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1399B1 - 교반기 날개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교반기 날개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1399B1
KR100441399B1 KR10-2001-0050605A KR20010050605A KR100441399B1 KR 100441399 B1 KR100441399 B1 KR 100441399B1 KR 20010050605 A KR20010050605 A KR 20010050605A KR 100441399 B1 KR100441399 B1 KR 100441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members
fixing members
w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0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6833A (ko
Inventor
배병태
Original Assignee
배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병태 filed Critical 배병태
Priority to KR10-2001-0050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1399B1/ko
Publication of KR20030016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6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1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13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반기 날개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외경에 제 1,2하우징으로써 그 각도가 다르게 배치되고, 다수의 날개부재가 축설된 교반기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재(20)는 상기 제 1,2하우징(30)(31)의 외경에 적정 간격을 유지하고, 대응되게 각각 고정된 제 1,2고정부재(40)(41)와, 상기 제 1,2고정부재(40)(41) 사이에 각도조절정치(60)로써 수평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날개(5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교반기의 회전축에 축설된 다수의 날개에 대하여 수평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됨으로써 날개가 하우징에 고정된 종래 교반기 날개에 반하여 교반기 설치후 작업 현장에서 간편하게 날개의 수평각도를 직접 조절하게 되어 고장 수리시 작업을 간편하게 진행하게 되었으며, 또한 호환성이 우수하여 경제적으로 이익을 주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교반기 날개 각도 조절장치{CONTROL APPARATUS ANGLE FAN A CHURNER}
본 발명은 화학약품 등을 혼합하게 되는 교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반기의 축상에 각도가 다르게 설치되는 날개를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고장 수리시 작업 현장에 직접 날개에 대한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교반기 날개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학약품 등을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교반기의 회전하는 축상에는 그 각도가 다르게 다수의 날개가 설치되는 데, 이러한 날개는 교반기의 축이 회전하게 될 때 동시에 회전하게 되나 축으로부터 수직각도가 다르게 배치되어 있어 교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교반기 날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교반기 날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교반기 날개가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 교반기 날개가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기(100)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200)이 축설되고, 회전축(200) 외경에는 그 각도가 다르게 배치된 다수의 날개부재(300)가 축설된다.
상기 날개부재(300)는 회전축(200)의 외경에 축설된 한쌍의 제 1,2하우징(400)(410)과, 제 1,2하우징(400)(410) 외경에 각각 돌출되게 고정된 날개(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날개(500)는 제 1,2하우징(400)(410)의 외경에 수직 및 다양한 경사각을 유지하여 돌출되게 고정되어 균일한 교반작업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교반기(100) 내부에 저장된 화학약품 등을 혼합시키기 위해서 회전축(200)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회전축(200)의 외경에 제 1,2하우징(400)(410)으로써 고정된 날개(500)가 회전축(200)과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때, 날개(500)가 제 1,2하우징(400)(410)으로부터 수직 및 적정 경사각을 유지하여 고정되어 있어 균일한 교반작업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교반기 날개는 회전축에 축설된 하우징의 외경에 고정되어 있어, 즉 하우징의 외경에 수평각도가 설정된 상태에서 고정됨으로써 날개의 수평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하우징으로부터 강제적으로 분리시켜 새로운 날개로 교체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반기의 날개를 설치한 상태에서 현장에서 직접 수평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고장수리 작업이 용이한 교반기 날개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과제는,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외경에 제 1,2하우징으로써 그 각도가 다르게 배치되고, 다수의 날개부재가 축설된 교반기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재는 상기 제 1,2하우징의 외경에 적정 간격을 유지하고, 대응되게 각각 고정된 제 1,2고정부재와, 상기 제 1,2고정부재 사이에 각도조절정치로써 수평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날개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교반기 날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 교반기 날개가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 교반기 날개가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 날개 각도 조절장치가 설치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 날개 각도 조절장치의 날개가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 평면도.
도 7은 도 5의 결합상태 요부 단면도.
도 8은 도 5의 동작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 날개 각도 조절장치의 날개가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결합상태 요부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동작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날개부재 30,31 : 제 1,2하우징
40,41 : 제 1,2고정부재 50 : 날개
60 : 각도조절장치 61 : 삽지공
63 : 나사공 64,65 : 제 1,2조절부재
66 : 수평장공 70 : 리벳
71 : 체결볼트 72 : 체결너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 날개 각도 조절장치가 설치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 날개 각도 조절장치의 날개가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결합상태 요부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5의 동작상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 날개 각도 조절장치의 날개가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결합상태 요부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동작상태 단면도이다.
먼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반기(1)에는 회전가능하도록 회전축(10)이 축설되고, 회전축(10) 외경에는 그 각도가 다르게 배치된 다수의 날개부재(20)가 축설된다.
상기 날개부재(20)는 회전축(10)의 외경에 축설된 한쌍의 제 1,2하우징(30)(31)과, 제 1,2하우징(30)(31) 외경에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된 한쌍의 제 1,2고정부재(40)(41)와, 제 1,2고정부재(40)(41) 사이에 각도조절정치(60)로써 수평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정된 날개(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2고정부재(40)(41)는 제 1,2하우징(30)(31) 외경의 수직에서 일측으로 경사지게 고정되고, 제 1,2고정부재(40)(41) 사이에 고정되는 날개(50)는 제 1,2고정부재(40)(41)와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각도조절장치(60)는 제 1,2고정부재(40)(41)에 대응되게 형성된 다수의 삽지공(61)과, 제 1,2고정부재(40)(41)의 삽지공(61)과 연통되게 나사공(63)이 각각 형성되고, 제 1,2고정부재(40)(41) 사이에 삽입 고정된 제 1,2조절부재(64)(65)와, 제 1,2고정부재(40)(41)의 삽지공(61)과 제 1,2조절부재(64)(65)의 나사공(63)에 연통되게 날개(50) 하부에 형성된 수평장공(66)과, 제 1,2고정부재(40)(41)의 삽지공(61)과 제 1,2조절부재(64)(65)의 나사공(63) 및 날개(50)의 수평장공(66)을 통하여 체결되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2조절부재(64)(65)는 제 1,2고정부재(40)(41) 사이에 삽입되도록 그 폭이 유지되고, 날개(50)의 수평각도 조절에 따라 그 일면이 경사지게 제작된다.
즉, 제 1,2조절부재(64)(65)는 날개(50)의 수평각도를 조절하지 않을 때에는 사각형상을 유지하여 날개(50)를 고정시키게 되나, 날개(50)의 수평각도를 조절하게 될 경우에는 제 1,2고정부재(40)(41)를 삼각형상을 유지하여 제 1,2고정부재(40)(41) 사이의 양측으로 한쌍이 각각 고정된다.
상기 체결수단은 제 1,2고정부재(40)(41) 중앙의 삽지공(61)과 날개(50)의 수평장공(66)을 통하여 고정되어 날개(50)를 유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리벳(70)과, 제 1,2고정부재(40)(41) 양측의 삽지공(61)과 제 1,2조절부재(64)(65)의 나사공(63) 및 날개(50)의 수평장공(66)을 통하여 각각 체결되어 날개(50)를 안정되게 고정시키는 체결볼트(71) 및 체결너트(72)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기 날개부재(20)는 도 4 내 도 7에서와 같은 동일한 구조와 동작으로 이루어지나, 날개부재(20)의 제 1,2하우징(30)(31) 외경에 제 1,2고정부재(40)(41)가 수직을 유지하여 고정되고, 제 1,2고정부재(40)(41) 사이에 날개(50)가 수직으로 고정되어 동일한 각도조절장치(60)로써 그 수평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이때, 각도조절장치(60)의 제 1,2조절부재(64)(65)는 수직으로 고정된 제 1,2수직부재(40)(41) 사이에 삽입되도록 그 폭이 유지되고, 날개(50)의 수평각도 조절에 따라 그 일면이 경사지게 제작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도 4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교반기(1) 내부에 저장된 화학약품 등을 혼합시키기 위해서 회전축(10)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회전축(10)의 제 1,2하우징(30)(31) 외경에 수직에서 일측으로 경사지게 고정된 제 1,2고정부재(40)(41) 사이에 각도조절장치(60)로써 각도조절이 가능한 날개(50)와 회전축(10)이 동시에 회전하게 되어 균일한 교반작업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 1,2고정부재(40)(41)와 날개(50) 및 제 1,2고정부재(40)(41) 사이의 제 1,2조절부재(64)(65)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날개(50)의 수평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도 8에서와 같이 먼저, 각도조절장치(60)의 체결수단의 체결력을 해제시키게 된다. 즉, 제 1,2고정부재(40)(41) 양측의 삽지공(61)과 제 1,2조절부재(64)(65)의 나사공(63) 및 날개(50)의 수평장공(66)을 통하여 각각 체결된 상태의 체결볼트(71) 및 체결너트(72)의 체결력을 해제시키게 된다.
그러면, 체결수단의 체결볼트(71) 및 체결너트(72)의 체결력이 해제되어 제 1,2고정부재(40)(41) 사이에 체결 고정된 제 1,2조절부재(64)(65)가 제 1,2고정부재(40)(41) 사이로부터 분리된다. 이에 따라 제 1,2고정부재(40)(41) 중앙의 삽지공(61)과 날개(50)의 수평장공(66)을 통하여 고정된 리벳(70)으로써 날개(50)가 유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 다음으로는 날개(50)를 일측 및 타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날개(50)가 수평장공(66)을 중심으로 수평으로 각도가 조절된다. 즉, 날개(50)가 수평장공(66)을 중심으로 일측 및 타측으로 경사지게 이동되어 제 1,2고정부재(40)(41) 사이를 경사지게 구획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2고정부재(40)(41)와 날개(50) 사이의 상하부로 제 1,2고정부재(40)(41)와 날개(50)의 경사각과 동일하게 제작된 제 1,2조절부재(64)(65)를 밀착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 1,2고정부재(40)(41) 양측의 삽지공(61)과 제 1,2조절부재(64)(65)의 나사공(63) 및 날개(50)의 수평장공(66)이 상호 일치하게 되고, 이를 통하여 체결수단의 체결볼트(71)를 삽입시키고, 이에 체결너트(72)를 체결시키게 되면, 날개(50)가 수평으로의 각도가 조절된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에서와 같이 교반기 날개부재(20)는 도 4 내지 도 8에서와 같은 동일한 구조와 동작으로 이루어지나, 날개부재(20)의 제 1,2하우징(30)(31) 외경에 제 1,2고정부재(40)(41)가 수직을 유지하여 고정되고, 제 1,2고정부재(40)(41) 사이에 날개(50)가 수직으로 고정되어 동일한 각도조절장치(60)로써 그 수평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즉, 도 4 내지 도 8에서와 같은 동일한 동작으로 이루어지나, 제 1,2하우징(30)(31) 외경에 제 1,2고정부재(40)(41)가 수직을 유지하여 고정되고, 이 사이에 날개(50)가 수직으로 고정되어 동일한 각도조절장치(60)로써 그 수평각도가 조절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교반기의 회전축에 축설된 다수의 날개에 대하여 수평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됨으로써 날개가 하우징에 고정된 종래 교반기 날개에 반하여 교반기 설치후 작업 현장에서 간편하게 날개의 수평각도를 직접 조절하게 되어 고장 수리시 작업을 간편하게 진행하게 되었으며, 또한 호환성이 우수하여 경제적으로 이익을 주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외경에 제 1,2하우징으로써 그 각도가 다르게 배치되고, 다수의 날개부재가 축설된 교반기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재(20)는 상기 제 1,2하우징(30)(31)의 외경에 적정 간격을 유지하고, 대응되게 각각 고정된 제 1,2고정부재(40)(41)와,
    상기 제 1,2고정부재(40)(41) 사이에 각도조절정치(60)로써 수평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날개(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날개 각도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장치(60)는
    상기 제 1,2고정부재(40)(41)에 대응되게 형성된 다수의 삽지공(61);
    상기 제 1,2고정부재(40)(41)의 삽지공(61)과 대응되게 나사공(6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2고정부재(40)(41) 사이에 삽입된 제 1,2조절부재(64)(65);
    상기 제 1,2고정부재(40)(41)의 삽지공(61)과 상기 제 1,2조절부재(64)(65)의 나사공(63)에 대응되게 상기 날개(50)의 하부 영역 형성된 수평장공(66);
    상기 제 1,2고정부재(40)(41)의 삽지공(61)과 상기 제 1,2조절부재(64)(65)의 나사공(63) 및 상기 날개(50)의 수평장공(66)을 통하여 체결되는 체결수단;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날개 각도 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조절부재(64)(65)는 상기 제 1,2고정부재(40)(41) 사이에 삽입되도록 그 폭이 유지되고,
    상기 날개(50)의 수평각도 조절에 따라 그 일면이 선택적으로 경사지게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날개 각도 조절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 1,2고정부재(40)(41) 중앙의 삽지공(61)과 상기 날개(50)의 수평장공(66)을 통하여 체결되어 상기 날개(50)를 유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리벳(70)과,
    상기 제 1,2고정부재(40)(41) 양측의 삽지공(61)과 상기 제 1,2조절부재(64)(65)의 나사공(63) 및 상기 날개(50)의 수평장공(66)을 통하여 각각 체결되어 상기 날개(50)를 고정시키는 체결볼트(71) 및 체결너트(7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반기 날개 각도 조절장치.
KR10-2001-0050605A 2001-08-22 2001-08-22 교반기 날개 각도 조절장치 KR100441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605A KR100441399B1 (ko) 2001-08-22 2001-08-22 교반기 날개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605A KR100441399B1 (ko) 2001-08-22 2001-08-22 교반기 날개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833A KR20030016833A (ko) 2003-03-03
KR100441399B1 true KR100441399B1 (ko) 2004-07-22

Family

ID=27720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0605A KR100441399B1 (ko) 2001-08-22 2001-08-22 교반기 날개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13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285B1 (ko) 2013-04-30 2013-07-26 고일영 교체가 용이한 수처리장의 교반장치용 임펠러
KR101932964B1 (ko) * 2018-03-27 2018-12-27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파쇄형 슬러지 케이크 저장 호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2223B1 (ko) * 2009-09-16 2012-02-27 주식회사강남기공 교반부재 및 그를 구비한 교반장치
KR101102938B1 (ko) * 2009-11-24 2012-01-09 (주) 아이레보 금강씨에스 방화용 댐퍼의 제어방법
KR101304236B1 (ko) * 2013-07-11 2013-09-05 주식회사 주원 슬러지 교반 이송설비
CN105879761A (zh) * 2016-06-27 2016-08-24 安徽省思维新型建材有限公司 水性涂料搅拌系统
CN106110936A (zh) * 2016-06-27 2016-11-16 安徽省思维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搅拌釜
CN106110970A (zh) * 2016-06-27 2016-11-16 安徽省思维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摆动装置
CN106110971A (zh) * 2016-06-27 2016-11-16 安徽省思维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加震装置
CN106110969A (zh) * 2016-06-27 2016-11-16 安徽省思维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搅拌釜的辅助装置
KR102617946B1 (ko) 2022-01-12 2023-12-27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교반조가 회전하는 헬리컬 리본 교반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4667A (en) * 1981-02-06 1982-12-21 Reiner Ralph Mixing and transport conveyor
JPS58112435U (ja) * 1982-01-21 1983-08-01 株式会社新潟鐵工所 混合機
JPS6157225A (ja) * 1984-08-30 1986-03-24 Gadelius Kk 混合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4667A (en) * 1981-02-06 1982-12-21 Reiner Ralph Mixing and transport conveyor
JPS58112435U (ja) * 1982-01-21 1983-08-01 株式会社新潟鐵工所 混合機
JPS6157225A (ja) * 1984-08-30 1986-03-24 Gadelius Kk 混合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285B1 (ko) 2013-04-30 2013-07-26 고일영 교체가 용이한 수처리장의 교반장치용 임펠러
KR101932964B1 (ko) * 2018-03-27 2018-12-27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파쇄형 슬러지 케이크 저장 호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833A (ko) 200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1399B1 (ko) 교반기 날개 각도 조절장치
US6827291B2 (en) Reversible adjustable arc sprinkler
US6250794B1 (en) Ice cream making apparatus and an agitator for the same
US5941636A (en) Mixer having mixing blades capable of expanding automatically
CN2815483Y (zh) 桨叶自动伸展式搅拌器
JPH06241550A (ja) 風向調節装置
KR20180088949A (ko) 전자소재 혼합용 교반 장치
CN215463751U (zh) 一种搅拌机
CN212263133U (zh) 一种欧化立式混合机的电机固定结构
CN219806285U (zh) 全方向即插式浆料搅拌装置
KR101176966B1 (ko) 초고속 회전식 호모 믹서
JPH1121959A (ja) シングルレバー式水栓
CN210154044U (zh) 一种导风门驱动机构及空调器
JPH08247089A (ja) 送風ファン取付装置
JP2005326104A (ja) 空気調和装置の縦ルーバ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装置
CN220250232U (zh) 一种净化器
CN220968731U (zh) 一种圆盘搅拌设备
KR100888877B1 (ko) 천장형 에어컨
KR200210107Y1 (ko) 자동차의 에어밴트 조립체(air-vent assembly in a vehicle)
JPH0327236Y2 (ko)
CN220197578U (zh) 一种拆卸装置及具有其的翻转混合机
CN2481404Y (zh) 可变径搅拌器
KR200199031Y1 (ko) 에어컨디셔너의 자동 그릴장치
CN211098477U (zh) 一种可调角度的导向叶片装置
KR200262352Y1 (ko) 풍력 발전기의 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