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8729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38729B1 KR100438729B1 KR10-2002-0043862A KR20020043862A KR100438729B1 KR 100438729 B1 KR100438729 B1 KR 100438729B1 KR 20020043862 A KR20020043862 A KR 20020043862A KR 100438729 B1 KR100438729 B1 KR 1004387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cording medium
- sensor
- jam sensor
- image forming
- forming apparatu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0—Detecting malfunctions relating to paper handling, e.g. jam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02—Supplying of sheet copy material; Cassettes therefo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29—Transport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717—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 G03G2215/00721—Detec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sheet pos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개시된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매체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세트, 상기 카세트로 부터의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다수의 롤러를 구비하는 기록매체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통해 공급된 기록매체에 이미지를 전사하는 전사부와; 전사된 이미지를 기록매체에 정착하는 정착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카세트 내의 기록매체 유무를 검출하는 기록매체 검출센서와; 상기 이송부와 상기 전사부 사이에 상기 전사부로 진입하는 기록매체의 도착여부 및 선단부 위치를 검출하는 제 1 잼 센서와; 상기 정착부와 배출부 사이의 경로 상에 마련되어 기록매체의 정착부 통과 및 배출부로의 배출을 검출하는 제 2 잼 센서를 특징적 요소로서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센서의 수요를 낮출 수 있고, 따라서 비용절감 및 중앙처리장치에 대한 인터럽트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 사진 방식을 사용하는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등과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록 매체 이송구간 중에 마련되는 잼 센서의 수를 감축하고 따라서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화상 형성 장치에서 기록매체의 이송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이는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화상 형성 장치는 인쇄용지 등의 기록 매체를 공급하는 카세트(C1, C2)가 다단으로, 도 1에서는 2단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그 이상의 수로 다단화될 수 있다. 각 카세트(C1, C2)로 부터의 기록매체 이송구간 즉, 일면 인쇄경로(굵은 실선) 및 양면 인쇄경로(1점 쇄선)을 포함하는 이송 구간에는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한 조의 피딩롤러(R1, R2)를 가지는 이송부(F)가 소정 간격으로 다수 배치된다. 각 이송부(F) 간의 배치 간격은 인쇄 가능한 최소 종이의 최소 길이보다 짧은 값으로 해야한다. 일반적으로는 최대 138.4㎜이다. 각 이송부(F)에 인접해서는 각 위치에서의 기록 매체의 잼(jam)을 검출하는 센서(sensor, S1 ~ S10)가 마련된다.
이러한 종래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 매체의 이송구간에서 각 이송부 마다 센서가 마련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카세트 내의 기록 매체 유무 감지 센서를 제외하고도 많게는 십 여개 정도의 잼 센서가 요구된다. 이러한 잼 센서의 수는 기록 매체 이송 거리가 길어질수록 더 증가하게 된다. 그 이유는 센서와 센서 사이의 이송 거리를 기록 매체가 정상적으로 이동할 정도의 시간 이상 지난 후에도 이전의 기록 매체의 위치가 확인된 센서의 다음에 있는 센서에 기록 매체의 이송이 확인되지 않으면 잼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또한 잼 신호 발생 후 전원이 꺼졌다 다시 켜지거나 아니면 해당 위치의 커버가 열렸다가 다시 닫히는 등 잼을 처리하는 행동으로 간주할만한 신호가 들어오면 각 센서를 모두 확인하여 기록 매체가 없음을 확인하여 잼 처리가 된 것으로 판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화상 형성 장치에는 카세트 내에 기록 매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기록 매체 유무 센서가 각 카세트 마다 마련되고, 그리고 인쇄가 완료된 기록 매체의 정상적인 배출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각의 배출구(EXIT)에도 센서가 추가로 필요하다.
도 1에 예시된 종래 화상 형성 장치에는, 잼 센서(S1 ~ S10}가 10개 있고 인쇄된 기록 매체의 정상적인 배출을 확인하는 센서(S11)가 하나 있다. 그리고 기록 매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기록 매체 검출 센서(S12, S13)가 각 카세트(C1, C2) 마다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센서 배치 구조에 따라서, 어느 한 센서에서 기록 매체가 감지 된 후 기록 매체가 정상적으로 이동할 정도의 시간이 지난 후도 다음에 있는 센서에서 기록 매체의 이송이 확인되지 않으면 잼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또한, 기록 매체가 앞의 센서를 충분히 통과할 만큼의 시간이 지났어도 기록 매체가 해당 위치의 센서를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잼 신호를 발생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구간에 배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기록 매체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면 잼 신호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잼 신호가 발생한 후 잼 신호를 발생시킨 기록 매체가 제거되었는지의 확인은 화상 형성 장치의 커버가 열렸다 다시 닫히거나 전원이 꺼졌다가 다시 켜졌을 경우 센서를 확인하여 기록 매체가 검출이 되지 않으면 잼 처리가 된 것으로, 주로 잼을 일으킨 기록매체가 해당 위치에서 제거가 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제어 수단으로는 많은 수의 센서들을 줄일 수가 없다.
이와 같이 종래 화상형성장치의 기록매체 이송 메카니즘은 많은 수의 잼 센서를 요구하기 때문에 제조 단가가 높다. 또한 잼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인쇄 중에 계속 각각의 센서 들을 확인해야 하므로 CPU(중앙연산장치)의 연산 처리량이 증가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인쇄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기록매체 이송을 검출하는 잼 센서의 수를 감축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급지 제어 구조를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급지 제어 구조를 설명하는 제어 흐름도의 제1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급지 제어 구조를 설명하는 제어 흐름도의 제2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급지 제어 구조를 설명하는 제어 흐름도의 제3실시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급지 제어 구조를 설명하는 제어 흐름도의 제4실시예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기록매체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세트, 상기 카세트로 부터의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다수의 롤러를 구비하는 기록매체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통해 공급된 기록매체에 이미지를 전사하는 전사부와; 전사된 이미지를 기록매체에 정착하는 정착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내의 기록매체 유무를 검출하는 기록매체 검출센서와;
상기 이송부와 상기 전사부 사이에 상기 전사부로 진입하는 기록매체의 도착여부 및 선단부 위치를 검출하는 제 1 잼 센서와;
상기 정착부와 배출부 사이의 경로 상에 마련되어 기록매체의 정착부 통과 및 배출부로의 배출을 검출하는 제 2 잼 센서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 동작을 진행하던 중 상기 기록 매체가 공급된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앞의 제 1 잼 센서에 도착하지 않을 경우 인쇄 동작을 중단하고 기록 매체의 공급오류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인쇄 동작을 진행하던 중 기록 매체가 제 1 잼 센서에 도착한 이후 일정 시간 후에도 제 2 잼 센서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인쇄 동작을 중단하고 기록 매체의 정착 오류 신호를 발생한다.
인쇄 동작을 진행하던 중 기록 매체가 앞의 제 1 잼 센서에 도착한 이후 일정 시간 후에도 제 1 잼 센서를 빠져나가지 않을 경우 인쇄 동작을 중단하고 기록 매체의 이동 오류 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인쇄 동작을 진행하던 중 기록 매체가 앞의 제 2 잼 센서에 도착한 이후 일정 시간 후에도 제 2 잼 센서를 빠져나가지 않을 경우 인쇄 동작을 중단하고 기록 매체의 이동 오류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앞의 정착 장치와 기록 매체의 배출부 사이의 거리가 길거나, 또는 기록 매체의 배출부가 두개 이상일 경우, 상기 제 2 잼센서 이후에 기록매체의 배출여부를 검출하는 제 3 잼센서를 더 구비하고, 인쇄 동작을 진행하던 중 기록 매체가 앞의 제 2 잼 센서에 도착한 이후 일정 시간 후에도 상기 제 3 잼 센서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인쇄 동작을 중단하고 기록 매체의 이동 오류 신호를 발생한다.
인쇄 동작을 진행하던 중 기록 매체가 앞의 제 2 잼 센서에 도착한 이후 일정 시간 후에도 두 번째 센서를 빠져나가지 않을 경우 인쇄 동작을 중단하고 기록매체의 정착 오류 신호를 발생하며, 인쇄 동작을 진행하던 중 기록 매체가 앞의 제 3 잼 센서에 도착한 이후 일정 시간 후에도 세 번째 센서를 빠져나가지 않을 경우 인쇄 동작을 중단하고 기록 매체의 이동오류 신호를 발생한다.
본 발명의 화상 형성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정착부와 배출부 사이의 부분에서 양면 인쇄를 위한 기록매체반송 경로가 시작되고 이 기록매체 반송경로는 상기 카세트와 이송부 사이의 경로로 이어 지며, 상기 기록매체 반송경로 상에는 기록매체의 이송을 위한 다수의 롤러가 마련되며, 상기 기록매체 반송경로 상에는 기록매체의 이송을 위한 다수의 롤러가 마련되고 그리고 기록매체의 잼을 검출하는 센서는 배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잼 센서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기록 매체가 최종 배출되는 마지막 부분에 위치하므로 정착 장치 바로 다음에 위치하여 기록 매체가 정착 장치를 통과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센서로 기록 매체가 화상 형성 장치를 완전히 빠져나갔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센서로까지 활용된다. 정착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에서 기록 매체가 빠져나가는 배출부 가까이 위치하는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화상형성 장치는 카세트에서 기록 매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용지 검출 센서와, 인쇄 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시키기 전에 위치하여 기록 매체의 도착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제 1 잼 센서, 그리고 정착 장치 바로 다음에 위치하여 기록 매체가 정착 장치를 통과하였는지를 확인하고 기록 매체가 화상 형성 장치를 완전히 빠져나갔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 2 잼 센서를 포함하는 급지 제어 장치를 갖는다.
또한, 양면 인쇄 기능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에는 기록 매체의 인쇄 면을 바꾸기 위한 절환 장치가 필요하다. 이 절환 장치의 동작 제어는 상기 정착부 다음의 제 2 잼 센서에 의해 수행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감광드럼(OPC drum)의 하부에 감광드럼의 표면을 인쇄화상에 대응하여 감광시키는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LSU)가 마련되고, 감광드럼의 회전방향의 다음의 위치에 시안(C) 토너, 마젠타(M), 옐로우(Y) 그리고 블랙(B) 토너 공급부가 마련된다. 상기 감광드럼의 위에는 감광드럼상에 현상된 토너에 의한 인쇄화상이 옮겨지는 다수의 가이드 롤러에 의해 회전하는 무한궤도 형태의 전사벨트(103)를 갖는 전사부(ITB)가 마련된다. 상기 전사벨트(103)는 기록매체의 일면 인쇄경로(201)에서 기록매체에 소정 압력을 접촉되도록 되어 있어 감광드럼(100)으로부터 전사벨트(103)로 옮겨진 인쇄화상이 재차 기록매체로 옮겨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니트(LSU)의 하부에는 기록매체인 인쇄지를 수용하는 2단의 카세트(301, 302)가 마련되어 있다. 각 카세트(301, 302)에는 기록매체검출센서(S12, S13)가 마련된다. 각 카세트(301, 302)로 부터의 기록매체 이송경로는 상기 일면 인쇄경로(201)로 연결되어 있다. 일면 인쇄경로(201) 상에는 기록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다수의 피딩 롤러를 구비한다. 일면 인쇄경로(201)에서 상기 전사벨트(103)의 바로 직전에 제1 잼센서(S2)가 마련된다. 그리고 전사벨트(103)를 지나서 한 조의 퓨징롤러(401, 402)에 의한 정착부(400)가 마련되어 있다. 정착부(400) 다음의 일면 인쇄경로(201) 상에는 제 2 잼센서(S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2센서(S4)는 정착부(400) 바로 다음에 위치하여 기록 매체가 정착부(400)를 통과하였는지를 확인하고 기록 매체가 화상 형성 장치를 완전히 빠져나갔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또한, 상기 제 2 잼 센서(S4)는 양면 인쇄시 기록매체가 배출부(EXIT)로 일부 배출되었다가 다시 양면 인쇄경로(202)로 반송되었는지를 검출한다. 여기에서 제2센서의 후방에는 별도로 기록매체가 배출부로 배출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제3잼센서(S11)가 추가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제 3 잼센서(S11)는 기록매체가 배출부로 배출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제 2 잼센서(S4)의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양면 인쇄경로(202) 상에도 기록매체를 안내하기 위한 다수의 피딩롤러(R)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양면 인쇄경로(202)는 일면 인쇄경로(201)의 상류측으로 다시 연결된다. 일면 인쇄경로(201)의 상류는 카세트(301, 302)로 부터의 기록매체 이송경로, 양면 인쇄경로(202) 뿐 아니라 수동용지이송경로(203)와도 연결된다. 수동용지 이송경로(203) 상에는 이를 통한 기록매체의 이송여부를 검출하는 또 다른 기록매체 검출센서(S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기록 매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기록매체 검출센서와 인쇄 화상을 종이에 전사시키기 전에 위치하여 기록 매체의 도착 여부 및 기록매체의 선단부 위치를 검지하기 위한 제 1 잼 센서, 정착 장치 바로 다음에 위치하여 기록 매체가 정착 장치를 통과하였는지를 확인하고 기록 매체가 화상 형성 장치를 완전히 빠져나갔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 2 잼 센서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 비해 센서의 수가 감축된 본 발명의 화상 형성장치는 기록 매체가 이송되는 경로에 대한 기구적인 신뢰성이 바탕이 되어야 할 것이다. 위의 구조에서 양면 인쇄 경로는 선택적인 요소로서 양면 인쇄가 요구되는 않는 경우 제외될 수 있고, 그리고 색상별 토너 공급수단은 칼라 화상 형성의 경우에만 필요하고 단색인 경우 블랙 토너 공급만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구조의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을 수행하는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의 제어 흐름도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에서 기록 매체를 공급할 시점이 되어 기록 매체 제어 장치가 구동되고 기록 매체가 픽업(Pick-Up, 501)되면, 기록 매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미도시)는 인쇄 화상을 종이에 전사시키기 전에 위치하여 기록 매체의 도착 여부를 검지하기 위한 제 1 잼센서(도 3에서 feed sensor, 이하 피드 센서)에 기록 매체가 도착하였는지를 확인하게 된다(502). 만약 일정 시간이 지나도 피드 센서에 기록 매체가 도착하지 않으면(504), 기록 매체가 공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에러를 표시한 후(505), 인쇄 동작을 중지(506)한다.
그리고 일정 시간 내에 피드 센서에 기록 매체가 도착하였으면 기록 매체와 기록 매체에 전사할 인쇄 화상의 선단을 일치시키고 기록 매체의 스큐(SKEW)를 방지하기 위해 기록 매체를 소정의 지연시간(DELAY_TIME) 동안 정지시킨다(507). 그후 기록 매체에 인쇄할 화상의 선단과 일치되는 시점(REG_TIME)이 되면 다시 기록 매체 제어 장치를 구동시켜(508) 기록 매체에 인쇄 화상이 정확히 전사되도록 한다.
그리고 난 후, 기록 매체가 일정 시간 내에 피드 센서를 통과하는지(509)를 확인하고 만약 일정 시간이 지나도 기록 매체가 피드 센서를 통과하지 않으면(510), 기록 매체가 피드 센서 부근에 걸려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에러를 표시한 후(511), 인쇄 동작을 중지한다.
또한 정착 장치 바로 다음에 위치하여 기록 매체가 정착 장치를 통과하였는지와 기록 매체가 화상 형성 장치를 완전히 빠져나갔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 2 잼 센서(도 3에서 exit sensor, 이하 배출 센서)에 도착하였는지(503)를 같이 확인하게 된다. 만약 일정 시간이 지나도 기록 매체가 배출 센서에 도착하지 않으면(503) 기록 매체가 정착부에 말렸거나 기록 매체 이동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인쇄 동작을 중지하고(517) 이를 표시하게 된다(516). 이때 정작부에 히터가 있다면 즉시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해야 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일정 시간 내에 배출 센서에 기록 매체가 도착하였으면 기록 매체가 일정 시간 내에 배출센서를 통과하는지를 확인하게 된다(513). 만약 일정시간이 지나도 기록 매체가 배출센서를 통과하지 않으면(518) 기록 매체 이동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인쇄 동작을 중지하고 이를 표시하게 된다(519).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한 장의 인쇄 동작이 정상적으로 끝나게 된다. 이상의 제어 흐름이 진행되는 동안 다음장의 인쇄 동작을 진행하기 위하여 또 다른 기록 매체가 공급되면 기록 매체 제어 장치는 현재 진행 중인 기록 매체 이동 제어와 병행하여 동시에 기록 매체의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앞에서 기록 매체 이동에 문제가 있어 인쇄 동작을 중지하였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정지되어 화상 형성 장치 내에 남아 있는 기록 매체를 제거할 때까지 인쇄 동작을 정지한 채로 기다리게 된다. 이 때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 내에 남아 있는 기록 매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커버를 열었다 닫거나 전원을 껐다가 다시 켰을 경우 기록 매체 제어 장치는 기록 매체의 제거를 확인하기 위하여 우선 각각의 센서에 기록 매체가 감지되는지를 확인하고 기록 매체가 계속 감지되면 다시 기록 매체가 있음을 알리고 기록 매체가 제거될 때까지 인쇄 동작을 정지한 채 기다리게 된다. 그러나 기록 매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기록 매체 제어 장치를 구동하여 일정 시간 내에 각각의 센서로 기록 매체가 감지되는지를 확인한다. 이때 앞에서처럼 기록 매체가 감지되면 기록 매체 제어 장치를 정지시키고 기록 매체가 있음을 알리고 기록 매체가 제거될 때까지 인쇄 동작을 정지한 채 기다리게 된다. 반면에 일정 시간까지 기록 매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기록 매체가 제거된 것으로 확인하고 중지되었던 인쇄 동작을 계속하게 된다.
도 4에 보인 두 번째 제어 흐름도의 예는 기록 매체의 급지 장치가 안정화되어 급지되는 기록 매체의 편차가 적을 경우 제 1 잼 센서인 도 3의 피드 센서의 기록 매체와 기록 매체에 전사할 인쇄 화상의 선단을 일치시키고 기록 매체의 스큐(SKEW)를 방지하는 기능을 줄인 것이다. 즉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기록 매체가 피드 센서에 도착하였을 경우(502) 기록 매체를 소정의 지연시간(DELAY_TIME)동안 정지시고 기록 매체에 인쇄할 화상의 선단과 일치되는 시점(REG_TIME)이 되면 다시 기록 매체 제어 장치를 구동시켜 기록 매체에 인쇄 화상이 정확히 전사되도록 하는 단계 507과 508을 삭제한 것이다.
그러므로, 화상 형성 장치에서 기록 매체 제어 장치가 구동되고 기록 매체가 픽업(Pick-Up, 301)되는 기록 매체 공급 시점이 기록 매체와 기록 매체에 전사할 인쇄 화상의 선단을 일치하는 정확한 시점이 되어야만 한다.
도 5는 앞에서 설명하였듯 기록매체 배출구측이 두 개이거나 정착 장치와 배출구가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 앞의 도 3과 도 4의 제 2 잼 센서를 기록 매체가 정착 장치를 통과하였는지를 검출하는 기능의 제 2 잼 센서(도 5에서 wrap jam sensor, 이하 랩 잼 센서)와 기록 매체가 배출구로 배출되었는지를 검출하는 제 3 잼 센서(도 5에서 exit sensor)로 나눈 것이다.
즉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기록 매체가 일정 시간 내에 피드 센서에 도착하면(502) 정착 장치 바로 다음에 위치하여 기록 매체가 정착 장치를 통과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랩 잼 센서에 도착하였는지(520)를 같이 확인하게 된다. 그러나 일정 시간이 지나도록 랩 잼 센서에 도착하지 않으면(523) 기록 매체가 정착부에 말린 것으로 판단하여 인쇄 동작을 중지하고(525) 이를 표시하게 된다(524) 이때 정착부에 히터가 있다면 즉시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해야 한다.
이후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일정 시간내에 랩 잼 센서에 기록 매체가 도착하였으면 기록 매체가 일정한 시간에 랩 잼 센서를 통과하였는지(521)와 기록 매체가 화상 형성 장치를 완전히 빠져나갔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배출 센서에 도착하였는지(503)를 같이 확인하게 된다. 만일 일정 시간이 지나도 기록 매체가 랩 잼 센서를 통과하지 않으면(526) 기록 매체 이동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인쇄 동작을 중지하고 이를 표시하게 된다(527)
또한 일정 시간이 지나도 기록 매체가 배출 센서에 도착하지 않으면(515) 마찬가지로 기록 매체 이동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인쇄 동작을 중지하고 이를 표시하게 된다(516). 그리고 마지막으로 일정 시간 내에 배출 센서에 기록 매체가 도착하였으면 기록 매체가 일정 시간내에 배출 센서를 통과하였는지를 확인하게 된다(513). 만약 일정 시간이 지나도 길고 매체가 배출 센서를 통과하지 않으면(518) 기록 매체 이동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인쇄 동작을 중지하고 이를 표시하게 된다(519). 그렇지 않을 경우는 한 장의 인쇄 동작이 정상적으로 끝나게 된다. 이상의 제어 흐름이 진행되는 동안 다음 장의 인쇄 동작을 진행하기 위하여 또 다른 기록 매체가 공급되면 기록 매체 제어 장치는 현재 진행 중인 기록 매체 이동 제어와 병행하여 동시에 기록 매체의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도 6은 도 5의 제어 흐름에 도 4의 제어 흐름을 적용하여 기록 매체를 소정의 지연시간(DELAY_TIME) 동안 정지시키고 기록 매체에 인쇄할 화상의 선단과 일치되는 시점(REG_TIME)이 되면 다시 기록 매체 제어 장치를 구동시켜 기록 매체에 인쇄 화상이 정확히 전사되도록 하는 단계 507과 508을 삭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종래에 비해 감소된 수의 잼 센서를 구비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적인 기록매체 제어 메카니즘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잼 센서의 감축은 단가의 절감을 돕고 그리고 중앙처리장치에서의 처리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몇몇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설명되고 부속 도면에 도시되었으나,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예시에 불과하며 그리고 넓은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그리고 본 발명은 설명되고 보여진 특정한 구조 및 배열로 국한되지 않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이는 다양한 다른 수정이 당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어 날수 있기 때문이다.
Claims (8)
- 기록매체를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세트, 상기 카세트로 부터의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다수의 롤러를 구비하는 기록매체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통해 공급된 기록매체에 이미지를 전사하는 전사부와; 전사된 이미지를 기록매체에 정착하는 정착장치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장치에 있어서,상기 카세트 내의 기록매체 유무를 검출하는 기록매체 검출센서와;상기 이송부와 상기 전사부 사이에 상기 전사부로 진입하는 기록매체의 도착여부 및 선단부 위치를 검출하는 제 1 잼 센서와;상기 정착부와 배출부 사이의 경로 상에 마련되어 기록매체의 정착부 통과 및 배출부로의 배출을 검출하는 제 2 잼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인쇄 동작을 진행하던 중 상기 기록 매체가 공급된 이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앞의 제 1 잼 센서에 도착하지 않을 경우 인쇄 동작을 중단하고 기록 매체의 공급오류 신호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인쇄 동작을 진행하던 중 기록 매체가 제 1 잼 센서에 도착한 이후 일정 시간 후에도 제 2 잼 센서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인쇄 동작을 중단하고 기록 매체의 정착 오류 신호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인쇄 동작을 진행하던 중 기록 매체가 앞의 제 1 잼 센서에 도착한 이후 일정 시간 후에도 제 1 잼 센서를 빠져나가지 않을 경우 인쇄 동작을 중단하고 기록 매체의 이동 오류 신호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잼센서 이후에 기록매체의 배출여부를 검출하는 제 3 잼센서를 더 구비하고,인쇄 동작을 진행하던 중 기록 매체가 앞의 제 2 잼 센서에 도착한 이후 일정 시간 후에도 상기 제 3 잼 센서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인쇄 동작을 중단하고 기록 매체의 이동 오류 신호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인쇄 동작을 진행하던 중 기록 매체가 앞의 제 2 잼 센서에 도착한 이후 일정 시간 후에도 제 2 잼 센서를 빠져나가지 않을 경우 인쇄 동작을 중단하고 기록 매체의 정착 오류 신호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인쇄 동작을 진행하던 중 기록 매체가 앞의 제 3 잼 센서에 도착한 이후 일정 시간 후에도 제 3 센서를 빠져나가지 않을 경우 인쇄 동작을 중단하고 기록 매체의 이동오류 신호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정착부와 배출부 사이의 부분에서 양면 인쇄를 위한 기록매체반송 경로가 시작되고 이 기록매체 반송경로는 상기 카세트와 이송부 사이의 경로로 이어 지며, 상기 기록매체 반송경로 상에는 기록매체의 이송을 위한 다수의 롤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43862A KR100438729B1 (ko) | 2002-07-25 | 2002-07-25 | 화상 형성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43862A KR100438729B1 (ko) | 2002-07-25 | 2002-07-25 | 화상 형성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09798A KR20040009798A (ko) | 2004-01-31 |
KR100438729B1 true KR100438729B1 (ko) | 2004-07-05 |
Family
ID=37318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43862A KR100438729B1 (ko) | 2002-07-25 | 2002-07-25 | 화상 형성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3872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8871B1 (ko) * | 2006-10-13 | 2008-03-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방법 |
-
2002
- 2002-07-25 KR KR10-2002-0043862A patent/KR10043872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09798A (ko) | 2004-01-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200753B2 (ja) | 画像形成装置 | |
US20100187746A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5614526B2 (ja) |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 |
JP2009042402A (ja) | 画像形成装置 | |
JP4695948B2 (ja) | 画像形成装置 | |
US5534976A (en) | Method for eliminating a paper jam of an image forming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 |
US8023837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a sheet jamming during detected abnormal situations | |
KR100412494B1 (ko) | 인쇄기의 용지 이송장치 및 이송방법 | |
JP2008254868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11197237A (ja) |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JP4128931B2 (ja) | 画像形成装置の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KR100438729B1 (ko) | 화상 형성 장치 | |
JP2006321648A (ja) |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搬送制御方法 | |
JPH11246078A (ja) | 画像記録装置 | |
US8867982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ouble-side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4950654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0007170A (ja) | 画像形成装置 | |
JP4995528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9047997A (ja) | 画像形成装置 | |
KR100437121B1 (ko) | 용지걸림현상 감지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
JPH09100048A (ja) | シート材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6008179B2 (ja) | 原稿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原稿搬送装置の制御方法 | |
JP5317815B2 (ja) |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05320093A (ja) | 画像形成装置 | |
JP4042221B2 (ja) | 画像形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530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