고, 상기 띠철근의 양단부에 형성된 나선에 제 2 너트가 각각 체결되어 제 2 너트에 의해 와셔가 지지 고정되므로서 띠철근의 양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띠철근 이음구조는 소정의 곡률의 갖는 띠철근(51)의 양단부(53, 55)가 "8" 형상을 이루는 와셔 (61)의 상부구멍(63) 및 하부구멍(65)에 각각 끼워지고, 상기 띠철근(51)의 양단부 (53, 55)에 형성된 나선에 너트(71, 73)가 각각 체결되어 너트(71, 73)에 의해 와셔(61)가 지지 고정되므로서 띠철근(51)의 양단부(53, 55)가 서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띠철근 이음구조는 일반적으로 원형으로굴곡된 띠철근(51)의 양단부(53, 55)는 밖으로 벌어지려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이와같은 힘에 견딜 수 있는 와셔(61)가 요구되며, 너트(71, 73)가 양단부(53, 55)의 나선에 체결되므로서 와셔(61)가 너트(71, 73)에 의해 지지되어 와셔(61)가 고정한다.
상기 띠철근 이음구조는 와셔(61)의 상부구멍(63) 및 하부구멍(65)에 띠철근 (51)의 양단부(53, 55)를 끼울 수 있도록 띠철근(51)을 구부리면 되기때문에 띠철근의 정밀한 벤딩 작업을 필요하지 않아, 작업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띠철근 이음구조는 "8" 형상을 이루는 와셔(61')의 하부구멍(65')에 너트(71')가 일체로 형성되어 띠철근 (51')의 일단부(53')를 먼저 와셔(61')의 하부구멍(65')에 끼움과 동시에 상기 띠철근(51')의 일단부(53')에 형성된 나선에 너트(71')를 체결하고, 상기 띠철근 (51')의 타단부(55')를 와셔(61')의 상부구멍(63')에 끼운 후 상기 띠철근(51)의 타단부(55')에 형성된 나선에 너트(73')를 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띠철근 이음구조는 와셔(61)와 너트(71)가 일체로 형성되어 띠철근(51)의 일단부(53)를 와셔(61)의 하부구멍(65)에 끼움과 동시에 너트(71)를 체결할 수 있어 제 1 실시예의 띠철근 이음구조보다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띠철근 이음구조는 "8" 형상을 이루는 와셔(61")의 폭(t)을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와셔보다 넓게 성형하여 상기 와셔(61")의 하부구멍(65")에 탭가공을 하므로서 상기 와셔(61")의 하부구멍 (65")에 나선이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 제 2 실시예의 띠철근 이음구조와 그 구성이 동일하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띠철근 이음구조는 제 1 너트(81, 83)가 띠철근(91)의 양단부(93, 95)에 먼저 체결되고, 상기 띠철근(91)의 양단부(93, 95)가 "8" 형상을 이루는 와셔(101)의 상부구멍(도시하지 않음) 및 하부구멍(도시하지 않음)에 각각 끼워지고, 상기 띠철근(91)의 양단부(93, 95)에 형성된 나선에 제 2 너트(111, 113)가 각각 체결되어 제 2 너트(111, 113)에 의해 와셔(101)가 지지 고정되므로서 띠철근(91)의 양단부(93, 95)가 서로 연결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상기 띠철근 이음구조는 띠철근(91)의 양단부 이음이 완료된 후 제 1 너트(81, 83)가 후진되어 띠철근(91)의 양단부(93, 95)에 각각 밀착된다. 이것에 의해 이음작업 완료후 콘크리트 성형공정에서 콘크리트에 의해 띠철근이 수축되므로서 띠철근(91)의 양단부(93, 95)가 안쪽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철근 이음구조는 띠철근의 양단을 아주 정확하게 마주보게 할 필요가 없어 작업공정이 간편하고, 작업 진행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띠철근의 곡선 가공시 띠철근 전체에 걸쳐 곡률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소정의 곡률의 갖는 띠철근(51)의 양단부(53, 55)가 "8" 형상을 이루는 와셔 (61)의 상부구멍(63) 및 하부구멍(65)에 각각 끼워지고, 상기 띠철근(51)의 양단부 (53, 55)에 형성된 나선에 너트(71, 73)가 각각 체결되어 너트(71, 73)에 의해 와셔(61)가 지지되어 고정되므로서 띠철근(51)의 양단부(53, 55)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철근의 이음구조.
  2. "8" 형상을 이루는 와셔(61')의 하부구멍(65')에 너트(71')가 일체로 형성되어 띠철근(51')의 일단부(53')를 와셔(61')의 하부구멍(65')에 끼움과 동시에 상기 띠철근(51')의 일단부(53')에 형성된 나선에 너트(71')를 체결하고, 상기 띠철근 (51')의 타단부(55')를 와셔(61')의 상부구멍(63')에 끼운 후 상기 띠철근(51')의 타단부(55')에 형성된 나선에 너트(73')를 체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철근 이음구조.
  3. "8" 형상의 와셔(61")의 폭(t)이 넓어 상기 와셔(61")의 하부구멍(65")이 탭가공되므로서 하부구멍(65")에 나선이 형성되어 띠철근(51")의 일단부(53")가 와셔 (61")의 하부구멍(65")에 체결되고, 상기 띠철근(51")의 타단부(55")가 와셔(61")의 상부구멍(63")에 끼워진 후 상기 띠철근(51")의 타단부(55")에 형성된 나선에 너트(73")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철근 이음구조.
  4. 제 1 너트(81, 83)가 띠철근(91)의 양단부(93, 95)에 먼저 체결되고, 상기 띠철근(91)의 양단부(93, 95)가 "8" 형상을 이루는 와셔(101)의 상부구멍 및 하부구멍에 각각 끼워지고, 상기 띠철근(91)의 양단부(93, 95)에 형성된 나선에 제 2 너트(111, 113)가 각각 체결되어 제 2 너트(111, 113)에 의해 와셔(101)가 지지고정되므로서 띠철근(91)의 양단부(93, 95)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띠철근의 이음구조.
KR10-2002-0027550A 2002-05-17 2002-05-17 띠철근 이음구조 KR100443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550A KR100443561B1 (ko) 2002-05-17 2002-05-17 띠철근 이음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550A KR100443561B1 (ko) 2002-05-17 2002-05-17 띠철근 이음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368A KR20030089368A (ko) 2003-11-21
KR100443561B1 true KR100443561B1 (ko) 2004-08-12

Family

ID=32383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550A KR100443561B1 (ko) 2002-05-17 2002-05-17 띠철근 이음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356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2348A (ja) * 1986-02-03 1987-08-10 川崎製鉄株式会社 Pc鋼材の継手構造
JPS6437824U (ko) * 1987-09-01 1989-03-07
JPH02308029A (ja) * 1989-05-22 1990-12-21 Konoike Constr Ltd プレストレスを導入した鉄骨梁と柱の接合部
JPH09250204A (ja) * 1996-03-18 1997-09-22 High Frequency Heattreat Co Ltd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帯筋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17954U (ko) * 1997-11-05 1999-06-05 백성석 건축용철근의 결속장치
KR20010048018A (ko) * 1999-11-24 2001-06-15 김영구 철근 이음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2348A (ja) * 1986-02-03 1987-08-10 川崎製鉄株式会社 Pc鋼材の継手構造
JPS6437824U (ko) * 1987-09-01 1989-03-07
JPH02308029A (ja) * 1989-05-22 1990-12-21 Konoike Constr Ltd プレストレスを導入した鉄骨梁と柱の接合部
JPH09250204A (ja) * 1996-03-18 1997-09-22 High Frequency Heattreat Co Ltd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帯筋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17954U (ko) * 1997-11-05 1999-06-05 백성석 건축용철근의 결속장치
KR20010048018A (ko) * 1999-11-24 2001-06-15 김영구 철근 이음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368A (ko) 200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540B1 (ko) 철근 볼트 접합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과 보의건식 연결부 개발
JP6543383B2 (ja) 杭頭接合構造
KR102358872B1 (ko) 가설건축물용 보강구조물
KR102283875B1 (ko) 두께 가변형 이중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461914B1 (ko) 강관말뚝용 철근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강관말뚝 머리부와철근콘크리트 기초의 결합구조
KR100443561B1 (ko) 띠철근 이음구조
JP5280228B2 (ja) 鉄筋の組立構造
JP5131839B2 (ja) 外殻鋼管付コンクリート杭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09578A (ko) 철근 연결장치
JP2007177412A (ja) コンクリートへの固着金物
KR101938887B1 (ko) 고정장치를 구비한 띠철근 배근구조
JP6532724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830335B1 (ko)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용 보조띠철근
KR101594728B1 (ko) 복합파일
KR102158265B1 (ko) 철근 이음용 반자동 커플러
JP2538528B2 (ja) 斜面安定化工法
JP2003147960A (ja) 鉄筋取付型セパレータボルト及びその取付構造
KR200341381Y1 (ko) 기초 구조물용 휨/전단 겸용보강재
JP2006104785A (ja) 定着部付き鉄筋
KR200245357Y1 (ko) 강관말뚝용 강재 결합구
KR200260265Y1 (ko) 콘크리트 타설용 기초구조재
JP2007231626A (ja) 鉄筋の支持金具及び支持方法並びに鉄筋の組立方法
JP2023170197A (ja) プレキャスト梁接合構造
KR200271179Y1 (ko) D25철근 쏘일네일링 보강소켓
KR200258900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기초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