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1989B1 - 부분전송열 직교 주파수분할다중화 시스템에서 부블럭신호의 위상계수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부분전송열 직교 주파수분할다중화 시스템에서 부블럭신호의 위상계수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1989B1
KR100441989B1 KR10-2001-0071271A KR20010071271A KR100441989B1 KR 100441989 B1 KR100441989 B1 KR 100441989B1 KR 20010071271 A KR20010071271 A KR 20010071271A KR 100441989 B1 KR100441989 B1 KR 100441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peak power
signal
setting
sub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1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9894A (ko
Inventor
강군석
최권휴
김수영
이호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1-0071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1989B1/ko
Priority to US10/298,086 priority patent/US7352689B2/en
Publication of KR20030039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9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1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19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14Peak power aspects
    • H04L27/2621Reduction thereof using phase offsets between sub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부분전송열 직교 주파수분할다중화 시스템에서 위상계수를 설정하는 위상계수 설정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부분전송열 직교 주파수분할다중화에서 위상계수 설정방법을 위상값별 순차적 진행에 의해 설정함으로써 각 부블럭 신호에 적용되는 위상계수가 첨두전력을 감소시키는 위상값으로 진행되게 되어 복잡도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첨두전력 대 평균전력 비 감소성능을 향상시키고, 동일한 횟수의 첨두전력 계산과정을 수행하는 경우 기존의 기법에 비해 향상된 첨두전력 대 평균전력 비 감소 성능을 얻을 수 있는 위상계수 설정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부분전송열 직교 주파수분할다중화 시스템에서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 설정방법에 있어서, 부블럭 신호에 대하여 첫번째 위상값으로 모든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를 설정하여 초기화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위상계수가 설정된 부블럭 신호를 더하여 만들어진 신호의 첨두전력을 구하여 기준 첨두전력으로 설정하는 제 2 단계; 다음번째 위상값을 각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로 적용하면서 출력신호의 첨두전력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위상값을 각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로 설정하는 제 3 단계; 및 나머지 사용가능한 위상값에 대하여 상기 제 3 단계를 반복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직교 주파수분할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부분전송열 직교 주파수분할다중화 시스템에서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 설정방법{The method of Phase Factor Establishment for Partial Transmit Sequence OFDM}
본 발명은 부분전송열 직교 주파수분할다중화 시스템에서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 설정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분전송열 직교 주파수분할다중화 시스템에서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를 설정함에 있어서, 각 위상값을 부블럭 신호마다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첨두전력을 구하여 최소의 첨두전력이 되는 위상값을 찾아서 위상계수로 설정하는 위상계수 설정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분전송열 방식에 의한 직교 주파수분할다중화 방식 중 특히 부분전송열 방식에 적용되는 위상계수 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부분전송열 방식은 전체 부반송파를 서로 독립적으로 중복이 되지 않게 몇개의 부블럭 신호로 나누어 각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에 의해 첨두전력을 감소시키는 방식이다. 주파수 영역에서 각 부반송파에 할당되는 신호 벡터(X)를 L개의 부블럭 신호로 분할하는 것은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L은 부블럭 신호의 수이고, X(l)은 각각의 부블럭 신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직교 주파수분할다중화는 이산 푸리에변환으로 수행되므로 이산 푸리에변환의 선형성을 이용하면, 부분전송열 방식에서 시간영역 부블럭 신호(x)는 각각의 부블럭 신호별로 이산 푸리에변환에 의해 변환된 신호를 첨두전력을 최소로 하는 위상계수만큼 천이시켜서 더해진 신호가 되어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은 l번째 부블럭에 적용되는 최적화된 위상계수, 즉 첨두전력을 최소로 하는 위상계수, X(l)은 X의 l번째 부블럭 신호, x(l)은 X(l)을 이산 역 푸리에변환한 신호로서 시간영역 부블럭 신호라 하고, IDFT는 이산 역 푸리에변환을 나타낸다.
종래의 부분전송열 방식에서는 이러한 첨두전력을 최소로 하는 위상계수 설정시, 사용가능한 모든 위상값의 조합을 검사하여 최소 첨두전력을 갖는 위상값의 조합을 찾아낸다. 따라서 사용가능한 위상값의 수가 R, 부블럭의 수가 L인 경우 가능한 모든 조합의 수는 R(L-1)이 된다.
그리고, 종래의 부분전송열 직교 주파수분할다중화 시스템은 미국 특허 등록 제 6,125,103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기술 요지는 전체 부반송파 신호를 몇 개의 부블럭 신호로 나누어 변조하여 각각의 변조된 신호에 첨두전력 대 평균전력 비를 최소로 하는 위상계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위상계수 설정 과정에서 각 부블럭 신호별로 가능한 위상값에 대한 모든 조합을 검사하게 되므로 부가적인 복잡도가 크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위상계수 설정에 있어서 복잡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종래의 방법은 "IEEE Communications Letters 4권 3호" 86-88쪽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기술 요지는 각 부블럭 신호별로 위상계수의 설정에 있어서 부블럭 신호별 순차적 설정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충분한 첨두전력 대 평균전력 비 감소 성능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각 부블럭 신호별로 위상계수 설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위상값별로 순차적으로 설정을 진행하고, 낮은 첨두전력을 나타내는 위상값을 위상계수로 갱신하는 과정을 통하여 기존의 방식과 비교해서 낮은 복잡도를 가지면서, 효율적으로 첨두전력 대 평균전력 비를 감소시키는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 설정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부분전송열 직교 주파수분할다중화 시스템의 송신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부분전송열 직교 주파수분할다중화 시스템에서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 설정방법에 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부분전송열 직교 주파수분할다중화 시스템의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 설정방법에 있어서 위상값 적용순서에 대한 일실시예 구조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부분전송열 직교 주파수분할다중화 시스템에서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 설정방법에 있어서, 부블럭 신호에 대하여 첫번째 위상값으로 모든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를 설정하여 초기화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위상계수가 설정된 부블럭 신호를 더하여 만들어진 신호의 첨두전력을 구하여 기준 첨두전력으로 설정하는 제 2 단계; 다음번째 위상값을 각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로 적용하면서 출력신호의 첨두전력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위상값을 각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로 설정하는 제 3 단계; 및 나머지 사용가능한 위상값에 대하여 상기 제 3 단계를 반복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분전송열 직교 주파수분할다중화 시스템에 적용되는 위상계수를 설정하기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위상계수 설정장치에, 부블럭 신호에 대하여 첫번째 위상값으로 모든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를 설정하여 초기화하는 제 1 기능; 상기 제 1 기능에서 위상계수가 설정된 부블럭 신호를 더하여 만들어진 신호의 첨두전력을 구하여 기준 첨두전력으로 설정하는 제 2 기능; 다음번째 위상값을 각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로 적용하면서 출력신호의 첨두전력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위상값을 각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로 설정하는 제 3 기능; 및 나머지 사용가능한 위상값에 대하여 상기 제 3 기능을 반복하는 제 4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부분전송열 직교 주파수분할다중화 시스템의 송신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상기 송신장치는 직/병렬 변환부(120), 신호 사상부(130), 부블럭 신호 분할부(140), 부블럭 신호별 IDFT부(150), 위상계수 최적화부(160), 덧셈부(170)를포함한다.
직/병렬변환부(120)는 입력되는 데이터열(110)을 병렬로 변환시킨다. 신호 사상부(Signal mapper,130)는 상기 직/병렬변환부(120)에서 병렬로 변환된 데이터를 해당 변조방식(M-ary PSK 또는 QAM)에 따라 적절한 실수부와 허수부의 값, 즉 주파수영역의 신호를 발생시킨다. 부블럭 신호 분할부(140)는 신호 사상부(130)에 의해 변조된 주파수영역의 신호를 각각의 부블럭 신호로 분할하여 할당한다. IDFT부(150)는 각 부블럭 신호들을 시간영역의 부블럭 신호들로 변환한다. 위상계수 최적화부(160)는 각 부블럭 신호별로 변환된 시간영역의 신호에 적절한 위상계수를 적용하여 첨두전력을 감소시킨다. 덧셈기(170)에서는 상기 위상계수 최적화부(160)에서 위상계수가 설정된 부블럭들을 더하여 출력 데이터를 만든다.
일반적인 직교 주파수분할다중화 시스템과 부분전송열 방식과의 차이점은 부블럭 분할부(140)와 분할된 부블럭 별로 각각의 IDFT부(150)를 통해 변조 심볼을 생성하고, 위상계수 최적화를 통한 첨두전력 대 평균전력 비의 감소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부분은 위상계수 최적화부(160)에 적용되는 것으로 기존 부분전송열에 비해 위상계수 최적화과정의 복잡도 감소를 이룰 수 있다.
즉, 기존의 위상계수 설정방법에 의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R(L-1)번의 첨두전력 계산 및 비교과정이 필요한 반면, 본 발명에 의할 경우 그 양을 (R-1)*L번으로 줄일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부분전송열 직교 주파수분할다중화 시스템에서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 설정방법에 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부블럭 카운터와 위상계수 카운터를 1로 초기화한다(201). 그리고 위상계수 카운터에 해당하는 위상값을 모든 부블럭 신호에 대하여 적용하여 모든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를 초기화한다(202). 이 과정에서 위상계수를 설정하여 초기화하는 과정을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하기의 [수학식 3]과 같다. [수학식 3]은 각 부블럭 신호에 대한 위상계수의 초기화 및 후술할 위상계수 설정에 있어서도 적용된다.
여기서,은 위상계수가 설정되기 전의 l번째 시간영역 부블럭 신호로서 부블럭 신호(X(l))를 이산 역 푸리에변환한 신호를 나타내고,은 l번째 부블럭 신호에 적용되는 r번째 위상값(크기가 1인 복소수)을 나타내며, 그리고은 위상계수가 설정된 l번째 시간영역 부블럭 신호를 나타낸다. [수학식 3]에서 각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 설정은 각 부블럭 신호에 위상값을 곱해주는 과정으로 단순히 일정한 값의 위상천이를 나타낸다.
여기서, 위상값은 0을 기준으로 전체 2π의 위상을 사용가능한 위상값의 수로 균등하게 나누어 사용한다. 그리고 적용될 위상값의 순서는 일예로 다음과 같이 결정할 수 있다.
위상값의 수를 R개라고 할 때 2π를 위상값의 수로 나눈 값(2π/R)으로 등간격으로 나눈다. 그리고 0에서 차례로 번호를 붙인 뒤 2진수로 표현하면 도 3 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3 은 사용가능한 위상값이 16개인 경우이다.
이 때, 적용되는 위상의 순서는 비트역전에 의해 얻는 바, 그 과정을 설명하면, 2진수로 0부터 차례대로 순서를 정한 후, 첫번째 위상값을 0으로 한다면,
1번째 적용 위상값: 0000(0) -> 비트역전 0000 이므로 0번 위상값(0),
2번째 적용 위상값: 0001(1) -> 비트역전 1000 이므로 8번 위상값(π),
3번째 적용 위상값: 0010(2)-> 비트역전->0100 이므로 4번 위상값(π/2),
4번째 적용 위상값: 0011(3)-> 비트역전->1100 이므로 12번 위상값(3π/2),
5번째 적용 위상값: 0100(4)-> 비트역전->0010 이므로 2번 위상값(π/4),
6번째 적용 위상값: 0101(5)-> 비트역전->1010 이므로 10번 위상값(5π/4),
7번째 적용 위상값: 0110(6)-> 비트역전->0110 이므로 6번 위상값(3π/4),
8번째 적용 위상값: 0111(7)-> 비트역전->1110 이므로 14번 위상값(7π/4),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16개의 위상값을 적용하는 순서를 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 가능한 위상값을 8개라고 할 때 사용 가능한 위상값은 {0, π/4, π/2, 3π/4, π, 5π/4, 3π/2, 7π/4}이 되고, 적용순서는 첫번째 위상값을 0을 사용할 때 다음 위상값의 적용순서는 {0, π, π/2, 3π/2, π/4, 5π/4, 3π/4, 7π/4}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 위상계수를 초기화하여 설정한 시간영역 부블럭 신호를 더한 신호의 첨두전력값을 계산하여, 이를 기준 첨두전력으로 설정한다(203). 이때, 첨두전력의 계산은 하기의 [수학식 4]를 이용한다.
여기서 P는 첨두전력을 나타내고, N은 전체 부반송파의 수,은 위상계수가 설정된 l번째 시간영역 부블럭 신호를 나타낸다.
다음 과정에서는, 첫번째 위상값은 이미 기준 첨두전력 계산을 위해 사용되었으므로, 부블럭 신호에 적용될 두번째 위상값을 지시하기 위해 위상계수 카운터를 1증가 시킨다(204). 다음 과정을 일반적으로 확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음 l번째 부블럭 신호에 위상계수 카운터에 해당하는 위상값, 즉 r번째 위상값을 적용한다(205). 그리고 기존의 위상계수가 적용된 나머지 시간영역 부블럭 신호들과 위상계수 카운터에 해당하는 위상값이 적용된 l번째 시간영역 부블럭 신호를 더한 신호의 첨두전력을 구하여 임시 첨두전력으로 설정하고(206), 이 임시 첨두전력과 기준 첨두전력을 비교하여(207), 임시 첨두전력이 기준 첨두전력보다 작으면, r번째 위상값을 l번째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로 설정하고(208), 다음으로 상기 임시 첨두전력값을 기준 첨두전력으로 설정한 후(209), 부블럭 카운터를 1증가시킨다(210). 임시 첨두전력이 기준 첨두전력보다 크면 부블럭 카운터만 1증가시킨다(210). 즉, l번째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는 그대로 유지된다.
여기서, 임시 첨두전력을 계산하는 방법은 위상계수가 변경된 부블럭 신호에 대해서만 변경전의 부블럭 신호를 빼고, 변경후의 부블럭 신호를 받아서 첨두전력을 구함으로써, 계산과정을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부블럭 카운터와 전체 부블럭 신호의 수를 비교하여(211), 각 부블럭 신호 모두에 대해 두번째 위상계수에 의하여 첨두전력을 비교하는 과정이 수행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즉, 부블럭 카운터가 부블럭 신호의 수보다 작으면, 일부 부블럭 신호에 대하여 위상계수를 설정하여 기준 첨두전력과 비교하는 과정(205 ~ 210)이 아직 수행되지 않은 것을 의미하므로, 해당 부블럭 카운터가 지시하는 부블럭 신호에 대해 이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부블럭 카운터가 부블럭 신호의 수와 같다면, 상기 위상값으로 모든 부블럭에 대하여 위상계수 설정과정(205 ~ 210)이 수행된 것이므로, 다음으로 위상계수 카운터가 전체 위상값에 대해 모두 수행되었는지를 판단하여(212), 아니면 부블럭 카운터를 1로 초기화 시켜서(213), 다음 위상값에 대해 위상계수 설정과정(204 ~ 211)을 반복한다.
위상계수 카운터가 사용 가능한 모든 위상값의 수와 같아지면 모든 위상계수에 대하여 첨두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과정이 종료된 것이므로, 이 때의 위상계수에 해당하는 위상값으로 최종적으로 각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를 설정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될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부분전송열 직교 주파수분할다중화 시스템에서 첨두전력 대 평균전력 비 감소를 위해 위상계수를 설정하는 과정의 복잡도가 위상값에 의한 순차적 진행에 의해 감소되며, 첨두전력 대 평균전력 비 또한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삭제
  2. 부분전송열 직교 주파수분할다중화 시스템에서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 설정방법에 있어서,
    부블럭 신호에 대하여 첫번째 위상값으로 모든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를 설정하여 초기화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위상계수가 설정된 부블럭 신호를 더하여 만들어진 신호의 첨두전력을 구하여 기준 첨두전력으로 설정하는 제 2 단계;
    다음번째 위상값을 각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로 적용하면서 출력신호의 첨두전력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위상값을 각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로 설정하는 제 3 단계; 및
    나머지 사용가능한 위상값에 대하여 상기 제 3 단계를 반복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단계는,
    하나의 부블럭 신호에 대하여 상기 다음번째 위상값에 해당하는 위상계수를 설정하여 만들어진 신호의 첨두전력과 상기 기준 첨두전력을 비교하여, 작은 첨두전력을 새로운 기준 첨두전력으로 정하고, 작은 첨두전력이 되도록 하는 위상값을 상기 하나의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로 설정하는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 설정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l번째 부블럭 신호에 r번째 위상값을 적용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에서 위상계수가 적용된 최종 출력신호의 첨두전력을 임시 첨두전력으로 설정하는 제 6 단계;
    상기 기준 첨두전력과 상기 임시 첨두전력을 비교하는 제 7 단계;
    상기 제 7 단계의 비교결과, 상기 기준 첨두전력이 상기 임시 첨두전력보다크면, r번째 위상값을 l번째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로 설정하고, 상기 임시 첨두전력을 기준 첨두전력으로 설정하는 제 8 단계; 및
    상기 제 7 단계의 비교결과, 상기 기준 첨두전력이 상기 임시 첨두전력보다 작으면, l번째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는 그대로 유지하는 제 9 단계
    를 포함하는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 설정방법.
  4. 제 2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 있어서 위상계수를 적용하는 순서는,
    2π를 사용가능한 위상값의 수로 나누어 등분하여, 0부터 2π/(사용가능한 위상값의 수)마다 증가시키며 2진수로 차례를 표시하고, 0부터 사용가능한 위상값의 수까지를 2진수로 나타낸 값을 차례대로 비트역전하여, 상기 비트역전한 값의 순서에 따라, 상기 표시된 2진수에 해당하는 위상값을 갖는 위상계수를 설정하는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 설정방법.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에서 하나의 부블럭 신호에 대하여 상기 l번째 위상값에 해당하는 위상계수를 설정하여 만들어진 신호의 첨두전력(임시 첨두전력)을 구하는 방법은,
    새로운 위상계수가 설정된 부블럭 신호에 대해서만 새로운 위상계수 설정전의 부블럭 신호를 빼고, 새로운 위상계수 설정후의 부블럭 신호를 받아서 첨두전력을 구하는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 설정방법.
  6. 부분전송열 직교 주파수분할다중화 시스템에 적용되는 위상계수를 설정하기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위상계수 설정장치에,
    부블럭 신호에 대하여 첫번째 위상값으로 모든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를 설정하여 초기화하는 제 1 기능;
    상기 제 1 기능에서 위상계수가 설정된 부블럭 신호를 더하여 만들어진 신호의 첨두전력을 구하여 기준 첨두전력으로 설정하는 제 2 기능;
    다음번째 위상값을 각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로 적용하면서 출력신호의 첨두전력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위상값을 각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로 설정하는 제 3 기능; 및
    나머지 사용가능한 위상값에 대하여 상기 제 3 기능을 반복하는 제 4 기능
    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기능은,
    하나의 부블럭 신호에 대하여 상기 다음번째 위상값에 해당하는 위상계수를 설정하여 만들어진 신호의 첨두전력과 상기 기준 첨두전력을 비교하여, 작은 첨두전력을 새로운 기준 첨두전력으로 정하고, 작은 첨두전력이 되도록 하는 위상값을 상기 하나의 부블럭 신호의 위상계수로 설정하는 것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1-0071271A 2001-11-16 2001-11-16 부분전송열 직교 주파수분할다중화 시스템에서 부블럭신호의 위상계수 설정 방법 KR100441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271A KR100441989B1 (ko) 2001-11-16 2001-11-16 부분전송열 직교 주파수분할다중화 시스템에서 부블럭신호의 위상계수 설정 방법
US10/298,086 US7352689B2 (en) 2001-11-16 2002-11-15 Method for optimizing phase factor of sub-block signal in partial transmit sequenc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271A KR100441989B1 (ko) 2001-11-16 2001-11-16 부분전송열 직교 주파수분할다중화 시스템에서 부블럭신호의 위상계수 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894A KR20030039894A (ko) 2003-05-22
KR100441989B1 true KR100441989B1 (ko) 2004-07-30

Family

ID=19716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1271A KR100441989B1 (ko) 2001-11-16 2001-11-16 부분전송열 직교 주파수분할다중화 시스템에서 부블럭신호의 위상계수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352689B2 (ko)
KR (1) KR1004419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700B1 (ko) * 2005-09-21 2007-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Ofdm 심볼의 송수신 방법과 송수신 장치
GB2433397B (en) * 2005-12-16 2008-09-10 Toshiba Res Europ Ltd A configurable block cdma sche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291A (ko) * 1999-09-13 2001-04-06 구자홍 모뎀의 피크파워 제어 방법
KR20010069611A (ko) * 2001-04-20 2001-07-25 유흥균 다중 반송파 통신 시스템에서 지연회로를 이용한 피크대평균 전력비(papr) 저감 방법
EP1139625A2 (en) * 2000-03-28 2001-10-04 AT&T Corp. Reduction of the peak-to-average power ratio of multicarrier 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353B1 (ko) * 1998-04-28 2001-12-28 전주범 직교분할대역수신시스템
US6556557B1 (en) * 1999-06-02 2003-04-29 At&T Corp.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of peak-to-average power ratio of transmission signals comprising overlapping waveforms
US6950389B2 (en) * 2001-02-16 2005-09-27 Agere Systems Inc. Peak-to-average power reduction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291A (ko) * 1999-09-13 2001-04-06 구자홍 모뎀의 피크파워 제어 방법
EP1139625A2 (en) * 2000-03-28 2001-10-04 AT&T Corp. Reduction of the peak-to-average power ratio of multicarrier signals
KR20010069611A (ko) * 2001-04-20 2001-07-25 유흥균 다중 반송파 통신 시스템에서 지연회로를 이용한 피크대평균 전력비(papr) 저감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부분전송열(PTS)방법(서론, 본문및 도면참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95576A1 (en) 2003-05-22
US7352689B2 (en) 2008-04-01
KR20030039894A (ko) 200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0437B2 (ja) 同期バースト発生方法、無線直交周波数分割多重方式の同期方法、直交周波数分割多重方式の送信装置機及び移動通信装置
JP4832525B2 (ja) 複数の搬送波を用いてデータを転送する装置及び方法
JP3999271B2 (ja) マルチキャリア変調システムにおける平均電力対ピーク比の低減
US6687307B1 (en) Low memory and low latency cyclic prefix addition
KR101618125B1 (ko) Ofdma 시스템의 초기 레인징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방법 및 장치
Al-Jawhar et al. Reducing PAPR with low complexity for 4G and 5G waveform designs
US8532204B2 (en) Peak-to-average power ratio (PAR) reduction based on active-set tone reservation
US9374204B2 (en)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ancelling inter-carrier interference
KR20070093231A (ko)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TWI410094B (zh) 傳送器及其方法
US20110235760A1 (en) Efficient ofdm peak reduction algorithm
CN102238129B (zh) 降低ofdm信号papr的信号调制及解调方法
JP2006517062A (ja) 非定値エンベロープを有する変調信号を処理するフェーザー成分分解回路および方法
CN104144140A (zh) 一种正交频分复用系统中降低峰均比的方法及接入装置
KR100441989B1 (ko) 부분전송열 직교 주파수분할다중화 시스템에서 부블럭신호의 위상계수 설정 방법
CN110191077B (zh) 一种降低papr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1662447B (zh) 削峰处理方法及装置
WO2022062904A1 (zh) 参考信号传输方法、装置、通信节点及存储介质
US20140198864A1 (en) Polynomial phases for multi-carrier modulation schemes with time domain windowing
JP5030062B2 (ja) Ofdm信号送信装置、信号処理チップ及びofdm信号送信方法
US6975583B2 (en) Technique for continuous OFDM modulation
Mondal Approach to reduce PAPR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Technique
Shang et al. A Method for Reducing PAPR of OTFS Radar Communication Integrated Signal
KR101215932B1 (ko) 부가적 맵핑 시퀀스를 이용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시스템의 최대전력 대 평균전력 비 감소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8072565A1 (zh) 一种多载波系统的数据调制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