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9074B1 - 교육 지원 시스템, 표시 단말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교육 지원 시스템, 표시 단말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9074B1
KR100439074B1 KR10-2002-0005887A KR20020005887A KR100439074B1 KR 100439074 B1 KR100439074 B1 KR 100439074B1 KR 20020005887 A KR20020005887 A KR 20020005887A KR 100439074 B1 KR100439074 B1 KR 100439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student
display
instr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5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6918A (ko
Inventor
사카이기요시
이나다유키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2746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22942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27466A external-priority patent/JP400146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030006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0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09B5/1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with provision for individual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육 현장에 있어서의 교육 담당자 및 교육을 받는 자의 부담을 감소시키는 교육 지원 시스템, 표시 단말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교육 효과를 높이는 교육 지원 시스템, 표시 단말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멀티미디어 보드(1)의 입력 장치(11)는 강사가 화면상에 기록하는 강사 기록 정보를 입력한다. 정보 처리 장치(17)는 입력 장치(11)가 입력하는 강사 기록 정보를 복수개의 정보 단말(2)로 송신한다. 정보 단말(2)의 판독/기록기(23)는 교과서의 내용을 나타내는 교과서 정보가 기록된 기억 매체(30)로부터 교과서 정보를 판독한다. 표시 장치(22)는 판독된 교과서 정보와 정보 처리 장치(17)로부터 공급되는 강사 기록 정보를 화면에 겹쳐서 표시한다. 판독/기록기(23)는 표시 장치(22)가 표시하는 교과서 정보와 강사 기록 정보를 하나의 파일로서 기억 매체(30)에 기록한다.

Description

교육 지원 시스템, 표시 단말 및 프로그램{TEACHING/LEARNING-METHOD FACILITATING SYSTEM, DISPLAY TERMINAL AND PROGRAM}
본 발명은 교육 지원 시스템, 표시 단말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억 매체로부터 교육용 정보를 판독하여 표시하고, 교육용 정보를 보충하기 위하여 입력된 정보를 기억 매체에 기록하며, 강사 및 수강자가 강의 내용을 적는 부담을 감소시킴으로써 여유있는 교육을 지원하는 교육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학교 등 교육 현장에 있어서, 학생(교육을 받는 자)은 수업 중에 칠판 등에 씌여진 문자 등을 자신의 필기장에 베껴 써서 독자의 노트를 작성한다. 베껴 쓰는 분량이 많을 경우에 학생은 문자 등을 베껴 쓰는 일에 쫓기어 곰곰히 생각하여 질문할 여유가 없다. 이 때문에,, 교사(교육자)와 학생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이 희박하게 된다.
일본 특허 제2562107호 공보에는 교사와 학생의 커뮤니케이션을 도모하기 위한 영상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영상 장치는 입력 수단이나 모니터를 구비하는 교사측 장치 및 학생측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교사측 장치는 교사가 준비한 노트 및 영상 등을 학생측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한다. 학생은 학생측 장치가 표시하는 화상을 보면서 학습한다. 또, 교사측 장치는 교사가 학생의 이해도 등을 알기 위하여 작성한 택일 문제를 학생측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한다. 학생은 학생측 장치에 구비된 선택 스위치를 눌러서 해답을 선택한다. 학생이 선택한 해답은 교사측 모니터에 표시된다.
그러나, 학생측 장치의 입력 수단이 선택 스위치뿐이어서 학습 효과가 적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교사가 준비한 노트 및 영상 등은 표시만 되므로, 학생은 학생측 장치가 표시하는 화상을 보면서 노트를 적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베껴 쓸 분량이 많은 경우에는 교사와 학생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이 희박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교사가 준비한 노트 및 영상 등은 표시만 되므로 학생은 교사가 준비한 노트 및 영상 등을 복습 시에 이용할 수 없다.
한편,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7-321978호 공보에는 교사가 입력 보드에 적은 내용을 학생이 사용하는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어에 표시하여 기억 매체에 기록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어에 표시되는 것은 교사가 입력 보드 위에 적은 내용뿐이다. 이 때문에,, 학생은 교사가 적은 내용이 교과서의 어느 부분에 관한 내용인지 알지 못할 수 있다.
또, 기억 매체에 기록되는 것은 교사가 입력 보드위에 적은 내용뿐이다. 이 때문에, 학생은 기억 매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업을 복습할 때, 데이터가 나타내는 내용과 교과서의 내용을 대응시키기 위하여 많은 시간을 허비하게 된다.
또, 기억 매체에 기록되는 것은 교사가 입력 보드위에 적은 내용뿐이다. 이 때문에, 학생은 스스로 중요하다고 판단한 내용을 노트에 기입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경우, 학생은 교과서의 내용, 기억 매체의 내용 및 노트의 내용을 서로 대응시키는 작업을 하면서 수업을 복습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디스플레이어에 표시되는 것은 교사가 입력 보드위에 적은 내용뿐이다. 바꿔 말하면, 교사가 수업을 위하여 미리 작성한 노트는 표시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교사가 입력 보드위에 적는 양이 많아 학생은 교사가 다 적을 때까지 기다리지 않으면 안되므로 많은 시간이 허비된다.
이상과 같이, 일본 특허 제2562107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7-321978호 공보의 기술을 이용한다 하여도 교사가 담당하는 교육 이외의 업무 부담을 충분히 경감할 수 없고, 학생에게 부가되는 학습 이외의 작업 부담을 충분히 경감시킬 수 없다.
일본 특허 제2562107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7-321978호 공보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구비시키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교육 현장에 있어서의 교육 담당자의 부담을 감소시키는 교육 지원 시스템, 표시 단말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교육을 받는 자의 부담을 감소시키는 교육 지원 시스템, 표시 단말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교육 효과를 높이는 교육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교육 효과를 높이는 교육 지원 시스템, 표시 단말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교육 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교실에 설치된 교육 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멀티미디어 보드의 외관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멀티미디어 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정보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정보 기억 매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멀티미디어 보드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교육 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출석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출석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이터 베이스 구조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교육 지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3a는 채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3b는 단위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4는 단위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이터 베이스 구조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멀티미디어 보드
2 정보 단말
3A, 3B 네트워크
4 출석 관리 시스템
5 단위 관리 시스템
6 채점 단말
8 수납부
9 보드부
10 교실내 시스템
11 입력 장치
11A 터치 패널
12 표시 장치
13 판독/기록기
14 비디오
15 DVD 플레이어
16 프린터
17 정보 처리 장치
21 입력부
21A 터치 패널
22 표시부
23 판독/기록기
24 ROM
25 메모리
26 조작부
27 제어기
30 기억 매체
31 제1 기억 영역
32 제2 기억 영역
33 제3 기억 영역
50 CPU
51 제어 프로그램
52 메모리
53 조작부
54 표시 제어부
55 통신 제어부
61 정보 처리 장치
62 데이터 베이스
63 출력 장치
71 정보 처리 장치
72 데이터 베이스
73 출력 장치
81 표시부
82 ROM
83 메모리
84 조작부
85 제어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교육 지원 시스템은 강사가 사용하는 강사 단말(1)과, 복수의 수강자가 각각 사용하는 복수개의 수강자 단말(2)로 구성되고, 상기 강사 단말(1)은 입력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강사가 이 입력 패널상에 기록한 강사 기록 정보를 입력하는 제1 입력기(11)와, 상기 제1 입력기(11)가 입력하는 상기 강사 기록 정보를 상기 복수의 수강자 단말(2)로 송신하는 기록 정보 송신기(17)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수강자 단말(2) 각각은 교과서의 내용을 나타내는 교과서 정보가 기록된 수강자 기억 매체(30)로부터 이 교과서 정보를 판독하는 제2 판독기(23)와, 수강자 화면을 구비하고 상기 교과서 정보와 상기 기록 정보 송신기(17)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강사 기록 정보를 이 수강자 화면에 표시하는 제2 표시기(22)와, 상기 제2 표시기(22)가 표시하는 상기 강사 기록 정보를 상기 수강자 기억 매체(30)에 기록하는 제2 기록기(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강사 및 수강자의 부담을 감소할 수 있어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강사 단말(1)은 상기 교과서 정보가 기록된 강사 기억 매체(30)로부터 이 교과서 정보를 판독하는 제1 판독기(13)와, 강사 화면을 구비하고 상기 교과서 정보를 이 강사 화면에 표시하는 제1 표시기(12)와, 상기 교과서 정보의 표시 범위를 특정하기 위한 인덱스 정보를 상기 복수의 수강자 단말(2)로 송신하는 인덱스 송신기(17)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판독기(23)는 상기 인덱스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범위의 상기 교과서 정보를 상기 수강자 기억 매체(30)로부터 판독하여도 좋다.
상기 입력 패널은 상기 강사 화면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표시기(12)는 상기 강사가 상기 강사 기록 정보를 적은 위치에 이 강사 기록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기록 정보 송신기(17)는 상기 강사 기록 정보의 표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이 강사 기록 정보와 함께 상기 복수의 수강자 단말(2)로 송신하며, 상기 제2 표시기(22)는 상기 강사 기록 정보를 상기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에 표시하여도 좋다.
상기 강사 기억 매체(30) 및 상기 수강자 기억 매체(30)는 각각 상기 교과서에 관한 강의 내용을 나타내는 강의 정보를 더 기억하고, 상기 제1 판독기(13)는 상기 교과서 정보와 함께 상기 강의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제1 표시기(12)는 상기 강사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교과서 정보와 상기 강의 정보를 각각 상이한 영역에 표시하며, 상기 제2 판독기(23)는 상기 교과서 정보와 함께 상기 강의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제2 표시기(22)는 상기 수강자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분할하여 상기 교과서 정보와 상기 강의 정보를 각각 상이한 영역에 표시하여도 좋다.
상기 강사 단말(1)은 상기 제1표시기(12)가 표시하는 상기 강사 기록 정보를 상기 강사 기억 매체(30)에 기록하는 제1 기록기(13)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 복수의 수강자 단말 각각은 상기 복수의 수강자가 각각 상기 수강자 화면상에 기록하는 수강자 기록 정보를 입력하는 제2 입력기(21)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표시기(22)는 상기 복수의 수강자 각자가 상기 수강자 기록 정보를 기록한 위치에 이 수강자 기록 정보를 표시하여도 좋다.
상기 제2 기록기(23)는 상기 제2 표시기(22)가 표시하는 복수의 정보를 하나의 파일로서 상기 수강자 기억 매체(30)에 기록하여도 좋다.
상기 복수의 수강자 출석 상황을 관리하는 출석 관리 단말(4)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수강자 단말(2) 각각은 상기 복수의 수강자가 각각 행하는 소정의 조작에 응답하여 수강자가 강의에 출석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출석 정보를 상기 출석 관리 단말(4)로 송신하는 출석 정보 송신기(27)를 더 구비하고, 상기 출석 관리 단말(4)은 상기 복수의 수강자 단말(2) 각각으로부터 공급되는 출석 정보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수강자의 출석률을 구하여도 좋다.
상기 복수의 수강자 단말(2) 각각은 상기 복수의 수강자 각자가 상기 수강자 화면상에 접촉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기(21)를 더 구비하고, 상기 출석 정보 송신기(27)는 상기 검출기(21)가 상기 수강자 접촉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출석 정보를 상기 출석 관리 단말(4)로 송신하여도 좋다.
상기 복수의 수강자에게 단위(單位)를 부여하는 단위 관리 단말(5)을 더 구비하고, 상기 단위 관리 단말(5)은 상기 복수의 수강자의 시험 결과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72)와, 상기 복수의 수강자의 출석률을 상기 출석 관리 단말(4)로부터 취득하는 취득기(71)와, 상기 시험 결과 및 상기 출석률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수강자 각자에게 단위를 부여하는 단위 인정기(71)로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 수강자 기억 매체(30)는 시험 문제를 기억하고, 상기 제2 판독기(23)는 상기 수강자 기억 매체(30)로부터 상기 시험 문제를 판독하며, 상기 제2표시기(22)는 상기 시험 문제를 상기 수강자 화면에 표시하여도 좋다.
상기 복수의 수강자의 해답을 채점하는 채점 단말(6)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수강자 단말(2) 각각은 상기 복수의 수강자 각자가 상기 수강자 화면상에 기록하는 해답을 취득하는 해답 취득기(21)와, 상기 해답 취득기(21)가 취득한 해답을 상기 채점 단말(6)로 송신하는 해답 송신기(27)를 더 구비하고, 상기 채점 단말(6)은 상기 시험 문제의 정답을 기억하는 메모리(83)와, 상기 메모리(83)의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수강자 단말(2)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복수의 수강자 해답을 채점하는 채점기(85)로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 채점 단말(6)은 상기 채점기(85)의 채점 결과를 상기 복수의 수강자의 상기 시험 결과로서 상기 단위 관리 단말(5)로 송신하는 결과 송신기(85)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제2관점에 관한 표시 단말은 고정 정보가 기록된 기억 매체(30)로부터 이 고정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기(13)와, 조작자가 소정의 화면상에서 그린 묘화상(描劃像)을 입력하는 입력기(11)와, 상기 판독기(13)가 판독한 상기 고정 정보와, 상기 입력기(11)가 입력하는 상기 묘화상을 상기 화면에 겹쳐서 표시하는 표시기(12)와, 상기 고정 정보의 표시 범위를 특정하는 인덱스 정보 및 상기 묘화상의 데이터를 다른 단말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표시기(12)가 표시하는 내용과 동일 내용을 이 다른 단말(2)에 표시시키는 송신기(1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관점에 관한 표시 단말은 다른 단말(1)이 표시하고 있는 고정 정보와 동일한 고정 정보가 기록된 기억 매체(30)로부터 이 다른 단말(1)이 표시하고 있는 범위와 동일한 범위인 이 고정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기(23)와, 상기 다른 단말(1)로부터 공급되는 이 다른 단말(1)의 조작자가 그린 묘화상을 수신하는 수신기(27)와, 상기 판독기(23)가 판독한 상기 고정 정보와, 상기 수신기(27)가 수신한 묘화상을 겹쳐서 표시하는 표시기(22)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관한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고정 정보가 기록된 기억 매체(30)로부터 이 고정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기(13)와, 조작자가 소정의 화면상에 그린 묘화상을 입력하는 입력기(11)와, 상기 판독기(13)가 판독한 상기 고정 정보와, 상기 입력기(11)가 입력하는 상기 묘화상을 상기 화면에 겹쳐서 표시하는 표시기(12)와, 상기 고정 정보의 표시 범위를 특정하는 인덱스 정보 및 상기 묘화상의 데이터를 다른 단말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표시기(12)가 표시하는 내용과 동일의 내용을 이 다른 단말(2)에 표시시키는 송신기(17)로 구성되는 표시 단말로서 기능시킨다.
본 발명의 제5 관점에 관한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다른 단말(1)이 표시하고있는 고정 정보와 동일의 고정 정보가 기록된 기억 매체(30)로부터 이 다른 단말(1)이 표시하고 있는 범위와 동일의 범위인 이 고정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기(23)와, 상기 다른 단말(1)로부터 공급되는 이 다른 단말(1)의 조작자가 그린 묘화상을 수신하는 수신기(27)와, 상기 판독기(23)가 판독한 상기 고정 정보와, 상기 수신기(27)가 수신한 묘화상을 겹쳐서 표시하는 표시기(22) 로 구성되는 표시 단말로서 기능시킨다.
(실시 형태)
다음,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교육 지원 시스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교육 지원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보드(1)와, 복수개의 정보 단말(2)과, 네트워크(3A)로 구성된다. 멀티미디어 보드(1)와 복수개의 정보 단말(2)은 네트워크(3A)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예컨대, 교육 지원 시스템이 학교의 교실에 설치된 경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보드(1)는 교사(강사)에 의해 이용되고, 정보 단말(2)은 학생(수강자)에 의해 이용된다. 네트워크(3A)는 교실내 LAN(Local Area Network) 등으로 형성된다.
멀티미디어 보드(1)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보드(1)를 기능시키기 위한 각종 정보 기기가 저장되어 있는 수납부(8)와, 각종 화상 및 영상 등을 표시하는 보드부(9)로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멀티미디어 보드(1)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보드(1)는 입력 장치(11)와, 표시 장치(12)와, 판독/기록기(13)와, 비디오 (VCR)(14)와, DVD 플레이어(15)와, 프린터(16)와, 정보 처리 장치(17)로 구성되어 있다.
입력 장치(11)는 보드부(9)의 화면상에 설치된 터치 패널(11A)을 구비하고 있다. 터치 패널(11A)은 예컨대, 초음파 표면 탄성파 터치 패널 방식의 투명 타블렛으로 형성된다. 입력 장치(11)는 조작자(교사)가 화면상에서 그린 문자 및 도형 등을 터치 패널(11A)을 통하여 취득하여 정보 처리 장치(17)에 입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입력 장치(11)는 조작자가 손가락 또는 입력 펜 등으로 터치한 터치 패널(11A)상에서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한 위치의 좌표를 구한다. 입력 장치(11)는 구한 좌표를 나타내는 좌표 정보를 정보 처리부(17)로 출력한다.
또, 터치 패널(11A)상에서는 라인 색 및 굵기 등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단추(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조작자는 설정 단추에 접촉함으로써 라인 색 및 굵기 등을 선택한다. 입력 장치(11)는 조작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선택된 색 및 굵기 등을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17)로 출력한다.
표시 장치(12)는 보드부(9)에 설치된 비교적 대화면이고 휘도가 높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있다. 디스플레이는 예컨대, 대각 50인치 이상의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표시 장치(12)는 기억 매체(30)로부터 판독한 정보 및 조작자가 터치 패널(11A)상에서 그린 문자 및 도형 등을 표시한다. 또, 표시 장치(12)는 비디오(14) 및 DVD플레이어(15)가 재생한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장치(12)는 정보 처리 장치(17)의 제어에 따라 표시하는 화상 및 영상 등을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장치(12)는 정보 처리 장치(17)로부터 공급되는 표시 전환 신호에 응답하여 기억 매체(30)로부터 판독된 정보(문자, 도형 및 그림 등을 포함하는 화상), 비디오(14)가 재생하는 영상 및 DVD 플레이어(15)가 재생하는 영상 중 어느 것을 표시한다.
판독/기록기(13)에는 CD플레이어 또는 DVD 플레이어 등을 구비하고, CD 또는 DVD 등인 기억 매체(30)를 수납한다. 판독/기록기(13)는 정보 처리 장치(17)의 제어에 따라 기억 매체(30)에 기록되어 있는 각종 정보를 판독하여 정보 처리 장치(17)로 출력한다. 또, 판독/기록기(13)는 정보 처리 장치(17)의 제어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17)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기억 매체(30)에 기록한다.
비디오(14)는 표시 장치(12)가 갖는 비디오 입력 단자 등에 접속된다. 비디오(14)는 소스 매체(예컨대, 비디오 테이프)를 수납한다. 비디오(14)는 조작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소스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을 재생하여 표시 장치(12)로 출력한다.
DVD 플레이어(15)는 표시 장치(12)를 구비하는 비디오 입력 단자 등에 접속된다. DVD 플레이어(15)는 소스 매체[예컨대, DVD(Digital versatile Disc)]를 수납한다. DVD 플레이어(15)는 조작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소스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영상을 재생하여 표시 장치(12)로 출력한다.
프린터(16)는 정보 처리 장치(17)의 제어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17)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기록지에 인쇄한다.
정보 처리 장치(17)는 조작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미리 제공된 프로그램에 따라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정보 처리 장치(17)는 판독/기록기(13)를 제어하여 기억 매체(30)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취득한다. 정보 처리 장치(17)는 취득한 정보를 표시 장치(12)로 출력한다.
또, 정보 처리 장치(17)는 입력 장치(11)로부터 공급되는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조작자가 터치 패널(11A)상에서 그린 문자 및 도형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 장치(12)로 출력한다. 이 때, 정보 처리 장치(17)는 입력 장치(11)로부터 공급되는 설정 정보에 따라 라인 색 및 굵기 등을 설정한다.
또, 정보 처리 장치(17)는 표시 전환을 지시하는 표시 전환 신호를 표시 장치(12)로 출력한다. 또, 정보 처리 장치(17)는 표시 장치(12)가 표시하고 있는 내용의 데이터를 프린터(16)로 출력한다.
또, 정보 처리 장치(17)는 네트워크(3A)를 통하여 정보 단말(2)과 통신한다. 예컨대, 정보 처리 장치(17)는 기억 매체(30)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 중으로부터 표시 장치(12)가 표시하고 있는 정보를 특정하기 위한 인덱스 정보를 정보 단말(2)로 송신한다. 또, 정보 처리 장치(17)는 조작자가 터치 패널(11A)상에서 그린 문자 및 도형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정보 단말(2)로 출력한다. 또, 정보 처리 장치(17)는 정보 단말(2)로부터 공급되는 정보를 보존한다.
다음, 정보 처리 장치(17)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정보 처리 장치(17)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Central processingunit)(50)와, 제어 프로그램(51)과, 메모리(52)와, 조작부(53)와, 표시 제어부(54)와, 통신 제어부(55)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 프로그램(51)은 CPU(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CPU(50)는 조작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제어 프로그램(51)에 따라 아래와 같은 각종 동작을 행한다.
CPU(50)는 상기한 표시 전환 신호를 표시 제어부(54)를 통하여 표시 장치(12)로 출력한다.
또, CPU(50)는 판독/기록기(13)를 제어하고, 기억 매체(30)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CPU(50)는 취득한 정보를 표시 제어부(54)로 출력한다. 이 때, CPU(50)는 표시 장치(12)가 표시하는 정보를 특정하기 위한 상기 인덱스 정보를 통신 제어부(55)를 통하여 정보 단말(2)로 송신한다.
또, CPU(50)는 입력 장치(11)로부터 공급되는 좌표 정보에 근거하여 조작자가 터치 패널(11A)상에서 그린 문자 및 도형 등을 식별한다. 그리고, CPU(50)는 식별한 문자 및 도형 등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를 표시 제어부(54)로 출력한다.
또, CPU(50)는 표시 장치(12)가 표시하는 화상을 배경층, 수기(手記)층 및 보충층 등 복수의 층으로 나누어 관리한다. CPU(50)는 비트맵 데이터로 구성되는 배경 화상을 배경층에서 관리하고, 벡터 데이터로 구성되는 수기 문자 및 도형 등을 수기층에서 관리한다. 바꿔 말하면, CPU(50)는 입력 장치(11)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수기층에서 관리하고, 판독/기록기(13)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배경층에서관리한다.
또한, CPU(50)는 조작자가 그린 문자 및 도형 등과 그 표시 위치(좌표)를 나타내는 정보를 보충 정보로서 보충층에서 관리한다. 그리고, CPU(50)는 보충 정보를 통신 제어부(55)를 통하여 정보 단말(2)로 출력한다.
또, CPU(50)는 판독/기록기(13)를 제어하고, 표시 장치(12)가 표시하고 있는 내용을 기억 매체(30)에 기록한다. 이 때, CPU(50)는 배경층 및 수기층에서 관리하고 있는 데이터를 유지한 채로 하나의 파일을 생성한다. 그리고, CPU(50)는 판독/기록기(13)를 제어하여 생성한 파일을 기억 매체(30)에 기록한다. 이것에 의해, CPU(50)는 기록한 파일을 이용하여 표시 장치(12)가 표시하고 있던 내용을 복원할수 있다.
또, CPU(50)는 표시 장치(12)가 표시하고 있는 내용의 데이터를 프린터(16)로 출력한다.
메모리(52)는 예컨대, 상기한 설정 정보 및 정보 단말(2)로부터 공급되는 정보 등을 기억한다.
조작부(53)는 복수의 조작 단추를 구비하고, 조작자에 의해 조작된다. 조작부(53)는 조작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예컨대, 화면의 전환, 데이터의 송수신 및 프린터의 개시 등을 지시하는 신호를 CPU(50)에 입력한다.
표시 제어부(54)는 CPU(50)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정보에 응답하여 화상 정보가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 장치(12)로 출력한다.
통신 제어부(55)는 CPU(5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네트워크(3A)를 통하여정보 단말(2)로 송신한다. 또, 통신 제어부(55)는 정보 단말(2)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CPU(50)로 공급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55)는 데이터를 송신할 때, 데이터와 함께 멀티미디어 보드(1)의 식별 정보(ID)를 송신한다.
다음, 정보 단말(2)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정보 단말(2)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능적으로 입력부(21)와, 표시부(22)와, 판독/기록기(23)와, ROM(24)과, 메모리(25)와, 조작부(26)와, 제어기(27)로 구성되어 있다.
입력부(21)는 터치 패널(21A)을 구비한다. 입력부(21)는 조작자(학생)가 입력 펜을 이용하여 그리는 문자 및 도형 등을 터치 패널(21A)을 통하여 취득하여 제어기(27)에 입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입력부(21)는 조작자가 입력 펜으로 터치한 터치 패널(21A)상에서의 위치를 검출한다. 그리고, 입력부(21)는 검출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제어기(27)로 출력한다.
또, 터치 패널(21A)상에는 그려질 라인 색 및 굵기 등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단추(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조작자는 설정 단추에 접촉함으로써 라인 색 및 굵기 등을 선택한다. 입력부(21)는 조작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선택된 색 및 굵기 등을 나타내는 설정 정보를 제어기(27)로 출력한다.
표시부(22)는 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이고, 제어기(27)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정보에 따라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입력부(21)가 구비하는 터치 패널(21A)은 예컨대 표시부(22)의 화면상에 설치되어 있다.
판독/기록기(23)는 CD플레이어 또는 DVD 플레이어 등을 구비하고, CD 또는DVD 등의 기억 매체(30)를 수납한다. 판독/기록기(23)는 제어기(27)의 제어에 따라 기억 매체(30)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판독한다. 판독/기록기(23)는 기억 매체(30)로부터 판독한 정보를 제어기(27)로 출력한다. 또, 판독/기록기(23)는 제어기(27)의 제어에 따라 제어기(27)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를 기억 매체(30)에 기록한다.
ROM(24)은 제어기(27)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다.
메모리(25)는 제어기(27)의 워크 메모리로서 기능하고, 멀티미디어 보드(1) 및 다른 정보 단말(2)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기억한다.
조작부(26)는 복수의 조작 단추를 구비하고, 조작자에 의해 조작된다. 조작부(26)는 조작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예컨대, 화면 표시의 전환 및 데이터의 송수신 등을 지시하는 신호를 제어기(27)에 입력한다.
제어기(27)는 ROM(24)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기(27)는 판독/기록기(23)를 제어하고, 멀티미디어 보드(1)로부터 공급되는 인덱스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정보를 기억 매체(30)로부터 판독한다. 그리고, 제어기(27)는 표시부(22)를 제어하여 기억 매체(30)로부터 판독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 제어기(27)는 입력부로부터 공급되는 위치 정보로부터 입력 펜이 터치한 위치의 좌표를 구한다. 그리고, 제어기(27)는 구한 좌표로부터 조작자가 터치 패널(21A)상에서 그린 문자 및 도형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여표시부(22)로 출력한다. 이 때, 제어기(27)는 입력부(21)로부터 공급되는 설정 정보에 따라 라인 색 및 굵기 등을 설정한다.
또, 제어기(27)는 네트워크(3A)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보드(1)로부터 공급되는 보충 정보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보드(1)의 조작자가 그린 문자 및 도형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부(22)로 출력한다.
또, 제어기(27)는 네트워크(3A)를 통하여 멀티미디어 보드(1) 및 다른 정보 단말(2)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제어기(27)는 데이터를 송신할 때, 데이터와 함께 정보 단말(2)의 식별 정보(장치 ID)를 송신한다.
또, 제어기(27)는 멀티미디어 보드(1)의 CPU(50)와 마찬가지로 표시부(22)가 표시하는 화상을 복수의 층으로 나누어 관리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기(27)는 입력부(21)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수기층에서 관리하고, 판독/기록기(23)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배경층에서 관리한다. 또한 제어기(27)는 멀티미디어 보드(1)로부터 공급된 보충 정보를 수신 층에서 관리한다.
또, 제어기(27)는 판독/기록기(3)를 제어하고, 표시부(22)가 표시하고 있는 내용을 기억 매체(30)에 기록한다. 이 때, 제어기(27)는 복수의 층에서 관리하고 있는 데이터를 유지한 채로 하나의 파일을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기(27)는 판독/기록기(23)를 제어하여 생성한 파일을 기억 매체(30)에 기록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기(27)는 기록한 파일을 이용하여 표시부(22)가 표시하고 있던 내용을 복원할 수 있다.
다음, 기억 매체(3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억 매체(3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기억 영역(31), 제2 기억 영역(32) 및 제3 기억 영역(33)을 구비한다.
제1 기억 영역(31)은 교과서에 기재되어 있는 내용(이하, 교과서 정보라고 한다)이 기록되는 판독 전용의 ROM (Read Only Memory) 구역이다.
제2 기억 영역(32)은 제1 기억 영역(31)의 교과서 정보에 관한 강의 내용(이하, 강의 정보라 한다)이 기록되는 판독 전용의 ROM구역이다.
제3 기억 영역(33)은 임의의 정보를 기록하고 판독할 수 있는 RAM(Random Access Memory) 구역이다.
다음,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교육 지원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0) 전제
수업(강의)을 행하는 교사(강사)와 복수의 학생(수강자)은 각각 수업에 이용되는 교과서 정보 및 강의 정보를 저장한 동일의 기록 매체(30)를 준비한다.
(1) 기억 매체(30)로부터 정보의 판독 동작
강의 개시 전에 교사는 멀티미디어 보드(1)의 판독/기록기(13)에 기억 매체(30)를 세트하고, 각 학생은 각 정보 단말(2)의 판독/기록기(23)에 기억 매체(30)를 세트한다.
멀티미디어 보드(1)의 정보 처리 장치(17)는 교사의 조작에 응답하여 판독/기록기(13)를 제어하고, 교사가 지정하는 교과서 정보 및 강의 정보를 기억 매체(30)로부터 판독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17)는 판독한 교과서 정보 및 강의 정보를 표시 장치(12)로 출력한다. 표시 장치(12)는 정보 처리 장치(17)로부터 공급되는 교과서 정보 및 강의 정보를 표시한다.
예컨대, 표시 장치(12)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로 나뉘어진 윈도우에 교과서 정보와 강의 정보를 각각 표시한다.
또, 정보 처리 장치(17)는 교과서 정보 및 강의 정보를 판독할 때, 예컨대 표시하는 교과서 정보 및 강의 정보의 페이지를 나타내는 인덱스 정보를 생성하고, 네트워크(3A)를 통하여 각 정보 단말(2)로 송신한다.
각 학생이 사용하는 정보 단말(2)은 네트워크(3A)를 통하여 인덱스 정보를 수신한다.
각 정보 단말(2)의 제어기(27)는 인덱스 정보에 응답하여 판독/기록기(23)를 제어하고, 인덱스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교과서 정보 및 강의 정보를 기억 매체(30)로부터 판독한다. 그리고, 제어기(27)는 판독한 교과서 정보 및 강의 정보를 표시부(22)로 출력한다.
표시부(22)는 제어기(27)로부터 공급되는 교과서 정보 및 강의 정보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로 나뉘어진 윈도우에 각각 표시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부(22)는 멀티미디어 보드(1)의 표시 장치(12)가 표시하고 있는 정보와 동일의 정보를 표시한다.
(2) 정보 단말(2)이 정보를 기억 매체(30)에 기록하는 동작
교사는 멀티미디어 보드(1)의 표시 장치(12)가 표시하는 교과서 정보 및 강의 정보를 이용하여 강의를 행한다.
학생은 멀티미디어 보드(1)의 표시 장치(12) 또는 정보 단말(2)의표시부(22)가 표시하는 정보를 참조하면서 강의를 듣는다.
또, 학생은 필요에 따라 표시되어 있는 강의 내용의 주의 개소에 입력 펜을 이용하여 밑줄을 긋거나, 표시되어 있지 않는 중요 사항을 강의 정보의 하부에 구비된 메모 영역 등에 입력 펜을 이용하여 메모한다.
정보 단말(2)의 입력부(21)는 학생이 입력 펜으로 기록한 메모 및 밑줄을 취득하여 제어기(27)에 입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입력부(21)는 학생이 입력 펜으로 터치한 터치 패널(21A)상에서의 위치를 검출한다. 그리고, 입력부(21)는 검출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제어기(27)로 출력한다.
제어기(27)는 입력부(21)로부터 공급되는 위치 정보로부터 입력 펜이 터치한 위치의 좌표를 구한다. 그리고, 제어기(27)는 구한 좌표로부터 학생이 입력한 메모 및 밑줄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부(22)로 출력한다.
표시부(22)는 제어기(27)로부터 공급되는 표시 데이터에 따라 학생이 입력한 메모 및 밑줄을 표시한다. 또한, 메모 및 밑줄의 색, 굵기 및 마크 등은 미리 설정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기(27)는 화면에 표시된 내용 중, 판독/기록기(23)가 판독한 교과서 정보 및 강의 정보를 배경층에서 관리하고, 입력부(21)로부터 공급된 메모 및 밑줄의 정보를 수기층에서 관리한다.
제어기(27)는 판독/기록기(23)를 제어하고, 각각의 층의 내용을 유지한 채로 하나의 파일을 생성하여 기억 매체(30)의 제3 기억 영역(33)에 기록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정보 단말(2)의 표시부(22)가 표시하고 있는 내용(학생이써 넣은 메모 및 밑줄 등을 포함한다)이 기억 매체(30)에 기록된다.
(3) 멀티미디어 보드(1)가 정보를 기억 매체(30)에 기록하는 동작
교사는 멀티미디어 보드(1)의 표시 장치(12)가 표시하는 교과서 정보 및 강의 정보를 이용하여 강의를 행한다. 교사는 필요에 따라 강의를 보충하기 위한 메모 및 밑줄을 입력 펜을 이용하여 기록한다.
멀티미디어 보드(1)의 입력 장치(11)는 교사가 입력 펜으로 기록한 메모 및 밑줄을 취득하여 정보 처리 장치(17)에 입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입력 장치(11)는 교사가 입력 펜으로 터치한 터치 패널(11A)상에서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한 위치의 좌표를 구한다. 그리고, 입력 장치(11)는 구한 좌표를 나타내는 좌표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17)로 출력한다.
정보 처리 장치(17)의 CPU(50)는 입력 장치(11)로부터 공급되는 좌표 정보에 근거하여 교사가 입력한 메모 및 밑줄을 식별한다. 그리고, CPU(50)는 식별한 메모 및 밑줄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를 표시 제어부(54)로 출력한다.
표시 제어부(54)는 CPU(50)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정보에 응답하여 화상 정보가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 장치(12)로 출력한다.
표시 장치(12)는 표시 제어부(54)로부터 공급되는 표시 데이터에 따라 교사가 입력한 메모 및 밑줄을 표시한다. 또한, 메모 및 밑줄의 색, 굵기 및 마크 등은 미리 설정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CPU(50)는 화면에 표시된 내용 중, 판독/기록기(13)가 판독한 교과서 정보 및 강의 정보를 배경층에서 관리하고, 입력 장치(11)로부터 공급된 메모 및 밑줄의 정보를 수기층에서 관리한다.
CPU(50)는 판독/기록기(13)를 제어하고, 각각의 층의 내용을 유지한 채로 하나의 파일을 생성하여 기억 매체(30)의 제3 기억 영역(33)에 기록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멀티미디어 보드(1)의 표시 장치(12)가 표시하고 있는 내용(교사가 기록한 메모 및 밑줄 등을 포함한다)이 기억 매체(30)에 기록된다.
(4) 교사가 보충한 내용을 멀티미디어 보드(1)와 정보 단말(2)이 공유하는 동작
멀티미디어 보드(1)는 상기한 (1)∼(3)으로 나타낸 동작에 부가하여 이하의 동작을 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보드(1)와 각 단말 장치(2)에는 동일한 교과서 정보 및 강의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교사는 상기한 바와 같이,터치 패널(11A)상에서 메모 및 밑줄을 기록함으로써 강의를 보충한다.
멀티미디어 보드(1)의 입력 장치(11)는 교사가 입력 펜으로 터치한 터치 패널(11A)상에서의 좌표를 구하고, 구한 좌표를 나타내는 좌표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17)로 출력한다.
정보 처리 장치(17)의 CPU(50)는 입력 장치(11)로부터 공급되는 좌표 정보에 근거하여 교사가 입력한 메모 및 밑줄을 식별한다. 그리고, CPU(50)는 식별한 메모 및 밑줄과 그 표시 위치(좌표)를 보충 정보로서 보충층에서 관리한다.
그리고, CPU(50)는 보충층에서 관리하고 있는 보충 정보를 통신 제어부(55)를 통하여 각 정보 단말(2)로 출력한다.
각 정보 단말(2)의 제어기(27)는 멀티미디어 보드(1)로부터 공급되는 보충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보충 정보를 수신 층에서 관리한다. 그리고, 제어기(27)는 보충 정보를 표시부(22)로 출력한다.
표시부(22)는 배경층 및 수기층에서 관리되고 있는 정보와 함께 수신 층에서 관리되고 있는 보충 정보를 겹쳐서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각 학생은 교사가 멀티미디어 보드(1)의 화면상에 기록한 메모 및 밑줄 등의 보충 정보를 자신의 정보 단말(2)에서 볼 수 있다.
또, 제어기(27)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판독/기록기(23)를 제어하고, 배경층, 수기층 및 수신 층의 내용을 유지한 채로 하나의 파일을 생성하여 기억 매체(30)의 제3 기억 영역(33)에 기록하여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교과서 정보 및 강의 정보는 기억 매체(30)에 미리 기록되어 있고, 교사가 보충하는 내용은 자동적으로 학생이 사용하는 정보 단말(2)로 공급된다. 이 때문에,, 강의 내용 및 보충 내용의 기입 누락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 학생은 강의 내용 및 보충 내용을 노트에 베껴 쓸 필요가 없다.
이상과 같이, 수업중에 학생이 기록하는 양이 적으므로, 학생은 독자의 노트를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학생은 강의 내용에 대하여 충분히 생각할 시간 및 충분히 질문할 시간을 가질 수 있어 교사에게 쉽게 질문을 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구성에 의해 교사는 강의 내용을 적을 필요가 없으므로, 그 만큼 학생에게 질문하거나 학생으로부터 질문을 받는 등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교육 지원 시스템은 여유있는 교육의 실천을 지원할 수 있다.
또, 학생은 강의 종료 후에 정보 단말(2)로부터 떼어 낸 기억 매체(30)를 이용하여 복습에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정보 단말(2)과 동일한 기능을 구비하는 재생 장치를 이용하여 기억 매체(30)의 제3 기억 영역(33)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교과서 정보 및 강의 정보와 함께 재생한다. 이것에 의해, 강의 중과 동일한 상태가 재현되어 학생은 효율적으로 복습할 수 있다.
또, 기억 매체(30)의 제3 기억 영역(33)에는 학생이 입력한 메모 및 밑줄도 기록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학생이 강의 중에 스스로 중요하다고 판단한 개소도 재현되므로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멀티미디어 보드(1)가 교사가 입력한 정보를 각 정보 단말(2)로 송신하는 경우를 나타냈다. 그러나, 정보 단말(2)이 학생이 입력한 정보를 멀티미디어 보드(1)로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정보 단말(2) 끼리 학생이 입력한 정보를 서로 송수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정보 단말(2)로부터 멀티미디어 보드(1)로 학생의 질문을 송신하고, 멀티미디어 보드(1)로부터 정보 단말(2)로 교사의 회답을 송신할수 있다. 또, 정보 단말(2) 끼리 학생의 질문 및 회답을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보드(1)로부터 정보 단말(2)로 교사가 학생에 대한 질문 및 시험 문제를 송신할 수 있다.
또, 정보 기억 매체(30)에 기록되는 교과서 정보 및 강의 정보 중에 미리 문제를 포함시켜 두어도 좋다. 이 경우, 각 학생은 각 정보 단말(2)을 조작하여 문제의 회답을 멀티미디어 보드(1)로 송신한다. 교사는 멀티미디어 보드(1)를 조작하여 각 학생의 해답을 수신하고, 그 채점 결과를 회신하여도 좋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메모나 밑줄 등의 수기 정보는 교과서 정보 및 강의 정보에 대응시켜 자동적으로 기억 매체(30)의 제3 기억 영역(3)으로 기록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수기 정보의 기록을 조작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예컨대, 정보 처리 장치(17)의 조작부(53)는 정보의 기록을 제어하는 기록 모드 단추를 구비한다. 조작자가 기록 모드 단추를 한 번 누르는 것에 응답하여 정보 처리 장치(17)는 수기 정보를 기억 매체(30)로 기록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정보 처리 장치(17)는 조작자가 기억 모드 단추를 한번 더 누르는 것에 응답하여 수기 정보의 기록을 중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멀티미디어 보드(1) 및 정보 단말(2)은 교과서 정보와 강의 정보를 좌우로 표시하는 경우를 나타냈다. 그러나, 표시 내용을 보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 보드(1) 및 정보 단말(2)은 어느 한 쪽 정보만을 화면에 표시하고, 조작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다른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기억 매체(30)의 제1 기억 영역(31) 또는 제2 기억 영역(32)에 교과서 내용에 관련한 참고서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어도 좋다. 그리고, 판독/기록기(13) 및 판독/기록기(23)는 교과서 정보와 함께 참고서 정보를 교과서 정보와는 별도의 윈도우에 표시하여도 좋다.
또한, 표시 장치(12) 및 표시부(22)는 세 부분으로 나뉘어진 윈도우에 교과서 정보, 강의 정보 및 참고서 정보를 각각 표시하여도 좋다.
다음,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교육 지원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교육 지원 시스템은 예컨대 학교에 구축되고, 교사(강사)를 대신하여 학생(수강자)의 출석 상황을 관리한다.
상기 교육 지원 시스템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석 관리 시스템(4)과, 복수개의 교실내 시스템(10)과, 네트워크(3B)로 구성된다. 출석 관리 시스템(4)과 복수개의 교실내 시스템(10)은 네트워크(3B)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출석 관리 시스템(4)은 예컨대 학교의 사무실에 설치되고, 각 교실내 시스템(10)은 학교의 각 교실에 설치된다. 네트워크(3B)는 교내 LAN 등으로 형성된다.
각 교실내 시스템(10)은 제1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교육 지원 시스템과 동일한 양태의 구성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교실내 시스템(10)은 네트워크(3A)를 통하여 서로 접속된 멀티미디어 보드(1)와 복수의 정보 단말(2)로 구성된다. 단, 각 정보 단말(2)은 제1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기능에 부가하여 아래에 나타내는 기능을 구비한다.
각 정보 단말(2)은 각 정보 단말(2)을 식별하기 위한 장치 ID(식별 정보)를 구비한다. 장치 ID는 정보 단말을 사용하는 학생의 학적 번호와 1 대 1로 대응된다.
정보 단말(2)의 메모리(25)는 학생의 출결석 상황, 학적 번호 및 장치 ID가 서로 대응된 출석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정보 단말(2)의 제어기(27)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학생이 입력 펜으로 기록한 문자 및 도형 등의 위치 정보를 입력부(21)로부터 공급한다. 제어기(27)는 입력부(21)로부터의 위치 정보에 응답하여 메모리(25)로부터 출석 데이터를 취득하고, 네트워크(3A) 및 네트워크(3B)를 통하여 출석 관리 시스템(4)으로 송신한다.
출석 관리 시스템(4)은 각 정보 단말(2)로부터 공급되는 출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학생의 출석률 등을 구하고, 구한 출석률 등의 정보를 공급된 출석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억한다.
도 10은 출석 관리 시스템(4)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출석 관리 시스템(4)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61)와 데이터 베이스(62)와 출력 장치(63)로 구성되고 있다.
정보 처리 장치(61)는 네트워크(3A) 및 네트워크(3B)를 통하여 각 정보 단말(2)로부터 공급되는 출석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 정보 처리 장치(61)는 수신한 출석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62)에 저장한다. 또, 정보 처리 장치(61)는 데이터 베이스(62)에 축적된 출석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학적 번호에 의해 각 학생을 식별하고, 각 학생의 출석률을 구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61)는 구한 출석률을 학적 번호에 대응시켜 데이터 베이스(62)에 저장한다.
또, 정보 처리 장치(61)는 공급된 출석 데이터에 응답하여 출석 데이터가 나타내는 학적 번호를 갖는 학생의 출석을 확인했음을 나타내는 확인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61)는 생성한 확인 정보를 공급된 출석 데이터가 나타내는 장치 ID에 의해 특정되는 정보 단말(2)로 송신한다.
데이터 베이스(62)는 예컨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정보 단말(2)로부터 공급되는 출석 데이터와, 각 출석 데이터로부터 구해진 출석률을 기억하여 축적한다.
출력 장치(63)는 디스플레이 및 프린터 등으로 구성된다. 출력 장치(63)는 조작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데이터 베이스(62)의 출석 데이터 등을 표시하거나 인쇄한다.
다음,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교육 지원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1실시 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교실에서는 교실내 시스템(10)을 이용하여 강의가 행해진다. 그리고, 학생은 교사의 지시 또는 자신의 판단으로 입력 펜을 이용하여 메모 및 밑줄 등을 써 넣는다.
정보 단말(2)의 입력부(21)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학생이 입력 펜으로 터치한 터치 패널(21A)상에서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제어기(27)로 출력한다.
제어기(27)는 입력부(21)로부터의 위치 정보에 응답하여 메모리(25)로부터 출석 데이터를 취득하고, 네트워크(3A) 및 네트워크(3B)를 통하여 출석 관리 시스템(4)으로 송신한다.
출석 관리 시스템(4)의 정보 처리 장치(61)는 각 교실내 시스템(10)의 각 정보 단말(2)로부터 공급되는 출석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62)에 저장한다. 이 때, 정보 처리 장치(61)는 출석 데이터가 나타내는 학적 번호를 갖는 학생의 출석을 확인했음을 나타내는 확인 정보를 생성하고, 수신한 출석 데이터가 나타내는 장치 ID에 의해 특정되는 정보 단말(2)로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학생은 자신의 출석이 데이터 베이스(62)에 등록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 정보 처리 장치(61)는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각 강의의 종료 시간)에 데이터 베이스(62)에 축적되어 있는 출석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61)는 취득한 출석 데이터에 근거하여 각 학생의 출석률을 구하고, 각 학생의 학적 번호에 대응시켜 데이터 베이스(62)에 저장한다.
그리고, 출력 장치(63)는 조작자의 조작에 따라 각 학생의 출석률 등을 화면에 표시하거나 출력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학생이 출석했음은 자동적으로 출석 관리 시스템(4)에 등록된다. 이 때문에,, 교사는 학생의 출결석 상황을 확인할 필요가 없다. 바꿔 말하면, 교사는 출결석 상황을 확인하는 시간을 강의에 충당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여유있는 교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정보 단말(2)은 화면에 출석 체크 박스를 표시하고, 학생이 출석 체크박스를 입력 펜으로 체크(터치)한 경우에 출석 데이터를 송신하여도 좋다.
이 경우, 출석 관리 시스템(4)의 정보 처리 장치(61)는 조작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수업이 행해지는 교실에 설치된 멀티미디어 보드(1)로 출석 관리 데이터를 송신한다. 출석 관리 데이터는 날짜 및 과목명 등으로 구성되는 교무 정보와, 출석 체크 박스의 표시 데이터를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보드(1)의 정보 처리 장치(17)는 출석 관리 시스템(4)으로부터 공급된 출석 관리 데이터를 메모리(52)에 등록한다. 정보 처리 장치(17)는 교사의조작에 응답하여 메모리(52)의 출석 관리 데이터를 같은 교실내의 각 정보 단말(2)로 송신한다.
출석 관리 데이터를 수신한 정보 단말(2)의 제어기(27)는 표시부(22)를 제어하고, 공급된 출석 관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날짜 및 과목명 등의 교무 정보와 함께 출석 체크 박스를 표시한다.
수업에 출석한 학생은 표시부(22)가 표시하는 출석 체크 박스에 입력 펜으로 터치한다.
정보 단말(2)의 입력부(21)는 학생이 입력 펜으로 출석 체크 박스에 터치한 것을 검출한다. 그리고, 입력부(21)는 학생이 출석했음을 나타내는 출석 신호를 제어기(27)로 출력한다.
제어기(27)는 입력부(21)로부터의 출석 신호에 응답하여 메모리(25)로부터 출석 데이터를 취득하여 네트워크(3A) 및 네트워크(3B)를 통하여 출석 관리 시스템(4)으로 송신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서도 출석 관리 시스템(4)은 학생이 출석했음을 데이터 베이스(62)에 등록할 수 있다. 또, 학생이 수업중에 메모 및 밑줄 등을 써 넣지 않은 경우에도 학생의 출석을 관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교육 지원 시스템에 의하면, 교사는 출결석 상황을 확인하기 위하여 학생의 이름을 부르거나, 학생에게 출석표를 나누어 줄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제2실시 형태에 따른 교육 지원 시스템은 출결석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업무 시간을 절약하여 여유있는 교육의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또, 상기 교육 지원 시스템에 의하면, 어느 학생이 다른 학생을 대신하여 회답을 하거나 출석표에 기입하는 등 부정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제3실시 형태에 따른 교육 지원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실시 형태에 따른 교육 지원 시스템은 예컨대 학교에 구축되고,교사(강사)를 대신하여 학생(수강자)의 단위 취득 상황을 관리한다.
상기 교육 지원 시스템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교육 지원 시스템의 구성에 부가하여 네트워크(3B)에 접속된 단위 관리 시스템(5)과 채점 단말(6)을 구비하고 있다.
각 과목의 시험은 각 교실에 설치된 교실내 시스템(10)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각 학생은 정보 단말(2)을 조작하여 시험 문제에 답한다. 정보 단말(2)은 학생의 해답을 메모리(25)에 기록하고, 학생의 조작에 응답하여 메모리(25)의 해답을 학적 번호와 함께 네트워크(3A) 및 네트워크(3B)를 통하여 채점 단말(6)로 출력한다.
채점 단말(6)은 예컨대, 학교의 사무실에 설치되고, 각 학생의 해답을 채점하기 위하여 교사에 의해 이용된다. 채점 단말(6)은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81)와, 메모리(82)와, ROM(83)과, 조작부(84)와, 제어기(85)로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81)는 제어기(85)의 제어에 따라 각 학생의 해답 등을 표시한다.
ROM(82)은 제어기(85)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다.
메모리(83)는 제어기(85)의 작업 메모리로서 기능한다. 메모리(83)는 네트워크(3A) 및 네트워크(3B)를 통하여 각 정보 단말(2)로부터 공급되는 각 학생의 해답을 기억한다. 또, 메모리(83)는 각 학생이 획득한 득점을 기억한다.
조작부(84)는 복수개의 조작 단추를 구비하고, 교사에 의해 조작된다. 조작부(84)는 교사의 조작에 응답하여 예컨대, 각 학생의 해답을 표시하는 등을 지시하는 신호를 제어기(85)에 입력한다.
제어기(85)는 ROM(82)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CPU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기(85)는 각 정보 단말(2)로부터 공급되는 각 학생의 해답을 수신하고, 각 학생의 학적 번호와 대응시켜 메모리(83)에 기록한다.
또, 제어기(85)는 교사의 조작에 응답하여 메모리(83)로부터 각 학생의 해답을 판독하여 표시부(81)에 표시한다.
또, 제어기(85)는 교사의 조작에 응답하여 교사가 채점한 결과(시험 결과)를각 학생의 학적 번호와 대응시켜 득점 데이터로서 메모리(83)에 기록한다.
또, 제어기(85)는 교사의 조작에 응답하여 메모리(83)로부터 득점 데이터를 취득하고, 네트워크(3B)를 통하여 단위 관리 시스템(5)으로 출력한다.
단위 관리 시스템(5)은 예컨대 학교의 사무실에 설치되어 있다. 단위 관리 시스템(5)은 각 학생의 시험 결과와 출석 관리 시스템(4)이 기억하고 있는 각 학생의 출석 상황을 관련시켜서 단위를 인정한다.
단위 관리 시스템(5)은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71)와, 데이터 베이스(72)와, 출력 장치(73)로 구성되어 있다.
정보 처리 장치(71)는 네트워크(3B)를 통하여 채점 단말(6)로부터 각 학생의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득점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71)는 수신한 각 학생의 득점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72)에 저장한다.
또, 정보 처리 장치(71)는 네트워크(3B)를 통하여 출석 관리 시스템(4)에 액세스하고, 출석 관리 시스템(4)으로부터 각 학생의 학적 번호에 대응된 각 학생의 출석률을 취득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71)는 취득한 각 학생의 출석률을 각 학생의 학적 번호에 대응시켜 데이터 베이스(72)에 저장한다.
또, 정보 처리 장치(71)는 데이터 베이스(72)의 득점 데이터 및 출석률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방법에 따라 교과(敎科)별로 단위를 인정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71)는 판별한 결과를 단위 인정 정보로서 데이터 베이스(72)에 저장한다.
데이터 베이스(72)는 정보 처리 장치(71)의 제어에 따라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과목별로 각 학생의 학적 번호, 출석률, 득점 데이터 및 단위 인정 정보 등을 서로 대응시켜 기억한다.
출력 장치(73)는 디스플레이 및 프린터 등으로 구성된다. 출력 장치(73)는 조작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데이터 베이스(72)의 단위 취득의 가부(可否) 등을 표시하거나 인쇄한다.
상기 이외의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음,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교육 지원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1) 시험의 실시
예컨대, 학교에서 실행되는 학년말 시험의 결과와 출석 상황에 근거하여 각 학생의 단위를 인정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학년말 시험은 교실내 시스템(10)이 설치된 교실에서 실시된다.
교사는 제3 기억영역(33)에 시험 문제가 기록되어 있는 기억 매체(30)를 멀티미디어 보드(1)의 판독/기록기(13)에 세트한다. 또, 각 학생은 제3 기억 영역(33)에 시험 문제가 기록되어 있는 기억 매체(30)를 각 정보 단말(2)의 판독/기록기(23)에 세트한다.
멀티미디어 보드(1)의 정보 처리 장치(17)는 교사의 조작에 응답하여 판독/기록기(13)를 제어하고, 기억 매체(30)로부터 시험 문제를 판독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17)는 표시 장치(12)를 제어하여 판독한 시험 문제를 표시한다.
이 때, 정보 처리 장치(17)는 표시하는 시험 문제를 특정하기 위한 인덱스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3A)를 통하여 각 정보 단말(2)로 송신한다.
각 정보 단말(2)의 제어기(27)는 멀티미디어 보드(1)로부터 공급되는 인덱스 정보에 응답하여 판독/기록기(23)를 제어하고, 인덱스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시험 문제를 기억 매체(30)로부터 판독한다. 그리고, 제어기(27)는 판독한 시험 문제를 표시부(22)에 표시한다.
각 학생은 표시된 시험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정보 단말(2)의 입력부(21) 및 조작부(26)를 조작하여 입력한다. 그리고, 각 학생은 시험 종료 시각까지 입력부(21) 및 조작부(26)를 조작하여 입력한 해답을 별실에 설치된 채점 단말(6)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단말(2)의 제어기(27)는 학생이 입력한 해답을 메모리(25)에 기록한다. 그리고, 제어기(27)는 학생의 조작에 응답하여 메모리(25)의 해답을 학적 번호와 함께 네트워크(3A) 및 네트워크(3B)를 통하여 채점 단말(6)로 송신한다.
채점 단말(6)의 제어기(85)는 각 정보 단말(2)로부터 공급되는 각 학생의 해답을 수신하고, 각 학생의 학적 번호와 대응시켜 메모리(83)에 기록한다.
(2) 단위 인정의 가부
제어기(85)는 교사의 조작에 응답하여 메모리(83)로부터 각 학생의 해답을 판독하여 표시부(81)에 표시한다.
교사는 채점 단말(6)의 조작부(84)를 조작하여 각 학생의 해답을 채점한다.
그리고, 제어기(85)는 교사의 조작에 응답하여 채점 결과(시험 결과)를 각 학생의 학적 번호와 대응시켜 득점 데이터로서 메모리(83)에 기록한다.
채점 종료 후, 제어기(85)는 교사의 조작에 응답하여 메모리(83)로부터 득점 데이터를 취득하고, 네트워크(3B)를 통하여 단위 관리 시스템(5)으로 출력한다.
단위 관리 시스템(5)의 정보 처리 장치(71)는 네트워크(3B)를 통하여 채점 단말(6)로부터 공급되는 각 학생의 득점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72)에 저장한다.
또, 정보 처리 장치(71)는 네트워크(3B)를 통하여 출석 관리 시스템(4)에 액세스하고 출석 관리 시스템(4)으로부터 각 학생의 출석률을 취득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71)는 취득한 각 학생의 출석률을 각 학생의 학적 번호에 대응시켜 데이터 베이스(72)에 저장한다.
그 후, 정보 처리 장치(71)는 각 학생의 득점 데이터와 출석률을 데이터 베이스(72)로부터 취득하고, 미리 설정된 방법으로 교과(敎科)별로 단위를 인정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예컨대, 정보 처리 장치(71)는 득점이 70점 이상이고, 또한 출석률이 70% 이상인 경우에 학생의 단위를 인정한다고 판별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71)는 단위를 인정하는지 어떤지의 판별 결과를 단위 인정 정보로서 데이터 베이스(72)에 저장한다.
정보 처리 장치(71)는 조작자(예컨대, 교사)의 조작에 따라 각 학생의 단위 인정의 판정 결과, 시험의 득점 및 출석률 등을 데이터 베이스(72)로부터 취득하여 출력 장치(73)로 출력한다.
상기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교육 지원 시스템에 의하면, 시험의 실시 및해답의 회수가 간편하게 된다. 또, 출석률과 시험의 결과를 관련시켜서 성적을 평가할 수 있다.
또, 진급이나 졸업 등의 판정에 있어서 객관적이고도 공정한 판정을 내릴 수 있다. 또한, 단위를 인정하기 위하여 교사가 행하는 작업을 감소시켜 교육에 전념하기 위한 시간을 많이 생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교사가 채점 단말(6)을 조작하여 채점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채점 단말(6)이 채점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시험은 예컨대 마크 시이트 형식으로 실시된다. 기억 매체(30)의 제3 기억 영역(33)에는 시험 문제와 함께 각 문제의 선택지가 기록되어 있다.
각 정보 단말(2)의 제어기(27)는 판독/기록기(23)를 제어하여 기억 매체(30)로부터 시험 문제와 그 선택지를 판독하여 표시부(22)에 표시한다.
각 학생은 입력 펜을 이용하여 표시된 선택지 중 하나를 선택한다.
입력부(21)는 학생이 입력 펜으로 터치한 터치 패널(21A)상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제어기(27)로 출력한다.
제어기(27)는 입력부(21)로부터 공급되는 위치 정보로부터 학생이 선택한 해답을 특정하여 메모리(25)에 기록한다.
그리고, 제어기(27)는 학생의 조작에 응답하여 메모리(25)의 해답을 학적 번호와 함께 네트워크(3A) 및 네트워크(3B)를 통하여 채점 단말(6)로 송신한다.
채점 단말(6)의 메모리(83)는 시험 문제의 정답을 미리 기억하고 있다.
채점 단말(6)의 제어기(85)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정보 단말(2)로부터 공급되는 각 학생의 해답을 학적 번호에 대응시켜 메모리(83)에 기록한다.
제어기(85)는 조작자(예컨대, 교사)의 조작에 응답하여 메모리(83)로부터 시험 문제의 정해와 각 학생의 해답을 취득하여 채점한다. 그리고, 제어기(85)는 채점 결과를 각 학생의 학적 번호와 대응시켜 득점 데이터로서 메모리(83)에 기록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하면, 보다 객관적이고도 공평하게 단위를 인정할 수 있다. 또, 교사가 교육에 전념하기 위한 시간을 보다 많이 만들 수 있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단위 관리 시스템(5)은 학년말 시험의 결과와 출석률에 근거하여 단위를 인정하도록 구성하였지만, 그 외에 소규모의 시험, 레포트 및 수업 태도 등 평가를 합쳐서 단위 인정의 가부를 판별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 단위 관리 시스템(5)은 단위 인정의 가부를 나타내는 판정 결과의 데이터를 장치 ID로 특정되는 정보 단말(2)로 회신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 단위 관리 시스템(5)의 정보 처리 장치(71)는 득점 데이터에 근거하여 예컨대, 최고점, 최저점, 평균점 및 편차값 등을 포함하는 통계 정보를 구하여도 좋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71)는 구한 통계 정보로부터 시험의 합격 여부의 판별 기준으로 되는 최저 합격점을 설정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위 관리 시스템(5)은 득점 데이터를 네트워크(3B)를 통하여 수신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조작자에 의해 직접 입력되어도 좋다.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LAN으로 형성된 네트워크(3A) 및 네트워크(3B) 대신에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정보 단말(2)을 교실 등에 설치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학생이 정보 기억 매체(30)와 함께 정보 단말(2)을 휴대하고, 수업중뿐 만 아니라 귀가 후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컴퓨터를 상기한 교육 지원 시스템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 매체(플로피 디스크, CD-ROM, MO 등)에 기록하여 배포하거나 반송파(搬送波)에 중첩시켜 전송하여 배포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교육 현장에 있어서의 교육 담당자 및 교육을 받는 자의 부담을 감소시키고, 교육 효과를 높여 여유있는 교육을 지원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7)

  1. 강사가 사용하는 강사 단말(1)과,
    복수의 수강자가 각각 사용하는 복수개의 수강자 단말(2)로 구성되고,
    상기 강사 단말(1)은
    입력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강사가 이 입력 패널상에 기록한 강사 기록 정보를 입력하는 제1 입력기(11)와,
    상기 제1 입력기(11)가 입력하는 상기 강사 기록 정보를 상기 복수개의 수강자 단말(2)로 송신하는 기록 정보 송신기(17)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수강자 단말(2) 각각은
    교과서의 내용을 나타내는 교과서 정보가 기록된 수강자 기억 매체(30)로부터 이 교과서 정보를 판독하는 제2 판독기(23)와,
    수강자 화면을 구비하고, 상기 교과서 정보와 상기 기록 정보 송신기(17)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강사 기록 정보를 이 수강자 화면에 표시하는 제2 표시기(22)와,
    상기 제2 표시기(22)가 표시하는 상기 강사 기록 정보를 상기 수강자 기억 매체(30)에 기록하는 제2 기록기(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지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사 단말(1)은
    상기 교과서 정보가 기록된 강사 기억 매체(30)로부터 이 교과서 정보를 판독하는 제1 판독기(13)와,
    강사 화면을 구비하고, 상기 교과서 정보를 이 강사 화면에 표시하는 제1 표시기(12)와,
    상기 교과서 정보의 표시 범위를 특정하기 위한 인덱스 정보를 상기 복수개의 수강자 단말(2)로 송신하는 인덱스 송신기(17)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판독기(23)는 상기 인덱스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범위의 상기 교과서 정보를 상기 수강자 기억 매체(30)로부터 판독하는 것인 교육 지원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패널은 상기 강사 화면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표시기(12)는 상기 강사가 상기 강사 기록 정보를 기록한 위치에 이 강사 기록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기록 정보 송신기(17)는 상기 강사 기록 정보의 표시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이 강사 기록 정보와 함께 상기 복수개의 수강자 단말(2)로 송신하며,
    상기 제2 표시기(22)는 상기 강사 기록 정보를 상기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에 표시하는 것인 교육 지원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사 기억 매체(30) 및 상기 수강자 기억 매체(30)는 각각 상기 교과서에 관한 강의 내용을 나타내는 강의 정보를 더 기억하고,
    상기 제1 판독기(13)는 상기 교과서 정보와 함께 상기 강의 정보를 판독하며,
    상기 제1 표시기(12)는 상기 강사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교과서 정보와 상기 강의 정보를 각각 상이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2 판독기(23)는 상기 교과서 정보와 함께 상기 강의 정보를 판독하며,
    상기 제2 표시기(22)는 상기 수강자 화면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상기 교과서 정보와 상기 강의 정보를 각각 상이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인 교육 지원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강사 단말(1)은 상기 제1표시기(12)가 표시하는 상기 강사 기록 정보를 상기 강사 기억 매체(30)에 기록하는 제1 기록기(13)를 더 구비하는 것인 교육 지원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수강자 단말 각각은 상기 복수의 수강자가 각각 상기 수강자 화면상에 기록하는 수강자 기록 정보를 입력하는 제2 입력기(21)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표시기(22)는 상기 복수의 수강자 각자가 상기 수강자 기록 정보를 기록한 위치에 이 수강자 기록 정보를 표시하는 것인 교육 지원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록기(23)는 상기 제2 표시기(22)가 표시하는 복수의 정보를 하나의 파일로서 상기 수강자 기억 매체(30)에 기록하는 것인 교육 지원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강자의 출석 상황을 관리하는 출석 관리 단말(4)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수강자 단말(2) 각각은 상기 복수의 수강자가 각각 행하는 소정의 조작에 응답하여 수강자가 강의에 출석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출석 정보를 상기 출석 관리 단말(4)로 송신하는 출석 정보 송신기(27)를 더 구비하며,
    상기 출석 관리 단말(4)은 상기 복수개의 수강자 단말(2) 각각으로부터 공급되는 출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수강자의 출석률을 구하는 것인 교육 지원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강자 단말(2) 각각은 상기 복수의 수강자 각자가 상기 수강자 화면상에 접촉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기(21)를 더 구비하고,
    상기 출석 정보 송신기(27)는 상기 검출기(21)가 상기 수강자 접촉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출석 정보를 상기 출석 관리 단말(4)로 송신하는 것인 교육 지원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강자에게 단위(單位)를 부여하는 단위 관리 단말(5)을 더 구비하고,
    상기 단위 관리 단말(5)은
    상기 복수의 수강자의 시험 결과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72)와,
    상기 복수의 수강자의 출석률을 상기 출석 관리 단말(4)로부터 취득하는 취득기(71)와,
    상기 시험 결과 및 상기 출석률에 근거하여 상기 복수의 수강자 각자에게 단위를 부여하는 단위 인정기(71)로 구성된 것인 교육 지원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강자 기억 매체(30)는 시험 문제를 기억하고,
    상기 제2 판독기(23)는 상기 수강자 기억 매체(30)로부터 상기 시험 문제를 판독하며,
    상기 제2표시기(22)는 상기 시험 문제를 상기 수강자 화면에 표시하는 것인 교육 지원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강자의 해답을 채점하는 채점 단말(6)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수강자 단말(2) 각각은
    상기 복수의 수강자 각자가 상기 수강자 화면상에 기록하는 해답을 취득하는 해답 취득기(21)와,
    상기 해답 취득기(21)가 취득한 해답을 상기 채점 단말(6)로 송신하는 해답 송신기(27)를 더 구비하며,
    상기 채점 단말(6)은
    상기 시험 문제의 정답을 기억하는 메모리(83)와,
    상기 메모리(83)의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수강자 단말(2)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복수의 수강자의 해답을 채점하는 채점기(85)로 구성된 것인 교육 지원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채점 단말(6)은 상기 채점기(85)의 채점 결과를 상기 복수의 수강자의 상기 시험 결과로서 상기 단위 관리 단말(5)로 송신하는 결과 송신기(85)를 더 구비하는 것인 교육 지원 시스템.
  14. 고정 정보가 기록된 기억 매체(30)로부터 이 고정 정보를 판독하는판독기(13)와,
    조작자가 소정의 화면상에서 그린 묘화상(描劃像)을 입력하는 입력기(11)와,
    상기 판독기(13)가 판독한 상기 고정 정보와, 상기 입력기(11)가 입력하는 상기 묘화상을 상기 화면에 겹쳐서 표시하는 표시기(12)와,
    상기 고정 정보의 표시 범위를 특정하는 인덱스 정보 및 상기 묘화상의 데이터를 다른 단말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표시기(12)가 표시하는 내용과 동일의 내용을 이 다른 단말(2)에 표시시키는 송신기(1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단말.
  15. 다른 단말(1)이 표시하고 있는 고정 정보와 동일의 고정 정보가 기록된 기억 매체(30)로부터 이 다른 단말(1)이 표시하고 있는 범위와 동일의 범위인 이 고정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기(23)와,
    상기 다른 단말(1)로부터 공급되는 이 다른 단말(1)의 조작자가 그린 묘화상을 수신하는 수신기(27)와,
    상기 판독기(23)가 판독한 상기 고정 정보와 상기 수신기(27)가 수신한 묘화상을 겹쳐서 표시하는 표시기(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단말.
  16. 컴퓨터를
    고정 정보가 기록된 기억 매체(30)로부터 이 고정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기(13)와,
    조작자가 소정의 화면상에 그린 묘화상을 입력하는 입력기(11)와,
    상기 판독기(13)가 판독한 상기 고정 정보와 상기 입력기(11)가 입력하는 상기 묘화상을 상기 화면에 겹쳐서 표시하는 표시기(12)와,
    상기 고정 정보의 표시 범위를 특정하는 인덱스 정보 및 상기 묘화상의 데이터를 다른 단말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표시기(12)가 표시하는 내용과 동일의 내용을 이 다른 단말(2)에 표시시키는 송신기(17)로 구성된 표시 단말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7. 컴퓨터를
    다른 단말(1)이 표시하고 있는 고정 정보와 동일의 고정 정보가 기록된 기억 매체(30)로부터 이 다른 단말(1)이 표시하고 있는 범위와 동일의 범위인 이 고정 정보를 판독하는 판독기(23)와,
    상기 다른 단말(1)로부터 공급되는 이 다른 단말(1)의 조작자가 그린 묘화상을 수신하는 수신기(27)와,
    상기 판독기(23)가 판독한 상기 고정 정보와 상기 수신기(27)가 수신한 묘화상을 겹쳐서 표시하는 표시기(22)로 구성된 표시 단말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KR10-2002-0005887A 2001-02-02 2002-02-01 교육 지원 시스템, 표시 단말 및 프로그램 KR1004390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27465A JP2002229426A (ja) 2001-02-02 2001-02-02 教育支援システム
JPJP-P-2001-00027465 2001-02-02
JPJP-P-2001-00027466 2001-02-02
JP2001027466A JP4001464B2 (ja) 2001-02-02 2001-02-02 教育支援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918A KR20030006918A (ko) 2003-01-23
KR100439074B1 true KR100439074B1 (ko) 2004-07-05

Family

ID=29272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5887A KR100439074B1 (ko) 2001-02-02 2002-02-01 교육 지원 시스템, 표시 단말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092669B2 (ko)
KR (1) KR1004390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0863A (ja) * 2003-06-16 2005-01-13 Toho Business Kanri Center:Kk 端末装置、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050112540A1 (en) * 2003-11-24 2005-05-26 James Whaley Teaching facility with communication device
US8353705B2 (en) * 2004-08-16 2013-01-15 Incom Corporation Attendance tracking system
US8433751B2 (en) * 2005-03-08 2013-04-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notes
US8021164B2 (en) * 2005-12-23 2011-09-20 Allen Epstein Method for teaching
KR100751911B1 (ko) * 2005-12-28 2007-08-23 (주)인사이드알에프 유비쿼터스 교육환경에 적합한 양방향 강의 지원 시스템 및방법
US20080227080A1 (en) * 2007-03-14 2008-09-18 Gekl Technologies, Inc. Student assessment system
US8187005B1 (en) 2007-11-13 2012-05-29 Einstruction Corporation Interactive chalkboard
US8794979B2 (en) 2008-06-27 2014-08-05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ve presentation system
KR101706654B1 (ko) * 2009-04-07 2017-02-16 러닝 트리 인터내셔날, 인크 하이브리드 코스 교육 시스템 및 방법
JP6035712B2 (ja) 2010-10-26 2016-11-30 株式会社リコー 画面共有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画面共有サービス提供方法、画面共有サービス提供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
JP5974657B2 (ja) 2012-06-15 2016-08-23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2968916A (zh) * 2012-11-20 2013-03-13 东北农业大学 一种计算机多媒体远程教育培训教学装置
CN104021702B (zh) * 2013-03-01 2016-09-2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装置
JP6109625B2 (ja) * 2013-04-04 2017-04-05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KR102053822B1 (ko) * 2013-06-03 2019-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화면 표시방법
KR102184269B1 (ko) * 2013-09-02 2020-1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휴대장치 및 그 화면 표시방법
KR20150103884A (ko) 2014-03-04 2015-09-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바이스 소셜관계를 이용한 스마트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575138A (zh) * 2015-01-19 2015-04-29 肖龙英 一种情景互动式多媒体系统及其应用
US10643488B2 (en) * 2016-06-23 2020-05-05 Lystnr, Llc System and method of assessing depth-of-understanding
CN106023696A (zh) * 2016-08-02 2016-10-12 合肥东上多媒体科技有限公司 一种多媒体教学互动装置
US10127747B2 (en) 2016-12-22 2018-11-13 Active8 Softwar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nic ticketing, monitoring, and indicating permissive use of facilities
CN106846946A (zh) * 2017-04-05 2017-06-13 重庆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多媒体电子商务教学平台
KR102019306B1 (ko) * 2018-01-15 2019-09-06 김민철 네트워크 상의 어학 스피킹 수업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CN111833665A (zh) * 2020-07-31 2020-10-27 辽宁工程技术大学 一种便于师生共用的经济管理专用教学展示设备
US11556298B1 (en) * 2021-07-30 2023-01-17 Sigmasense, Llc Generation and communication of user notation data via an interactive display devic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79558A1 (en) * 1987-02-12 1988-08-24 Ing. C. Olivetti & C., S.p.A. System of data working stations for teaching a class of students
US5176520A (en) * 1990-04-17 1993-01-05 Hamilton Eric R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al delivery system and method
JPH08235089A (ja) * 1995-02-24 1996-09-13 Mitsubishi Electric Corp 教育支援システム
JPH10282873A (ja) * 1997-04-11 1998-10-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教育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H11133847A (ja) * 1997-10-30 1999-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処理装置
JP2000356944A (ja) * 1999-04-30 2000-12-26 Junglebyte Pte Ltd 通信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教材の提供
KR20010019734A (ko) * 1999-08-30 2001-03-15 윤종용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컴퓨터 교육용 시스템
KR20020002102A (ko) * 2000-06-29 2002-01-09 임중연,이재훈 교실의 네트워크 교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육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4339A (en) * 1972-10-02 1975-12-09 Polaroid Corp Interactive teaching system
JPS6026981A (ja) * 1983-07-26 1985-02-09 ソニー株式会社 集団教育装置用表示装置
US4820167A (en) * 1987-01-14 1989-04-11 Nobles Anthony A Electronic school teaching system
US4937821A (en) * 1987-01-27 1990-06-26 Readtronics Pipeline information delivery system
US4985697A (en) * 1987-07-06 1991-01-15 Learning Insights, Ltd. Electronic book educational publishing method using buried reference materials and alternate learning levels
US4855725A (en) * 1987-11-24 1989-08-08 Fernandez Emilio A Microprocessor based simulated book
JPH0259784A (ja) * 1988-08-25 1990-02-28 Sony Corp 出席管理装置
US5002491A (en) * 1989-04-28 1991-03-26 Comtek Electronic classroom system enabling interactive self-paced learning
US5267865A (en) * 1992-02-11 1993-12-07 John R. Lee Interactive computer aided natural learning method and apparatus
JP2562107B2 (ja) 1993-04-14 1996-12-11 株式会社日鉄エレックス 教育用映像ネットワーク装置
JPH07321978A (ja) 1994-05-30 1995-12-08 Kokusai Electric Co Ltd ローカル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5742815A (en) * 1994-10-04 1998-04-21 Stern; Yonatan Pesach Method for storing and retrieving images in/from a database
US5823788A (en) * 1995-11-13 1998-10-20 Lemelson; Jerome H. Interactive educational system and method
US5833468A (en) * 1996-01-24 1998-11-10 Frederick R. Guy Remote learning system using a television signal and a network connection
US20030110215A1 (en) * 1997-01-27 2003-06-12 Joao Raymond Anthon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materials and/or related services in a network environment
US6091930A (en) * 1997-03-04 2000-07-18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Customizable interactive textbook
US6411796B1 (en) * 1997-11-14 2002-06-25 Sony Corporation Computer assisted learning system
US6155840A (en) * 1998-09-18 2000-12-05 At Hom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learning
US6149441A (en) * 1998-11-06 2000-11-21 Technology For Connecticut, Inc. Computer-based educational system
US6633223B1 (en) * 1999-02-10 2003-10-14 Symbol Technologies, Inc. Wireless LAN scholastic tracking system
US6261103B1 (en) * 1999-04-15 2001-07-17 Cb Sciences, Inc. System for analyzing and/or effecting experimental data from a remote location
US6397036B1 (en) * 1999-08-23 2002-05-28 Mindblazer, Inc.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ollaborative learning
US6688891B1 (en) * 1999-08-27 2004-02-10 Inter-Tar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electronic collaborative education process model
US6470171B1 (en) * 1999-08-27 2002-10-22 Ecollege.Com On-line educational system for display of educational materials
US6282404B1 (en) * 1999-09-22 2001-08-28 Chet D. Linto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multimedia data in an interactive format having reporting capabilities
WO2001073724A1 (en) * 2000-03-24 2001-10-04 Richter David A Computer-based instructional system with student verification feature
WO2001080202A2 (en) * 2000-04-14 2001-10-25 Theanswerpage, Inc.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over a network
US6381444B1 (en) * 2000-07-12 2002-04-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active multimedia virtual classes requiring small online network bandwidth
US6549751B1 (en) * 2000-07-25 2003-04-15 Giuseppe Li Mandri Multimedia educational system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79558A1 (en) * 1987-02-12 1988-08-24 Ing. C. Olivetti & C., S.p.A. System of data working stations for teaching a class of students
US5176520A (en) * 1990-04-17 1993-01-05 Hamilton Eric R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al delivery system and method
JPH08235089A (ja) * 1995-02-24 1996-09-13 Mitsubishi Electric Corp 教育支援システム
JPH10282873A (ja) * 1997-04-11 1998-10-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教育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H11133847A (ja) * 1997-10-30 1999-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処理装置
JP2000356944A (ja) * 1999-04-30 2000-12-26 Junglebyte Pte Ltd 通信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教材の提供
KR20010019734A (ko) * 1999-08-30 2001-03-15 윤종용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컴퓨터 교육용 시스템
KR20020002102A (ko) * 2000-06-29 2002-01-09 임중연,이재훈 교실의 네트워크 교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918A (ko) 2003-01-23
US20030207244A1 (en) 2003-11-06
US7092669B2 (en) 2006-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9074B1 (ko) 교육 지원 시스템, 표시 단말 및 프로그램
JP4001464B2 (ja) 教育支援システム
Kinzer et al. Multimedia and enhanced learning: Transforming preservice education
KR101934481B1 (ko)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
Schleppegrell et al. Problem-posing: A tool for curriculum renewal
KR20170098617A (ko) 디지털펜과 클라우드서버를 이용한 수준별 맞춤형 교육서비스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Dixon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and spatial visualiz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construction of the concepts of reflection and rotation using the" The Geometer's Sketchpad"
Thompson et al. The impact of self-efficacy on leveraging technology in the classroom
Miura et al. Practical environment for realizing augmented classroom with wireless digital pens
Gordon A Factor Analytic Study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Inventory.
Lester The effects of The Geometer's Sketchpad software on achievement of geometric knowledge of high school geometry students
JP2019020700A (ja) 通信教育システム
KR20010068143A (ko) 컴퓨터를 이용한 양방향 원격교육 방법
WELDING In‐class support: A successful way of meeting individual student need?
JP2002229426A (ja) 教育支援システム
KR20130124694A (ko) 실습형 강의를 위한 강의 보조 장치, 시스템 및 방법
JP2006195038A (ja) 不正行為防止システム
Larson Perceptions of the Strengths and Challenges of 1: 1 Learning in the Early Elementary Classroom
Pickett Linking the digital divide: Assessing teacher comfort levels to increase uses of technology in the classroom
West Uneven Impact of the Reading Street Common Core Program on Student Reading Achievement
CN114360306A (zh) 一种板书授课方法及系统
Bretz The MODIA Questionnaire for Curriculum Analysis.
Barnhardt et al. Portfolio Assessment in the Foreign Language Classroom, Summer 1998.
KR20210021775A (ko) 투명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교육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ROSS et al. Facilitating Inclu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