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8871B1 -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8871B1
KR100808871B1 KR1020060099901A KR20060099901A KR100808871B1 KR 100808871 B1 KR100808871 B1 KR 100808871B1 KR 1020060099901 A KR1020060099901 A KR 1020060099901A KR 20060099901 A KR20060099901 A KR 20060099901A KR 100808871 B1 KR100808871 B1 KR 100808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inting paper
developing process
skew
potential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9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2794A (ko
Inventor
오철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9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8871B1/ko
Publication of KR20060122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2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6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potential of the developing electrod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0Detecting malfunctions relating to paper handling, e.g. j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03Control of other part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state of copy medium feed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611Detector details, e.g. optical detector
    • G03G2215/00616Optical detect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방법 및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방법은, 현상제가 전기력에 의해 이동되도록 복수의 현상프로세스롤러에 소정의 전위차를 형성하는 단계를 가지며, 상기 현상프로세스롤러를 구비하는 현상프로세스부에 인쇄용지를 급지하는 단계; 상기 인쇄용지의 스큐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인쇄용지의 스큐가 소정의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현상프로세스롤러 간에 상기 전위차가 형성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 현상제가 도포되지 않은 상기 인쇄용지를 반송하는 단계; 상기 반송되는 인쇄용지의 잼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잼 된 경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이에 의해 인쇄용지의 스큐가 소정 허용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인쇄용지에 화상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 스큐, 현상프로세스롤러 간 전위차 형성을 차단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PROCESS}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 따른 인쇄용지의 스큐 발생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2의 현상프로세스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화상형성장치 10 : 제어부
12 : 신호생성부 14 : 저장부
20 : 전위차형성부 30 : 현상프로세스부
32 : 현상프로세스롤러 40 : 반송부
50 : 스큐감지부 60 : 소스전원부
70 : 스위칭부 80 : 화상정보공급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용지의 스큐 발생에 대비할 수 있는 형성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현상프로세스롤러를 구비하는 현상프로세스부와, 현상프로세스부에 인쇄용지를 급지하는 반송부를 갖는다. 현상프로세스부는 반송부에 의해 급지되는 인쇄용지에 선택적으로 현상제를 도포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 따른 인쇄용지의 스큐 발생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화상형성장치(100)는 현상프로세스부(130)와 반송부(140)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부(140)는 인쇄용지(P)를 소정의 반송방향(d)으로 반송한다. 반송부(140)는 인쇄용지(P)를 변방향이 반송방향(d)과 나란하게 된 상태(N)로 현상프로세스부(130)에 급지한다. 현상프로세스부(140)는 정상상태(N)로 급지되는 인쇄용지(P)에 적합하도록 인쇄용지(P)의 소정 영역(A)에 현상제를 도포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그런데 반송부(140)가 인쇄용지(P)를 픽업하는 과정에서 인쇄용지(P)가 기울어지거나 기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인쇄용지(P)의 변방향이 반송방향(d)과 어긋나도록 인쇄용지(P)가 기울어진 상태(S)로 현상프로세스부(130)에 급지될 수 있다. 즉, 인쇄용지(P)의 스큐가 발생할 수 있다.
현상프로세스부(130)는 스큐가 발생한 상태(S)로 급지되는 인쇄용지(P)에도 정상상태(N)로 급지된 인쇄용지(P)와 마찬가지로 소정 영역(A)에 화상을 형성한다. 따라서 인쇄용지(P)에 경사지게 화상이 형성되어 인쇄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스큐가 심하게 발생함에 따라 인쇄용지(P)에 형성된 화상의 경사각이 심한 경우 재인쇄를 해야 하며 현상제 및 인쇄용지 등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용지의 스큐가 허용범위를 초과하도록 발생한 경우 화상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현상프로세스롤러를 구비하는 현상프로세스부와, 상기 현상프로세스부를 경유하도록 인쇄용지를 반송하는 반송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에 의해 상기 현상프로세스부로 급지되는 상기 인쇄용지의 스큐를 감지하는 스큐감지부; 현상제가 인쇄용지에 도포되도록 상기 현상프로세스롤러 간에 소정의 전위차를 형성하는 전위차형성부; 및 상기 인쇄용지의 스큐가 소정의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전위차형성부가 상기 전위차를 형성하는 것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전위차형성부에 소스 전원을 공급하는 소스전원부와, 상기 소스전원부와 상기 전위차형성부 사이에 전기적으로 개재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용지의 스큐가 상기 허용범위 이내이면 상기 스위칭부를 단락하는 온 신호와, 상기 인쇄용지의 스큐가 상기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스위칭부를 개방하는 오프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원고화상정보를 상기 현상프로세스부에 공급하는 화상정보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용지의 스큐가 상기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인쇄하고자 한 상기 원고화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용지의 스큐가 상기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인쇄하고자 한 원고화상이 인쇄용지에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반송부가 다음 인쇄용지를 상기 현상프로세스부에 급지하도록 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원고화상정보를 상기 현상프로세스부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현상제가 전기력에 의해 이동되도록 복수의 현상프로세스롤러에 소정의 전위차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상프로세스롤러를 구비하는 현상프로세스부에 인쇄용지를 급지하는 단계; 상기 인쇄용지의 스큐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인쇄용지의 스큐가 소정의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현상프로세스롤러 간에 상기 전위차가 형성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 및 현상제가 도포되지 않은 상기 인쇄용지를 상기 현상프로세스부로부터 수령하여 반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현상프로세스부에 원고화상정보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인쇄용지의 스큐가 상기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인쇄하고자 한 원고화상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기록 매체의 변방향이 소정의 반송방향과 소정의 허용범위 내에서 일치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반송방향과 상기 허용범위 내에서 일치될 때, 상기 기록매체에 현상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반송방향에서 상기 허용범위를 벗어날 때, 상기 기록매체에 상기 현상제가 도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반송방향에서 상기 허용범위를 벗어날 때, 다음의 기록매체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다음 기록매체의 변방향이 상기 반송방향과 허용범위 내에서 일치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다음 기록매체가 상기 반송방향과 상기 허용범위 내에서 일치될 때, 상기 다음 기록매체에 현상제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다음 기록매체가 상기 반송방향에서 상기 허용범위를 벗어날 때, 상기 기록매체에 상기 현상제가 도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3은 도 2의 현상프로세스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현상프로세스부(30), 전위차형성부(20), 반송부(40), 스큐감지부(50) 및 제어부(10)를 갖는다.
현상프로세스부(30)는 복수의 현상프로세스롤러(32)를 구비하며 인쇄용지(P)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현상제(T)를 도포한다. 현상프로세스롤러(32)는 감광체(33), 현상롤러(35), 전사롤러(37), 대전롤러(34) 및 공급롤러를 갖는다. 감광체(33)는 현상롤러(35), 전사롤러(37) 및 대전롤러(34)를 차례로 경유한다.
감광체(33)는 광주사유니트(미도시)가 주사하는 광을 수령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현상롤러(35)는 현상제(T)를 감광체(33)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도포하여 현상한다. 전사롤러(37)는 감광체(33)에 도포된 현상제(T)를 반송부(40)에 의해 감광체(33)와 전사롤러(37) 사이로 진행하는 인쇄용지(P)로 전사한다. 클리닝부(34a)는 인쇄용지(P)로 전사되고 남은 잔여 현상제(T)를 감광체(33)로부터 제거한다. 대전롤러(34)는 감광체(33)가 균일한 전위를 갖도록 감광체(33)를 제전한다.
현상제저장부(38)는 현상제(T)를 저장하며, 공급롤러(36)는 현상제저장부(38)로부터 현상제(T)를 수령하여 현상롤러(35)로 공급한다. 아지테이터(38a)는 현상제저장부(38) 내의 현상제(T)를 교반 반송하여 현상제(T)가 공급롤러(36)로 이동되는 것을 촉진한다. 닥터블레이드(39)는 현상롤러(35)가 감광체(33)로 공급하는 현상제(T)의 양을 조절한다. 감광체(33), 현상롤러(35), 공급롤러(36), 전사롤러(37), 대전롤러(34) 및 아지테이터(38a)는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회전된다.
전위차형성부(20)는 현상제(T)가 인쇄용지(P)에 도포되도록 복수의 현상프로세스롤러(32) 간에 소정의 전위차를 형성한다. 소스전원부(60)가 소스전원을 공급하면 전위차형성부(20)는 소스전원을 변압, 배전하여 감광체(33), 현상롤러(35), 공급롤러(36), 전사롤러(37) 및 대전롤러(34)가 각각 서로 다른 소정 전위를 갖도록 한다.
전위차형성부(20)가 각 현상프로세스롤러(32)에 소정의 전위를 형성함으로써 현상제(T)는 전기력에 의해 공급롤러(36)로부터 현상롤러(35)로 이동되며, 다시 현상롤러(35)로부터 감광체(33)로 이동되며, 최종으로 감광체(33)로부터 인쇄용지(P)로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대전롤러(34)가 감광체(33)를 제전할 수 있으며, 닥터블레이드(39)가 현상제(T)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반송부(40)는 인쇄용지(P)를 현상프로세스부(30)를 경유하도록 반송한다. 반송부(40)는 인쇄용지(P)가 감광체(33)와 전사롤러(37) 사이를 진행하도록 현상프로세스부(30)에 급지한다. 반송부(40)는 현상프로세스부(30)로부터 인쇄용지(P)를 수령하여 정착기(미도시)로 반송한다. 정착기(미도시)는 인쇄용지(P)에 도포된 현상제(T)를 인쇄용지(P)에 고착할 수 있다.
반송부(40)는 현상프로세스부(30)의 현상제(T) 도포 여부와 관계없이 현상프로세스부(30)로부터 인쇄용지(P)를 수령하여 반송한다. 인쇄용지(P)가 정상적으로 현상프로세스부(30)에 급지된 경우 반송부(40)는 현상제(T)가 도포된 인쇄용지(P)를 반송한다. 인쇄용지(P)에 스큐가 소정의 허용범위를 벗어나도록 발생한 경우 반송부(40)는 현상제(T)가 도포되지 않아서 현상프로세스부(30)로 급지된 상태 그대로 인쇄용지(P)를 반송한다.
스큐감지부(50)는 반송부(40)에 의해 현상프로세스부(30)로 급지되는 인쇄용지(P)의 스큐를 감지한다. 스큐감지부(50)는 현상프로세스부(30)로 급지되는 인쇄용지(P)의 기울어진 정도, 즉 스큐를 감지하여 제어부(10)로 전달한다. 스큐감지부(50)는 현상프로세스부(30)로 진입하는 인쇄용지(P)의 선단측 양 모서리의 진입방향 간격, 즉 탑스큐를 측정하여 스큐의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스큐감지 부(50)는 인쇄용지(P)의 일측변의 양 모서리의 진입가로방향 간격, 즉 사이드스큐를 측정하여 스큐의 정도를 감지할 수도 있다. 스큐감지부(50)는 CIS(contact image sensor),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인쇄용지(P)의 스큐를 감지할 수 있는 통상의 유니트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스큐감지부(50)로부터 수령한 인쇄용지(P)의 스큐 정보와 소정의 허용범위를 비교하여 인쇄용지(P)의 스큐가 소정의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전위차형성부(20)가 전위차를 형성하는 것을 차단하여 현상제(T)가 인쇄용지(P)로 도포되지 않도록 한다. 이 때 반송부(40)는 현상제(T)가 도포되지 않은 상태의 인쇄용지(P)를 현상프로세스부(30)로부터 수령하여 반송하게 된다. 반면 제어부(10)가 인쇄용지(P)의 스큐 정도가 소정의 허용범위 이내이면 전위차형성부(20)가 정상적으로 전위차를 형성하도록 하도록 현상제(T)가 인쇄용지(P)에 도포되게 한다. 소정의 스큐 허용범위는 미리 제어부(10)에 저장되거나 유저인터페이스(미도시)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0)는 스위칭부(70)를 단속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12)를 갖는다. 제어부(10)는 신호생성부(12)에 의해 스위칭부(70)를 단속함으로써 전위차형성부(20)의 전위차 형성을 단속한다. 신호생성부(12)는 인쇄용지(P)의 스큐가 허용범위 이내이면 온 신호(Von)를 생성하며, 인쇄용지(P)의 스큐가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오프 신호(Voff)를 생성한다. 신호생성부(12)는 전압이 서로 다른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온 신호(Von)와 오프 신호(Voff)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신호생성부(12)는 서로 다른 전류 기타 이와 유사한 방법에 의해 온 신호(Von)와 오프 신 호(Voff)를 서로 구별되게 생성할 수 있다.
스위칭부(70)는 소스전원부(60)와 전위차형성부(20) 사이에 전기적으로 개재한다. 스위칭부(70)가 신호생성부(12)로부터 온 신호(Von)를 수령하면 소스전원부(60)와 전위차형성부(20) 사이가 단락되게 하여 소스전원이 전위차형성부(20)에 공급되게 한다. 이에 따라 전위차형성부(20)는 소스전원을 변압, 배전하여 현상프로세스롤러(32) 각각에 소정의 전위를 형성할 수 있다. 스위칭부(70)가 신호생성부(12)로부터 오프 신호(Voff)를 수령하면 소스전원부(60)와 전위차형성부(20) 사이가 개방되게 하여 소스전원이 전위차형성부(20)에 공급되지 못하도록 한다.
스위칭부(70)는 입력 신호에 따라 단락 회로 또는 개방 회로가 될 수 있는 통상의 전기회로일 수 있다. 스위칭부(70)는 전위차형성부(20)가 현상프로세스롤러(32)에 전위차를 형성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면 소스전원부(60)와 전위차형성부(20) 사이에 뿐만 아니라 전위차형성부(20)와 현상프로세스부(30) 사이에 개재하거나 또는 전위차형성부(20)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화상정보공급부(80)는 원고화상정보를 현상프로세스부(30)에 공급한다. 현상프로세스부(30)는 화상정보공급부(80)가 공급한 원고화상정보에 따라 원고화상을 인쇄용지(P)에 형성한다. 화상정보공급부(80)는 외부의 컴퓨터(미도시)이거나 외부의 컴퓨터(미도시)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미지로 번역하는 이미지 프로세서일 수 있다. 또는 화상정보공급부(80)는 소정의 화상정보가 저장된 저장 유니트(미도시)일 수 있다.
제어부(10)는 화상정보공급부(80)가 현상프로세스부(30)로 공급하는 원고화 상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14)를 갖는다. 제어부(10)는 인쇄용지(P)의 스큐가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인쇄하고자 한 원고화상정보를 저장부(14)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반송부(40)가 다음 인쇄용지(P)를 현상프로세스부(30)에 급지하도록 하고 저장부(14)에 저장된 원고화상정보를 현상프로세스부(30)에 공급하도록 한다. 이 때 스큐감지부(50)는 현상프로세스부(30)에 공급되는 다음 인쇄용지(P)의 스큐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다음 인쇄용지(P)의 스큐가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전위차형성부(20)의 전위차 형성을 차단하고 원고화상정보를 저장부(14)에 반복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쇄용지(P)의 스큐가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신호생성부(12)가 오프 신호(Voff)를 생성하도록 하여 스위칭부(70)가 개방되게 함으로써 화상이 인쇄용지(P)에 형성되지 않도록 하면서 인쇄되지 않은 원고화상정보를 저장한 후 다시 현상프로세스부(30)에 공급함으로써 스큐로 인해 인쇄되지 않은 원고화상을 인쇄용지(P)에 인쇄할 수 있다.
반송부(40)는 인쇄용지(P)의 스큐가 허용범위를 벗어난 경우 현상제(T)가 도포되지 않은 상태로 현상프로세스부(30)로부터 수령된 인쇄용지(P)를 다시 현상프로세스부(30)로 급지할 수도 있다.
화상형성장치(1)는 출력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으며, 제어부(10)는 스큐가 허용범위를 벗어난 경우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화상이 형성하지 않았음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이 형성되지 않은 인쇄용지를 특정되게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방법은 시작되면 현상프로세스롤러를 갖는 현상프로세스부에 원고화상정보를 공급하는 단계(S10)와, 현상프로세스롤러 간에 현상제가 전기력에 의해 이동되도록 소정의 전위차를 형성하는 단계(S20)를 갖는다. 원고화상정보를 공급하는 단계(S10)와 소정의 전위차를 형성하는 단계(S20)는 역순 또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현상프로세스부에 인쇄용지를 급지하고 인쇄용지의 스큐를 감지하는 단계(S30)를 갖는다. 인쇄용지의 스큐 정도가 소정의 허용범위와 비교한다.(S40) 인쇄용지의 스큐가 소정의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현상프로세스롤러 간에 전위차가 형성되는 것을 차단한다.(S50) 이에 따라 현상제가 현상프로세스롤러 간을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현상제가 인쇄용지에 도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인쇄하고자 한 원고화상정보를 저장하고(S60) 현상제가 도포되지 않은 인쇄용지를 현상프로세스부로부터 수령하여 반송한다.(S70) 원고화상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60)와 인쇄용지를 반송하는 단계(S70)는 역순 또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된 원고화상정보를 현상프로세스부에 공급하고(S80) 전위차 형성 단계(S20) 및 인쇄용지 급지(S30) 단계를 다시 반복함으로써 스큐에 의해 인쇄되지 않은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송단계(S70)에서 스큐 허용범위를 벗어난 인쇄용지가 잼 될 수도 있으므로 이를 검출하고, 검출결과 용지잼이 발생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인쇄용지의 스큐 정도를 판단하여(S40) 스큐의 정도가 소정의 허용범위 이내일 경우는 인쇄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고(S90) 화상이 형성된 인쇄용지를 현상프로세스부로부터 수령하여 반송함으로써(S100) 화상형성방법을 종료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방법은 단일의 인쇄용지 또는 복수의 인쇄용지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인쇄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원고화상정보 공급 단계(S10) 내지 인쇄용지 반송 단계(s100)를 반복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은 인쇄용지의 스큐가 소정범위를 벗어나도록 발생한 경우 현상프로세스롤러 간의 전위차를 제거함으로써 현상제가 인쇄용지로 도포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인쇄용지에 화상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현상제, 인쇄용지, 인쇄 소요 시간의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현상제가 전기력에 의해 이동되도록 복수의 현상프로세스롤러에 소정의 전위차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상프로세스롤러를 구비하여 공급받은 원고화상정보에 따라 인쇄용지에 원고화상을 형성하도록 마련된 현상프로세스부에 인쇄용지를 급지하는 단계;
    상기 인쇄용지의 스큐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인쇄용지의 스큐가 소정의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현상프로세스롤러 간에 상기 전위차가 형성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
    현상제가 도포되지 않은 스큐된 인쇄용지를 외부로 반송하는 단계;
    상기 반송되는 인쇄용지의 잼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용지잼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프로세스부에 상기 원고화상정보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인쇄용지의 스큐가 상기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원고화상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3. 복수의 현상프로세스롤러를 구비하는 현상프로세스부와, 상기 현상프로세스부를 경유하도록 인쇄용지를 반송하는 반송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에 의해 상기 현상프로세스부로 급지되는 상기 인쇄용지의 스큐를 감지하는 스큐감지부;
    현상제가 인쇄용지에 도포되도록 상기 현상프로세스롤러 간에 소정의 전위차를 형성하는 전위차형성부; 및
    상기 인쇄용지의 스큐가 소정의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전위차형성부가 상기 전위차를 형성하는 것을 차단하게 하여 상기 현상제가 도포되지 않은 스큐 된 인쇄용지가 외부로 반송되도록 상기 전위차형성부 및 반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차형성부에 소스 전원을 공급하는 소스전원부와, 상기 소스전원부와 상기 전위차형성부 사이에 전기적으로 개재하는 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용지의 스큐가 상기 허용범위 이내이면 상기 스위칭부를 단락하는 온 신호와, 상기 인쇄용지의 스큐가 상기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스위칭부를 개방하는 오프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원고화상정보를 상기 현상프로세스부에 공급하는 화상정보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용지의 스큐가 상기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인쇄하고자 한 상기 원고화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쇄용지의 스큐가 상기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인쇄하고자 한 원고화상이 인쇄용지에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반송부가 다음 인쇄용지를 상기 현상프로세스부에 급지하도록 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원고화상정보를 상기 현상프로세스부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60099901A 2006-10-13 2006-10-13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방법 KR100808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901A KR100808871B1 (ko) 2006-10-13 2006-10-13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901A KR100808871B1 (ko) 2006-10-13 2006-10-13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400A Division KR20070082598A (ko) 2005-04-26 2005-04-26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794A KR20060122794A (ko) 2006-11-30
KR100808871B1 true KR100808871B1 (ko) 2008-03-03

Family

ID=37707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9901A KR100808871B1 (ko) 2006-10-13 2006-10-13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88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79835B2 (ja) * 2015-07-08 2019-09-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180032327A (ko) 2016-09-22 2018-03-30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전자 종이, 화상형성장치 및 인쇄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798A (ko) * 2002-07-25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
KR20040024261A (ko) * 2002-09-13 200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잼제거기능을 갖는 화상형성기 및 자동잼제거방법
KR100415608B1 (ko) 1996-11-22 2004-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린터의페이퍼잼방지방법및그에따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608B1 (ko) 1996-11-22 2004-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린터의페이퍼잼방지방법및그에따른장치
KR20040009798A (ko) * 2002-07-25 2004-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
KR20040024261A (ko) * 2002-09-13 200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잼제거기능을 갖는 화상형성기 및 자동잼제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2794A (ko) 200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574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5848321A (en)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ransfer voltage in printer using electrophotography system
JP5538846B2 (ja) 画像形成装置
US6002906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controls the image forming operation on the basis of the recording sheet
EP3309621B1 (en)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recording medium
KR100808871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화상형성방법
JP2007226044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6633736B1 (en) Automatically varying the transfer voltage in an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process based on the incoming path of the sheet of print media
KR20070082598A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방법
JP461036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4046213A (ja) 画像形成装置
US875569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31617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10813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282016A (ja) 画像形成装置
JPH1165185A (ja) 複写機
JP2002333797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023063183A (ja) 画像形成装置
JP202111076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1815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193224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60131306A (ko) 화상형성장치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80010861A (ko) 화상형성장치의 출력용지 분류방법
JP200901487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10207319A (ja) 画像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