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0228B1 - 승용차의 윈드실드보호용 에어백장치 - Google Patents

승용차의 윈드실드보호용 에어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0228B1
KR100440228B1 KR10-2001-0051060A KR20010051060A KR100440228B1 KR 100440228 B1 KR100440228 B1 KR 100440228B1 KR 20010051060 A KR20010051060 A KR 20010051060A KR 100440228 B1 KR100440228 B1 KR 100440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windshield
emitting element
vehicle
passenger ca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1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6974A (ko
Inventor
김태운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1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0228B1/ko
Publication of KR20030016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6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2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6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air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ir Bag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충돌 또는 추돌전 전고가 높은 차량의 적재함에 실은 철제빔이나 기타 장애물이 전방윈드실드 쪽으로 침입할때 운전자와 탑승객을 최대한으로 보호할 수 있는 승용차의 윈드실드보호용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네트(1)의 상면과 전방윈드실드(2) 상부쪽에 각각 소광소자(3)와 발광소자(4)를 설치하고, 이 수광소자(3)와 발광소자(4)의 위상검출라인(5)에 장애물(6)이 침입하였을때 카울부재(7)와 대쉬상부부재(8)사이에 설치된 에어백(9)이 제어부(10)에 의하여 작동하여 전방윈드실드부(2)를 덮어 보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승용차의 윈드실드보호용 에어백장치{Air Bag Apparatus for Wind Shield Protection of Passenger car}
본 발명은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승용차의 전방윈드실드쪽으로 침입되는 각종 장애물로부터 운전자 와 조수석 탑승자를 보호할수 있는 승용차의 윈드실드보호용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에어백 장치는 주행중 차량의 충돌 내지는 추돌사고시 운전자와 탑승객을 충격에너지로 부터 보호할 수 있는 안전장치의 일종으로서, 주로 조향휠 장착 에어백장치와 사이드 에어백 장치등이 차실내에 장착되어 있으며, 전방 보호용 에어백장치도 충돌 내지는 추돌시에만 작동하는 피동적인 보호장치로 되어 있다.
그러나 승용차와 같은 전고가 낮은 차량이 트럭과 같은 전고가 높은 차량의 후미로 전고가 낮은 차량이 충돌 또는 추돌하는 경우, 대부분 전고가 높은 차량의 캐빈 하단부로 들어가면서 운전석과 조수석의 전방윈드실드 부분은 거의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대형사고의 원인이 되었다.
특히, 트럭의 적재함에 실린 철제 비임이나 원목 목재와 같은 비교적 긴 적재물등은 차량 충돌 또는 추돌전에 전고가 낮은 승용차의 전방 윈드실드부에 먼저 부딪히기 때문에 종래의 일반적인 에어백장치에서는 전방윈드실드부로 침입하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가 없어서 운전자와 탑승객을 보호하는데 한계성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전고가 낮은 차량인 승용차가 전고가 높은 차량인 트럭등과 충돌 또는 추돌시 적재함에서 길게 나온 적재물이 전방윈드실드에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와 탑승객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승용차의 윈드실드보호용 에어백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용차의 윈드실드보호용 에어백장치의 설치상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네트 2 - 전방윈드실드
3 - 수광소자 4 - 발광소자
5 - 위상검출라인 6 - 장애물
7 - 카울부재 8 - 대쉬상부부재
9 - 에어백 10 - 제어부
11 - 전기뇌관 12 - 충진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본네트의 상면과 전방윈드실드 상부쪽에 각각 수광소자와 발광소자를 설치하고, 이 수광소자와 발광소자의 위상검출 라인에 장애물이 침입하였을때 카울부재와 대쉬상부부재 사이에 설치된 에어백이 작동하여 전방윈드실드부를 덮어 보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용차의 윈드실드보호용 에어백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 본네트(1)의 상부 전방과 전방윈드실드(2) 상부쪽에 각각 소광소자(3)와 발광소자(4)를 설치하고, 이 수광소자(3)와 발광소자(4)의 위상검출라인(5)에 장애물(6)이 침입하였을때 카울부재(7)와 대쉬상부부재(8)사이에 설치된 에어백(9)이 제어부(1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작동하여 전방윈드실드부(2)를 덮어 차량의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9)은 제어부(10)에 의하여 작동하는 전기뇌관(11)의 폭발과 충진제(12)의 연소로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소자(4)와 수광소자(3)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이들 수,발광소자(3,4)사이의 위상검출라인(5)으로 장애물(6)이 침입하게 되면, 수광소자(3)는 위상검출라인의 위상의 변위를 검출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게되고, 이를 입력받은 제어부(10)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전기뇌관(11)을 작동시키게 된다. 제어신호에 의해 전기뇌관(11)이 폭발하여 충진제(12)를 연소시킴에 따라 전방윈드실드(2) 전면부를 도 2와 같이 순간적으로 덮게 되어 장애물(6)의 침입으로부터 운전자와 탑승객을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에어백(9)이 차량 충돌 또는 추돌전 적재함에 실은 장애물(6)이 먼저 전방윈드실드(2)에 부딪혀 침입하는 것을 최대한으로 억제시키어 운전자와 탑승객을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광소자(3)와 발광소자(4)의 위치 변경은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승용차가 전고가 높은 차량과 충돌 또는 추돌전에 전방윈드실드쪽으로 불시에 침입하는 전고가 높은 차량의 적재함에 실은 장애물을 감지하여 능동적으로 에어백을 작동시키어 운전자와 탑승객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안전도 향상이 이루어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상품성을 제고시켜 고객의 만족도를 한단계 끌어 올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차량 본네트(1)의 상부 전방과 전방윈드실드(2) 상부쪽에 각각 소광소자(3)와 발광소자(4)를 설치하고, 이 수광소자(3)와 발광소자(4)의 위상검출라인(5)에 장애물(6)이 침입하였을때 카울부재(7)와 대쉬상부부재(8)사이에 설치된 에어백(9)이 제어부(1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작동하여 전방윈드실드부(2)를 덮어 차량의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의 윈드실드보호용 에어백장치.
  2. 삭제
KR10-2001-0051060A 2001-08-23 2001-08-23 승용차의 윈드실드보호용 에어백장치 KR100440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060A KR100440228B1 (ko) 2001-08-23 2001-08-23 승용차의 윈드실드보호용 에어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060A KR100440228B1 (ko) 2001-08-23 2001-08-23 승용차의 윈드실드보호용 에어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974A KR20030016974A (ko) 2003-03-03
KR100440228B1 true KR100440228B1 (ko) 2004-07-14

Family

ID=27720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1060A KR100440228B1 (ko) 2001-08-23 2001-08-23 승용차의 윈드실드보호용 에어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022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974A (ko) 200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82392B2 (ja) 車両乗員の保護装置
US7899596B2 (en) Preventive safety activation in a vehicle
US7905314B2 (en) Pedestrian detecting system
US20040216939A1 (en) Occupant restraining system with a belt force limiting device
EP0757634B1 (en) Vehicle chassis having an occupant cell
JP3982061B2 (ja) 自動車のフードはね上げ装置のアクチュエータ取り付け構造
KR100440228B1 (ko) 승용차의 윈드실드보호용 에어백장치
US20060043713A1 (en) Occupant restraint system
JP3127683B2 (ja) エアバッグシステム
JP2008094237A (ja) 車両用歩行者保護装置
JP2009073207A (ja) エアバッグ制御装置及び乗員保護システム
KR20120071995A (ko) 측면승객보호장치의 제어방법
KR0171344B1 (ko) 에어백을 이용한 트렁크 안전장치
KR0156470B1 (ko) 에어백이 삽입된 리어범퍼
JP3463637B2 (ja) 側突用エアバッグセンサの取付構造
KR19980016310A (ko) 차량의 급제동 장치
KR100199572B1 (ko) 에어백 전개 시스템
KR19980015654A (ko) 차량사고시의 안전 시스템
KR0151632B1 (ko) 충돌시 뒷좌석 탑승객 보호장치
JPH0958407A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の衝撃感知センサ配置構造
KR0135214Y1 (ko) 에어 백 작동시 창문 개방 장치
KR100187336B1 (ko) 차량용 에어백 제어방법
KR100224220B1 (ko) 자동차용 앞유리 보호용 에어백
KR100227908B1 (ko) 상하 충격에 의한 에어백 오동작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200158325Y1 (ko) 차량용 엔진후드의 열림대비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