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0532B1 - 분리 가능한 연결 블록을 가지는 미용가위 - Google Patents

분리 가능한 연결 블록을 가지는 미용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0532B1
KR100440532B1 KR10-2001-0072884A KR20010072884A KR100440532B1 KR 100440532 B1 KR100440532 B1 KR 100440532B1 KR 20010072884 A KR20010072884 A KR 20010072884A KR 100440532 B1 KR100440532 B1 KR 100440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handle
connecting block
cosmetic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2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2220A (ko
Inventor
웬-야 예
Original Assignee
웬-야 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웬-야 예 filed Critical 웬-야 예
Priority to KR10-2001-0072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0532B1/ko
Publication of KR20030042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5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2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 B26B13/24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to aid hai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4Hand shears; Scissors with detachable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한 자루의 미용가위는 함께 피봇 연결된 2개의 절단부재를 가진다. 각각의 절단부재는 그 제1단부에서 하나의 손잡이(11)(21), 제2단부에서 하나의 블레이드(10)(20)를 구비한다. 하나의 수용 홈(12)(22)은 상기 손잡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L자 모양의 슬롯(13)(23)은 상기 손잡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다른 측부에 형성된다. 연결 블록(40)은 수용 홈 내부에 부분적으로 단단히 장착되며, 상기 수용 홈의 바깥으로는 L자 모양 부분이 드러나게 된다. 한 자루의 미용가위에서 연결 블록의 L자 모양의 부분은 다른 미용 가위의 L자 모양의 슬롯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복수 자루의 미용가위의 조립체가 특별한 이발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분리 가능한 연결 블록을 가지는 미용가위{HAIRDRESSING SCISSORS HAVING A DETACHABLE CONNECTING BLOCK}
본 발명은, 복수 자루의 미용가위의 조립체가 특별한 이발(haircutting)을 수행할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한 연결 블록을 가지는 한 자루의 미용가위에 관한 것이다.
미용사는 트리밍(trimming), 씨닝(thinning), 레이어링(layering) 등을 포함하는 몇가지 테크닉으로 고객의 머리를 자른다. 때때로, 이 미용사는 씨닝이나 레이어링으로 원하는 특별한 머리 스타일을 얻기 위해서 한 손에 여러 자루의 가위를 들고 있어야 한다.
한 손으로 여러 자루의 가위를 조작시키는 동안, 그 사용자는 그 가위들을규칙적인 간격으로 띄어 놓고 동일한 조작 조건으로 조작해야만 한다. 그 복수 자루의 가위들은 단정하고 아름다운 머리 스타일을 얻기 위해 동시에 개폐되어야 한다. 그러나, 복수 자루의 가위들은 단순히 사용자의 집게와 엄지 손가락에 의해 쥐어져 있어서, 조작이 까다로와 손가락들로는 동시에 조작될 수 없다. 즉, 복수 자루의 가위들은 종종 서로 삐뚤어지게 되고 그 사이의 간격도 서로 달라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이발의 결과가 나빠지고, 사용자가 미숙련자일 경우에는 더욱 악화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복수 자루의 가위를 조작함에 있어서 매우 많은 제한 조건과 어려움을 가질 뿐만 아니라, 조작시 종종 통증을 느끼기도 한다.
2001년 2월 27일 발행된 본 출원인의 미국특허 제6,192,590호와 미국 특허출원번호 제09/617,713에는 상기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미용가위의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것에 관한 다른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자루의 미용가위의 조립체가 특별한 이발을 수행할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한 연결 블록을 가지는 한 자루의 미용가위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두 자루의 미용가위를 구비하는 미용가위의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한 자루의 미용가위에서 연결 블록의 위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와 유사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7에서 평면 8-8을 따라 취해진 부분 단면도로서, 도 2의 연결 블록을 각각 가지는 5자루의 미용가위를 구비하는 미용가위의 조립체를 나타내며, 결합된 상태가 아니고, 복수 자루의 미용가위의 팁(tips)이 경사진 선을 따라 다른 높이로 정렬되어 있는 미용가위의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7에서 평면 9-9를 따라 취해진 도 4의 미용가위의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미용가위의 조립체의 부분 측단면도로서, 결합된 상태이며, 복수 자루의 미용가위의 팁(tips)이 하나의 직선을 따라 동일한 높이로 정렬되어 있는 미용가위의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서의 연결 블록을 각각 가지는 5자루의 미용가위를 구비하는미용가위의 조립체의 사시도로서, 결합된 상태가 아니며, 복수 자루의 미용가위의 팁(tips)이 하나의 직선을 따라 동일한 높이로 정렬된 미용가위의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평면8-8을 따라 취해진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서 평면9-9를 따라 취해진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서의 미용가위의 조립체의 부분 측단면도로서, 결합된 상태이며, 복수 자루의 미용가위의 팁(tips)이 경사진 선을 따라 다른 높이로 정렬되어 있는 미용가위의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2자루의 미용가위를 구비하는 미용가위의 조립체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한 자루의 미용가위의 연결 블록의 결합 위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와 유사하며, 연결 블록이 절단요소의 하부 홀(hole)과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연결 블록을 각각 가지는 5자루의 미용가위를 구비하는 미용가위의 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결합된 상태가 아니며, 복수 자루의 미용가위의 팁들(tips)이 경사진 선을 따라 다른 높이로 정렬되어 있는 미용가위의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미용가위의 조립체의 또 다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미용가위의 조립체의 부분 측단면도로서, 결합된 상태이며,복수 자루의 미용가위의 팁들tips)이 하나의 직선을 따라 동일한 높이로 정렬되어 있는 미용가위의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3의 연결 블록을 각각 가지는 5자루의 미용가위를 구비하는 미용가위의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로서, 결합된 상태가 아니며, 복수 자루의 미용가위의 팁들(tips)이 하나의 직선을 따라 동일한 높이로 정렬되어 있는 미용가위의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미용가위의 조립체의 부분 측단면도로서, 결합된 상태이며, 복수 자루의 미용가위의 팁(tips)이 경사진 선을 따라 다른 높이로 정렬되어 있는 미용가위의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용가위의 조립체의 제1실시예는, 각각 피봇(30)을 중심으로 함께 피봇되는 제1 절단부재와 제2 절단부재를 구비하는 복수자루의 가위(1)를 구비한다. 제1 절단부재는 그 제1단부에 제1 손잡이(11)와 제2단부에 제1 블레이드(blade)(10)를 구비한다. 제2 절단부재는 그 제1단부에 제2 손잡이(21)와 제2단부에 제2 블레이드(blade)(20)를 구비한다. 각각의 블레이드(10)(20)은 각각 하나의 팁(tip)(16)(26)을 가진다. 제1 및 제2 절단부재는 그 중도 위치에서 함께 피봇된다. 물론, 각각의 손잡이(11)(21)는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 또는 집게 손가락을 위한 하나의 개구(참조번호 없음)를 가진다.
제1 손잡이(11)와 제2 손잡이(21)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제1측부(11a)(21a)에 형성된 하나의 수용 홈(12)(22)을 가지며, 그 제1측부(11a)(21a)의 반대편에 있는 제2측부(11b)(21b)에 형성된 L자 모양의 슬롯(13)(23)을 가진다. 연결 블록(40)은 수용 홈(12)(22) 안에 단단히 장착되어 두 자루의 가위(1)를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손잡이(11)와 제2 손잡이(21)의 각각은 그 내부에 형성된 수용 홈(12)(22)을 가지고 있어, 각각의 연결 블록(40)과 결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연결 블록(40)은 수용 홈(12)(22)의 바깥에 드러난 L자 모양의 부분(46)을 가진다. 이 L자 모양의 부분(46)은 단부 러그(41)를 구비하며, 하나의 틈새(45)가 상기 단부 러그(41)와 미용가위의 각각의 손잡이(11)(21)의 각각의 제1측부(21a) 사이에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손잡이(11)(21)는 그 내부에 형성되는 안내 채널(132)(232)을 더 구비하는데, 이 안내 채널(132)(232)은 각각의 손잡이(11)(21)의 제2측부(11b)(21b)에 형성되는 각각의 L자 모양 슬롯(131)(231)과 소통한다.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한 자루의 가위(1)와 다른 가위(1)를 결합할 때,한 자루의 가위(1)의 각각의 연결 블록(40)은 다른 가위(1)의 각각의 L자 모양 슬롯(13)(23)을 경유하여 각각의 손잡이(11)(21)의 안내 채널(132)(232)에 삽입된다. 주목할 점은, 미용가위의 조립체는 결합되어 있지 않고, 복수 자루의 미용가위의 팁(16)(26)이 경사진 선을 따라 다른 높이로 배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다음, 인접한 2자루의 가위(1) 중 오른쪽 것의 각각의 연결 블록(40)의 단부 러그(41)가 왼쪽 것의 각각의 L자 모양 슬롯(13)(23)의 상대적으로 더 짧은 부분(131)(231)으로부터 떨어져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용가위(1)의 팁(16)(26)이 하나의 직선을 따라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는 미용가위의 조립체를 형성할 때까지, 인접한 2자루의 가위(1) 중 오른쪽 것이 왼쪽 것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각각의 연결 블록(40)의 틈새(45)는 각각의 손잡이(11)(21)의 제2측부(11b)(21b)와, 각각의 안내 채널(132)(232)을 형성하는 동시에 각각의 제2측부(11b)(21b)에 인접한 벽면(133)(233)과의 사이 벽 두께(d)(도 2 참조)를 수용한다.
도 3은 연결 블록(40)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도 2의 실시예에서는 단부 러그(41)의 위치가 각각의 손잡이(11)(21)의 상대적으로 더 짧은 부분(131)(231)보다 더 높은 높이에 있는 반면에, 단부 러그(41)의 위치가 각각의 절단부재(10)(20)의 상대적으로 더 짧은 부분(131)(231)과 동일한 높이에 있다. 그 결과, 도 3에 도시된 연결 블록(40)을 가지는 복수 자루의 미용가위를 구비하는 미용가위의 조립체(도 7)가 결합 위치에 있지 않을 때(도 8과 도 9 참조), 복수 자루의 미용가위는 하나의 직선을 따라 동일한 높이로 배치된다. 도 10을 참조하면,미용가위의 조립체가 상기 실시예의 조작과 동일한 조작을 통하여 결합 위치로 이동할 때, 복수 자루의 미용가위의 팁(16)(26)들은 경사진 선을 따라 다른 높이로 정렬된다.
도 11은 연결 블록이 제1실시예와는 다른 미용가위의 조립체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각각의 연결 블록(이제는 참조번호 42로 표시됨)은 L자 모양을 가지며, 단부 러그(43)와 연결 블록(42)의 상대적으로 더 긴 부분의 일측부로부터 연장되는 나사부재(44)를 구비한다. 또한, 이 미용가위의 각각의 손잡이(11)(21)는 상부 나사구멍(24)과 하부 나사구멍(25)을 가진다. 도 12에서와 같이, 제2실시예의 하나의 구성에서는, 각각의 연결 블록(42)의 나사부재(44)는 각각의 손잡이(11)(21)의 상부 나사구멍(24)에 결합된다. 도 13에서와 같이, 제2실시예의 다른 구성에서는, 각각의 연결 블록(42)의 나사부재(44)가 각각의 손잡이(11)(21)의 하부 나사구멍(25)에 결합된다. 상기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틈새(45)가 각각의 연결 블록(42)의 단부 러그(43)와 각각의 손잡이(11)(21)의 제1측부(11a)(21a) 사이에 형성된다.
도 14와 도 15에서와 같이, 한 자루의 가위(1)를 도 12에 나타낸 연결 블록(42)을 가지는 다른 가위(1)에 결합할 때, 한 자루의 가위(1)의 각각의 연결 블록(42)은 다른 가위(1)의 각각의 손잡이(11)(21)의 안내 채널(132)(232) 속으로 삽입된다. 주목할 점은, 미용가위의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에 있지 않고, 복수 자루의 미용가위의 팁(16)(26)들이 경사진 선을 따라 다른 높이로 정렬된다는 것이다.
다음, 인접한 2자루의 가위(1) 중 오른쪽 것의 각각의 연결 블록(40)의 단부 러그(41)가 왼쪽 것의 각각의 L자 모양 슬롯(13)(23)의 상대적으로 더 짧은 부분(131)(231)으로부터 떨어져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용가위(1)의 팁(16)(26)이 하나의 직선을 따라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는 미용가위의 조립체를 형성할 때까지, 인접한 2자루의 가위(1) 중 오른쪽 것이 왼쪽 것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각각의 연결 블록(40)의 틈새(45)는, 각각의 손잡이(11)(21)의 제2측부(11b)(21b)와, 각각의 안내 채널(132)(232)을 형성하는 동시에 각각의 제2측부(11b)(21b)에 인접한 벽면(133)(233)과의 사이 벽 두께(d)(도 12 참조)를 수용한다.
도 13에 나타낸 연결 블록(42)을 가지는 복수 자루의 미용가위를 구비하는 미용가위의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에 있지 않을 때(도 17), 복수의 미용가위의 팁(16)(26)들은 하나의 직선을 따라 동일한 높이로 정렬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미용가위의 조립체가 제2실시예의 조작과 동일한 조작을 통해 결합 상태로 이동할 때, 복수 자루의 미용가위의 팁(16)(26)들은 경사진 선을 따라 다른 높이로 정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미용가위는 분리 가능하게 서로 결합되어 가위의 팁들이 동일한 높이 또는 다른 높이로 배치될 수 있으므로, 특별한 이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Claims (6)

  1. 제1단부에 제1 손잡이(11), 제2단부에 제1 블레이드(10)를 구비하는 제1 절단부재와, 제1단부에 제2 손잡이(21), 제2단부에 제2 블레이드(20)를 구비하는 제2 절단부재가 함께 피봇 연결되고, 제1 손잡이(11)와 제2 손잡이(21)의 각각은 제1 측부(11a)(21a)와, 이 제1 측부(11a)(21a)의 반대쪽에 있는 제2 측부(11b)(21b)를 가지며, 하나의 수용 홈(12)(22)이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측부에 형성되고, L자 모양의 슬롯(13)(23)이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 중 적어도 하나는 그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L자 모양의 슬롯과 소통하는 안내 채널(132)(232)을 더 구비하고,
    상기 수용 홈에 부분적으로 단단히 장착되는 연결 블록(40)은 상기 수용 홈의 바깥쪽에 L자 모양의 부분(46)을 구비하고, 단부 러그(41)를 가지며, 틈새(45)가 상기 단부 러그와, 상기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측부 사이에 형성되고,
    한 자루의 미용가위의 연결 블록(40)의 단부 러그(41)가 다른 미용가위의 L자 모양의 슬롯의 상대적으로 더 짧은 부분(131)(231)을 경유하여 다른 미용가위의 안내 채널(132)(232)에 삽입됨으로써, 한 자루의 미용가위의 연결 블록(40)이 다른 미용가위의 L자 모양의 슬롯(13)(23)에 삽입 가능하며, 그 다음, 상기 한 자루의 미용가위의 연결 블록(40)의 단부 러그(41)가 상기 다른 미용가위의 L자 모양의 슬롯의 상대적으로 더 짧은 부분(131)(231)으로부터 상기 안내 채널(132)(232) 속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한 자루의 미용가위의 연결 블록(40)이 결합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한 자루의 미용가위와 다른 미용가위가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연결 블록을 가지는 미용가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40)의 단부 러그(41)의 위치가 각각의 손잡이(11)(21)의 L자 모양의 슬롯(13)(23)의 상대적으로 더 짧은 부분(131)(231)과 동일한 높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연결 블록을 가지는 미용가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40)의 단부 러그(41)의 위치가 각각의 손잡이(11)(21)의 L자 모양의 슬롯(13)(23)의 상대적으로 더 짧은 부분(131)(231)보다 더 높은 높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연결 블록을 가지는 미용가위.
  4. 제1단부에 제1 손잡이(11), 제2단부에 제1 블레이드(10)를 구비하는 제1 절단부재와, 제1단부에 제2 손잡이(21), 제2단부에 제2 블레이드(20)를 구비하는 제2 절단부재가 함께 피봇 연결되고, 제1 손잡이(11)와 제2 손잡이(21)의 각각은 제1 측부(11a)(21a)와, 이 제1 측부(11a)(21a)의 반대쪽에 있는 제2 측부(11b)(21b)를 가지며, 하나의 상부 나사구멍(24)과 하부 나사구멍(25)이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측부에 형성되고, L자 모양의 슬롯(13)(23)이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 중 적어도 하나는 그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L자 모양의 슬롯과 소통하는 안내 채널(132)(232)을 더 구비하고,
    상기 상부 나사구멍(24)과 하부 나사구멍(25) 중 하나에 나사결합되기 위한 나사부재(44)를 구비하는 연결 블록(42)은, 상기 수용 홈의 바깥쪽에 L자 모양을 가지고, 하나의 단부 러그(43)를 가지며, 틈새(45)가 상기 단부 러그와, 상기 제1 손잡이와 제2 손잡이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측부와의 사이에 형성되고,
    한 자루의 미용가위의 연결 블록(42)의 단부 러그(43)가 다른 미용가위의 L자 모양의 슬롯의 상대적으로 더 짧은 부분(131)(231)을 경유하여 다른 미용가위의 안내 채널(132)(232)에 삽입됨으로써, 한 자루의 미용가위의 연결 블록(42)이 다른 미용가위의 L자 모양의 슬롯(13)(23)에 삽입 가능하며, 그 다음, 상기 한 자루의 미용가위의 연결 블록(42)의 단부 러그(43)가 상기 다른 미용가위의 L자 모양의 슬롯의 상대적으로 더 짧은 부분(131)(231)으로부터 상기 안내 채널(132)(232) 속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한 자루의 미용가위의 연결 블록(42)이 결합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한 자루의 미용가위와 다른 미용가위가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연결 블록을 가지는 미용가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42)의 나사부재(44)는 하부 나사구멍(15)(25)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 블록(42)의 단부 러그(43)의 위치가 각각의 손잡이(11)(21)의 L자 모양의 슬롯(13)(23)의 상대적으로 더 짧은 부분(131)(231)과 동일한 높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연결 블록을 가지는 미용가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42)의 나사부재(44)는 상부 나사구멍(14)(24)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 블록(42)의 단부 러그(43)의 위치가 각각의 손잡이(11)(21)의 L자 모양의 슬롯(13)(23)의 상대적으로 더 짧은 부분(131)(231)보다 더 높은 높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능한 연결 블록을 가지는 미용가위.
KR10-2001-0072884A 2001-11-22 2001-11-22 분리 가능한 연결 블록을 가지는 미용가위 KR100440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884A KR100440532B1 (ko) 2001-11-22 2001-11-22 분리 가능한 연결 블록을 가지는 미용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884A KR100440532B1 (ko) 2001-11-22 2001-11-22 분리 가능한 연결 블록을 가지는 미용가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220A KR20030042220A (ko) 2003-05-28
KR100440532B1 true KR100440532B1 (ko) 2004-07-21

Family

ID=37417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884A KR100440532B1 (ko) 2001-11-22 2001-11-22 분리 가능한 연결 블록을 가지는 미용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05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966B1 (ko) * 2007-01-26 2008-04-08 휘-추앙 라이 미용가위
KR100869874B1 (ko) 2006-10-17 2008-11-24 이대범 복수개의 가위가 3군데 지점에서 결합되는 미용가위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206B1 (ko) * 2007-01-16 2008-10-23 휘-추앙 라이 미용가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874B1 (ko) 2006-10-17 2008-11-24 이대범 복수개의 가위가 3군데 지점에서 결합되는 미용가위조립체
KR100819966B1 (ko) * 2007-01-26 2008-04-08 휘-추앙 라이 미용가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220A (ko) 2003-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4106B2 (en) Hairdressing scissor assembly having detachable dovetail connection
US6557263B1 (en) Hairdressing scissors
US6434833B1 (en) Hairdressing scissor assembly
EP1413405B1 (en) Hairdressing scissor assembly with adjustable spacing
US6601304B2 (en) Hairdressing scissors having a detachable connecting block
KR100440532B1 (ko) 분리 가능한 연결 블록을 가지는 미용가위
JP3398353B2 (ja) 散髪用鋏
KR100433456B1 (ko) 분리가능한 더브테일 결합부를 가진 머리손질용 가위 조립체
GB2337721A (en) Hairdressing scissors
KR100433455B1 (ko) 머리손질용 가위 조립체
JP4596993B2 (ja) ヘアカット用カミソリ
US20060272160A1 (en) Hairdressing scissors and connecting member thereof
KR200487321Y1 (ko) 업스타일링용 빗
AU770929B2 (en) Hairdressing scissor assembly having detachable dovetail connection
JP3060770U (ja) 重畳可能な理髪用はさみ
JPH1028613A (ja) カット用櫛
GB2414955A (en) Hairdressing scissors having multiple blades
KR200240224Y1 (ko) 이미용 가위
KR200404380Y1 (ko) 미용가위
KR100330944B1 (ko) 미용가위
KR200173666Y1 (ko) 헤어 스타일링용 가위
JP3443033B2 (ja) 梳きハサミ
AU748584B2 (en) Hair grooming devices
KR20020096123A (ko) 양손을 이용한 커트방법
KR200295724Y1 (ko) 헤어컷트용 가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