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2562B1 - 냉각팬용 다단계 구동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냉각팬용 다단계 구동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2562B1
KR100442562B1 KR10-2002-0015589A KR20020015589A KR100442562B1 KR 100442562 B1 KR100442562 B1 KR 100442562B1 KR 20020015589 A KR20020015589 A KR 20020015589A KR 100442562 B1 KR100442562 B1 KR 100442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fan
ambient temperature
stage
comparator
switch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5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5978A (ko
Inventor
박걸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워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워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워넷
Priority to KR10-2002-0015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2562B1/ko
Publication of KR20030075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5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5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4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by varying driving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Air Blower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위 온도의 크기에 따라 그에 적합한 냉각팬의 회전 속도를 여러 단계로 마련하여 과속 운전을 억제함으로써 냉각팬의 소음을 줄이고 전력소비량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냉각팬용 다단계 구동제어회로를 개시한다. 이 다단계 구동제어회로는 입력전원과 냉각팬 사이의 지로에 배치되며, 제어단에 흐르는 제어전류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냉각팬으로 제공되는 구동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는 스위칭소자와, 실제의 주위 온도를 센싱하고, 센싱된 주위 온도에 따라 상기 스위칭소자의 제어단에 연결되는 저항값이 여러 가지 값으로 가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어전류의 크기를 주위 온도에 대응하여 단계적으로 가변시키는 스위칭소자 제어부로 구성된다. 냉각팬의 회전속도가 상위 단계에서 하위 단계로 전환하는 경우의 전환점 온도와 하위 단계에서 상위 단계로 전환하는 경우의 전환점 온도가 서로 다르게 정의되어, 냉각팬의 속도 상승 빈도가 작아지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냉각팬용 다단계 구동제어회로 {driving control circuit for a multi-staged operation of a cooling fan}
본 발명은 팬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팬을 구동함에 있어서 열원의 온도를 감지하여 그 감지된 온도에 따라 냉각팬의 속도를 적정한 수준으로 조절하도록 설계된 다단계 구동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나 다른 여러 전자제품에는 자체적으로 열이 많이 발생하므로 그 열을 식혀주어 일정한 온도 이하로 유지시키지 않으면 기기의 오동작이나 열화가 생긴다. 때문에 컴퓨터 등은 발생되는 열을 식혀주기 위한 용도로 냉각팬을 내장하는 구성을 갖는다. 그런데 냉각팬은 열을 식혀주어 정상 동작을 보장한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으로 기능하지만, 한편으로는 구동 시 소음을 많이 발생시킨다는 점에서는 부정적으로 기능한다. 컴퓨터 등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그 자체가 근무환경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그 정도가 심하면 정서 불안, 집중력 저하, 업무능률의 저하를 유발한다. 그래서 냉각팬을 장착하는 기기의 경우 냉각팬의 구동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하는 해결책이 크게 요구되고 있다.
종래에 많이 사용된 냉각팬 구동제어회로는 냉각팬에 직접 구동전압을 인가하여 제품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량의 정도와 상관없이 무조건 냉각팬의 최고 속도로 동작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방식은 냉각팬의 수명을 단축시키며 냉각팬의 동작 소음을 줄일 수가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위 온도에 따라 냉각팬의 전류를 조정하여 속도를 선형적으로 조절하는 방식이 적용되기도 하였는데, 도 1은 이 방식에 따른 냉각팬 구동제어회로의 일예를 도시한다. 이 구동제어회로는 냉각팬(10)에 제공되는 전압이 트랜지스터(Q1)의 도통 상태에 따라 다른 값이 되며, 트랜지스터(Q1)의 도통 여부는 장치의 주위 온도가 상승하면 저항값이 감소하는 서미스터(TH1)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회로 구성에 의하면 주위 온도에 따라 냉각팬(10)의 전압 변동이 매우 심하게 되어, 불규칙적인 소음을 유발한다. 뿐만 아니라 완전히 열이 식지 않았어도 냉각팬(10)의 속도를 줄이므로 전자 부품에 손상을 줄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은 주위 온도의 크기에 따라 그에 적합한 냉각팬의 회전 속도를 여러 단계로 마련하여 과속 운전을 억제함으로써 냉각팬의 소음을 줄이고 전력소비량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냉각팬용 다단계 구동제어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며, 도면에서 대응되는 부분을 지정하는 번호는 같다.
도 1은 종래의 냉각팬 구동제어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용 3단계 구동제어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3단계 구동제어회로의 동작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입력전원 30: 제1 비교기
40: 제2 비교기 50: 냉각팬
60: 온도가변형 전압분배부 70: 비교기부
80: 저항기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입력전원과 냉각팬 사이의 지로에 배치되며, 제어단에 흐르는 제어전류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냉각팬으로 제공되는 구동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는 스위칭소자; 및 실제의 주위 온도를 센싱하고, 센싱된 주위 온도에 따라 상기 스위칭소자의 제어단에 연결되는 저항값이 여러 가지 값으로 가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어전류의 크기를 주위 온도에 대응하여 단계적으로 가변시키는 스위칭소자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팬용 구동제어회로가 제공된다.
상기 스위칭소자 제어부는 구체적으로, 입력전압을 분배하여 다수의 출력단으로 크기가 서로 다른 전압을 제공하되, 각 출력단에 나타나는 전압은 주위의 온도값에 따른 변동량이 반영된 값을 갖는 온도가변형 전압분배기; 상기 전압분배기의 각 출력단마다 연결되는 다수의 비교기를 포함하며, 각 비교기는 상기 전압분배기가 제공하는 입력전압을 기준전압과 크기 비교를 하여 그 결과에 따라 하이 또는 로우 레벨을 출력하는 비교기부; 및 상기 비교기부의 각 비교기의 출력단과 상기 스위칭소자의 제어단 사이에 개재되어, 각 비교기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제어단에 연결되는 저항값이 여러 단계의 값들 중 어느 하나로 정해지도록 하는 저항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도가변형 전압분배기는, 각 출력단에 나타나는 전압에 주위의 온도 변동분을 반영하기 위해, 주위 온도의 크기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되는 서미스터 소자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교기부의 각 비교기는 비동작 상태에서 동작상태로 되면 상기 기준전압도 함께 낮아져서, 냉각팬의 회전속도가 상위 단계에서 하위 단계로 전환하는 경우의 전환점 온도와 하위 단계에서 상위 단계로 전환하는 경우의 전환점 온도가 서로 다르게 정의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용 3단계 구동제어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3단계 구동제어회로의 동작특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 실시예의 구동제어회로는 주위 온도에 따라 구분된 3단계의 속도로 냉각팬(50)을 운전하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 구동제어회로는 입력전원(20)과 냉각팬(50) 사이의 지로에 배치되며, 제어단에 흐르는 제어전류량에 대응하여 냉각팬(50)에 흘려주는 구동전류량을 가변시키는 스위칭소자를 포함한다. 도시된 것처럼 예컨대 pnp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를 스위칭소자로서 이용할 수 있다. 냉각팬(50)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를 통해 입력전원(20)에 연결된다.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류 IB의 크기를 가변시키면 냉각팬(50)에 제공되는 동작전류 IC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류 IB를 주위 온도의 크기에 연관시켜 단계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면, 결과적으로 냉각팬(50)에 제공되는 동작전류 IC를 주위 온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가변제어를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치에 따르면, 결국 냉각팬(50)의 운전속도를 주위 온도에 대응시켜 단계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개념에 착안하여, 이 구동제어회로는 또한 이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를 통해 냉각팬(50)에 제공되는 동작 전류를 주위 온도의 레벨에 따라 다단계 설정치들 중에서 어느 한 가지로 선택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스위칭소자 제어부(60, 70, 80)를 더 포함한다. 이 스위칭소자 제어부는 실제로 주위 온도를 센싱하고, 센싱된 주위 온도의 레벨에 따라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단에 연결되는 저항값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베이스단을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냉각팬(50)의 동작전류를 선택 제어한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해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류는 그 크기가 주위 온도에 대응하여 단계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이 같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스위칭소자 제어부는 온도가변형 전압분배기(60), 비교기부(70) 및 저항기부(80)를 구비한다.
온도가변형 전압분배기(60)는 입력전원(20)과 접지 사이에 전압분배를 위한 다수의 저항기(R10, R11, R13)와 주위 온도를 감지하여 그 온도값이 증가함에 따라 저항이 감소되는 서미스터 소자(TH2)를 포함한다. 주위 온도의 변화가 각 출력단(62, 64)의 출력전압에 공통적으로 반영되도록 하기 위해, 각 저항기(R11, R13)마다 출력단으로 활용하며 이들 출력단(62, 64)의 상단에 서미스터 소자(TH2)를 배치하는 구성을 취한다. 각 출력단(62, 64)에는 안정된 출력전압을 얻기 위해 캐패시터(C2, C3)를 연결하면 좋다.
이 같은 구성에 의해 온도가변형 전압분배기(60)는 입력전원(200)의 전압을 분배하여 각 출력단(62, 64)으로 크기가 서로 다른 전압을 제공한다. 특히, 각 출력단(62, 64)에 나타나는 전압은 주위의 온도값에 따른 변동량이 반영된 값이 된다.
비교기부(70)는 기준전압과 입력전압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의 전압을 출력하는 비교기(30, 40)를 다수 포함한다. 입력전원(20)과 접지 사이에 직렬 연결된 두 저항기(R14, R15)의 분배전압이 공통적으로 제1 비교기(30)와 제2 비교기(40)의 기준전압 Vref으로 제공된다. 각 비교기(30, 40)의 입력전압은 전압분배기(60)의 각 출력단(62, 64)의 출력전압 V1과 V2가 된다. 또한 각 비교기(30, 40)의 비반전단자(72)와 출력단(74, 76) 사이에는 직렬의 저항과 다이오드(R17, D1)와 (R16, D2)가 각각 연결된다. 또한 제1 비교기(30)와제2 비교기(40)의 각 출력단(74)과 (76)에는 저항(R18)과 (R19)가 각각 연결된다.
이 같은 구성에 의해, 제1 비교기(30)와 제2 비교기(40)는 전압분배기(60)의 각 출력전압 V1과 V2를 각각 입력전압으로 하여 이를 기준전압 Vref와 각각 비교하고, 비교결과 입력전압 V1과 V2가 기준전압 Vref 보다 높으면 출력단(74)의 전위가 로우레벨로 되고 반대의 경우는 하이레벨로 된다.
저항기부(80)는 입력전원(20)과 접지 사이에 직렬 연결된 저항기(R20, R22), 이들 두 저항기(R20, R22)의 연결점과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기(R21), 그리고 각 비교기(30과 40)의 출력단과 두 저항기(R20, R22)의 연결점 사이에 개재되는 저항기(R18, R19)를 포함한다.
저항기부(80)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연결되는 저항값을 정의하여 베이스 전류 IB를 결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 전류IB가 결정되면 컬렉터 전류 IC가 결정되는 관계에 있으므로, 결국 냉각팬(50)에 제공되는 전류 IC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연결되는 저항의 값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 2의 구동제어회로는 냉각팬(50)의 회전속도를 3단계로 구분하여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3단계 구동제어란 냉각 대상물의 주위 온도를 기준으로 냉각팬의 운전속도를 크게 상, 중, 하의 3단계로 구분하고, 감지되는 실제 온도에 따라서 그에 해당하는 운전속도로 냉각팬을 회전시키는 구동방식을 의미한다. 각 단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제 1단계(초기 단계)는 주위의 온도가 가장 낮은 '하'의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로서 최소의 전류를 냉각팬에 인가하여 가장 느린 속도로 냉각팬이 동작하도록 설정한 단계이다. 주위 온도가 낮을 때에는 냉각팬(50)도 저속으로 운전하여 소음 발생을 최대한 억제한다. 제 2단계는 주위의 온도가 '중'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로서, 제1 단계보다는 빠른 속도로 냉각팬(50)을 구동하여야 하는 단계이다. 제 3단계는 주위의 온도가 가장 높은 '상'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로서, 냉각팬(50)을 가장 빠르게 운전해야 하는 단계이다. 냉각팬(50)에서 소음은 가장 크게 나겠지만 냉각 대상물의 정상 동작을 위해서는 불가피하다. 도 3의 3단계 구동제어의 동작특성 그래프를 함께 참조하면서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단계에서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주위의 온도가 제 1단계의 온도 상한(예컨대 도 3에서는 이를 40℃로 가정함)을 넘어서지 않으면 서미스터(TH2)의 저항은 상대적으로 높아서 제1 및 제2 비교기(30, 40)의 입력전압 V1과 V2는 그 어느 것도 기준전압 Vref보다 낮게 나타난다. 이 경우에는 제1 및 제2 비교기(30, 40)는 공히 출력단(74, 76)에 하이 레벨의 전압이 나타난다. 따라서 저항기(R20)와 저항기(R22)에 의해 분배되는 전압이 베이스단에 걸리므로 베이스전류 IB는 크기가 작고, 그 결과 냉각팬(50)에 제공되는 전류 IC도 역시 작아서 캐패시터(C15)는 예컨대 8V의 낮은 전위로 충전되고 이 충전전압의 방전으로 구동되는 냉각팬(50)은 예컨대 1000rpm의 저속으로 구동되어, 발생 소음이 세 단계 중에서 가장 낮게 나타난다.
주위의 온도가 올라가면 서미스터(TH2)의 저항값은 점점 내려가는데, 주위 온도가 제1 단계의 온도 상한인 예컨대 40℃ 보다 높아지면 이제는 저항(R10)과 서미스터(TH2)에서의 전압강하가 작아지고 상대적으로 출력단(62, 64)에 나타나는 전압 레벨이 높아진다. 주위 온도가 제2 단계의 온도 상한인 예컨대 50℃를 넘지 않으면, 출력단(62)의 전압 V1은 기준전압 Vref보다 높지만 출력단(64)의 전압 V2는 기준전압 Vref보다는 낮게 나타난다. 이 때에는 제1 비교기(30)만 동작하여 그 출력단(74)이 로우로 되어 저항(R18)과 저항(R22)은 병렬연결로 되어 노드(82)에 걸리는 전압은 낮아진다. 그 결과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류 IB가 증가하여 종국적으로 냉각팬(50)에 걸리는 전압은 예컨대 10V로 상승하고, 냉각팬(50)은 제 1단계보다 고속인 예컨대 2000rpm의 속도로 상승하여 회전하게 된다.
한편, 제1 비교기(30)의 출력단(74)의 전압이 로우레벨로 나타남에 따라 다이오드(D1)가 도통 상태가 되어 기준전압 노드(72)의 저항값도 감소한다. 그 결과 기준전압 Vref도 감소된다. 냉각팬(50)을 한 단계 고속으로 운전함에 따라 주위 온도가 다시 내려가고 서미스터(TH2)의 저항값이 증가하여 전압 V1이 다시 내려간다 하더라도 기준전압 Vref도 역시 감소한 상태이므로 곧바로 제 1단계로 환원되지 않고, V1이 Vref 이하로 내려갈 때까지는 여전히 제1 비교기(30)가 로우레벨 출력을 유지한다. 예컨대 주위 온도가 제1 단계의 온도범위의 중간값인 35℃ 정도까지 내려와서야 비로소 제1 비교기(30)의 출력전압이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전환되어, 다시 제 1단계의 구동조건으로 환원된다.
만약 주위 온도가 제2 단계의 온도 상한인 예컨대 50℃를 초과하면 서미스터(TH2)의 제2 비교기(40)의 입력전압 V2 마저도 기준전압 Vref보다 높아져서 제2 비교기(40)의 출력단(76) 전압도 로우레벨로 나타난다. 이에 의해 노드(82)와 접지 간의 합성저항값은 더욱 감소하여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류 IB는 더욱 증대되고 캐패시터(C15)의 충전전압은 예컨대 12V까지 높아진다. 그 결과 냉각팬(50)은 더욱 빠른 속도 예컨대 3000rpm의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고속회전으로 인한 냉각팬(50)의 소음은 높지만 이는 과열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이다.
제2 비교기(40)의 출력단(76)이 로우레벨이 되면 다이오드(D2)가 도통하여 기준전압 Vref는 더욱 내려간다. 이에 의해 냉각팬(50)의 고속 회전에 의해 주위 온도가 50℃ 이하로 내려오더라도 곧바로 제2 단계의 회전속도로 환원되지 않고, 주위 온도가 예컨대 제2 단계의 온도범위의 중간값 정도인 45℃ 정도까지 내려오면 그 때서야 V2가 Vref보다 작아져서 제2 비교기(40)의 출력전압이 하이레벨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동제어회로의 경우, 비교기부(70)의 각 비교기(30, 40)는 비동작 상태(하이레벨의 출력)에서 동작 상태(로우레벨의 출력)로 되면 기준전압 Vref도 함께 낮아지도록 설계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동작특성 그래프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다단계 구동제어회로는 냉각팬(50)의 회전속도의 단계 상승을 야기하는 온도값과 단계 하강을 야기하는 온도값이 서로 다르게 설계되어 있다. 그러므로 냉각팬의 회전속도가 낮은 단계에서 높은 단계로 이전한 다음에 냉각팬의 계속적인 고속 회전에 의해 설사 주위 온도가 다시 낮아진다 해도 단계 상승의 상한 온도보다 더 낮은 온도 즉, 적정온도 이하로 내려갈 때까지는 그 단계의 회전속도를 계속 유지한다.
예컨대 제 2단계에서 냉각팬을 운전하다가 주위 온도가 40℃ 이하로 내려갔다 하여 그 이후의 온도가 계속 하강하는 방향으로 변화를 할지는 미지수이며, 다시 재상승 할 수도 있다. 또한 예컨대 주위 온도가 35℃ 이하에서 그 이상으로 상승하였다 하여 곧바로 냉각팬의 회전속도를 한 단계 더 높이는 것은 주위 온도가 다시 하강 방향으로 바뀔 가능성을 무시하는 결과가 된다. 이런 점들을 고려하여, 냉각팬의 회전속도를 상위 단계에서 하위 단계로 전환하는 경우의 전환점 온도와 하위 단계에서 상위 단계로 전환하는 경우의 전환점 온도를 서로 다르게 정의되도록 회로를 설계한다. 사람은 특히 냉각팬이 낮은 속도에서 높은 속도로 전환이 있을 때 소음을 크게 느낀다. 따라서 가능하면 냉각팬의 속도 상승 빈도가 작아지도록 하는 구동제어방식이 효과적이다. 본원발명은 이러한 요구에 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동제어회로에 12V의 동작전압을 제공하여 냉각팬 단품을 테스트 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위 온도가 제 1단계에서는 냉각팬에 제공되는 동작전압이 8.4V이고 이 때 냉각팬의 소음은 15dB 이하로 측정되었다. 제2 단계의 주위 온도에서는 냉각팬에 제공되는 동작전압이 10.8V이고 냉각팬의 소음은 20dB로 측정되었다. 끝으로 주위 온도가 제 3단계 수준일 때에는 냉각팬의 동작전압이 12.2V이고 그 때의 냉각팬의 소음수준은 25dB로 측정되었다. 이 같은 소음수준은 평균적으로 비교할 때 기존의 방식에 비해 절반이하의 수준이다. 소음이 낮은 쾌적한 환경의 조성이 가능하며, 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 감소와 이에 따른 업무능률의 향상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냉각팬의 회전속도를 3단계로 구분하여 구동제어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위에서 설명한 개념에 기초할 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2단계 또는 4단계 이상으로 구분된 다단계 구동제어회로도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의 등가적인 의미나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화들은 전부 본 발명의 권리범위 안에 속함을 밝혀둔다.

Claims (5)

  1. 입출력단과 제어단을 구비하며, 상기 입출력단이 입력전원과 냉각팬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단에 공급되는 제어전류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냉각팬으로 제공되는 구동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는 스위칭소자; 및
    출력단자가 상기 스위칭소자의 제어단에 연결되며, 실제의 주위 온도를 센싱하고, 센싱된 주위 온도에 따라 상기 스위칭소자의 제어단에 연결되는 저항값이 여러 가지 값으로 가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어전류의 크기를 주위 온도에 대응하여 단계적으로 가변시키는 스위칭소자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위칭소자 제어부는,
    입력전압을 분배하여 다수의 출력단으로 크기가 서로 다른 전압을 제공하되, 주위 온도의 크기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되는 서미스터 소자를 이용하여 각 출력단에 나타나는 전압에 주위의 온도값에 따른 변동량이 반영되도록 구성된 온도가변형 전압분배기;
    상기 전압분배기의 각 출력단마다 연결되는 다수의 비교기를 포함하며, 각 비교기는 상기 전압분배기가 제공하는 입력전압을 기준전압과 크기 비교를 하여 그 결과에 따라 하이 또는 로우 레벨을 출력하되 비동작 상태에서 동작상태로 되면 상기 기준전압도 함께 낮아져서, 냉각팬의 회전속도가 상위 단계에서 하위 단계로 전환하는 경우의 전환점 온도와 하위 단계에서 상위 단계로 전환하는 경우의 전환점 온도가 서로 다르게 정의되도록 구성된 비교기부; 및
    상기 비교기부의 각 비교기의 출력단과 상기 스위칭 소자의 제어단 사이에 연결되어, 각 비교기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제어단에 연결되는 저항값이 여러 단계의 값들 중 어느 하나로 정해지도록 하는 저항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팬용 구동제어회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소자는 베이스단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컬렉터 전류가 변동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팬용 구동제어회로.
  5. 삭제
KR10-2002-0015589A 2002-03-22 2002-03-22 냉각팬용 다단계 구동제어회로 KR100442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589A KR100442562B1 (ko) 2002-03-22 2002-03-22 냉각팬용 다단계 구동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589A KR100442562B1 (ko) 2002-03-22 2002-03-22 냉각팬용 다단계 구동제어회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615U Division KR200284552Y1 (ko) 2002-03-22 2002-03-22 냉각팬용 다단계 구동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978A KR20030075978A (ko) 2003-09-26
KR100442562B1 true KR100442562B1 (ko) 2004-08-04

Family

ID=32225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5589A KR100442562B1 (ko) 2002-03-22 2002-03-22 냉각팬용 다단계 구동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25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423B1 (ko) * 2004-03-04 2006-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냉각팬 가변속도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5422484B (zh) * 2015-12-07 2018-04-13 广州市耀安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低噪声智能管道风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8852A (ja) * 1994-03-09 1995-09-26 Meidensha Corp 電源装置の冷却ファンコントロール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8852A (ja) * 1994-03-09 1995-09-26 Meidensha Corp 電源装置の冷却ファンコントロー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978A (ko) 200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77491C (zh) 直流风扇自启动电路
CN1116733C (zh) 使开关稳压器的接通时间恒定的电路和方法
US7412612B2 (en) Dynamically optimized power converter
US20030095368A1 (en) Inrush current control method using a dual current limit power switch
JPH10133754A (ja) レギュレータ回路及び半導体集積回路装置
TWI398089B (zh) 馬達轉速控制方法與電路
KR20050061549A (ko) 동적 부하를 가진 가변 전하 펌프 회로
US20140103851A1 (en) Use of Cooling Fan in Adjustable Speed Drives
KR100423995B1 (ko) 대기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US6275403B1 (en) Bias controlled DC to AC converter and systems
EP1026689B1 (en) Voltage down converter with switched hysteresis
KR100442562B1 (ko) 냉각팬용 다단계 구동제어회로
CN108430139B (zh) 具有可控硅调光器的led驱动电路及其控制方法
KR100695979B1 (ko) 인버터제어식 발전기
KR200284552Y1 (ko) 냉각팬용 다단계 구동제어회로
JPH0731190A (ja) ファンモータの駆動回路
US7447423B2 (en) Fan speed control device and metho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US20030161082A1 (en) Power supply with low los making current limitation
CN108733115A (zh) 一种稳压器和电子设备
JP2949005B2 (ja) バッテリ式電子デバイス用装置
CN105634350B (zh) 直流无刷电机的控制电路
CN113494467B (zh) 具有温度补偿的风扇控制电路及其风扇控制方法
KR19990034540U (ko) 온도에 따른 냉각팬 속도 제어회로
US6531851B1 (en) Linear regulator circuit and method
KR100982747B1 (ko) 모터 속도 제어 신호 발생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속도제어 기능을 갖는 모터 구동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