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8613B1 -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8613B1
KR100438613B1 KR10-2001-0079762A KR20010079762A KR100438613B1 KR 100438613 B1 KR100438613 B1 KR 100438613B1 KR 20010079762 A KR20010079762 A KR 20010079762A KR 100438613 B1 KR100438613 B1 KR 100438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body portion
bracket
base plate
suppo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9536A (ko
Inventor
서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9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8613B1/ko
Publication of KR20030049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6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44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vibration damping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33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encapsu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9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crank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압축부 및 전동모터부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마운트브래킷을 구비한 압축기와,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게 돌출된 고정샤프트를 구비한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압축기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압축기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지지하는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에 있어서, 하면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접촉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관통공을 탄성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마운트브래킷의 상측에 배치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와 상기 몸체부사이에 상기 마운트브래킷의 상기 관통공영역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브래킷수용부와; 상기 몸체부와,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브래킷수용부가 상기 고정샤프트와 접촉되지 아니하고 유동가능하게 상기 고정샤프트의 외경으로부터 소정의 유동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상기 헤드부와, 상기 브래킷수용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간격부를 구비한 방진고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압축기와 접촉되는 영역이 압축기의 변위에 대응되게 탄성변형되어 압축기의 진동이 설치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VIBRATION DAMPING APPARATUS FOR 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기와 접촉되는 영역이 압축기의 변위에 대응되게 탄성변형되어 압축기의 진동이 설치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축기는 냉동사이클의 한 구성요소로서 냉각작용을 수행한 냉매를 다시 압축하는 장치로서, 주로 냉각작용을 수행하는 냉장고, 에어컨 등에 채택되고 있다. 냉동사이클의 구성요소로는 압축기 외에,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방열을 통해 응축시키는 콘덴서와, 콘덴서에 의해 응축된 냉매가 교축되어 팽창되는 팽창장치와, 냉각영역에 배치되어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하면서 냉각작용을 수행하는 증발기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기계실영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의 본체(10)의 후방 하부영역에는 후방으로 개구된 기계실(11)이 형성되어 있으며, 기계실(11)의 저부면에는 베이스플레이트(12)가 구비되어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2)의 상면 일측면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1)가 설치되어 있으며, 압축기(21)의 일측에는 압축된 냉매를 방열을 통해 응축시키는 응축기(27)가 구비되어 있다. 응축기(27)의 일측에는 응축기(27)를 향해 송풍되도록 함으로써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송풍팬(29)이 마련되어 있다.
압축기(21)는, 내부에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미도시) 및 압축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부(미도시) 등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22)과, 케이싱(22)의 하측에 일체로 결합되어 케이싱(22)을 지지하는 마운트브래킷(24)을 구비하고 있다. 마운트브래킷(24)은 판상부재로 형성되며 각 모서리 영역에는 판면을 관통하여 관통공(26)이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플레이트(12)에는 각 관통공(26)에 대응되게 상하방향을 따라 돌출된 복수의 고정샤프트(14)가 형성되어 잇다.
각 관통공(26)에는 하단이 베이스플레이트(12)에 접촉지지되어 압축기(21)의 진동이 베이스플레이트(12)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압축기(21)가 베이스플레이트(12)로부터 소정 이격되게 지지하는 탄성고무부재로 형성되는 방진고무부재(31)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방진고무부재(31)는, 하단이 베이스플레이트(12)에 접촉지지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몸체부(32a)와, 몸체부(32a)와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이격되고 관통공(26)을 통과하여 마운트브래킷(24)의 상측에 접촉되게 형성되는 헤드부(32b)와, 헤드부(32b)와 몸체부(32a)사이에 마운트브래킷(24)의 관통공(26)영역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브래킷수용부(32c)와, 헤드부(32b), 브래킷수용부(32c) 및 몸체부(32a)를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고정샤프트(14)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샤프트수용공(34)을 구비하고 있다.
각 방진고무부재(31)의 상측에는 방진고무부재(31)가 베이스플레이트(12)로부터 상하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핀(18)이 수평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고정샤프트(14)의 상부영역에는 고정핀(18)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핀공(16)이 수평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에 있어서는, 고정샤프트(14)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방진고무부재(31)의 내부에 관통된 샤프트수용공(34)은 고정샤프트(14)의 외경에 대해 결합을 위한 공차를 포함한 정도의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압축기(21)의 구동시 수평방향을 따른 변위가 발생될 경우 방진고무부재(31)와 고정샤프트(14)가 상호 접촉되어 압축기(21)의 진동이 고정샤프트(14)를 통해 베이스플레이트(12)에 전달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와 접촉되는 영역이 압축기의 변위에 대응되게 탄성변형되어 압축기의 진동이 설치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기계실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요부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의 결합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방진고무부재의 확대종단면도,
도 5는 도 3의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의 도 4에 대응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의 도 4에 대응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 베이스플레이트 14 : 고정샤프트
16 : 핀공 18 : 고정핀
21 : 압축기 22 : 케이싱
24 : 마운트브래킷 26 : 관통공
42a : 몸체부 42b : 헤드부
42c : 브래킷수용부 42d : 간격부
44 : 돌출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압축부 및 전동모터부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외각영역에 판면을 관통하여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마운트브래킷을 구비한 압축기와,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게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복수의 고정샤프트를 구비하여 상기 압축기의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압축기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압축기로부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 전달되는 진동이 저감되도록 지지하는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에 있어서, 하면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접촉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관통공을 탄성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마운트브래킷의 상측에 배치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와 상기 몸체부사이에 상기 마운트브래킷의 상기 관통공영역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브래킷수용부와; 상기 몸체부와,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브래킷수용부가 상기 고정샤프트와 접촉되지 아니하고 유동가능하게 상기 고정샤프트의 외경으로부터 소정의 유동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상기 헤드부와, 상기 브래킷수용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간격부를 구비한 방진고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판면방향을 따라 유동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유동억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억제부는 상기 몸체부의 간격부의 내경면으로부터 상기 고정샤프트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유동억제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하향 돌출된 돌기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관통되어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는 돌기수용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유동억제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고리형상을 가지도록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몸체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외경에 비해 축소된 반경을 가지는 영역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저부면에는 상기 돌출부를수용할 수 있도록 상향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헤드부의 상향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샤프트에는 상기 고정핀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핀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의 결합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방진고무부재의 확대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 및 도시한 기술적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의 기계실(11)의 저부에는 베이스플레이트(12)가 구비되어 있으며, 베이스플레이트(12)의 상면 일측에는 냉매를 압축할 수 있도록 압축기(21)가 배치되어 있다. 압축기(21)의 일측에는 압축된 냉매를 방열을 통해 응축시키는 응축기(27)가 설치되어 있으며, 응축기(27)의 일측에는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송풍팬(29)이 구비되어 있다.
압축기(21)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22)과, 케이싱(22)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마운트브래킷(24)을 구비하고 있으며, 마운트브래킷(24)의 각 모서리영역에는 판면을 관통하여 관통공(26)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2)에는 각 관통공(26)에 대응되게 상향 돌출된 고정샤프트(14)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고정샤프트(1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본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는, 하단이 베이스플레이트(12)에 접촉지지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연장되는 몸체부(42a)와, 몸체부(42a)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고 관통공(26)을 탄성적으로 통과하여 마운트브래킷(24)의 상측에 배치되는 헤드부(42b)와, 헤드부(42b)와 몸체부(42a)사이에 마운트브래킷(24)의 각 관통공(26)영역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브래킷수용부(42c)와, 고정샤프트(14)의 외경면으로부터 헤드부(42b), 브래킷수용부(42c) 및 몸체부(42a)의 유동간격을 두고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는 간격부(42d)를 구비한 방진고무부재(4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몸체부(42a)의 내부에 형성된 간격부(42d)의 하부영역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고정샤프트(14)를 향해 돌출되어 고정샤프트(14)의 외경에 접촉되어 몸체부(42a)가 베이스플레이트(12)의 판면방향을 따라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돌출부(4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헤드부(42b)의 상측에는 헤드부(42b)의 상향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핀(18)이 배치되어 있으며, 고정샤프트(14)에는 고정핀(18)이 수용결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에 가로로 관통된 핀공(16)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베이스플레이트(12)에 상향 돌출된 각 고정샤프트(14)에 방진고무부재(41)를 결합하고, 각 방진고무부재(41)의 상측으로부터 마운트브래킷(24)의 각 관통공(26)을 헤드부(42b)에 대고 하향 가압한다. 그러면, 각 헤드부(42b)는 해당 관통공(26)을 탄성적으로 통과하게 되고 마운트브래킷(24)은 각 방진고무부재(41)의 브래킷수용부(42c)의 내부에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각 방진고무부재(41)의 상측으로 돌출된 고정샤프트(14)의 핀공(16)에 고정핀(18)을 삽입하여 압축기(21)와 방진고무부재(41) 및 베이스플레이트(12)가 상호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21)의 구동시 수평방향을 따른 변위가 발생되면 몸체부(42a)의 하부영역은 돌출부(44)가 고정샤프트(14)의 외경에 접촉됨으로써 고정되고, 몸체부(42a)의 상부영역, 브래킷수용부(42c) 및 헤드부(42b)는 내부에 형성된 간격부(42d)에 의해 고정샤프트(14)와 거의 접촉됨이 없이 마운트브래킷(24)의 유동에 대응되게 탄성변형됨으로써 압축기(21)의 진동이 고정샤프트(14)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시키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의 도 4에 대응된 도면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방진고무부재(51)는 몸체부(52a), 헤드부(52b)와, 브래킷수용부(52c) 및 간격부(52d)를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몸체부(52a)의 저부면에는 상향 함몰된 리브수용홈(54)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2)에는 방진고무부재(51)가 판면방향을 따라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향 돌출되어 리브수용홈(54)에 삽입결합되는 원형고리형상의 고정리브(53)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의 도 4에 대응된 도면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의 방진고무부재(61)는 몸체부(62a)와, 헤드부(62b)와, 브래킷수용부(62c) 및 간격부(62d)를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몸체부(62a)의 저부면에는 베이스플레이트(12)의 판면방향을 따라 유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몸체부(62a)의 외경에 비해 축소된 외경을 가지고 하향 돌출되어 베이스플레이트(12)에 삽입결합되는 돌출부(64)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2)에는 돌출부(64)가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돌출부수용홈(65)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플레이트에 저부가 접촉되고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상향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측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압축기의 마운트브래킷에 형성된 관통공을 탄성적으로 통과하는 헤드부와, 몸체부와 헤드부사이에 마운트브래킷이 두께방향을 따라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브래킷수용부와,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각 관통공에 대응되게 상향 돌출된 고정샤프트가 수용되며 고정샤프트의 외경과 소정의 유동간격을 두고 헤드부, 브래킷수용부 및 몸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간격부를 마련하여 압축기의 구동시 헤드부, 브래킷수용부 및 몸체부가 마운트브래킷의 변위에 대응하여 탄성변형되도록 함으로써, 압축기의 진동이 고정샤프트를 통해 베이스플레이트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는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7)

  1. 내부에 압축부 및 전동모터부를 수용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외각영역에 판면을 관통하여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마운트브래킷을 구비한 압축기와,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게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복수의 고정샤프트를 구비하여 상기 압축기의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압축기의 하측에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압축기로부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 전달되는 진동이 저감되도록 지지하는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에 있어서,
    하면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접촉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고 상기 관통공을 탄성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마운트브래킷의 상측에 배치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와 상기 몸체부사이에 상기 마운트브래킷의 상기 관통공영역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브래킷수용부와;
    상기 몸체부와, 상기 헤드부 및 상기 브래킷수용부가 상기 고정샤프트와 접촉되지 아니하고 유동가능하게 상기 고정샤프트의 외경으로부터 소정의 유동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상기 헤드부와, 상기 브래킷수용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간격부를 구비한 방진고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판면방향을 따라 유동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유동억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억제부는 상기 몸체부의 간격부의 내경면으로부터 상기 고정샤프트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억제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하향 돌출된 돌기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관통되어 상기 돌기부를 수용하는 돌기수용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억제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고리형상을 가지도록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몸체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외경에 비해 축소된 반경을 가지는 영역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저부면에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향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헤드부의 상향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샤프트에는 상기 고정핀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핀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
KR10-2001-0079762A 2001-12-15 2001-12-15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 KR100438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762A KR100438613B1 (ko) 2001-12-15 2001-12-15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762A KR100438613B1 (ko) 2001-12-15 2001-12-15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536A KR20030049536A (ko) 2003-06-25
KR100438613B1 true KR100438613B1 (ko) 2004-07-02

Family

ID=29575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762A KR100438613B1 (ko) 2001-12-15 2001-12-15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86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583B1 (ko) * 2007-10-15 2013-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의 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10359A (zh) * 2014-07-01 2014-10-22 广东美芝精密制造有限公司 压缩机的底脚结构和具有该底脚结构的压缩机
CN104963824A (zh) * 2015-06-09 2015-10-07 安庆卡尔特压缩机有限公司 小型压缩机底座
CN106016497A (zh) * 2016-07-21 2016-10-12 珠海凌达压缩机有限公司 一种空调及压缩机减振机构
KR101878072B1 (ko) * 2016-10-26 2018-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압축기 설치 구조 및 그 설치 방법
CN108162716A (zh) * 2017-12-30 2018-06-15 东风小康汽车有限公司重庆分公司 电动车空调压缩机安装装置
CN109779879B (zh) * 2018-12-11 2023-10-20 加西贝拉压缩机有限公司 一种压缩机的减振安装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477Y1 (ko) * 1995-07-07 1999-06-01 윤종용 밀폐형 압축기의 방진부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477Y1 (ko) * 1995-07-07 1999-06-01 윤종용 밀폐형 압축기의 방진부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583B1 (ko) * 2007-10-15 2013-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의 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536A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5156B2 (en) Apparatus for mounting compressor
CN1991168B (zh) 固定装置及具有该固定装置的压缩设备
KR100548308B1 (ko) 냉장고의 압축기 지지장치
KR20040077234A (ko) 냉장고 압축기용 방진고무
KR100438613B1 (ko) 압축기의 진동저감 지지장치
US11280328B2 (en) Linear compressor
KR20100048098A (ko) 압축기의 방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50029416A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고정장치
JP2017044282A (ja) 圧縮機の支持装置
JP2020122437A (ja) 圧縮機及びこれを有する機器及び冷蔵庫
KR20130071030A (ko) 압축기용 방진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CN219034941U (zh) 制冷压缩机
KR101854532B1 (ko) 냉장고의 압축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CN218816867U (zh) 压缩机
KR20030054960A (ko) 냉장고의 압축기 장착장치
KR101343583B1 (ko) 압축기의 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9980078451A (ko) 냉장고용 압축기의 완충지지장치
KR20050117395A (ko) 냉장고의 압축기 지지장치
KR200351401Y1 (ko) 냉장고 압축기 지지구조.
KR100621042B1 (ko) 냉장고의 압축기 지지장치
KR19990035567U (ko) 압축기용 마운팅브래킷
JP2002276978A (ja) 床置型空気調和装置
KR200256448Y1 (ko) 냉장고의 압축기 진동 흡수장치
JP4057583B2 (ja) 圧縮機の装着装置
KR100412941B1 (ko) 냉장고용 방진고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