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8387B1 - 사중벽관 - Google Patents

사중벽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8387B1
KR100438387B1 KR10-2001-0071840A KR20010071840A KR100438387B1 KR 100438387 B1 KR100438387 B1 KR 100438387B1 KR 20010071840 A KR20010071840 A KR 20010071840A KR 100438387 B1 KR100438387 B1 KR 100438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tube
wall
quadruple
synthetic resin
sectional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1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1204A (ko
Inventor
박기종
Original Assignee
박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종 filed Critical 박기종
Priority to KR10-2001-0071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8387B1/ko
Publication of KR20030041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3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123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with four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중벽관에 관한 것으로, 속이 빈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합성수지로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내측벽관과; 상기 내측벽관의 외측면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며, 합성수지로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측벽관으로; 구성됨으로써, 사중벽관 제조시 발생되는 다양한 공간부를 발포성 수지 등으로 충진하여 대폭적으로 강성이 증대되고, 토압에 대한 내압성이 증대되어 매설깊이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물의 비중 이하로 사중벽관의 중량이 형성되므로, 수중 매설시 시공상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사중벽관{fourfold synthetic resin pipe}
본 발명은 사중벽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중벽관 제조시 발생되는 공간부를 발포성 수지로 채워 강도가 보강된 사중벽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중벽관은 통상 비교적 저렴한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재로 제조되고, 외벽과 내벽으로 분리되는 격벽구성을 가지며, 상기 외벽과 내벽은 상호 연결될 뿐만 아니라 평행하게 또는 나선형상으로 성형되어, 농수로, 하수관로, 배수관로, 매입관로 등에 내식성이 우수하고, 장시간의 매설시에도 누수가 없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이중벽관은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상 관체로서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재로서 금형내에서 성형되고 통상 외벽과 내벽을 가지는 이중벽관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종래의 이중벽관은 이중벽관의 외벽과 내벽간에는 상호 벽체를 연결하는 연결리브가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강도를 보강하고, 이중벽관의 외벽과 내벽간에 형성되는 공간부는 공기가 함입된 부분으로 다각형상체를 구성함으로서 단면계수를 증대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이중벽관은 주철관이나 콘크리트관에 비하여 내강성 값이 3-6㎏/㎠ 밖에 되지 않아 강성이 약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우수한 내식성에도 불구하고 압축강도가 낮음으로서 일정한 깊이 이상 매설할 경우 토압에 내구성이 저하됨으로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지중매설시 등에는 부압에 의하여 일정한 위치에 매설이 곤란하며, 이중벽관의 내부공간의 존재로 인하여, 부력이 발생되는 수중에는 매설이 어려운 시공상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구조적으로 이중벽관을 개량하여 강도가 향상되며, 시공상 편의성을 추구하도록 한 사중벽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중벽관은 속이 빈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합성수지로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내측벽관과; 상기 내측벽관의 외측면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며, 합성수지로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측벽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중벽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중벽관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중벽관의 공간부 단면형상을 도시한 예시도1,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중벽관의 공간부 단면형상을 도시한 예시도2,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중벽관의 공간부 단면형상을 도시한 예시도3,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중벽관의 공간부 단면형상을 도시한 예시도4.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내측벽관 20 : 외측벽관
30 : 공간부 40 : 충진재
P : 사중벽관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중벽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중벽관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중벽관의 공간부 단면형상을 도시한 예시도1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중벽관의 공간부 단면형상을 도시한 예시도2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중벽관의 공간부 단면형상을 도시한 예시도3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중벽관의 공간부 단면형상을 도시한 예시도4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중벽관은 속이 빈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공간부(30)가 형성되며, 합성수지로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내측벽관(10)과;
상기 내측벽관(10)의 외측면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며, 합성수지로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측벽관(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측벽관(10)은 그 내에 공간부(30)를 형성시키는 단면형상이 도3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 불규칙 다각형, 정다각형, 사각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평행사변형, 마름모, 사다리꼴, 원형, 타원형, 정원, 정오각형, 정육각형, 정칠각형, 정팔각형, 정구각형 또는 정십각형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이들 공간부(30)의 단면형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어느 특정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타 다양한 단면형상으로도 변형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내측벽관(10)의 공간부(30)는 내측벽관(10)의 제조시 사용되는 금형기계의 형상에 따라 공간부(30)의 단면형상이 결정되는 것으로, 다양한 금형 기계의 형상에 따라, 자연적으로 공간부(P)의 단면형상도 정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부(30)는 사중벽관(P)을 지중에 매설시 사중벽관(P)에 가해지는 수직, 수평토압에 용이하게 대응토록 하기 위함이며, 또한 사중벽관(P)의 온도에 따른 수축팽창을 수용토록 하기 위함으로서, 궁극적으로 단면계수를 증대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공간부(30)는 그 내에 충진재(40)로 도3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성 합성수지, 발포 폴리프로필렌, 발포 폴리스티렌, 발포 폴리에틸렌, 폐합성수지, 폐비닐수지 또는 폐플라스틱수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이들 상술한 바와 같은 충진재(40)로 한정되지 않으며, 발포성 수지 및 기타 소재에 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확대되어 영향을 미침을 밝혀두는 바이다.
더욱이, 상기한 공간부(30)는 그 내를 충진재(40)로 강제 주입후, 발포 충진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재의 팽창력을 용이하게 흡수토록 하여, 내측벽관(10)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 특정한 단면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공간부(30)를 충진재(40)로 채우는 이유는 공간부(30)를 충진재(40)로 채움으로 인하여 사중벽관(P)의 강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압축강도가 향상되어, 사중벽관(P)의 지중매설시 부압에 의하여 매설깊이에 제한을 받는 점을 극복하여 매설깊이에 관계없이 사중벽관(P)에 가해지는 토압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위함이며,
특히, 부력의 발생으로 인한 수중매설이 어려운 사중벽관(P)의 시공상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사중벽관의 제조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공간부(30)가 형성된 내측벽관(10)을 일정한 길이로 제조하고, 상기 내측벽관(10)의 공간부(30)에 발포성 합성수지, 발포 폴리프로필렌, 발포 폴리스티렌, 발포 폴리에틸렌, 폐합성수지, 폐비닐수지, 폐플라스틱수지 등을 주입토록 한다.
이때, 상기 공간부(30)에 발포성 수지의 주입은 금형으로부터 내측벽관(10)이 성형됨과 동시에 발포성 수지를 강제주입하여 성형토록 한다.
그 후, 상기 내측벽관(10)의 외측면을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외측벽관(20)을 제조하되, 내측벽관(10)의 직경보다 외측벽관(20)의 내경을 크게 하여, 상기 내측벽관(10)의 외측면에 접착용 수지로 감싼 후 외측벽관(20)을 나선형상으로 감아 돌린다.
이때, 상기 외측벽관(20)의 단면형상은 정사각형이 아닌 직사각형에 가깝도록 단면형상을 구성하면, 보다 바람직하게 외측벽관(20)의 권취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내측벽관(10)의 외측면을 따라 외측벽관(20)을 감아 돌림과 동시에 그 외측벽관(20)의 양측단을 압축시키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사중벽관(P)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중벽관은 사중벽관 제조시 발생되는 다양한 형상의 공간부를 발포성 수지 등으로 충진하여 대폭적으로 강성이 증대되고, 토압에 대한 내압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매설깊이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물의 비중 이하로 관체의 중량이 형성되므로, 수중 매설시 시공상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속이 빈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합성수지로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내측벽관과;
    상기 내측벽관의 외측면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며, 합성수지로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측벽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중벽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관은 그 내에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단면형상이 다각형, 불규칙 다각형, 정다각형, 사각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평행사변형, 마름모, 사다리꼴, 원형, 타원형, 정원, 정오각형, 정육각형, 정칠각형, 정팔각형, 정구각형 또는 정십각형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중벽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그 내에 충진재로 발포성 합성수지, 발포 폴리프로필렌, 발포 폴리스티렌, 발포 폴리에틸렌, 폐합성수지, 폐비닐수지 또는 폐플라스틱수지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중벽관.
KR10-2001-0071840A 2001-11-19 2001-11-19 사중벽관 KR100438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840A KR100438387B1 (ko) 2001-11-19 2001-11-19 사중벽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840A KR100438387B1 (ko) 2001-11-19 2001-11-19 사중벽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531U Division KR200269739Y1 (ko) 2001-11-19 2001-11-19 사중벽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204A KR20030041204A (ko) 2003-05-27
KR100438387B1 true KR100438387B1 (ko) 2004-07-07

Family

ID=29570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1840A KR100438387B1 (ko) 2001-11-19 2001-11-19 사중벽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83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238B1 (ko) * 2005-08-10 2007-07-27 푸른나래(주) 합성수지관의 압출성형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하수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323A (ko) * 2001-07-31 2003-02-12 박장용 놀이터의 구조물용 기둥 제조방법
KR100724067B1 (ko) * 2005-12-22 2007-06-04 주식회사 한국하이맥스 3층 구조체의 일체형 프로파일을 갖는 고강도 합성수지관및 그 제조방법
KR100897596B1 (ko) * 2008-05-06 2009-05-14 미래화학 주식회사 물막이벽을 갖는 하수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101279B1 (ko) * 2010-07-13 2012-01-04 이소영 레코드 버튼 동작에 의한 무선 마이크 녹음 장치 및 방법
KR101158278B1 (ko) * 2012-01-04 2012-06-19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다중 복합 충진형 합성수지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4482A (ja) * 1991-12-26 1994-10-21 Seiji Nagayoshi 耐圧管
KR20000014032A (ko) * 1998-08-17 2000-03-06 이정국 발포수지를 보강재로 하는 하수관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30506A (ko) * 2000-03-04 2000-06-05 이은숙 보강 소재를 이용한 이중벽 하수관
JP2000320741A (ja) * 1999-05-10 2000-11-24 Totaku Kogyo Kk ケーブル保護用合成樹脂管
JP2001004073A (ja) * 1999-06-23 2001-01-09 Nisshin:Kk 螺旋複合管とその製造方法
KR200231581Y1 (ko) * 2001-02-19 2001-07-19 김홍기 합성수지 삼중벽 평활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4482A (ja) * 1991-12-26 1994-10-21 Seiji Nagayoshi 耐圧管
KR20000014032A (ko) * 1998-08-17 2000-03-06 이정국 발포수지를 보강재로 하는 하수관 구조 및 그 제조방법
JP2000320741A (ja) * 1999-05-10 2000-11-24 Totaku Kogyo Kk ケーブル保護用合成樹脂管
JP2001004073A (ja) * 1999-06-23 2001-01-09 Nisshin:Kk 螺旋複合管とその製造方法
KR20000030506A (ko) * 2000-03-04 2000-06-05 이은숙 보강 소재를 이용한 이중벽 하수관
KR200231581Y1 (ko) * 2001-02-19 2001-07-19 김홍기 합성수지 삼중벽 평활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238B1 (ko) * 2005-08-10 2007-07-27 푸른나래(주) 합성수지관의 압출성형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하수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204A (ko) 200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8387B1 (ko) 사중벽관
PT914529E (pt) Molde pre-fabricado para moldar uma base de material estrutural susceptivel de solidificar
KR200269739Y1 (ko) 사중벽관
KR200192554Y1 (ko) 보강 소재를 이용한 이중벽 하수관
KR100564234B1 (ko) 공동주택의 수직하중으로 인한 파손 방지 상하수관
KR100441593B1 (ko) 튜브형 배수관을 이용한 준설토 연약지반의 탈수 촉진을위한 시공법 및 튜브형 배수관
KR20000009258U (ko) 보강된 이중벽관체
JPS6344386Y2 (ko)
KR100490956B1 (ko) 토목및도로공사용하수로관연결용거푸집
KR200426531Y1 (ko) 중공부에 소형 보강관이 내장된 다공관
KR200344560Y1 (ko) 플라스틱관
KR880002690B1 (ko) 합성수지제 양면코러게이트관
KR200304830Y1 (ko) 매설용 합성수지관
AU2005100071A4 (en) A Composite Storage Tank
US20230002995A1 (en) Concrete forming tube
KR880003530Y1 (ko) 중공형 돌출조에 보강대를 형성한 합성수지 나선관
JPS585340B2 (ja) 排水用桝
KR200307459Y1 (ko) 토목용 합성수지관
KR100650045B1 (ko) 보강재를 충전한 이중벽 하수관
KR200362090Y1 (ko) 가설 흙막이 토류벽 시공시 에이취형 파일을 인출하기위해 사용되는 이형재
KR200257359Y1 (ko) 구경이 큰 복합 합성수지관
KR200279007Y1 (ko) 지중매설용 합성수지관
KR100518464B1 (ko) 배수로관용 거푸집
KR100557245B1 (ko) 하수도용 내압나선관
KR200360023Y1 (ko) 보강재를 충전한 이중벽 하수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