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2949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2949B1
KR100442949B1 KR10-2002-0015027A KR20020015027A KR100442949B1 KR 100442949 B1 KR100442949 B1 KR 100442949B1 KR 20020015027 A KR20020015027 A KR 20020015027A KR 100442949 B1 KR100442949 B1 KR 100442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fastening
battery cel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5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5677A (ko
Inventor
남도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5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2949B1/ko
Publication of KR20030075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5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9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면서 전체 두께를 감소시킨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충방전 물질이 채워진 배터리 셀과, 배터리 셀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부착된 제1 및 제2 금속 커버와, 제1 및 제2 금속 커버가 배터리 셀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제1 및 제2 금속 커버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배터리 셀의 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1 및 제 2 금속 커버의 가장자리가 각각 삽입되는 제1 및 제2 체결홈이 형성된 체결밴드와, 상기 제1 및 제2 체결홈으로 삽입되는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커버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체결홈의 측벽에 밀착되는 가압 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구성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A battery of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면서 전체 두께를 감소시킨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대개 충방전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2차 전지인 리듐 이온 전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는 충방전을 위한 단자들이 형성된 배터리 셀(battery cell)과 보호 회로(Protection Circuit Module : PCM), 절연체, 기타연결단자들로 된 소프트 팩(soft pack)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폴리 카보네이트(poly carbonates)등으로 된 합성 수지 계열의 몰딩재를 몰딩 성형하여 형성한 커버로 감싼 하드 팩(hard pack)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결합되어 방전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고, 일정시간 방전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분리시켜 별도의 충전장치를 통해 충전시켜 재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는 경박 단소화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왔다.
즉, 종래 배터리는 소프트 팩을 감싸는 커버가 외부 충격으로부터 내부의 소프트 팩을 보호하여야 하는 강도를 지녀야 하는데, 합성 수지 계열의 몰딩재를 사용함으로써 몰딩 성형의 특성상 두께를 최소 0.3 ㎜ 이상으로 몰딩 성형해야 한다.
따라서, 배터리 셀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최소 0.3 ㎜ 두께 이상의 커버가 감싸지므로 커버의 두께인 0.6 ㎜ 이상만큼 배터리의 전체 두께가 두터워져 배터리의 경박 단소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배터리의 커버는 복잡한 몰딩 성형과정을 거치므로 생산단가가 상승되고, 또한 커버를 고정하기 위해 체결 볼트 등의 별도 체결구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배터리의 조립공정이 매우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면서 전체 두께를 감소시킨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내부에 충방전 물질이 채워진 배터리 셀과, 배터리 셀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부착된 제1 및 제2 금속 커버와, 제1 및 제2 금속 커버가 배터리 셀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제1 및 제2 금속 커버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배터리 셀의 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1 및 제 2 금속 커버의 가장자리가 각각 삽입되는 제1 및 제2 체결홈이 형성된 체결밴드와, 상기 제1 및 제2 체결홈으로 삽입되는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커버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체결홈의 측벽에 밀착되는 가압 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구성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 배터리 셀(battery cell) 14a,14b : 금속 커버
16 : 체결 밴드 17a,17b : 체결홈
18 : 돌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에 대한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10)는 크게 배터리 셀(12), 제1 및 제2 금속 커버(14a,14b)그리고 체결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배터리 셀(12)은 내부에 리듐 이온 등의 충방전 물질이 채워진다.
미설명 도면 부호 13은 배터리 셀의 충방전을 위한 단자이다.
제1 및 제2 금속 커버(14a,14b)는 배터리 셀(12)을 외부의 충격 또는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배터리 셀의 전면과 후면을 덮고, 체결 수단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체결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금속 커버는 0.1 ㎜ 두께(t)를 갖는 써스(SUS) 304 재질로 배터리 셀의 전면과 후면을 덮고, 배터리 셀의 측면에 일부가 덮여지도록 가장자리가 절곡되어 형성된다.
체결 수단은 제1 및 제2 금속 커버(14a,14b)가 배터리 셀(12)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제1 및 제2 금속 커버를 체결하는 것으로서, 배터리 셀의 측면을 에워싸고 제1 및 제2 금속 커버의 절곡된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제1 및 제2 체결홈(17a,17b)이 형성된 체결밴드(16)와, 제1 및 제 2 체결홈으로 끼워지는 제1 및 제2 금속 커버의 절곡된 가장자리에 외측으로 일정하게 돌출된 가압 돌기(18)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체결밴드(16)는 폴리 실리콘 등의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하여 일정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는 조립시 배터리(10)전체의 두께(T)를 감소시키면서 배터리 셀(12)을 외부의 충격 또는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는 체결 밴드(16)내부에 배터리 셀(12)을 밀어 넣으면 체결 밴드의 탄성력에 의해 배터리 셀의 측면 가장자리에 체결 밴드(16)가 밀착 결합된다.
그리고, 배터리 셀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제1 및 제2 금속 커버(14a,14b)의 절곡된 가장자리와 제1 및 제2 체결홈(17a,17b)의 위치가 서로 일치되게 놓여진 상태에서 제1 및 제2 금속 커버를 양방향에서 압착하면 가압 돌기(18)가 제1 및 제2 체결홈으로 삽입되면서 홈의 측벽에 체결 밴드(16)의 탄성력에 의해 밀착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는 볼트 등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조립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는 0.1 ㎜ 두께(t)를 갖는 써스(SUS)재질의 제1 및 제2 금속 커버(14a,14b)를 사용함으로써 외부의 충격 또는 오염으로부터 배터리 셀(12)을 보호하면서 합성 수지 재질로 몰딩 성형된 커버를 사용한 배터리의 전체 두께에 비하여 조립된 배터리의 전체 두께(T)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는 배터리 셀의 측면에 체결 밴드를 결합한 다음 제1 및 제2 금속 커버의 가장자리를 사용하여 배터리 셀을 덮고, 제1 및 제2 금속 커버를 누르면 볼트 등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제1 및 제2 금속 커버가 체결 밴드에 결합됨으로써 배터리의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배터리의 조립과정을 단순화시켜 단위 시간당 생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는 0.1 ㎜ 의 두께를 갖는 제1 및 제2 금속 커버를 사용함으로써 배터리의 경박 단소화가 가능하면서 외부의 충격 또는 오염으로부터 배터리 셀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3)

  1.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에 있어서,
    내부에 충방전 물질이 채워진 배터리 셀과;
    상기 배터리 셀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부착된 제1 및 제2 금속 커버와;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커버가 상기 배터리 셀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커버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배터리 셀의 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1 및 제 2 금속 커버의 가장자리가 각각 삽입되는 제1 및 제2 체결홈이 형성된 체결밴드와;
    상기 제1 및 제2 체결홈으로 삽입되는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커버의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체결홈의 측벽에 밀착되는 가압 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커버는 0.1 ㎜ 두께를 갖는 써스(SUS)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3. 삭제
KR10-2002-0015027A 2002-03-20 2002-03-20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KR100442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027A KR100442949B1 (ko) 2002-03-20 2002-03-20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027A KR100442949B1 (ko) 2002-03-20 2002-03-20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677A KR20030075677A (ko) 2003-09-26
KR100442949B1 true KR100442949B1 (ko) 2004-08-04

Family

ID=32225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5027A KR100442949B1 (ko) 2002-03-20 2002-03-20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294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3599A (en) * 1985-06-27 1986-11-18 Union Carbide Corporation Double-grooved gasket for galvanic cells
JPH02106869A (ja) * 1988-10-17 1990-04-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鉛蓄電池のパック構造
JP2000285963A (ja) * 1999-03-31 2000-10-13 Mitsubishi Chemicals Corp 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076697A (ja) * 1999-09-02 2001-03-23 Tookado:Kk 電池パック蓋結合構造
JP2001093495A (ja) * 1999-07-19 2001-04-06 Toshiba Battery Co Ltd 電池パック
JP2001351589A (ja) * 2000-06-06 2001-12-21 Rp Topla Ltd 電池パ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3599A (en) * 1985-06-27 1986-11-18 Union Carbide Corporation Double-grooved gasket for galvanic cells
JPH02106869A (ja) * 1988-10-17 1990-04-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鉛蓄電池のパック構造
JP2000285963A (ja) * 1999-03-31 2000-10-13 Mitsubishi Chemicals Corp 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093495A (ja) * 1999-07-19 2001-04-06 Toshiba Battery Co Ltd 電池パック
JP2001076697A (ja) * 1999-09-02 2001-03-23 Tookado:Kk 電池パック蓋結合構造
JP2001351589A (ja) * 2000-06-06 2001-12-21 Rp Topla Ltd 電池パ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677A (ko) 200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7994B2 (en) Battery pack
EP2062310B1 (en) Battery pack and motor-driven tool using the same
KR100791551B1 (ko) 보호회로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전지 및 상기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하는 전지 제조 방법
US7479040B2 (en) Battery module
KR100595038B1 (ko) 박형 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80305367A1 (en) Battery pack
JP5355523B2 (ja) 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二次電池に適用されるキャッププレ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密封ユニット
US20060228623A1 (en) Battery pack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RU2308791C1 (ru) Уплотняю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литий-ионной полимерной батареи
KR100553200B1 (ko) 전지 팩
KR20090042734A (ko) 전지팩
KR100462465B1 (ko) 충방전 겸용잭을 갖는 충전지 케이스구조 및 이에연결되는 방수용 잭플러그
KR20140100085A (ko) 배터리팩
JP4548663B2 (ja) 電池パック
JP3851284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
KR100705492B1 (ko) 소형 전기기기용 전지팩
KR10044294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JP4539357B2 (ja) バッテリ、充電装置及び電子装置
KR20070108800A (ko) 방수 및 내구성이 향상된 전지팩
KR100883921B1 (ko) 개선된 전지팩
US7768231B2 (en) Battery pack
JP2005085543A (ja) 薄型バッテリーパック
US6459886B1 (en)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partition wall
CN101501888B (zh) 改进的电池组
JP2006331819A (ja) 電池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