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5206B1 - 미용가위 - Google Patents

미용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5206B1
KR100865206B1 KR1020070004719A KR20070004719A KR100865206B1 KR 100865206 B1 KR100865206 B1 KR 100865206B1 KR 1020070004719 A KR1020070004719 A KR 1020070004719A KR 20070004719 A KR20070004719 A KR 20070004719A KR 100865206 B1 KR100865206 B1 KR 100865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connection block
hairdressing scissors
hairdressing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4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7439A (ko
Inventor
휘-추앙 라이
Original Assignee
휘-추앙 라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휘-추앙 라이 filed Critical 휘-추앙 라이
Priority to KR1020070004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5206B1/ko
Publication of KR20080067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2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 B26B13/24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to aid hair cut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미용가위는, 연결 블럭이 상기 미용가위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 블럭의 제 1 벽면에 지지돌기를 갖춘 리브부가 돌출해서 형성되며, 또한, 상기 연결 블럭의 제 2 벽면에 상기 지지돌기가 체결되도록 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탄성부재가 상기 연결 블럭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미용가위의 지지돌기가 다른 미용가위의 구멍에 체결되었을 때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지지돌기를 압착하게 되며 이로써 미용가위가 겹쳐져서 견고하게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다.
헤어드레싱, 이발가위, 연결블럭, 미용, 지지돌기

Description

미용가위{Hairdressing Scissors}
도 1은 미국 특허 U.S. Pat. Nos. 6,192,590 와 6,557,263의 미용가위를 나타낸 입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두 개의 연결 블록을 나타낸 분해 조립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용가위를 나타낸 분해 조립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연결 블록과 탄성부재를 나타낸 입체도로서, 연결 블록의 홈과 제 1 벽면을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연결 블록과 탄성부재를 나타낸 입체도로서, 연결 블록의 홈과 제 2 벽면을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3의 6-6 선을 따라 절취한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겹쳐진 미용가위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작용도이다.
도 9는 복수의 미용가위가 서로 이웃하며 겹쳐진 것을 나타낸 입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용가위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2개가 같이 겹쳐진 미용가위를 나타낸 또다른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정발(整髮)용 가위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겹쳐져서 견고하게 서로 이웃하여 위치된 미용가위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U.S. Pat. Nos. 6,192,590 와 6,557,263의 미용가위의 입체도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용가위의 각 손잡이(11)(12) 상에 관통 홀(111)(12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연결 블록(13)은 상기 관통 홀(111)(121)에 견고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블록(13)의 한 쪽 벽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공 홈(131)이 형성되어 있고, 연결 블록(13)의 한 면의 표면에는 개구부(1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 블록(13)의 다른 면의 표면에는 상기 개구부(132)에 맞물리는 결합부(133)가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하나의 미용가위의 연결 블록(13) 개구부(132)에 다른 미용가위의 연결 블록(13) 결합부(133)가 결속됨으로서 미용가위(1)들이 겹쳐져서 서로 이웃하여 위치할 수 있게 되고, 복수 개의 미용가위를 동일한 방법으로 서로 이웃하여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수단에 의해 복수 개의 미용가위(1)가 서로 이웃하여 위치될 수 있어, 사용자는 한 손으로 용이하게 복수의 미용가위를 파지할 수 있으며, 미용가위들을 동시에 벌리고 접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수단은 주로, 하나의 미용가위의 연결 블록(13) 개구부(132)에 다른 미용가위의 연결 블록(13) 결합부(133)가 결속되는 미용가위(1)을 형성하는데, 오랜 시간 사용 후에는 합체된 결속 블록(13)이 마찰에 의해 느슨해진다. 그 결과, 겹쳐진 미용가위(1)가 진동하여,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성과 헤어스타일의 미적 효과에 영향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불편 사항을 완화하거나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창출되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겹쳐져서 견고하게 서로 이웃하여 위치되는 미용가위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결 블록은 견고하게 미용가위에 설치되어 있는데, 연결 블록의 외측 표면에 지지돌기를 갖춘 리브부가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블록의 다른 외측 표면에는 상기 지지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연결 블록에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있어, 두 개의 미용가위가 겹쳐지면서 한쪽 미용가위의 연결 블록의 지지돌기가 다른 쪽 미용가위의 연결 블록의 구멍에 결속될 때,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지지돌기를 압착함으로써, 두 개의 미용가위가 겹쳐져서 견고하게 서로 이웃하여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된 다음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료해 질 것이고, 첨부 도면은 오직 설명을 목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선택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용가위(2)의 제 1 컷팅부재(21)와 제 2 컷팅부재(22)는 서로 회동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 1 컷팅부재(21)는 그 일측 단부에 형성된 날(210)과 타측 단부에 형성된 손잡이(211)로 이루어진 다. 상기 제 2 컷팅부재(22)는 그 일측 단부에 형성된 날(220)과 타측 단부에 형성된 손잡이(221)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손잡이(211)(221) 끝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환(丸)형 개구부(212)(222)가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커팅부재(21 및/또는 22)에는 그것의 관통 홀(213과 223)이 형성된다.
연결 블록(3)은 상기 미용가위(2)의 컷팅부재(21)(22) 상의 관통 홀(213)(223)에 견고하게 장착되며, 상기 연결 블록(3)은 제 1 벽면(32) 및 제 2 벽면(33) 그리고 그 두 면 사이에 형성된 홈(31)을 갖추고 있다. 리브부(32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블록(3)의 제 1 벽면(32) 상에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돌기(322)는 상기 리브부(321)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상기 지지돌기(322)와 제 1 벽면(32)사이에 형성된 갭(323)의 폭은, 제 2 벽면(33)과 홈(31)사이에 형성된 두께와 근사하다. 구멍(331)은 연결 블록(3)의 제 2 벽면(33)에 형성되어 있는데, 지지돌기(322)에 대향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331)은 개구 홈(332)을 형성하며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 홈(332)의 폭은 리브부(321)의 두께와 근사하다. 한편, 구멍(331), 개구 홈(332), 그리고, 홈(31)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4)는 상기 연결 블록(3)의 상기 홈(31)에 설치되어, 제 위치에 놓여지기 위해 관통 홀(213 및 223)에 압착된다. 상기 탄성부재(4)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블록(3)의 개구 홈(332)에 대향하여 치합 오목부(41)가, 그리고, 상기 연결 블록(3)의 지지돌기(32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오목부(42)가 배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미용가위(2A)를 다른 미용가위(2B)와 겹칠 때, 상기 미용가위(2A)의 연결 블록(3A) 상의 제 1 벽면(32A)은, 다른 미용가위(2B)에 연결 블록(3B) 상의 제 2 벽면(33B)에 대향하고 있으며, 따라서, 상기 연결 블록(3A)의 지지돌기(322A)가 연결 블록(3B)의 구멍(331B)에 삽입되어 상기 미용가위(2B)의 탄성부재(4B) 상의 지지 오목부(42B)에서 지지되게 된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용가위(2A)를 다른 미용가위(2B)에 대향해서 움직이도록, 상기 미용가위(2A)의 리브부(321A)가 상기 다른 미용가위(2B)의 개구 홈(332B)과 홈(31B)사이로 슬라이딩하여 들어가고, 또한 상기 미용가위(2A)의 지지돌기(322A)가 상기 다른 미용가위(2B)의 연결 블록(3B) 상의 홈(31B)으로 슬라이딩하여 들어감으로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미용가위(2A)는 상기 다른 미용가위(2B)와 겹쳐진다. 본 발명의 탄성부재의 작용에 관해서, 상기 미용가위(2A)의 지지돌기(322A)가 상기 다른 미용가위(2B)의 연결 블록(3B)의 홈(31B)에 체결될 때, 상기 다른 미용가위(2B)의 탄성부재(4B) 상의 치합 오목부(41B)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미용가위(2A)의 지지돌기(322A)를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한 배치로 해서, 겹쳐진 연결 블록들 사이의 거리가 너무 벌어졌을 때 상기 미용가위가 탄성부재의 작용으로 안정되게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탄성부재(4)가 하나 이상의 치합 오목부(41)에 배치되었을 때 복수의 미용가위가 서로 다른 높이의 지점에 위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재(4)에 치합 오목부(41)가 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미용가위(2A와 2B)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겹쳐졌을 때 상기 미용가위(2A)의 지지돌기(322A)가 상기 다른 미용가위(2B)의 연결 블럭(3B)상의 홈(31B)에 슬라이딩하여 들어가고, 상기 미용가위(2B)의 탄성부재(4B)가 상기 지지돌기(322A)에 인접함으로써 상기 미용가위(2A)가 정해진 위치로 자리잡게 된다.
상술한 탄성부재(4)는, 실리콘, 고무, 플라스틱 또는 그외 탄성물질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자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소개하고 상술함으로서, 그 이상의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음이 이 기술의 숙련자들에게 명확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개의 미용가위가 겹쳐져서 견고하게 서로 이웃하여 위치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서로 회동하도록 결합된 두 개의 컷팅부재와,
    두 개의 컷팅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되고, 제 1 벽면과 제 2 벽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벽면에는 상부 선단에 지지돌기를 갖춘 리브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벽면에는 상기 지지돌기에 대향해서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이 연장되어 개구 홈을 형성하는 연결 블럭과,
    상기 두 개의 컷팅부재와 상기 연결 블록을 포함하여 형성된 미용가위들 중 하나의 미용가위가 다른 하나의 미용가위와 겹쳐질 때, 한쪽 미용가위의 연결 블록의 지지돌기가 다른 쪽 미용가위의 연결 블록의 구멍 안으로 체결되고, 한쪽 미용가위의 연결 블록의 리브부가 다른 쪽 미용가위의 연결 블록의 개구 홈 내에서 슬라이딩되며, 한쪽 미용가위의 연결 블록의 지지돌기가 다른 쪽 미용가위의 연결 블럭 내에서 맞닿아 지지되도록 상기 연결 블럭에 장착된 탄성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 블록 내에 형성된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럭의 상기 지지돌기가 체결되도록 상기 탄성부재 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치합 오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럭의 상기 지지돌기가 체결되도록 상기 탄성부재 내에 형성된 지지 오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
  4. 제 1항에 있어서,
    연결 블럭을 연결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컷팅부재에 형성된 관통 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과 상기 연결 블록 상의 상기 개구 홈이 상기 홈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가 실리콘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
KR1020070004719A 2007-01-16 2007-01-16 미용가위 KR100865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719A KR100865206B1 (ko) 2007-01-16 2007-01-16 미용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719A KR100865206B1 (ko) 2007-01-16 2007-01-16 미용가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439A KR20080067439A (ko) 2008-07-21
KR100865206B1 true KR100865206B1 (ko) 2008-10-23

Family

ID=39821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4719A KR100865206B1 (ko) 2007-01-16 2007-01-16 미용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520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794A (ko) * 2001-08-31 2003-03-06 예웬야 머리손질용 가위 조립체
KR20030029374A (ko) * 2001-10-08 2003-04-14 예웬야 분리가능한 더브테일 결합부를 가진 머리손질용 가위 조립체
KR20030042220A (ko) * 2001-11-22 2003-05-28 웬-야 예 분리 가능한 연결 블록을 가지는 미용가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794A (ko) * 2001-08-31 2003-03-06 예웬야 머리손질용 가위 조립체
KR20030029374A (ko) * 2001-10-08 2003-04-14 예웬야 분리가능한 더브테일 결합부를 가진 머리손질용 가위 조립체
KR20030042220A (ko) * 2001-11-22 2003-05-28 웬-야 예 분리 가능한 연결 블록을 가지는 미용가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439A (ko) 2008-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6931B2 (en) Hairdressing scissors
US4005510A (en) Plastic clip
JP2003311037A (ja) 左右両用のカッターナイフ
CA2390460C (en) Hairdressing scissor assembly having detachable dovetail connection
JP2021178734A (ja) テープカッター
KR100865206B1 (ko) 미용가위
US20030079352A1 (en) Hairdressing scissors having a detachable connecting block
KR100498567B1 (ko) 철구
JPH03244489A (ja) シェーバー用の清掃ブラシ
JP2008061869A (ja) 切除具
KR100780371B1 (ko) 손톱깍기
KR101708021B1 (ko) 고데기
GB2337721A (en) Hairdressing scissors
KR101711569B1 (ko) 슬라이드 개폐식 링 바인더
KR100852013B1 (ko)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손톱깎이
JP2001259258A (ja) 散髪用鋏
JP4022334B2 (ja) 嵌合構造
JP2019188148A (ja) ヘアスタイリング器具
KR100440532B1 (ko) 분리 가능한 연결 블록을 가지는 미용가위
KR200224638Y1 (ko) 장식판 교체형 머리핀
US20060272160A1 (en) Hairdressing scissors and connecting member thereof
KR101669483B1 (ko) 다수의 미용가위가 탈착되는 미용가위조립체
KR200489900Y1 (ko) 화장품 케이스
JPH10217664A (ja) インデクス取付構造
JP2020063637A (ja) 埋込式取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