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1626B1 - 호닝용 진동 부속장치 - Google Patents

호닝용 진동 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1626B1
KR100441626B1 KR10-2002-0006583A KR20020006583A KR100441626B1 KR 100441626 B1 KR100441626 B1 KR 100441626B1 KR 20020006583 A KR20020006583 A KR 20020006583A KR 100441626 B1 KR100441626 B1 KR 100441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shaft
eccentric
machine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5391A (ko
Inventor
마쯔이마사히또
Original Assignee
니뽄 노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노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노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5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1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16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3/00Hon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33/10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3/00Hon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33/02Hon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designed for working internal surfaces of revolution, e.g. of cylindrical or conical shapes

Abstract

본 발명은 주축의 회전에 의해 가공을 행하는 가공기에 설치되어, 가공용 공구에 회전과 축방향 진동을 부여할 수 있는, 소형화하고 견고한 호닝용 부속장치(attachment)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 주축을 갖는 가공기에 설치되어 상기 주축의 회전을 가공용 공구에 전달함과 동시에, 공구에 축방향 진동을 부여하는 부속장치로, 가공기측으로부터 입력측 디스크에 입력된 회전을 크랭크 운동을 하는 링크로 편심(偏芯)시켜 출력측 디스크로부터 출력할 수 있는 편심이음과, 상기 편심이음의 편심량을 조절하는 편심량 조절장치와, 상기 편심이음의 출력측 디스크에 구동측 단부가 연결된 후크이음 및 상기 후크이음의 종동측 단부에 연결된 출력축을 구비하고, 상기 출력축은 자유회전 또한 축방향으로 자유진동되도록 지지되어, 상기 후크이음과 반대측 단부에 공구의 설치부가 형성된 부속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호닝용 진동 부속장치{OSCILLATION ATTACHMENT DEVICE}
본 발명은 직립천공기, 머시닝 센타(machining center), CNC 선반(fraise bowl) 등 주축의 회전에 의해 가공을 행하는 가공기에 설치되어, 가공용 공구에 회전과 축방향 진동을 부여하는 호닝용 진동 부속장치(attachment)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피가공물에 형성된 내공면(內孔面)을 연마하는 호닝 가공기는 혼(hone)이라는 공구에 연마제를 부착시켜 피가공물의 내공에 삽입하고 회전시키면서 상하로 이동시켜 연마를 행한다. 이러한 경우, 양호한 연마면을 얻기 위해서는, 회전과 상하 운동 외에 공구인 혼을 상하(축방향)로 진동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혼 등의 공구에 진동을 부여하는 기구로는, 모타로 편심축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회전 주축을 지지하는 하우징을 상하 운동시키는 것(특개소 61-288971)과, 경사면을 갖는 편심원반에 접촉(接觸)시킨 요동레바로 주축을 진동시키는 것(특허 제2602165호) 등이 종래 알려져 있었다. 상기 종래 기술은, 모두 스프링으로 주축의 아래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기 때문에 상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많은 힘이 필요하고, 게다가 편심된 하중이 걸려 있으므로, 마모나 파손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종래 장치의 문제점을 개량한 것으로, 보다 적은 힘으로 주축을 축방향으로 진동시킬 수 있는 호닝 가공기가 제안되었다(특허 제3071185호). 상기 특허 제3071185호와 관련된 호닝 가공기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기구이다. 즉, 피가공물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주축 헤드(101);와 일단에 혼(102)을 동축적(同軸的)으로 유지하고, 축방향이 상기 주축 헤드의 상대 이동 방향과 같은 방향이며, 상기 주축 헤드에 자유회전 및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주축(103);과 상기 주축 헤드에 고정되고 상기 주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축(104)을 갖는 구동 모타;와 상기 주축과 구동축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을 주축에 전달하는 중간축(105);과 상기 혼이 유지되어 있지 않은 일단과 상기 중간축의 일단 및 상기 구동축과 상기 중간축의 타단을 연결하고 둘 이상의 굴곡점을 가지며 굴곡된 상태에서도 회전 전달가능한 두 개의 연결부재(자재이음: universal joint)(106, 106);와 상기 주축을 그 축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기 위해, 상기 중간축을 그 축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상기 중간축을 왕복 평행 운동시키는 중간축 왕복 운동기구(10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04)을 회전시키면, 그 회전은 중간축(105)과 두 개의 자재이음(106, 106)을 매개로 주축(103)에 전달되지만,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간축(105)을 주축(103)의 축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키면, 상기 중간축(105)이 상하로 이동하고, 이 이동이 주축을 매개로 공구인 혼으로 전달된다.
또한, 회전 주축을 갖는 가공기에 있어서, 공구에 회전과 상하방향의 진동을부여하는 것으로서,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십자핀 구멍의 위치가 한점으로 교차하지 않고 구멍 위치를 소정 거리(d)만큼 이격시킨 결합코아를 매개하여, 원동이음(121)과 중간이음(지점간 거리 L)(120) 사이 및 중간이음과 종동이음(122) 사이를 각각 결합하여 되는 후크이음을, 상기 원동이음(121)의 축선에 대해 종동이음(122)의 축선이 비켜지도록 종동이음(122)을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이음틀에 넣게 되는 진동 발생 장치(125)가 상기 특허 제 3071185호의 출원 이전부터 알려져 왔다(특공소 제52-41908호). 상기 장치는 원동이음(121)측을 천공기의 주축(127)에 결합하고, 종동이음(122)측에 척(chuck)를 끼워 넣어 드릴(128)을 장착하고 드릴 1회전 마다 2회의 상하 진동을 부여하면서 천공하도록 되어 있다. 도 10에서 각도 α는 편심에 의해 생기는 경사각이다. 또한 종동이음측은, 주축(127)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중심 어긋남이 발생하므로 가공물과의 중심 맞춤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 특허 제3071185호와 관련된 호닝 가공기는, 회전 기구와는 달리 중간축 왕복 운동기구를 갖추고 중간축을 축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것에 의해 진동을 얻을 수 있지만, 상기 특공소 제52-41908호의 장치는, 회전 운동 자체를 이용하여 공구에 축방향 진동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특허 제3071185호에 기재된 구조보다 구조적으로 간단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제3071185호와 관련된 호닝가공기의 진동 발생 장치는, 둘 이상의 굴곡점을 갖는 축연결부재(자재이음)(106, 106)를 상하 단부에 설치한 중간축(105)을, 구동 모타의 출력축인 구동축(104)과 주축과의 사이에 장착시키고, 상기 중간축을 구동축 및 주축의 축심(軸芯)에 대해 평행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중간축을 상하로 진동시켜, 이 진동을 주축에 전달하여 공구를 상하로 진동시키기 때문에 두 개의 자재이음(106, 106)과 중간축(105)이 필수이고, 그 부분만 상하 길이가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중간축(105)을 소정의 주기로 횡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횡이동 장치, 예를 들면 모타(110)의 출력축에 편심원반(偏芯圓盤)(111)을 설치한 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 점에서도 구조적으로 복잡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장치를 기존의 가공기에 붙이면, 가공기의 회전 주축으로부터 피가공물까지의 사이에 큰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실용상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상기 특공소 제52-41908호의 장치는, 진동 발생 장치가 드릴 절삭 장치 본체에 편입되어 있기 때문에 편심량(진폭)을 바꾸면, 주축으로부터 중심어긋남이 발생하고, 호닝용 장치로 사용하기에는 이전 가공 단계인 리머(reamer) 가공후의 구멍 중심을 맞출 필요가 생기기 때문에 실용상 불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공지의 진동 발생 기구의 원리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기존의 직립천공기, 머시닝 센타 및 CNC 선반 등에 간단하게 설치되어 공구에 진동을 부여할 수 있는 소형화하고 견고한 진동 발생용 부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속장치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편심이음의 사시도.
도 3은 편심이음의 작동 원리 설명도.
도 4는 후크이음의 분해 상태를 나타낸 외관도.
도 5는 도 4와 다른 후크이음의 일례를 나타낸 외관도.
도 6은 후크이음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낸 외관도.
도 7은 천공기에 설치된 예를 도시한 외관도.
도 8(a)는 부속장치 설치용 장착 장치의 외관도.
도 8(b)는 부속장치 설치용 장착 장치에 장착되는 부속장치의 외관도.
도 9(a)는 종래 공지된 호닝 가공기의 구조 설명도.
도 9(b)는 종래 공지된 호닝 가공기의 중간축 작동 설명도.
도 10은 종래 공지된 진동 드릴 절삭 장치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속장치 5 : 기틀
7 : 입력축 8 : 주축
10 : 편심이음 20 : 편심량 조절 장치
30 : 후크이음 40 : 출력축
42 : 척 M : 가공기
H : 공구 W : 피가공물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하였다. 즉, 본 발명과 관련된 호닝용 진동 부속장치는, 회전하는 주축을 갖는 가공기에 설치되어, 상기 주축의 회전을 가공용 공구에 전달함과 동시에 공구에 축방향 진동을부여하는 부속장치로, 가공기의 회전주축에 접속된 입력축;과 크랭크 운동을 행하는 링크 장치를 끼워 상호 겹쳐 맞추어진 복수의 디스크에 의해 회전을 편심시켜 출력하는 편심이음;과 자재이음에서 두 개의 교차하는 축의 위치를 전동 방향으로 빗나가게 한 구조의 후크이음; 및 자유회전 및 축방향으로 자유진동 되도록 지지된 공구지지용 출력축;을 구비하고, 상기 출력축과 상기 입력축이 상기 편심이음과 후크이음를 매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속장치는, 복수개의 디스크와 각 디스크간에 배열된 복수의 링크로 구성된 편심이음과, 자재이음에서 상호 교차하는 두 개의 축 위치를 전동(傳動) 방향으로 빗나간 구조의 후크이음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류의 편심이음은 특공소 제44-19486호(토크(torque) 전달장치)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일본 피스톤링 주식회사 제조의 '스리-나인 커플링(3-9 coupling)'(SC 계열)(상품명)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편심이음의 일례를 나타낸 외관도이다. 편심이음의 원리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진동 발생용 부속장치는, 비교적 전체 길이가 짧은 편심이음과, 후크이음을 이용하기 때문에, 특허 제3071185호와 관련된 호닝 가공기에 설치되어 있는 중간축과 같이, 한 쌍의 자재이음으로 상하 축에 연결되어 그 자체 상하 운동하는 중간축과 상기 중간축을 소정의 주기로 왕복 횡이동시키는 장치가 불필요하므로,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전체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또한 편심이음은 복수개의 디스크를 링크 장치에 끼워 겹쳐 맞추는 구조이므로, 견고하고 전체길이도 짧다.그러므로 시판되는 머시닝 센타, CNC 선반, 직립천공기 등에 설치되어 호닝(honing)과 래핑(lapping)에 사용하기에 적당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부속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이 부속장치(1)는, 가공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직립천공기(M)의 퀼(quill;3)에 설치되는 기틀(5)을 구비하고, 상기 기틀(5)의 상단부에 입력축(7)이 자유회전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입력축(7)은 가공기의 주축(8)에 연결되어, 상기 주축의 회전이 전달된다. 도면부호 (9)는 기틀(5)을 가공기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착탈가능한 고정수단이고, 도시된 예에서는 가공기의 퀼(3)의 외주에 꽉 조여 고정되는 고정링(9a)과, 상기 고정링을 체결하는 볼트(Bolt)(9b)를 갖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기틀(5)을 가공기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수단이 있다면 좋고, 다른 적당한 수단, 예를 들면 가공기측에 설치된 나사 구멍에 취부(取付)된 볼트를 구비한 것 등 각종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입력축(7)의 하단부에는 편심이음(10)의 한 끝단 디스크인 입력디스크(11)가 고정되어 있다. 편심이음(10)은 복수개(도시된 예에서는 3개)의 디스크, 즉 상하의 끝단인 입력 및 출력 디스크(11, 13)와 중간 디스크(12)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 디스크(11)와 중간 디스크(12)와의 사이, 및 중간 디스크(12)와 다른 쪽 끝단 디스크인 출력 디스크(13) 사이에 베어링으로 자유회동 되도록 지지되는 3개의 링크로 되는 링크 장치(14)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편심이음(10)의 작동 원리는 하기에 제시되는 바와 같다. 즉, 도 3은입출력 디스크와 중간 디스크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디스크, 링크, 핀은 모두 강체(剛體)이고, 각 절(節)은 자유회전 되도록 연결되고, 각 디스크도 자유회전 되는 상태가 된다. 입력 디스크(11)가 0점을 중심으로 α도 회전하고, 도 3의 A→a, B→b, C→c로 이동하면, 링크 AA', BB', CC'는 aA', bB', cC'가 되지만, 링크의 길이는 변화하지 않고, A'→a', B'→b', C'→c'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사변형 OAA'O'를 보면, OA = O'A', AA' = OO' 관계가 있으므로, 이 사변형은 평행사변형이다. 또한, AA' = aa' 이므로, 사변형 Oaa'O'도 평행사변형이고, ∠AOa = ∠A'O'a' = α가 된다. 상기한 관계는 다른 링크 BB', CC'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상기한 바로부터, 중간 디스크(12)는 입력 디스크(11)와 완전히 동일한 회전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간 디스크(12)와 출력 디스크(13)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즉, 3개 디스크의 축심이 편심되어 있어도, 링크 장치(14)를 매개로 입력 디스크(11)의 회전을 정확하게 출력 디스크(13)에 전달할 수 있다.
편심이음(10)의 입력 디스크(11) 중앙부 상면측에는 상기 입력축(7)이 연결되고, 이 입력축(7)은 기틀(5)에 베아링으로 자유회전 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입력축(7)은, 종래 공지의 적당한 연결수단으로 가공기(M)의 주축(8)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출력 디스크(13)에는 횡이동 장치로써 편심량 조절 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편심량 조절 장치(횡이동 장치)(20)는, 제 2 출력축(15)을 해당 출력축의 축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왕복 진동하지 않음), 상기 출력축의 횡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시키기 때문에, 기틀(5)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취부(取付)된 볼트(21)와 기틀(5)의 반대측 프레임(frame)에 자유이동(自由移動) 되도록 지지된 슬라이드(slide)축(22)에 의해 지지된 횡이동부재(23)를 구비하고, 상기 횡이동부재의 중앙부에 형성된 원형의 구멍에 상기 출력 디스크(13)에 고착된 제 2 출력축(15)이 베아링에 의해 자유회전 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 2 출력축(15)의 하측에는 후크이음(30)의 구동측틀(31)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후크이음(30)은, 상기 특공소 제52-41908호에 기재된 종래 공지 기술과 동일한 구조이고, 도 4에 예시된 것과 같이, 구동측틀(31)과 종동측틀(32) 사이에 결합코아(33)를 끼워 중간이음(35)이 설치되어 있다. 결합코아(33)에는 서로 직각 방향인 핀 구멍(33a, 33b)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두 개 핀 구멍의 위치는 거리 (d) 만큼 이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서로 교차하는 방향의 두 개의 핀 구멍의 위치가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시에 상하 방향의 진동이 생긴다. 이러한 진동은 1 회전 당 2회이다. 또한, 후크이음의 축방향 진동에 있어서는 상세하게 보고되어 있다.(주방(周防), 족립(足立) "축방향 진동을 부여하는 후크이음 해석" 오오사까 산업대학논집 자연과학편 46호, 1976, 61~67 페이지 참조)
상기 두 개의 핀 구멍 중에서, 하나의 핀 구멍(33a)에는 구동측틀(31) 또는 종동측틀(32)에 지지된 핀(34a)이 삽입(揷入)되고, 이 핀에 의해 결합코아(33)가 자유요동(搖動) 되도록 지지된다. 또한 다른 핀 구멍(33b)에는 중간이음(35)의 단부를 요동자재하게 지지하는 핀(34b)이 삽입된다.
후크이음(30)의 종동측틀(32)에는 출력축(40)이 설치된다. 상기 출력축(40)은 기틀(5)에 자유회전 및 상하동으로 자유롭게 지지되고, 그 하단부는 공구설치부로 되며 혼 등의 공구(H)를 설치하는 척(42)이 설치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 부속장치(1)의 사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부속장치(1)는, 주축의 회전에 의해 가공을 행하는 가공기(M), 예를 들면 도 7의 직립천공기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이 설치는, 기틀(5)의 상부를 가공기(M)의 퀼(3)에 고정수단으로 고정하면 좋다. 동시에, 편심이음(10)의 입력축(7)을 가공기의 주축(8)에 연결하고, 부속장치(1)의 출력축(40)에 설치되어 있는 척(42)에 혼 등의 공구(H)를 설치한다. 상기 공구의 하측에는 종래와 동일하게 피가공물(W)을 위치 결정하여 고정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가공기(M)를 기동(起動)하여 주축(8)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편심량 조절 장치(20)로 편심이음(10)의 디스크 3개를 횡방향으로 원하는 양 만큼 상대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주축(8)의 회전은 편심되어 후크이음(30)의 구동측틀(31)에 전달된다. 또한, 후크이음(30)의 종동측틀(32)은 출력축(40)에 의해 주축(8)의 축심과 같은 축심에 상하 자유이동 되도록 유지되기 때문에, 구동측틀(31)의 축심이 주축의 축심으로부터 벗어나면 중간이음(35)이 경사진다. 그렇기 때문에, 종동측틀(32)이 출력축(40) 및 공구와 함께 해당 경사분 만큼 올라간다. 또한 공구의 상하 진동의 진폭은 이 편심량에 의해 결정되지만, 이 편심량은 편심량 조절 장치(20)로 운전중이라도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크이음의 입력측과 출력측을 편심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출력축에 상하 방향 진동이 발생하는 것은 상기 특공소 제52-41908호에 기재되어 있는 대로이다. 이 부속장치(1)를 가공기에 설치하여 가공하면, 공구에 회전과 동시에 상하 진동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속장치는, 이음장치로써 편심이음(10)과 1 개의 후크이음(30)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체 길이(예시된 도면에 따르면 상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축심을 편심시키는 장치로, 편심이음(10)의 디스크를 상대적으로 옆으로 어긋나게 하여 그 편심 위치를 유지하는 횡이동 장치(편심량 조절 장치)(20)를 이용하기 때문에, 장치적으로 견고하고 회전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더욱이, 종래 공지의 호닝 가공기(특허 제3071185호)와 같이, 양측에 자재이음이 연결되어 그 자체 상하 운동하는 중간축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점에서도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또한 소형화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5는 상기와 다른 실시 형태를 표현하는 것으로, 이 실시 형태에서는 후크이음의 중간이음(35')이 90도 접혀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1회전 당 진동은 1회가 된다. 다른 부분은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도 6은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일례로, 이 실시 형태에서는, 후크이음의 중간이음(35)의 하측 이음 부분(50)의 2개의 핀(51, 52)이 통상의 자재 이음과 같이 상호 직교하고 있다. 이러한 예에서는 핀의 위치 어긋남 길이(d)에 상당하는 부분만큼 전체 길이가 짧아진다.
더욱이, 도 8은 본 발명의 부속장치(1)를 머시닝 센타에 장착하는 장착 장치(holder)(60)를 매개로 설치하는 예를 나타낸다. 상기한 장착 장치(60)는, 제 2 입력축(61)을 가공기(머시닝 센타)의 회전축에 연결하여 그 회전을 부속장치(1)의 입력축(7)에 전달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미리 준비된 장착장치를 이용하여 가공기에 설치하도록 하면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것과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부속장치는, 종래 전혀 존재하지 않았던 신규한 것이고, 기존 가공기를 대폭적으로 개조하지 않고, 직립천공기 등의 저렴한 가공기를 이용하여 호닝이나 래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가공기의 주축 회전을 공구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뿐만 아니라. 이 회전자체를 이용하여 공구를 상하로 진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공구에 회전과 축방향 진동이 요구되는 가공기에 설치되어 가공을 행하기에 적합하다. 더욱이, 상하로 왕복 이동을 하는 중간축과, 그 중간축을 왕복 횡운동시키는 장치가 불필요하므로, 구조적으로 소형화하고 견고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부속장치가 도시된 예의 호닝 이외의 가공에 또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

  1. 회전하는 주축을 갖는 가공기에 설치되어, 상기 주축의 회전을 가공용 공구에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공구에 축방향 진동을 부여하는 부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공기의 회전 주축(8)에 접속되는 입력축(7);과
    크랭크 운동을 하는 링크 장치(14)를 끼워 상호 겹쳐 맞추어진 복수의 디스크(11, 12, 13)를 구비하여, 그 복수의 디스크(11, 12, 13) 중 입력디스크(11)에서 상기 입력축(7)으로부터의 회전을 입력받고 출력디스크(13)에서 회전을 편심시켜 출력하는 편심이음(10);과
    구동측틀(31), 종동측틀(32), 그리고 그 구동측틀(31)과 종동측틀(32)을 직교하는 핀들(34a, 34b)로 연결하는 중간이음(35)을 갖는 자재이음(universal joint)이되, 상기 구동축틀(31)과 중간이음(35)를 연결하는 직교하는 핀들(34a, 34b)이 소정거리(d)로 이격되어, 상기 구동측틀(31) 및 종동측틀(32)의 축선을 전동방향으로 빗나가게 하는 후크이음(hook joint; 30); 및
    상기 가공기의 공구 설치부에 자유회전 및 축방향으로 자유진동되도록 지지된 공구지지용 출력축(40)을 포함하며,
    상기 후크이음(30)의 구동축틀(31)이 상기 편심이음(10)의 출력디스크(13)에 연결되어 그 편심이음으로부터 편심된 회전을 전달받고, 상기 종동축틀(32)이 상기 출력축(40)에 연결되어 상기 출력축(40)이 자유회전 자유진동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닝용 진동 부속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심이음의 편심량을 조절하는 편심량 조절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닝용 진동 부속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이 가공기의 주축과 동심(同芯)이 되도록 기틀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닝용 진동 부속장치.
KR10-2002-0006583A 2001-02-06 2002-02-05 호닝용 진동 부속장치 KR100441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30038 2001-02-06
JP2001030038A JP4067280B2 (ja) 2001-02-06 2001-02-06 ホーニング用振動アタッチメン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391A KR20020065391A (ko) 2002-08-13
KR100441626B1 true KR100441626B1 (ko) 2004-07-23

Family

ID=18894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583A KR100441626B1 (ko) 2001-02-06 2002-02-05 호닝용 진동 부속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067280B2 (ko)
KR (1) KR1004416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3391B (zh) * 2018-12-06 2020-12-15 江苏科集精密机械有限公司 移动式挂钩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67280B2 (ja) 2008-03-26
JP2002233946A (ja) 2002-08-20
KR20020065391A (ko) 2002-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62265B (zh) 手工工具机
JP2860173B2 (ja) 往復運動駆動機構
JP3307964B2 (ja) 釣合い式往復駆動機構及び往復動式鋸
WO2015186715A1 (ja) 作業工具
US20030085632A1 (en) Spindle structure in ultrasonic machine and supporting horn used in the same
EP3107687B1 (en) Improved mandrel for sizing, smoothing or polishing stone materials with rotating abrasive heads
WO2017142092A1 (ja) 作業工具
CA2791201C (en) Drive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a drill rod
KR100441626B1 (ko) 호닝용 진동 부속장치
JPH01434A (ja) 回転体の質量心出し機
CN211306957U (zh) 一种电钻装置
JP2006306519A (ja) 縦振動パーツ整列機
JP6561020B2 (ja) 偏向可能なツールヘッドを有したスピンドル
KR19990036531A (ko) 진동 공구홀더를 포함한 래핑 헤드
JP2909430B2 (ja) 振動加工装置
JPH028875B2 (ko)
JPH06221323A (ja) 回転体軸方向支持装置及び同装置を備えた位置決め装置
JP2744874B2 (ja) 軸穴加工装置
RU221230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ибрационного резания
JP3243551B2 (ja) 起振機の起振力制御方法、および、起振機の起振力制御装置
KR100536657B1 (ko) 진동 가진장치
SU653041A1 (ru) Привод шпиндел дл вибрационного резани
JPH08309634A (ja) 回転振動工具ホルダ
KR100360376B1 (ko) 구동부분리형가진장치
SU728015A1 (ru) Двухкомпонентный вибростен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